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0631B1 - 온돌 시공용 몰딩 - Google Patents

온돌 시공용 몰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0631B1
KR100960631B1 KR1020100016519A KR20100016519A KR100960631B1 KR 100960631 B1 KR100960631 B1 KR 100960631B1 KR 1020100016519 A KR1020100016519 A KR 1020100016519A KR 20100016519 A KR20100016519 A KR 20100016519A KR 100960631 B1 KR100960631 B1 KR 100960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molding
vertical plate
laye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6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욱
Original Assignee
김종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욱 filed Critical 김종욱
Priority to KR1020100016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6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8Edge insulation strips, e.g. for floor screed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2Flooring or floor layers made of masses in situ, e.g. seamless magnesite floors, terrazzo gypsum floors
    • E04F15/14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 E04F15/142Dividing strips or boundary strips

Abstract

본 발명은 온돌 시공용 몰딩에 관한 것으로, 온돌의 보온층(41)과 마감층(42)을 각각 구성하는 발포콘크리트와 모르타르를 시공함에 있어서 벽체(31)와 바닥이 접하는 곳에 몰딩을 설치함으로써 시공면의 수평도와 평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또한 벽체(31)에 부착된 몰딩에 의하여 바닥면과 벽체(31)가 분리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로써, 이격 공간의 충격음 차단효과 및 바닥의 크랙현상 방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보온층(41) 및 마감층(42)의 평탄성 및 수평도를 제고함으로써 온돌 시공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시공 편의성 또한 확보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온돌 시공용 몰딩{MOLDING FOR HEATING FLO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온돌 시공시 벽체 하단부에 설치하는 몰딩에 관한 것으로, 온돌의 보온층(41)과 마감층(42)을 각각 구성하는 발포콘크리트와 모르타르를 시공함에 있어서 벽체(31)와 바닥이 접하는 곳에 몰딩을 설치함으로써 시공면의 수평도와 평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또한 벽체(31)에 부착된 몰딩에 의하여 바닥면과 벽체(31)가 분리되도록 하여 충격음을 차단하고 바닥면의 크랙 전파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시공시 바닥 구조체인 슬래브(Slab)의 완성 후 벽이나 기둥 등의 구조체 표면에 모르타르 등의 마감재료를 덧씌움으로써 구조체의 표면을 보호하고 불규칙한 구조체의 표면을 평활하게 하여 미관을 확보하는 미장공정을 실시한다.
미장공정에 있어서는 미장면의 수평, 수직도 및 평탄성이 매우 중요한데,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먹줄 등으로 시공면 기준선을 벽체 하단에 표시한 후 목측(目測)에 의하여 수평을 맞추는 방식으로 시공하였다.
그러나, 측면 벽체에 먹줄로 표시한 기준선은 타설된 모르타르에 의하여 식별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과정으로 설치된 바닥면은 수평 정도(精度)에 있어 심한 편차가 발생하게 되어, 후속 보수공정이 필요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온돌 시공 품질을 저하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온돌 시공시 벽체(31) 하단부에 설치되는 몰딩에 있어서, 배면에 접착층(19)이 형성된 수직판(11)과 수직판(11)의 전면 하부에 형성되고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중공(中空)인 구체(矩體)(12)로 구성되어, 온돌 시공시 수직판(11) 배면의 접착층(19)이 벽체 하단부에 부착되며, 수직판(11)의 상단에는 전면측으로 돌출된 상규준부(13)가 형성되고, 구체(矩體)(12)의 상단에는 전면측으로 돌출된 하규준부(1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 시공용 몰딩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온돌을 구성하는 보온층(41) 및 마감층(42)의 평탄성 및 수평도를 제고함으로써 온돌 시공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시공 편의성 또한 확보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벽체(31)와 보온층(41) 및 마감층(42)이 서로 분리됨으로써 바닥충격음이 벽체(31)를 통하여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어 층간소음을 저감할 수 있고, 바닥의 크랙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 부분 절단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시공방식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을 통한 온돌 시공 공정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온돌 시공용 몰딩은 도 1에서와 같이 배면에 접착층(19)이 형성된 수직판(11)과 수직판(11)의 전면 하부에 형성되고 직사각형 단면을 가진 중공(中空)의 구체(矩體)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전체적으로 보면 단면이 숫자 "6"의 형태와 유사한 긴 막대 모양으로 되어있으며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몰딩의 수직판(11)의 상단에 형성된 상규준부(13)는 전면측으로 돌출되어 마감층(42)을 형성하는 모르타르 타설시 수평을 맞추기 위한 기준선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하고, 수직판(11)의 전면 하부에 형성된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구체(矩體)(12)는 그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中空)의 형태로서 벽체(31)와 보온층(41)간 이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구체(12)의 상단에 전면측으로 돌출된 하규준부(14)는 보온층(41)을 형성하는 발포콘크리트 타설시 상규준부(13)의 역할과 같이 수평을 맞추기 위한 기준선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몰딩의 배면에는 벽체(31)에 부착할 수 있도록 접착제를 도포한 압축 스티로폴 또는 스펀지 등으로 접착층(19)을 구성하여 벽체(31)와 단열재(22) 바닥면이 접하게 되는 부위에 수직으로 부착하여 진동에도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작업과정을 나타낸 도 5를 살펴보면, 우선 슬래브(21)층 상에 단열재(22)를 설치하고, 벽체(31)와 단열재(22) 바닥면이 접하게 되는 부위에 몰딩을 부착한 후 몰딩과 바닥면이 접하게 되는 구체(矩體)(12)의 하단부에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실링재(29)로 마감처리를 하게 되는데, 이는 작업공정상 발생되는 수분이 구체(12) 하부로 유입될 시, 시공 후 곰팡이 발생의 원인이 되므로 이를 억제하기 위함이다.
이후 보온층(41)을 형성하기 위하여 발포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는데 몰딩의 하규준부(14)가 기준이 되도록 그 위치까지 보온층(41) 바닥면이 올라오도록 타설하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규준부(14)와 일치되도록 평탄작업을 하게 되면 보온층(41) 시공이 완료된다.
보온층(41)의 양생이 완료되면, 보온층(41) 위에 난방관(43)을 설치한 후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마감층(42)을 형성하도록 하는데, 이때에는 몰딩의 상규준부(13)가 기준이 되도록 하여 그 위치까지 마감층(42) 바닥면이 올라오도록 타설하며, 보온층(41)에서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상규준부(13)와 일치되도록 평탄작업을 하면 마감층(42) 설치작업을 마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열재(22) 위로 몰딩의 하규준부(14) 및 상규준부(13)에 일치된 보온층(41)과 마감층(42)이 형성된 다.
이렇듯, 본 발명인 온돌 시공용 몰딩은 벽체(31)와 보온층(41) 및 마감층(42)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하여 이격된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충격음을 충분히 분산 및 감쇄시키고, 바닥의 크랙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시공 편의성 확보를 통한 인건비 절감 및 공기 단축의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11 : 수직판
12 : 구체(矩體)
13 : 상규준부
14 : 하규준부
19 : 접착층
21 : 슬래브
22 : 단열재
29 : 실링재
31 : 벽체
41 : 보온층
42 : 마감층
43 : 난방관

