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0076B1 - 전기매트용 부직포의 전열선 배열장치 - Google Patents

전기매트용 부직포의 전열선 배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0076B1
KR100960076B1 KR1020070122461A KR20070122461A KR100960076B1 KR 100960076 B1 KR100960076 B1 KR 100960076B1 KR 1020070122461 A KR1020070122461 A KR 1020070122461A KR 20070122461 A KR20070122461 A KR 20070122461A KR 100960076 B1 KR100960076 B1 KR 100960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guide means
heating wire
nonwoven fabric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2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5702A (ko
Inventor
진추조
Original Assignee
진추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추조 filed Critical 진추조
Priority to KR1020070122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076B1/ko
Publication of KR20090055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5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매트에 내장되어 발열하는 전열선을 부직포에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배열하는 전기매트용 부직포의 전열선 배열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그 구성은 작업테이블(T) 상에 설치된 베이스(10) 상에 상향하는 하부가이드 홈(33)과 하향하는 상부가이드 홈(23)이 형성된 돌출부(22,32)가 상호 톱니 결합방식으로 결합되게 다수의 상/하부레일(21,31)을 등 간격으로 배열하여 된 상/하부바늘가이드수단(20,30)과, 상기 상/하부바늘가이드수단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직포(40)와, 상기 상/하부가이드 홈을 따라 부직포를 관통하며 진행되는 전열선이 꿰어진 바늘(50)과, 상기 바늘의 원활한 진행을 유도하는 하부레일에 설치된 바늘이송수단(60)과, 상기 상부레일의 양 단부에 설치되어 바늘을 회전시키는 바늘회전수단(70)과, 상기 작업테이블에 설치되어 상부바늘가이드수단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수단(80)으로 구성되는 전기매트용 부직포의 전열선 배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테이블 상에 설치된 베이스(10)의 크기는 2개의 전열선배열 부직포를 한 번에 생산할 수 있는 더블사이즈이고, 그 더블사이즈의 베이스 및 베이스의 상부에는 상/하부바늘가이드수단(20,30)이 2셋트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바늘이송수단(60)은 각 하부레일(31)의 중앙부 측면에 연속 설치되어 하부바늘가이드수단(30)의 중앙을 가로지르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바늘가이드수단의 일 측에는 전열선이 꿰어진 바늘(50)을 상기 상/하부바늘가이드수단의 입구에 공급하는 2개의 바늘공급수단(90)과 상기 상/하부바늘가이드수단의 진행하고 배출하는 2개의 바늘배 출수단(90a)이 설치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전기매트. 부직포. 전열선배열. 생산성향상. 대량생산

Description

전기매트용 부직포의 전열선 배열장치 {HEAT WIRE ARRAY APPARATUS FOR ELETRIC MAT}
본 발명은 전기매트에 내장되어 발열하는 전열선을 부직포에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배열하는 전기매트용 부직포의 전열선 배열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한 번의 작업으로 복수의 전기매트를 생산 할 수 있는 복수장의 전열선배열부직포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장판, 전기요, 전기매트(이하 "전기매트"라 함)등은 내부에 전열선이 배열된 부직포를 내장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상기 부직포에 전열선을 배열하는 방법은 부직포 사이에 전열선을 일정 간격으로 배열한 다음 상기 부직포를 상호 접착하거나 또는 부직포에 수작업으로 전열선을 바느질 형식으로 떠서 배열시키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은 전기매트의 사용도중 전열선이 배열위치로부터 쉽게 위치 이탈하여 전기매트의 균일한 열전달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함은 물론, 상기 전열선의 위치이탈로 