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0706B1 - DAIC Multibody Large Wind Power Generator - Google Patents
DAIC Multibody Large Wind Power Gener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60706B1 KR100960706B1 KR1020080017882A KR20080017882A KR100960706B1 KR 100960706 B1 KR100960706 B1 KR 100960706B1 KR 1020080017882 A KR1020080017882 A KR 1020080017882A KR 20080017882 A KR20080017882 A KR 20080017882A KR 100960706 B1 KR100960706 B1 KR 1009607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ade
- gear
- shaft
- wind
- rotary shaf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2—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a plurality of rotors
- F03D1/025—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a plurality of rotors coaxially arrang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6—Rotors
- F03D1/0608—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aerodynamic shape
- F03D1/0633—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aerodynamic shape of the blad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7/022—Adjusting aerodynamic properties of the blades
- F03D7/0224—Adjusting blade pitch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7/04—Automatic control; Regulation
- F03D7/042—Automatic control; Regulation by means of an electrical or electronic controll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20—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 F03D9/2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21—Rotors for wind turbines
- F05B2240/221—Rotors for wind turbines with horizontal axi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익 다동체 대풍력발전기는 다수의 각도전환 가능한 블레이드(13) 및 제어 가능한 블레이드각도조절장치(15)를 갖는 블레이드 동체(12)가 전,후 대칭적으로 결합 구성되고, 그 내측으로는 입출력의 회전축(22)(22')을 갖는 회전축차동장치(20)가 설치되며, 중앙 상부로 풍향풍속신호전자회로장치(25)가 구성된 상부동체(10)와; 상기 상부동체(10)의 중앙하부로 펄스서브기어드모터(36)의 구동에 의해 좌,우 회전하는 상부회전기둥(30)과; 상기 상부동체(10) 및 상기 상부회전기둥(30)을 지지하며, 내측으로 스플라인수직회전축(42)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스플라인수직회전축(42)이 상기 회전축차동장치(20)의 회전축(22')에 유니버셜조인트 커플링(48)으로 연결되는 수직기둥(40)과; 상기 스플라인수직회전축(42)과 직교하여 발전속도에 맞도록 역학 계산된 증속기(44)에 의해 회전하는 수평회전축(46)에 유니버셜조인트 커플링(48a)으로 연결되는 발전기(50)와; 상기 수직기둥(40)의 일 측으로 설치된 콘트롤박스(56):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회전기둥(30)의 하단으로는 스윙기어(34)가 설치 형성되고, 상기 수직기둥(40)의 측면에는 상기 펄스서브기어드모터(36)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펄스서브기어드모터(36)의 서보모터기어(37)는 상기 스윙기어(34)에 이맞물림(齒合)되며, 상기 블레이드 동체(12)의 내측으로 설치된 상기 블레이드각도조절장치(15)는 삼각형레크기어뭉치(16)를 구비하되, 그 삼각형레크기어뭉치(16)의 일 측 내부에는 상기 회전축(22)이 끼움 고정되는 회전축끼움홀(16a)이 형성되고, 타 측에는 볼스크류홈(16b)이 형성되며, 둘레 부로는 삼각형레크기어(16d)를 갖는 회전판안착홈(16c)이 형성되며, 상기 볼스크류홈(16b)에는 블레이드조절용서보모터(18)의 볼스크류축(18a)이 결합 구성되고, 상기 회전판안착홈(16c)에는 기어회전판(17)이 안착되고, 상기 기어회전판(17)에는 상기 블레이드(13)의 블레이드축(13a)이 끼움 고정되어, 상기 블레이드서보모터(18)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삼각형레크기어뭉치(16)가 수평이동하면, 상기 삼각형레크기어(16d)에 결합된 상기 기어회전판(17)이 회전하고, 상기 블레이드(13)의 회전각도가 조절되는 구성이다.Multi-body multi-wind large wind power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lade body 12 having a plurality of angle switchable blade 13 and the controllable blade angle control device 15 is configured symmetrically coupled before and after, and the inside An upper body 10 having a rotating shaft differential device 20 having rotating shafts 22 and 22 ′ of input and output, and having a wind direction wind signal electronic circuit device 25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 upper rotary column 30 which rotates left and right by driving the pulse sub-gear motor 36 to the center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10; Supporting the upper body 10 and the upper rotary column 30, the spline vertical rotary shaft 42 is installed vertically inward, the spline vertical rotary shaft 42 is the rotary shaft of the rotary shaft differential device 20 ( A vertical column 40 connected to the universal joint coupling 48 to the 22 '); A generator 50 connected to the horizontal rotary shaft 46 which is rotated by the speed increaser 44 which is dynamically calculated to be orthogonal to the spline vertical rotary shaft 42 to the power generation