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8259B1 - 다단 휴지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다단 휴지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8259B1
KR100958259B1 KR1020090133878A KR20090133878A KR100958259B1 KR 100958259 B1 KR100958259 B1 KR 100958259B1 KR 1020090133878 A KR1020090133878 A KR 1020090133878A KR 20090133878 A KR20090133878 A KR 20090133878A KR 100958259 B1 KR100958259 B1 KR 100958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paper
storage box
paper storage
hol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3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금자
진구환
Original Assignee
이금자
진구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금자, 진구환 filed Critical 이금자
Priority to KR1020090133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2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6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with mechanical dispensing, roll switching or cutting devices
    • A47K10/3687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with mechanical dispensing, roll switching or cutting devices with one or more reserve ro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185Holders for boxes of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53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with one or more reserve ro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anitary Thin Pa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루마리 화장지를 붙잡아 고정함과 더불어 현재 사용중인 두루마리 화장지가 모두 소모되었을 때 새로운 두루마리 화장지를 보충해 줄 수 있는 다단 휴지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내부가 비어 있고 양측면이 개방되어 있는 원통 형태의 지관과, 상기 지관의 둘레면을 감싸고 있는 화장지로 이루어진 두루마리 화장지를 보관할 수 있는 휴지 디스펜서에 있어서, 내부가 비어 있어 2개 이상의 두루마리 화장지가 상·하 방향으로 내장되고, 전면 하부에 두루마리 화장지가 빠져나올 수 있도록 관통홀이 갖추어지며, 관통홀의 양측면에는 관통홀의 가장자리에서 화장지 보관함의 후방으로 절개된 가이드홀이 서로 마주보게 갖추어진 화장지 보관함과, 상기 가이드홀의 하부에 배치된 화장지 보관함의 양측면을 관통함과 더불어, 양끝단이 화장지 보관함의 바깥으로 돌출된 연결축, 상기 화장지 보관함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연결축의 양끝단으로부터 연결축의 직교 방향으로 뻗어나온 제 1 연결암, 및 상기 화장지 보관함과 마주보는 제 1 연결암의 일측면으로부터 화장지 보관함쪽으로 돌출되면서 화장지 보관함의 둘레면과 맞닿았을 때 화장지 보관함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제 1 연결암의 어느 한쪽 방향으로만 꺽어지고 가이드홀과 마주보고 있을 때 또는 화장지 보관함의 둘레면으로부터 벗어났을 때 화장지 보관함쪽으로 돌출되는 지관 고정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휴지 디스펜서는 화장지 보관함의 내측에 2개 이상의 두루마리 화장지를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축의 직교 방향으로 뻗어나온 제 1 연결암과 상기 제 1 연결암에 부설된 지관 고정부는 관통홀 바깥으로 빠져나온 두루마리 화장지를 붙잡아 고정할 수 있다. 또, 현재 사용중인 두루마리 화장지가 모두 소모되었을 때, 상기 제 1 연결암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 1 연결암에 장착된 지관 고정부가 화장지 보관함에 적치된 새로운 두루마리 화장지를 붙잡은 다음, 관통홀 바깥으로 내보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휴지 디스펜서는 복수 개의 두루마리 화장지를 휴지 디스펜서에 적치하여 교체 횟수를 줄일 수 있고, 한 개의 두루마리 화장지가 모두 소모되었을 때 새로운 두루마리 화장지를 신속하게 보충해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화장지, 지지구, 화장지 분배장치, 디스펜서, 화장지 걸이

Description

다단 휴지 디스펜서{MULTISTAGE TOILET PAPER DISPENSER}
