KR100960707B1 - 자동 세정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세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0707B1
KR100960707B1 KR1020070093980A KR20070093980A KR100960707B1 KR 100960707 B1 KR100960707 B1 KR 100960707B1 KR 1020070093980 A KR1020070093980 A KR 1020070093980A KR 20070093980 A KR20070093980 A KR 20070093980A KR 100960707 B1 KR100960707 B1 KR 100960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flexible shaft
cleaning device
rotational movement
bevel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3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8873A (ko
Inventor
오일묵
오동묵
Original Assignee
오일묵
오동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일묵, 오동묵 filed Critical 오일묵
Priority to KR1020070093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707B1/ko
Priority to US12/678,744 priority patent/US20110142529A1/en
Priority to PCT/KR2008/005209 priority patent/WO2009038296A2/en
Publication of KR20090028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4Mechanical washing or cleaning devices, hand or mechanically, i.e. power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08Disc-shaped brush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 A46B13/04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supplying substances
    • A46B13/06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supplying substances with brush driven by the supplied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4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terchangeably removable bristle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05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where the brushing material is not made of bristles, e.g. sponge, rubber or pap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5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5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 A61H23/0263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using rotating unbalanced ma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2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 A61H7/004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power-driven, e.g.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2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 A61H7/004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power-driven, e.g. electrical
    • A61H7/005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power-driven, e.g. electrical hand-hel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8Water installations especially for sh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8Water installations especially for showers
    • E03C1/0409Shower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 E03C1/055Electrical control devices, e.g. with push buttons, control pane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06Brushes for cleaning the hand or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2Brush specifically designed for massaging the skin or scal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73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 A61H2201/018By limiting the applied torque or for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85Surface of interface interchange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rma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를 자동으로 세정하기 위한 자동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전기를 이용하여 회전운동을 만들고 그 회전운동을 유연축으로 전달하여 세정구를 자동 회전시켜서 신체에 접촉만 하여도 손쉽게 자동으로 비누칠마사지 및 자동세정목욕을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세정장치는, 회전운동을 생성하는 모터(19);와 상기 모터(19)의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단일선상의 제1유연축(3) 및 제2유연축(7);과 상기 제1유연축(3) 과 제2유연축(7)의 사이에 구성되어, 회전운동의 전달을 단락하거나 연결하는 중계기(5);와 세정구(8)가 포함되고 상기 제2유연축(7)의 회전운동을 받아 상기 세정구(8);를 구동시키는 구동부(9);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정장치는, 사용자와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된 전기에 의해 작동되는 모터(19)를 리모콘(12)이나 중계기(5)에 형성된 스위치로 작동시켜 회전운동을 생성하고 생성된 회전운동을 제1유연축(3), 중계기(5), 제2유연축(7)과 구동부(9)의 순서로 전달하여서, 구동부(9)에 전달된 회전운동이 구동부(9)에 구성된 회전축을 구동시키고 회전축의 일단에 연결되는 세정구(8)가 회전운동하게 되어, 사용자가 직접 손을 사용할 필요없이 회전하는 세정구(8)를 몸에 접촉만 하여도 안전하고도 편리하게 자동목욕 및 세정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자동 세정 장치, 유연축, 베벨기어, 세정구, 모터, 중계기, 구동부,

Description

자동 세정 장치{Automatic bat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신체를 자동으로 세정하기 위한 자동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전기를 이용하여 회전운동을 만들고 그 회전운동을 유연축으로 전달하여 세정구를 자동 회전시켜서 신체에 접촉만 하여도 손쉽게 자동으로 비누칠마사지 및 자동세정목욕을 할 수 있게 한 것이며, 또한 전기를 사용하되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전기모터부와 세정구 사이의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유연축을 길게 하되 2단으로 나누어 일단은 고정되게 하고 세정구가 연결된 나머지 단은 자유롭게 핸들링 할 수 있게하여, 간편하면서도 물 사용이 수반되는 욕실에서 전기를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수도전의 물을 외부로 분출하는 분출기와 세정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하나의 몸체에 구비시킨 자동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욕을 할 경우, 몸에 물을 묻히고 손으로 직접 비누를 온몸에 칠하거나 비누칠 후, 적당한 힘을 주고 손바닥으로 온몸을 문지르거나, 목욕세정구를 손에 쥐고 피부에 압박을 가하며 상하좌우로 움직여 닦아야하는바, 많은 힘이 드는 것은 물론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또한 목욕, 욕실소제, 의류부분세탁 등의 작업시에 물의 투입이 필요한 경우, 별도의 호스나 샤워기를 사용하여 물을 공급하여야 하는 번거러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아래 참고문헌에서와 같이 종래에 전기를 이용하여 회전운동을 만들고, 이를 유연축으로 전달하여 세정구를 자동회전하는 고안들이 있으나 이는 전기모터부와 회전하는 세정구 사이가 가까워 전기위험성이 잠재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에서 유연축을 길게 하는 경우도 있으나 유연축이 너무 길어지게 되면, 작업자가 핸들링하기 불편하고 미관상으로도 바람직하지 못하였다.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문헌1] KR 10-0621915
[문헌2] KR 20-0242947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써, 비누칠작업 내지는 신체 세정목욕 작업은 물론 욕실 물청소작업을 자동으로 하기위해 전기모터를 이용하여 회전운동을 생성하고 생성된 회전운동을 유연축으로 전달하고 전달된 회전운동으로 세정구를 자동으로 회전시키되, 사용하는 전기를 보다 안전하게 사용하는 자동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정구 및 유연회전축인 스프링으로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전기 모터부를 사용자의 왼쪽이든 오른쪽이든 상부쪽이든 어느 방향으로 설치하여도 용이하게 회전운동을 전달할 수 있는 자동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시 목욕세정구와 전기모터부의 사이가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그 사이를 잇는 유연축을 2단으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자동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시 자동으로 회전하는 세정구를 억지고 잡거나 유연축이 지나치게 꼬이는 등 회전운동 전달이 방해를 받을 때 전기모터의 과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시 2단으로 구성된 유연축을 손쉽게 연결하거나 단락시킬 수 있는 자동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모터의 회전운동을 세정구로 전달시 유연축을 통하여 전달하되 유연축의 재질은 금속이나, 전기전도성에 안전한 수지를 사용한 자동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모터부의 회전운동을 전달받는 유연축, 2단으로 구성된 스프링 간의 회전운동 전달이 용이하도록 하는 자동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모터부, 다단의 스프링 각각 상호간 회전전달이 용이하도록 그 각각의 연결이 보다 확고히 연결되도록 하는 자동 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시 물과 접촉되는 자동세정 구동부가 지속적으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는 자동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시 오랜 사용으로 자동세정 구동부의 회전축 둘 레의 방수를 위한 패킹의 마모시, 패킹의 교체 없이도 패킹의 수명을 더 연장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세정구동부의 회전축을 둘러싼 패킹과 회전축의 상호간 마찰로 인한 회전축의 마모를 보호하기 위한 자동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세정 구동부의 회전축을 둘러싼 패킹의 마모시 또는 타부위의 누수로 인해 구동부 내부로 물이 침투됐을 때 구동부를 분해하지 않고 물을 손쉽게 배출할 수 있는 자동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시 작업자가 회전중인 구동부를 바닥에 잠시 놓아두더라도 구동부에서 회전중인 세정구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하기위하여, 또한 회전하는 세정구의 측면이 피부에 스치지 않도록 하기위한 자동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등 부위와 같은 사용자의 손이 잘 미치지않는 부분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자동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동부의 일측에 구성되며, 회전축의 회전운동으로 타운동구수단을 작동할 수 있도록 구동부에 타운동구 결합수단이 형성된 자동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시 작업자가 구동부를 몸에 접촉시킬 때 보다 더 적은 힘으로 구동부를 잡도록 보완해주거나 잡은 구동부가 손에서 놓치거나 하는 등 잘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자동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세정장치를 손으로 잡고 손을 어깨너머로 넘겨 등의 세정시, 세정구의 세정접촉면이 등에 보다 더 잘 접촉하기 쉽도록 하기위한 자동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자동세정장치를 욕실에 설치시 돌출부를 최소한으로 줄이고 나아가 더욱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자동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동부의 세정구가 외측으로 둥근 형태를 형성한 피부라인에 보다 많은 면적이 접촉하여 효과적으로 적은 시간으로 목욕할 수 있는 자동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신체세정, 욕실소제, 의류부분세탁, 등의 작업시, 하나의 장치에서 상기 작업과 동시에 물을 공급할수 있는 자동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세정장치는, 회전운동을 생성하는 회전수단; 상기 회전수단의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유연축수단; 상기 유연축수단의 일단에 구성되어, 회전운동의 전달을 단락하거나 연결하는 중계수단; 세정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유연축수단의 회전운동을 받아 상기 세정수단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정장치에서, 상기 회전수단은, 회전운동을 생성하는 전기모터; 상기 전기모터를 내장하는 모터하우징; 상기 전기모터의 회전운동 을 전달받아 상기 모터하우징의 외측 다수방향으로 전달하기 위한 다중전달수단;이 함께 구성된 것에 다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다중전달수단은, 전기모터의 회전운동을 전달받는 회전전달축; 상기 회전전달축의 다단에 형성된 다수개의 구동동력전달수단; 상기 구동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연동하는 피동동력전달수단; 상기 피동동력전달수단을 공전 가능하게 하며 모터하우징 내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으며,
또한, 상기 구동동력전달수단과 피동동력전달수단은 기어수단;인 것에 특징이 있으며,
또한, 상기 기어수단은 헬리컬기어;와 베벨기어;인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일단에 베어링을 구성하며 상기 베어링에 상기 헬리컬기어와 베벨기어가 공전 가능하도록 상기 헬리컬기어와 베벨기어의 일단 내지는 연장부를 취부하여 모터하우징 내에 고정되게 하는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자동세정장치는, 상기 회전수단의 회전운동을 유연축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전달축의 다단 내지는 피동동력전달수단의 일단에는, 유연축수단으로 회전운동의 전달을 연결하기 위한 접속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정장치는, 상기 유연축수단은, 회전수단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중계수단으로 전달하는 제1유연축수단;과 중계수단의 회전운동을 구동수단으로 전달하는 제2유연축수단;으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으며,
또한, 상기 제1유연축전달은, 중공의 관; 상기 관의 양 끝단의 둘레에 구성되며 회전수단과 중계수단에 연결하기 위해 구성된 연결부재; 상기 관의 내부에 배치된 유연축1;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수단의 접속수단으로부터 회전운동을 전달받는 유연축1의 끝단부와 타단의 끝단부에는, 각각 회전운동을 전달받거나 전달하기 위해서, 그리고 회전운동을 중계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유연축1의 양 끝단부에는 회전운동에 걸리기 위한 걸림수단;이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유연축수단은, 중공의 관; 상기 관의 양 끝단의 둘레에 구성되며 중계수단과 구동수단에 연결하기 위해 구성된 연결부재; 상기 관의 내부에 배치된 유연축2;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으며,
또한, 상기 유연축2의 양 끝단부에는, 연결되는 회전운동이 걸려서 함께 회전하도록 하는 걸림수단;이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정장치는, 상기 제2유연축수단의 중계수단측 관의 끝단에는, 중계수단과 착탈가능하며 회전운동을 연결하는 커넥터수단;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으며,
또한, 상기 커넥터 수단의 끝단에는, 중계수단의 회전운동에 걸려 함께 회전함으로써 회전운동을 전달받는 걸림수단; 상기 걸림수단으로부터 회전운동을 받아 제2유연축수단으로 전달하는 기어수단; 커넥터수단의 일단에 구성되어, 커넥터수단을 중계수단과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부재;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으며,
또한, 상기 기어수단은, 베벨기어어셈블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수단이며,
또한, 상기 걸림수단은, 단면이 다각형의 막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수단이며,
또한, 상기 다각형의 막대는 단면이 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수단인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정장치는, 상기 회전수단과 구동수단 사이의 일단에는, 전달되는 회전운동이 단절됨과 동시에 전달된 회전운동이 헛돌게 되는 공회전수단;이 더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으며,
또한, 상기 공회전수단은 상기 커넥터수단 내에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회전수단은, 회전운동을 타측으로 전달하는 구동전달부재; 상기 구동전달부재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상기 유연축2로 전달하는 피동전달부재; 상기 구동전달부재의 일단과 맞닿는 피동전달부재의 일단에 각각 구성되고 상호작용하여 회전운동을 연결하거나 공회전을 유발시키는 공회전유발수단; 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회전유발수단은, 상기 구동전달부재의 일단에 형성되어 회전운동을 걸어서 전달하기 위한 걸기부재; 상기 피동전달부재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걸기부재에 걸려 회전운동을 전달받는 걸림부재;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기부재는 걸기위한 돌기1;인 것에 특징이 있으며,
또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돌기1에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을 위한 돌기2;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공회전유발수단은, 상기 공회전수단에서 구동전달부재의 상부에는 회전운동을 전달받는 다각형의 막대;와 상기 다각형의 막대를 중심에 수직되게 형성한 원반;과 상기 원반에는 상하로 탄성가능하며 끝단에는 하방향으로 향한 돌기를 형성한 다수개의 탄성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피동전달부재에는, 상기 구동전달부재 원반의 돌기에 걸리도록 하는 다수개의 돌기를 형성한 원반;과 상기 원반의 상부 둘레에는 상기 구동전달부재의 원반을 담는 원통;과 상기 원반의 하단에는 유연축2와 연결이 가능한 접속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공회전수단에서 상기 구동전달부재의 상부에는, 회전운동을 전달받는 다각형의 막대;와 상기 다각형의 막대를 중심에 수직되게 형성한 원반;과 상기 원반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되되, 원반의 중심과 반대방향으로 탄성가능하며, 원반 중심 반대방향으로 향한 돌기를 구성한 다수개의 탄성편;을 형성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피동전달부재는, 상기 원반의 돌기에 걸리도록 하는 다수개의 돌기를 내주면에 형성한 원통;과 상기 원통의 하단에는 유연축수단과 연결가능한 접속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정장치에서, 상기 중계수단은, 회전운동을 전달 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 상기 동력전달수단을 내재하는 케이싱; 상기 동력전달수단을 공전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케이싱 내에서 고정해주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이 있으며,
