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5861B1 - 수처리용 투웨이 스컴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수처리용 투웨이 스컴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5861B1
KR101865861B1 KR1020170048523A KR20170048523A KR101865861B1 KR 101865861 B1 KR101865861 B1 KR 101865861B1 KR 1020170048523 A KR1020170048523 A KR 1020170048523A KR 20170048523 A KR20170048523 A KR 20170048523A KR 101865861 B1 KR101865861 B1 KR 101865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um
shaft
lifting
elevation
settl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우
Original Assignee
이원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우 filed Critical 이원우
Priority to KR1020170048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58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B01D21/2438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provided with scrapers on the liquid surface for removing floating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처리용 투웨이 스컴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침전조의 배수로 전방에 파이프형 투웨이 스컴제거구조로 적용시킴으로써 침전조의 수면에 부유하는 스컴에 대하여 배수로의 전방 측에 대한 일정길이에 걸친 전, 후방 영역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전, 후로 투웨이 타입으로 조작되어 배수로의 전방 측에 대한 일정길이에 걸친 전, 후방 영역 전체에 걸쳐 스컴을 안정적으로 유입시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배수로 전방영역에 대한 스컴이 배수로를 통해 상등수로 측으로 빠져나가는 유실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스컴에 대한 배출효율을 현격히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수처리용 투웨이 스컴 제거장치{Two-way scum removal device for water treatment}
본 발명은 수처리용 투웨이 스컴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침전조의 배수로 전방에 파이프형 투웨이 스컴제거구조로 적용시킴으로써 침전조의 수면에 부유하는 스컴에 대하여 배수로의 전방 측에 대한 일정길이에 걸친 전, 후방 영역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전, 후로 투웨이 타입으로 조작되어 배수로의 전방 측에 대한 일정길이에 걸친 전, 후방 영역 전체에 걸쳐 스컴을 안정적으로 유입시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배수로 전방영역에 대한 스컴이 배수로를 통해 상등수로 측으로 빠져나가는 유실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스컴에 대한 배출효율을 현격히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수처리용 투웨이 스컴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수처리장에 유입되는 하, 폐수는 필연적으로 슬러지(Sludge) 및 스컴(Scum)을 생성하게 되는데 상기 슬러지 및 스컴은 하, 폐수 처리과정에서 하, 폐수의 효율적인 정화를 위해 제거되어야 하는바,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가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의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하, 폐수가 유입되는 침전조(100)에 다수의 구동축(110)이 형성되어 구동수단(160)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구동축(110)에 다수의 스크레이퍼(125)가 부착된 체인(120)이 권취되어 회전되며, 상기 침전조(100)의 상측에 형성된 배수로(140)에 양단부가 연통되어 회전하는 스키머(130)가 형성되고, 상기 스키머(130)는 일측에 기어(138)가 형성되어 보조구동수단(150)의 스프로킷(152)과 보조체인(154)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는 구동수단(160)에 의한 상기 구동축(110)의 회전으로 스크레이퍼(125)가 부착된 체인(120)이 회전하며 하, 폐수면에 부유하는 스컴(170)을 상기 스키머(130)가 형성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보조구동수단(150)의 회전으로 보조체인(154)으로 연결된 상기 스키머(130)가 상호 연동되어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스키머(130)의 수집구멍(135)를 통해 스컴(170)을 배출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는 상기 스키머(130)에 대한 구성이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길이방향으로 수집구멍(135)이 형성되어 상기 스키머(130)가 회전하여 수집구멍(135)이 하, 폐수면 속으로 잠기면서 스컴(170)이 유입되나 상기 스키머(13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키머(130)와 배수로(140) 사이에 생성되는 스컴(170)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는 스키머의 일 측으로부터 스컴이 유입될 수는 있으나 반대편 타 측인 배수로 측으로부터 부유하는 스컴에 대하여서는 스키머 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원활하지 