speed; Control box 56 is installed to one side of the vertical column 40, including the swing gear 34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rotary column 30, the side of the vertical column 40 The pulse sub geared motor 36 is fixedly installed, the servo motor gear 37 of the pulse sub geared motor 36 meshes with the swing gear 34, and the blade body 12 The blade angle adjusting device 15 installed inwardly has a triangular leg gear bunch 16, but the one side of the triangular leg gear bunch 16, the rotating shaft fitting hole is fixed to the rotating shaft 22 ( 16a) is formed, the ball screw groove (16b) is formed on the other side, the circumferential portion is formed with a rotating plate seating groove (16c) having a triangular lever gear (16d), the ball screw groove (16b) blade adjustment servo The ball screw shaft 18a of the motor 18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rotating plate seating groove 16c. The gear rotary plate 17 is seated, the blade shaft 13a of the blade 13 is fitted to the gear rotary plate 17, the triangular rack gear bundle by the operation of the blade servo motor 18 ( When the 16 moves horizontally, the gear rotating plate 17 coupled to the triangular rack gear 16d is rotated, the rotation angle of the blade 13 is adjus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익 다동체 대풍력발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풍향풍속신호전자회로장치에 의한 풍향 및 풍속의 감지에 의해 블레이드가 필요한 각도만큼 가변 되어 바람을 받는 정도를 조절하는 다익 다동체 대풍력발전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role multi-body large wind power generator, and more particularly, a multi-role multi-body unit for controlling the degree of receiving the wind by varying the blade by the required angle by sensing th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by the wind direction wind signal electronic circuit device. It relates to a wind power generator.
일반적으로 수 메가와트(MW) 단위의 대용량 발전하는 풍력발전기는 바람길을 따라 산의 정상부근, 또는 바닷가 등에 설치되고 있으며, 그 설치높이는 용량에 따라 70~90m, 회전블레이드의 길이도 약 40m ~ 50m이상이 되도록 설치된다.In general, large-capacity wind turbines in the order of several megawatts (MW) are installed near the top of the mountain or along the seaside along the wind road, and the installation height is 70 ~ 90m and the length of the rotating blade is about 40m ~. It is installed to be over 50m.
종래의 대형 풍력발전기는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진 기둥의 상부에 발전기몸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발전기몸체의 전면에는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블레이드가 허브에 장착된 구조이다.Conventional large wind power generator is a generator body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lum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e front of the generator body is a structure in which the rotating blade rotating by the wind is mounted on the hub.
그러나, 종래의 대형 풍력발전기는 다음과 같은 결점을 갖고 있다.However, conventional large wind turbines have the following drawbacks.
종래의 대형 풍력발전기는 일측으로만 회전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있고, 그 회전블레이드에 의해 제공되는 회전력으로 발전기축을 증속하여(1200rpm ~ 1800rpm)d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발전효율이 떨어지게 되어 대용량의 발전이 어려우며, 대용량의 발전을 위해서는 넓은 장소와 공간을 차지하는 경제적 손실과 풍력발전기의 크기가 매우 커져야 하는 결점이 있다.Conventional large wind turbines are provided with only one side of the rotating blade, and by increasing the generator shaft by the rotational force provided by the rotating blade (1200rpm ~ 1800rpm) d by rotating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is reduced, it is difficult to generate large capacity However, for large capacity generation, there are drawbacks such as economic losses that occupy a large space and space, and the size of the wind turbine must be very large.
또한 발전기몸체의 일측에만 회전블레이드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무게중심이 일측에 편중되어 발전기몸체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부의 편마모로 인하여 쉽게 고장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rotating blade is installed only on one side of the generator body, the entire center of gravity is biased on one side, and thus, the wearer of the driving unit that rotates the generator body easily breaks down.
