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0020B1 - 비전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영상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비전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영상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0020B1
KR100960020B1 KR1020080049907A KR20080049907A KR100960020B1 KR 100960020 B1 KR100960020 B1 KR 100960020B1 KR 1020080049907 A KR1020080049907 A KR 1020080049907A KR 20080049907 A KR20080049907 A KR 20080049907A KR 100960020 B1 KR100960020 B1 KR 100960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user
information
specific
camer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9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3704A (ko
Inventor
정한균
박부식
신대교
임기택
최종찬
차철웅
정용무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49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020B1/ko
Publication of KR20090123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3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전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영상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비전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공용 객체의 특정 각도의 촬영영상을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한 비전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영상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비전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특정 공간에 배치된 복수의 카메라를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 서버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의 제1 카메라로부터 인식된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고, 공용 객체를 인식한 복수의 제2 카메라로부터 제2 카메라 정보를 수신하며, 제2 카메라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네트워킹부; 상기 제2 카메라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2 카메라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제2 카메라로 상기 제2 카메라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특정 제2 카메라를 구동시켜 촬영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가 핸드오버 상황에 해당하면, 상기 특정 제2 카메라와 인접한 다른 제2 카메라로 핸드오버하도록 제어하는 핸드오버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영상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비전 네트워크, 카메라, 핸드 오버, 공용 객체, 촬영영상 데이터

Description

비전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영상 서비스 방법{VISION NETWORK SYSTEM AND METHOR FOR SERVING IMAGE THEREOF}
본 발명은 비전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영상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비전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공용 객체의 특정 각도의 촬영영상을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한 비전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영상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가 연결되어 그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 정보를 네트워킹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로 구성한 것을 비전 네트워크라 칭한다.
이러한 비전 네트워크는 카메라에 네트워킹 기능이 탑재되면서 카메라들이 서로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하게 각 카메라들이 촬영한 객체의 영상 정보를 서비스한다.
그러나, 종래의 비전 네트워크 시스템은 단순히 분산된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서로 다른 객체에 대한 촬영영상을 획득하여 표시하거나, 획득된 촬영영상에 대한 정보를 비전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장치로 전송하는 기술에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비전네트워크를 실질적으로 유용하게 활용하고 있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 다.
또한 특정 카메라의 영상을 획득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직접 특정 장치에 구비된 키(key)를 조작하여 특정 카메라의 영상을 요청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한 것으로, 비전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객체의 특정 각도의 촬영영상을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한 비전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영상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움직임을 특정 촬영영상을 요청하는 요청신호로 인식하여 그에 대응하는 특정 카메라의 촬영영상을 서비스하는 비전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영상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핸드오버 방식을 통해 객체의 여러 각도의 다양한 촬영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비전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영상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카메라 제어 서버는 비전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특정 공간에 배치된 복수의 카메라를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 서버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의 제1 카메라로부터 인식된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고, 공용 객체를 인식한 복수의 제2 카메라로부터 제2 카메라 정보를 수신하며, 제2 카메라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네트워킹부; 상기 제2 카메라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2 카메라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제2 카메라로 상기 제2 카메라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특정 제2 카메라를 구동시켜 촬영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가 핸드오버 상황에 해당하면, 상기 특정 제2 카메라와 인접한 다른 제2 카메라로 핸드오버하도록 제어하는 핸드오버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비전 네트워크 시스템은 특정 공간에 배치된 복수의 카메라를 제어하여 촬영영상을 표시하도록 비전 네트워크를 구성한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인식하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의 제1 카메라; 공용 객체를 촬영하는 복수의 제2 카메라; 상기 복수의 제2 카메라로부터 제2 카메라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에 따라 특정 제2 카메라를 구동시켜 촬영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2 카메라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카메라 제어서버; 및 상기 특정 제2 카메라의 촬영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카메라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움직임 인식부; 및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른 비전 네트워크 시스템의 영상 서비스 방법은 비전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특정 공간에 배치된 복수의 카메라를 제어하여 촬영 영상을 서비스하는 방법에 있어서, 공용객체를 인식한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카메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에 따라 상기 카메라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특정 카메라를 구동시켜 촬영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비전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공용객체를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의 촬영영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표시장치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키입력 혹은 여타의 번거로운 조작 없이, 사용자가 직접적인 동작, 자세 등의 움직임을 통해 공용객체의 촬영영상을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공동객체를 촬영한 특정 촬영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현재 표시중인 카메라의 촬영영상에 서 이후에 표시되는 카메라의 촬영영상으로 핸드오버 되도록 함으로써, 공용객체의 일정 각도에 대한 촬영영상을 끊김없이 연속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쳐 공용 객체는 하나의 객체가 복수의 카메라의 촬영범위에 객체가 진입하여 복수의 카메라가 촬영하는 동일 객체를 의미하는 바로 사용할 것이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비전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카메라와 카메라 제어 서버 및 표시 장치는 비전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비전 네트워킹을 수행하며 상호간의 정보 및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전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전 네트워크 시스템(100)은 비전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복수의 카메라(10a~10n)와, 카메라 제어 서버(20)와, 표시장치(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카메라(10a~10n)는 각기 다른 각도에서 공용 객 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특정 공간에 배치된다.