않으므로 스컴의 배출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다시 말하면, 종래의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침전조에서는 수면의 스컴이 배수로의 전방에 쌓이면서 슬러지 수집기가 밀어내는 압력에 의해 스키머나 배수로를 통해 배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 과정에서 슬러지 수집기와 배수로 사이에 많은 량의 스컴이 정체되면 일부 스컴이 밀리면서 배수로를 통해 상등수로 측으로 빠져나가는 유실 현상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스컴의 배출효율이 현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침전조의 수면에 부유하는 스컴에 대하여 배수로의 전방 측에 대한 일정길이에 걸친 전, 후방 영역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전, 후로 투웨이 타입으로 조작되어 배수로의 전방 측에 대한 일정길이에 걸친 전, 후방 영역 전체에 걸쳐 스컴을 안정적으로 유입시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배수로 전방영역에 대한 스컴이 배수로를 통해 상등수로 측으로 빠져나가는 유실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스컴에 대한 배출효율을 현격히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58135호 2006.02.28.등록.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37707호 2007.12.13.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침전조의 배수로 전방에 파이프형 투웨이 스컴제거구조로 적용시킴으로써 침전조의 수면에 부유하는 스컴에 대하여 배수로의 전방 측에 대한 일정길이에 걸친 전, 후방 영역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전, 후로 투웨이 타입으로 조작되어 배수로의 전방 측에 대한 일정길이에 걸친 전, 후방 영역 전체에 걸쳐 스컴을 안정적으로 유입시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수처리용 투웨이 스컴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침전조의 배수로 전방에 파이프형 투웨이 스컴제거구조로 적용시켜 침전조의 수면에 부유하는 스컴에 대하여 배수로의 전방 측에 대한 일정길이에 걸친 전, 후방 영역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전, 후로 투웨이 타입으로 조작되어 배수로의 전방 측에 대한 일정길이에 걸친 전, 후방 영역 전체에 걸쳐 스컴을 안정적으로 유입시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달리 배수로 전방영역에 대한 스컴이 배수로를 통해 상등수로 측으로 빠져나가는 유실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스컴에 대한 배출효율을 현격히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투웨이 스컴 제거장치는 정수하기 위한 하수와 폐수를 공급하여 담수할 수 있도록 폭 방향으로 측벽에 의해 분할되는 침전조 내부에 다수의 플라이트가 설치된 메인체인을 설치하여 제어반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부의 동력을 구동체인을 통해 전달받도록 하되,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메인체인이 순환회전하면서 상기 플라이트가 상기 침전조의 상부와 바닥면 상측에 걸쳐 순환회전되어 상기 침전조 상부의 부유물을 걷어내어 배출시킴과 동시에 상기 침전조 하부 바닥면에 침전된 슬러지를 호퍼 측으로 배출시키는 슬러지 수집기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침전조의 상기 메인체인이 하향 순환 회전하는 부분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플라이트를 통해 상기 침전조의 수면에 부유하며 일 방향으로 안내되는 스컴을 유입시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수처리용 투웨이 스컴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의 측벽에 기립 설치되는 설치케이스; 상기 설치케이스의 내부를 관통하여 하단이 상기 침전조의 수면 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고 상단이 상기 설치케이스로부터 상향 일정길이 돌출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일정길이 승강가능토록 상부 일정길이에 걸쳐 승강 랙이 형성되는 승강축; 상기 설치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승강축의 승강 랙과 맞물려 상기 승강축을 선택적으로 승강하도록 구동되는 승강구동수단; 및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되 원주방향에 대하여 일정길이만큼 개방되어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스컴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길이방향 어느 일단이 개방되며, 상기 유입구의 방향이 상기 승강구동수단의 작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직 상측 방향, 일 측 상향경사 방향 또는 타 측 상향 경사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외면 일 측에 장공을 통해 상기 승강축의 하단과 링크연결되는 회동연결브래킷이 돌출되는 스컴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승강구동수단은 상기 설치케이스의 상부 일 측에 배치되어 컨트롤러를 통해 선택적으로 구동조작되는 승강구동모터 및 상기 승강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승강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른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되, 전동회전축 일단에 상기 승강축의 승강 랙과 맞물리는 전동 승강조작기어가 구비되는 감속기를 포함하는 전동 