또한, 국내와 같이 바람의 방향이 계절에 따라, 기후에 따라 변화하는 지역에서는 대형 풍력발전기가 바람의 방향에 따라 회전하도록 하기 위하여 바람방향을 감지하는 센서장치와, 상기 센서장치의 감지정보에 따라 발전기몸체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부가 기둥의 상부에 설치되는데, 이러한 구동장치부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게중심의 편중현상에 의한 편마모로 인하여 쉽게 고장나게 되고 높은 곳에 설치되어 있어 A/S가 난이하여 풍력발전기가 정상구동하지 못하고 자주 정체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In addition, in a region where the direction of the wind changes with the seasons and the climate, such as in Korea, a large wind generator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the wind so as to sense the wind direction, and according to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nsor device. The drive unit for rotating the generator body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olumn, as described above, the drive unit easily breaks down due to uneven wear due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enter of gravity, and is installed in a high place, so that the A / S is difficult, Was not able to drive normally and was often congest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풍향풍속신호전자회로장치에 의한 풍향 및 풍속의 감지에 의해 블레이드가 각도 전환되어 최소한 많은 바람을 받는 정도를 조절하여 풍차의 회전력을 높여서 전기에너지의 많은 생산량을 얻으며, 이때 강하게 불어오는 바람을 피하기 위해 블레이드의 방향을 일직선으로 조정하여 강한 바람(태풍)에 의해 블레이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풍향풍속신호전자회로장치에 의한 풍향의 감지와 상부회전기둥의 일측으로 설치된 펄스서브기어드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부회전기둥이 바람의 방향을 따라 자동으로 회전하면서 가장 안정된 바람을 받도록 하여 고효율의 전기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한 다익 다동체 대풍력발전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drawbacks, the blade is angled by the detection of th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by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signal electronic circuit device by adjusting the degree of receiving at least a lot of wind to increas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windmill To obtain a large amount of energy, at this time to prevent the wind blowing strongly to prevent the blade from being damaged by strong wind (typhoon) by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blade in a straight line, the wind direction of the wind signal electronic circuit device detection Multi-role multi-body large wind power generator that obtains high efficiency electric energy by receiving the most stable wind while the upper rotating column rotates automatically along the wind direction by the operation of the pulse sub-gear motor installed to one side of the upper rotating column.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익 다동체 대풍력발전기는 다수의 각도전환 가능한 블레이드 및 제어 가능한 블레이드각도조절장치를 갖는 블레이드 동체가 전,후 대칭적으로 결합 구성되고, 그 내측으로는 입출력의 회전축들을 갖는 회전축차동장치가 설치되며, 중앙 상부로 풍향풍속신호전자회로장치가 구성된 상부동체와; 상기 상부동체의 중앙하부로 펄스서브기어드모터의 구동에 의해 좌,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회전기둥과; 상기 상부동체 및 상기 상부회전기둥을 지지하며, 내측으로 스플라인수직회전축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스플라인수직회전축이 상기 회전축차동장치의 상기 출력의 회전축에 유니버셜조인트 커플링으로 연결되는 수직기둥과; 상기 스플라인수직회전축과 직교하여 발전속도에 맞도록 역학 계산된 증속기에 의해 회전하는 수평회전축에 유니버셜조인트 커플링으로 연결되는 발전기와; 상기 수직기둥의 일 측으로 설치된 콘트롤박스: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회전기둥의 하단으로는 스윙기어(swing bearing gear)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기둥의 측면에는 상기 펄스서브기어드모터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펄스서브기어드모터의 서보모터기어는 상기 스윙기어에 이맞물림(齒合)되며, 상기 블레이드 동체의 내측으로 설치된 상기 블레이드각도조절장치는 삼각형레크기어뭉치를 구비하되, 그 삼각형레크기어뭉치의 일 측 내부에는 상기 입력의 회전축이 끼움 고정되는 회전축끼움홀이 형성되고, 타 측에는 볼스크류홈이 형성되며, 둘레 부로는 삼각형레크기어를 갖는 회전판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볼스크류홈에는 블레이드조절용서보모터의 볼스크류축이 결합 구성되고, 상기 회전판안착홈에는 기어회전판이 안착되고, 상기 기어회전판에는 상기 블레이드의 블레이드축이 끼움 고정되어, 상기 블레이드서보모터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삼각형레크기어뭉치가 수평이동하면, 상기 삼각형레크기어에 결합된 상기 기어회전판이 회전하고,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Multi-body multi-wind large wind power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lade body having a plurality of angle switchable blades and controllable blade angle control device is configured symmetrically coupled before and after, the inside of the input and output An upper body provided with a rotating shaft differential having rotating shafts and having a wind direction wind signal electronic circuit device at the center; An upper rotating pillar installed to be rotated left and right by driving a pulse sub-gear motor to the center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A vertical pillar