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8911B1 - 의자 높이 및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의자 높이 및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8911B1
KR100958911B1 KR1020090031985A KR20090031985A KR100958911B1 KR 100958911 B1 KR100958911 B1 KR 100958911B1 KR 1020090031985 A KR1020090031985 A KR 1020090031985A KR 20090031985 A KR20090031985 A KR 20090031985A KR 100958911 B1 KR100958911 B1 KR 100958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mounting assembly
armrest
backrest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금자
Original Assignee
백금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금자 filed Critical 백금자
Priority to KR1020090031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9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24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fluid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47C7/541Supports for the arms of adjustabl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 F16F9/0209Telescopic
    • F16F9/0245Means for adjusting the length of, or for locking, the spring or dampers
    • F16F9/0263Means for adjusting the length of, or for locking, the spring or dampers characterised by actuation means, e.g. manually-operated lever arran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 높이 및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안치판(110)과 마운팅 어셈블리(Mounting-Assembly)(120)가 높이 조절 공압 실린더(130)로 연결되어 상기 높이 조절 공압 실린더(130)에서 돌출된 높이 밸브 버튼(131)을 작동시킴으로 의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시트 쿠션(Seat Cushion)(112)이 상부에 설치된 상기 마운팅 어셈블리(120)에 가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등받이(113)가 상기 마운팅 어셈블리(120)에 내장된 등받이 공압 실린더(140)에 연결되어 상기 등받이 공압 실린더(140)에 돌출된 등받이 밸브 버튼(141)을 작동시킴으로 상기 등받이(113)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마운팅 어셈블리(120)의 양쪽편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좌우 폭과 높낮이 및 좌우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팔걸이(150)가 구비된 통상의 의자에 있어서, 양측에 있는 각각의 상기 팔걸이(15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통하도록 통로(16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통로(160)를 통과하며 양 말단에 플렌지(175)와 나사산부(176)가 형성되어 있는 튜브(174)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튜브(174)의 일 말단은 상기 팔걸이(150)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부(176)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공을 구비한 각각의 튜브 고정부(161)에 튜브 고정 너트(177)를 이용하여 고정되며, 상기 튜브(174)의 타 말단은 상기 마운팅 어셈블리(120)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튜브 고정 너트(177)를 이용하여 상기 마운팅 어셈블리(120)에 고정되며, 상기 튜브(174)의 내부를 관통하며 와이어(170)가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170)의 일 말단은 상기 팔걸이(150)의 하단에 힌지 축(152)을 통하여 설치된 조절 레버(151)의 내측 말단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170)의 타 말단은 상기 마운팅 어셈블리(120) 내부에 일단이 힌지(181)로 고정되어 상기 높이 밸브 버튼(131)과 상기 등받이 밸브 버튼(141)을 각각 작동시키는 아암(180)에 각각 연결되며, 우측의 상기 팔걸이(150)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170)와 상기 튜브(174)는 여유 길이를 가질 수 있도록 상기 마운팅 어셈블리(120)의 좌측방향으로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연결되고, 좌측의 상기 팔걸이(150)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170)와 상기 튜브(174)는 여유 길이를 가질 수 있도록 상기 마운팅 어셈블리(120)의 우측방향으로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높이 및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의자를 사용하면서 가장 조작 빈도가 높은 높이 조절과 등받이 각도 조절을 간편하게 팔걸이에 설치된 레버를 조작하여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물론, 팔걸이의 높낮이나 양측 팔걸이 사이의 폭 및 각각의 팔걸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레버와 마운팅 어셈블리 사이의 위치 변화에 영향을 받지않고 높이와 등받이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의자, 높이, 등받이, 조절, 와이어