승강구동수단으로 적용되는 한편, 상기 감속기의 전동 승강조작기어가 상기 승강축의 승강 랙과 맞물려 상기 감속기의 전동 승강조작기어의 정방향 회전 또는 역방향 회전을 통해 상기 승강축이 선택적으로 일정길이 승강하도록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구동수단은 상기 설치케이스의 상부 타 측에 배치되어 수동조작에 의해 손잡이를 파지하여 선택적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승강구동핸들과, 상기 승강구동핸들 측부 중앙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는 수동회전축 및 상기 수동회전축의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축의 승강 랙과 맞물려 선택적으로 상기 승강축을 일정길이 승강시키는 수동 승강조작기어를 포함하는 수동 승강구동수단으로 적용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스컴파이프는 길이방향 어느 일단이 개방되되, 길이방향 타단은 밀폐되어 상기 침전조의 측벽에 회전가능토록 연결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승강축의 하부영역에 대한 승강이 틀어짐이 없이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승강축은 하단이 상기 침전조의 수면 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되, 상기 침전조의 수면 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하부영역에 대하여 상기 침전조의 측벽 일 면에 선택적으로 승강가능토록 고정가이드 브래킷을 통해 고정설치되는 것이 양호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투웨이 스컴 제거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침전조의 배수로 전방에 파이프형 투웨이 스컴제거구조로 적용시킴으로써 침전조의 수면에 부유하는 스컴에 대하여 배수로의 전방 측에 대한 일정길이에 걸친 전, 후방 영역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전, 후로 투웨이 타입으로 조작되어 배수로의 전방 측에 대한 일정길이에 걸친 전, 후방 영역 전체에 걸쳐 스컴을 안정적으로 유입시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둘째, 침전조의 배수로 전방에 파이프형 투웨이 스컴제거구조로 적용시켜 침전조의 수면에 부유하는 스컴에 대하여 배수로의 전방 측에 대한 일정길이에 걸친 전, 후방 영역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전, 후로 투웨이 타입으로 조작되어 배수로의 전방 측에 대한 일정길이에 걸친 전, 후방 영역 전체에 걸쳐 스컴을 안정적으로 유입시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달리 배수로 전방영역에 대한 스컴이 배수로를 통해 상등수로 측으로 빠져나가는 유실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스컴에 대한 배출효율을 현격히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 및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투웨이 스컴 제거장치가 적용된 침전조를 나타낸 정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투웨이 스컴 제거장치의 파이프형 투웨이 타입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요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투웨이 스컴 제거장치의 파이프형 투웨이 타입 구조에 대한 전동 및 수동 작동을 위한 세부구조를 나타낸 요부 사시구성도.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투웨이 스컴 제거장치의 파이프형 투웨이 타입 구조에 대한 작동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낸 작동상태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투웨이 스컴 제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투웨이 스컴 제거장치가 적용된 침전조를 나타낸 정 단면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투웨이 스컴 제거장치의 파이프형 투웨이 타입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요부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투웨이 스컴 제거장치의 파이프형 투웨이 타입 구조에 대한 전동 및 수동 작동을 위한 세부구조를 나타낸 요부 사시구성도이다.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투웨이 스컴 제거장치의 파이프형 투웨이 타입 구조에 대한 작동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낸 작동상태예시도이다.
도 3 내지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용 투웨이 스컴 제거장치(300)는 정수하기 위한 하수와 폐수를 공급하여 담수할 수 있도록 폭 방향으로 측벽(110)에 의해 분할되는 침전조(100) 내부에 다수의 플라이트(210)가 설치된 메인체인(220)을 설치하여 제어반(230)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부(240)의 동력을 구동체인(250)을 통해 전달받도록 하되, 상기 구동부(24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메인체인(220)이 순환회전하면서 상기 플라이트(210)가 상기 침전조(100)의 상부와 바닥면(150) 상측에 걸쳐 순환회전되어 상기 침전조(100) 상부의 부유물을 걷어내어 배출시킴과 동시에 상기 침전조(100) 하부 바닥면(150)에 침전된 슬러지를 호퍼(170) 측으로 배출시키는 슬러지 수집기(200)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침전조(100)의 상기 메인체인(220)이 하향 순환 회전하는 부분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플라이트(210)를 통해 상기 침전조(100)의 수면에 부유하며 일 방향으로 안내되는 스컴을 