supporting the upper body and the upper rotating pillar, the vertical spline rotating shaft being vertically installed inward, and the spline vertical rotating shaft being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output of the rotating shaft differential apparatus by a universal joint coupling; A generator connected to the horizontal rotary shaft which is rotated by a speed increaser mechanically calculated to be orthogonal to the spline vertical rotary shaft and adapted to a power generation speed, by a universal joint coupling; The control box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vertical column, including, but the lower end of the upper rotary cylinder is a swing gear (swing bearing gear) is installed, the side of the vertical column is the pulse sub-gear motor is fixed fixed, The servo motor gear of the pulse sub-geared motor is meshed with the swing gear, and the blade angle adjusting device installed inside the blade body includes a triangular rack gear assembly, and one side of the triangular rack gear assembly. A rotating shaft fitting hole is formed inside the rotating shaft is fitted, the ball screw groov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the circumferential portion is formed with a rotating plate seating groove having a triangular leg gear, the ball screw groove servo adjustment motor The ball screw shaft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he rotary plate seating groove is geared to the seat plate, the gear plate is the upper When the blade shaft of the blade is fitted and fixed, when the triangular rack gear assembly moves horizontally by the operation of the blade servo motor, the gear rotating plate coupled to the triangular rack gear rotates,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blade is adjusted. do.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풍력발전기는 풍향풍속신호전자회로장치에 의한 풍향 및 풍속의 감지에 의해 블레이드가 자동으로 각도 전환되어 바람을 받는 정도를 높여서 최대의 풍력으로 풍차의 회전을 발취하여 전기에너지의 생산량을 보다 효과적으로 얻으며 그 위치에서 강하게 불어오는 바람을 피하기 위해 블레이드의 각도를 일직선으로 하여 강한 바람(태풍)에 의해 블레이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풍향풍속신호전자회로장치에 의한 풍향의 감지와 상부회전기둥의 일측으로 설치된 펄스서브기어드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부회전기둥이 바람의 방향을 따라 자동으로 회전하면서 가장 안정된 바람을 받도록 하여 미세한 풍속에도 기동력의 응답성이 신속하여 정,역풍은 물론 바람의 방향으로 자동 회전하도록 하여 어느 방향으로도 모두 발전이 가능하여 고효율의 전기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어 산업용, 환경용, 통신신호용, 수질개선용, 현장조명용, 전동공구 및 측정장비용, 하이브레드카 충전용 등 각 분야의 사용목적에 따라 직류전기 및 교류전기를 유용하게 배전 공급하여 다목적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wind power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rotates the blades by detecting the wind direction and the wind speed by the wind direction wind signal electronic circuit device to increase the degree of receiving the wind, thereby extracting the rotation of the windmill with the maximum wind power. In order to obtain energy output more effectively and avoid wind blowing strongly at the location, the blades are in a straight line to prevent the blade from being damaged by strong winds (typhoons), By detecting and driving the pulse sub-gear moto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rotary column, the upper rotary column rotates automatically along the direction of the wind to receive the most stable wind. Of course, it automatically rotates in the direction of the wind All power generation is designed to obtain high-efficiency electric energy, so it is used for various fields such as industrial, environmental, communication signal, water quality improvement, field lighting, power tools and measuring equipment, and hybrid car charging. In accordance with the effective distribution and direct supply of direct current and alternating current electricity can be used for multi-purpo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1)는 다수의 블레이드(13), 풍향깃(26), 및 풍배(26a)에 의하여 풍향과 풍속을 감지하는 풍향풍속신호전자회로장치(25)를 형성한 상부동체(10)와; 회전 가능한 상부회전기둥(30)과; 스플라인수직회전축(42)이 내설된 수직기둥(40)과; 발전기(50)와; 상기 수직기둥의 일 측으로 설치된 콘트롤박스(56);를 구비한다.1 and 2, the
상기 상부동체(10)는 다수의 각도전환이 가능한 블레이드(13)를 갖는 블레이드 동체(12)를 구비하되, 전,후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구성된다.The
또, 상기 상부동체(10)의 내측으로는 입출력의 회전축(22)(22')을 갖는 회전축차동장치(20)가 설치된다.Further, inside the
한편, 상기 블레이드 동체(12)의 내측으로 설치된 상기 블레이드각도조절장치(15)는 삼각형레크기어뭉치(16)를 구비하되, 그 삼각형레크기어뭉치(16)의 일 측 내부에는 상기 입력의 회전축(22)이 끼움 고정되는 회전축끼움홀(16a:도 5a 참조)이 형성되고, 타 측에는 볼스크류홈(16b:도 3 참조)이 형성되며, 둘레 부로는 삼각형레크기어(16d:도 3 참조)를 갖는 회전판안착홈(16c:도 3 참조)이 형성된다.