Description

의자 높이 및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Chair Height and Tilting Adjus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의자 높이 및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안치판(110)과 마운팅 어셈블리(Mounting-Assembly)(120)가 높이 조절 공압 실린더(130)로 연결되어 상기 높이 조절 공압 실린더(130)에서 돌출된 높이 밸브 버튼(131)을 작동시킴으로 의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시트 쿠션(Seat Cushion)(112)이 상부에 설치된 상기 마운팅 어셈블리(120)에 가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등받이(113)가 상기 마운팅 어셈블리(120)에 내장된 등받이 공압 실린더(140)에 연결되어 상기 등받이 공압 실린더(140)에 돌출된 등받이 밸브 버튼(141)을 작동시킴으로 상기 등받이(113)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마운팅 어셈블리(120)의 양쪽편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좌우 폭과 높낮이 및 좌우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팔걸이(150)가 구비된 통상의 의자에 있어서, 양측에 있는 각각의 상기 팔걸이(15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통하도록 통로(16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통로(160)를 통과하며 양 말단에 플렌지(175)와 나사산부(176)가 형성되어 있는 튜브(174)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튜브(174)의 일 말단은 상기 팔걸이(150)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부(176)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공을 구비한 각각의 튜브 고정부(161)에 튜브 고정 너트(177)를 이용하여 고정되며, 상기 튜브(174)의 타 말단은 상기 마운팅 어셈블리(120)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튜브 고정 너트(177)를 이용하여 상기 마운팅 어셈블리(120)에 고정되며, 상기 튜브(174)의 내부를 관통하며 와이어(170)가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170)의 일 말단은 상기 팔걸이(150)의 하단에 힌지축(152)을 통하여 설치된 조절 레버(151)의 내측 말단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170)의 타 말단은 상기 마운팅 어셈블리(120) 내부에 일단이 힌지(181)로 고정되어 상기 높이 밸브 버튼(131)과 상기 등받이 밸브 버튼(141)을 각각 작동시키는 아암(180)에 각각 연결되며, 우측의 상기 팔걸이(150)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170)와 상기 튜브(174)는 여유 길이를 가질 수 있도록 상기 마운팅 어셈블리(120)의 좌측방향으로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연결되고, 좌측의 상기 팔걸이(150)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170)와 상기 튜브(174)는 여유 길이를 가질 수 있도록 상기 마운팅 어셈블리(120)의 우측방향으로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높이 및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서 사무실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의자의 경우 각 사용자의 체형이나 사용 환경에 따라 시트의 높낮이는 물론 등받이의 각도, 등받이의 탄성, 헤드 레스트의 높낮이 및 각도, 시트의 전후위치와 경사, 팔걸이의 높이와 좌우 폭 및 각도 등 대단히 다양한 요소들을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 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여러 가지 조절 가능한 요소들 중 대부분은 일단 사용자에 맞추어 한번 조정을 하고 나면 계속 그 상태를 유지하며 의자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의자의 높낮이와 등받이의 각도는 사용자가 서류 작업 또는 컴퓨터 작업을 하는 것과 같이 작업의 종류에 따라, 또는 작업 중이냐 휴식중이냐에 따라 잦은 변경과 조절을 필요로 하는 기능이다.
통상적으로, 시트쿠션의 저면 중앙에 공압실린더가 장작되어 소정 높이를 유지하고 이 공압실린더의 하단에 다리 및 바퀴가 구비된 의자의 경우에 의자의 높이를 조정하고자 할 때에는 시트쿠션의 하부에서 돌출된 조작레버를 상향으로 당기면 공압실린더의 밸브버튼이 눌려 지면서 공압실린더의 신축이 자유로운 상태가 되어 의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구조가 사용되었다. 이는 등받이 각도 조절의 경우도 유사한 것으로, 등받이의 가동이 가능하게 하는 결합구조에 따라 공압 실린더를 배치하는 위치는 다양하게 변동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는 높이 조절과 마찬가지로 공압 실린더의 밸브 버튼을 조작하여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한다.
