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9361B1 - 원수 혼입방지 슬러지 배출시스템 - Google Patents

원수 혼입방지 슬러지 배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9361B1
KR100959361B1 KR1020090062188A KR20090062188A KR100959361B1 KR 100959361 B1 KR100959361 B1 KR 100959361B1 KR 1020090062188 A KR1020090062188 A KR 1020090062188A KR 20090062188 A KR20090062188 A KR 20090062188A KR 100959361 B1 KR100959361 B1 KR 100959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raw water
hopper
discharge system
water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병선
Original Assignee
현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9001804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00029003A/ko
Application filed by 현병선 filed Critical 현병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B01D21/06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with rotat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2Safety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지 배출시 선택적으로 호퍼의 상부를 완전 차폐 실링함으로써 슬러지의 비산 및 스컴 확산을 차단하고, 원수 유입 배출을 방지하여 호퍼에 수집된 슬러지만 효율적으로 배출함으로써 배출 슬러지의 2차 처리공정을 단축하여 정수 또는 하수처리 비용이 절감되고, 왕복이동으로 호퍼내의 슬러지를 흡입하는 스크랩수단 해드의 흡입공은 호퍼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하향되어 형성되고, 상기 해드는 이동방향에 따라 회전됨으로써, 호퍼의 모서리부까지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는 원수 혼입방지 슬러지 배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호퍼의 상부를 실링하지 않을 경우에도, 상기 스크랩수단을 이용하여 원수의 수압만으로도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혼입방지 슬러지 배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스크랩수단에는 스캐터가 장착됨에 따라 호퍼내의 동공을 허물어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를위해 본 발명은 원수가 투입 저수되는 침전지(100)와, 상기 침전지(100)의 일측에 하방으로 함몰된 호퍼부(200)와, 상기 침전지(100) 바닥의 침전물을 상기 침전지(100) 일측으로부터 호퍼부(200)까지 이동시키는 수중대차(3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슬러지 배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호퍼부(200)는 상기 침전지(100) 바닥면과 평행하게 상부 일측에 개구부(P)가 형성된 고정덮개(210); 및 상기 고정덮개(210) 하부에서 전후로 이동되면서 상기 개구부(P)를 개방 또는 실링 차폐하는 슬라이딩 댐퍼(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침전지, 원수, 호퍼부, 슬라이드, 스크래퍼, 수중대차, 슬러지 흡입해더, 동공제거용 스케터.

Description

원수 혼입방지 슬러지 배출시스템{WATER TREATMENT SLUDGE DRAIN SYSTEM WITHOUT RAW WATER INFLOW}
본 발명은 슬러지 배출시 선택적으로 호퍼의 상부를 완전 차폐 실링함으로써 슬러지의 비산 및 스컴 확산을 차단함과 아울러 원수 유입 배출을 방지하여 배출에 소요되는 에너지 및 원수 손실를 절감하며 호퍼에 수집된 슬러지만 효율적으로 배출함으로써 배출 슬러지의 2차 처리공정을 단축하여 정수 또는 하수처리 비용이 획기적으로 절감되는 동시에, 왕복이동으로 호퍼내의 슬러지를 흡입하는 스크랩수단 해드의 흡입공은 호퍼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하향되어 형성되고, 상기 해드는 이동방향에 따라 회전됨으로써, 호퍼의 모서리부까지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고, 호퍼의 상부를 실링하지 않을 경우에도, 상기 스크랩수단을 이용하여 원수의 수압만으로도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원수 혼입방지 슬러지 배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장 및 하수 처리장에는 침전지를 구비하여 정수장 및 하수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슬러지를 침전시키고 침전 후의 상징수는 정수장인 경우는 여과지로 공급되고 하수처리장인 경우에는 유기물 정화과정 등을 거친 후 하천으로 방류된다.
침전지에 침전된 슬러지는 스크래퍼를 구비한 수중대차의 왕복이동에 의하여 침전지 일측에 함몰 형성된 호퍼로 수집된 후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되고 정수장인 경우는 2차침전조로, 하수처리장인 경우는 2차농축조로 배출된다.
한편, 호퍼에 수집된 슬러지는 침적되어 배출관으로 유입되는 관주변의 슬러지만 배출되고 배출관의 입구로부터 외진 곳에 위치한 슬러지는 계속적으로 쌓여 굳어버린다.
따라서, 호퍼에는 슬러지의 침적이 방지되도록 물을 고압 분사하는 압력수 분사장치가 설치되어 슬러지를 강제부상시키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호퍼에서의 슬러지 강제부상시 슬러지 및 스컴이 침전조 상층부로 비산 확산되고, 이를 배출하기 위하여 많은 양의 원수가 동시에 배출되므로 배출펌프 가동시간을 늘려야 하고 2차 침전조 또는 2차 농축조에 대한 부하가 증대되어 막대한 양의 원수 및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호퍼에서의 슬러지 비산을 차단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등록특허번호 제0368170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슬러지 비산방지를 위하여 호퍼 상부에 수중대차를 이동시키는 와이어에 의하여 연동 개폐되는 차단판이 구비되고, 수중대차가 호퍼에 접근시 호퍼가 개방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선행기술은 슬러지 비산이 방지되는 효과는 있으나 슬러지 배출시 발생되는 음압에 의하여 침전지 상층부의 원수가 호퍼로 빨려들어가 배출되므로 배출시간이 오래 걸리고 원수 및 에너지가 낭비되는 문제가 여전히 존재한다.