본 발명은 예비 화장지를 비치할 수도 있고, 현재 사용중인 화장지를 거치할 수도 있으며, 현재 사용중인 화장지가 모두 소모되었을 때, 신속하게 예비 화장지로 교환할 수 있는 한 다단 휴지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루마리 화장지를 지정된 장소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기역자 형상의 걸림구를 마련한 다음, 상기 걸림구의 일단을 벽면에 고정하고, 상기 걸림구의 타단에 두루마리 화장지를 관통시켜 상기 두루마리 화장지를 지정된 장소에 설치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기존의 화장지 걸이는 직경이 넓은 두루마리 화장지를 걸어두기 힘들어 두루마리 화장지의 소모 시간이 짧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복수 개의 두루마리 화장지를 걸어두거나 비치하기에도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벽면으로부터 뻗어나온 고정축을 마 련하고, 상기 고정축에 점보형 두루마리 화장지를 끼워넣는 방법이 있으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점보형 두루마리 화장지의 일단을 붙잡은 상태로 상기 점보형 두루마리 화장지를 회전시키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점보형 두루마리 화장지의 일단을 붙잡은 상태로 끌어당겼을 때, 화장지의 일부가 사용자의 의도와 달리 쉽게 찢겨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점보형 두루마리 화장지는 화장지의 분량을 늘리기 위해 질이 낮고 얇은 화장지를 여러 겹 말아넣은 구조라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부담스럽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화장지의 교체 시기가 불규칙하여 일정 시간이 지난 다음, 미처 소모되지 않은 점보형 두루마리 화장지를 미리 폐기하고 새로운 점보형 두루마리 화장지를 보충하여야 된다는 문제점이 있어, 자원 낭비가 심각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복수 개의 두루마리 화장지를 휴지 디스펜서에 보관하여 교체 횟수를 줄일 수 있고, 한 개의 두루마리 화장지가 모두 소모되었을 때 새로운 두루마리 화장지를 신속하게 보충할 수 있도록 하여 교체에 따른 불편을 줄임과 더불어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게 한 다단 휴지 디스펜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단 휴지 디스펜서는 내부가 비어 있고, 양측면이 개방되어 있는 원통 형태의 지관과, 상기 지관의 둘레면을 감싸고 있는 화장지로 이루어진 두루마리 화장지를 고정할 수 있는 휴지 디스펜서에 있어서, 내부가 비어있어 2개 이상의 두루마리 화장지가 상·하 방향으로 내장되고, 전면 하부에 두루마리 화장지가 빠져나올 수 있도록 관통홀이 갖추어지며, 관통홀의 양측면에는 관통홀의 가장자리에서 화장지 보관함의 후방으로 절개된 가이드홀이 서로 마주보게 갖추어진 화장지 보관함과, 상기 가이드홀의 하부에 배치된 화장지 보관함의 양측면을 관통함과 더불어, 양끝단이 화장지 보관함의 바깥으로 돌출된 연결축, 상기 화장지 보관함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연결축의 양끝단으로부터 연결축의 직교 방향으로 뻗어나온 제 1 연결암, 및 상기 화장지 보관함과 마주보는 제 1 연결암의 일측면으로부터 화장지 보관함쪽으로 돌출되면서 화장지 보관함의 둘레면과 맞닿았을 때 화장지 보관함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제 1 연결암의 어느 한쪽 방향으로만 꺽어지고 가이드홀과 마주보고 있을 때 또는 화장지 보관함의 둘레면으로부터 벗어났을 때 화장지 보관함쪽으로 돌출되는 지관 고정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휴지 디스펜서는 화장지 보관함의 내측에 2개 이상의 두루마리 화장지를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축의 직교 방향으로 뻗어나온 제 1 연결암과 상기 제 1 연결암으로부터 화장지 보관함 방향으로 뻗어나온 지관 고정부는 관통홀 바깥으로 빠져나온 두루마리 화장지를 붙잡아 고정할 수 있다.
또, 현재 사용중인 두루마리 화장지가 모두 소모되었을 때, 상기 제 1 연결암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제 1 연결암에 부설된 지관 고정부가 화장지 보관함에 적치된 새로운 두루마리 화장지를 붙잡은 다음, 관통홀 바깥으로 내보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휴지 디스펜서는 복수 개의 두루마리 화장지를 휴지 디스펜서에 적치함으로써 교체 시간을 줄일 수 있고, 한 개의 두루마리 화장지가 모두 소모되었을 때 자리를 이탈하지 않은 채 휴지 디스펜서안에 적치된 예비 화장지를 신속하게 보충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두루마리 화장지를 별도의 장소에 보관하지 않아도 되고, 두루마리 화 장지가 습기에 의해 젖거나 오염됨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여분의 두루마리 화장지를 보관할 수 있는 화장지 보관함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전면 또는 양측면에 광고 문구를 새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휴지 디스펜서는 화장실을 이용하는 이용자 그리고, 화장실에 갖추어진 시설물을 관리하는 관리자 모두에게 유용하다는 장점이 있고, 기존의 휴지 걸이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휴지 