이때 비전 네트워크 시스템(100)의 동작은 비전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비전 네트워크는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면, WLAN, 블루투스, RF 등) 또는 유선 네트워크(예를 들면, 이더넷, IEEE1394, USB 등)일 수 있다.
우선, 제1~제n 카메라(10a~10n)는 다양한 각도에서 공용 객체를 촬영한다. 이를 위해 제1~제n 카메라(10a~10n)는 특정 공간내에 각기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 또한 제1~제n 카메라(10a~10n)는 촬영범위내에 공용 객체가 감지되면, 그에 따른 카메라 정보를 카메라 제어 서버(20)로 전송한다.
카메라 제어 서버(20)는 제2 카메라 정보를 수신하고, 그 제2 카메라 정보에 의해 공용 객체를 감지한 카메라를 확인한 후,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예컨대, 왼쪽, 오른쪽 등)에 따라 카메라 정보를 고려하여 특정 카메라를 구동시켜 촬영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그 특정 카메라로 카메라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표시 장치(30)는 특정 카메라의 촬영영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 장치(30)는 비전네트워킹이 가능한 모니터, 휴대용 단말기, PDA 및 디스플레이 유닛을 구비한 기기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어, 제1~제n 카메라 중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카메라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카메라(11)는 움직임 인식부(11a)와, 제어부(11b)와, 네트워킹부(11c)를 포함한다.
움직임 인식부(11a)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한다. 여기서 움직임 인식 부(11a)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고, 그 인식된 움직임에 따라 제어부(11b)가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을 적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11b)는 인식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출력한다.
네트워킹부(11c)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카메라 제어서버(20)로 전송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카메라(11)는 공용 객체를 감지하며, 그 공용 객체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공용 객체에 대한 촬영영상을 인코딩하는 영상 처리부(미도시)와, 공용 객체를 감지하는 공용 객체 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에 있어, 제1~제n 카메라 중 공용 객체를 촬영하는 카메라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용 객체를 촬영하는 카메라(13)는 영상 처리부(13a)와, 공용 객체 감지부(13b)와, 제어부(13c)와, 네트워킹부(13d)를 포함한다.
영상 처리부(13a)는 공용 객체에 대한 촬영영상 데이터를 인코딩한다.
공용 객체 감지부(13b)는 촬영 범위내에 진입하는 공용 객체를 감지한다.
제어부(13c)는 카메라 제어 서버(20)로부터 카메라 제어신호 수신시, 영상 처리부를 제어하여 인코딩된 촬영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며, 공용 객체가 감지됨을 알리는 카메라 정보를 카메라 제어 서버(20)로 전송한다.
네트워킹부(13d)는 촬영영상 데이터를 표시 장치(30)로 전송하고, 카메라 정보를 카메라 제어 서버(20)로 전송한다.
여기서 공용 객체를 촬영하는 카메라(13)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카메라(11)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움직임 인식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에 있어, 카메라 제어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제어 서버(20)는 네트워킹부(21)와, 저장부(23)와, 제어부(25)를 포함한다.
네트워킹부(21)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카메라(11)로부터 인식된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고, 공용 객체를 감지한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카메라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네트워킹부(21)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에 따라 특정 카메라를 구동시켜 표시 장치(30)에 촬영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카메라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저장부(23)는 카메라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23)에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에 따라 특정 카메라를 구동시켜 촬영되는 촬영영상 데이터를 표시 장치(30)로 전송하도록 하는 버전 네트워크 시스템(100)의 동작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제어부(25)는 저장부(23)에 저장된 카메라 정보를 고려하여 수신된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카메라로 카메라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특정 카메라를 구동시켜 촬영영상 데이터를 표시 장치(30)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25)는 카메라 정보를 관리하는 카메라 정보 관리부(25a)와, 복수의 카메라 중에서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카메라를 선택하는 카메라 선택부(25b)와, 카메라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25c)를 포함하여 특정 카메라로 생성된 카메라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25)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가 핸드오버 상황에 해당하면, 특정 카메라와 인접한 다른 카메라로 핸드오버하도록 제어하는 핸드오버 처리부(25d)를 더 포함한다.