그러나, 이러한 통상적인 의자는 의자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의자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 상체를 숙이고 한 손을 시트쿠션의 하부로 펼쳐서 조작레버를 잡고 당기는 동작을 하여야 함으로 사용이 불편하였다. 그리고, 의자의 높이조절용 조작레버가 시트쿠션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평상시에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다리를 움직이게 되면 조작레버에 접촉되는 경우가 있어 신경이 쓰이고 거추장스러운 면도 있었다. 이러한 기존의 통상적인 의자의 조작상의 불편함 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의자 높이 조절 장치"(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06817호)와 같은 구성이 제안되었다. 상기 종래 고안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팔걸이(26)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연통되는 통로(30)를 형성하고, 시트쿠션(22)의 저면과 공압실린더(24)의 상단부를 결합하는 마운팅플레이트(23) 내부에 일단이 힌지(41)로 고정된 아암(40)을 설치하여 밸브버튼(25)을 연동시킬 수 있도록 하며, 힌지(41)의 타단에는 와이어(50)를 연결하여 통로(30)를 통하여 팔걸이(26)의 선단부로 연장시키고, 팔걸이(26)의 선단부의 통로(30)상에는 핀(61)으로 고정되는 레버(60)를 설치하여 와이어(50)의 단부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 기존 고안은 단순히 레버(60)에 와이어(50)를 연결하여 아암(40)을 연동하여 밸브버튼(25)을 조작하여 높낮이를 조절하는 구조로, 인장력은 전달이 가능하나 밀어내는 힘을 전달하는 것은 불가능한 와이어(50)를 사용하는 구성 상의 문제점에 의해, 의도한 작동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레버(60)와 아암(40)사이에 연결된 와이어(50)가 팽팽히 당겨져 있는 상태이어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기존 고안의 경우 사용 온도나 사용 기간에 따라 와이어(50)가 느슨해 지는 경우 작동이 잘되지 않거나 불가능 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근래에 사용되는 사무용 의자와 같이 팔걸이의 높이와 팔걸이 사이의 폭 및 팔걸이의 각도까지 조절이 가능한 구조의 의자의 경우, 레버(60)와 아암(40) 사이의 위치와 거리가 팔걸이의 조절에 따라 변동하게 되어 상기 기존 고안의 구성으로는 팔걸이의 높낮 이의 조절이 불가능해 지는 것은 물론 와이어(50)의 간섭에 의해 팔걸이의 위치 조절마저 제약을 받게 된다는 큰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기존 고안에서는 상기 와이어(50)가 튜브로 보호되고 있다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기는 하나, 이러한 구성에 의하는 경우에도 와이어 보호의 효과만 있을 뿐 상기한 문제점은 그대로 상존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존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대단히 간단하고 저렴한 구조로 의자를 사용하면서 가장 조작 빈도가 높은 높이 조절과 등받이 각도 조절을 간편하게 팔걸이에 설치된 레버를 조작하여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물론, 팔걸이의 높낮이나 양측 팔걸이 사이의 폭 및 각각의 팔걸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레버와 마운팅 어셈블리 사이의 위치 변화에 영향을 받지않고 높이와 등받이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의자 높이 및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는 안치판(110)과 마운팅 어셈블리(Mounting-Assembly)(120)가 높이 조절 공압 실린더(130)로 연결되어 상기 높이 조절 공압 실린더(130)에서 돌출된 높이 밸브 버튼(131)을 작동시킴으로 의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시트 쿠션(Seat Cushion)(112)이 상부에 설치된 상기 마운팅 어셈블리(120)에 가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등받이(113)가 상기 마운팅 어셈블리(120)에 내장된 등받이 공압 실린더(140)에 연결되어 상기 등받이 공압 실린더(140)에 돌출된 등받이 밸브 버튼(141)을 작동시킴으로 상기 등받이(113)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마운팅 어셈블리(120)의 양쪽편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좌우 폭과 높낮이 및 좌우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팔걸이(150)가 구비된 통상의 의자에 있어서, 양측에 있는 각각의 상기 팔 걸이(15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통하도록 통로(16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통로(160)를 통과하며 양 말단에 플렌지(175)와 나사산부(176)가 형성되어 있는 튜브(174)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튜브(174)의 일 말단은 상기 팔걸이(150)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부(176)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공을 구비한 각각의 튜브 고정부(161)에 튜브 고정 너트(177)를 이용하여 고정되며, 상기 튜브(174)의 타 말단은 상기 마운팅 어셈블리(120)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튜브 고정 너트(177)를 이용하여 상기 마운팅 어셈블리(120)에 고정되며, 상기 튜브(174)의 내부를 관통하며 와이어(170)가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170)의 일 말단은 상기 팔걸이(150)의 하단에 힌지축(152)을 통하여 설치된 조절 레버(151)의 내측 말단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170)의 타 말단은 상기 마운팅 어셈블리(120) 내부에 일단이 힌지(181)로 고정되어 상기 높이 밸브 버튼(131)과 상기 등받이 밸브 버튼(141)을 각각 작동시키는 아암(180)에 각각 연결되며, 우측의 상기 팔걸이(150)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170)와 상기 튜브(174)는 여유 길이를 가질 수 있도록 상기 마운팅 어셈블리(120)의 좌측방향으로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연결되고, 좌측의 상기 