디스펜서를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면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면 2는 화장지 보관함의 사시도이며, 도면 3은 본 발명의 측면도이고, 도면 4는 연결축과 연결암 그리고 쉬프트 레버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면 5는 연결암의 측면도이고, 도면 6은 지관 고정부의 제 1 실시 예 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면 7a 내지 도면 7c는 지관 고정부의 제 2 실시 예에 대한 분해도 및 동작 예시도이고, 도면 8은 본 발명에 갖추어진 경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 도면 9a 내지 도면 9d는 지관 고정부의 제 1 실시 예가 갖추어진 본 발명이 동작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휴지 디스펜서는 내부가 비어있고, 양측면이 개방되어 있는 원통 형태의 지관(1)과, 상기 지관(1)의 둘레면을 감싸고 있는 화장지(3)로 이루어진 두루마리 화장지(5)를 고정할 수 있는 휴지 디스펜서에 있어서, 내부가 비어 있어 1개 이상의 두루마리 화장지(5)가 상·하 방향으로 내장될 수 있고, 전면 하부에 두루마리 화장지(5)가 빠져나올 수 있도록 관통홀(7)이 갖추어지며, 관통홀(7)의 양측면에는 관통홀(7)의 가장자리에서 화장지 보관함(11)의 후방으로 절개된 가이드홀(9)이 서로 마주보게 갖추어진 화장지 보관함(11)과, 상기 가이드홀(9)의 하부에 배치된 화장지 보관함(11)의 양측면을 관통함과 더불어, 양끝단이 화장지 보관함(11)의 바깥으로 돌출된 연결축(13), 상기 화장지 보관함(11)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연결축(13)의 양끝단으로부터 연결축(13)의 직교 방향으로 뻗어나온 제 1 연결암(15a), 및 상기 화장지 보관함(11)과 마주보는 제 1 연결암(15a)의 일측면으로부터 화장지 보관함(11)쪽으로 돌출되면서 화장지 보관함(11)의 둘레면과 맞닿았을 때 화장지 보관함(11)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제 1 연결암(15a)의 어느 한쪽 방향으로만 꺽어지고 가이드홀(9)과 마주보고 있을 때 또는 화장지 보관함(11)의 둘레면으로부터 벗어났을 때 화장지 보관함(11)쪽으로 돌출되는 지관 고정부(17)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관통홀(7)에는 도면 2 또는 도면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홀(7)의 가장자리에 힌지 결합되어 관통홀(7)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는 개폐 도어(19)가 갖추어질 수 있고, 상기 개폐 도어(19)와 관통홀(7) 사이에 연결된 힌지에는 탄성 부재(20)가 부가 장착되어 상기 개폐 도어(19)가 탄성 부재(20)에 의해 관통홀(7)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 상기 화장지 보관함(11)의 상단에는 도면 2 또는 도면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지 보관함(11)의 내측으로 두루마리 화장지(5)를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구(21)가 개구 되며, 상기 삽입구(21)에는 삽입구(21)의 가장자리에 힌지 결합되어 삽입구(21)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는 개폐 도어(22)가 갖추어질 수 있다.
또, 상기 삽입구(21)와 개폐 도어(22) 사이에 연결된 힌지에는 상기 개폐 도어(22)에 작용되는 힘이 사라졌을 때, 상기 개폐 도어(22)가 삽입구(2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 부재(24)가 부설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개폐 도어(19,22)의 둘레면과 화장지 보관함(11)의 전면 또는 양측면에는 투명 재질의 투명창(26)이 갖추어져 상기 투명창(26)을 통해 화장지 보관함(11)에 적치된 두루마리 화장지(5)를 확인할 수 있다.
또, 상기 화장지 보관함(11)의 후면에는 도면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화장지 보관함(11)을 벽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접착 부재(28)가 부설될 수 있다.
또, 상기 화장지 보관함(11)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연결축(13)의 양끝단에는 도면 4 또는 도면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축(13)의 직교 방향으로 뻗어나옴과 동시에 제 1 연결암(15a)과 180도의 내각을 두고 떨어진 제 4 연결암(15d)이 설치될 수 있다.
또, 상기 화장지 보관함(11)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연결축(13)의 양끝단에는 도면 4 또는 도면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축(13)의 직교 방향으로 뻗어나옴과 동시에 제 1 연결암(15a)과 120도의 내각을 두고 떨어진 제 2 연결암(15b)이 부설될 수 있고, 상기 제 1 연결암(15a)과 제 2 연결암(15b)의 사이에는 연결축(13)의 직교 방향으로 뻗어나옴과 동시에 제 1 연결암(15a) 또는 제 2 연결암(15b)과 각각 120도의 내각을 두고 떨어진 제 3 연결암(15c)이 부설될 수도 있다.
