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0267B1 - 카메라 받침다리 - Google Patents

카메라 받침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0267B1
KR100960267B1 KR1020080058737A KR20080058737A KR100960267B1 KR 100960267 B1 KR100960267 B1 KR 100960267B1 KR 1020080058737 A KR1020080058737 A KR 1020080058737A KR 20080058737 A KR20080058737 A KR 20080058737A KR 100960267 B1 KR100960267 B1 KR 100960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disposed
slider member
slider
femal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8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2655A (ko
Inventor
신아람
김정원
Original Assignee
신아람
김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아람, 김정원 filed Critical 신아람
Priority to KR1020080058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267B1/ko
Publication of KR20090132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2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받침다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받침다리는, 제1 샤프트(31)의 하측내부에 끼워지는 제2 샤프트(32), 제2 샤프트(32)와 헛돌지 않게 제2 샤프트(32)의 하측내부에 끼워지는 제3 샤프트(33), 제1 샤프트(31)와 제2 샤프트(32)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샤프트(31)와 제2 샤프트(32)를 고정설정/고정 해제하는 제1 조인트(100), 제2 샤프트(32)와 제3 샤프트(33)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2 샤프트(32)와 제3 샤프트(33)를 고정설정/고정해 제하는 제2 조인트(200), 제1 샤프트(31)의 내부 상측에 고정되고 하단이 제2 샤프트(32)를 관통되게 배치되는 제1 슬라이더 부재(41) 및 제1 슬라이더 부재(41)와 길이방향으로 활주되게 제2 샤프트(32)에 헛돌지 않게 관통되어 배치되는 제2 슬라이더 부재(42);를 포함하고, 제1, 제2 조인트(100)(200)는 제1, 제2 암나사 부재(130)(230), 제1, 제2 암나사(130)(23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 제2 압착 링부재(120)(220), 제1, 제2 압착 링 부재(120)(220)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1, 제2 압착 링부재(120)를 관통하여 제1, 제2 암나사 부재(130)(230)에 체결되는 제1, 제2 수나사 부재(110)(210)를 포함한다.
카메라, 다리, 삼각다리, 받침다리, 신장, 신축, 조인트

Description

카메라 받침다리 {Camera support leg}
본 발명은 카메라 받침다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받침다리의 전체 길이가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하도록 하고 받침다리가 신장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받침다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비디오카메라, 망원경, 천체망원경 등과 같은 광학기기 또는 영상촬영기기를 받칠 때에는 받침다리가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받침다리는 다리의 개수에 따라 삼각다리 또는 모노다리로 구분될 수 있고, 그 받침다리는 대부분 다단으로 이루어지며 일측 단과 다른 단의 사이에는 조인트가 배치되며, 그러한 조인트를 조이고 풀어줌에 따라 받침다리의 전체길이를 늘리거나 줄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받침다리가 2군대 이상에 조인트가 배치될 때에 모든 조인트를 조이거나 풀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다리의 개수가 많을 때에는 조인트의 개수가 그만큼 더 늘어나게 되므로 더 많은 시간과 노동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받침다리에 복수 개의 조인트로 구성되더라도 한군데의 조인트에서 조이거나 또는 한군데 조인트에서 조임 해제를 행함으로써 다른 곳의 조인트를 동시에 고정되거나 고정된 것이 풀릴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받침다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받침다리는, 슈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 샤프트; 상기 제1 샤프트의 하측내부에 끼워지는 제2 샤프트; 상기 제2 샤프트와 헛돌지 않게 상기 제2 샤프트의 하측내부에 끼워지는 제3 샤프트; 상기 제1 샤프트와 상기 제2 샤프트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샤프트와 상기 제2 샤프트를 고정설정/고정 해제하는 제1 조인트; 상기 제2 샤프트와 상기 제3 샤프트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샤프트와 상기 제3 샤프트를 고정설정/고정해 제하는 제2 조인트; 상기 제1 샤프트의 내부 상측에 고정되고 하단이 상기 제2 샤프트를 관통되게 배치되는 제1 슬라이더 