또한, 이와 같이 슬러지 배출에 많은 양의 원수가 포함됨으로써 이를 처리하기 위하여 2차 배출수조 또는 농축조 등의 별도시설이 여전히 수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슬러지 배출시 선택적으로 호퍼의 상부를 완전 차폐 실링함으로써 슬러지의 비산 및 스컴 확산을 차단함과 아울러 원수 유입 배출을 방지하여 배출에 소요되는 에너지 및 원수 손실을 절감하며 호퍼에 수집된 슬러지만 배출함으로써 배출 슬러지의 2차 처리가 불필요하여 정수 또는 하수처리 비용이 획기적으로 절감되도록 하는 원수 혼입방지 슬러지 배출시스템의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러지 배출시, 원수유입을 방지하는 슬라이딩 댐퍼 호퍼의 상부로 이동하고, 밀폐용 고무튜브에 의해 완전 차폐 실링함으로써 슬러지의 비산 및 스컴 확산을 차단함과 아울러 원수 유입 배출을 방지하여 배출에 소요되는 에너지 및 원수 손실를 절감하며 호퍼에 수집된 슬러지만 효율적으로 배출함으로써 배출 슬러지의 2차 처리공정을 단축하여 정수 또는 하수처리 비용이 획기적으로 절감되는 동시에, 왕복이동으로 호퍼내의 슬러지를 흡입하는 스크랩수단 해드의 흡입공은 호퍼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하향되어 형성되고, 상기 해드는 이동방향에 따라 회전됨으로써, 호퍼의 모서리부까지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고, 슬러지 배출이 끝난 후 원수 유입밸브를 열고, 호퍼내에 원수를 공급하여, 원수가 안정화 되었을때, 원수 유입밸브를 닫고, 슬라이딩 댐퍼를 오픈시킴에 따라 원수의 와류현상 없이 슬러지를 수집할 수 있고, 보조 스크래퍼에 의해 호퍼상부의 고정덮개의 슬러지를 호퍼부 내로 밀어내어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원수 혼입방지 슬러지 배출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호퍼의 상부를 실링하지 않을 경우에도, 상기 스크랩수단을 이용하여 원수의 수압만으로도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혼입방지 슬러지 배출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스크랩수단에 스캐터를 장착함에 따라 호퍼내의 동공을 허물어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혼입방지 슬러지 배출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수 혼입방지 배출시스템은 원수가 투입 저수되는 침전지와, 상기 침전지의 일측에 하방으로 함몰된 호퍼부와, 상기 침전지 바닥의 침전물을 상기 침전지 일측으로부터 호퍼부까지 이동시키는 수중대차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슬러지 배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호퍼부는, 상기 침전지 바닥면과 평행하게 상부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고정덮개; 및 상기 고정덮개의 하부에서 전후로 이동되면서 상기 개구부를 개방 또는 실링 차폐하는 슬라이딩 댐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덮개에는 통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덮개 통기공의 상방으로 상기 침전지외부에 연통되는 공기유입관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호퍼부는 상기 슬라이딩 댐퍼를 이동시키기 위한 개폐조작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 댐퍼는 그 연장하부에 이동방향 전후로 각각 하나 이상의 이동롤러가 링크에 의해 연결설치되고, 상기 이동롤러의 하방에는 이동롤러를 유도하기 위해 가이드레일이 수평으로 구비되어 상기 호퍼부의 양측벽에 고정되며, 상기 개폐조작수단은 상기 이동롤러의 회전축에 피스톤로드가 결합되는 실린더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링크는 상단부가 상기 슬라이딩 댐퍼 하부에 힌지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이동롤러의 회전축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링크 상단부는 전방으로 부채꼴형 가변지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슬라이딩 댐퍼가 호퍼부의 측벽에 닿은 상태에서 실린더 피스톤로드의 진출이 계속되면 슬라이딩 댐퍼가 상승되어 상기 개구부(P)에 실링 결합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슬라이딩 댐퍼는 상기 고정덮개의 개구부(P)를 커버하는 커버플레이트;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하부에 이동방향 전후로 하나 이상 장착된 이동롤러; 및 상기 이동돌러를 커버플레이트에 연결하는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조작수단은 조작부, 구동부 및 와이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수단은 와이어 및 롤러를 구비하고, 슬라이딩 댐퍼의 소정부에 와이어가 연결된다.