또, 상기 화장지 보관함(11)과 마주보고 있는 제 2 연결암(15b)이나 제 3 연결암(15c) 또는 제 4 연결암(15d)의 일측면에도 제 1 연결암(15a)에 장착된 지관 고정부(17)와 동일한 지관 고정부(17)가 부설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축(13)의 양끝단에는 도면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축(13)에 연결된 제 1 연결암(15a) 내지 제 4 연결암(15d)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원통 형상의 쉬프트 레버(25)가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관 고정부(17)의 제 1 실시예는 도면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홀(9)과 마주보는 제 1 연결암(15a)이나 제 2 연결암(15b) 또는 제 3 연결암(15c)이나 제 4 연결암(15d)의 일측면을 관통하는 통과홀(27)과, 속이 비어 있는 입체 형상으로써, 제 1 연결암(15a)이나 제 2 연결암(15b) 또는 제 3 연결암(15c)이나 제 4 연결암(15d)을 경계로 화장지 보관함(11)과 마주보고 있으며, 통과 홀(27)과 마주보는 일측면이 개구되고, 서로 마주보고 있는 둘레면에 길이 방향으로 개구된 슬라이드홀(29)이 갖추어진 하우징(31), 및 상기 하우징(31)에 삽입되는 탄성 부재(33)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통과홀(27)과 마주보는 하우징(31)의 일측면은 통과홀(27)의 가장자리에 고정되어 상기 탄성 부재(33)가 통과홀(27)을 거쳐 하우징(31)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연결암(15a)이나 제 2 연결암(15b) 또는 제 3 연결암(15c)이나 제 4 연결암(15d)과 화장지 보관함(11)의 사이에는 통과홀(27)을 지나 하우징(31)의 내측으로 삽입되거나 통과홀(27)을 지나 하우징(31)의 바깥으로 빠져나올 수 있는 푸쉬턱(35)이 갖추어지고, 상기 푸쉬턱(35)의 양측면에는 도면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푸쉬턱(35)의 바깥 방향으로 뻗어나온 돌출턱(37)이 갖추어져 상기 돌출턱(37)이 슬라이드홀(29)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쉬턱(35)의 일측면은 상기 푸쉬턱(35)이 화장지 보관함(11)의 둘레면과 맞닿게 되었을 때, 하우징(31)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빗면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상기 돌출턱(37)의 길이는 슬라이드홀(29)의 길이보다 짧게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지관 고정부(17)의 제 1 실시예가 동작 되는 과정을 도면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쉬프트 레버(25)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 1 연결암(15a)이나 제 2 연결암(15b) 또는 제 3 연결암(15c)이나 제 4 연결 암(15d)에 갖추어진 푸쉬턱(35)의 일측면이 화장지 보관함(11)의 둘레면과 맞닿아 상기 푸쉬턱(35)이 하우징(31)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푸쉬턱(35)이 하우징(31)의 내측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31)과 푸쉬턱(35) 사이에 개재된 탄성 부재(33)는 압축되어 하우징(31)과 푸쉬턱(35) 사이에서 탄성 반발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푸쉬턱(35)이 하우징(31)의 내측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푸쉬턱(35)에 갖추어진 돌출턱(37)은 슬라이드홈(29)에 끼워진 상태에서 슬라이드홈(29)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푸쉬턱(35)은 제 1 연결암(15a)이나 제 2 연결암(15b) 또는 제 3 연결암(15c)이나 제 4 연결암(15d)이 화장지 보관함(11)의 둘레면을 지날 때, 하우징(3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화장지 보관함(11)과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
반면, 상기 제 1 연결암(15a)이나 제 2 연결암(15b) 또는 제 3 연결암(15c)이나 제 4 연결암(15d)이 가이드홀(9)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푸쉬턱(35)이 가이드홀(9)과 마주보게 되었다면, 상기 푸쉬턱(35)은 하우징(31)과 푸쉬턱(35) 사이에 개재된 탄성 부재(33)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가이드홀(9)을 지나 화장지 보관함(11)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턱(37)은 탄성 부재(33)의 탄발력에 의해 슬라이드홀(29)의 타단에서 슬라이드홀(29)의 일단까지 이동한 다음, 정지됨으로써 상기 푸쉬턱(35)이 탄성 부재(33)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하우징(31)의 