이에, 핸드오버 상황시, 특정 카메라에서 핸드오버 되는 다른 카메라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25e)를 더 포함하여, 핸드오버 처리부(25d)는 추출된 현재 촬영영상을 출력하는 카메라 정보(예컨대, 식별자 정보)와 다음 촬영영상을 출력해야하는 카메라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카메라들로 핸드오버와 관련된 제어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카메라 정보는 복수의 카메라의 식별자를 포함하며, 복수의 카메라가 촬영한 촬영영상 정보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는 도 1에 있어, 표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30)는 네트워킹부(31)와, 영상 처리부(33)와, 화면 출력부(35)를 포함한다.
네트워킹부(31)는 카메라 제어 서버(20)로부터 카메라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공용객체를 촬영하는 특정 카메라로부터 촬영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영상 처리부(33)는 특정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인코딩된 촬영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화면 출력부(35)는 디코딩된 촬영영상 데이터를 화면에 출력하여 화면을 통해 촬영영상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전술한 버전 네트워크 시스템(100)은 첨부된 도 6과 같이 특정 공간에 각기 다른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카메라(10b~10h)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공용객체(200)를 촬영하여 표시 장치(30)에 촬영영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는 복수의 카메라(10b~10h)가 배치된 영역 외부에 위치하고, 그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카메라(10a)가 별도로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공용객체(300)가 되도록 복수의 카메라(10a~10g)가 배치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사용자(300)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카메라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아도 무관하다.
이 경우, 특정 공간상에 배치된 복수의 카메라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선택된 카메라가 사용자이자 공용 객체(300)의 움직임을 인식함과 아울러, 공용객체(300)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비전 네트워크 시스템은 일예로 의류를 착용한 모습과 의류를 착용한 상태에서 의류 착용자의 동작이나 포즈를 여러 각도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비전 네트워크 시스템의 영상 서비스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제어 서버(20)는 특정 공간에 배치된 복수의 카메라가 촬영 범위내에 존재하는 공용객체를 감지한 후, 개별적으로 전송하는 카메라 정보를 수신한다(S810).
이후, 카메라 제어 서버(20)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가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카메라(11)로부터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S820).
판단결과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가 수신되면, 카메라 제어 서버(20)는 핸드 오버 상황인가를 판단한다(S830).
판단결과 핸드 오버 상황이 아니면, 카메라 제어 서버(20)는 복수의 카메라 중에서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카메라를 선택하고(S840), 그 선택된 특정 카메라를 구동시켜 공용 객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제어신호를 생성한다(S850).
그러면 카메라 제어 서버(20)는 생성된 카메라 제어신호를 특정 카메라로 전송하여 특정 카메라가 촬영한 촬영영상 데이터를 표시 장치(30)를 통해 표시한다(S860).
그러나, 판단결과 핸드 오버 상황이면, 카메라 제어 서버(20)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에 따라 특정 카메라와 인접한 다른 카메라로 핸드오버 하도록 제어한다(S870).
그래서 카메라 제어 서버(20)는 핸드오버를 수행할 현재 촬영영상 출력 카메라와 이후 촬영영상 출력 카메라의 식별자를 도출하여 해당 카메라에게 핸드 오버에 관련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전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있어, 제1~제n 카메라 중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카메라의 구성도.
도 3은 도 1에 있어, 제1~제n 카메라 중 공용 객체를 촬영하는 카메라의 구성도.
도 4는 도 1에 있어, 카메라 제어 서버의 구성도.
도 5는 도 1에 있어, 표시 장치의 구성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비전 네트워크 시스템의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비전 네트워크 시스템의 영상 서비스 방법을 보인 흐름도.

Claims (15)

  1. 비전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특정 공간에 배치된 복수의 카메라를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 서버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의 제1 카메라로부터 인식된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고, 공용 객체를 감지한 복수의 제2 카메라로부터 제2 카메라 정보를 수신하며, 제2 카메라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네트워킹부;
    상기 제2 카메라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2 카메라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제2 카메라로 상기 제2 카메라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특정 제2 카메라를 구동시켜 촬영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가 핸드오버 상황에 해당하면, 상기 특정 제2 카메라와 인접한 다른 제2 카메라로 핸드오버하도록 제어하는 핸드오버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제어 서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카메라 정보를 관리하는 카메라 정보 관리부;
    상기 복수의 제2 카메라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제2 카메라를 선택하는 제2 카메라 선택부;
    상기 제2 카메라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특정 제2 카메라로 상기 생성된 제2 카메라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제어 서버.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핸드오버 상황시, 상기 특정 제2 카메라에서 핸드오버 되는 상기 다른 제2 카메라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제어 서버.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카메라 정보는,
    상기 복수의 제2 카메라의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2 카메라가 촬영한 촬영영상 정보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제어 서버.
