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9558B1 - 압착 방식 로프 클러치 장치 - Google Patents

압착 방식 로프 클러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9558B1
KR100959558B1 KR1020080010427A KR20080010427A KR100959558B1 KR 100959558 B1 KR100959558 B1 KR 100959558B1 KR 1020080010427 A KR1020080010427 A KR 1020080010427A KR 20080010427 A KR20080010427 A KR 20080010427A KR 100959558 B1 KR100959558 B1 KR 100959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plate
handle
crimping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0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4326A (ko
Inventor
김남훈
임선우
백영수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임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임선우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10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9558B1/ko
Publication of KR20090084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4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7/00Control of nuclear reaction
    • G21C7/36Control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08Modifications for protecting switching circuit against overcurrent or overvoltage
    • H03K17/081Modifications for protecting switching circuit against overcurrent or overvoltage without feedback from the output circuit to the control circuit
    • H03K17/08108Modifications for protecting switching circuit against overcurrent or overvoltage without feedback from the output circuit to the control circuit in thyristor switch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일링 보트에 사용되는 로프를 고정하는 방법 및 장치의 구성에 관한 것으로, 클러치의 로프 삽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로프를 핸들의 작동에 의해 고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주요 내용으로는 경사진 압착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로프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요구되는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며, 다단으로 구성된 핸들을 이용하여 로프 클러치 사용자가 작은 힘으로도 쉽게 로프를 고정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압착 플레이트의 표면은 돌기를 형성하고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로프의 고정력을 보완하고 로프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압착 플레이트의 접촉면이 로프의 형상과 동일한 원형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로프의 압착면적을 넓힘으로서 로프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압착 플레이트와 로프의 접촉면적을 확대함으로써 압착시 로프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또한 압착 플레이트의 일정 부분에 요철 구조를 삽입함으로써 로프의 고정시 전달되는 힘이 분산되는 형태를 가지는 로프 클러치 장치를 제공한다.
선박, 로프, 클러치, 압착 플레이트, 세일링 보트