바깥으로 튕겨 나가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홀(9)을 통해 화장지 보관함(11)의 내측으로 삽입된 푸쉬턱(35)은 지관(1)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두루마리 화장지(5)를 붙들어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관 고정부(17)의 제 2 실시 예는 도면 7a 내지 도면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화장지 보관함(11)과 마주보고 있는 제 1 연결암(15a)이나 제 2 연결암(15b) 또는 제 3 연결암(15c)이나 제 4 연결암(15d)의 일측면으로부터 화장지 보관함(11)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팔(39)과, 일단이 상기 고정팔(39)의 타단과 관절 수단(41)에 의해 결합된 꺽임팔(43)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관절 수단(41)은 도면 7a 내지 도면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팔(39)의 타단 중앙을 제 1 연결암이나 제 2 연결암 또는 제 3 연결암이나 제 4 연결암의 직교 방향으로 절곡 시킨 끼움홈(45)과, 상기 끼움홈(45)을 사이에 두고 고정팔(39)의 타단으로부터 나란하게 뻗어나온 고정 브라켓(47)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관절 수단(41)은 꺽임팔(43)의 일단 중앙으로부터 뻗어나와 상기 끼움홈(45)에 끼워질 수 있는 끼움 브라켓(49)과, 상기 고정 브라켓(47)과 끼움 브라켓(49)을 관통하는 힌지축(51)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브라켓(47)의 일측면은 빗면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힌지축(51)에는 비틀림 스프링(53)이 끼워질 수 있고, 상기 비틀림 스프링(53)의 일단과 타단은 각각 고정팔(39)과 꺽임팔(43)의 일측면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상기 지관 고정부(17)의 제 2 실시 예 에 갖추어진 꺽임팔(43)의 타측면에 장애물이 맞닿게 되면, 상기 꺽임팔(43)은 고정 브라켓(47)의 일측면에 갖추어진 빗면을 타고, 고정팔(39)의 직교 방향으로 꺽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꺽임팔(43)의 타측면에 장애물이 사라지게 되면, 상기 꺽임팔(43)은 비틀림 스프링(53)의 탄발력에 의해 초기 상태로 복원된다.
반면, 상기 꺽임팔(43)의 일측면에 장애물이 맞닿게 되면, 상기 꺽임팔(43)은 고정 브라켓(47)의 타측면과 맞닿아 굽어질 수 없기 때문에 고정팔(39)과 일직선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꺽임팔(43)이 화장지 보관함(11)의 둘레면과 맞닿게 되면, 상기 꺽임팔(43)이 고정팔(39)의 직교 방향으로 꺽어져 제 1 연결암(15a)이나 제 2 연결암(15b) 또는 제 3 연결암(15c)이나 제 4 연결암(15d)이 화장지 보관함(11)을 경유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반면, 상기 꺽임팔(43)이 가이드홀(9)과 맞닿거나 화장지 보관함(11)을 벗어나게 되면, 상기 꺽임팔(43)이 고정팔(39)에 연결된 비틀림 스프링(53)에 의해 화장지 보관함(11) 방향으로 곧게 뻗어 지관(1)의 양측부에 끼워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비틀림 스프링(53)의 구조는 도면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을 구비한 원통형 스프링(53a)과, 상기 원통형 스프링(53a)으로부터 원통형 스프링(53a)의 타측 방향으로 뻗어나온 제 1 지지대(53b), 및 상기 원통형 스프링(53a)으로부터 원통형 스프링(53a)의 일측 방향으로 뻗어나온 제 2 지지대(53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힌지축(51)은 원통형 스프링(53a)을 관통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 1 지지대(53b)와 제 2 지지대(53c)는 각각 고정팔(39)과 꺽임팔(43)의 일측면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관통홀(7)과 마주보고 있는 화장지 보관함(11)의 내측 모서리에는 도면 3과 도면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지 보관함(11)으로 삽입된 지관(1)의 양측면이 가이드홀(9)과 항시 마주볼 수 있도록 두루마리 화장지(5)를 화장지 보관함(11)의 내측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빗면 형태의 경사부(38)가 갖추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휴지 디스펜서가 동작되는 과정을 도면 9a 내지 도면 9d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도면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지 보관함(11)에 두루마리 화장지(5)를 보충하기 위해 개폐 도어(22)를 연 다음, 삽입구(21)를 통해 2개 이상의 두루마리 화장지(5)를 삽입한다.
