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9163B1 - 은계를 투명전극으로 하는 자외선 발광소자 - Google Patents

은계를 투명전극으로 하는 자외선 발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9163B1
KR100959163B1 KR1020070097545A KR20070097545A KR100959163B1 KR 100959163 B1 KR100959163 B1 KR 100959163B1 KR 1020070097545 A KR1020070097545 A KR 1020070097545A KR 20070097545 A KR20070097545 A KR 20070097545A KR 100959163 B1 KR100959163 B1 KR 100959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gan
silver
transparent electrode
semiconducto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7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2366A (ko
Inventor
김상묵
백종협
김강호
김윤석
이승재
진정근
이상헌
염홍서
유영문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riority to KR1020070097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9163B1/ko
Publication of KR20090032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2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16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Led Devices (AREA)

Abstract

자외선 발광소자의 투명전극을 Ni/Au 또는 ITO 막 대신에 은 (Ag) 을 포함하는 물질로 함으로써, 높은 광투과성 및 높은 휘도를 갖는 자외선 발광소자를 얻을 수 있다.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차례로 형성되는 n-GaN 계 반도체층, 활성층, p-GaN 계 반도체층, 투명전극을 포함하는 자외선 발광소자로서, 상기 투명전극은 은 (Ag) 으로 이루어지는 물질인, 자외선 발광소자가 제공된다.
자외선 발광소자, 투명전극, 은 (Ag)