부재 및 상기 제1 슬라이 더 부재와 길이방향으로 활주되게 상기 제2 샤프트에 관통되어 배치되는 제2 슬라이더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인트는, 상기 제2 샤프트의 상단에 고정되는 제1 암나사 부재; 상기 제1 암나사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 압착 링부재; 상기 제1 압착 링 부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압착 링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암나사 부재에 체결되며 상기 제1 슬라이더 부재 또는 제2 슬라이더 부재가 관통되는 제1 수나사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조인트는, 상기 제3 샤프트의 상단에 고정되는 제2 암나사 부재; 상기 제2 암나사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압착 링부재; 상기 제2 압착 링 부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압착 링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암나사 부재에 체결되며 상기 제2 슬라이더 부재가 관통되는 제2 수나사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슬라이더 부재는, 평면에서 볼 때에 디귿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 일측에 가이드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슬라이더 부재는, 평면에서 볼 때에 디귿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가이드 홀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홀에 상기 가이드돌기가 배치되어 상기 제1 슬라이더 부재와 상기 제2 슬라이더 부재가 임으로 분리되지 않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슬라이더 부재와 상기 제2 슬라이더 부재가 대향되게 서로 끼워져 중첩되어 상기 제1 슬라이더 부재와 상기 제2 슬라이더 부재가 서로 헛돌지 않게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압착 링 부재 또는 상기 제2 압착 링 부재는, 우레탄 재질 또는 고무재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압착 링 부재 또는 상기 제2 압착 링 부재는, 단면형상을 볼 때에 내외표면은 외주연 방향 쪽으로 불룩하게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받침다리는 복수개의 조인트가 구성되더라도 복수개의 조인트 중에 상측의 조인트만을 조이거나 풀어줌으로써 다른 조인트가 조여지거나 풀려질 수 있는 것으로 더욱 신속하게 풀고 조임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 제2 조인트에서 제1, 제2 압착 링 부재가 압착되면서 외측으로 부풀려지고 그 부풀려지는 표면은 바깥쪽에 배치된 제1 샤프트 또는 제2 샤프트의 내면과 압착되면서 받침다리가 고정될 수 있고, 특히 받침다리의 길이가 임의의 위치에 있더라도 조임(고정)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받침다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받침다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받침다리에서 다리 조립체를 발췌하여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받침다리에서 조인트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침다리(10)는 슈(20)의 하측에 다리 조립체(30)가 배치된다.
상술한 슈(20)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샹략한다.
상술한 다리 조립체(30)는 슈(20)에서 절첩이 가능하게 배치된 것이고,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았으나 하나의 슈(20)에 하나의 다리 조립체(30)가 배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다리 조립체(30)는 첨부도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힌 다리 조립체(30)는 제1 샤프트(31), 제1 샤프트(31)의 하측내부에 끼워지는 제2 샤프트(32), 상술한 제2 샤프트(32)와 헛돌지 않게 상술한 제2 샤프트(32)의 하측내부에 끼워지는 제3 샤프트(33), 상술한 제1 샤프트(31)와 상술한 제2 샤프트(32)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술한 제1 샤프트(31)와 상술한 제2 샤프트(32)를 고정설정/고정 해제하는 제1 조인트(100), 상술한 제2 샤프트(32)와 상술한 제3 샤프트(33)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술한 제2 샤프트(32)와 상술한 제3 샤프트(33)를 고정설정/고정해 제하는 제2 조인트(200), 상술한 제1 샤프트(31)의 내부 상측에 고정되고 하단이 상술한 제2 샤프트(32)를 관통되게 배치되는 제1 슬라이더 부재(41) 및 상술한 제1 슬라이더 부재(41)와 길이방향으로 활주되게 상술한 제2 샤프트(32)에 관통되어 배치되는 제2 슬라이더 부재(42);를 포함한다.
상술한 제2 샤프트(32)와 제3 샤프트(33)는 서로 헛돌지 않게 조립되는데, 이를 첨부도면 도 2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 샤프트(33)의 한쪽에는 제2 샤프트(33)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홈(34)이 형성되고, 제2 샤프트(32)에는 상술한 가이드 홈(34)에 맞물리도록 가이드 부재(35)가 배치된다.