이때, 상기 삽입구(21)를 통해 화장지 보관함(11)의 내측으로 삽입된 두루마리 화장지(5)는 제 1 연결암(15a)에 장착된 지관 고정부(17)의 상단에 걸쳐 화장지 보관함(11)의 내측에서 정지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화장지(3)를 사용하기 위해 상기 쉬프트 레버(25)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화장지 보관함(11)에 적치된 두루마리 화장지(5)는 두루마리 화장지(5)의 자중에 의해 화장지 보관함(11)의 내측으로 하강되고, 상기 두루마리 화장지(5)에 갖추어진 지관(1)의 양측부는 가이드홀(9)과 서로 마주보게 된 다.
다음, 사용자는 제 3 연결암(15c)에 갖추어진 지관 고정부(17)에 지관(1)의 양측부를 끼워넣기 위해 상기 쉬프트 레버(25)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쉬프트 레버(25)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제 3 연결암(15c)에 부설된 푸쉬턱(35)은 제 3 연결암(15c)이 화장지 보관함(11)의 둘레면을 지나침에 따라 하우징(31)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제 3 연결암(15c)은 푸쉬턱(35)의 간섭없이 가이드홀(9)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3 연결암(15c)이 가이드홀(9)과 마주 보게 되면, 상기 푸쉬턱(35)이 화장지 보관함(11)의 둘레면으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가이드홀(9)을 지나 화장지 보관함(11)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제 3 연결암(15c)에 연결됨과 동시에 지관 고정부(17)에 갖추어진 푸쉬턱(35)은 도면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관(1)의 양측부를 관통하여 제 3 연결암(15c) 사이에 두루마리 화장지(5)를 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 상기와 같이 제 3 연결암(15c)에 갖추어진 지관 고정부(17)에 두루마리 화장지(5)를 고정시킨 다음, 상기 쉬프트 레버(25)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 3 연결암(15c)은 도면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루마리 화장지(5)를 관통홀(7) 바깥으로 빼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3 연결암(15c) 사이에 개재된 두루마리 화장지(5)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연결암(15c)이 가이드홀(9)을 벗어나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 2 연결암(15b)은 가이드홀(9)로 이동하여 도면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새로운 두루마리 화장지(5)를 물어 잡을 수 있다.
한편, 제 3 연결암(15c) 사이에 개재된 두루마리 화장지(5)를 모두 사용하여 상기 제 3 연결암(15c)에 화장지(3)를 제외한 지관(1)만이 남게 되었다면, 사용자는 도면 9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쉬프트 레버(25)를 반시계 반향으로 회전시켜, 제 2 연결암(15b) 사이에 개재된 새로운 두루마리 화장지(5)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연결암(15c) 사이에 개재된 지관(1)은 제 3 연결암(15c)에 부설된 푸쉬턱(35)이 화장지 보관함(11)의 둘레면과 맞닿아 하우징(31) 내부로 삽입되었을 때, 제 3 연결암(15c)에 갖추어진 푸쉬턱(35)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고, 상기 지관(1)을 떨어뜨린 제 3 연결암(15c)은 다시 가이드홀(9) 방향으로 이동하여 화장지 보관함(11)의 내측에 삽입된 두루마리 화장지(5)를 물어 잡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지관 고정부(17)의 제 2 실시 예가 부설된 본 발명이 동작 되는 과정은 상기 지관 고정부(17)의 제 1 실시 예가 부설된 본 발명에서 지관 고정부(17)의 제 1 실시 예를 제 2 실시 예로 대치한 것에 불가하고,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충분히 예측할 수 있으므로 반복된 설명은 피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휴지 디스펜서는 화장지 보관함(11)의 내측에 2개 이상의 두루마리 화장지(5)를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축(13)의 직교 방향으로 뻗어나온 제 1 연결암(15a)이나 제 2 연결암(15b) 또는 제 3 연결암(15c)이나 제 4 연결암(15d)에 부설된 지관 고정부(17)는 관통홀(7) 바깥으로 빠져나온 두루마리 화장지(5)를 붙들어 고정할 수 있다.