상기 링크는 상단부가 상기 슬라이딩 댐퍼 하부에 힌지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이동롤러의 회전축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링크 상단부는 전방으로 부채꼴형 가변지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슬라이딩 댐퍼가 호퍼부의 측벽에 닿은 상태에서 슬라이딩 댐퍼에 연결된 와이어를 계속 잡아당길 경우, 슬라이딩 댐퍼가 상승되어 상기 개구부에 실링 결합된다.
상기 고정덮개의 둘레 및 개구부(P)의 둘레 하방에는 실링 차폐를 위하여 패킹(G)이 설치된다.
삭기 고정덮개는 그 상부에 침착되는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해 직선왕복운동하는 서브스크래퍼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서브 스크래퍼는 체인을 포함하는 왕복수단에 고정 및 연동되고, 왕복수단의 왕복운동에 의해 고정덮개 상면의 슬러지를 긁어 개구부로 이동시킨다.
상기 호퍼부는 그 하면에 전후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면서 침착된 슬러지를 부유시키는 스크랩수단과 부유된 슬러지를 외부로 펌핑하기 위한 펌핑수단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스크랩수단은 호스(H)로 연결되는 배출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슬러지를 흡입하기 위한 복수의 흡입공이 상기 호퍼부의 바닥면을 향해 형성되는 원통형 헤드;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호퍼부의 바닥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드되는 한쌍의 스크래퍼; 및 상기 스크래퍼과 헤드의 사이에 구비되어 스크래퍼에 의해 부유된 슬러지를 절단하는 복수의 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호스(H)에 연결되고, 슬러지 배출압을 제공하는 펌핑수단(270)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크랩수단은 브라켓과 연결되는 헤드 양단의 외주면에는 회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회전링 및 스크래퍼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다.
상기 고정덮개의 프레임 내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호퍼부는 상기 프레임으로 원수의 공급을 단속하는 원수 유입밸브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크랩수단은 회전링에 ┌─┐ 형태로 상향하여 직각으로 부착되는 스캐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수 혼입방지 슬러지 배출시스템은
첫째, 슬러지 배출시 선택적으로 호퍼의 상부를 완전 차폐 실링함으로써 슬러지의 비산 및 스컴 확산을 차단함과 아울러 원수 유입 배출을 방지하여 배출에 소요되는 에너지 및 원수 손실을 절감시켜 경제적으로 매우 유리한 효과가 있으며 또한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다.
둘째, 호퍼에 수집된 슬러지만 효율적으로 배출함으로써 배출 슬러지를 2차적으로 다시 처리하는 작업이 불필요하여 정수 또는 하수처리 비용이 획기적으로 절감된다.
세째, 호퍼에 수집된 슬러지의 배출 후 원수를 호퍼내부로 유입시키고, 안정된 상태에서 호퍼의 상부를 개방시킴에 따라 원수의 와류현상없이 슬러지를 수집할 수 있다.
네째, 왕복이동으로 호퍼내의 슬러지를 흡입하는 스크랩수단 해드의 흡입공은 호퍼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하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해드는 이동방향에 따라 회전됨으로써, 호퍼의 모서리부까지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다.
다섯째, 호퍼의 상부를 실링하지 않을 경우에도, 상기 스크랩수단을 이용하여 원수의 수압만으로도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여섯째, 상기 스크랩수단에는 스캐터가 장착됨에 따라 호퍼내의 동공을 허물어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원수 혼입방지 배출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 및 요부확대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수가 투입 저수되는 침전지(100)와, 이 침전지(100)의 일측에 하방으로 함몰된 호퍼부(200)와, 상기 침전지(100) 바닥의 침전물을 상기 침전지(100) 일측으로부터 호퍼부(200)까지 이동시키는 수중대차(3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슬러지 배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호퍼부(200)는, 상기 침전지(100) 바닥면에 연장되고 일측에 개구부(P)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통기공(211)이 형성된 고정덮개(210)와; 상기 고정덮개(210) 하부에서 전후로 이동되면서 상기 개구부(P)를 개방 또는 실링 차폐하는 슬라이딩 댐퍼(220)와; 상기 슬라이딩 댐퍼(220)를 이동시키기 위한 개폐조작수단과; 상기 고정덮개(210) 통기공(211)의 상방으로 상기 침전지(100) 외부에 연통되는 공기유입관(240)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덮개는 침전지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딩 댐퍼는 상기 고정덮개의 하부에서 전후로 이동될 수 도 있다.