또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기어수단;인 것에 특징이 있으며,
또한, 상기 기어수단은 다수개의 베벨기어 어셈블리;인 것에 특징이 있으며,
또한, 상기 베벨기어 어셈블리는 각각의 베벨기어 어셈블리의 일단에 형성된 각각의 베벨기어;와 각각의 베벨기어 어셈블리 타단의 외주면에는 베어링;이 구성되고, 각각의 베벨기어 어셈블리의 타단에는 유연축1 및 커넥터수단과 또는 유연축2와 접속되어 회전운동을 연결하기위한 접속수단;들이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베벨기어 어셈블리를 공전가능하게 삽입하는 내삽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을 케이싱 내에 부착 및 고정하게 하는 부착부재;가 함께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에는, 상기 3개의 베벨기어 어셈블리를 공전가능하게 삽입하는 내삽부재;와 상기 고정수단을 케이싱 내에 부착 및 고정하게 하는 부착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은, 케이싱 내 밑면 자체에 상기 베벨기어 어셈블리를 공전 가능하게 하면서 안착하도록 형성된 안착부재; 상기 안착부재에 체결하면서 베벨기어 어셈블리가 공전가능하면서 함께 고정되도록 베벨기어 어셈블리 상부를 덮는 덮개;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정장치에서, 상기 중계수단은, 회전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일단과 일직선상의 타단에는, 각각 유연축1 및 커넥터수단과 접속되어 회전운동을 연결하기 위해 형성된 접속수단;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둘레에 구성된 베어링;과 상기 동력전달수단이 상기 베어링에 의해 공전가능하도록 내장하는 케이싱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정장치는,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는, 상기 동력전달수단으로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유연축1이 통과하는 통로; 상기 통로의 외측면 둘레에는, 상기 제1유연축수단측과의 연결을 위해 형성된 연결부재; 상기 케이싱의 타측에는, 제2유연축수단측으로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회전운동을 전달하기위해 형성된 통로; 상기 통로의 외측면 둘레에는, 커넥터수단과 착탈 가능한 연결을 위한 체결수단;이 함께 포함된 것에 특징이 있으며,
또한, 상기 체결수단은 통로를 중심으로 케이싱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는 결합수단을 형성한 원통형;인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정장치는, 상기 중계수단은, 중계수단을 벽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수단;이 더 구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으며,
또한, 상기 중계수단과 벽 부착수단 상호간에는, 상호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으며,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정장치에서, 상기 중계수단에는, 회전수단의 전기장치를 제어하는 스위치수단;이 구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정장치에서, 상기 유연축수단의 유연축은 스프 링;인 것에 특징이 있으며,
또한, 상기 스프링은 금속재질;인 것에 특징이 있으며,
또한, 상기 스프링은 부도체인 수지재질;인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정장치에서, 제1유연축 및 제2유연축의 양끝단부에 형성된 상기 걸림수단은, 스프링의 끝단부 자체를 다각형으로 형성한 것에 특징이 있으며,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정장치에서, 상기 다각형은 단면이 사각형인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정장치는, 상기 제1유연축의 스프링의 양끝단 내지는 일끝단 에는 다각형의 팁수단;을 함께 더 구성한 것을 특징이 있으며,
또한, 상기 다각형의 팁수단은, 일단이 스프링 내에 삽입되어 스프링 내주면을 받드는 삽입부;와 타단이 회전수단에서 접속수단의 회전을 전달받으며, 외부로 노출되는 걸림수단;과 상기 삽입부를 둘러싼 스프링의 외주면에 구성되어 스프링과 삽입부를 함께 고정하는 고정관;으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으며,
또한, 상기 삽입부는 외주면에 스프링과 회전결합이 가능한 나선형홈;과 상기 고정관의 내주면은 스프링과 회전 결합이 가능한 나선형홈;을 형성한 것에 특징이 있으며,
또한, 상기 걸림수단은 단면이 사각형의 막대;인 것에 특징이있으며,
나아가, 상기 삽입부와 사각형의 막대 사이의 외주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정장치에서, 상기 접속수단은, 중심 내측으로 다각형의 구멍;을 형성한 것에 특징이 있으며,
또한, 상기 다각형은 단면이 사각형;인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정장치는, 상기 구동수단은 유연축수단을 안내하는 안내관; 상기 안내관을 통하여 안내된 유연축수단의 회전운동을 전달받는 구동베벨기어부; 및 상기 구동베벨기어에 의해 연동하는 피동베벨기어부; 상기 한쌍의 베벨기어부를 내재하는 하우징; 세정수단과 착탈가능하며, 상기 피동베벨기어부의 타단에 형성된 회전축;을 포함하여 구성된 구동수단에 있어서;
상기구동수단에는,
상기 회전축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윤활유 공급수단;과,
상기 회전축 둘레에 구성되어 물의 침투를 저지하는 패킹을 압박하는 패킹 압박수단;과,
회전축의 일단이 금속수단;으로 형성된 것과,
내부로 침투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수단;과,
세정구를 둘러싼 세정구 보호수단;과,
손잡이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수단;과,
세정구가 탈부착되는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타운동구수단이 결합되는 결합수단;을 형성한 것과,
손을 걸어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손걸이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정장치에서, 상기 윤활공급수단은, 회전축 내부에 형성된 윤활유저장소;와 상기 윤활유저장소에서 회전축 외부로 공급되게 하는 공급통로;가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으며,
또한, 상기 윤활유저장소로 급유하는 급유구는 회전축의 말단에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정장치에서, 상기 패킹압박수단은 구동수단에서 세정구 측의 회전축 둘레에 삽입된 엔드플레이트;인 것에 특징이 있으며,
또한, 상기 엔드플레이트는 그 외주면이 크기가 다른 큰 원주와 작은 원주의 2단으로 형성된것에 특징이 있으며,
나아가,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큰 원주의 외주면에는, 체결을 위한 나사가 형성되고 세정구측의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단면에는 걸어 돌리기 위한 걸개수단; 이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으며,
또한, 상기 걸개수단은 공구를 걸어 돌리기 위한 구멍;인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패킹압박수단은, 마모된 패킹을 교체하기 위한 보수용 마개;를 겸하는 것에 특징이 있으며,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정장치는, 상기 구동수단 내의 회전축에서 패킹이 감싸고 있는 회전축의 둘레는 금속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금속재는 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금속재는 스테인레스스틸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정장치는, 상기 배수수단은 구동수단 일측에 형성되어,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을 막는 마개;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으며,
또한, 상기 관통공은 구동수단 내부를 점검하거나 베벨기어부에 점유하기 위한 점검공;을 겸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정장치에서, 상기 세정구 보호수단의 일측에는 세정구를 둘러싼 커버;와 상기 커버의 구동수단측에는 구동수단과 착탈가능한 결합이 되는 결합부재;가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으며,
한편 상기 세정구 보호수단은 커버에서 물이 쉽게 빠져나가도록 하는 유수공;이 더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정장치는,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안내관의 외주면에 배치된 손잡이;와 상기 안내관의 일단에 구성되되, 안내관과 손잡이의 사이에서 손잡이의 길이를 조절 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외주면의 일단에 걸림수단을 형성한 원통; 및 내측에는 상기 원통과 통하는 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원통의 양 단부의 둘레에 형성되되, 2개가 나란히 그 중심들이 원통의 중심에 대해 편심되도록 형성된 원반들을 구성한 드럼형수단과; 상기 원통의 외주면에서 회전가능하며, 일단의 끝단 내지는 양단의 끝단에는 상기 걸림수단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중심에는 편심된 구멍은 형성하고, 일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링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링수단은 그 단면이 초승달 형태와 같이 중앙의 호로부터 양끝단으로 점차 좁아지는 링; 인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링수단은 그 단면이 중앙의 호가 좁고 양끝으로 가며 점차 넓어지는 링 인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손잡이와 안내관이 함께 고정되게 하는 고정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손잡이 외주면의 일단에 구성되는 클램프; 상기 클램프와 인접한 손잡이 외주면의 일단에는, 상기 클램프가 손잡이 외주면에서 상호 힌지 가능하도록 클램프와 손잡이 외주면에 각각 힌지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클램프는, 일단에 형성된 레버;와 상기 클램프의 타단에는 안내관과 접지되도록 형성된 접지부;와 상기 클램프의 중간단의 일단에는 힌지용 핀홀;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나아가, 상기 고정수단은, 손잡이 외주면의 일단에 구성되되, 일단에 형성되는 레버; 및 상기 레버의 타단에는 안내관을 걸어서 고정하기위해 형성된 걸기부재; 및 중간단은 힌지부재가 형성된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의 힌지부재와 함께 힌지가능하도록 손잡이의 일단에 형성된 힌지부재;와 상기 클램프의 걸기부재가 안내관 측으로 미는 힘이 가해지도록 클램프와 손잡이 사이에 구성되는 스프링;과 안내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걸기부재가 안내관에 걸려 고정되게 하는 걸림구멍;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나아가,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안내관;과 안내관 외주면에 배치되는 손잡이;가 모두 호 형상;으로 굽어지고, 상기 손잡이가 제2유연축수단측으로 안내관을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한 것을 더 포함하여 형성된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정장치에서, 상기 결합수단은, 단면이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원통형의 외주면에는 타운동구수단과 탈부착 체결을 위한 체결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손걸이수단은,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손을 걸기 위한 손걸개;와 일단에는 상기 손걸개가 걸리는 걸림수단을 형성하고 타단은 구동부에 착탈가능한 복수개의 취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에 특징이있으며,
또한, 상기 손걸개는 다측면에 길이 조절후 고정을 위한 고정수단이 형성된 밴드수단;인 것에 특징이 있으며,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밴드수단의 다측면에 형성된 벨크로;인 것에 특징이 있으며,
나아가, 상기 취부수단의 걸림수단은 상기 밴드의 양 끝단이 관통하는 관통공;을 형성한 것에 특징이 있으며,
나아가, 상기 취부수단은 구동부의 손잡이부에 착탈가능하게 취부하도록 다측면에 벨크로를 착설한 밴드;인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정장치에서, 상기 자동세정장치의 구동수단내의 베벨기어는, 구동베벨기어와 피동베벨기어의 두중심축의 내각이 예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정장치는, 상기 회전수단 및 중계수단의 일단과 회전수단과 중계수단을 연결하는 상기 제1유연축수단을 매설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자동세정장치는, 일측면에 개구부를 형성하며 회전수단을 내장하는 회전수단 매설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에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나아가, 상기 회전수단 매설박스의 일측에는 전선이 지나는 구멍;과 타측에는 제1유연축수단과 연결하기 위한 통로;와 회전수단 매설박스의 개구부 둘레와 회전수단의 다측간에는 각각 상호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정장치는, 일측면에 개구부를 형성하며 중계수단을 내장하는 중계수단 매설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으며,
또한, 상기 중계수단 매설박스의 일측에는, 제1유연축수단과 연결하기 위한 통로;와 상기 중계수단 매설박스의 개구부의 둘레와의 다측간에는 각각 상호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정장치는, 제1유연축수단을 내장 및 안내하기 위해, 상기 회전수단 매설박스와 중계수단 매설박스 사이를 내부 통로로 연결하는 안내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으며,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정장치는, 상기 회전수단 매설박스와 안내관과 중계수단 매설박스와의 상호간에는 상호 연결을 고정되게 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정장치에서, 상기 세정수단은, 세정부위가 피부 곡선라인에 따라 밀착도를 높이기 위해 오목한 형태인 것에 특징이 있으며,
또한, 상기 세정수단은, 회전축 결합면의 반대편 쪽에 솔;이 이식된 것에 특징이 있으며,
또한, 상기 세정수단은, 상기 회전축의 반대편 쪽에 스펀지;가 이식된 것에 특징이 있으며,
또한, 상기 세정수단은, 상기 회전축의 반대편 쪽에 수세미;가 이식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자동세정장치는 상기 구동수단에 인접배치되어 외부 수도전의 물을 분출하는 분출수단 및 수도전의 물을 상기 분출수단에 전달하기 위한 물 공급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분출수단은 출구부가 상기 세정수단측을 향하며, 상기 손잡이부에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정장치는 사용자와 먼 거리에 설치된 전기에 의해 작동되는 회전수단을 리모콘이나 중계수단에 형성된 스위치로 작동시켜 회전운동을 생성하고 생성된 회전운동을 제1유연축수단, 중계수단, 제2유연축수단과 구동수단의 순서로 전달하여서, 구동수단에 전달된 회전운동이 구동수단 의 회전축을 구동시키면 회전축의 일단에 연결되는 세정수단이 회전운동하게 되어 사용자가 직접 손을 사용할 필요없이 회전하는 세정수단을 몸에 접촉만 하여도 안전하고도 편리하게 자동목욕 및 세정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세정수단은 착탈가능하므로 원하는 목욕작업에 따라 솔, 스펀지, 수세미 등이 이식된 세정수단을 선택하여 상기 구동수단의 회전축에 결합하여 사용하면 보다 쉽게 원하는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벽에 착설하거나 일측을 매설설치하는 회전수단은, 전기모터로 회전운동을 생성하여 전달하되 회전수단내 구성된 다중전달수단에 의해 회전수단 외측 다수방향으로 전달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좌측 또는 우측 또는 상부측 등 자유로이 배치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회전수단의 회전운동을 전달받는 유연축수단은, 제1유연축수단과 제2유연축수단으로 나뉘어지고 그 사이는 회전운동을 연결하는 중계수단에 구성되므로, 벽에 착설된 회전수단과 구동수단이 상호 멀리 배치되더라도 제1유연축수단과 중계수단은 벽에 착설하고, 구동수단이 연결된 제2유연축수단은 자유롭게 움직임이 가능하므로, 유연축수단이 길더라도 제 2유연축수단에 자유로이 연결된 구동수단만을 들고 핸들링하여 신체세정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2유연축수단의 끝단에는, 회전운동을 전달받으며 동시에 중계수단과 착탈가능한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가 구성된 커넥터수단이 형성되어, 중계수단과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구동하는 세정수단을 강제로 잡아 세우려 하거나 제2유연축수단이 지 나치게 꼬아지는 등 회전운동의 전달이 저지당할 때,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므로 모터의 보호를 위해서 커넥터수단 내에는 공회전수단이 구성되어서, 어느 한계 이상의 힘으로 회전운동이 방해를 받게되면 공회전수단 내에 구성된 공회전유발수단이 작동하게 되어 전달되는 회전운동이 단락되고 공회전으로 전환되어, 제2유연축수단과 세정수단의 회전이 정지되고 모터는 계속 회전하여 과부하 발생을 막아주는 것이다.
또한, 벽에 착설 또는 일부 매설되어 제1유연축수단의 회전운동을 제2유연축수단으로 연결 및 전달하는 중계수단은, 제2유연축수단과 손쉽게 착탈이 가능하므로 상호 분리하거나 중계수단의 회전운동을 이용하여 타 목적의 운동수단도 구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유연축수단인 스프링은 금속스프링을 사용하거나, 또는 절연체인 수지스프링을 사용하여 더욱 전기 안전도를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1유연축수단과 제2유연축수단의 내에 구성된 스프링의 양끝의 일단에 형성되는 걸림수단은, 자체를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하여 회전운동을 전달받거나 전달할 때 회전운동의 걸림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수단의 회전운동 전달 끝단부와 중계수단의 회전운동 전달 입수부와 전달부의 끝단은 상기 사각형의 걸림수단을 접속하여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정장치는, 상기 구동수단은 유연축수단을 안내하는 안내관; 상기 안내관을 통하여 안내된 유연축수단의 회 전운동을 전달받는 구동베벨기어부; 및 상기 구동베벨기어에 의해 연동하는 피동베벨기어부; 상기 한쌍의 베벨기어부를 내재하는 하우징; 세정수단과 착탈가능하며, 상기 피동베벨기어부의 타단에 형성된 회전축;을 포함하여 구성된 구동수단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에는,
상기 회전축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윤활유공급수단;과,
상기 회전축 둘레에 구성되어 물의 침투를 저지하는 패킹을 압박하는 패킹압박수단;과,
회전축의 일단이 금속수단;으로 형성된 것과,
내부로 침투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수단;과,
세정구를 보호하는 세정구 보호수단;과,
손잡이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수단;과,
세정구가 탈부착되는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타운동구수단이 결합되는 결합수단;을 형성한 것과,
손을 걸어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손걸이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다음과 같이 더 편리하고 유용하게 사용된다.
