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7572B1 - 케익 및 케익 받침대 - Google Patents

케익 및 케익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7572B1
KR100957572B1 KR1020100000819A KR20100000819A KR100957572B1 KR 100957572 B1 KR100957572 B1 KR 100957572B1 KR 1020100000819 A KR1020100000819 A KR 1020100000819A KR 20100000819 A KR20100000819 A KR 20100000819A KR 100957572 B1 KR100957572 B1 KR 100957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ke
plate body
base plate
elevating
elev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0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철
Original Assignee
조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철 filed Critical 조현철
Priority to KR1020100000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75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7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7572B1/ko
Priority to PCT/KR2010/007463 priority patent/WO2011083903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akery products, e.g. biscu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8Food-conveying devices for tables; Movable or rotary food-serv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the piston or movable bottom being pulled upwards to dispense the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익 및 케익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케익 받침대는, 상면 상에 제1 케익 몸체가 놓여지는 베이스 판체; 상기 베이스 판체보다 작은 지름을 갖고 상기 베이스 판체의 상부 측 중심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되며 상면 상에 제2 케익 몸체가 놓여지는 승강 판체; 하부 측의 상기 베이스 판체와 상부 측의 상기 승강 판체 사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승강 판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 수단; 및 사용자가 상기 승강 수단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조작하는 조작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 수단은, 상기 베이스 판체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조작 수단은, 상기 베이스 판체 내부에서 상기 승강 수단을 간섭하고 상기 베이스 판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1단 케익 상태와 다단 케익 상태로 자유롭게 상호 변환될 수 있으므로, 새로운 재미를 부여하고, 종래의 다단 케익이 갖는 큰 부피 및 크기에 따른 포장, 운반 및 보관의 난이성을 완전하게 해소하여, 실생활에서 다단 케익의 이용을 저변 확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케익 및 케익 받침대{CAKE AND CAKE SUPPORT}
본 발명은 케익 및 케익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케익 받침대가 1단과 2단 이상의 다단으로 변환되어 1단 케익과 2단 이상의 다단 케익을 구현할 수 있음으로써, 포장, 운반 및 보관 시에는 1단으로 되어 부피 축소되고, 진열 및 사용 시에는 2단 이상의 다단으로 되어 부피 확대될 수 있는 케익 및 해당 케익을 구현할 수 있는 케익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익(cake)은 특정 일을 기념하거나 축하하는 용도로 많이 이용되어 왔으나, 근래에 와서는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매우 다양한 용도로 애용되고 있는 식품의 일종이다.
케익은 예컨대, 일정 형태의 빵의 표면에 크림을 바른 후 장식적 요소를 가미하여 제조되며, 기타 여러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조된다.
이러한 케익은 축하 용도로 다용되는데, 축하의 중요성이나 행사의 규모 등에 따라서 1단으로 되는 작은 것으로부터 2단, 3단과 같이 높이가 높고 큰 크기의 것까지 다양하게 구현되어 이용된다.
여기서, 2단 이상의 다단 케익은 개념상 복수의 케익 몸체가 상하로 쌓이되, 상부로 갈수록 점차 지름이 축소되는 식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관련하여, 모든 사람은 축하 의미를 고취시키고 장식 효과를 높이면서 보다 많은 양 및 다양한 맛을 시식하기 위하여, 가능하면 2단 이상의 대형이면서 화려한 다단 케익을 원하나, 다단 케익은 고가이고 부피가 커서 포장, 운반 및 보관도 어려워 사실상 쉽게 이용할 수 없었다.
여기서, 다단 케익은 그 복수의 케익 몸체를 제조하기 위한 빵과 같은 원재료의 소요량이 많음에 따라 가격이 고가일 수 밖에는 없다.
이에, 2단 이상의 다단 케익을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하고 또한 그 포장,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다면 좋을 것이다.
한편, 케익은 통상적으로 제조된 후 별도의 케익 받침대 상에 얹어져 함께 이동, 진열 및 운반됨으로써, 그 형태가 원활히 유지될 수 있다.
참고로, 케익은 통상 운반될 때에는 케익 받침대 상에 얹어진 채로 별도의 포장 박스(예컨대, 종이 상자) 내에 수납되어 운반된다.