또, 현재 사용중인 두루마리 화장지(5)가 모두 소모되었을 때, 상기 쉬프트 레버(25)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다른 하나의 연결암에 장착된 지관 고정부(17)가 화장지 보관함(11)에 적치된 새로운 두루마리 화장지(5)를 물어 잡은 다음, 관통홀(7) 바깥으로 내보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휴지 디스펜서는 복수 개의 두루마리 화장지(5)를 휴지 디스펜서에 적치하여 교체 횟수를 줄일 수 있고, 한 개의 두루마리 화장지(5)가 모두 소모되었을 때 새로운 두루마리 화장지(5)를 신속하게 보충해 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과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면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면 2는 화장지 보관함의 사시도,
도면 3은 본 발명의 측면도,
도면 4는 연결축과 연결암 그리고 쉬프트 레버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5는 연결암의 측면도,
도면 6은 지관 고정부의 제 1 실시 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면 7a 내지 도면 7c는 지관 고정부의 제 2 실시 예에 대한 분해도 및 동작 예시도,
도면 8은 본 발명에 갖추어진 경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9a 내지 도면 9d는 지관 고정부의 제 1 실시 예가 갖추어진 본 발명이 동작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지관 3. 화장지
5. 두루마리 화장지 7. 관통홀
9. 가이드홀 11. 화장지 보관함
13. 연결축 15a. 제 1 연결암
17. 지관 고정부 19. 개폐 도어
21. 삽입구 22. 개폐 도어
25. 쉬프트 레버 27. 통과홀
29. 슬라이드홀 31. 하우징
33. 탄성 부재 35. 푸쉬턱
37. 돌출턱 39. 고정팔
41. 관절 수단 43. 꺽임팔
45. 끼움홈 47. 고정 브라켓
49. 끼움 브라켓 51. 힌지축
53. 비틀림 스프링 53a. 원통형 스프링
53b. 제 1 지지대 53c. 제 2 지지대

Claims (9)

  1. 내부가 비어있고, 양측면이 개방되어 있는 원통 형태의 지관(1)과, 상기 지관(1)의 둘레면을 감싸고 있는 화장지(3)로 이루어진 두루마리 화장지(5)를 고정할 수 있는 휴지 디스펜서에 있어서,
    내부가 비어 있어 1개 이상의 두루마리 화장지(5)가 상·하 방향으로 내장될 수 있고, 전면 하부에 두루마리 화장지(5)가 빠져나올 수 있도록 관통홀(7)이 갖추어지며, 관통홀(7)의 양측면에는 관통홀(7)의 가장자리에서 화장지 보관함(11)의 후방으로 절개된 가이드홀(9)이 서로 마주보게 갖추어진 화장지 보관함(11)과;
    상기 가이드홀(9)의 하부에 배치된 화장지 보관함(11)의 양측면을 관통함과 더불어, 양끝단이 화장지 보관함(11)의 바깥으로 돌출된 연결축(13);
    상기 화장지 보관함(11)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연결축(13)의 양끝단으로부터 연결축(13)의 직교 방향으로 뻗어나온 제 1 연결암(15a);
    및 상기 화장지 보관함(11)과 마주보는 제 1 연결암(15a)의 일측면으로부터 화장지 보관함(11)쪽으로 돌출되면서 화장지 보관함(11)의 둘레면과 맞닿았을 때 화장지 보관함(11)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제 1 연결암(15a)의 어느 한쪽 방향으로만 꺽어지고 가이드홀(9)과 마주보고 있을 때 또는 화장지 보관함(11)의 둘레면으로부터 벗어났을 때 화장지 보관함(11)쪽으로 돌출되는 지관 고정부(17)로 이루어진 다단 휴지 디스펜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7)에는 관통홀(7)의 가장자리에 힌지 결합되어 관통홀(7)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는 개폐 도어(19)가 갖추어지고,
    상기 화장지 보관함(11)의 상단에는 화장지 보관함(11)의 내측으로 두루마리 화장지(5)를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구(21)가 개구 되며, 상기 삽입구(21)에는 삽입구(21)의 가장자리에 힌지 결합되어 삽입구(21)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는 개폐 도어(22)가 갖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휴지 디스펜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도어(19,22)의 둘레면 또는 화장지 보관함(11)의 전면 또는 양측면에는 투명 재질의 투명창(26)이 갖추어져 상기 투명창(26)을 통해 화장지 보관함(11)에 적치된 두루마리 화장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휴지 디스펜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13)의 양끝단에는 원통 형상의 쉬프트 레버(25)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휴지 디스펜서.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7)과 마주보고 있는 화장지 보관함(11)의 내측 모서리에는 화장지 보관함(11)으로 삽입된 지관(1)의 양측면이 가이드홀(9)과 항시 마주볼 수 있도록 두루마리 화장지(5)를 화장지 보관함(11)의 내측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빗면 형태의 경사부(38)가 갖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휴지 디스펜서.