상술한 가이드 부재(35)는 일례로서 핀(pin)일 수도 있고, 가이드 홈(34)과 대응하게 볼록한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돌기는 제2 샤프트(32)의 길이방향으로 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제1 슬라이더 부재(41)는 도 2의 상세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별도의 칼럼(31b)에 장착된 체로 제1 샤프트(31)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고, 칼럼(31b)은 제1 슬라이더 부재(42)가 임의로 편향되지 않고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샤프트(31)의 하단과 상술한 제2 샤프트(32)의 상단에는 각각 제1 하단부(31a)와 제1 상단부(32a)가 형성될 수 있고, 제1 하단부(31a)와 제1 상단부(32a)는 서로 맞닿아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배치된다.
또한, 상술한 제2 샤프트(32)의 하단과 상술한 제3 샤프트(33)의 상단에는 각각 제2 하단부(32b)와 제2 상단부(33a)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하단부(32a)와 제2 상단부(33a)는 서로 맞닿아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배치된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제1, 제2 하단부(31a)(32b)와 상술한 제1, 제2 상단부(32a)(33a)는 제1, 제2, 제3 샤프트(31)(32)(33)의 단부가 밴딩되어 형성될 수 있고, 별도의 부시를 장착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며, 부시와 같은 별개품을 더 배치하는 것은 알려진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제1 슬라이더 부재(41)는 평면에서 볼 때에 디귿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 일측에 가이드 돌기(41a)가 돌출 형성된다.
즉, 상술한 제1 슬라이더 부재(41)는 도 3에 상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1 가이드 편(41b)이 제1 모서리(41c)를 중심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형상으로써 평면에서 볼 때에 마치 디귿자 형상처럼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술한 제2 슬라이더 부재(42)는, 평면에서 볼 때에 디귿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가이드 홀(42a)이 형성된다.
즉, 상술한 제2 슬라이더 부재(42)는 도 3에 상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2 가이드 편(42b)이 제2 모서리(42c)를 중심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형상으로써 평면에서 볼 때에 마치 디귿자 형상처럼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술한 가이드 홀(42a)은 제2 슬라이더 부재(4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술한 제1, 제2 슬라이더 부재(41)(42)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제1, 제2 가이드 편(41b)(42b)이 서로 중첩되게 조합되는 것이고, 상술한 가이드 홀(42a)에 가이드 돌기(41a)가 삽입되는 것으로써 제1 슬라이더 부재(41)에서 제2 슬라이더 부재(42)가 활주되고, 이때 가이드 돌기(41a)는 가이드홀(42a)의 내부에 배치됨으로서 가이드 홀(42a)의 범주 내에서만 활주가 가능하게 되어 임으로 제1, 제2 슬라이더 부재(41)(42)가 분리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제1 슬라이더 부재(41)는 제1 샤프트(31)의 내부에 고정됨으로써 임으로 회전되지 않는 것이고, 이때 제1 슬라이더 부재(41)와 제2 슬라이더 부재(42)는 서로 중첩되게 배치됨으로써 제2 슬라이더 부재(42)도 회전되지 않는 것이다.
즉 제1슬라이더 부재(41)와 제2 슬라이더 부재(42)는 서로 헛돌지 않고 길이방향으로 신장과 수축작용만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술한 제1 조인트(100)는, 상술한 제2 샤프트(32)의 상단에 고정되는 제1 암나사 부재(130), 상술한 제1 암나사(13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 압착 링부재(120), 상술한 제1 압착 링 부재(12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술한 제1 압착 링부재(120)를 관통하여 상술한 제1 암나사 부재(130)에 체결되며 상술한 제1 슬라이더 부재(41) 또는 제2 슬라이더 부재(42)가 헛돌지 않게 관통되는 제1 수나사 부재(110)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제1 압착 링 부재(120)의 상하측에는 제1, 제2 와셔(141)(142) 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압착 링 부재(120)는 우레탄 또는 고무재질일 수 있다.
또한, 도 2,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압착 링 부재(120)의 단면형상을 볼 때에 내외표면은 외주연 방향 쪽으로 불룩하게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제2 조인트(200)는, 상기 제3 샤프트(33)의 상단에 고정되는 제2 암나사 부재(230), 상기 제2 암나사(23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압착 링부재(220), 상기 제2 압착 링 부재(22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압착 링부재(220)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암나사 부재(230)에 체결되며 상기 제2 슬라이더 부재(42)가 헛돌지 않게 관통되는 제2 수나사 부재(210)를 포함한다.