케익 받침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위에 케익(10)이 안정적으로 놓여질 수 있고 그 외곽부를 사람이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케익(10) 지름보다 약간 큰 지름을 갖는, 두께가 얇은 평판체로서, 저가로 제조되면서 경량일 수 있도록 주로 종이재나 합성수지재 등으로 제조된다.
일 예로, 케익 받침대(20)는 케익(10)에 함유된 지방 성분이 스며드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처리된 종이 재질로 제조되며, 그 내부는 중공(empty)되거나 충진(solid)된다.
아울러, 통상적으로 케익 받침대(20)의 상면 중심부에는 케익 고정구(22)가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안착되는 케익(10)의 하면 측에 파고들어 위치 고정함으로써, 케익(10)이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케익 받침대(20)는 케익(10)을 안정적으로 받쳐 지지하는 기능으로밖에는 사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즉 다른 기능을 부가하고자 하는 시도조차 전혀 없는 물품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포장, 운반 및 보관 시에는 1단으로 만들어져 부피 축소될 수 있고, 진열 및 사용 시에는 2단 이상의 다단으로 만들어져 부피 확대될 수 있음으로써, 종래의 다단 케익이 갖는 큰 부피 및 크기에 따른 포장, 운반 및 보관의 난이성을 원활히 해소할 수 있는 케익 및 해당 케익을 구현할 수 있는 케익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단 케익을 구현함에 있어 빵과 같은 원재료의 소요량을 대폭 줄여 저가로 제조될 수 있는 케익 및 해당 케익을 구현할 수 있는 케익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1단과 2단 이상의 다단으로 변환될 수 있어 새로운 재미를 부여하여 행사 분위기를 고취시킬 수 있는 케익 및 해당 케익을 구현할 수 있는 케익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케익 받침대는, 상면 상에 제1 케익 몸체가 놓여지는 베이스 판체; 상기 베이스 판체보다 작은 지름을 갖고 상기 베이스 판체의 상부 측 중심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되며 상면 상에 제2 케익 몸체가 놓여지는 승강 판체; 하부 측의 상기 베이스 판체와 상부 측의 상기 승강 판체 사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승강 판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 수단; 및 사용자가 상기 승강 수단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조작하는 조작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 수단은, 상기 베이스 판체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조작 수단은, 상기 베이스 판체 내부에서 상기 승강 수단을 간섭하고 상기 베이스 판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승강 판체가 상승된 상태에서 임의 하강을 차단하기 위해 구비되는 임의 하강 방지 수단;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 수단은, X자형 연결 링크이고, 상기 조작 수단은, 상기 베이스 판체에 대해 일정 각도 범위로 회동되는 조작 회동 바일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승강 판체는,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판체와 동일 높이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케익은, 상면 상에 제1 케익 몸체가 놓여지는 베이스 판체; 상기 베이스 판체보다 작은 지름을 갖고 상기 베이스 판체의 상부 측 중심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되며 상면 상에 제2 케익 몸체가 놓여지는 승강 판체; 하부 측의 상기 베이스 판체와 상부 측의 상기 승강 판체 사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승강 판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 수단; 및 사용자가 상기 승강 수단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조작하는 조작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 수단은, 상기 베이스 판체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조작 수단은, 상기 베이스 판체 내부에서 상기 승강 수단을 간섭하고 상기 베이스 판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구성을 갖는 케익 받침대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판체 상에 놓여지는 상기 제1 케익 몸체는, 평면적으로 링 형상이고, 상기 승강 판체 상에 놓여지는 상기 제2 케익 몸체는, 평면적으로 원 형상이며, 상기 승강 판체가 하강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 케익 몸체가 상기 제1 케익 몸체 중심부로 삽입되고, 상기 승강 판체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 케익 몸체가 상기 제1 케익 몸체 중심부로부터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케익 몸체는, 처음부터 2단 이상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1단 케익 상태와 다단 케익 상태로 자유롭게 상호 변환될 수 있으므로, 새로운 재미를 부여하고, 종래의 다단 케익이 갖는 큰 부피 및 크기에 따른 포장, 운반 및 보관의 난이성을 완전하게 해소하여, 실생활에서 다단 케익의 이용을 저변 확대할 수 있는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단 케익의 제조에 소요되는 빵과 같은 원재료의 소요량을 대폭 줄일 수 있으므로, 다단 케익을 저가화하여 누구든지 비용 부담없이 이용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도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케익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익 받침대를 나타내는 일부 투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익 받침대에 대한 작용 설명도((a)는 부피 축소된 상태를, (b)는 부피 확장된 상태를 나타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익에 대한 작용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익 받침대를 이용하는 구현될 수 있는 케익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익 받침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케익 받침대를 나타내는 일부 투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익 받침대를 이용하여 1단 케익을 2단 이상의 다단 케익으로 변환하거나 또는 역으로 변환함으로써, 부피 축소가 필요되는 포장, 운반 및 보관 시에는 1단 케익으로 만들어져 부피 축소되고, 반면 부피 확대가 필요되는 진열 및 사용 시에서 다단 케익으로 만들어져 부피 확대된다.