인하여 전열선 끼리 꼬이게 되어 합선 등으로 인한 화재발생의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본 발명자)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특허출원번호 제2005-40673호의 "전기매트의 전열선 설치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였으나 상기 본 출원인의"전기매트의 전열선 설치장치"문제점은 한 번의 작업으로 하나의 전기매트를 생산 할 수 있는 1장의 전열선배열부직포를 생산할 수밖에 없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전기매트의 사용도중 전열선이 배열위치로부터 쉽게 위치 이탈하여 전기매트의 균일한 열전달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 및 상기 전열선의 위치이탈로 인하여 전열선 끼리 꼬이게 되어 합선 등으로 인한 화재발생, 그리고 한 번의 작업으로 하나의 전기매트를 생산 할 수 있는 1장의 전열선배열부직포를 생산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상기 전기매트의 사용도중 전열선이 배열위치로부터 위치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됨은 물론, 한 번의 작업으로 복수의 전기매트를 생산 할 수 있는 복수장의 전열선배열부직포를 생산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전기매트용 부직포의 전열선 배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단은 작업테이블(T) 상에 설치된 베이스(10) 상에 상향하는 하부가이드 홈(33)과 하향하는 상부가이드 홈(23)이 형성된 돌출부(22,32)가 상호 톱니 결합방식으로 결합되게 다수의 상/하부레일(21,31)을 등 간격으로 배열하여 된 상/하부바늘가이드수단(20,30)과, 상기 상/하부바늘가이드수단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직포(40)와, 상기 상/하부가이드 홈을 따라 부직포를 관통하며 진행되는 전열선이 꿰어진 바늘(50)과, 상기 바늘의 원활한 진행을 유도하는 하부레일에 설치된 바늘이송수단(60)과, 상기 상부레일의 양 단부에 설치되어 바늘을 회전시키는 바늘회전수단(70)과, 상기 작업테이블에 설치되어 상부바늘가이드수단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수단(80)으로 구성되는 전기매트용 부직포의 전열선 배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테이블 상에 설치된 베이스(10)의 크기는 2개의 전열선배열 부직포를 한 번에 생산할 수 있는 더블사이즈이고, 그 더블사이즈의 베이스 및 베이스의 상부에는 상/하부바늘가이드수단(20,30)이 2셋트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바늘이송수단(60)은 각 하부레일(31)의 중앙부 측면에 연속 설치되어 하부바늘가이드수단(30)의 중앙을 가로지르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바늘가이드수단의 일 측에는 전열선(C)이 꿰어진 바늘(50)을 상기 상/하부바늘가이드수단의 입구에 공급하는 2개의 바늘공급수단(90)과 상기 상/하부바늘가이드수단의 진행하고 배출하는 2개의 바늘배출수단(90a)이 설치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바늘공급수단(90)은 하부레일(31)의 시작지점인 입구에 한 쌍의 공급 휠(91)이 상호 연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공급 휠(91)중 어느 일 측의 회전 휠에는 모터(92)가 설치되며, 상기 바늘배출수단(90a)은 하부레일(31)의 시작지점인 입구에 한 쌍의 배출 휠(91a)이 상호 연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배출 휠(91a)중 어느 일 측의 배출 휠에는 모터(92a)가 설치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전기매트의 사용도중 전열선이 배열위치로부터 위치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됨은 물론, 한 번의 작업으로 복수의 전기매트를 생산 할 수 있는 복수장의 전열선배열부직포를 생산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여 대량생산할 수 있음으로 전기매트의 소비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장치는 구조가 간단하여 장치제작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1인이 작업할 수 있음으로 생산원가를 낮추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작업테이블(T)은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장의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허리를 굽히지 않고 서서 작업할 수 있는 높이)를 유지하도록 마련되고 상기와 같이 마련된 상기 작업테이블(T)은 작업장에 고정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작업테이블(T)의 