유입시켜 외부로 배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투웨이 스컴 제거장치(300)는 슬러지 수집기(200)가 설치되는 침전조(100)의 메인체인(220)이 하향 순환 회전하는 부분 상부에 배치되도록 설치하여 사용되는 것이며, 이때 슬러지 수집기(200)는 통상의 슬러지 수집기가 적용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투웨이 스컴 제거장치(300)는 크게 분류하면, 설치케이스(310), 승강축(320), 승강구동수단 및 스컴파이프(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설치케이스(310)는 상기 침전조(100)의 측벽(110)에 기립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축(320)은 상기 설치케이스(310)의 내부를 관통하여 하단이 상기 침전조(100)의 수면 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고 상단이 상기 설치케이스(310)로부터 상향 일정길이 돌출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일정길이 승강가능토록 상부 일정길이에 걸쳐 승강 랙(321)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승강구동수단은 상기 설치케이스(3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승강축(320)의 승강 랙(321)과 맞물려 상기 승강축(320)을 선택적으로 승강하도록 구동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컴파이프(350)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되 원주방향에 대하여 일정길이만큼 개방되어 유입구(351)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351)를 통해 유입된 스컴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길이방향 어느 일단이 개방되며, 상기 유입구(351)의 방향이 상기 승강구동수단의 작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직 상측 방향, 일 측 상향경사 방향 또는 타 측 상향 경사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외면 일 측에 장공(354)을 통해 상기 승강축(320)의 하단과 링크연결되는 회동연결브래킷(353)이 돌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투웨이 스컴 제거장치(300)는 침전조(100)의 배수로 전방에 파이프형 투웨이 스컴제거구조로 적용되는 것으로, 이때 침전조(100)의 배수로는 통상의 침전조에서의 집수 트러프(Trough)를 의미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투웨이 스컴 제거장치에서, 특히 상기 승강구동수단은 상기 설치케이스(310)의 상부 일 측에 배치되어 컨트롤러를 통해 선택적으로 구동조작되는 승강구동모터(331) 및 상기 승강구동모터(331)와 연결되어 상기 승강구동모터(331)의 구동에 따른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되, 전동회전축(333) 일단에 상기 승강축(320)의 승강 랙(321)과 맞물리는 전동 승강조작기어(334)가 구비되는 감속기(332)를 포함하는 전동 승강구동수단으로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감속기(332)의 전동 승강조작기어(334)가 상기 승강축(320)의 승강 랙(321)과 맞물려 상기 감속기(332)의 전동 승강조작기어(334)의 정방향 회전 또는 역방향 회전을 통해 상기 승강축(320)이 선택적으로 일정길이 승강하도록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투웨이 스컴 제거장치에서의 상기 승강구동수단은 상기 설치케이스(310)의 상부 타 측에 배치되어 수동조작에 의해 손잡이(335a)를 파지하여 선택적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승강구동핸들(335)과, 상기 승강구동핸들(335) 측부 중앙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는 수동회전축(336) 및 상기 수동회전축(336)의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축(320)의 승강 랙(321)과 맞물려 선택적으로 상기 승강축(320)을 일정길이 승강시키는 수동 승강조작기어(337)를 포함하는 수동 승강구동수단으로 적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투웨이 스컴 제거장치에서의 승강구동수단은 전술한 바와 같은 수동 승강구동수단 및 전동 승강구동수단이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적용될 수있는 것이며, 물론 수동 승강구동수단 및 전동 승강구동수단이 복합적으로 적용되어 전동 또는 수동으로 승강구동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투웨이 스컴 제거장치에서, 상기 스컴파이프(350)는 길이방향 어느 일단이 개방되되, 길이방향 타단은 밀폐되어 상기 침전조(100)의 측벽(110)에 회전가능토록 연결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투웨이 스컴 제거장치는 상기 승강축(320)의 하부영역에 대한 승강이 틀어짐이 없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상기 승강축(320)은 하단이 상기 침전조(100)의 수면 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되, 상기 침전조(100)의 수면 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하부영역에 대하여 상기 침전조(100)의 측벽(110) 일 면에 선택적으로 승강가능토록 고정가이드 브래킷(340)을 통해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투웨이 스컴 제거장치에 의하면, 침전조의 배수로 전방에 파이프형 투웨이 스컴제거구조로 적용시킴으로써 침전조의 수면에 부유하는 스컴에 대하여 배수로의 전방 측에 대한 일정길이에 걸친 전, 후방 영역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전, 후로 투웨이 타입으로 조작되어 배수로의 전방 측에 대한 일정길이에 걸친 전, 후방 영역 전체에 걸쳐 스컴을 안정적으로 유입시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아울러, 침전조의 배수로 전방에 파이프형 투웨이 스컴제거구조로 적용시켜 침전조의 수면에 부유하는 스컴에 대하여 배수로의 전방 측에 대한 일정길이에 걸친 전, 후방 영역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전, 후로 투웨이 타입으로 조작되어 배수로의 전방 측에 대한 일정길이에 걸친 전, 후방 영역 전체에 걸쳐 스컴을 안정적으로 유입시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달리 배수로 전방영역에 대한 스컴이 배수로를 통해 상등수로 측으로 빠져나가는 유실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스컴에 대한 배출효율을 현격히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침전조