상술한 제2 압착 링 부재(220)는 우레탄 또는 고무재질일 수 있다.
또한, 도 2,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압착 링 부재(220)의 단면형상을 볼 때에 내외표면은 외주연 방향 쪽으로 불룩하게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제1, 제2 압착 링 부재(120)(220)는 외측방향으로 불룩하게 형성됨으로써 제1, 제2 압착 링 부재(120)(220)가 압착되었을 때에 중앙 부분이 더욱 원활하게 외측방향으로 불룩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제2 수나사부재(110)(210)와 제1, 제2 암나사 부 재(130)(230)의 나선은 다줄 나선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받침다리(10)의 작용을 첨부도면 도 2 및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다리 조립체(30)가 수축된 상태에서 신장시킬 때에는 제1, 제2 조인트(100)(200)에서 고정 해제된 상태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제1, 제2 조인트(100)(200)에서 고정해제라 함은 제1 샤프트(31)에서 제2 샤프트(32)가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고, 또한 제2 샤프트(32)에서 제3 샤프트(33)가 자유롭게 이동 가능함으로 의미한다.
제1, 제2 조인트(100)(200)의 고정해제 상태를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제2 압착 링 부재(120)(220)는 압착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제1, 제2 압착 링 부재(120)(220)의 외표면은 제1 샤프트(31) 또는 제2 샤프트(32)의 내표면과 이격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즉, 제1 샤프트(31)가 멈춘 상태라면 제2 샤프트(32)가 움직일 수 있는 상태임으로 제1 샤프트(31)의 내부로 제2 샤프트(32)가 활주할 수 있고, 이때 제2 샤프트(32)가 제1 샤프트(31)의 내부로 진입하면 다리 조립체(30)는 수축되는 것이고, 제2 샤프트(32)가 제1 샤프트(31)의 외부로 진출하면 다리 조립체(30)는 신장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2 샤프트(32)가 멈춘 상태라면 제3 샤프트(33)가 움직일 수 있는 상태임으로 제2 샤프트(32)의 내부로 제3 샤프트(33)가 활주할 수 있고, 이때 제3 샤프트(33)가 제2 샤프트(32)의 내부로 진입하면 다리 조립체(30)는 수축되는 것이고, 제3 샤프트(33)가 제2 샤프트(32)의 외부로 진출하면 다리 조립체(30)는 신장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리 조립체(30)가 신장 또는 수축을 완료하고 그 완료된 상태를 유지하고자 할 때에는 다리 조립체(30)가 신장 또는 수축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되며, 이러한 고정은 제1, 제2 조인트(100)(200)에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제2 조인트(100)(200)의 고정이 설정되는 것을 첨부도면 도 5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제2 수나사 부재(110)와 제1, 제2 암나사 부재(130)(230)가 나사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 제2 수나사 부재(110) 또는 제1, 제2 암나사 부재(130)(230)를 회전시켜 주면 각각 제1, 2제 수나사 부재(110)와 제1, 제2 암나사 부재(130)(230)는 서로 조여지거나 풀려지게 된다.
이때 제1, 제2 수나사 부재(110)(210)와 제1. 제2 암나사 부재(130)(230)의 사이에 각각 제1, 제2 압착 링 부재(120)(220)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 제2 수나사 부재(110)(210)와 제1. 제2 암나사 부재(130)(230)가 서로 조여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각각의 제1, 제2 압착 링 부재(120)(220)는 압착되면서 도 5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불룩하게 변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제2 압착 링 부재(120)(220)는 외측방향으로 불룩하게 변형되면서 제1 샤프트(31) 또는 제2 샤프트(32)의 내면에 밀착되고 이러한 밀착은 압력이 가해지는 것으로 제1, 제2 조인트(100)(200)에서는 고정설정되는 것이 다.