도2는 도1의 A-A선 단면 일부생략 확대도이고, 도3은 도2의 가변 상태도 및 요부확대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댐퍼(220)는 그 연장하부에 이동방 향 전후로 각각 하나 이상의 이동롤러(221)가 링크(222)에 의해 연결설치되고, 상기 이동롤러(221)의 하방에는 이동롤러(221)를 유도하기 위해 가이드레일(223)이 수평으로 구비되어 상기 호퍼부(200)의 양측벽에 고정되며, 상기 개폐조작수단은 상기 이동롤러(221)의 회전축(221a)에 피스톤로드(C2)가 결합되는 실린더(C1)로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C1)는 피스톤로드(C2) 동작시 수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일명 '자바라튜브'라 칭해지는 플랙시블 실링커버(C3)가 부여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폐조작수단은 와이어 및 윈치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링크(222)는 상단부가 상기 슬라이딩 댐퍼(220) 하부에 힌지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이동롤러(221)의 회전축(221a)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링크(222) 상단부는 전방으로 부채꼴형 가변지지부(222a)가 돌출 형성되어 슬라이딩 댐퍼(220)가 호퍼부(200)의 측벽(200a)에 닿은 상태에서 실린더 피스톤로드(C2)의 진출이 계속되면 슬라이딩 댐퍼(220)가 상승되어 상기 개구부(P)에 실링 결합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덮개(210)의 둘레 및 개구부(P)의 둘레 하방에는 실링 차폐를 위하여 패킹(G)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덮개(210)는 그 상부에 침착되는 슬러지 제거를 위하여 서브 스크래퍼(250)(도4에 나타냄)가 더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발명은 슬러지 수집기의 침전지(100) 호퍼부(200)의 상부에 슬러지 비산을 차단하기 위해 일측에 개구부(P)가 구비된 고정덮개(210)를 설치하고 이 고정덮개(210)의 하부에 슬라이딩 댐퍼(220)가 구비되되, 상기 침전지(100)와 호퍼부(200)의 수밀유지에 의한 실링 차폐된다는 특징이 있다.
상시에는 고정덮개(210)의 개구부(P)가 개구된 상태로 되고 침전지(100) 바닥에 쌓인 슬러지를 스크랩핑하여 호퍼부(200)로 낙하시키는 수중대차(300)는 슬러지 수집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호퍼부(200)에 수집된 슬러지 배출시에는 실린더(C1) 작동에 의하여 슬라이딩 댐퍼(220)를 이동시켜 고정덮개(210)의 개구부(P)를 차단한다.
이때, 슬라이딩 댐퍼(220)가 호퍼부(200)의 측벽(200a)에 닿은 이후에도 이동롤러(221)에 계속적으로 피스톤로드(C2)의 진출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링크(222)가 세워지면서 슬라이딩 댐퍼(220)가 상승하여 개구부(P) 하방의 패킹(G)에 밀착되고 개구부(P)의 실링 차례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고정덮개(210)의 둘레도 패킹(G)으로 실링 차폐처리가 되어 있으므로 호퍼부(200a) 상부가 완전 차폐된 상태로 되고, 이후 배출펌프(M)가 구동되어 슬러지 배출이 진행되며, 슬러지 배출에 따라 호퍼부(200) 내에 발생되는 음압은 상기 공기유입관(240)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로 채워진다.
즉, 고정덮개(210) 및 슬라이딩 댐퍼(220)가 패킹(G)을 통하여 호퍼부(200)를 완전 실링 차폐하고 공기유입관(240)을 통하여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어 슬러지 배출에 따라 발생되는 음압이 침전지(100)의 원수 대신 외부공기로 채워짐으로써 침적 슬러지에 원수가 희석되지 않은 상태로 배출되고 배출된 슬러지는 2차배출 슬러지의 침전없이 농축슬러지 수집기로 보내져 처리되거나 탈수처리된다.
이와 같이, 원수 유입없이 슬러지 배출이 농축상태로 이루어지므로 배출이 신속하게 처리되고 배출펌프 가동을 줄여 에너지를 절감하고, 원수의 손실을 현저히 줄이며 배출슬러지의 2차 침전 등의 2차 처리가 불필요하여 수처리 시설규모 및 비용을 현저히 감축시켜 준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서브 스크래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사시도 및 요부확대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서브 스크래퍼(250)는 체인등의 왕복수단에 고정 및 연동되고, 왕복수단의 왕복운동에 의해 고정덮개(210) 상면의 슬러지를 긁어 개구부(P)로 이동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브 스크래퍼(250)는 양단부에서 높이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직선왕복이동하는 체인에 고정되고, 체인의 왕복운동을 따라 이동되며, 호퍼부(200)의 개구부(P)를 향한 전방이동시 상기 서브 스크래퍼(250)는 고정덮개(210) 상면에 접하여 슬러지를 긁어내고, 단부에서 상승됨에 따라 호퍼부(200)의 개구부(P)를 향한 후방이동시 상기 서브 스크래퍼(250)는 고정덮개(210) 상면에 대하여 상승된 상태로 후방이동된다.