팔걸이(150)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170)와 상기 튜브(174)는 여유 길이를 가질 수 있도록 상기 마운팅 어셈블리(120)의 우측방향으로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의자를 사용하면서 가장 조작 빈도가 높은 높이 조 절과 등받이 각도 조절을 간편하게 팔걸이에 설치된 레버를 조작하여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물론, 팔걸이의 높낮이나 양측 팔걸이 사이의 폭 및 각각의 팔걸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레버와 마운팅 어셈블리 사이의 위치 변화에 영향을 받지않고 높이와 등받이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자 높이 및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통상적인 높이 조절 및 등받이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의자는 안치판(110)과 마운팅 어셈블리(Mounting-Assembly)(120)가 높이 조절 공압 실린더(130)로 연결되어 상기 높이 조절 공압 실린더(130)에서 돌출된 높이 밸브 버튼(131)을 작동시킴으로 의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시트 쿠션(Seat Cushion)(112)이 상부에 설치된 상기 마운팅 어셈블리(120)에 가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등받이(113)가 상기 마운팅 어셈블리(120)에 내장된 등받이 공압 실린더(140)에 연결되어 상기 등받이 공압 실린더(140)에 돌출된 등받이 밸브 버튼(141)을 작동시킴으로 상기 등받이(113)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마운팅 어셈블 리(120)의 양쪽편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좌우 폭과 높낮이 및 좌우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팔걸이(150)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의자 높이 및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는 상기한 통상의 의자에 있어서,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양측에 있는 각각의 상기 팔걸이(15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통하도록 통로(16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통로(160)를 통과하며 양 말단에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플렌지(175)와 나사산부(176)가 형성되어 있는 튜브(17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튜브(174)의 일 말단은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팔걸이(150)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부(176)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공을 구비한 각각의 튜브 고정부(161)에 튜브 고정 너트(177)를 이용하여 고정되며, 상기 튜브(174)의 타 말단은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마운팅 어셈블리(120)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튜브 고정 너트(177)를 이용하여 상기 마운팅 어셈블리(120)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튜브(174)의 내부를 관통하며 와이어(170)가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170)의 일 말단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팔걸이(150)의 하단에 힌지축(152)을 통하여 설치된 조절 레버(151)의 내측 말단에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와이어(170)의 일 말단을 상기 조절 레버(151)의 내측 말단에 연결하는 방법으로는 어느 일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와이어(170)의 일 말단을 상기 조절 레버(151)의 내측 말단에 형성된 상기 통공(153)에 감아 결속하는 방법, 상기 와이어(170)의 일 말단을 상기 조절 레버(151)의 내측 말단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는 방법, 상기 와이어(170)의 일 말단을 상기 조절 레버(151)의 내측 말단에 용접하는 방법, 상기 와이어(170)의 일 말단을 상기 조절 레버(151)의 내측 말단에 형성된 통공(153)에 통과시킨 후 결합 볼(171)을 결착시켜 연결하는 방법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와이어(170)의 타 말단은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마운팅 어셈블리(120) 내부에 일단이 힌지(181)로 고정되어 상기 높이 밸브 버튼(131)과 상기 등받이 밸브 버튼(141)을 각각 작동시키는 아암(180)에 각각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한쪽 팔걸이(150)의 조절 레버(151)가 높이 밸브 버튼(131)과 하나의 상기 와이어(170)를 통하여 연결이 된다면, 다른 쪽 팔걸이(150)의 조절 레버(151)은 등받이 밸브 버튼(141)에 다른 하나의 와이어(170)를 통하여 연결되게 된다. 이와 같이 양 말단이 고정된 상기 튜브(174)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와이어(170)를 설치하는 구성에 의해 상기 와이어(170)는 상기 튜브(17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여 언제나 인장력을 전달할 수 있는 상태에 있게 되기에, 상기 와이어(170)는 상기 튜브(174)의 말단이 위치하는 형태와 관계없이 작동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높이 조절 공압 실린더(130)는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상기 등받이 공압 실린더(140)는 상기 등받이(113)가 상기 마운팅 어셈블리(120)에 가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성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하 방향 혹은 전후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한 상기 등받이 공압 실린더(140) 및 상기 등받이 공압 실린더(140)의 등받이 밸브 버튼(141)을 구동시키는 아암(180)의 연결 구성은 그 연결 구조의 모식적인 형상을 표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그 배치와 형상을 달리할 수 있다.