Description

은계를 투명전극으로 하는 자외선 발광소자 {Ag SERIES TRANSPARENT METAL FOR UV LIGHT EMITTING DIODE}
도 1 은 Ni/Au 와 ITO 의 광 투과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자외선 발광소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 은 Ag 의 반사율과 감광계수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 는 Ag, N/Au, ITO 의 광 투과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21 : 기판 22 : n-GaN 계 반도체층
23 : 활성층 24 : p-GaN 계 반도체층
25 : 투명전극
본 발명은 자외선 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질화갈륨계 반도체 자외선 발광소자 제조에 사용되는 투명전극을 은 (Ag) 을 포함하는 물질로 함으 로써 p-GaN 과 투명전극 간의 오믹 접촉을 형성함과 동시에 향상된 투과율을 갖는 자외선 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p-GaN 계 반도체 발광소자 중, 가시광선 영역의 발광소자에는 투명전극으로서 Ni/Au 를 사용하였었다. p-GaN 계 반도체 층 상에 Ni/Au 을 얇게 증착하여 열처리하여 줌으로써 투명 전극과 p-GaN 계 반도체 층 사이의 오믹접촉을 형성함과 동시에 광선의 투과율에서 어느 정도의 효과를 볼 수 있었다. 그러나, Ni/Au 전극은 금속이므로, 전극의 두께를 두껍게 할 시에는 전류 확산은 활발해지나 빛의 투과율은 낮아지고, 반대로 전극의 두께가 얇을 시에는 빛의 투과율은 높으나 전류 확산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점 때문에, 가시광선 영역의 발광소자에 사용되는 투명전극으로써 투명 전도성 산화물인 ITO (Indium Tin Oxide) 또는 ZnO (Zinc oxide) 등의 물질을 사용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도 1 의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Ni/Au 를 얇게 증착한 경우에는, 가시광 영역인 470 nm 부근의 파장에서 70% 정도의 투과율을 보이는 반면, ITO 는 86% 정도의 투과율을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투명 전도성 산화물질의 개발로 발광소자의 휘도를 상승시킬 수 있었고, 뛰어난 광 투과도를 갖는 가시광선 발광소자의 제작이 가능할 수 있었다.
이와 마찬가지로, 자외선 발광소자를 개발하는데 있어서도, 투명전극으로서 Ni/Au 또는 ITO 막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Ni/Au 또는 ITO 막 모두 자외선 영역에서 50% 에 미치지 못하는 광 투과율을 보여, 원하는 수준의 투과도를 갖는 자외선 발광소자를 제작할 수 없었으며, Ni/Au 막을 ITO 막으 로 대체하더라도 그 차이가 미미하여 휘도가 향상된 자외선 발광소자를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자외선 발광소자의 투명 전극을 은 (Ag) 을 포함하는 물질로 함으로써, p-GaN 계 반도체층과의 오믹 접촉이 형성됨과 동시에 뛰어난 투과도를 갖는 자외선 발광소자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외선 발광소자의 투명 전극의 제조에 있어서, 투명전극을 은 (Ag) 을 포함하는 물질로 함으로써, 뛰어난 광 투과도를 갖는 자외선 발광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차례로 형성되는 n-GaN 계 반도체층, 활성층, p-GaN 계 반도체층, 투명전극을 포함하는 자외선 발광소자로서, 상기 투명전극은 은 (Ag) 으로 이루어지는 물질인, 자외선 발광소자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명전극의 두께는 0.1 내지 50 nm 이다.
한편, 상기 은 (Ag) 으로 이루어지는 물질은, 은 (Ag) 단일막 또는 은 (Ag) 을 포함하는 합금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기판, n-GaN 계 반도체층, 활성층, p-GaN 계 반도체층을 차례로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p-GaN 계 반도체층 상에 은 (Ag) 으로 이루어지는 투명전극을 증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외선 발광소자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명전극을 증착시키는 단계는, e-빔 (e-beam) 증착법 또는 스퍼터링 증착법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명전극은 0.1 내지 50 nm 두께로 증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은 (Ag) 으로 이루어지는 물질은, 은 (Ag) 단일막 또는 은 (Ag) 을 포함하는 합금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발광소자는, 기판 (21), 기판 (21) 상에 형성되는 n-GaN 계 반도체층 (22), n 형 반도체층 상에 적층되는 활성층 (23), 활성층 (23) 상에 형성되는 p-GaN 계 반도체층 (24), p-GaN 계 반도체층 (24) 상에 증착되는 은 (Ag) 또는 은 합금으로 이루어진 투명전극 (25), 투명전극 (25)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는 p 형 금속 전극 (26), 및 n-GaN 계 반도체층 (22)의 타측 상에 형성되는 n 형 금속전극 (27) 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발광소자는, p-GaN 계 반도체층 (24) 상에 형성되는 투명전극 (25) 으로서 은 (Ag) 또는 은 합금으로 이루어진 물질을 사용하고, 그 두께는 약 0.1 내지 50 nm 정도의 얇은 두께로 하며, 이러한 투명전극 (25) 은 e-빔 (e-beam) 또는 스퍼터링에 의해 증착될 수 있다.
도 3 의 그래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자외선 (350~410nm) 영역에서 은 (Ag) 은 약 1.3~2.0 정도의 낮은 감광계수와, 낮은 광 반사율 특성을 보인다. 이러한 특성을 보이는 은 (Ag) 또는 은 합금을 자외선 발광소자의 투명전극에 적용시킴으로써 자외선을 내는 단파장 다이오드 등의 구현에 필요한 높은 광 투과성을 얻을 수 있다.
실제로 도 4 는 은 (Ag) 을 5nm, 10nm, 20nm 의 두께로 증착하여 광 투과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이 그래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Ni/Au 층은 380nm 부근의 자외선 영역에서 약 30% 정도의 투과율을 보이고, 전도성 산화물인 ITO (Indium Tin Oxide) 층은 380nm 부근에서 40% 정도의 투과율을 보여, Ni/Au 층 및 ITO 층 모두 50% 를 넘지 못하는 광투과도를 보이는 반면, 얇은 두께로 증착된 은 (Ag) 은 380nm 부근에서 47% 의 투과율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은 (Ag) 또는 은 합금의 사용으로 자외선 영역에서 광 투과성이 향상된 자외선 발광소자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낮은 접촉저항 (Contact Resistance) 을 갖고 p-GaN 계 반도체 층과 오믹 접촉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전류가 접촉층의 전면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10 S/cm 이상의 전기 전도도를 가져야 하고, 발광 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을 낮추고 발광소자의 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10-4Ω㎠ 이하의 접촉저항을 가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1018/㎤ 이상의 정공을 함유하고 있어야 하며, 빛이 흡수 혹은 반사되지 않고 투과되어야 하므로 자외선 영역에서 높은 광 투과도를 가져야 하고, p-GaN 과 반응하지 않는 물질이어야 한다. 은 (Ag) 은 6.17×105 S/cm 의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갖고, p-GaN 과의 접촉저항이 낮고 서로 반응하지 않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자외선 영역에서 높은 광 투과도를 갖으므로 p-GaN 계 반도체층과의 오믹 접촉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자외선 발광소자의 투명전극을 은 (Ag) 또는 은 합금으로 하면, p-GaN 계 반도체층과의 오믹 접촉을 형성할 수 있고, 광 투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외선 발광소자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발광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기판 (21), n-GaN 계 반도체층 (22), 활성층 (23), p-GaN 계 반도체층 (24) 을 순차적으로 적층시킨다. 그 후, e-빔 또는 스퍼터링 방법을 이용하여 p-GaN 계 반도체층 (24) 상에 은 (Ag) 또는 은 합금으로 된 투명전극 (25) 을 일정한 두께로 증착하고, 이를 열처리하여 투명전극 (25) 과 p-GaN 계 반도체층 (24) 간의 접촉 저항 특성을 향상시킨다. 다음으로, p 형 전극과 n 형 전극을 증착하여 자외선 발광소자를 형성한다. 이 때, 은 (Ag) 또는 은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전극 (25) 은 0.1 내지 50 nm 의 얇은 두께로 형성된다.
이렇게 자외선 발광 소자의 투명 전극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ITO 대신 은 (Ag) 또는 은 합금을 사용함으로써 p-GaN 계 반도체층 (24) 과의 오믹 접촉을 형성시킬 수 있고, 자외선 발광 소자의 광 투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에 따 라 높은 휘도를 갖는 자외선 발광 소자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실시형태를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구성요소의 물질은 당업자가 공지된 다양한 물질로부터 용이하게 선택하여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성요소 중 일부를 성능의 열화 없이 생략하거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구성요소를 추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당업자는 공정 환경이나 장비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방법 단계의 순서를 변경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형태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외선 발광소자의 투명 전극과 p-GaN 계 반도체층 간의 오믹 접촉을 형성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자외선 발광소자의 광투과성 및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7)