상기 구동수단 내의 회전축 둘레에서 물의 침투를 막는 패킹의 부위에는, 윤활유를 지속 공급해주는 윤활유저장 및 공급장치가 형성되어 있어, 구동수단을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회전축부와 패킹사이의 장기간 지속적인 윤활기능을 도우며 동시에 지속적인 방수 기능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 내에서 회전축의 장기 구동으로 회전축 둘레의 패킹이 마모될 경우 패킹의 교체 빈도수를 적게하기 위한 것으로서, 즉각적인 패킹 교체를 안하고도 패킹압박수단을 회전 전진시켜 패킹에 압박을 가하면 탄성고무 재질의 패킹이 밀리게 되어 밀린 패킹의 일단이 회전축에 더욱 밀착되어 방수성을 높여 패킹의 수명을 연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에서, 구동수단 내에 패킹과 접하는 일단의 회전축 둘레에는 스테인레스스틸관을 구성하여, 패킹과 회전축과의 마찰시 회전축의 마모 내구성을 높이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축이 구동하는 구동수단에서, 회전축 둘레의 패킹 마모나 여타의 이유로 구동수단 내부로 물이 스며들면 내부의 베벨기어 어셈블리 등의 구동에 방해가 되므로, 구동수단을 분해하여 배출하지 않고도 구동수단 일측면에 안밖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배수수단을 통하여 간단히 물을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에서, 장착된 세정구의 회전중에 사용자가 구동수단을 잠시 바닥에 놓더라도, 회전하는 세정구 둘레에 유격을 두고 설치된 세정구 보호수단에 의해서 세정구보호수단과 구동수단 일측만 바닥에 닿고 회전하는 세정구는 바닥에 닿지 않게 된다. 또한 회전하는 세정구의 측면이 사용중 피부에 스치는 것을 방지해 주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에서, 평소에는 구동수단의 손잡이를 짧게 사용하는 것이 핸들링하기 쉬우나, 등 부위와 같이 손이 잘 닿지 않는 부위의 세정 작업시 손잡이길이를 늘리기 위해 손잡이를 제2유연축수단 연결방향으로 당겨서 늘인 후 고 정시키면 손잡이가 길어져서 등 부위도 쉽게 닿게되어 등의 세정도 쉽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의 회전축의 회전운동을 이용하며 회전축 둘레의 구동수단에 타운동수단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수단을 구성하여, 타운동구수단을 회전축과 결합수단에 결합하여 사용하면 회전축의 회전운동이 타운동구수단에 전달된다. 예를들어, 타운동구수단의 일측에는 맛사지를 위한 돌기들을 형성하고, 내측에는 회전축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회전운동을 진동운동으로 변환하는 편심추를 구성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에 마사지 내지는 안마효과를 낼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에서, 손걸이수단을 손에 걸고서 구동수단을 잡고 사용하면 보다 구동수단을 확고히 잡을 수 있고, 손에서 놓치더라도 손걸개에 의해 쉽게 손에서 떨어지지 않게 되며 손을 놓고서도 손등 만으로도 구동수단이 손에 위치하게 되어 손에 힘이 없거나 손의 사용이 불편한 사람에게도 사용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내의 구동베벨기어와 피동베벨기어의 두 중심축의 내각이 예각이 되면, 구동베벨기어의 일직선 연장선 둘레에 구성된 손잡이와 피동베벨기어의 연장선 끝단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세정수단도 함께 각각의 중심축이 예각을 이루어, 손을 어깨너머로 올려 등의 세정시에 등과 세정수단 접지면의 접지가 보다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회전수단 및 중계수단의 일단과 제1유연축수단을 벽에 매설하면, 욕실 공간으로 돌출 설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미관적으로도 바람직할 뿐만 아니라 전기적으로 보다 더 안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세정수단을 몸에 접촉 세정시, 접촉면을 최대한 넓게 하기 위해 솔, 스펀지, 수세미 등 세정구의 세정면을 오목하게 형성하면, 외측으로 둥근 형태를 이루는 피부라인에 보다 더 밀착성을 높이므로 세정효율을 더욱 높이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도전의 물을 분출하는 자동세정장치는 신체세정, 욕실소제, 의류부분세탁등 여러 가지 작업을 수행하면서 작업시 필요한 물을 별도의 물호스나 샤워기를 구비할 필요 없이 자체적으로 공급하므로서, 세정 및 소제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정장치를 욕실에 설치한 사시도로서, 회전운동을 생성하는 전기모터를 내장하고 벽에 착설된 모터하우징(1); 상기 모터하우징내의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스프링1이 내장된 제1유연축(3); 상기 제1유연축(3)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타 방향으로 전달하기 위해 베벨기어가 내장된 중계기(5); 상기 중계기(5)와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중계기(5)의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스프링2가 내장된 제2유연축(7); 착탈가능한 세정구(8);가 포함되고 상기 제2유연축(7)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상기 세정구(8)를 회전시키는 구동부(9);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진다.
상기 제2유연축(7)의 중계기(5)측의 끝단에는, 중계기(5)와 착탈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회전운동을 직접 전달받는 커넥터(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부(9)의 인근 벽에는 상기 모터하우징(1) 내의 전기장치부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리모콘(12)과 리모콘 케이스(13)가 착설되어 있다. 제1유연축(3)의 일단에는 제1유연축(3)을 벽에 고정하는 고정부재(4)가 구성되어 진다.
상기 구동부(9)에는 제2유연축(7)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한 손잡이(10)가 형성되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정장치를 샤워부스에 설치한 또 다른 사시도로서, 도 1의 사시도와는 반대로 모터하우징(1)을 우측에 배치하고, 제1유연축(3)과 중계기(5), 제2유연축(7) 및 구동부(9)가 좌측에 구성되어 진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정장치의 모터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모터하우징(1)의 후측에는 벽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재(15)가 독립되어 구성되며 부착부재(15)의 일측에는 모터하우징(1)의 후면을 걸기위한 걸기부재(16)가 형성되어져 스크류(17)와 앵커(18)를 이용하여 부착부재(15)를 벽에 고정하고, 걸기부재(16)에 모터하우징의 후면을 걸어 모터하우징(1)을 벽에 고정한다. 또한 모터하우징(1)의 일측면은 내장된 모터의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제1유연축(3)이 연결되어 진다.
도 3b는 도 3a의 3-3선 단면도로서, 회전운동을 생성하는 모터(19); 상기 모터의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모터측 기어1(20); 상기 모터측 기어1(20)의 회전을 전달받는 기어2(21);와 기어2(21)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전달축1(22); 상기 회전전달 축1(22)의 다단에는 회전운동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송출가능하도록 하는 기어들(24,29)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면에서 모터하우징(1)내에 구성되는 기타 전기장치의 도면은 생략한다.
상기 회전전달축1(22)의 다단의 둘레에는 베어링(25a,25b)이 삽입되어 회전전달축1(22)의 원활한 회전을 도우며 상기 베어링(25a,25b)의 둘레에는, 베어링을 취부하며 회전수단 내면에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재(26a,26b)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전달축1(22)의 일단에는 제1유연축(3)의 끝단의 일단이 사각형으로 형성된 사각형 스프링(27)이 끼워지고 또한 걸려서 회전을 전달하는 사각형 구멍(31c)이 형성된 접속구(28a)가 구성되어 진다.
상기 회전전달축1(22)의 중간단에는 회전운동을 타방향으로 전달하는 구동베벨기어(29)가 구성되어 있으며, 인근에는 상기 구동베벨기어(29)와 연동하는 피동베벨기어(30)가 있으며, 피동베벨기어(30)의 타단에는 끝단이 사각형으로 형성된 사각형 스프링이 끼워져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사각형 구멍(31a)이 형성된 접속구(28b)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전달축1(22)의 타단에는 회전운동을 또 다른 타방향으로 전달하는 구동기어(24)가 구성되어 있다. 인근에는 상기 구동기어(24)에 연동하는 피동기어(23)가 있으며 피동기어(23)의 중심부에는 회전전달축2(32)가 함께 회전하며, 회전전달축2(32)의 일단의 끝단에는 끝단이 사각형으로 형성된 사각형 스프링(27)이 접속되어 회전운동을 전달하기 위해 사각형의 구멍(31b)이 형성된 접속구(28c)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전달축2(32)의 외주면에는 회전전달축2(32)의 회전을 돕는 베어링(25c, 25d)이 구성되고 베어링(25c, 25d)의 둘레에는 베어링(25c,25d)의 외주면을 취부하고 하우징에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재(26c,26d)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다수방향으로 모터의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접속구들(28a,28b,28c)중 선택하는 방향의 접속구만 사용하고 사용치 않는 접속구에 연결되는 기어들은 작동소음의 저감을 위해 제거하거나 기어의 이가 닿지 않도록 인근으로 옮겨 놓을 수 있게 된다.
모터하우징(1)에서 다수개의 접속구(28a,28b,28c)가 마주하는 모터하우징(1) 부위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유연축(3)과의 연결구(33a,33b,33c)가 있으며, 사용되지 않는 상기 연결구(33a,33b,33c)들에는 연결구가 막혀있도록 상기 연결구(33a,33b,33c)의 나사산과 맞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한 마개(34a,34b)가 구성되어 진다.
도 3c는 도 3a의 또 다른 3-3선 단면도로서, 본 단면도는 도 3b와 달리 하나의 회전전달축1(22)을 사용하여 상기 회전전달축1(22)의 양 끝단과 중간단을 이용하여 회전운동을 제1유연축(3)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회전운동을 생성하는 모터(19); 상기 모터(19)의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모터측 기어1(20); 상기 모터측 기어1(20)의 회전을 전달받는 기어2(21);와 기어2(21)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전달축1(22); 상기 회전전달축1(22)의 양 끝단에는 회전운동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송출가능하도록 하기위해 제1유연축(3)의 사각형스프링1(27)부가 끼워지는 사각형구멍(31a, 31b, 31c)이 형성된 접속구(28a,28b,28c)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전달축1(22)의 중간단에는 도 3b와 마찬가지로 회전운동을 타 방향으로 전달하는 구동베벨기어(29)와 피동베벨기어(30) 및 피동베벨기어(30)의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접속구(28b)가 구성되고, 상기 접속구(28b)를 모터하우징(1) 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부재(26e)등의 사항들은 도 3b와 같이 구성된다.
도 4a는 스프링이 구성된 제1유연축을 도시한 부분 생략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4-4선 단면도이다.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같이, 유연한 중공의 관1(39)과 그 관1(39)의 양 끝단의 둘레에는 모터하우징(1) 및 중계기(5)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1(35a)와 연결부재2(35b)가 구성되고, 상기 관1(39)의 내부에는 양끝단의 일단이 사각형으로 형성된 스프링1(36)이 삽입되어 구성된다.
상기 관1(39)은 스프링이 삽입되는 라이너관(41)과 이 라이너관(41)을 편조하여 피복한 내층(42)과 이 내층(42)을 피복한 고무재의 외층(43)으로 구성되며, 이 관1(39)의 양 끝단부에는 라이너관(41)과 내층(42)과 외층(43)을 함께 고정하는 내부링(44b)과 외부링(44a)의 한 쌍으로 된 고정부재(44)가 있으며, 또한 모터하우징(1)의 모터 및 전기장치를 중계기(5)에 구성된 스위치(도면 미도시)로 조정할 경우에는, 전기장치와 스위치를 연결하는 전선1(37)을 외층(43)과 내층(42) 사이에 배치할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전선1(37)은 관1(39)의 일단에서 외층(43)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하여 점선과 같이 전선2(38)로 대신 배치할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35a)과 연결부재2(35b)의 외주면과 내주면에는 각각 모터하우징(1) 및 중계기(5)와 연결 고정하기 위한 나사산(40a,40b)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1(36)의 양 끝의 일단은 사각형스프링1(27)으로 형성되어 별도의 추가부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모터의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접속구(28a)로부터 회전운동을 전달 받을때 걸리기 용이하며, 또한 전달받은 회전운동을 중계기(5)로 전달할 때 잘 걸리게 되며, 상기 관1(39) 내의 스프링1(36)의 외주면과 라이너관(41)의 내주면 사이에는 윤활제가 칠해져서 상호 마찰력을 최소화 한다.
도 5는 중계기와 구동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2유연축을 도시한 부분 단면 절개 사시도이다. 중공의 관2(46); 상기 관2(46)의 양 끝에는 중계기(5)와 구동부(9)에 연결하기 위해 연결부재3(35c)과 연결부재4(35d)가 구성되고, 상기 관2(46)의 내부에는 양끝단의 일단이 사각형스프링2(48)로 형성된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스프링2(47)가 삽입 구성되며, 또한 상기 제2유연축(7)의 중계기(5)측의 끝단에는 중계기(5)와 착탈 가능하여 중계기(5)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제2유연축(7)으로 전달하는 커넥터(6)가 더 구성되어 있다. 상기 관2(46)는 스프링2(47)가 삽입되는 라이너관(41)과 이 라이너관(41)을 편조하여 피복한 내층(42)과 이 내층(42)을 피복한 고무재의 외층(43)으로 구성된다. 또한 관2(46)의 외주면에는 가요관(45)으로 구성된다. 상기 관2(46)의 양끝단부에는 라이너관(41)과 내층(42)과 외층(43)과 가요관(45)을 함께 고정하는 고정부재(44)가 내부링(44a)과 외부링(44b)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결부재3(35c)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커넥터(6)와 연결되며, 또한 커넥터(6)를 제거하고 중계기(5)에 직접 연결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스프링2(47)의 양 끝단의 일단은 사각형스프링2(48)으로 형성되어 회전운동을 전달받을 때 또는 전달할 때, 사각형 구멍의 접속부에 잘 걸리어 전달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사각형스프링2(48)의 내부공간에는 사각형의 금속막대(도면 미도시)가 사각형스프링2(48)과 함께 압착되어 구성되어, 사각형스프링2(48)의 측면 강도를 보강해 준다.
도 6a는 도 5의 중계기의 일단과 연결된 커넥터 및 커넥터와 연결된 일단의 제2유연축을 도시한 5-5선 단면도 및 부분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a와 도 6b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커넥터(6)는 엘보형 하우징(57)의 일단의 외주면에 커넥터(6)를 중계기(5)와 착탈가능하게 하며 그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부재5(35e)가 구성되며, 중계기(5)측의 끝단에는 중계기(5)의 회전운동을 전달받는 단면이 사각형인 사각형막대(58a)가 구성되며 반대쪽 타단에는 구동베벨기어 어셈블리(53)와 구동베벨기어(54)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베벨기어 어셈블리(53)는 그 일단의 외주면에 베어링(25c,25d)이 구성되어 커넥터(6) 내주면에서 공전하게 된다.
상기 구동베벨기어(54)에 연동하는 피동베벨기어(56)의 하단부에는 외주면에 베어링(25c,25d)이 구성되고, 하단중심 내측에는 회전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사각형의 구멍(도면 미도시)이 형성된 피동베벨기어 어셈블리(55)가 형성되며, 상기 피동베벨기어 어셈블리(55)와 제2유연축(7) 연결부의 중간에는 공회전유발장치(59a)가 구성되어서, 피동베벨기어(56)의 회전이 제2유연축(7)의 스프링2(47)으로 전달이 되는 중에, 스프링2(47) 자체 또는 스프링2(47)의 회전을 전달받는 구동부(9)의 세정구(8)가 외부 힘에 의해 방해힘을 받아서, 강제적으로 회전운동이 일정이상의 힘으로 간섭을 받게 되면, 공회전유발장치(59a)가 작동되어 회전운동의 전달을 끊고 전달된 회전운동은 공회전유발장치(59a)내의 일단에서 공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도 7은 도 6a와 도 6b에 도시된 공회전유발장치에서, 공회전을 유발하는 돌 기들이 상하방향으로 배열된 공회전유발장치1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7a는 공회전유발 돌기들이 상하로 배열된 공회전 유발장치의 확대 분해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공회전유발장치1의 조립된 단면도이다. 도 7a와 도 7b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분과 하부분이 한 쌍으로 되어 구동전달부재1(60)과 피동전달부재1(61)로 구성된 공회전 유발장치1(59a)에서, 상부 구동전달부재1(60)은 중심에 위치한 사각형 막대(58b)가 피동베벨기어 어셈블리(55)의 사각형구멍(31)(도 6a 참조)에 끼워져서 회전운동을 전달받으며, 사각형 막대(58b)의 하단은 사각형 막대(58b)가 중심부에 수직되게 위치하는 원반1(6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반1(65)의 다수곳에는 상하로 탄성 가능한 다수개의 탄성편(6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편(66)의 끝단에는 걸기 위한 돌기1(67)이 하방향으로 형성되어진다.