상기 볼스크류홈(16b)에는 블레이드조절용서보모터(18)의 볼스크류축(18a)이 결합 구성되고, 상기 회전판안착홈(16c)에는 기어회전판(17:도 3 참조)이 안착되고, 상기 기어회전판(17)에는 블레이드(13)의 블레이드축(13a)이 끼움 고정된다.On the other hand, the blade
The ball screw groove (16b) is coupled to the ball screw shaft (18a) of the bla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블레이드(13)의 하단부로는 키 고정부(13b)를 갖는 블레이드축(13a)이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축(13a)의 키 고정부(13b)가 상기 기어회전판(17)의 중앙홈(17a)에 끼움 고정된다. 상기 키 고정부(13b) 및 키(미도시)를 이용하여 두 개의 물체를 결합하는 기술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블레이드축(13a) 둘레에는 블레이드홀더(14)가 위치되는바, 상기 블레이드홀더(14)가 블레이드 동체(12) 외측 면에 지지 고정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13)가 상기 블레이드 동체(12)에서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다(도 3 및 도 4 참조).A
A
이때, 블레이드(13)의 설치 각도는 볼스크류축(18a)을 기준하여 60˚ 회전된 상태로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따라서, 상기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블레이드조절용서보모터(18)를 정회전 구동시키면, 삼각형레크기어뭉치(16)의 타측에 형성된 볼스크류홈(16b)에 결합된 볼스크류축(18a)이 회전하면서 상기 삼각형레크기어뭉치(16)를 블레이드조절용서보모터(18) 측으로 수평이동시킨다.Therefore, when the blade
이와 같이 블레이드서보모터(18)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삼각형레크기어뭉치(16)가 수평이동하면, 상기 삼각형레크기어(16d)에 결합된(치합된) 상기 기어회전판(17)이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블레이드축(13a)의 블레이드(13) 회전각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상기 블레이드(13)는 상기 기어회전판(17)이 회전하는 만큼 회전을 하게 되는바, 상기 블레이드들(13)이 모두 동시에 똑같은 각도방향으로 회전하여 볼스크류축(18a)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When the triangular
상기의 블레이드조절용서보모터(18)의 구동은 일측으로 설치된 고성능밧데리(19a)와 블레이드조절용서보모터콘트롤(19)에 의해 무선으로 자동 제어된다.The drive of the blade
통상 전력생산시(풍속 2m/sec ~ 25m/sec)까지는 정격풍속으로 블레이드(13) 각도가 60˚를 유지하다가 태풍이나 강풍이 불 때는 내부에 설치되는 풍향계(26) 및 풍속계(26a)에 의하여 작동되어 풍향풍속신호전자회로장치(25)로부터 정격풍속 이상의 풍속으로 감지된다.Normal power production (wind speed 2m / sec ~ 25m / sec) until the
이와 같이 감지된 이상풍속신호를 블레이드조절용서보모터콘트롤판(19)으로 무선으로 전달되어 상기 블레이드조절용서보모터콘트롤판(19)의 제어에 의해 블레이드조절용서보모터(18)를 구동시켜 블레이드각도조절장치(15)를 작동하여 블레이드(13)를 0˚(볼스크류축(18a)과 평행하게 나란한 방향)로 회전시킨다.The abnormal wind speed signal sensed as described above is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blade adjustment servo
이와 같이 블레이드(13)의 방향이 바람의 방향과 일직선으로 됨으로써, 바람의 저항을 가능한 적게 받게 되며, 풍차(5)의 회전작동을 멈추도록 브레이크가 작동한다.In this way, the direction of the
상기와 같이 블레이드조절용서보모터(18)에 의해 가동되는 블레이드각도조절 장치(15) 및 블레이드(13)는 별도의 리모콘(도시생략)에 의해 자동 또는 수동으로 동작되어 작동이 편리하며, 설치나 고장시에도 수리가 매우 용이하다.As described above, the blade
한편, 상기와 같이 다수의 각도전환이 가능한 블레이드(13)를 갖는 블레이드 동체(12)가 전,후방으로 대칭되도록 결합 구성된 상부동체(10)의 내측 중앙으로는 회전축차동장치(20)가 설치되는바, 상기 회전축차동장치(20)는 전,후방의 블레이드동체(12)의 내측으로 설치된 삼각형레크기어뭉치(16)와 결합 고정되어 회전하는 전,후방의 입력의 회전축(22)의 회전력을 상기 출력의 회전축(22') 쪽으로 전달하고, 상기 출력의 회전축(22')은 스플라인수직회전축(42)에 전달한다.