Description

압착 방식 로프 클러치 장치{Apparatus of rope clutch with press type}
본 발명은 세일링 보트에 사용되는 로프를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사진 압착면을 이용하여 로프를 손상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으로서 로프 클러치의 제작상의 편의를 위해 구조가 간단하고 높은 고정력을 가지며 로프의 고정시 작용하는 힘이 작게 드는 압착 방식 로프 클러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세일링 보트에 사용되는 로프는 적용 범위에 따라 외경 6~16㎜의 로프가 사용되고 있으며, 로프를 고정하는 방식은 크게 압착 방식과 도미노 방식으로 분류된다.
압착 방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곡률이나 V형의 캠 구조로 로프에 압착하여 고정하는 방법으로,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압착식 플레이트(2)와 베이스 플레이트(3)가 설치되고, 그 베이스 플레이트(3)와 압착식 플레이트(2)의 사이로 로프(1)를 삽입시키고, 상기 압착식 플레이트(2)를 눌러서 상기 로프(1)를 압착시키는 방법으로 고정시킨다. 이러한 압착 방식은, 높은 고정력을 가지는 장점이 있으나, 압착 플레이트와 로프의 접촉 면적이 적어 외력이 발생할 때 로프가 손상되는 단점이 있다.
도미노 방식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로 정렬된 도미노 맴버(4)들을 핸들(5)의 조작에 의해 로프(1)가 밀착되는 방식으로 작동되며, 로프(1)에 부과되는 하중에 의한 로프(1)의 손상을 방지하는 구조로 되어있으나, 주조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도미노 맴버(4)등의 부속품들로 인한 클러치 중량의 증가와 복잡한 도미노 메커니즘에 따른 제작상의 노하우가 필요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세일링 보트에 사용되는 로프의 고정력을 증대하면서 간단한 구조로 설계되어 제작이 쉬운 클러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로프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적은 힘으로 높은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압착 방식 로프 클러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클러치 장치의 하우징을 이루고 로프를 삽입 관통시키도록 양측에 로프 삽입공이 형성되는 측면 플레이트와; 상기 측면 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의 회동 단부에 피벗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 설치되는 압착 플레이트와; 상기 측면 플레이트에 결합 설치되어 상기 압착 플레이트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 압착 플레이트의 하방에 설치되어 상기 압착 플레이트에 의해 압착되는 로프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핸들부는, 일측으로 가동단부가 돌출 형성된 회동구가 상기 측면 플레이트에 회동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동구의 가동단부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핸들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핸들에는 내부에 슬라이드식으로 다단 슬라이드 핸들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압착 플레이트는, 상기 핸들부의 가동단부에 커넥팅부가 힌지 결합되어 핸들을 조작함에 의해 피벗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커넥팅부의 하면에 압착부가 고정 결합되며, 압착부의 하면에는 상기 로프와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요홈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은, 측면 플레이트에 고정보스가 돌설되고, 그 고정보스에 비틀림 스프링이 결합되며, 비틀림 스프링의 일측 단부가 상기 압착 플레이트의 단부에 고정 결합되어 압착 플레이트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하나 이상의 요철 구간이 형성되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서는 다수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로프의 고정시 경사진 압착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로프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요구되는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다단으로 구성된 핸들(레버)을 이용하여 클러치 사용자가 작은 힘으로도 쉽게 로프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압착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표면에 순환형 돌기를 형성하여 로프의 고정력을 보완하고 로프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하고, 압착 플레이트의 접촉면을 로프의 형상과 동일한 원형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로프의 압착면적을 확대함으로써 로프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압착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정 부분에 1개 이상의 요철 구조를 삽입함으로써 로프의 고정시 전달되는 힘이 분산되는 효과를 제공하며, 압착 플레이트와 측면 플레이트 사이에 비틀림 스프링을 설치하여 로프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고 압착 플레이트의 위치 정렬을 위한 복원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로프 클러치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와 장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을 실질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로프의 고정시 필요한 작용하중을 다단 핸들의 적용에 의해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압착 방식 플레이트와 로프의 접촉 면적을 확대함으로써 로프에 부가되는 하중을 분산하는 효과를 발휘하여 로프의 파손에 따른 관련 장비의 취급에 따른 안전상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로 구성된 압착 방식에 의해 로프 클러치의 제조 공정을 감소시킴으로써 제조 단가를 절감하는 경제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로프 클러치의 측면 플레이트를 일부 제외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로프 클러치의 로프를 고정하는 경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관한 도면이며, 도 5는 로프 클러치의 로프의 고정력을 제거한 경우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클러치 장치는, 세일링 요트의 