상부에는 평판형의 베이스(10)가 설치되는데 그 베이스(10)의 크기는 2개의 전기매트를 만들 수 있는 2개의 전열선배열 부직 포(40)를 한 번에 생산할 수 있도록 더블사이즈로 함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하기에서 설명되는 상/하부바늘가이드수단(20,30)을 2셋트 설치하여 한 번의 작업으로 2장의 전열선배열부직포를 생산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생산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상기 베이스(10)에는 홈부(34)와 상향하는 하부가이드 홈(33)이 형성된 돌출부(32)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하부레일(31)을 등 간격으로 다수 개 배열하여 된 하부바늘가이드수단(30)을 마련하는데 상기 하부바늘가이드수단(30)은 2셋트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바늘가이드수단(30)의 상부에는 하향하는 상부가이드 홈(23)이 형성된 돌출부(22)와 홈부(24)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상부레일(21)을 등 간격으로 다수 개 배열하여 된 상부바늘가이드수단(20)을 마련하는데 상기 상부바늘가이드수단(20)은 상기 하부바늘가이드수단(30)과 상호 마주대하게 2셋트 설치한다. 단 상기 다수의 상부레일(21)은 고정바(25)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상기 상/하부바늘가이드수단(20,30)을 2개씩 설치하는 이유는 상기에서 설명하였듯이 한 번의 작업으로 2장의 전열선배열부직포를 생산하여 생산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상기 상부바늘가이드수단(20)을 형성하는 상부레일(21)은 도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돌출부(22)와 홈부(24)가 형성되는데, 상기 돌출부(22)에는 하향하는 상부가이드 홈(23)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하부바늘가이드수단(30)을 형성하는 하부레일(31)은 상기 상부레일(21)과 톱니 결합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돌출부(32)와 홈부(34)가 형성되는데, 상기 돌출부(32)에는 상향하는 하부가이드 홈(3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레일(31)의 돌출부(32)는 도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레일(21)의 홈부(24)와 결합되고 하부레일(31)의 홈부(34)는 상부레일(21)의 돌출부(22)와 결합되어 상부레일(21)의 상부가이드 홈(23)과 하부레일(31)의 하부가이드 홈(33)이 상호 연통된다. 따라서 그 연통된 각각의 상/하부가이드 홈(23,33)에는 하기에서 설명되는 전열선(C)이 꿰어진 바늘(50)이 진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톱니 결합방식으로 결합되어진 상/하부바늘가이드수단(20,30)의 사이에는 부직포(40)가 개재되기 때문에 상기 각 상/하부가이드 홈(23,33)을 진행되는 전열선(C)이 꿰어진 바늘(50)은 상기 부직포(40)를 관통하며 진행하기 때문에 전열선(C)은 자연히 부직포(40)에 등 간격으로 꿰어진 상태로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열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레일(31)의 중앙부에는 바늘의 원활한 이송을 유도하기 위하여 바늘이송수단(60)이 설치되는데, 그 바늘이송수단(60)은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하부레일(31) 중앙부 양측에 한 쌍의 회전 휠(61)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 휠(61)중 어느 일 측의 회전 휠에는 모터(62)가 설치되어 회전 휠을 회전시키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모터(62)가 설치된 일 측의 회전 휠과 타 측의 회전 휠 간에는 모터(62)의 동력을 전달받아 연동하도록 구성되는데, 그 구성 요소는 각각의 회전 휠(61)을 기어형태로 하여 톱니 결합되거나 또는 벨트(체인, 타이밍벨트)를 이용하 여 상호 연동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회전 휠(61)의 사이를 통과하는 바늘(50)은 회전 휠(6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하부가이드 홈(23,33)을 원활하게 진행하게 되고 그에 따라 부직포(40)를 용이하게 관통하며 전열선을 배열하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각 상부레일(21)의 양 단부에는 바늘(50)을 회전시키는 바늘회전수단(70)이 설치되는데 그 바늘회전수단(70)을 설치하는 이유는 각각의 상/하부레일(21,31)에 형성된 상/하부가이드 홈(23,33)을 통과한 바늘을 다음단계의 상/하부가이드 홈(23,33)에 인도하기 위해서이다.