도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6은 도5에 나타낸 상기 스크랩수단의 개략적인 저면사시도이고, 도7는 도5에 나타낸 상기 스크랩수단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8는 도7의 B-B선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호퍼부(200)는 그 하면에 전후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면서 침착된 슬러지를 부유시키는 스크랩수단(260)과 부유된 슬러지를 외부로 펌핑하기 위한 펌핑수단(270)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스크랩수단(260)은, 상부에 상기 펌핑수단(270)에 호스(H)로 연공(261b)이 형성되는 원통형 헤드(261)와; 상기 헤드(261)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호퍼부(200)의 바닥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드되는 한쌍의 스크래퍼(262)과; 상기 스크래퍼(262)과 헤드(261)의 사이에 구비되어 스크래퍼(262)에 의해 부유된 슬러지를 절단하는 복수의 리브(263)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호퍼부(200)의 바닥면에는 양측부에 상기 스크래퍼(262)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복수의 레일(R)이 구비되며, 이 레일(R)에 상기 스크래퍼(262)이 안착된 상태에서 스크래퍼(262)에 일체로 형성된 걸쇠(265)에 연결된 와이어(W)의 당김에 의해 상기 스크랩수단(260)이 전후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스크랩수단(260)이 전후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는 경우 상기 스크래퍼(262)은 호퍼부(200)의 바닥면을 스크랩핑하게 되고, 호퍼부(200)의 바닥면에 침착 또는 고형화되었던 슬러지가 스크래퍼(262)의 상면에 구비된 복수의 리브(263)에 의해 절단되면서 단면적이 작아진 슬러지는 용이하게 상기 헤드(261)의 하면에 형성된 복수의 흡입공(261b)으로 빨려들어가며, 상기 배출펌프(M)의 구동으로 인해 흡입공(261b)에 투입된 슬러지는 상기 헤드(261)의 상부에 형성된 배출부(261a)를 경유하여 이 배출부(261a)에 연결된 호스(H)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도3 참조).
또한 상기 스크랩수단(260)의 스크래퍼(262)과 연결되는 헤드(261) 양단의 외주면에는 회전링(264)이 구비되어 상기 헤드(261)는 상기 회전링(264) 및 스크래퍼(262)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랩수단(260)이 상기 호퍼부(200)의 바닥면을 따라 전후방향을 왕복 운동을 하는 경우 상기 헤드(261)의 배출부(261a)에 일체로 연결된 호스(H)가 꼬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헤드(261)가 이 헤드(261)의 길이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일정각도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헤드(261)의 양단 외부면에 회전링(264)이 구비된다.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수단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10는 도 9의 스트랩수단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상기 해드(261)의 양단에 연결된 회전링(264) 외주벽에는 바람직하게 각각의 회전링(264)을 잇는 ┌─┐ 형태의 스캐터(266)을 상향하여 직각으로 부착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도1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랩수단이 호퍼부(200)의 일단부로 이동될 경우, 상기 호스(H)에 의해 해드(261)는 회전되고, 상기 해드(261)의 흡입공(261b)은 호퍼부의 단부를 향함으로써, 호버부(200) 내의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호퍼내에 형성된 동공은 상기 스캐터(266)에 의해 허물어짐에 따라, 보다 효율적으로 호퍼내의 슬러지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반대방향으로 상기 스크랩수단이 이동될 경우, 도10의 (b)에 나타낸 상태를 거쳐, 호퍼부의 타단부에서는 도10의 (c)에 나타낸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역시, 상기 해드(261)의 흡입공(261b)이 호퍼부의 타단부를 향함으로써, 호버부(200) 내의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도11은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크랩수단(260)은 와이어(W) 대신, 공압실린더(C5)에 연결되어, 직선왕복운동할 수 있다.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원수 혼입방지 슬러지 배출시스템의 요부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호퍼부(200)의 고정덮개(210)는 프레임의 내부에 관통공(212)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12)은 슬러지의 외부배출후 슬라이딩 댐퍼(220)가 개구부를 오픈시킬 경우, 호퍼부(200) 내부로 원수가 와류현상을 발생하며 공급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슬러지의 외부배출 후 슬라이딩 댐퍼(220)가 개구부를 오픈시키기 전에, 원수 유입밸브(미도시)에 의해 원수를 고정덮개(210)의 프레임에 공급하면, 상기 원수는 호퍼부(200)의 내부에 충전되어, 호퍼부의 내부는 원수로 안정화되고, 슬라이딩 댐퍼(220)가 개구부를 오픈시키더라도 원수의 와류현상없이 슬러지를 수집할 수 있게된다.
도1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수 혼입방지 슬러지 배출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14는 도13에 나타낸 원수 혼입방지 슬러지 배출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상에 위치된 조작부(미도시), 구동부(290) 및 와이어수단(280)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개폐조작수단은 조작부(미도시), 구동부(280) 및 와이어수단(280)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수단(280)은 와이어(281) 및 롤러(282)를 구비하고, 슬라이딩 댐퍼(220)의 소정부에 와이어가 연결된다. 이와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댐퍼(220)는 상기 와이어수단(280)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되고, 슬라이딩 댐퍼(220)가 호퍼부(200)의 측벽(200a)에 닿은 상태에서 슬라이딩 댐퍼(220)에 연결된 와이어를 계속 잡아당길 경우, 슬라이딩 댐퍼(220)가 상승되어 상기 개구부(P)에 실링 결합된다.