KR1020090133878A 2009-12-30 2009-12-30 다단 휴지 디스펜서 KR100958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878A KR100958259B1 (ko) 2009-12-30 2009-12-30 다단 휴지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878A KR100958259B1 (ko) 2009-12-30 2009-12-30 다단 휴지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8259B1 true KR100958259B1 (ko) 2010-05-18

Family

ID=42281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3878A KR100958259B1 (ko) 2009-12-30 2009-12-30 다단 휴지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825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211B1 (ko) 2011-03-09 2011-05-17 양하문 화장지 걸이대
KR101439491B1 (ko) * 2013-01-31 2014-09-12 정광우 휴지디스펜서가 구비된 휴지걸이
KR20160144033A (ko) 2015-06-08 2016-12-16 신민지 화장지 걸이장치
KR200495171Y1 (ko) * 2021-10-06 2022-03-21 육민준 탄창형 벽걸이 휴지케이스
KR20220135895A (ko) 2021-03-31 2022-10-07 박석 롤휴지 디스펜서
KR102605112B1 (ko) * 2022-12-06 2023-11-23 박현서 자동리필 휴지걸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5446U (ko) 1975-10-17 1977-04-21
JPS59101897U (ja) 1982-12-24 1984-07-09 伊巻 保平 トイレツトペ−パ−ホルダ
JPH0611591U (ja) * 1992-07-17 1994-02-15 昭和スプリング株式会社 トイレットペーパーホルダー
JP2009000423A (ja) 2007-06-25 2009-01-08 Hiroo Takayama トイレットペーパーホルダの交換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5446U (ko) 1975-10-17 1977-04-21
JPS59101897U (ja) 1982-12-24 1984-07-09 伊巻 保平 トイレツトペ−パ−ホルダ
JPH0611591U (ja) * 1992-07-17 1994-02-15 昭和スプリング株式会社 トイレットペーパーホルダー
JP2009000423A (ja) 2007-06-25 2009-01-08 Hiroo Takayama トイレットペーパーホルダの交換構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211B1 (ko) 2011-03-09 2011-05-17 양하문 화장지 걸이대
KR101439491B1 (ko) * 2013-01-31 2014-09-12 정광우 휴지디스펜서가 구비된 휴지걸이
KR20160144033A (ko) 2015-06-08 2016-12-16 신민지 화장지 걸이장치
KR20220135895A (ko) 2021-03-31 2022-10-07 박석 롤휴지 디스펜서
KR200495171Y1 (ko) * 2021-10-06 2022-03-21 육민준 탄창형 벽걸이 휴지케이스
KR102605112B1 (ko) * 2022-12-06 2023-11-23 박현서 자동리필 휴지걸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8259B1 (ko) 다단 휴지 디스펜서
US5400982A (en) Dispenser for multiple rolls of sheet material
US6607160B2 (en) Easy loading dispenser
US6412678B2 (en) Sheet material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US4487375A (en) Roll transfer mechanism for web material dispenser
AU2008208666C1 (en) Dispenser for wipe materials
CN108289575B (zh) 卷的分配器
US8899509B2 (en) Dispenser for a roll of absorbent paper tissue or nonwoven material
JPH0615574Y2 (ja) ロールペーパーホルダー
MXPA05001178A (es) Surtidor de material de trama de papel de dos rollos.
US6994292B2 (en) Dispensing apparatus for web material
US20090194555A1 (en) Wipes Canister
EP1740490A1 (en) Double-faced adhesive tape dispenser
JPH11513290A (ja) 予備ロール補給装置を備えたペーパータオル用ディスペンサー
US6302351B1 (en) Dispenser for multiple rolls of sheet material
US20120273605A1 (en) Cover actuated roll towel dispense
US20070205317A1 (en) Multi-roll toilet paper dispenser
KR200236422Y1 (ko) 화장지의 회전제어장치
ITPC980017U1 (it) Contenitore da scrivania,in particolare per fogli da appunti,od ancheper fermagli,graffette o simili
CN114173623B (zh) 用于吸收性纸材料卷筒的分配器
KR102434328B1 (ko) 롤형 제품 송급 시스템
WO2012047357A1 (en) Inner wipes
JP4385377B2 (ja) ペーパーホルダ
JPH052155Y2 (ko)
GB2313105A (en) Sheet dispenser and towel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