상기의 작용을 하는 바늘회전수단(70)의 구성은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상부레일(21)과 상부레일(21)의 끝 단부 사이에 바늘회전유도 휠(71)이 설치되고, 그 바늘회전유도 휠(71)의 외측에는 인접한 각 상부레일(21)의 끝단을 상호 연결하는 반원형의 바늘가이드(72)가 설치되며 상기 바늘가이드(72)의 내측 면 즉 바늘회전유도 휠(71)측을 향하는 면은 개방되어있다. 그 이유는 바늘(50)의 몸체 일 측면이 바늘회전유도 휠(71)과 면 접촉되어 바늘(50)의 원활한 회전을 유도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상기 바늘가이드(72)를 설치하는 이유는 바늘(50)의 회전시 그 바늘(50)의 이탈 방지하기 위함이고, 상기 바늘회전유도 휠(71)을 설치하는 이유는 회전되는 바늘(50)에 회전력(진행력)을 부여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각 상부레일(21)의 양 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각각의 바늘회전유도 휠(71)의 중앙에는 축(73)이 설치되고 그 축(73)의 끝단에는 동력전달 휠(74)이 설 치되며, 상기 동력전달 휠(74)에는 모터(75)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76)인 와이어 또는 체인이나 타임벨트가 연결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75)가 회전되면 동력전달부재(76)가 이동을 하게 되고 그에 따라 동력전달 휠(74)이 회전되면서 축(73)과 함께 바늘회전유도 휠(71)이 회전되어 바늘가이드(72)의 안내를 받으면 바늘(50)을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후단에 전열선이 꿰어진 바늘(50)은 부직포(40)를 등 간격으로 관통하며 각각의 상/하부레일(21,31)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전열선을 부직포에 배열하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각각의 상/하부레일(21,31)을 순차적으로 진행한 바늘(50)은 상부 또는 하부바늘가이드수단(20,30)의 입구에 설치된 바늘배출수단(90a)을 통하여 배출되고 그 배출이 완료 되면 상기 후단에 꿰어진 전열선을 절단하거나 바늘(50)로부터 분리하면 된다.
또 상기 부직포(40)에 전열선을 배열하기 위한 초기 작업인 전열선이 꿰어진 바늘(50)을 공급할 때에는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또는 하부바늘가이드수단(20,30)의 입구에 설치된 바늘공급수단(90)을 통하여 공급하면 되고 그 공급된 바늘(50)은 바늘회전수단(70) 및 바늘이송수단(60)에 의해 상/하부레일(21,31)을 순차적으로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바늘공급수단(90)의 구성은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바늘가이드수단(30)의 일 측에 설치함이 바람직하고, 그 구성은 하부레일(31)의 시작지점인 입구에 한 쌍의 공급 휠(91)이 설치되고 상기 공급 휠(91)중 어느 일 측의 회전 휠에 는 모터(92)가 설치되어 공급 휠을 회전시키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모터(92)가 설치된 일 측의 공급 휠과 타 측의 공급 휠 간에는 모터(92)의 동력을 전달받아 연동하도록 구성되는데, 그 구성 요소는 각각의 공급 휠(91)을 기어형태로 하여 톱니 결합되거나 또는 벨트(체인, 타이밍벨트)를 이용하여 상호 연동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공급 휠(91)의 사이로 전열선(C)이 꿰어진 바늘(50)이 공급되면 그 바늘(50)은 공급 휠(9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하부가이드 홈(23,33)을 원활하게 진행하게 되고 그에 따라 부직포(40)를 용이하게 관통하며 전열선을 배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바늘공급수단(90)은 2개가 설치되는데 그 이유는 상/하부레일(21,31) 사이에 2개의 전열선배열 부직포(40)를 한 번에 생산할 수 있도록 더블사이즈로 개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 상기 바늘배출수단(90a)도 2개가 설치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2개의 바늘공급수단(90)으로 공급된 각각의 바늘(50)이 각각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바늘배출수단(90a)의 구성은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레일(31)의 시작지점인 입구에 한 쌍의 배출 휠(91a)이 설치되고 상기 배출 휠(91a)중 어느 일 측의 배출 휠에는 모터(92a)가 설치되어 배출 휠을 회전시키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모터(92a)가 설치된 일 측의 배출 휠과 타 측의 배출 휠 간에는 모터(92a)의 동력을 전달받아 연동하도록 구성되는데, 그 구성 요소는 각각의 배출 휠(91a)을 기어형태로 하여 톱니 결합되거나 또는 벨트(체인, 타이밍벨트)를 이용 하여 상호 연동하도록 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하여 상/하부레일(21,31)사이에 개재된 부직포(40)에 전열선의 배열이 완료되면 작업테이블(T)에 설치된 승/하강수단(80)을 작동시켜 상기 상부바늘가이드수단(20)을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들어 올리고 전열선이 배열된 부직포(40)를 인출하면 되는데, 상기 인출된 부직포(40)는 도9의 상태가 된다.
상기 도9의 부직포는 좌우 양측으로 전열선(C)이 1셋트 씩 배열되어 2셋트가 형성된 것으로 그를 각 1셋트씩 사용하기 위해서는 중앙부의 A-A선을 따라 절단하여 사용하면 된다.