상기 회전축차동장치(20)는 입력(入力)을 회전속도가 동등하지 않은 두 개의 분리된 출력(出力)으로 전달하는 장치 혹은 그 반대방향으로 입력과 출력을 전달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회전축차동장치(20)는 주지 관용의 기술 혹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회전축차동장치(20)는 전,후방 입력의 회전축(22)의 서로 상이한 회전력을 동일 회전속도의 출력으로 하여 출력의 회전축(22')에 전달하고, 그 회전력을 다시 스플라인수직회전축(42)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rotating shaft
The rotary shaft
상기 상부동체(10)의 하부로는 상부회전기둥(30)이 설치 형성되며, 상기 상부회전기둥(30)의 하단으로는 스윙기어(34)가 설치 형성되고, 상기 수직기둥(40)의 측면에는 펄스서브기어드모터(36)가 고정 설치되는바, 상기 스윙기어(34)에는 펄스서브기어드모터(36)의 서보모터기어(37)가 이맞물림되도록(치합되도록) 구성된다.An upper
상기 펄스서브기어드모터(36)는 상부동체(10)의 상부로 형성된 풍향풍속신호전자회로장치(25)의 풍향계(26)의 풍향감지신호가 콘트롤박스(56)로 전송되며, 풍향감지신호를 전송받은 콘트롤박스(56)에서는 상기 펄스서브기어드모터(36)를 구동 제어함에 따라 정,역회전하면서 스윙기어(34)를 회전시켜 상부회전기둥(30)을 좌,우(시계 혹은 반 시계방향)로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회전되는 각도는 좌,우 180˚에서 리미트캠스위치(도시 생략)에 의하여 정지된다.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부회전기둥(30)의 내부에는 스플라인수직회전축(42)이 내설되는 바, 스플라인수직회전축(42)은 회전축차동장치(20)의 출력의 회전축(22')에 연결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출력의 회전축(22')과 상기 스플라인수직회전축(42)은 유니버셜조인트 커플링(48)으로 연결된다. 상기 스플라인수직회전축(42) 하부에는 증속기(44)가 설치된다.The spline vertical
여기서, 상기 유니버셜조인트 커플링(48)은 바람에 의한 수직기둥(30)의 흔들림 또는 외부의 충격에 의한 흔들림이나 진동에서도 회전축차동장치(20)의 출력이 스플라인수직회전축(42)에 안정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니버셜조인트 커플링이란 축 이음(커플링)의 일종으로, 두 축이 비교적 떨어진 위치에 있는 경우나 두 축의 각도(편각)가 큰 경우에 이 두 축을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축이음(커플링)을 말한다. 이러한 유니버셜조인트 커플링은 공지의 기술 혹은 주지 관용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Herein, the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수직기둥(30)의 일측으로는 상기 수직기둥(30)의 내측 하부로 형성된 증속기(44)에 결합 구성된 스플라인수직회전축(42)과 직교하여 회전하는 수평회전축(46)이 설치된다. 상기 수평회전축(46)은 유니버셜조인트 커플링(48a)을 통해서 발전기(50)의 발전기 축(52)과 연결된다. 상기 유니버셜조인트 커플링(48a) 또한 공지 기술 혹은 주지 관용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refore, one side of the
상기 설치되는 발전기(50)는 저속용으로 4극, 6극, 8극, 12극, 24극, 32극 등 설치장소와 발전량에 따라 임의 설치된다.The
또, 상기 발전기(50)가 설치된 수직기둥(30)의 타측으로는 콘트롤박스(56)가 설치되어 풍향풍속신호전자회로장치(25)에 의한 풍향과 풍속을 감지하여 블레이드(13)의 각도조절, 상부동체(10)가 결합 구성된 상부회전기둥(30)의 회전 등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풍력발전기(1)의 운용을 제어한다.In addition, the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대풍력발전기의 사시도 및 평 면도를 보인 것으로, 본 발명의 대풍력발전기(1)를 구성하는 발전기(50)의 일측으로 제2 대풍력발전기(1a)를 수평으로 나란하게 설치시켜 구성된다.7 and 8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flat view of a large wind power generator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large wind power generator (1) to one side of the
이때, 대풍력발전기(1)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제2 대풍력발전기(1a)의 설치 간격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레이드(13)가 형성된 상부동체(10)가 회전할 때 서로 닿지 않을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한다.At this time, the installation interval of the second large wind power generator (1a)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large wind power generator (1) is so as not to touch each other when the
상기와 같이 설치된 다른 실시 예의 대풍력발전기는 상부동체(10)의 전,후방으로 설치 형성된 블레이드(13)가 대풍력발전기(1)와 일 측의 제2 대풍력발전기(1a)가 동시에 합쳐진 구동력으로 대용량의 발전을 할 수 있다.In the large win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force in which the
한편, 상기와 같이 한 대의 발전기(50)에 양측으로 형성된 대풍력발전기(1)와 일측의 제2 대풍력발전기(1a)가 동일 방향으로 회전을 하지만, 발전기축(52)으로 전달되는 회전방향은 제2 대풍력발전기(1a)의 수직기둥(40)의 내측 하부로 설치된 증속기(미도시)가 본 발명의 쌍방향 풍력발전기(1)에 설치된 증속기(44)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중간에서 전달되는 회전방향을 변환시켜 발전기축(52)으로 전달시켜줌으로써, 발전기(50)의 양측으로 형성된 발전기축(52)은 동일방향으로 회전을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larg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대풍력발전기(1)는 설치장소와 여건에 따라서 다수개를 연설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대풍력발전기(1)를 다수 연결하여 설치한 것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large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대풍력발전기(1)를 구성하는 발전기(50)를 일측으로만 설치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수직기둥(40)의 둘레부 수평방향 사방으로 다 수개 설치할 수도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상태를 보인 측면도.