또한, 상기 스크랩수단(260)의 소정부에는 와이어(281)가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수단(280)에 의해 상기 스크랩수단(260)은 직선왕복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스크래퍼(250)는 와이어(281)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수단(280)에 의해 왕복회전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슬라이딩 댐퍼(220)를 이용하여 상기 호퍼부(200)의 개구부(P)를 밀폐하지 않을 경우에도, 상기 스크랩수단을 이용하여 원수의 수압에 의해서 외부로 슬러지를 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출펌프를 가동하면 너무 많은 원수가 배출됨에 따라 펌프는 가동시키지 않는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고,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킬 경우, 슬라이딩 댐퍼(220)를 이동시켜 호퍼부의 개구부를 밀폐시키고, 스크랩수단의 왕복운동과 함께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 때 호퍼내는 공기유입관에 의해 기압이 낮아지는 것이 방지되어 효율적으로 슬러지를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원수 혼입방지 슬러지 배출시스템은 슬러지 배출시 선택적으로 호퍼의 상부를 완전 차폐 실링함으로써 슬러지의 비산 및 스컴 확산을 차단함과 아울러 원수 유입 배출을 방지하여 배출에 소요되는 에너지 및 원수 손실을 절감하며 호퍼에 수집된 슬러지만 효율적으로 배출함으로써 배출 슬러지의 2차 처리가 불필요하여 정수 또는 하수처리 비용이 획기적으로 절감될 뿐만 아니라, 왕복이동으로 호퍼내의 슬러지를 흡입하는 스크랩수단 해드의 흡입공은 호퍼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하향되어 형성되고, 상기 해드는 이동방향에 따라 회전됨으로써, 호퍼의 모서리부까지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고, 슬러지 배출이 끝 난 후 원수 유입밸브를 열고, 호퍼내에 원수를 공급하여, 원수가 안정화 되었을때, 원수 유입밸브를 닫고, 슬라이딩 댐퍼를 오픈시킴에 따라 원수의 와류현상 없이 슬러지를 수집할 수 있고, 보조 스크래퍼에 의해 호퍼상부의 고정덮개의 슬러지를 호퍼부 내로 밀어내어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원수 혼입방지 슬러지 배출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및 요부확대도.
도2은 도1의 A-A선 단면 일부생략 확대도.
도3은 도2의 가변 상태도 및 요부확대도.
도4은 본 발명에 따른 서브 스크래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사시도 및 요부확대도.
도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6은 도5에 나타낸 상기 스크랩수단의 개략적인 저면사시도.
도7는 도5에 나타낸 상기 스크랩수단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8는 도7의 B-B선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수단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10은 도9의 스트랩수단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
도11은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원수 혼입방지 슬러지 배출시스템의 요부사시도 및 부분확대도.
도1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수 혼입방지 슬러지 배출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14는 도13에 나타낸 원수 혼입방지 슬러지 배출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용상 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침전지 200 : 호퍼부 200a : 측벽
210 : 고정덮개 211 : 통기공 220 : 슬라이딩 댐퍼
221 : 이동롤러 221a : 회전축 222 : 링크
222a : 가변지지부 223 : 가이드레일 240 : 공기유입관
250 : 서브 스크래퍼 260 : 스크랩수단
261 : 헤드 261a : 배출부 261b : 흡입공
262 : 스크래퍼 263 : 리브 264 : 회전링
265 : 걸쇠 300 : 수중대차 P : 개구부
G : 패킹 H : 호스 C1 : 실린더
C2 : 피스톤로드 C3 : 실링커버
M : 배출펌프 R : 레일

Claims (18)

  1. 원수가 투입 저수되는 침전지(100)와, 상기 침전지(100)의 일측에 하방으로 함몰된 호퍼부(200)와, 상기 침전지(100) 바닥의 침전물을 상기 침전지(100) 일측으로부터 호퍼부(200)까지 이동시키는 수중대차(3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슬러지 배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호퍼부(200)는
    상기 침전지(100) 바닥면의 연상선상에 개구부(P)가 형성된 고정덮개(210); 및
    상기 고정덮개(210)에서 전후로 이동되면서 상기 개구부(P)를 개방 또는 실링 차폐하는 슬라이딩 댐퍼(22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덮개(210)에는 통기공(21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덮개(210)의 통기공(211)과 연결되고, 상기 침전지(100)의 외부로 연통되는 공기유입관(240)을 더 포함하는
    원수 혼입방지 슬러지 배출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부는
    상기 슬라이딩 댐퍼(220)를 이동시키기 위한 개폐조작수단을 더 포함하는
    원수 혼입방지 슬러지 배출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댐퍼(220)는 그 연장하부에 이동방향 전후로 각각 하나 이상의 이동롤러(221)가 링크(222)에 의해 연결설치되고,
    상기 이동롤러(221)의 하방에는 이동롤러(221)를 유도하기 위해 가이드레일(223)이 수평으로 구비되어 상기 호퍼부(200)의 양측벽에 고정되며,