  6. 특정 공간에 배치된 복수의 카메라를 제어하여 촬영영상을 표시하도록 비전 네트워크를 구성한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인식하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의 제1 카메라;
    공용 객체를 촬영하는 복수의 제2 카메라;
    상기 복수의 제2 카메라로부터 제2 카메라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에 따라 특정 제2 카메라를 구동시켜 촬영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2 카메라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카메라 제어서버; 및
    상기 특정 제2 카메라의 촬영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카메라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움직임 인식부; 및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 네트워크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는,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상기 카메라 제어서버로 전송하는 네트워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 네트워크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는,
    상기 공용 객체에 대한 촬영영상을 인코딩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공용 객체를 감지하는 공용 객체 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공용 객체를 촬영하는 상기 제2 카메라의 기능을 추가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 네트워크 시스템.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카메라는,
    상기 공용 객체에 대한 촬영영상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공용 객체를 감지하는 공용 객체 감지부;
    상기 제2 카메라 제어신호 수신시 상기 영상 처리부를 제어하여 상기 인코딩된 촬영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공용 객체 감지시 상기 제2 카메라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촬영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카메라 정보를 상기 카메라 제어 서버로 전송하는 네트워킹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 네트워크 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카메라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움직임 인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상기 제1 카메라의 기능을 추가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 네트워크 시스템.
  11.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특정 제2 카메라의 촬영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네트워킹부;
    상기 촬영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디코딩된 상기 특정 제2 카메라의 촬영영상 데이터를 화면에 출력하는 화면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 네트워크 시스템.
  12. 비전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특정 공간에 배치된 복수의 카메라를 제어하여 촬영 영상을 서비스하는 방법에 있어서,
    공용 객체를 감지한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카메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에 따라 상기 카메라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특정 카메라를 구동시켜 촬영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 네트워크 시스템의 영상 서비스 방법.
  13. 삭제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가 핸드오버 상황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핸드오버 상황이 아니면,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카메라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특정 카메라를 구동시켜 공용 객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제 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카메라 제어신호를 상기 특정 카메라로 전송하여 상기 특정 카메라가 촬영한 촬영영상 데이터를 표시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 네트워크 시스템의 영상 서비스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가 핸드오버 상황이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에 따라 상기 특정 카메라와 인접한 다른 카메라로 핸드오버 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 네트워크 시스템의 영상 서비스 방법.
KR1020080049907A 2008-05-28 2008-05-28 비전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영상 서비스 방법 KR100960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907A KR100960020B1 (ko) 2008-05-28 2008-05-28 비전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영상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907A KR100960020B1 (ko) 2008-05-28 2008-05-28 비전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영상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704A KR20090123704A (ko) 2009-12-02
KR100960020B1 true KR100960020B1 (ko) 2010-05-28

Family

ID=41685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9907A KR100960020B1 (ko) 2008-05-28 2008-05-28 비전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영상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0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3095A1 (ko) * 2018-01-16 2019-07-25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서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692A (ko) * 2001-11-05 2003-05-16 한국과학기술원 손 지시 인식을 이용한 원격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04078977A (ja) 2003-09-19 2004-03-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ンターフェイス装置
KR20070020764A (ko) * 2005-08-16 2007-02-22 구해원 동일시각에 동일피사체를 여러 대의 카메라로 촬영하는입체촬영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692A (ko) * 2001-11-05 2003-05-16 한국과학기술원 손 지시 인식을 이용한 원격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04078977A (ja) 2003-09-19 2004-03-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ンターフェイス装置
KR20070020764A (ko) * 2005-08-16 2007-02-22 구해원 동일시각에 동일피사체를 여러 대의 카메라로 촬영하는입체촬영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3095A1 (ko) * 2018-01-16 2019-07-25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서버
US11245933B2 (en) 2018-01-16 2022-0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erver for generating image data by using multiple camer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704A (ko) 200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432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system
US10630735B2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10213616B (zh) 视频提供方法、获取方法、装置及设备
US9609227B2 (en) Photographing apparatus, image pickup and observation apparatus, image comparison and display method, image comparison and display system, and recording medium
US9727298B2 (en) Device and method for allocating data based on an arrangement of elements in an image
US20070229670A1 (en) Information apparatus system, electronic camera for use therein,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rom the electronic camera
KR102327842B1 (ko)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931836B2 (en) Communication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20080075954A (ko) 파노라마 사진 촬영 방법 및 장치
WO2020063307A1 (zh) 监控摄影设备的方法、云台系统及移动设备
US9215003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9729826B2 (en)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anagement method
JP2016063468A (ja) 映像処理装置、映像処理方法及び映像処理システム
JP2012257021A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KR101251391B1 (ko)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기
JP5820210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5693022B2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システム、並びにそれら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KR100960020B1 (ko) 비전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영상 서비스 방법
KR20110126831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웹 카메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70034698A1 (en)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JP2008182321A (ja) 画像表示システム
US10298878B2 (en)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US2009005901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remote communicating system
CN114078279A (zh) 动作捕捉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22119631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