110: 측벽 150: 바닥면
170: 호퍼
200: 슬러지 수집기
210: 플라이트 220: 메인체인
230: 제어반 240: 구동부
250: 구동체인
300: 투웨이 스컴 제거장치
310: 설치케이스 320: 승강축
321: 승강 랙
331: 승강구동모터 332: 감속기
333: 전동회전축 334: 전동 승강조작기어
335: 승강구동핸들 335a: 손잡이
336: 수동회전축 337: 수동 승강조작기어
340: 고정가이드 브래킷 350: 스컴파이프
351: 유입구 353: 회동연결브래킷
354: 장공

Claims (5)

  1. 정수하기 위한 하수와 폐수를 공급하여 담수할 수 있도록 폭 방향으로 측벽(110)에 의해 분할되는 침전조(100) 내부에 다수의 플라이트(210)가 설치된 메인체인(220)을 설치하여 제어반(230)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부(240)의 동력을 구동체인(250)을 통해 전달받도록 하되, 상기 구동부(24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메인체인(220)이 순환회전하면서 상기 플라이트(210)가 상기 침전조(100)의 상부와 바닥면(150) 상측에 걸쳐 순환회전되어 상기 침전조(100) 상부의 부유물을 걷어내어 배출시킴과 동시에 상기 침전조(100) 하부 바닥면(150)에 침전된 슬러지를 호퍼(170) 측으로 배출시키는 슬러지 수집기(200)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침전조(100)의 상기 메인체인(220)이 하향 순환 회전하는 부분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플라이트(210)를 통해 상기 침전조(100)의 수면에 부유하며 일 방향으로 안내되는 스컴을 유입시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수처리용 투웨이 스컴 제거장치(300)로서, 상기 침전조(100)의 측벽(110)에 기립 설치되는 설치케이스(310); 상기 설치케이스(310)의 내부를 관통하여 하단이 상기 침전조(100)의 수면 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고 상단이 상기 설치케이스(310)로부터 상향 일정길이 돌출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일정길이 승강가능토록 상부 일정길이에 걸쳐 승강 랙(321)이 형성되는 승강축(320); 상기 설치케이스(3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승강축(320)의 승강 랙(321)과 맞물려 상기 승강축(320)을 선택적으로 승강하도록 구동되는 승강구동수단; 및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되 원주방향에 대하여 일정길이만큼 개방되어 유입구(351)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351)를 통해 유입된 스컴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길이방향 어느 일단이 개방되며, 상기 유입구(351)의 방향이 상기 승강구동수단의 작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직 상측 방향, 일 측 상향경사 방향 또는 타 측 상향 경사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외면 일 측에 장공(354)을 통해 상기 승강축(320)의 하단과 링크연결되는 회동연결브래킷(353)이 돌출되는 스컴파이프(350)를 포함하되,
    상기 승강구동수단은 상기 설치케이스(310)의 상부 일 측에 배치되어 컨트롤러를 통해 선택적으로 구동조작되는 승강구동모터(331) 및
    상기 승강구동모터(331)와 연결되어 상기 승강구동모터(331)의 구동에 따른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되, 전동회전축(333) 일단에 상기 승강축(320)의 승강 랙(321)과 맞물리는 전동 승강조작기어(334)가 구비되는 감속기(332)를 포함하는 전동 승강구동수단으로 적용되는 한편,
    상기 감속기(332)의 전동 승강조작기어(334)가 상기 승강축(320)의 승강 랙(321)과 맞물려 상기 감속기(332)의 전동 승강조작기어(334)의 정방향 회전 또는 역방향 회전을 통해 상기 승강축(320)이 선택적으로 일정길이 승강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투웨이 스컴 제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컴파이프(350)는 길이방향 어느 일단이 개방되되, 길이방향 타단은 밀폐되어 상기 침전조(100)의 측벽(110)에 회전가능토록 연결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투웨이 스컴 제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축(320)의 하부영역에 대한 승강이 틀어짐이 없이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승강축(320)은 하단이 상기 침전조(100)의 수면 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되, 상기 침전조(100)의 수면 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하부영역에 대하여 상기 침전조(100)의 측벽(110) 일 면에 선택적으로 승강가능토록 고정가이드 브래킷(340)을 통해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투웨이 스컴 제거장치.