    상기 개폐조작수단은 상기 이동롤러(221)의 회전축(221a)에 피스톤로드(C2)가 결합되는 실린더(C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수 혼입방지 슬러지 배출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222)는 상단부가 상기 슬라이딩 댐퍼(220) 하부에 힌지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이동롤러(221)의 회전축(221a)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링크(222) 상단부는 전방으로 부채꼴형 가변지지부(222a)가 돌출 형성되고, 슬라이딩 댐퍼(220)가 호퍼부(200)의 측벽(200a)에 닿은 상태에서 실린더 피스톤로드(C2)의 진출이 계속되면 슬라이딩 댐퍼(220)가 상승되어 상기 개구부(P)에 실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수 혼입방지 슬러지 배출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댐퍼(220)는
    상기 고정덮개(210)의 개구부(P)를 커버하는 커버플레이트(224);
    상기 커버플레이트(224)의 하부에 이동방향 전후로 하나 이상 장착된 이동롤러(221); 및
    상기 이동롤러(221)를 커버플레이트에 연결하는 링크(222)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조작수단은 조작부, 구동부(280) 및 와이어수단(280)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수단(280)은 와이어(281) 및 롤러(282)를 구비하고, 슬라이딩 댐퍼(220)의 소정부에 와이어가 연결되는
    원수 혼입방지 슬러지 배출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222)는 상단부가 상기 슬라이딩 댐퍼(220) 하부에 힌지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이동롤러(221)의 회전축(221a)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링크(222) 상단부는 전방으로 부채꼴형 가변지지부(222a)가 돌출 형성되고, 슬라이딩 댐퍼(220)가 호퍼부(200)의 측벽(200a)에 닿은 상태에서 슬라이딩 댐퍼(220)에 연결된 와이어를 계속 잡아당길 경우, 슬라이딩 댐퍼(220)가 상승되어 상기 개구부(P)에 실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수 혼입방지 슬러지 배출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덮개(210)의 둘레 및 개구부(P)의 둘레 하방에는 실링 차폐를 위하여 패킹(G)이 설치되는
    원수 혼입방지 슬러지 배출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덮개(210)는 그 상부에 침착되는 슬러지 제거를 위해 직선왕복운동하는 서브 스크래퍼(250)를 더 포함하는
    원수 혼입방지 슬러지 배출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스크래퍼(250)는
    체인을 포함하는 왕복수단에 고정 및 연동되고, 왕복수단의 왕복운동에 의해 고정덮개(210) 상면의 슬러지를 긁어 개구부(P)로 이동시키는
    원수 혼입방지 슬러지 배출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부(200)는 그 하면에 전후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면서 침착된 슬러지를 부유시키는 스크랩수단(260)과 부유된 슬러지를 외부로 펌핑하기 위한 펌핑수단(270)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수 혼입방지 배출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랩수단(260)은
    슬러지를 배출하는 호스(H)에 연결되는 배출부(261a)가 형성되고 하부에 슬러지를 흡입하기 위한 복수의 흡입공(261b)이 상기 호퍼부(200)의 바닥면을 향해 형성되는 원통형 헤드(261);
    상기 헤드(261)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호퍼부(200)의 바닥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드되는 한쌍의 스크래퍼(262); 및
    상기 스크래퍼(262)과 헤드(261)의 사이에 구비되어 스크래퍼(262)에 의해 부유된 슬러지를 절단하는 복수의 리브(263)를 포함하는
    원수 혼입방지 배출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H)에 연결되고, 슬러지 배출압을 제공하는 펌핑수단(270)을 더 포함하는
    원수 혼입방지 배출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랩수단(260)은
    스크래퍼(262)과 연결되는 헤드(261) 양단의 외주면에는 회전링(264)을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261)는 상기 회전링(264) 및 스크래퍼(262)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원수 혼입방지 배출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264)에 ┌─┐ 형태로 상향하여 직각으로 부착되는 스캐터(266)를 더 포함하는
    원수 혼입방지 배출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덮개(210)의 프레임 내부에는 관통공(212)이 형성되고,
    상기 호퍼부는 상기 프레임으로 원수의 공급을 단속하는 원수 유입밸브를 더 포함하는
    원수 혼입방지 배출시스템.
  17. 펌핑수단에 의해 슬러지를 배출하고, 원수가 투입 저수되는 침전지와, 상기 침전지의 일측에 하방으로 함몰된 호퍼부를 포함하는 원수 혼입방지 배출시스템에 포함되는 스크랩수단으로서,
    상부에 상기 펌핑수단(270)에 호스(H)로 연결되는 배출부(261a)가 형성되고 하부에 슬러지를 흡입하기 위한 복수의 흡입공(261b)이 형성되는 원통형 헤드(261);
    상기 헤드(261)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호퍼부(200)의 바닥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드되는 한쌍의 스크래퍼(262); 및
    상기 스크래퍼(262)과 헤드(261)의 사이에 구비되어 스크래퍼(262)에 의해 부유된 슬러지를 절단하는 복수의 리브(263); 및
    스크래퍼(262)과 연결되는 헤드(261) 양단의 외주면에는 회전링(264)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261)는 상기 회전링(264) 및 스크래퍼(262)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원수 혼입장지 배출시스템의 스크랩수단.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264)에 ┌─┐ 형태로 상향하여 직각으로 부착되는 스캐터(266)를 더 포함하는
    원수 혼입장지 배출시스템의 스크랩수단.