상기 승/하강수단(80)의 구성은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81)와 그 실린더(81)의 로드와 연결 설치되는 이동바(82) 및 상기 이동바(82)와 고정바(25)를 연결 설치하는 고정부재(8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바늘(50)의 구성은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추형의 헤드(51)와, 그 헤드(51)의 후단과 연결 설치되며 소정의 길이를 갖는 스프링 또는 플렉시블한 형태의 몸체(52) 및 상기 몸체(52)의 후단과 연결 설치되며 전열선이 꿰어 고정되는 전열선고정구(53)가 몸체(52)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헤드(51)를 원추형으로 하는 이유는 부직포(40)를 천공하며 상/하부가이드 홈(23,33)을 원활하게 진행하도록 하기 위함이고, 몸체(52)를 스프링 또는 플렉시블한 형태로 하는 이유는 반원형의 바늘가이드(72)를 통과할 때에 용이하게 절곡되어 원활하게 진행하도로 하기 위함이고, 상기 전열선고정구(53)가 몸체(52)로 부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유는 전열선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상/하부가이드수단(20,30)을 형성하는 상/하부레일(21,31)의 배열간격은 부직포(40)에 배열되는 전열선의 배열 간격이 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3-10cm 간격으로 함이 좋다.
도1은 본 발명의 전기매트용 부직포의 전열선 배열장치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전기매트용 부직포의 전열선 배열장치 평면도,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상/하부레일 구조를 설명하는 발췌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열선의 배열상태를 나타낸 발췌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늘이송수단을 나타낸 발췌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늘회전수단을 나타낸 발췌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바늘의 발췌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늘공급 및 바늘배출수단을 나타낸 발췌도,
도9는 본 발명에 의해 전열선이 배열된 부직포의 발췌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베이스 20 : 상부바늘가이드수단
21 : 상부레일 22 : 돌출부
23 : 상부가이드 홈 24 : 홈부
25 : 고정바 30 : 하부바늘가이드수단
31 : 하부레일 32 : 돌출부
33 : 하부가이드 홈 34 : 홈부
40 ; 부직포 50 : 바늘
51 : 헤드 52 : 몸체
53 : 전열선고정구 60 : 바늘이송수단
61 : 회전 휠 62 : 모터
70 : 바늘회전수단 71 : 바늘회전유도 휠
72 : 바늘 가이드 73 : 축
74 : 동력전달 휠 75 : 모터
76 : 동력전달부재 80 : 상/하강수단
81 : 실린더 82 : 이동바
83 : 고정부재 90 : 바늘공급수단
91 : 공급 휠 92 : 모터
90a : 바늘배출수단 91a : 배출 휠
92a : 모터

Claims (3)

  1. 작업테이블(T) 상에 설치된 베이스(10) 상에 상향하는 하부가이드 홈(33)과 하향하는 상부가이드 홈(23)이 형성된 돌출부(22,32)가 상호 톱니 결합방식으로 결합되게 다수의 상/하부레일(21,31)을 등 간격으로 배열하여 된 상/하부바늘가이드수단(20,30)과, 상기 상/하부바늘가이드수단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직포(40)와, 상기 상/하부가이드 홈을 따라 부직포를 관통하며 진행되는 전열선이 꿰어진 바늘(50)과, 상기 바늘의 원활한 진행을 유도하는 하부레일에 설치된 바늘이송수단(60)과, 상기 상부레일의 양 단부에 설치되어 바늘을 회전시키는 바늘회전수단(70)과, 상기 작업테이블에 설치되어 상부바늘가이드수단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수단(80)으로 구성되는 전기매트용 부직포의 전열선 배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테이블(T) 상에 설치된 베이스(10)의 크기는 2개의 전열선배열 부직포를 한 번에 생산할 수 있는 더블사이즈이고, 그 더블사이즈의 베이스(12) 및 베이스(10)의 상부에는 상/하부바늘가이드수단(20,30)이 2셋트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바늘이송수단(60)은 각 하부레일(31)의 중앙부 측면에 연속 설치되어 하부바늘가이드수단(30)의 중앙을 가로지르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바늘가이드수단(30)의 일 측에는 전열선이 꿰어진 바늘(50)을 상기 상/하부바늘가이드수단(20, 30)의 입구에 공급하는 2개의 바늘공급수단(90)과, 상기 상/하부바늘가이드수단(20, 30)으로 공급되어 상/하부 가이드홈(23, 33)을 따라 진행하고 배출하는 2개의 바늘배출수단(90a)이 설치되었으며,