즉 제1, 제2 압착 링 부재(120)(220)가 불룩하게 변형된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다리 조립체(30)는 신장 또는 수축이 되지 않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제1, 제2 조인트(100)(200)의 고정을 해제하고자 할 때에는 제1, 제2 수나사 부재(110)(210)와 제1. 제2 암나사 부재(130)(230)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상술한 제1 조인트(100)와 제2 조인트(200)는 동시에 고정이 설정되는 것으로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수나사 부재(110)와 제2 수나사 부재(220)는 각각 제1, 제2 가이드 홀(112)(212)이 형성되어 있고, 제1, 제2 가이드 홀(112)(212)에는 상술한 제1, 제2 슬라이더 부재(41)(42)가 관통되고 있으며, 이때 제1, 제2 슬라이더 부재(41)(42)는 제1, 제2 가이드 홀(112)(212)에서 헛돌지 않게 조립되어 있다.
즉, 제1 샤프트(31)와 제2 샤프트(32)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리면 제1 수나사 부재(110)와 제1 암나사 부재(130)는 조여지거나 풀려지는데, 이때 설명의 편의상 제1 샤프트(31)가 멈춘 상태이고 제2 샤프트(32)가 회전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며, 이와 반대로 제1 샤프트(31)가 회전되고 제2 샤프트(32)가 멈춰진 상태일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샤프트(32)가 회전하면, 제2 샤프트(32)에 고정된 제1 암나사 부재(130)가 회전하고 아울러 제2 암나사 부재(230)도 회전하게 된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 샤프트(31)가 회전이 멈춘 상태이므로 제1, 제2 슬라이더 부재(41)(42)는 회전하지 않고 멈춘 상태이고, 제2 샤프트(32)는 회전함으로써 제3 샤프트(33)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3 샤프트(33)에 고정된 제2 암나사 부재(230)는 회전하게 되고, 제2 슬라이더 부재(42)와 결합된 제2 수나사 부재(210)는 회전되지 않는 것으로서 결국 제2 수나사 부재(210)와 제2 암나사 부재(230)는 나사결합되어 있어서 조여지거나 풀려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샤프트(31)와 제2 샤프트(32)를 서로 비틀리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줌으로서 제1, 제2 조인트(100)(200)에서는 동시에 제1, 제2 압착 링 부재(120)(220)를 압착하거나 압착 해제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제1, 제2 조인트(100)(200)를 동시에 고정설정 및 고정해제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다리 조립체(10)의 길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에 복수 개의 조인트를 동시에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할 수 있어 더욱 신속하게 다리 조립체(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 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받침다리는 카메라, 비디오카메라, 망원경, 천체망원경 등의 광학기기 또는 영상촬영기기 등을 설치하는 곳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받침다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받침다리에서 다리 조립체를 발췌하여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받침다리에서 조인트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받침다리에서 제1 조인트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받침다리에서 제2 조인트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받침다리 20: 슈
30: 다리 조립체 31: 제1 샤프트
31a: 제1 하단부 31b: 칼럼
32: 제2 샤프트 32a: 제1 상단부
32b: 제2 하단부 33: 제3 샤프트
33a: 제2 상단부 34: 가이드 홈
35: 가이드 부재
41: 제1 슬라이더 부재 41a: 가이드 돌기
41b: 제1 가이드 편 41c: 제1 모서리
42: 제2 슬라이더 부재 42a: 가이드 홀
42b: 제2 가이드 편 42c: 제2 모서리
50: 받침 패킹
100, 200: 제1, 제2 조인트 110, 210: 제1, 제2 수나사 부재
111, 211: 제1, 제2 턱 112, 212: 제1, 제2 가이드 홀
120, 220: 제1, 제2 압착 링부재 130, 230: 제1, 제2 암나사 부재
131, 231: 제2, 제4 턱
141, 142, 241, 242: 제1, 제2, 제3, 제4 와셔

Claims (4)

  1. 슈(2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 샤프트(31);
    상기 제1 샤프트(31)의 하측내부에 끼워지는 제2 샤프트(32);
    상기 제2 샤프트(32)와 헛돌지 않게 상기 제2 샤프트(32)의 하측내부에 끼워지는 제3 샤프트(33);
    상기 제1 샤프트(31)와 상기 제2 샤프트(32)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샤프트(31)와 상기 제2 샤프트(32)를 고정설정/고정 해제하는 제1 조인트(100);
    상기 제2 샤프트(32)와 상기 제3 샤프트(33)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샤프트(32)와 상기 제3 샤프트(33)를 고정설정/고정해 제하는 제2 조인트(200);
    상기 제1 샤프트(31)의 내부 상측에 고정되고 하단이 상기 제2 샤프트(32)를 관통되게 배치되는 제1 슬라이더 부재(41) 및