상기 구동전달부재1(60)의 원반1(65)의 하부에는 상기 원반1(65)의 회전운동을 전달받는 피동전달부재1(61)로서, 상기 원반1(65)의 탄성편(66)의 돌기1(67)들에 걸리기 위한 다수개의 돌기2(70)들을 일렬로 원형으로 형성한 원반2(71)와 상기 원반2(71)의 상부 가장자리 둘레에는 상기 구동전달부재(60)의 원반1(65)을 담는 원통(69)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통(69)의 내주면 다수곳에는 상부의 원반1(65)이 빠져 나오지 않게 걸림턱(6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반2(71)의 하단에는 중심에 하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사각형의 구멍(72)이 형성되어 제2유연축(7)의 스프링2(47)의 끝단에 형성된 사각형스프링(48)(도 6a와 도 6b 참조)이 끼워져 상기 원반2(71)의 회전운동이 스프링2(47)로 전달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회전유발장치1(59a)에서 상부 구동전달부재1(60)로부터 피동전달부재1(61)로의 회전운동전달은 구동전달부재1(60)측의 돌기1(67)과 피동전달부재1(61)측의 돌기2(70)가 서로 맞물림으로써 전달되는 것이며, 회전운동 전달중에 피동전달부재1(61) 이하에 구성된 제2유연축(7)의 스프링2(47) 및 구동부(9)의 세정구(8)에서 회전운동을 방해하는 작용, 즉 예를 들어 제2유연축(7)이 꽈배기형태로 꼬이거나 회전중인 세정구(8)를 손으로 잡아 억지로 멈추는 것과 같이 회전운동의 전달이 어느 한계 이상의 방해힘을 받을 때, 상기 상부의 돌기1(67)들과 하부의 돌기2(70)들이 서로 걸리므로서 회전운동을 전달하다가 어느 한계 이상의 회전운동 방해힘이 제2유연축(7) 이하에서 발생하면, 상기 구동전달부재1(60)측의 돌기1(67)가 형성된 탄성편(66)이 위로 밀어올려지며, 이어서 탄성력에 의해 탄성편(66)이 다시 내려오려 하며 또 다시 상하측 돌기1(67)과 돌기2(70)들끼리 걸리다가 탄성편(66)이 위로 밀려 올라가는 연속적인 작동이 발생하면서 공회전운동이 유발된다.
도 8a 내지는 도 8c는 도 6a와 도 6b에 도시된 공회전유발장치에서 공회전을 유발하는 돌기들이 수평으로 배열된 공회전 유발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8a는 공회전유발 돌기들이 수평으로 형성된 공회전유발장치의 확대 분해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공회전유발장치의 조립된 단면도이고,
도 8c는 도 8a의 공회전 유발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a와 도 8b와 도 8c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분과 하부분이 한 쌍으로 구동전달부재2(82)와 피동전달부재2(83)로 구성된 상기 공회전유발장치2(59b)의 상부 구동전달부재2(82)는, 중심에 위치한 사각형의 막대(58)가 커넥터(6)(제6a도 참조) 내에서 피동베벨기어 어셈블리(55)의 사각형 구멍(31)에 끼워져서 회전운동을 전달받으며 사각형의 막대(58) 하단에는 사각형 막대(58)와 수직되는 원반(7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반(74)의 수평 측 외주면의 다수곳에는 수평으로 원반(74)의 중심 반대편으로 탄성가능한 다수개의 탄성편(7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편(77)의 끝단 외측에는 걸기위한 돌기3(76)이 형성되어진다. 상기 원반(74)의 하부에는 상기 원반(74)의 회전운동을 전달받는 피동전달부재2(83)로서 상기 원반(74)의 돌기3(76)에 걸리도록 하는 다수개의 돌기4(80)를 내주면에 형성한 원통(79)이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원통(79)의 내주면 다수곳에는 상부 원통이 빠져 나오지 않도록 걸림턱(7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통(79)의 하단에는 중심에 개구부가 하방향으로 형성된 사각형구멍(72)이 형성되어 제2유연축(7)의 스프링2(47)의 끝단에 형성된 사각형스프링(48)(도 6a와 도 6b참조)이 끼워져 상기 원반(74)의 회전운동이 스프링2(47)으로 전달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회전유발장치2(59b)는, 상부 구동전달부재2(82)에서 피동전달부재2(83)로의 회전운동전달은 구동전달부재(82) 측의 돌기3(76)들이 피동전달부재(83) 측의 돌기4(80)들과 서로 맞물리어 전달되는 것이며, 회전운동 전달 중 피동전달부재(83) 이하 제2유연축(7)의 스프링2(47) 또는 세정구(8)에서 회전운동의 전달이 억지로 방해를 받게 되면 상기 구동전달부재2(82)측 돌기가 형성된 탄성편(77)이 원반(74) 중심방향(75)으로 밀려 움직이며 다시 탄성력으로 원상 복구되어 중심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며 다시 마주하는 돌기3(76)과 돌기4(80)들끼리 걸리다가 탄성편(77)이 원반 중심 방향으로 밀려 움직이고 다시 복원되고, 이런 연속작동이 발생하면서 공회전운동이 유발되는 것이다.
도 9a 내지는 도 11c는 상기 제1유연축의 회전운동을 상기 제2유연축으로 전달시키는 중계기를 구성품의 종류 및 설치방법에 따라 구분한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a는 중계기(5)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중계기(5)의 케이싱(86)의 외측면의 좌일측면에는 상기 제1유연축(3)의 끝단부와 연결을 위하여 원통형 연결부재(89a)가 형성되며, 그 외주면에는 제1유연축(3)의 연결부재(35b)와 고정을 위한 나사산(90a)이 형성되어지며, 원통형 연결부재(89a)의 중심부 케이싱(86)에는 제1유연축(3) 끝단의 사각형스프링1(27)이 관통되도록 하는 관통공(91a)이 형성되어 진다. 또한 연결부재(89a) 내부 또는 좌측면의 일단에는 중계기(5)에서 모터하우징(1)의 모터(19)(도 3b 참조)를 제어하기위한 전선1(37) 또는 전선2(38)가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된다.
중계기(5)의 전면부에는 상기 제2유연축(7)의 커넥터(6)의 일단과 연결을 위하여 원통형 연결부재(89b)가 형성되며 그 외주면에는 커넥터의 연결부재(35e)와 고정을 위한 나사산(90b)이 형성되어지며 원통형 연결부재(89b)의 중심부 하우징에는 관통공(91b)이 형성되어 커넥터(6) 끝단의 사각형 막대(58a)가 이 관통공(91b)에 삽입되어 중계기(5)로부터 회전운동을 전달받는다.
상기 전면부 연결부재(89b)의 내주면에는 좌우 대칭으로 평행한 수직으로 된 평면(87)이 형성되는데 이는 커넥터 일단에 형성된 수직의 평면(88)(도 9b 참조)이 긴밀히 삽입되어 좌우 움직임이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케이싱(86) 전면부의 상단에는 방수형 스위치(49)가 구성되어 좌측면으로 들어오는 전선1(37) 또는 전선2(38)에 연결되어져, 상기 스위치(49)로 모터(19)를 제어한다.
케이싱의 우측면에도 좌측면과 동일 연결부재(89c)가 형성되어지며(도 9b 참조), 이는 제1유연축(3a)을 우측에서도 연결가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우측의 연결부재(89c)에도 커넥터(6)을 연결하여 회전운동을 전달받을 수도 있다. 중계기는 하방향으로 개구부를 형성한 케이싱과(86)과 상기 케이싱(86)을 밑에서 받치는 받침(93)으로 구성되며 케이싱(86) 후면은 벽부착을 위한 벽부착부재(85)가 구성되어진다.
도 9b는 도 9a의 중계기의 단면도이고, 도 9c는 도 9b의 상기 중계기의 분해사시도로서, 도 9b와 도 9c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중계기(5)에는 제1유연축(3)과 제2유연축(7)의 커넥터(6)가 연결되어 있으며, 중계기(5)의 케이싱(86) 내에는, 제1유연축(3)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제2유연축(7)측의 커넥터(6)로 전달하는 베벨기어(96a,96b,98) 및 베벨기어 어셈블리(95a,95b,97)가 내장되어지며, 상기 베벨기어 어셈블리(95a,95b,97)가 케이싱(86)내에서 공전할 수 있게 하는 고정부재(94a,94b,94c)가 함께 내재되어 진다. 상기 베벨기어 및 베벨기어 어셈블리는 구동베벨기어(96a,96b) 및 구동베벨기어 어셈블리(95a,95b) 와 피동베벨기어(98) 및 피동베벨기어 어셈블리(97)로 구성되어진다.
구동베벨기어 어셈블리(95a,95b)의 일단에는 구동베벨기어(96a,96b)가 형성 되고, 중간단의 외주면에는 베어링(99)이 구성되며, 타단의 끝단에 위치하는 접속구(92a,92b)에는 제1유연축(3) 끝단의 사각형 스프링1(27)이 삽입되는 사각형구멍(101a,101b)이 형성되어지며, 피동베벨기어 어셈블리(97)의 일단에는 마찬가지로 상기 구동베벨기어(96a,96b)에 연동하는 피동베벨기어(98)가 형성되고 중간단의 외주면에는 베어링(99)이 구성되며 타단의 끝단에 위치하는 접속구에는 중심에 사각형 구멍(101c)이 형성되며, 회전운동을 전달받는 커넥터(6)의 사각형 막대(58a)가 상기 사각형 구멍(101c)에 끼워져서 중계기(5)의 회전운동을 커넥터(6)가 전달받고 이어 제2유연축(7)으로 전달되어진다.
고정부재(94a, 94b, 94c)는 상기 중계기(5)내에서 상기 베벨기어 어셈블리(95a,95b,97)를 공전 가능하게 하는 내삽부재(107)와 상기 내삽부재(107)를 케이싱 내면에 부착시키는 부착부재(108)로 구성된다. 상기 내삽부재(107)는 상기 베벨기어 어셈블리(95a,95b,97)를 삽입하는 구멍이 형성되며 부착부재(108)의 저면둘레에는 케이싱의 저면에 구성되는 받침(93)과 스크류(109)로 체결하기 위한 너트구멍(102)이 형성되어진다.
도 9d와 도 9e는 중계기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9d는 구동베벨기어어셈블리와 피동베벨기어어셈블리를 하나의 고정부재에서 연결가능하게 하는 중계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9e는 도9d의 중계기를 도시한 9-9선상 단면도이다.
도 9d와 도 9e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중계기(5)의 케이싱(86) 내에는 제1유연축(3)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제2유연축(7)의 커넥터(6)로 전달하는 구동베벨기어어셈블리(95a,95b)와 피동베벨기어어셈블리(97)가 내장되어지며, 상기 구동베벨기어어셈블리(95a,95b) 및 피동베벨기어어셈블리(97)가 케이싱(86) 내에서 공전할 수 있게 하되, 하나의 일체형 고정부재(111)에 내재되어 회전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86) 내 저면에 육면체 형상의 일체형 고정부재(111)가 구성되어, 좌우측면과 저면에 구동베벨기어어셈블리(95a,95b) 및 피동베벨기어어셈블리(97)가 공전가능하게 삽입되는 관통공(116a, 116b, 116c) 이 형성되며, 일체형 고정부재(111)의 상면 중심부의 수직 구멍(118)내에서 각 구동베벨기어(96a, 96b)와 피동베벨기어(98)가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전달하게 된다.
회전운동의 전달은 도 9b 및 도 9c와 동일하게 제1유연축(3)이 구동베벨기어어셈블리(95a 또는 95b)의 사각형구멍(101a 또는 101b)에 접속되어 구동베벨기어어셈블리(95a 또는 95b)를 회전시키고 이에 연동하여 피동베벨기어어셈블리(97)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피동베벨기어어셈블리(97)의 사각형구멍(101c)에 커넥터(6)의 사각형막대(58a)를 접속시켜 커넥터(6) 및 제2유연축(7)으로 회전운동을 전달하게 된다. 일체형 고정부재(111)의 후면에는 일체형 고정부재(111) 내측으로 통하는 후면구멍(114)과 구멍을 막는 마개(113)가 구성되며, 상기 후면구멍(114)은 상부의 수직구멍(118)과 연결되며, 상기 후면구멍(114)은 구동베벨기어어셈블리(95a,95b) 및 피동베벨기어어셈블리(97)의 부분조립 또는 점검용으로 사용되어 진다.
또한 수직구멍(118)을 덮는 덮개(112)가 상면위에 구성된다.
도 9f는 중계기(5)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중계기의 고정부재가 수평의 2단으로 분할된 중계기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중계기(5) 케이싱(86)의 하부에 구동베벨기어어셈블리(95a, 95b)와 피동베벨기어 어셈블리(97)를 공전가능하게 베어링(99)만 안착하는 긴 홈(120a, 120b, 120c)이 형성된 안착부재(122)가 구성되고, 상기 안착부재(122)의 위측에는 아래 안착부재(122)를 덮는 상단덮개(123)가 구성되는데 이 상단덮개(123)의 하부측에도 안착부재(122)와 같은 긴 홈[121a,121b,121c(미도시)]이 형성되어져, 하부의 안착부재(122)의 긴 홈위에 구동베벨기어어셈블리(95a,95b)와 피동베벨기어어셈블리(97)를 구성하고 그 위를 상단덮개(123)로 덮어 구동베벨기어어셈블리(95a,95b)와 피동베벨기어어셈블리(97)를 고정하며 동시에 공전가능하게 하여 회전운동을 전달한다. 또한 상부의 상단덮개(123)에는 수직구멍(118)이 형성되어 이 수직구멍(118)을 통하여 베벨기어(96a,96b,98)를 점검 내지는 점유할 수 있다. 하부의 안착부재(122)와 상부의 상단덮개(123)는 상단덮개(123)위에 구성된 긴 스크류(124)와 하부의 너트(103)에의해 고정되어 진다.
도 10a는 중계기의 또다른 예로서, 회전운동을 수직으로 전달받아 수평으로 전달하는 중계기의 측 단면도이고, 도 10b는 회전운동을 수직으로 전달받아 수평으로 전달하는 중계기가 매립 설치된 자동세정장치의 사시도이다.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중계기(5)는 모터하우징(1)을 욕실 상부 또는 천정위(129)에 설치하고,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제1유연축(3)을 모터하우징(1) 바로 밑으로 수직으로 배치하여 중계기(5)에 연결하며, 중계기(5)내에 수직으로 삽입된 구동베벨기어어셈블리(95a) 및 구동베벨기어(96a)와 이에 연동하는 수평으로 삽입된 피동베벨기어(98) 및 피동베벨기어어셈블리(97)를 회전운동시켜서 상기 피동베벨기어어셈블리(97) 사각형구멍(101c)에 컨넥터(6)의 사각형막대(58a)를 끼워서 회전운동을 제2회전축(7)과 구동부(9)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중계기(5)의 경우, 구동베벨기어어셈블리(95a)의 베어링은 수직 하중용 베어링(126)이 선택되어진다. 또한 상기 중계기(5)는 케이싱(86) 자체가 각 베벨기어어셈블리(95a,97)의 고정부재가 되어진다.
도 11a 내지는 도 11c는 회전운동을 일직선상으로 전달하는 또 다른 중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도 11a는 일직선상으로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중계기의 사시도이고,
도 11b는 일직선상으로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중계기의 상 단면도이고,
도 11c는 일직선상으로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중계기가 수직으로 설치된 자동세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a, 도 11b, 도 11c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중계기(5a)의 양단에는 제1유연축(3) 및 커넥터(6)와 회전운동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89d,89e)가 형성되고, 케이싱(86a) 내부 저면(도면 미도시)에는, 일직선상으로 회전운동을 전달하기 위해, 양 끝단의 중심 내측으로는 제1유연축(3)의 끝단의 사각형스프링1(27)과 커넥터(6)의 사각형막대(58a)가 끼워지는 사각형 구멍을 가진 접속구(92d,92e)가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는 베어링(99)이 구성되어 고정부재(132) 내에서 자전하도록 구성된 롤러(131)가 중계기(5a)내에 구성되어 진다.
도 11c와 같이 욕실의 천정위(129)에 모터하우징(1)을 설치하고 제1유연축(3)을 수직으로 연결하며, 제1유연축(3)의 하부 말단에는 회전운동을 일직선으로 전달하는 중계기(5a)를 설치하고, 중계기(5a) 밑에는 커넥터(6a)가 구성되되 상기 커넥터(6a)에는 베벨기어 및 베벨기어어셈블리가 제거되고 공회전유발장치만 구성되고(도 6a 참조), 제2유연축(7)을 연결하여 구동부(9)로 회전운동이 전달되어 진다.