KR1020170048523A 2017-04-14 2017-04-14 수처리용 투웨이 스컴 제거장치 KR101865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523A KR101865861B1 (ko) 2017-04-14 2017-04-14 수처리용 투웨이 스컴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523A KR101865861B1 (ko) 2017-04-14 2017-04-14 수처리용 투웨이 스컴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5861B1 true KR101865861B1 (ko) 2018-06-08

Family

ID=62599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523A KR101865861B1 (ko) 2017-04-14 2017-04-14 수처리용 투웨이 스컴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58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3591A (ko) 2019-05-20 2020-11-30 이원우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419Y1 (ko) * 2004-02-27 2004-05-12 효림산업주식회사 슬러지수집기의 부유물 배출장치
KR100437707B1 (ko) 2001-06-15 2004-07-01 강진희 고정 구조가 개선된 필라 앵커 및 그 제조 방법
KR20050102957A (ko) * 2004-04-23 2005-10-27 효림산업주식회사 장방형 흡입식 슬러지수집기
KR101247531B1 (ko) * 2012-11-08 2013-03-26 정지호 침전지의 슬러지 및 스컴 제거 시스템과 이에 이용되는 스컴 스키머
KR20140082396A (ko) * 2012-12-24 2014-07-02 유통희 부유식 부유물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707B1 (ko) 2001-06-15 2004-07-01 강진희 고정 구조가 개선된 필라 앵커 및 그 제조 방법
KR200350419Y1 (ko) * 2004-02-27 2004-05-12 효림산업주식회사 슬러지수집기의 부유물 배출장치
KR20050102957A (ko) * 2004-04-23 2005-10-27 효림산업주식회사 장방형 흡입식 슬러지수집기
KR100558135B1 (ko) 2004-04-23 2006-03-10 효림산업주식회사 장방형 흡입식 슬러지수집기
KR101247531B1 (ko) * 2012-11-08 2013-03-26 정지호 침전지의 슬러지 및 스컴 제거 시스템과 이에 이용되는 스컴 스키머
KR20140082396A (ko) * 2012-12-24 2014-07-02 유통희 부유식 부유물 제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3591A (ko) 2019-05-20 2020-11-30 이원우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1141621U (zh) 一种沉淀池
RU241781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ора и/или удаления осадка
KR100798080B1 (ko) 슬러지 배출장치가 구비된 원형 침전지
CN111672170B (zh) 一种在污水处理中的沉淀池内污泥清除方法
KR20200133591A (ko)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
CN111424801A (zh) 一种用于市政污水收集的排水装置
KR101865861B1 (ko) 수처리용 투웨이 스컴 제거장치
CN213856150U (zh) 一种便于清洁的循环水箱
KR100811013B1 (ko) 달팽이관 노즐을 이용한 침사세정장치
CN110743209A (zh) 一种污水处理用沉淀池
CN207786032U (zh) 一种便于清除污泥的污水沉淀池
CN214809134U (zh) 一种污水处理用排泥装置
KR101582653B1 (ko) 슬러지 수집장치
CN212610182U (zh) 一种玻璃钢化粪池装置
CN214059979U (zh) 一种用于污水处理的气浮澄清装置
CN114225481A (zh) 一种有机废水一体化处理设施
CN205007657U (zh) 一种多功能全自动吸刮泥机
KR101418777B1 (ko) 수문개폐형 스컴스키머장치가 장착된 수처리시설의 원형슬러지수집기
KR101660448B1 (ko) 수처리용 스키머와 고액분리장치
JP2007117870A (ja) 移床式集泥装置及び集泥方法
CN210409617U (zh) 电动刮板式浮渣清理装置及配套的初沉池浮渣井
KR100925702B1 (ko) 수처리장의 스컴 부유물제거장치
CN106345145B (zh) 一种脱油收油筛屑无轴八角滚笼装置
CN208406194U (zh) 一种化肥生产废水沉降物清理装置
CN116672763B (zh) 一种曝气旋流式污水处理沉砂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