한편, 우측의 상기 팔걸이(150)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170)와 상기 튜브(174)는 상기 팔걸이(150)의 높이나 좌우 폭 또는 좌우 각도를 변경하여 조절하는 경우에도 상기 와이어(170)와 상기 튜브(174)에 무리한 부하가 가해지지 않고,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큰 곡률을 가지고 연결될 수 있도록 여유 길이를 가지기 위 하여 상기 마운팅 어셈블리(120)의 좌측방향으로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좌측의 상기 팔걸이(150)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170)와 상기 튜브(174)는 여유 길이를 가질 수 있도록 상기 마운팅 어셈블리(120)의 우측방향으로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 높이 및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의자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높이 밸브 버튼(131)과 하나의 상기 와이어(170)를 통하여 연결이 된 팔걸이(150)의 조절 레버(151)를 도 7에 화살표로 표시한 것과 같이 당기면,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높이 밸브 버튼(131)이 아암(180)에 의해 눌려져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높이 조절이 완료되면 조절 레버(151)를 놓으면 높이 밸브 버튼(131)이 복귀하는 힘에 의해 조절 레버(151) 역시 원래 위치로 복귀하며 높이 조절이 완료되고 의자느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등받이 밸브 버튼(141)와 또 다른 와이어(170)를 통하여 연결된 다른 쪽 팔걸이(150)의 조절 레버(151)를 도 7에 화살표로 표시한 것과 같이 당기면,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등받이 밸브 버튼(141)이 아암(180)에 의해 눌려져 등받이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 다.
이상에서는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 기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의자높이 조절장치의 측단면도.
도 2: 기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의자높이 조절장치의 정면 단면도.
도 3: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의자 높이 및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4: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의자 높이 및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의 측면도.
도 5: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의자 높이 및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의 와이어-레버 연결부의 분해 사시도.
도 6: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의자 높이 및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의 와이어-레버 연결부의 측단면도.
도 7: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의자 높이 및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의 레버부분의 측단면도.
도 8: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의자 높이 및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의 마운트 부분의 작동 모식도.
<도면의 주요부에 사용된 기호의 설명>
110: 안치판 112: 시트 쿠션(Seat Cushion)
113: 등받이
120: 마운팅 어셈블리(Mounting Assembly)
130: 높이조절 공압 실린더 131: 높이 밸브 버튼
140: 등받이 공압 실린더 141: 등받이 밸브 버튼
150: 팔걸이 151: 조절 레버
152: 힌지축 153: 통공
160: 통로 161: 튜브 고정부
170: 와이어 171: 결합 볼(Ball)
172: 통공 무두볼트 173: 조절 너트
174: 튜브 175: 플렌지(Flange)
176: 나사산부 177: 튜브 고정 너트
180: 아암 181: 힌지

Claims (1)

  1. 안치판(110)과 마운팅 어셈블리(Mounting-Assembly)(120)가 높이 조절 공압 실린더(130)로 연결되어 상기 높이 조절 공압 실린더(130)에서 돌출된 높이 밸브 버튼(131)을 작동시킴으로 의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시트 쿠션(Seat Cushion)(112)이 상부에 설치된 상기 마운팅 어셈블리(120)에 가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등받이(113)가 상기 마운팅 어셈블리(120)에 내장된 등받이 공압 실린더(140)에 연결되어 상기 등받이 공압 실린더(140)에 돌출된 등받이 밸브 버튼(141)을 작동시킴으로 상기 등받이(113)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마운팅 어셈블리(120)의 양쪽편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좌우 폭과 높낮이 및 좌우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팔걸이(150)가 구비된 통상의 의자에 있어서,