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블레이드각도조절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blade angle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블레이드각도조절장치를 보인 종단면도.Figure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blade angle adjustment device that is the mai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요부인 블레이드각도조절장치를 보인 종단면도.Figure 5a and Figure 5b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blade angle adjustment device that is the mai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펄스서브기어드모터부를 보인 개략적인 발췌사시도.Figure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lse sub geared moto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다익 다동체 대풍력발전기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multi-role multi-body large wind power generator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다익 다동체 대풍력발전기의 설치상태를 보인 평면도.8 is a plan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multi-role multi-body large wind power generator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삭제delet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대풍력발전기 5 풍차1 Large
10 상부동체 12 블레이드 동체10
12a 블레이드동체캡고정홀 13 블레이드12a Blade Body
삭제delete
14 블레이드홀더 15 블레이드각도조절장치14
16 삼각형레크기어뭉치 16a 회전축끼움홀16 Triangle
16b 볼스크류홀 16c 회전판안착홀16b
16d 삼각형레크기어 17 기어회전판16d
18 블레이드조절용서보모터 18a 볼스크류축18
삭제delete
20 회전축차동장치 22,22' 입출력의 회전축20 Rotary shaft
25 풍향풍속신호전자회로장치 26 풍향계25 Wind direction signal
30 상부회전기둥 34 스윙기어30
삭제delete
36 펄스서브기어드모터 37 서보모터기어36 Pulse Sub
40 수직기둥 42 스플라인수직회전축40
44 증속기 46 수평회전축44
48,48a 유니버셜조인트 커플링 50 발전기48,48a
52 발전기축 56 콘트롤박스52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17882A KR100960706B1 (en) | 2008-02-27 | 2008-02-27 | DAIC Multibody Large Wind Power Gener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17882A KR100960706B1 (en) | 2008-02-27 | 2008-02-27 | DAIC Multibody Large Wind Power Genera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92566A KR20090092566A (en) | 2009-09-01 |
KR100960706B1 true KR100960706B1 (en) | 2010-05-31 |
Family
ID=41301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17882A KR100960706B1 (en) | 2008-02-27 | 2008-02-27 | DAIC Multibody Large Wind Power Gener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60706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5438B1 (en) | 2011-12-20 | 2013-11-04 | 박찬희 | The wind power generator with fixed wind pan on the both sides of spin axis of generator |
KR101446106B1 (en) * | 2014-03-04 | 2014-10-06 | 허만철 | generate facilities using twin blade wind power generator of moving type |
WO2016085065A1 (en) * | 2014-11-28 | 2016-06-02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Floating-type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facility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7360B1 (en) * | 2011-09-23 | 2013-12-05 | (주) 코리아베스트 | Vertical Wind Power Generation Apparatus For High-efficiency |
CN106194574A (en) * | 2016-09-13 | 2016-12-07 | 北京驹创鼎盛科技发展有限公司 | Horizontal-shaft windmill, Wind turbine and the traction system of accumulation of energy filtering before electricity |
CN108678903A (en) * | 2018-08-28 | 2018-10-19 | 清华大学天津高端装备研究院洛阳先进制造产业研发基地 | A kind of wind turbine special power regulating device |
KR102026954B1 (en) * | 2019-07-31 | 2019-09-30 | 주식회사 니메 | System of wind focus type electricity from wind energy |
CN115324839A (en) * | 2022-09-13 | 2022-11-11 | 中国船舶重工集团海装风电股份有限公司 | A tandem double wind turbine wind turbine, transmission chain and installation method |