    상기 바늘공급수단(90)은 하부레일(31)의 시작지점인 입구에 한 쌍의 공급 휠(91)이 상호 연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공급 휠(91)중 어느 일 측의 회전 휠에는 모터(92)가 설치되며,
    상기 바늘배출수단(90a)은 하부레일(31)의 시작지점인 입구에 한 쌍의 배출 휠(91a)이 상호 연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배출 휠(91a)중 어느 일 측의 배출 휠에는 모터(92a)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매트용 부직포의 전열선 배열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070122461A 2007-11-29 2007-11-29 전기매트용 부직포의 전열선 배열장치 KR100960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461A KR100960076B1 (ko) 2007-11-29 2007-11-29 전기매트용 부직포의 전열선 배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461A KR100960076B1 (ko) 2007-11-29 2007-11-29 전기매트용 부직포의 전열선 배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702A KR20090055702A (ko) 2009-06-03
KR100960076B1 true KR100960076B1 (ko) 2010-05-31

Family

ID=40987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2461A KR100960076B1 (ko) 2007-11-29 2007-11-29 전기매트용 부직포의 전열선 배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0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603Y1 (ko) 2005-05-24 2005-08-24 조춘영 전열매트용 전열선 봉착기
KR200427207Y1 (ko) 2006-07-12 2006-09-25 손남옥 전열선 봉착기
KR20060118159A (ko) * 2005-05-16 2006-11-23 진추조 전기매트의 전열선 설치방법 및 그 장치
KR100660931B1 (ko) 2005-08-26 2006-12-26 창 남궁 전기매트용 열선 자동 봉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8159A (ko) * 2005-05-16 2006-11-23 진추조 전기매트의 전열선 설치방법 및 그 장치
KR200393603Y1 (ko) 2005-05-24 2005-08-24 조춘영 전열매트용 전열선 봉착기
KR100660931B1 (ko) 2005-08-26 2006-12-26 창 남궁 전기매트용 열선 자동 봉착장치
KR200427207Y1 (ko) 2006-07-12 2006-09-25 손남옥 전열선 봉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702A (ko)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22751B (zh) 薄型袋装垫子及其制造方法和装置
KR101518670B1 (ko) 저주파 또는 초음파와 온열 상호간의 교차 출력이 가능한 치료기
KR100960076B1 (ko) 전기매트용 부직포의 전열선 배열장치
KR20000004853U (ko) 온열치료기일체형 전신 안마기
SE532402C2 (sv) Vikttäcke
TWI244521B (en) An apparatus for needling at least one yarn
CN207738959U (zh) 一种绗缝被生产装置
KR20100123201A (ko) 장의 꿈틀운동을 구현하기 위한 연동장치
KR100719267B1 (ko) 전기매트의 전열선 설치방법 및 그 장치
KR100914480B1 (ko) 원적외선 방사시트 제조장치
KR102300793B1 (ko) 발목 펌프 운동장치
KR100644743B1 (ko) 전기매트의 전열선 설치방법 및 그 장치
CN103349371A (zh) 一种加热服装的碳纤维发热件及其制作方法
KR20170142044A (ko) 온수요
JP3832740B2 (ja) 温熱治療マット
KR101383252B1 (ko) 에어셀을 이용한 마사지 기능이 구비된 개인용 온열 치료기
SE449219B (sv) Metod och apparat for tillverkning av en dyna
US1663786A (en) Fence-making machine
RU219562U1 (ru) Иглопробивная машина
KR101856902B1 (ko) 줄누비기
CN216905530U (zh) 按摩电器
KR200290052Y1 (ko) 온열치료매트
KR200324806Y1 (ko) 전기요 제조장치
KR20150041474A (ko) 발 제조장치
KR20020034602A (ko) 전신 마사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