도 12는 제1유연축의 스프링의 양 끝단 내지는 일 끝단에 형성된 사각형스프링1(27)(도 4a, 도 4b 참조)의 기능을 대신하기 위해 원형의 스프링1(36)끝단부에 구성되는 다각형의 팁부재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2a는 제1유연축의 스프링1의 끝단에 사각형의 팁부재가 구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b는 제1유연축의 스프링1의 끝단에 사각형의 팁부재가 구성된 것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c는 제1유연축의 스프링1의 끝단에 사각형의 팁부재가 구성된 것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12d는 사각형의 팁부재가 구성된 제1유연축이 모터하우징에 연결된 것을 도시한 부분 절개 측단면도이다.
도 12a, 도 12b, 도 12c, 도 12d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각형 팁부재(134)의 일단에는 외주면에 나선형홈을 형성하여 상기 나선형홈이 스프링1(36)의 내주면의 나선형홈을 따라 회전하는 삽입부(138)가 형성되고, 타단은 모터하우징(1)내의 회전전달축(22)의 끝단에 구성된 접속구(28a)의 사각형구멍에 끼워져 회전운동을 전달받는 사각형막대(136)로 형성되며, 중간단의 외주면에는 상기 삽입부(138)가 스프링1(36)내로 나선형홈을 따라 회전하면서 삽입될때 어느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걸리게 하는 걸림턱(137)이 형성되어 진다.
삽입부(138)가 스프링1(36)내로 회전하면서 다 삽입된 후에는, 삽입부(138)가 스프링1(36)내에서 회전에 의해 빠져 나오지 않게 하기 위해, 사각형막대(136) 둘레를 지나며 삽입되되 그 내주면에는 상기 스프링1(36)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되는 나선형홈을 형성한 고정관(135)이 스프링1(36)의 외주면을 회전하면서 끼워지게 되며, 끼워진 상태의 상기 고정관(135)의 사각형막대(136)측의 내주면 끝단에는 상기 사각형막대의 걸림턱(137)에 걸려 더 이상 스프링1(36)의 외주면으로 삽입되지 않게하는 고정관 내주면턱(139)이 형성되어 진다.
상기 고정관(135)은 사각형팁부재(134)가 스프링1(36)에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게하며, 또한 고정관이 삽입된 사각형팁부재(134)는 삽입된 고정관(135)의 외주면을 방울렌치(drop wrench)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고정관(135)의 외주면에 추가로 압박을 가하면, 금속재의 고정관(135)이 내측으로 압축되어 조여지게 되어서, 사각형팁부재(134)와 스프링1(36)의 결속이 더 견고해 진다.
도 13a 내지는 도 20은 구동부에 관해 도시한 것이다.
도 13a는 구동부(9)의 확대 사시도로서, 구동부(9)에 착탈 가능한 세정구(8) 및 세정구(8)의 원반부(141)를 둘러싼 세정구커버(142)와 길이조절이 가능한 손잡이(10)와 하단에는 제2유연축(7)이 연결되어진다.
도 13b는 세정구커버를 제거하고 손잡이를 슬라이드 신장시킨 구동부의 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10)가 안내관(164)을 따라 슬라이드하면서 제2유연축(7) 측으로 길어진 구동부(9)는 손이 잘 닿지 않는 등의 세정시에 잘 닿도록 하기위해 사용된다.
도 13c는 구동부의 종단면도이고,
도 13d는 도 13c의 구동부의 분해사시도로서,
도 13c와 도 13d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터하우징(1), 제1유연축(3), 중계기(5) 순서로 전달받은 회전운동을 구동부(9)에 전달하는 제2유연축(7)을 구동부(9) 내부로 안내하는 안내관(164); 상기 안내관(164)을 통하여 제2유연축(7)의 회전운동을 전달받는 구동베벨기어어셈블리(160) 및 구동베벨기어(161)와 이에 연동하는 피동베벨기어(150)및 피동베벨기어어셈블리(149); 상기 한쌍의 베벨기어어셈블리(160,149) 를 내재하는 하우징(151); 세정구(8)와 착탈가능하며 피동베벨기어어셈블리(149)의 타단에는 하우징(151)의 내측과 외측으로 지나며 일체로 형성된 회전축(144);을 포함한 구성으로 되어있다. 상기 구동베벨기어어셈블리(160) 및 피동베벨기어어셈블리(149)의 중간단의 외주면에는 베어링(147a, 147b, 147c 147d)가 구성되어 하우징(151)의 내측면에서 공전하게 되어진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정장치의 구동부(9)에는,
하우징(151a) 내측의 회전축을 둘러싼 패킹(146)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윤활 유저장소(158);와
하우징(151a) 내측의 회전축 둘레에 구성되어 회전축의 방수를 돕는 패킹(146)을 압박하는 패킹압박 엔드플레이트(145);와
패킹(146)과 마찰되는 회전축의 둘레에 구성되는 스텐레스스틸관(159);과
구동부 내부(152)로 침투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공(153); 및 배수공(153)을 막는 마개(154);와
세정구(8)의 일단을 둘러싼 세정구커버(142);와
길이조절이 가능한 손잡이(10);와
세정구(8)가 탈부착되는 회전축 둘레의 하우징에 맛사지구가 결합되는 타운동구 결합부재(175);와
손을 걸어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손걸이부재(230)(도 19참조);가 더 구성되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구동부(9)의 하우징(151a)내에 구성된 회전축(144) 내부에는 윤활유저장소(158)가 형성되어있으며, 또한 상기 윤활유저장소(158)에서 회전축(144) 외주면으로 공급되게 하는 통로(148)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윤활유저장소(158)로 급유하는 급유구(156)는 하우징(151a) 외측으로 돌출된 회전축(144) 봉의 끝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급유구(156)를 착탈가능하게 막는 급유구마개(155)가 함께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윤활유저장소(158)의 윤활유는 통로(148)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통로(148)를 둘러싼 패킹(146)측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윤활유는 천천히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점성이 있는 페이스트형태의 윤활유가 바람직하게 된다. 또한 저장 소내에는 윤활유가 보다 더 지속적으로 천천히 공급되도록 섬유제로 된 흡유재(157)가 구성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에서 구동부(9)의 세정구(8)측 회전축(144) 둘레에는, 구동부(9) 내측으로 삽입되어 회전축(144) 둘레에 구성되어 외부의 물 침투를 막는 패킹(146)을 압박하는 엔드플래이트(End Plate)(145)가 구성되는데, 엔드플래이트(145)의 외주면은 큰 원주와 작은 원주의 2단으로 형성된 원통형으로서, 큰 원주의 외주면에는 체결을 위한 나사홈(162)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의 잠김방향은 회전축(144)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게하여 회전축이 회전하더라도 그 진동으로 엔드플레이트(145)가 풀리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큰 원주의 외주면과 맞닿는 하우징(151a)의 내주면에도 나사홈이 형성되고, 엔드플래이트(145)의 일단에는 공구를 걸어서 엔드플래이트(145)를 돌리기 위한 회전구멍(171)이 있으며, 상기 엔드플래이트를 구동부 내측 방향으로 전진 회전시키면 상기 작은 원주의 측부가 고무재질의 패킹(146)을 밀어 압박하게 되므로, 압박받아 밀린 패킹(146)은 그 압력으로 밀려서 하우징(151a)내의 회전축(144)의 외주면에 더 밀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엔드플래이트(145)는 회전축(144) 둘레에 꼭 끼워진 패킹(146)이 장시간 사용시 윤활유의 윤활작용에도 불구하고 회전축(144)의 회전으로 인해 패킹(146)의 내주면이 마모되므로 하우징(151a) 외부의 물이 패킹(146)과 회전축(144)의 틈새로 침투하게 된다. 이 때 패킹(146)을 교체하지 않고도 엔드플래이트(145)를 하우징(151a) 내측방향으로 회전 전진시켜서 엔드플레이트(145)의 일측으 로 패킹(146)을 압박하여 그 압력으로 패킹이 밀림으로써 고무재질의 밀린 패킹(146)이 회전축 외주면에 더 밀착하게 된다. 엔드플레이트의 반대쪽 패킹(146)에는 와셔(172b)와 베어링(147a)이 막고 있어서, 패킹(146)이 더 이상 밀리지 않도록 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물의 침투를 막게 되므로 패킹(146)의 즉각 교체없이도 패킹의 수명을 더 연장해서 쓸 수 있는 것 이다.
나아가 상기 구동부(9) 회전축(144)에서 패킹(146)을 감싸고 있는 일단의 회전축의 둘레는 스텐레스스틸관(159)으로 구성되어 회전축(144)과 패킹(146)의 마찰로부터 회전축(144)의 마모를 최소화하게 된다. 이는 회전축(144) 전체를 플라스틱재로 사용하면 패킹(146)과의 마찰로 회전축의 마모가 발생하고, 회전축(144) 전체를 금속으로 하는 것보다 무게를 감소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구동부(9) 하우징(151)의 일단에는 회전축(144) 둘레의 패킹(146) 마모로 인해, 내부에 침투한 물을 빼내기 위해 하우징(151,151a)을 분해하지 않고도 간단히 하우징(151)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배수공(153)을 통하여 배출이 가능하다. 상기 배수공(153)에는 마개(154)가 구성되며 배수공(153)과 마개(154)가 닿는 양측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분리할 수도 있고 결합을 견고히 하게도 한다.
또한 배수공(153)은 베벨기어(150,161) 인근에 배치하여, 베벨기어(150,161)를 점검내지는 원활한 회전을 위해 윤활유를 점유하는 점검공의 기능도 가능한 구조이다.
또한 상기 마개는 투명한 재질로 되어 마개를 열지 않고도 하우징(151) 내부 에 침투된 물을 관찰할수도 있게 된다.
나아가 세정구(8)의 세정면 반대측에서 세정구(8)의 일측을 둘러싼 세정구커버(142)에는 하우징(151a)의 일단과 착탈가능한 다수개의 돌기형 결합부재(170)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착탈이 가능하며, 또한 세정구커버(142)의 결합부재(170)와 체결이 되도록 하우징(151a)의 외주면의 다단에도 L자형의 요홈을 가진 세정구커버 결합부재(177)가 형성되어 진다.
또한 세정구(8)의 일측을 둘러싼 오목한 형태의 세정구커버(142)는 세정구(8)가 부착된 구동부측을 위 방향으로 향했을 때, 오목한 세정구커버(142) 안측으로 고여지는 물이 쉽게 빠져나가도록 세정구커버(142)의 다수곳에는 유수공(143)이 형성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세정구커버(142)는 세정구(8)를 회전작동하면서도 잠시 바닥에 놓을지라도 회전하는 세정구(8)가 바닥에 스치는 일이 없게 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세정모가 식모되어 있는 세정구 원반(141) 측면이 피부에 스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세정구(8)가 부착된 구동부(9)를 떨어뜨리거나 하는 등의 충격을 주었을때, 세정구(8)가 측면으로 충격을 받게되면 세정구(8)가 결속되어 있는 회전축(144) 및 회전축(144)의 연장부인 베벨기어(150,161)에도 좋지않은 영향을 주게되므로, 이를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된다.
도 14a 내지는 도 15b는 도 13c와 도 13d의 손잡이길이 고정장치(165a)를 도시한 것으로서, 구성품의 종류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4a는 도 13c와 도 13d에 도시된 손잡이길이 고정장치의 확대 분해도이고,
도 14b는 도 14a의 손잡이이길이 고정장치가 조립되어 안내관과 손잡이 사이에 구성된 것을 도시한 조립도로서, 도 13d와 도 14a, 도 14b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안내관(164)의 하단부 외주면에 구성되는 손잡이길이 고정장치(165a)의 내주면에는 도 13d에 도시된데로 안내관(164) 하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손잡이길이 고정장치(165a)와의 고정용돌기(184)(도 13d 참조)에 맞춰 함께 고정되는 안내관(164)과의 고정홈(185)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손잡이길이 고정장치(165a)를 받쳐서 고정되게 하는 고정링(186)(도 13d 참조)이 받치고 있으므로 손잡이길이 고정장치는 안내관(164) 하단부에 고정되어 진다.
손잡이길이 고정장치(165a)의 드럼형부재(192)의 상하에 편심되며 평행으로 형성된 원형테두리1(196)과 원형테두리2(197)는 손잡이(10) 내주면의 직경보다 약간 작으며, 드럼형부재(192)의 외주면(195)에 구성되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끝단이 좁은 링(191)의 중앙 넓은호(193) 부분의 외측면만 손잡이(10) 내주면에 일부 닿아진다. 따라서 구동부(9) 또는 안내관(164)을 한손으로 잡아 고정하고 다른손으로 손잡이(10)를 잡아 오른쪽으로 돌리게 되면, 손잡이(10) 내주면과 링(191)의 중앙 넓은호(193)가 접촉마찰로 링(191)이 따라 돌면서 링(191)의 중앙 넓은 호(193) 부분의 외측면과 드럼형부재(192)의 편심된 외주면의 마찰이 증대 되면서, 링(191)의 외주면이 손잡이(10) 내주면과 드럼형부재(192)의 외주면사이에 끼게 되어 그 압박으로 고정되어지며, 반대로 풀기 위해서는 안내관(164)을 고정하고 손잡이(10) 를 왼쪽으로 돌리게 되면 드럼형부재(192)의 외주면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턱(198)에다 링(191)의 일단에 형성된 돌기(194)가 닿으면서 링(191)의 회전이 멈추고 상호 꼭 끼어진 압박도 풀리어진다. 상기와 같이 압박이 풀리었을 때는 손잡이(10)가 안내관(164) 외주면 둘레에서 자유로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으며, 원하는 위치에서 다시 손잡이(10)를 돌리면 손잡이(10)와 안내관(164)이 함께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10)를 원하는 길이 만큼 안내관(164)을 따라서 제2유연축(7)측으로 늘인후 손잡이(10)를 돌리면 손잡이(10)와 안내관(164)이 손잡이길이 고정장치(165a)에 의해 함께 고정이 되어 구동부(9) 전체길이가 길어지는 것이다.
도 15a는 도 13d의 손잡이길이 고정장치에서 끝단이 넓은링을 구성한 손잡이길이 고정장치(165b)의 또 다른 확대 분해도이고,
도 15b는 도 15a의 손잡이이길이 고정장치(165b)가 조립되어 안내관과 손잡이 사이에 구성된 것을 도시한 조립도로서,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드럼형부재(192)는 도 14a 및 도 14b와 같으며 드럼형부재(192)의 외주면에 구성되되, 일측에 개구부를 형성되며 양 끝단의 단면이 넓고 점차 중앙의 호로 가면서 좁아지는 형태의 끝단이 넓은 링(200)도 그 작동 매커니즘이 도 14a, 도 14b와 비슷하여, 손잡이(10) 내주면에 닿아 따라도는 링(200)의 넓은 호 부분(201)이 드럼형부재(192)의 편심된 외주면부에 오른쪽 회전방향으로 가까이 접근하게 되면, 링의 넓은 호 부분(201)이 드럼형부재(192)의 외주면과 손잡이(10)의 내주면에 강한 압박을 받게되어 꼭낀 형태가 되어 손잡이(10)가 고정되고, 반대방향으로 풀게되면 압박이 풀리어 손잡이(10)가 상하로 자유로이 이동이 되는 것이다.
도 16은 호 형태의 안내관 및 손잡이에 클램프1이 구성된 또 다른 손잡이길이 고정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6a는 손잡이 길이를 줄이고 클램프로 고정한 구동부의 사시도이고,
도 16b는 손잡이 길이를 늘이고 클램프로 고정한 구동부의 사시도이고,
도 16c는 구동부의 손잡이와 클램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완만한 곡선으로 휘어진 호형 안내관(164a)의 외주면에 구성된 호형 손잡이(10a) 외주면의 일단에는 클램프1(203)이 구성되고, 클램프1(203)이 인접한 호형 손잡이(10a)의 외주면의 일단에는 상기 클램프1(203)이 손잡이 외주면에서 상호 힌지 가능하도록, 클램프1(203)과 손잡이(10a) 외주면에 힌지부재2(202)와 힌지부재1(209)이 형성되어 진다. 클램프1(203)의 일단에는 안내관(164a)과 접지되도록 돌출된 접지부(205)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안내관(165a)과 힌지 가능하도록 손가락으로 작동시키는 레버(204)가 형성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레버(204)를 레버운동방향(205)과 같이 하방향으로 내리면 레버(204)의 타단에 위치한 접지부(205)가 안내관(164a)과 끼이게 되어 안내관(164a)과 손잡이(10a)가 함께 고정되어진다.