KR20240160369A (en) * | 2023-05-02 | 2024-11-11 | 주식회사 씨지오 | dual wind generato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506453A (en) * | 1990-02-09 | 1996-04-09 | Mccombs; John C. | Machine for converting wind energy to electrical energy |
KR200379582Y1 (en) * | 2004-11-03 | 2005-03-24 | 이정우 | Wind power generator with same axle seperatable rotation |
KR100717882B1 (en) | 2006-04-17 | 2007-05-14 | 김연조 | Wind power generator |
KR100737269B1 (en) | 2005-12-06 | 2007-07-12 | 허현강 | Large two-way wind power generator |
-
2008
- 2008-02-27 KR KR1020080017882A patent/KR10096070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506453A (en) * | 1990-02-09 | 1996-04-09 | Mccombs; John C. | Machine for converting wind energy to electrical energy |
KR200379582Y1 (en) * | 2004-11-03 | 2005-03-24 | 이정우 | Wind power generator with same axle seperatable rotation |
KR100737269B1 (en) | 2005-12-06 | 2007-07-12 | 허현강 | Large two-way wind power generator |
KR100717882B1 (en) | 2006-04-17 | 2007-05-14 | 김연조 | Wind power generator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5438B1 (en) | 2011-12-20 | 2013-11-04 | 박찬희 | The wind power generator with fixed wind pan on the both sides of spin axis of generator |
KR101446106B1 (en) * | 2014-03-04 | 2014-10-06 | 허만철 | generate facilities using twin blade wind power generator of moving type |
WO2016085065A1 (en) * | 2014-11-28 | 2016-06-02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Floating-type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facility |
US10584682B2 (en) | 2014-11-28 | 2020-03-10 |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 Floating-type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facilit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92566A (en) | 2009-09-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60706B1 (en) | DAIC Multibody Large Wind Power Generator | |
US20120061968A1 (en) | Burrell compound axial windmill | |
KR101230489B1 (en) | Blade of wind power generator | |
US9041240B2 (en) | Wind turbine apparatus | |
JP2011106298A (en) | Power generator | |
JP4822195B1 (en) | Wind power generator | |
US8710687B2 (en) | Wind turbine | |
JP2013510982A6 (en) | Wind power generation equipment | |
KR101313201B1 (en) | Windmill | |
CN201714564U (en) | Variable angle fan blade control device | |
CN103321829B (en) | Weighting swing single-blade wind generator | |
CN203362396U (en) | Double-transmission single-fan-blade wind-driven generator | |
CN103362747B (en) | A kind of small wind-driven generator | |
JP2003278639A (en) | Wind power generator | |
CN203362402U (en) | Double-column type single-fan-blade wind-driven generator | |
CN103195667B (en) | A kind of distributed hydraulic control frequency stabilized vertical-shaft wind machine power generating system | |
CN203362392U (en) | Fan blade pendent-type single-fan-blade wind-driven generator | |
KR101348774B1 (en) | Wind Power Generator | |
CN203362399U (en) | Vertical shaft windmill with H-type blades | |
CN212563520U (en) | Lengthened horizontal shaft windmill | |
CN203362404U (en) | Single-blade connecting rod type wind-driven generator | |
CN103321836B (en) | Single-blade wind-driven generator with pendent blade | |
GB2495745A (en) | Wind or tidal flow turbine | |
KR200412890Y1 (en) | Directional Key Structure of Wind Power Generator | |
CN116877353A (en) | A power supply device for small and medium-sized direct drive wind turbine blade testing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5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5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5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5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5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2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2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