    양측에 있는 각각의 상기 팔걸이(15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통하도록 통로(16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통로(160)를 통과하며 양 말단에 플렌지(175)와 나사산부(176)가 형성되어 있는 튜브(174)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튜브(174)의 일 말단은 상기 팔걸이(150)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부(176)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공을 구비한 각각의 튜브 고정부(161)에 튜브 고정 너트(177)를 이용하여 고정되며, 상기 튜브(174)의 타 말단은 상기 마운팅 어셈블리(120)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튜브 고정 너트(177)를 이용하여 상기 마운팅 어셈블리(120)에 고정되며,
    상기 튜브(174)의 내부를 관통하며 와이어(170)가 설치되고, 상기 와이 어(170)의 일 말단은 상기 팔걸이(150)의 하단에 힌지축(152)을 통하여 설치된 조절 레버(151)의 내측 말단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170)의 타 말단은 상기 마운팅 어셈블리(120) 내부에 일단이 힌지(181)로 고정되어 상기 높이 밸브 버튼(131)과 상기 등받이 밸브 버튼(141)을 각각 작동시키는 아암(180)에 각각 연결되며,
    우측의 상기 팔걸이(150)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170)와 상기 튜브(174)는 여유 길이를 가질 수 있도록 상기 마운팅 어셈블리(120)의 좌측방향으로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연결되고,
    좌측의 상기 팔걸이(150)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170)와 상기 튜브(174)는 여유 길이를 가질 수 있도록 상기 마운팅 어셈블리(120)의 우측방향으로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높이 및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
KR1020090031985A 2009-04-13 2009-04-13 의자 높이 및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 KR100958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985A KR100958911B1 (ko) 2009-04-13 2009-04-13 의자 높이 및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985A KR100958911B1 (ko) 2009-04-13 2009-04-13 의자 높이 및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8911B1 true KR100958911B1 (ko) 2010-05-19

Family

ID=42281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985A KR100958911B1 (ko) 2009-04-13 2009-04-13 의자 높이 및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891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287A (ko) * 1998-07-02 2000-02-07 이세용 의자용 높이조절부재
JP2007330364A (ja) 2006-06-13 2007-12-27 Okamura Corp 椅子における操作レバー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287A (ko) * 1998-07-02 2000-02-07 이세용 의자용 높이조절부재
JP2007330364A (ja) 2006-06-13 2007-12-27 Okamura Corp 椅子における操作レバー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18443B2 (ja) 椅子の配置
US8209800B2 (en) Single driver connecting structure for an electric bed or chair
US5192114A (en) Tilt adjustment control for a chair
US7445287B2 (en) Seat device for a chair
KR20180108955A (ko) 차량의 시트 위치 조절 장치
EP3311700B1 (en) Mechanical extending mechanism and seating unit comprising the same
US9241570B2 (en) Tilt mechanism for a chair and chair
US8696064B2 (en) Backrest inclination structure for lumbar support
US6276755B1 (en) Swivel arrangement for a chair seat
KR20110065258A (ko) 의자의 등판 틸팅장치
KR100958911B1 (ko) 의자 높이 및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
KR100911710B1 (ko) 의자 높이 및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
KR100911712B1 (ko) 의자 높이 및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
KR100911711B1 (ko) 의자 높이 및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
US20130320732A1 (en) Synchronizing mechanism
JP4759128B2 (ja) 座の前後位置調整装置
JP5438045B2 (ja) 座の前後位置調整装置
JP4167207B2 (ja) 建設機械における運転席のアームレスト
KR200243561Y1 (ko) 틸팅 의자용 베이스
JP3108304U (ja) 椅子着座部の底盤
KR200411864Y1 (ko) 의자용 허리 받침대
KR200443050Y1 (ko) 의자용 등판 틸팅장치
US20200046120A1 (en) Synchronous chair mechanism and chair having same
KR200243618Y1 (ko) 의자 높이조절장치
CN220675603U (zh) 一种椅背可调的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