KR1020090062188A 2009-03-03 2009-07-08 원수 혼입방지 슬러지 배출시스템 KR1009593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041A KR20100029003A (ko) 2008-09-05 2009-03-03 원수 혼입방지 슬러지 배출시스템
KR1020090018041 2009-03-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9361B1 true KR100959361B1 (ko) 2010-05-20

Family

ID=42635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188A KR100959361B1 (ko) 2009-03-03 2009-07-08 원수 혼입방지 슬러지 배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93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049B1 (ko) 2014-05-08 2014-08-22 효림산업주식회사 침전지 매니폴드형 슬러지 수집 및 배출장치
KR102280531B1 (ko) 2020-09-29 2021-07-22 (주)태광엔텍 침전지의 운전 제어 시스템
CN115259602A (zh) * 2022-06-14 2022-11-01 绍兴泰谱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自清理功能的污泥脱水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629Y1 (ko) 2000-12-26 2001-06-15 김학광 데드 존이 없고 절전형 운전모드를 갖는 체인 플라이트식슬러지 수집장치
KR100564994B1 (ko) 2005-10-26 2006-03-28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상수도용 저수조의 슬러지 처리장치
KR20080043274A (ko) * 2008-04-10 2008-05-16 다음기술 주식회사 호퍼게이트가 형성된 침전지의 슬러지 배출장치와 시스템
KR20090041381A (ko) * 2009-04-08 2009-04-28 다음기술 주식회사 호퍼게이트가 설치된 슬러지 수집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629Y1 (ko) 2000-12-26 2001-06-15 김학광 데드 존이 없고 절전형 운전모드를 갖는 체인 플라이트식슬러지 수집장치
KR100564994B1 (ko) 2005-10-26 2006-03-28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상수도용 저수조의 슬러지 처리장치
KR20080043274A (ko) * 2008-04-10 2008-05-16 다음기술 주식회사 호퍼게이트가 형성된 침전지의 슬러지 배출장치와 시스템
KR20090041381A (ko) * 2009-04-08 2009-04-28 다음기술 주식회사 호퍼게이트가 설치된 슬러지 수집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049B1 (ko) 2014-05-08 2014-08-22 효림산업주식회사 침전지 매니폴드형 슬러지 수집 및 배출장치
KR102280531B1 (ko) 2020-09-29 2021-07-22 (주)태광엔텍 침전지의 운전 제어 시스템
CN115259602A (zh) * 2022-06-14 2022-11-01 绍兴泰谱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自清理功能的污泥脱水设备
CN115259602B (zh) * 2022-06-14 2024-01-09 绍兴泰谱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自清理功能的污泥脱水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874719U (zh) 一种垃圾分类用多重处理装置
KR20070030046A (ko) 호소 침전물 처리장치
KR102418093B1 (ko) 녹조 및 부유물 회수장치
CN209361923U (zh) 一种池底污泥清理装置
CN103739185B (zh) 排水设施的污泥污水处理系统
CN107585840A (zh) 一种生活污水处理装置
KR100959361B1 (ko) 원수 혼입방지 슬러지 배출시스템
CN110449426A (zh) 一种污水处理池淤泥清理回收装置
CN207680116U (zh) 一种去除漂浮物的污水处理池
CN110984271A (zh) 一种便于调节的水利施工清淤装置及其使用方法
CN210764786U (zh) 一种工业废水处理池
CN105854386B (zh) 一种污水处理装置
CN208916860U (zh) 一种高效的气浮池
CN213856150U (zh) 一种便于清洁的循环水箱
CN108529843B (zh) 一种便于排出污泥的化粪池
KR20100029003A (ko) 원수 혼입방지 슬러지 배출시스템
KR101030786B1 (ko) 사이펀원리를 이용한 슬러지처리장치
CN202227327U (zh) 浮动式水面自动撇吸装置
KR101452850B1 (ko) 자연 유입식 슬러지 수집장치
CN212405304U (zh) 一种可带水操作的鱼塘清淤装置
CN108503172B (zh) 一种化粪池
CN208327552U (zh) 一种减轻农业面源污染排水装置
KR101418777B1 (ko) 수문개폐형 스컴스키머장치가 장착된 수처리시설의 원형슬러지수집기
KR101865861B1 (ko) 수처리용 투웨이 스컴 제거장치
CN206720992U (zh) 一种养殖污水处理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