  1.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차례로 형성되는 n-GaN 계 반도체층, 자외선 영역의 광을 방출하는 활성층, p-GaN 계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자외선 발광소자에 있어서,
    상기 p-GaN 계 반도체층 상에 두께 0.1 내지 50 nm인 은(Ag) 단일 막으로 이루어지는 투명전극이 증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발광소자.
  2. 삭제
  3. 삭제
  4. 기판, n-GaN 계 반도체층, 자외선 영역의 광을 방출하는 활성층, p-GaN 계 반도체층을 차례로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p-GaN 계 반도체층 상에 두께 0.1 내지 50 nm의 은(Ag) 단일 막으로 이루어지는 투명전극을 증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외선 발광소자의 제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은(Ag) 단일 막으로 이루어지는 투명전극을 증착시키는 단계는, e-빔 (e-beam) 증착법 또는 스퍼터링 증착법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발광소자의 제조 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070097545A 2007-09-27 2007-09-27 은계를 투명전극으로 하는 자외선 발광소자 KR100959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7545A KR100959163B1 (ko) 2007-09-27 2007-09-27 은계를 투명전극으로 하는 자외선 발광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7545A KR100959163B1 (ko) 2007-09-27 2007-09-27 은계를 투명전극으로 하는 자외선 발광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2366A KR20090032366A (ko) 2009-04-01
KR100959163B1 true KR100959163B1 (ko) 2010-05-24

Family

ID=40759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7545A KR100959163B1 (ko) 2007-09-27 2007-09-27 은계를 투명전극으로 하는 자외선 발광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91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81850B2 (en) 2014-05-27 201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ically conductive thin film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353B1 (ko) 2012-05-14 2013-10-2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투명 전극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반도체 장치
KR101332686B1 (ko) 2012-07-11 2013-11-2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투명 전극을 구비하는 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640537B1 (ko) * 2015-07-23 2016-07-1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도성 필라멘트가 형성된 투명 전극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5811A (ja) 1999-06-28 2001-01-19 Toyoda Gosei Co Ltd 透光性電極用膜及びiii族窒化物系化合物半導体素子
KR20050064500A (ko) * 2003-12-24 2005-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질화물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7012281B2 (en) * 2003-10-30 2006-03-14 Epistar Corporation Light emitting diod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US7115915B2 (en) 2004-03-17 2006-10-03 Epitech Technology Corporation Light-emitting diod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5811A (ja) 1999-06-28 2001-01-19 Toyoda Gosei Co Ltd 透光性電極用膜及びiii族窒化物系化合物半導体素子
US7012281B2 (en) * 2003-10-30 2006-03-14 Epistar Corporation Light emitting diod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KR20050064500A (ko) * 2003-12-24 2005-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질화물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7115915B2 (en) 2004-03-17 2006-10-03 Epitech Technology Corporation Light-emitting diod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81850B2 (en) 2014-05-27 201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ically conductive thin fil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2366A (ko) 200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95774B (zh) 发光元件
US7687820B2 (en) Nitride-based white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1750310A2 (en) Omni-directional reflector and light emitting diode adopting the same
CN1905225A (zh) 氮化物基化合物半导体发光装置及其制造方法
WO2007021047A1 (en) Light--emitting device comprising conductive nanorods as transparent electrodes
JP2004179347A (ja) 半導体発光素子
TW201123442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054785B1 (ko) 반도체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2009010348A (ja) チャンネル層とその形成方法、及び該チャンネル層を含む薄膜トランジスタとその製造方法
KR100959163B1 (ko) 은계를 투명전극으로 하는 자외선 발광소자
US20050167681A1 (en) Electrode layer,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forming the electrode layer
CN102832299B (zh) 一种层状透明导电层led芯片的制备方法
CN102623605B (zh) 半导体发光器件及其制造方法
Park et al. Sputter deposition of Sn-doped ZnO/Ag/Sn-doped ZnO transparent contact layer for GaN LED applications
JP6340674B2 (ja) 有機発光素子用の光取出し基板、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含む有機発光素子
US6818467B2 (en) P-type ohmic electrode in gallium nitride based optical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im et al. Improved performance of Ga2O3/ITO‐based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films using hydrogen annealing for near‐ultraviolet light‐emitting diodes
Woo et al. Highly transparent conductive Ag/Ga2O3 electrode for near‐ultraviolet light‐emitting diodes
CN103367580A (zh) 一种高出光效率的发光二极管芯片及其制作方法
KR101979307B1 (ko) 마이크로 발광소자용 반사전극, 이를 구비한 마이크로 발광소자 및 마이크로 발광소자용 반사전극의 제조방법
CN108110116B (zh) 一种发光二极管芯片及其制作方法
KR20130044909A (ko)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Min et al. Very thin ITO/metal mesh hybrid films for a high-performanc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in GaN-based light-emitting diodes
US9070830B2 (en) Electrode contact structure of light-emitting diode with improved roughness
CN111463231A (zh)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