    상기 제1 슬라이더 부재(41)와 길이방향으로 활주되게 상기 제2 샤프트(32)에 관통되어 배치되는 제2 슬라이더 부재(4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인트(100)는,
    상기 제2 샤프트(32)의 상단에 고정되는 제1 암나사 부재(130);
    상기 제1 암나사(13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 압착 링부재(120);
    상기 제1 압착 링 부재(12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압착 링부재(120)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암나사 부재(130)에 체결되며 상기 제1 슬라이더 부재(41) 또는 제2 슬라이더 부재(42)가 헛돌지 않게 관통되는 제1 수나사 부재(110);를 포 함하며,
    상기 제2 조인트(200)는,
    상기 제3 샤프트(33)의 상단에 고정되는 제2 암나사 부재(230);
    상기 제2 암나사(23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압착 링부재(220);
    상기 제2 압착 링 부재(22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압착 링부재(220)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암나사 부재(230)에 체결되며 상기 제2 슬라이더 부재(42)가 헛돌지 않게 관통되는 제2 수나사 부재(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받침다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더 부재(41)는, 평면에서 볼 때에 디귿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 일측에 가이드 돌기(41a)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슬라이더 부재(42)는, 평면에서 볼 때에 디귿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가이드 홀(42a)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홀(42a)에 상기 가이드돌기(41a)가 배치되어 상기 제1 슬라이더 부재(41)와 상기 제2 슬라이더 부재(42)가 임으로 분리되지 않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슬라이더 부재(41)와 상기 제2 슬라이더 부재(42)가 대향되게 서로 끼워져 중첩되어 상기 제1 슬라이더 부재(41)와 상기 제2 슬라이더 부재(42)가 서로 헛돌지 않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받침다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착 링 부재(120) 또는 상기 제2 압착 링 부재(220)는,
    우레탄 재질 또는 고무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받침다리.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착 링 부재(120) 또는 상기 제2 압착 링 부재(220)는,
    단면형상을 볼 때에 내외표면은 외주연 방향 쪽으로 불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받침다리.
KR1020080058737A 2008-06-23 2008-06-23 카메라 받침다리 KR100960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737A KR100960267B1 (ko) 2008-06-23 2008-06-23 카메라 받침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737A KR100960267B1 (ko) 2008-06-23 2008-06-23 카메라 받침다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655A KR20090132655A (ko) 2009-12-31
KR100960267B1 true KR100960267B1 (ko) 2010-06-04

Family

ID=41691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8737A KR100960267B1 (ko) 2008-06-23 2008-06-23 카메라 받침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26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655A (ko) 2009-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0660U (ja) センターロック及びテント
US20190128471A1 (en) Tripod assembly
US8832910B2 (en) Locking device for pole
JP6438076B2 (ja) センターロック及びテント
US20120014744A1 (en) Support Head Assembly
CA2669306C (en) Fasteners and spacer rings therefor
TWI659231B (zh) 透鏡配置及包含透鏡配置之監視攝像機
CN105378558B (zh) 伸缩装置
KR20140106960A (ko) 파이프 진원도 교정용 지그
KR100960267B1 (ko) 카메라 받침다리
JP5775718B2 (ja) 下段部材の固定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流体制御装置
JP2010223422A (ja) 管接続用押輪アセンブリー
KR101514836B1 (ko) 접철식 폴대
CN105378557B (zh) 伸缩装置
KR101788002B1 (ko) 파이프용 커플링
KR20120015192A (ko) 압착형 연결배관의 압착공구
KR20190090996A (ko) 길이조절형 삼각대
JP2009210693A (ja) 光学素子保持装置
KR102214055B1 (ko) 프로파일용 판 고정구
KR200476588Y1 (ko) 다단 파이프 인출식 지팡이의 이중 고정장치
KR101542232B1 (ko) 조립식 방갈로 골조
KR101503320B1 (ko) 확관가공장치
US11668112B2 (en) Tent
JP4731997B2 (ja) パイプの継手部材
KR200462298Y1 (ko)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경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