상기 손잡이(10a)의 힌지부재1(209)은 클램프1(203)의 핀홀(210)과 연결되는 한 쌍의 핀걸이 턱(2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걸이 턱(211)의 사이는 틈(206)이 형성되어 그 틈(206)새로 클램프1(203)이 회전 가능하며 안내관(164a)과 접지가 가능하도록 된다.
도 17은 손잡이에 또 다른 클램프가 구성된 손잡이길이 고정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7a는 클램프에 구성된 스프링의 탄력으로 손잡이를 고정하는 손잡이길이 고정장치를 도시한 부분 생략 사시도이고,
도 17b는 제17a도의 손잡이길이 고정장치를 분해 도시한 부분 사시도로서,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손잡이(10b) 외주면에 구성되는 클램프2(212)의 중간단과 손잡이 외주면의 일단에는 상호 힌지부재1(209) 와 힌지부재3(214)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클램프2(212)의 하단에는 레버(215)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안내관(164b)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개이며 안쪽이 막힌 걸림구멍(217)에 걸기위한 걸기부재(213)가 형성되며, 클램프2(212)의 힌지부재3(214) 내측에는 상기 클램프2(212)의 걸기부재(213)가 안내관(164b)의 걸림구멍(217)으로 지속적으로 힘을 가하도록 하는 스프링(216)이 구성되어지며, 클램프2(212)의 힌지부재3(214)과 손잡이(10b)의 힌지부재1(209)과 스프링(216)을 관통하는 핀(207)이 구성되어진다. 손잡이(10b)에 형성된 힌지부재1(209) 사이에는 틈(206)이 형성되어 걸기부재(213)가 안내관의 걸림구멍(217)에 자유로이 닿도록 구성된다.
손잡이(10b)가 안내관(164b) 외주면에서 좌우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고 일직선상으로만 상하운동을 하도록 안내관(164b)의 외주면과 손잡이(10b)의 내주면에는 긴 돌출부로된 안내부재(218)가 형성되어진다.
도 16a 및 도 16b와 같이 도 17a 및 도 17b도 안내관(164b)과 손잡이(10b)가 호 형상으로 굽어지게 할 수도 있으며, 안내관(164b) 및 손잡이(10b)가 함께 굽어져서 안내관(164b)을 따라 손잡이(10b)를 늘이게 되면, 등의 세정작업시 세정구(8)의 세정면이 보다 더 쉽게 등에 접촉된다.
도 18a는 맛사지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8b는 도 18a의 맛사지구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8a와 도 18b를 도 13c와 도 13d의 하우징(151a)에 형성된 타운동구 결합부재(175)와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정구(8)가 탈부착되는 회전축(144) 둘레의 하우징(151a)에 맛사지구(221)가 결합되는 결합부재(175);가 더 구성되어진다. 상기 원통형의 결합부재(175) 외주면에는 맛사지구(221)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착탈 가능한 L자형 홈의 체결부재(176)가 형성되어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한다.
맛사지구(221)에는 L자형홈에 대한 돌기형의 체결부재(223)가 있어 이를 L자형홈에 끼워 약간 돌려 체결함과 동시에 구동부(9)의 회전축(144)도 상기 맛사지구(221)의 회전축 삽입구(224)에 삽입되어 진다.
상기 맛사지구(221)의 구동부측면의 중심에는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축(144)의 회전운동을 전달받기 위한 회전축 삽입구(224)와, 회전축 삽입구(224) 반대측인 맛사지구 내측에는 삽입구로부터 전달받은 회전운동으로 회전하는 맛사지구(221)의 운동구회전축(225)이 구성되며, 운동구회전축(225)의 끝단에는 회전시 진동을 일으키는 편심추(222)가 구성되어 운동구회전축(225)의 회전에 의해 진동이 발생된다. 상기 진동은 맛사지구의 피부접촉면인 돌기부(228)에 전달되어 돌기부 (228)를 피부에 접촉시켜 얼굴 미용 맛사지 내지는 피부 맛사지를 할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맛사지구(221)는 운동구 회전축(225)의 회전운동을 더 빠르게하여 편심추(222)에 의한 진동을 더 크고 강하게 하면 안마구로도 사용이 가능하여 진다.
도 19a는 손걸이부재가 구성된 구동부의 사시도이고,
도 19b는 손걸이부재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손바닥면은 손잡이(10)를 잡고 손등은 손걸개(231)에 걸리게 되며, 상기 손걸개(231)는 손잡이(10) 외주면과 손잡이(10) 인근의 하우징(151)의 일단에 구성된 손잡이 취부밴드1(232)과 손잡이(10) 하단의 외주면에 구성된 취부밴드2(233)의 일측에 각각 걸리게 된다. 상기 손걸개(231)의 일단은 상기 손잡이 취부밴드2(233)에 고정되고, 타단은 또 다른 손잡이 취부밴드1(232)에 형성된 관통공(234)을 통과하여 손걸개(231)의 다면에 형성된 벨크로(235)에 붙임으로서 사용자의 손의 크기에 따라서 옮겨 붙이는 벨크로(235)의 위치를 이동하여 손걸개(231)의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손잡이 취부밴드1(232)과 취부밴드2(233)는 자체에 형성된 벨크로1(236)과 벨크로2(237)에 의해서 손잡이(10) 내지는 하우징(151)의 인근 둘레에 착탈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필요시 부착하여 손걸이부재(230)를 사용하고 불필요시 떼어내고 구동부(9)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손걸이부재(230)는 팔의 힘이 약한 노인이나 손의 사용이 불편한 장애자에게 특히 필요하게 된다.
도 20은 구동부내의 베벨기어의 두축의 내각이 예각인것을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구동베벨기어(161)와 피동베벨기어(150)의 두 중심축의 내각이 예각(239)이 되면, 구동베벨기어(161)의 연장선인 손잡이(10)와 피동베벨기어(150)의 연장선인 세정구(8)의 중심도 따라서 예각(239)이 되어서, 하우징(151)의 일단이 손잡이(10)와 구부러진 형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구동부(9)의 손잡이(10)를 늘인 후, 손잡이(10)를 손으로 쥐고 어깨너머로 등의 세정시 손을 등뒤로 덜 넘기거나 또는 손을 적게 올리고도 세정구(8)의 세정면(240)이 등에 보다 더 용이하게 접촉되어 진다.
도 21 내지는 도 24는 자동세정장치를 각 부분별로 벽에 매설 설치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자동세정장치를 벽에 매설 설치한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모터하우징(1) 및 중계기(5)의 일단과, 모터 하우징(1)과 중계기(5)를 연결하는 제1유연축(3)을 내부로 안내하는 안내관(241)을 매설 설치함으로써, 욕실내의 돌출을 최소화하여서 모터하우징(1)에 대한 전기 안전도를 더욱 높일 뿐만 아니라 미관상으로도 더 단순하게 된다. 또한 모터하우징(1)의 전기장치를 유선으로 제어하는 스위치(242)를 욕조 인근의 벽에 부분 매설하고, 상기 스위치(242)와 모터하우징(1)과 연결되는 전선도 안내관1(243)을 통하여 매설할수 있게 된다.
도 22는 모터하우징을 벽에 내설하는 모터하우징 매설박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22a는 모터하우징을 내설하는 모터하우징 매설박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이고,
도 22b는 도 22a의 모터하우징 매설박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2c는 도 22a의 모터하우징 매설박스를 매립한 투시도이다.
도 22a, 도 22b, 도 22c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터하우징 매설박스(245)의 일측에는 전기를 공급받기 위한 전선이 지나는 전선유입구(246);와 타측에는 제1유연축(3)을 안내하는 안내관(241)이 지나는 통로1(250);이 있으며, 통로(250) 안쪽에는 상기 안내관(241)을 모터하우징 매설박스(245)에 고정되게 하는 안내관 체결너트1(251)이 구성된다. 모터하우징 매설박스(245)의 개구부 둘레와 모터하우징(1)의 다측간에는 상호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1(248)과 고정부재2(247)가 형성되어진다. 상기 고정부재1(248)과 고정부재2(247)는 스크류(105)와 체결이 되는 스크류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모터하우징 매설박스(245)의 하부에는 욕실내 물청소 등과 같은 작업시 침투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252)가 형성되어진다.
도 23은 중계기를 내설하는 중계기 매설박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23a는 중계기를 내설하는 중계기 매설박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3b는 중계기를 내설한 중계기 매설박스를 매립한 투시도이다.
도 23a와 도 23b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중계기 매설박스(254)의 일측에는 제1유연축(3)을 안내하는 안내관(241)이 지나는 통로2(257)가 형성되며, 통로2(257) 안쪽에는 상기 안내관(241)을 중계기 매설박스(254)에 고정되게 하는 안내관 체결너트2(258)가 구성된다. 상기 중계기(5)의 중계기 매설박스(254)의 개구부 둘레에는 각각 상호 고정하기위한 고정부재3(255)과 고정부재4(256)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3(255)과 고정부재4(256)는 스크류(105)와 체결되는 스크류구멍이 형성되어지며 스크류(105)에 의해서 중계기 매설박스(254)와 중계기(5)가 함께 고정되어진다.
도 24는 모터하우징 매설박스와 중계기 매설박스 사이의 제1유연축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관을 도시한 부분 생략 사시도로서, 상기 모터하우징 매설박스(245)와 중계기 매설박스(254)의 일단을 벽에 매설하고 그 매설된 사이를 제1유연축(3)보다 큰 구경의 안내관(261)을 배치하여, 안내관(261) 내부를 통하여 제1유연축(3)을 배치 연결되어진다. 각 모터하우징 매설박스(245)와 중계기 매설박스(254)와 안내관(261)의 고정은 안내관(26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형홈(262)과 이에 체결되기 위해 각 매설박스(245, 254) 안쪽에 구성되는 안내관 체결너트1(251)과 체결너트2 (258)에 의해 고정되어진다.
도 25는 다양한 세정구의 세정면이 오목한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5a는 세정면 중심 내측으로 오목한 형태의 부러시 세정구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25b는 세정면 중심 내측으로 오목한 형태의 스펀지 세정구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25c는 세정면 중심 내측으로 오목한 형태의 수세미 세정구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5a, 도 25b, 도 25c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은 오목한 솔세정구(263), 오목한 스펀지세정구(264), 오목한 수세미세정구(265)는 세정구의 피부 접지면(266)이 중심을 향하여 완만한 곡선의 오목한 형태를 하므로, 이에 맞닿는 피부 곡선라인에 보다 더 넓은면이 접촉되므로, 접지면이 평평한 세정구보다 피부 세정작업시 보다 더 효과적인 세정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26은 물공급이 가능한 자동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26a는 물 분출이 가능한 자동세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6b는 도 25a의 구동부(9a)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6c는 도 26a의 구동부(9a)를 부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6d는 도 26a의 수도전으로부터 물 공급관(274)과 제2유연축(7)의 연결부를 도시한 확대 종 단면도로서, 도 26a, 도 26b, 도 26c, 도 26d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단이 벽에 매설된 회전운동을 생성하는 모터하우징(1); 상기 모터하우징(1)의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제1유연축(3); 상기 제1유연축(3)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제2유연축(7)으로 전달하며 일단이 벽에 매설된 중계기(5); 중계기(5)의 회전운동을 세정구(8)가 장착된 구동부(9a)로 전달하는 제2유연축(7); 상기 구동부(9a)의 일측 하단에 형성되며, 수도전(270) 물을 외부로 분출하는 다수개의 분출공(280)을 가진 분출구(269); 상기 분출구(269)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제2유연축(7) 내부관의 일단에 배치되는 물 공급관(274); 상기 외부의 수도전(270)과 연결된 물 공급관(274)을 제2유연축(7) 내부로 안내하기 위해 제2유연축(7)의 일단에 구성되는 T자 관(275);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물 공급관(274) 배치의 일실시예로서, 수도전 배출구(273)와 샤워수 배출구(272)를 함께 형성한 수도전(270)에서, 샤워수 배출구(272)에 물 공급관(274)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물 공급관(274)은 제2유연축(7) 일단에 구성된 T자관(275)의 일측을 통해 가요관(45)으로 둘러싸인 제2유연축(7)의 외층(43)과 나란히 배치되며, T자관(275) 내에서 물 공급관(274)은 L자형피팅(287)에 연결되어 하방향으로 이어진다.
제2유연축(7)의 가요관(45)내에 배치된 물 공급관(274)은 스프링2(47)를 둘러싼 외층(43)과 나란히 구동부(9a)측으로 향하며, 물 공급관(274)은 손잡이부(10)의 일단에 연장되어 구성된 분출구케이싱(284)의 분출구 어셈블리(278)로 연결되어 수도전의 물을 분출구(269)의 분출공(280)으로 분출하며, 손잡이(10)의 역할을 겸하는 분출구케이싱(284) 상부의 사각형스프링2(48)은 구동베벨기어어셈블리의 접속구(188)(도 13c 참조)에 형성된 사각형구멍(189)에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전달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정장치의 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모터하우징(1)에 전기를 공급하는 플러그는 항상 콘센트에 끼워져 있어서, 리모콘(12)이나 중계기(5)에 구성된 스위치(49)로 모터하우징(1)을 작동할 수 있도록 대기상태가 되어 사용자가 언제든지 리모콘(12)이나 중계기(5)의 스위치(49)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자동세정장치로 목욕을 할 때는 먼저 구동부(9)를 들고, 구동부(9)의 돌 출된 회전축(144)에 세정구(8)를 끼운다. 전신 내지는 세정하고자 하는 몸의 부위에 물을 묻힌 후 세정구(8)의 세정면(240)에 바디샴푸를 묻히거나 또는 세정면(240)에 물을 묻힌 후 비누를 비벼서 묻힌다. 이어서 리모콘(12) 또는 중계기(5)의 스위치(49)로 작동 버튼을 눌러 모터하우징(1) 내의 모터(19)를 작동시키면 모터(19)가 회전운동을 하여 모터측 기어1(20)과 그 인근의 기어2(21)를 회전시켜 회전전달축1(22)을 회전시키며, 전달된 회전운동은 회전전달축1(22)의 일단에 연장되어 연결된 접속구(28a 또는 28b 또는28c중의 하나)에 연결된 제1유연축(3) 내의 스프링1(36)으로 회전운동을 전달시킨다.
이때 회전전달축1(22)의 다수곳에 구성되어 외측 다수 방향으로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기어들 (29,30,24,23) 중에서 사용되지 않는 방향의 기어들은 작동소음의 감소를 위하여 제거 또는 위치를 옮겨 기어들이 닿지 않게 한다.