메인 세일과 지브 세일을 조정하기 위해 설치되는 로프(1)를 고정하기 위하여 요트의 선체나 마스트에 설치하고, 세일 조정 로프(1)를 클러치 장치로 관통시켜 윈치와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구성은, 크게 하우징을 이루는 측면 플레이트(10)와, 핸들부(20)와, 압착플레이트(30)와, 베이스 플레이트(40) 및 압착 플레이트 복원용 스프링(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측면 플레이트(10)는, 클러치 장치의 하우징을 이루고 로프를 삽입 관통시키도록 양측에 로프 삽입공이 형성되고, 중공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로프 삽입공을 통해서 로프(1)를 삽입하여 관통시키고, 상기 압착플레이트(30), 베이스플레이트(40) 및 스프링(50)이 설치되며, 앞 뒤판이 대칭되어 서로 결합되어 외형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핸들부(20)는, 일측으로 가동단부(21a)가 돌출 형성된 회동구(21)가 상기 측면 플레이트(10)에 회동핀(20a)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 되고, 상기 회동구(21)의 가동단부(21a)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핸들(22)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핸들(22)에는 내부에 슬라이드식으로 다단 슬라이드 핸들(23)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압착 플레이트(30)는, 상기 핸들부(20)의 가동단부(21a)에 커넥팅부(31)가 힌지 결합되어 핸들(22)을 조작함에 의해 피벗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커넥팅부(31)에 압착부(32)가 고정 결합되며, 압착부(32)의 하면에는 상기 로프(1)와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요홈부(32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50)은, 측면 플레이트(10)에 고정보스(50a)가 돌설되고, 그 고정보스(50a)에 비틀림 스프링(50)이 결합되며, 비틀림 스프링(50)의 일측 단부가 상기 압착 플레이트(30)의 단부에 고정 결합되며, 비틀림 스프링(50)의 타 측 단부는 상기 측면플레이트(10)에 걸리도록 설치되어 상기 압착 플레이트(30)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0)는 하나 이상의 요철 구간이 형성되며, 베이스 플레이트(40)의 상면에서는 다수의 돌기부(40a)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측면 플레이트(10)의 로프 삽입공에는 각각 로프 삽입구(12)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로프(1)를 로프 삽입구(12)를 통해 삽입하여 압착 플레이트(30)와 베이스 플레이트(40) 사이를 통과시켜 타측의 로프 삽입구를 통해 외부로 인출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핸들부(20)의 슬라이드식 핸들(23)을 누르게 되면, 압착 플레이트(30)가 로프(1)를 베이스 플레이트(40)에 압착시켜 고정한다.
이때, 압착 플레이트(30)의 압착부(32)의 하면에는 로프(1)과 같은 원형의 형상을 가지는 반원형 요홈부(32a)가 형성되어 있어서 로프(1)와의 접촉면적을 넓게하여 압착하게 되고, 베이스 플레이트(40)는 요철 구간이 형성되고, 상면에 다수의 돌기부(40a)가 형성되어 있어서 로프(1)와의 마찰력을 상승시키므로 로프(1)의 고정력이 강화되는 것이다.
상기 로프(1)의 고정을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슬라이드식 핸들(23)을 누르던 것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스프링(50)의 복원력에 의해 압착 플레이트(30)가 위로 들려지면서 피봇 회전하고, 핸들부(20)는 위로 들려지게 된다. 이에 따라 로프(1)의 고정이 해제된다.
압착 플레이트(30)는 일정 각도의 경사를 유지한 압착부(32)에 의해 로프의 고정 하중을 분산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압착부(32)의 하면 단면형상이 로프의 형상과 동일한 원형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로프의 압착면적을 넓힘으로서 로프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40)의 상면의 일구간에 1개 이상의 요철 구조를 형성하여 로프의 진행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고정력을 분산시키고, 순환형 돌기를 형성하여 로프의 고정력을 보완하고 로프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형태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로프 클러치는 윈치를 이용하여 세일의 방향을 조정할 때 사용되는 로프를 고정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로프 삽입구(12)를 통하여 유입되는 로프(1)를 핸들부(20)의 작동에 의해 핸들부(20)의 하부와 결합된 압착 플레이트(30)의 위치를 변화시켜 로프(1)에 고정력을 부가하여 고정함으로 세일이 일정한 방향을 유지하도록 한다.
핸들(22)에 장착된 다단 슬라이드 핸들(23)은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로프 고정시 부가되는 힘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핸들(22) 내부에서 인출하여 사용한다.
압착 플레이트(30)와 베이스 플레이트(40) 사이를 관통하는 로프는 핸들부(20)를 이용하여 고정력을 제거한 후 윈치를 이용하여 조정이 가능하며, 세일의 방향이 조정된 후, 압착 플레이트(30)를 측면 플레이트(10)의 하부에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40) 방향으로 이동시켜 로프를 고정한다.
로프의 고정시 측면 플레이트(10)의 일측에 설치된 비틀림 스프링(50)에 의 해 고정력이 제거된 압착 플레이트(30)는 복원력을 제공받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일 실시 예에 의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변경, 변형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압착 방식 로프 클러치의 개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도미노 방식 로프 클러치의 개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로프 클러치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로프 클러치의 로프를 고정하는 경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5는 로프 클러치의 로프의 고정력을 제거한 경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6은 압착 플레이트의 압착부 사시도이다.
도 7은 핸들의 상세 형상과 내부 슬라이드 핸들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 로프 10 : 측면 플레이트
12 : 로프 삽입구 20 : 핸들부
21 : 회동구 21a : 가동단부
22 : 핸들 23 : 슬라이드식 핸들
30 : 압착 플레이트 31 : 커넥팅부
32 : 압착부 32a : 요홈부
40 : 베이스 플레이트 40a : 돌기부 50 : 스프링