Claims (2)

  1. 온돌 시공시 벽체(31) 하단부에 설치되는 몰딩에 있어서,
    배면에 접착층(19)이 형성된 수직판(11)과;
    수직판(11)의 전면 하부에 형성되고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중공(中空)인 구체(矩體)(12)로 구성되어, 온돌 시공시 수직판(11) 배면의 접착층(19)이 벽체(31) 하단부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 시공용 몰딩.
  2. 제1항에 있어서, 수직판(11)의 상단에는 전면측으로 돌출된 상규준부(13)가 형성되고;
    구체(矩體)(12)의 상단에는 전면측으로 돌출된 하규준부(1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 시공용 몰딩.
KR1020100016519A 2010-02-24 2010-02-24 온돌 시공용 몰딩 KR100960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519A KR100960631B1 (ko) 2010-02-24 2010-02-24 온돌 시공용 몰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519A KR100960631B1 (ko) 2010-02-24 2010-02-24 온돌 시공용 몰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0631B1 true KR100960631B1 (ko) 2010-06-07

Family

ID=42369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6519A KR100960631B1 (ko) 2010-02-24 2010-02-24 온돌 시공용 몰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63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261Y1 (ko) 2000-05-04 2000-11-01 주식회사평화기술감리단 접착 몰딩
KR100490757B1 (ko) 2004-08-06 2005-05-19 금강하이텍주식회사 이중바닥구조용 지지완충부재, 이를 이용한 충격음 저감을위한 이중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656091B1 (ko) 2005-06-09 2006-12-11 박민갑 중공 단면을 갖는 천장 몰딩재 및 이를 이용한 천장 몰딩재설치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261Y1 (ko) 2000-05-04 2000-11-01 주식회사평화기술감리단 접착 몰딩
KR100490757B1 (ko) 2004-08-06 2005-05-19 금강하이텍주식회사 이중바닥구조용 지지완충부재, 이를 이용한 충격음 저감을위한 이중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656091B1 (ko) 2005-06-09 2006-12-11 박민갑 중공 단면을 갖는 천장 몰딩재 및 이를 이용한 천장 몰딩재설치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51450B (zh) 一种建筑施工中悬挂式浇筑找平装置及浇筑方法
KR101558904B1 (ko) 단열콘크리트 구조 및 시공방법
KR101864428B1 (ko) 온수 난방용 건식온돌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CN202081616U (zh) 楼板隔音板
KR100960631B1 (ko) 온돌 시공용 몰딩
CN103225354B (zh) 一种吸音保温墙
KR101287987B1 (ko) 건축물용 벽체의 단열재 시공방법
KR20100123115A (ko) 건식 방수턱 및 이의 시공구조
CN107119864B (zh) 一种eps装饰构件及其施工工艺
KR101154885B1 (ko) 온돌 시공용 몰딩
RU2632617C2 (ru) Способ облицовки фасада перекрытий при монолитном строительстве зданий
KR200392664Y1 (ko) 기포 콘크리트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층간 방진단열바닥구조
KR20140132257A (ko) 건식온돌 시공구조 및 건식온돌 시공용 판넬
JPH0229152Y2 (ko)
KR101550712B1 (ko)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KR101308978B1 (ko) 슬라브 건조용 통풍판
JP2007504376A (ja) 建築用煉瓦
JP6865007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10351A (ko) 욕실용 타일부착 패널
KR100634983B1 (ko) 조립식 온돌패널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205617603U (zh) 填充墙墙体结构
JP7202210B2 (ja) 外壁のリフォーム方法
CN207739536U (zh) 一种室内墙体系统
KR20140133404A (ko) 건축용 모듈
KR102564307B1 (ko) 천장고 확보가 용이한 층간 소음 저감형 온돌층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