제1유연축(3)내의 스프링1(36)의 회전운동은 이어진 중계기(5)내의 구동베벨기어 어셈블리(95a 또는 95b)의 접속구(92a 또는 92b)에 전달되어 구동베벨기어(96a 또는 96b)를 회전시키고, 이에 연동하여 피동베벨기어(98)를 회전시키며 피동베벨기어 어셈블리(97)의 접속구(92c)를 통하여 제2유연축(7) 측의 커넥터(6)로 회전운동을 전달하며, 전달된 회전운동은 제2유연축(7) 내의 스프링2(47)를 통하여 이어진 구동부(9)로 전달되어 구동부(9)의 구동베벨기어 어셈블리(160)의 접속구(188)로 전달되어 구동베벨기어(161)와 이어 연동하는 피동베벨기어(150) 및 피동베벨기어 어셈블리(149) 를 회전시키고 피동베벨기어 어셈블리(149)의 일단에 연장되어있는 회전축(144)을 회전시켜, 상기 회전축(144)의 외부로 돌출된 회전축(144) 에 끼워지는 세정구(8)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 때 리모콘(12)이나 중계기(5)의 스위치(49)에 다양하게 있는 모터속도조절 버튼 중 사용자에게 적절한 회전속도 버튼을 선택하여 작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세정제를 묻힌 회전하는 세정구(8)로 피부 위를 접촉하여 서서히 이동시키면, 회전하는 세정구(8)가 피부와의 마찰로 인해 비누거품을 생성하면서, 피부위에 있는 땀, 지방, 노화된 각질피부와 먼지 등을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세정작업 후에 물로 세정부위를 씻어내면 적은 힘으로도 자동 목욕작업이 되는 것이다. 작업이 끝난 후에는 마찬가지로 리모콘(12)이나 중계기(5)의 스위치(49)부에 있는 정지 버튼을 눌러 모터하우징(1)의 모터(19)를 멈추게 한다.
또한 구동부(9)의 세정구(8) 측에 착탈가능하게 구성된 세정구커버(142)는, 사용 중 회전하는 세정구(8)의 원반(141) 측면부가 몸에 스치는 일을 막아주며, 또한 구동부(9)를 바닥에 떨어뜨려서 세정구(8)의 측면부가 충격을 받더라도 세정구(8)가 끼워진 회전축(144) 및 회전축(144)의 연장부인 구동부 내측의 연결부들을 보호해 주게 된다. 상기 세정구커버(142)는 사용자가 원치않을 때에는 손쉽게 돌려서 제거할 수도 있다.
또한 등과 같이 손이 잘 닿지 않는 부위는 구동부(9)의 하단에 있는 손잡이(10)를 제2유연축(7)측으로 잡아서 늘리고, 손잡이길이 고정장치(165a 또는 165b 또는 203 또는 212)로 고정시켜서 구동부(9)의 길이를 길게하면 쉽게 등의 목욕도 할 수 있게된다.
상기와 같은 구동부에는 브러쉬, 스펀지, 수세미가 부착된 세정구(8)를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선택한다.
또한 세정구(8)의 원반(141)에 부착되거나 식모되는 세정재질이나 세정모의 탄성도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세정구(8)의 회전속도를 270∼350RPM정도로 하면 세정구(8)로부터 비누거품이나 물도 거의 튀지 않으며 자동 목욕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자동세정장치는 구동부(9)에 착탈가능한 손걸이부재(230)가 구성되어 진다. 사용자가 필요시 손걸이부재(230)에 구성된 손잡이취부밴드1(232)과 손잡이취부밴드2(233)를 손잡이(10) 또는 손잡이(10) 인근의 하우징(151)의 일단에다 감싸 고정하고, 구성된 벨크로(236, 237)로 고정하며 두 손잡이취부밴드1(232)과 손잡이취부밴드2(233)를 연결하는 손걸개(231)에 손을 넣어 손등이 손걸개(231)에 걸리게 하고 손바닥면은 구동부(9)의 손잡이(10)를 쥔다. 손걸개(231) 자체에도 벨크로(235)가 구성되어 벨크로(235)의 접합 위치이동에 의한 손걸개(231) 길이조절이 가능하므로 손의 크기에 따라 손걸개(231)의 길이도 조절이 된다. 상기와 같이 하면 구동부(9) 의 손잡이(10)를 놓치더라도 손등에 손걸개(231)가 걸려 있으므로, 쉽게 손에서 구동부(9)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해주므로 손의 힘이 약한 사람이나 노약자에게도 도움이 된다.
또한 본 자동세정장치를 이용하여 욕실에서 얼굴이나 몸에 자동으로 마사지 내지는 안마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구동부(9)의 회전축(144)과 그 둘레의 타운동구 결합부재(175)에 맛사지구(221)를 끼운 후, 리모콘(12)이나 중계기(5)의 스 위치(49)를 눌러 모터하우징(1) 내의 모터(19)를 작동시키면 전달되어 온 회전운동이 구동부(9)의 회전축(144)에 끼워져서 회전운동을 전달받는 맛사지구(221)의 운동구회전축(225)을 회전시키고, 상기 운동구회전축(225)의 맛사지구 내측 연결부에는 운동구회전축(225) 끝단에 운동구회전축(225)과 함께 회전하는 편심추(222)가 형성이 되어 운동구회전축(225)과 편심추(222)가 함께 회전함으로써, 회전하는 편심추(222)에 의해서 진동운동이 발생하여 이 진동이 맛사지구(221)를 진동시키며, 얼굴이나 원하는 신체부위에 상기 맛사지구의 돌기부(228)를 접촉시켜서 마사지를 받게 된다. 이때 맛사지구의 돌기부(228)가 닿는 피부 접촉부위에는 윤활제로서 오일이나 바디샴푸 등을 바르고 하면 더욱 부드럽게 맛사지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맛사지구(221)는 편심추(222)에 의한 진동운동을 더욱 세게하면 진동에 의한 안마구의 기능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자동세정장치로 욕실의 소제를 하고자 할 때는, 원하는 소제부 위에 물을 뿌린 후 구동부(9)의 회전축(144)에 소제용세정구를 끼우고, 소제용 세정구 또는 소제하고자 하는 바닥이나 벽에 세정제를 묻힌 후, 마찬가지로 소제용세정구를 작동시킨 후 회전하는 소제용 세정구를 소제하고자 하는 부위로 접촉하면서 이동만 시키면 회전하는 세정구가 세정제와 함께 세척부위를 마찰하며 세정 작업을 하게 되며, 작업후에 물로 씻어내면 욕실의 소제작업도 자동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소제작업시의 구동부의 회전속도는 목욕시의 속도보다 더 높게 된다.
또한 용도에 맞게 여러가지 종류의 세정모가 식모된 세정구를 선택하여 상기 구동부에 끼우면, 운동화의 세탁이나 의류의 찌든때와 같은 의류의 부분 세탁작업 도 자동으로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넓은 욕실의 경우에는, 긴 유연축이 구성된 구동부가 있어야 하므로, 이럴 경우에는 제2유연축(7)의 길이를 더 늘려서 사용하기 위해서 중계기(5)와 제2유연축(7)의 커넥터(6) 사이에 유연축연장선을 더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유연축연장선의 양 끝단에는 중계기(5)와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재와 커넥터(6)와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재가 형성되어 진다.
또한 본 자동세정장치를 사용하여 신체세정, 욕실소제, 의류부분세탁등의 작업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하나의 자동세정장치로 작업 부위에 물을 함께 공급하고자 할 때는, 물 분출장치가 형성된 구동부(9a)를 선택하여 샤워수레버(276)를 열고 수도전(270)의 물을 틀면, 수도전의 물이 외부의 물공급관(274)과 제2유연축(7) 내부에 배치된 물공급관(274)을 통과해 구동부(9a)의 분출구(269)를 통해 샤워수 같이 배출된다. 상기 배출되는 수도전의 물을 작업부위에 뿌려주어 세정부위를 씻어 낼수 있으며, 세정작업과 동시에 물을 배출할수도 있으며, 또한 별도로 세정 작업 없이 분출구(269)로 분출되는 물로 샤워기 기능만을 할 수도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정장치를 욕실에 설치한 사시도이고,
도 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정장치를 샤워부스에 설치한 또 다른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정장치의 모터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 는 도 3a의 3-3선 단면도이고,
도 3c는 도 3a의 또 다른 3-3선 단면도이다.
도 4a는 스프링이 구성된 제1유연축을 도시한 부분 생략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4-4선 단면도이다.
도 5는 중계기와 구동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2유연축을 도시한 부분 단면 절개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5의 중계기의 일단과 연결된 커넥터 및 커넥터와 연결된 일단의 제2유연축을 도시한 5-5선 단면도 및 부분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a는 공회전유발 돌기들이 상하로 배열된 공회전 유발장치의 확대 분해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공회전 유발장치1의 조립된 단면도이다.
도 8a는 공회전유발 돌기들이 수평으로 형성된 공회전유발장치의 확대 분해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공회전유발장치2의 조립된 단면도이고,
도 8c는 도 8a의 공회전 유발장치2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a는 중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중계기의 단면도이고,
도 9c는 도 9b의 상기 중계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d는 구동베벨기어어셈블리와 피동베벨기어어셈블리를 하나의 고정부재에서 연결가능하게 하는 중계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e는 도 9d의 중계기를 도시한 9-9선 상 단면도이고,
도 9f는 중계기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중계기의 고정부재가 수평의 2단으로 분할된 중계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a는 회전운동을 수직으로 전달받아 수평으로 전달하는 중계기의 측 단면도이고,
도 10b는 회전운동을 수직으로 전달받아 수평으로 전달하는 중계기가 매립 설치된 자동세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a는 일직선상으로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중계기의 사시도이고,
도 11b는 일직선상으로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중계기의 단면도이고,
도 11c는 일직선상으로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중계기가 수직으로 설치된 자동세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2a는 제1유연축의 스프링1의 끝단에 사각형의 팁부재가 구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b는 제1유연축의 스프링1의 끝단에 사각형의 팁부재가 구성된 것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c는 제1유연축의 스프링1의 끝단에 사각형의 팁부재가 구성된 것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12d는 사각형의 팁부재가 구성된 제1유연축이 모터하우징에 연결된 것을 도시한 부분 절개 측단면도이다.
도 13a는 구동부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13b는 세정구커버를 제거하고 손잡이를 슬라이드 신장시킨 구동부의 사시도이고,
도 13c는 구동부의 종단면도이고,
도 13d는 도 13c의 구동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a는 도 13c와 도 13d에 도시된 손잡이길이 고정장치의 확대 분해도이고,
도 14b는 도 14a의 손잡이길이 고정장치가 조립되어 안내관과 손잡이 사이에 구성된 것을 도시한 조립도이고,
도 15a는 도 13d의 손잡이길이 고정장치에서 끝단이 넓은링을 구성한 손잡이길이 고정장치의 또 다른 확대 분해도이고,
도 15b는 도 15a의 손잡이길이 고정장치가 조립되어 안내관과 손잡이 사이에 구성된 것을 도시한 조립도이다.
도 16는 호 형태의 안내관 및 손잡이에 클램프1이 구성된 또 다른 손잡이길이 고정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6a는 손잡이 길이를 줄이고 클램프로 고정한 구동부의 사시도이고,
도 16b는 손잡이 길이를 늘이고 클램프로 고정한 구동부의 사시도이고,
도 16c는 구동부의 손잡이와 클램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a는 클램프에 구성된 스프링의 탄력으로 손잡이를 고정하는 손잡이길이 고정장치를 도시한 부분 생략 사시도이고,
도 17b는 도 17a의 손잡이길이 고정장치를 분해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8a는 맛사지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8b는 도 18a의 맛사지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a는 손걸이부재가 구성된 구동부의 사시도이고,
도 19b는 손걸이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구동부내의 베벨기어의 두축의 내각이 예각인것을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21은 자동세정장치를 벽에 매설 설치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22a는 모터하우징을 내설하는 모터하우징 매설박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2b는 도 22a의 모터하우징 매설박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2c는 도 22a의 모터하우징 매설박스를 매립한 투시도이다.
도 23a는 중계기를 내설하는 중계기 매설박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3b는 중계기를 내설한 중계기 매설박스를 매립한 투시도이다.
도 24는 모터하우징 매설박스와 중계기 매설박스 사이의 제1유연축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관을 도시한 부분 생략 사시도이다.
도 25a는 세정면 중심 내측으로 오목한 형태의 부러시 세정구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25b는 세정면 중심 내측으로 오목한 형태의 스펀지 세정구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25c는 세정면 중심 내측으로 오목한 형태의 수세미 세정구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6a는 물 분출이 가능한 자동세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6b는 도 26a의 구동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6c는 도 26a의 구동부를 부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6d는 도26a의 수도전으로부터 물 공급관과 제2유연축의 연결부를 도시한 확대 종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모터하우징 2: 물방울이동차단링 3.3a: 제1유연축
4: 고정부재 5,5a: 중계기 6: 커넥터
7: 제2유연축 8: 세정구 9: 구동부
10,10a,10b: 손잡이 11: 샤워기 12: 리모콘
13: 리모콘케이스 14: 샤워부스 15: 부착부재
16: 걸기부재 17: 스크류 18: 앵커
19: 모터 20: 기어1 21: 기어2
22: 회전전달축1 23: 피동기어 24: 구동기어
25a,25b,25c,25d:베어링 26a,26b,26c,26d,26e: 고정부재 27: 사각형스프링1
28a,28b,28c: 접속구 29: 구동베벨기어 30: 피동베벨기어
31a,31b,31c: 사각형구멍 32: 회전전달축2 33a,33b: 연결구
34a,34b: 마개 35a,35b,35c,35d,: 연결부재 36: 스프링1
37: 전선1 38: 전선2 39: 관1
40a,40b: 나사산 41: 라이너관 42: 내층
43: 외층 44: 고정부재 44a: 내부링
44b: 외부링 45: 가요관 46: 관2
47: 스프링2 48:사각형스프링2 49: 스위치
50: 회전운동직각연결구 53: 구동베벨기어어셈블리 54: 구동베벨기어
55: 피동베벨기어어셈블리 56: 피동베벨기어
57: 엘보형하우징 58,58a,: 사각형막대
59a,59b: 공회전 유발장치 60: 구동전달부재1 61: 피동전달부재1
62: 베어링 63: 공회전유발장치케이싱
66: 탄성편 64: 패킹 65: 원반1
67: 돌기1 68: 걸림턱 69: 원통
70: 돌기2 71: 원반2 72: 사각형구멍
74: 원반 75: 중심방향 76: 돌기3
77: 탄성편 78: 걸림턱 79: 원통
80: 돌기4 82: 구동전달부재 83: 피동전달부재
85: 벽부착부재 86,86a: 케이싱 87: 평면
88: 수직의 평면 89a,89b,89c,89d,89e: 연결부재
90a,90b: 나사산 91a,91b: 관통공 92a,92b,93c,94d,94e: 접속구
93: 받침 94a,94b,94c: 고정부재
95a,95b: 구동베벨기어어셈블리 96a,96b: 구동베벨기어
97: 피동베벨기어어셈블리 98: 피동베벨기어 97: 피동베벨기어어셈블리
98: 피동베벨기어 99: 베어링 100: 마개
101a,101b,101c,101d,101e: 사각형구멍 102: 너트구멍
103: 너트 104: 스크류 105: 스크류
106: 스크류구멍 107: 내삽부재
108: 부착부재 109: 스크류
111: 일체형고정부재 112: 덮개 113: 마개
114: 후면구멍 115: C-링 116a,116b,116c: 관통공
117: 걸기부재 118: 수직구멍 120a,120b,120c: 긴홈
121a,121b,121c: 긴홈 122: 안착부재 123: 상단덮개
124: 긴 스크류 125: 벽
126: 하중용베어링 127: 전선3 128: 스위치2
129: 천정위 131: 롤러
132: 고정부재 134: 사각형 팁부재 135: 고정관
136: 사각형막대 137: 걸림턱 138: 삽입부
139: 고정관내주면턱 141: 세정구원반 142: 세정구커버
143:유수공 144:회전축 145:엔드플레이트
146: 패킹 147a,147b,147c,147d: 베어링 148: 통로
149: 피동베벨기어어셈블리 150: 피동베벨기어 151,151a: 하우징
152: 구동부내부 153: 배수공 154: 마개
155: 급유구마개 156: 급유구 157: 흡유재
158: 윤활유저장소 159: 스텐레스스틸관
160: 구동베벨기어어셈블리 161: 구동베벨기어 162: 나사홈
163: 손잡이 가이드링 164,164a,164b: 안내관
165a,165b: 손잡이길이고정장치 166: 가스켓 167: 잠금캡
168: V-가스켓 169: 가요관고정 외측 링 170: 결합부재
171: 회전구멍 172a,172b: 와셔 173: 방수호스
174:스크류 175:타운동구결합부재 176: L자형홈 체결부재
177: 세정구커버 결합부재 178: 가스켓 179: O-링
180: 너트 181: 가스켓 182: C-링
184: 고정용돌기 185: 고정홈 186: 고정링
187: 가요관고정 내측 링 188: 접속구 189: 사각형구멍
191: 끝단이 가는 링 92: 드럼형부재 193: 중앙 넓은 호
194: 돌기 195: 드럼 외주면 196: 원형테두리1
197: 원형테두리2 198: 걸림턱
200: 끝단이 넓은 링 201: 끝단이 넓은 호 부분
202: 힌지부재2 203: 클램프1 204: 레버
205: 레버운동방향 206: 틈 207: 핀
208: 안내부재 209: 힌지부재1 210: 핀홀
211: 핀걸이턱 212: 클램프2 213: 걸기부재
214: 힌지부재3 215: 레버 216: 스프링
217: 걸림구멍 218: 안내부재 219: 안내홈
221: 맛사지구 222: 편심추 223: L자홈 체결부재
224: 회전축 삽입구 225: 운동구회전축 226: 배수공
227: 마개 228: 돌기부 230: 손걸이부재
231: 손걸개 232: 취부밴드1 233: 취부밴드2
234: 관통공 235: 벨크로 236: 벨크로1
237: 벨크로2 239: 예각 240: 세정면
241: 안내관 242: 스위치 243: 안내관1
245: 하우징매설박스 246: 전선유입구 247: 고정부재2
248: 고정부재1 249: 외장프레임 250: 통로
251: 안내관 체결너트1 252: 배수구 254: 중계기 매설박스
255: 고정부재3 256: 고정부재4 257: 통로2
258: 안내관 체결너트2 259: 외장프레임 261:안내관
262: 나선형 홈 263: 오목한 솔세정구 264:오목한 스펀지세정구
265: 오목한 수세미세정구 266: 접지면 267: 회전축연결봉
268: 회전축 삽입구 269: 분출구 270: 수도전
271: 수도전레버 272: 샤워수 배출구 273: 수도전 배출구
274 : 물공급관 275: T자관 276: 샤워수 레버
277: 분출공 278: 분출구 어셈블리 279: 스크류
280: 분출공 281: 패킹 282: 스크류구멍
283: 물공급관 연결구 284: 분출구 케이싱 285: 밴드
287: L자형피팅 288: 패킹 290: 연결부재
291: 연결부재1 292: 연결부재2

Claims (13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삭제
  67. 삭제
  68. 삭제
  69. 삭제
  70. 삭제
  71. 삭제
  72. 삭제
  73. 삭제
  74. 삭제
  75. 삭제
  76. 삭제
  77. 삭제
  78. 삭제
  79. 삭제
  80. 삭제
  81. 삭제
  82. 삭제
  83. 삭제
  84. 삭제
  85. 삭제
  86. 삭제
  87. 삭제
  88. 삭제
  89. 삭제
  90. 삭제
  91. 삭제
  92. 삭제
  93. 삭제
  94. 삭제
  95. 삭제
  96. 삭제
  97. 삭제
  98. 자동세정장치에 있어서,
    회전운동을 생성하는 회전수단;
    상기 회전수단의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제1 및 제2 유연축수단;
    상기 제1 유연축수단과 상기 제2 유연축수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수단의 회전운동을 단락하거나 전달하는 중계수단; 및
    세정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제2 유연축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운동을 받아 상기 세정수단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갖되,
    상기 중계수단은,
    회전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
    상기 동력전달수단을 내재하는 케이싱;
    상기 동력전달수단을 공전하도록 상기 케이싱 내부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정장치.