Claims (4)

  1. 로프 클러치 장치의 하우징을 이루고 로프를 삽입 관통시키도록 양측에 로프 삽입공이 형성되는 측면 플레이트(10)와;
    일측으로 가동단부(21a)가 돌출 형성된 회동구(21)가 상기 측면 플레이트(10)에 회동핀(20a)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 되고, 상기 회동구(21)의 가동단부(21a)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핸들(22)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측면 플레이트(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부(20)와;
    상기 핸들부(20)의 가동단부(21a)에 커넥팅부(31)가 힌지 결합되어 핸들(22)을 조작함에 의해 피벗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커넥팅부(31)에 압착부(32)가 고정 결합되며, 상기 압착부(32)의 하면에는 상기 로프(1)와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요홈부(32a)가 형성된 압착 플레이트(30)와;
    상기 측면 플레이트(10)에 결합설치되어 상기 압착 플레이트(3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50)과;
    상기 압착 플레이트(30)의 하방에 설치되어 상기 압착 플레이트(30)에 의해 압착되는 로프(1)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방식 로프 클러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20)는,
    핸들(22)의 내부에 슬라이드식으로 다단 슬라이드 핸들이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방식 로프 클러치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0)는,
    하나 이상의 요철 구간이 형성되며, 베이스 플레이트(40)의 상면에서는 다수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방식 로프 클러치 장치.
KR1020080010427A 2008-02-01 2008-02-01 압착 방식 로프 클러치 장치 KR100959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427A KR100959558B1 (ko) 2008-02-01 2008-02-01 압착 방식 로프 클러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427A KR100959558B1 (ko) 2008-02-01 2008-02-01 압착 방식 로프 클러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326A KR20090084326A (ko) 2009-08-05
KR100959558B1 true KR100959558B1 (ko) 2010-05-27

Family

ID=41204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0427A KR100959558B1 (ko) 2008-02-01 2008-02-01 압착 방식 로프 클러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955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5042A (en) 1980-01-22 1981-06-23 Alcan Research And Development Limited Removal of oxalate from Bayer process liquor
US5083350A (en) * 1989-10-20 1992-01-28 Sophus Berendsen Marine A/S Rope gripping device
JPH04132895U (ja) * 1991-05-30 1992-12-09 清二 豊重 ロープ締結具
JP2003002282A (ja) 2001-06-22 2003-01-08 Takashi Tanahashi アンカーアシス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5042A (en) 1980-01-22 1981-06-23 Alcan Research And Development Limited Removal of oxalate from Bayer process liquor
US5083350A (en) * 1989-10-20 1992-01-28 Sophus Berendsen Marine A/S Rope gripping device
JPH04132895U (ja) * 1991-05-30 1992-12-09 清二 豊重 ロープ締結具
JP2003002282A (ja) 2001-06-22 2003-01-08 Takashi Tanahashi アンカーアシス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326A (ko) 200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3350A (en) Rope gripping device
US7147498B1 (en)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KR940003869Y1 (ko) 연결 장치
US4425862A (en) Sail line stopper
US9306360B1 (en) Torsion eliminating compression device and method
JPS6236917B2 (ko)
KR100959558B1 (ko) 압착 방식 로프 클러치 장치
EP2817209A1 (en) Chain connector
AU2003261226A1 (en) Fairlead and cam assembly
US5868380A (en) Pulley block with spring-biased selectively operable ratchet
US3826469A (en) Over-center load binder with variable mechanical advantage
US3146754A (en) Line handling device
KR20130070861A (ko) 접철식 반목
US3973511A (en) Bollard
US2896995A (en) Pivotally-mounted mooring hook
GB2379478A (en) Coupling self-locking hook
US4813731A (en) Release mechanism
US20140165897A1 (en) Chain connector
JP3667451B2 (ja) 艇吊り下げ装置
CA2792528C (en) Brake system for manual hoisting
GB2518388A (en) Cam cleat with low release force
US2865073A (en) Line clamp
CN211769805U (zh) 一种吊装用夹钳
KR200237549Y1 (ko) 페이퍼 홀더
JP2008519728A (ja) 帆のボルトロープを案内するため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