  99. 제 9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유연축수단은,
    중공의 관;
    상기 관의 양 끝단에 구성되는 연결부재;
    상기 관의 내부에 배치된 유연축;으로 구성되되,
    상기 유연축의 양 끝단부에는 회전운동이 걸려서 함께 회전하도록 하는 걸림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정장치.
  100. 제 98 항 또는 제 9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연축수단에는,
    제2 유연축수단에 설치되어 상기 중계수단에 결합되는 커넥터 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정장치.
  101. 제 10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수단에는,
    상기 중계수단과 착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결합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정장치.
  102. 제 10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수단에는,
    상기 중계수단의 회전운동에 걸려 함께 회전하는 걸림수단;
    상기 걸림수단으로부터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상기 제2 유연축수단으로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기어수단;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정장치.
  103. 제 10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과 구동수단 사이에는, 상기 세정수단으로 전달된 회전 운동에 과부하가 걸리면, 전달되는 회전운동을 공회전시키는 공회전 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정장치.
  104. 제 103 항에 있어서,
    상기 공회전수단은,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구동전달부재;
    상기 구동전달부재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상기 제2 유연축수단으로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피동전달부재; 및
    상기 구동전달부재와 상기 피동전달부재의 맞닿는 접합면에 각각 구성되고, 상호 작용하여 회전운동을 연결하거나 공회전을 유발시키는 공회전유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회전 유발수단.
  105. 제 104 항에 있어서,
    상기 공회전유발수단에는,
    상기 구동전달부재의 일단에 형성되어 회전운동을 걸어서 전달하기 위한 걸기부재; 및
    상기 피동전달부재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걸기부재에 걸려 회전운동을 전달받는 걸림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정장치.
  106. 제 98 항 또는 제 99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다수개의 베벨기어 어셈블리로 구성되며, 각각의 베벨기어 어셈블리의 외주면에는 베어링이 구성되고, 각각의 베벨기어 어셈블리에는 회전운동을 연결하기 위한 접속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정장치.
  107. 제 10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다수개의 베벨기어 어셈블리를 공전가능하도록 삽입하는 내삽부재; 및
    상기 고정수단을 케이싱 내부에 부착 및 고정하는 부착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정장치.
  108. 제 10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에는, 상기 내삽부재와 상기 부착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정장치.
  109. 제 10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케이싱 내부의 밑면 자체에 다수개의 베벨기어 어셈블리를 공전 가능하도록 안착하는 안착부재; 및
    상기 안착부재에 체결되며, 베벨기어 어셈블리가 공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덮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정장치.
  110. 제 10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둘레면에 형성된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중계수단은,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일단과 일직선상의 타단에는, 상기 제1 유연축수단과 상기 커넥터 수단이 각각 접속되는 접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정장치.
  111. 제 98 항 또는 제 99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수단에는 회전수단의 전기장치를 제어하는 스위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정장치.
  112. 제 98 항 또는 제 9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2 유연축수단으로부터 회전운동을 전달받는 구동베벨기어수단;
    상기 구동베벨기어수단에 의해 연동하는 피동베벨기어수단;
    상기 세정수단과 착탈 가능하며, 상기 피동베벨기어수단에 연결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장착되어 물의 침투를 저지하는 패킹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정장치.
  113. 제 1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에는,
    상기 구동수단의 내부로 침투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수단;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정장치.
  114. 제 11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에는,
    상기 구동수단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정장치.
  115. 제 11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에는, 상기 회전축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윤활유공급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윤활유공급수단에는, 회전축 내부에 형성된 윤활유저장소; 및
    상기 윤활유저장소의 윤활유를 회전축의 외부로 공급하는 공급통로;가 포함되되,
    상기 회전축의 말단에는 상기 윤활유저장소에 윤활유를 급유하는 급유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정장치.
  116. 제 1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에는, 상기 패킹수단을 압박하는 패킹압박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정장치.
  117. 제 11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수단은, 상기 구동수단의 일단에 형성된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에 장착되는 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공은 상기 구동수단의 내부를 점검하거나, 상기 구동 및 피동베벨기어수단에 윤활유를 점유하는 점검공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정장치.
  118. 제 114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안내관과, 상기 안내관의 외주면으로 상하 이동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손잡이로 구성되고,
    상기 안내관에는 길이 조절된 손잡이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정장치.
  119. 제 114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안내관과, 상기 안내관의 외주면으로 상하 이동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손잡이로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와 상기 안내관이 완곡된 형으로, 상기 손잡이가 상기 제2 유연축수단측으로 안내관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정장치.
  120. 제 98 항 또는 제 9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손을 걸어 사용하는 손걸이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정장치.
  121. 제 1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베벨기어수단의 중심축과 상기 피동베벨기어수단의 중심축의 내각은 예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정장치.
  122. 제 98 항 또는 제 9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과 상기 중계수단은 일부가 매설되고, 상기 제1 유연축수단은 일부 또는 전체가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정장치.
  123. 제 98 항 또는 제 99 항에 있어서,
    일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수단을 내장하는 회전수단 매설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수단 매설박스의 일측에는 전선이 지나는 구멍;
    타측에는 제1 유연축수단과 연결하기 위한 통로; 및
    상기 회전수단 매설박스의 개구부 둘레와 상기 회전수단을 각각 상호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정장치.
  124. 제 123 항에 있어서,
    일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계수단을 내장하는 중계수단 매설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수단 매설박스의 일측에는, 제1 유연축수단과 연결하기 위한 통로;
    상기 중계수단 매설박스의 개구부의 둘레와 상기 중계수단을 각각 상호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정장치.
  125. 제 1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연축수단을 내장 및 안내하기 위해, 상기 회전수단 매설박스와 상기 중계수단 매설박스 사이를 연결하는 안내관; 및
    상기 회전수단 매설박스와 상기 안내관의 사이 및 상기 안내관과 상기 중계수단 매설박스의 사이에는 상호 연결을 고정되게 하는 연결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정장치.
  126. 제 98 항 또는 제 99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단은, 세정부위가 피부 곡선라인에 따라 밀착도를 높이기 위해 오목한 형상의 솔, 스펀지, 수세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정장치.
  127. 제 98 항 또는 제 9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에는, 세정수단에 인접 배치되어 수도전의 물을 분출하는 분출수단;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정장치.
  128. 삭제
  129. 삭제
  130. 삭제
  131. 삭제
  132. 삭제
  133. 삭제
KR1020070093980A 2007-09-17 2007-09-17 자동 세정 장치 KR100960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980A KR100960707B1 (ko) 2007-09-17 2007-09-17 자동 세정 장치
US12/678,744 US20110142529A1 (en) 2007-09-17 2008-09-04 Automatic bathing apparatus
PCT/KR2008/005209 WO2009038296A2 (en) 2007-09-17 2008-09-04 Automatic bath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980A KR100960707B1 (ko) 2007-09-17 2007-09-17 자동 세정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4936A Division KR20100012097A (ko) 2010-01-19 2010-01-19 자동 세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873A KR20090028873A (ko) 2009-03-20
KR100960707B1 true KR100960707B1 (ko) 2010-05-31

Family

ID=40468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980A KR100960707B1 (ko) 2007-09-17 2007-09-17 자동 세정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142529A1 (ko)
KR (1) KR100960707B1 (ko)
WO (1) WO2009038296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639B1 (ko) 2018-04-03 2019-04-10 최태선 목욕용 슈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430B1 (ko) * 2008-11-11 2009-12-03 오일묵 회전운동과 유수가 함께 전달되는 자동 세정장치
CN104257311B (zh) 2010-12-17 2017-12-12 科勒公司 淋浴柱系统
ES2780175T3 (es) * 2011-07-23 2020-08-24 Braun Gmbh Dispositivo para el tratamiento de la piel
DE202013000239U1 (de) * 2013-01-12 2014-04-14 Aloys F. Dornbracht Gmbh & Co. Kg Steuerungsanordnung für die Ansteuerung von Aktoren einer Wasserarmatur
US20160058659A1 (en) * 2014-09-03 2016-03-03 Anton ANGELOV Personal grooming device
US10085750B2 (en) * 2014-10-22 2018-10-02 Covidien Lp Adapter with fire rod J-hook lockout
US10085744B2 (en) * 2014-12-08 2018-10-02 Covidien Lp Loading unit attachment band for surgical stapling instrument
US10750849B2 (en) 2015-04-03 2020-08-25 Water Pik, Inc. Skin cleansing and massaging system
US9980730B2 (en) * 2015-09-21 2018-05-29 Covidien Lp Loading unit locking collar with rotational actuated release
JP6621647B2 (ja) * 2015-11-13 2019-12-18 マクセル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美容器具
USD828694S1 (en) 2016-04-04 2018-09-18 Water Pik, Inc. Handheld skin exfoliator
USD854654S1 (en) 2017-11-13 2019-07-23 Water Pik, Inc. Bracket for a handheld cleansing device
USD861830S1 (en) 2017-11-13 2019-10-01 Water Pik, Inc. Handheld cleansing device
USD904039S1 (en) 2017-11-13 2020-12-08 Water Pik, Inc. Shower accessory hanger
CN108478128A (zh) * 2018-03-13 2018-09-04 林奕闻 一种擦洗手套
USD898374S1 (en) 2018-07-02 2020-10-13 Water Pik, Inc. Skin cleansing brush
CN110947728A (zh) * 2019-12-02 2020-04-03 友信宏科新能源(徐州)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零部件清洗设备
CA3121981A1 (en) * 2020-06-16 2021-12-16 Delta Faucet Company Electronic shower valve
CN112977848B (zh) * 2021-03-30 2021-10-12 上海尚实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混合动力型涡桨发动机的动力系统
KR102511863B1 (ko) 2021-09-06 2023-03-17 김상영 세신 시스템
US11857128B2 (en) * 2021-09-17 2024-01-02 Wei-Wei Shen Automatic shower hea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0220U (ko) * 1987-11-05 1989-07-07
KR890020672U (ko) * 1988-04-30 1989-11-01
KR950010870U (ko) * 1993-10-05 1995-05-15
KR200286777Y1 (ko) * 2002-01-22 2002-08-23 박동일 전동 때밀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81878A (en) * 1965-07-16 1966-11-01 Roiz Cutberto Meza Mobile cleaner brush
US4040132A (en) * 1976-02-20 1977-08-09 George Braun Backscrubber
US4796321A (en) * 1985-08-12 1989-01-10 Lee Fu Kuei Portable electrical brus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0220U (ko) * 1987-11-05 1989-07-07
KR890020672U (ko) * 1988-04-30 1989-11-01
KR950010870U (ko) * 1993-10-05 1995-05-15
KR200286777Y1 (ko) * 2002-01-22 2002-08-23 박동일 전동 때밀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639B1 (ko) 2018-04-03 2019-04-10 최태선 목욕용 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38296A3 (en) 2009-05-07
WO2009038296A2 (en) 2009-03-26
US20110142529A1 (en) 2011-06-16
KR20090028873A (ko) 200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0707B1 (ko) 자동 세정 장치
US6338170B1 (en) Hand-held or fixed massage shower
US7451513B2 (en) Back-scrubbing and cleansing apparatus
US5774907A (en) Shower wall back scrubber and massager
US8261395B2 (en) Electric pan scrubber device
KR200489176Y1 (ko) 클렌징 장치
KR100672948B1 (ko) 다기능 샤워기
KR20010107865A (ko) 자동 신발세척기
US10537211B2 (en) Shower scrubbing device
KR101237460B1 (ko) 다용도 세척기
KR20140121328A (ko) 토크를 증대시킨 세척기와 거품목욕 겸용 샤워기
CN106028888A (zh) 具有内刷位于外刷上的刷结构的面部清洗装置
KR20100012097A (ko) 자동 세정 장치
KR200355309Y1 (ko) 휴대용 세발기
KR20120003035A (ko) 자동 목욕장치가 구성된 욕조
KR20010106605A (ko) 다용도 세척기
JP4132045B2 (ja) 壁面洗浄装置
KR200418093Y1 (ko) 휴대용 자동 때밀이장치
JP2614414B2 (ja) 手洗浄器
US200401530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ubbing hair and other objects
JP2006246788A (ja) ペット用シャワーヘッド
JP7177559B2 (ja) 洗浄器具
KR20120001825A (ko) 자동 목욕장치가 구성된 욕조
KR20050081076A (ko) 입형 욕실 청소기
KR20110062670A (ko) 벽부착 샤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