참고로, 본 명세서의 기재에 이용되는 '다단'이란 용어는 2단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즉 2단을 포함함을 밝힌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익 받침대를 나타내는 일부 투시 사시도이고, 도 3은 그 작용 설명도로서, (a)는 부피 축소된 상태를, (b)는 부피 확장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익에 대한 작용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익 받침대(200)는, 그 상면 상에 제1 케익 몸체(100-1)가 놓여지며 외부 수평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는 베이스 판체(210)와, 베이스 판체(210)보다 작은 지름을 갖고 베이스 판체(210)의 상부 측 중심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되며 상면 상에 제2 케익 몸체(100-2)가 놓여지는 승강 판체(220)와, 하부 측의 베이스 판체(210)와 상부 측의 승강 판체(220) 사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승강 판체(22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 수단과, 사용자가 승강 수단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조작하는 조작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한 베이스 판체(210)는 바람직하게, 일정 두께를 갖는 케이스형 판체로서, 바람직하게는 내부가 중공이며, 그 상면 측 중심부에는 일정 면적 개구되어 상면 개구부(212)가 형성되고, 그 측면 상에는 일정 각도 범위를 통해 슬라이딩 구멍(214)이 형성된다.
해당 베이스 판체(210)는 제1 케익 몸체(100-1)의 지름보다 조금 크게 형성됨으로써, 제1 케익 몸체(100-1)를 전체적으로 안정되게 지지하면서 사용자가 그 외곽부를 손으로 파지할 수 있다.
아울러, 베이스 판체(210)는 제1 케익 몸체(100-1)와 대응되는 외곽 형상을 가져 외관 상 조화를 이루는 것이 좋으며, 즉 제1 케익 몸체(100-1)가 원형인 경우 베이스 판체(210)도 원형일 수 있는데, 그러나 꼭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 베이스 판체(210) 상의 상면 개구부(212)는 승강 판체(220)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그 상면 개구부(212)에 대해 승강 판체(220)가 형합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판체(210)의 그 상면 개구부(212)에 대응되는 내부 부분은 기본적으로 중공으로 형성되어 그 중공 부분에 승강 수단이 위치될 수 있으며,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승강 판체(220)도 그 중공 부분에 일부 위치될 수 있다.
해당 베이스 판체(210)는 바람직하게 종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승강 판체(220)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판체(210)와 같이 내부 공간을 갖는 케이스형 판체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그 위에 놓여지는 제2 케익 몸체(100-2)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면 되고, 이에 바람직하게는 한 장의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해당 승강 판체(220)는 그것이 상승됨에 따라 다단 케익 상태를 구현한다.
즉, 상술한 베이스 판체(210) 상에는 다단 케익의 1단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케익 몸체(100-1)가 그 위에 놓여지고, 승강 판체(220) 상에는 다단 케익의 2단 이상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제2 케익 몸체(100-2)가 그 위에 놓여진다.
이때, 베이스 판체(210) 상에 놓여지는 제1 케익 몸체(100-1)는 평면적으로 링 형상이고, 승강 판체(220) 상에 높여지는 제2 케익 몸체(100-2)는 평면적으로 원 형상이다.
즉, 바람직하게는 승강 판체(220)는 하강된 상태에서 그 상면 높이가 베이스 판체(210)의 상면 높이에 위치되어 동일 높이의 상면을 전체적으로 형성하며, 그 상면 위에 전체적으로 제조된 케익 몸체가 올려진 후, 올려진 케익 몸체가 중간에서 원형 절단되어 제1 케익 몸체(100-1)와 제2 케익 몸체(100-2)로 분리될 수 있다.
물론, 처음부터 링 형상의 제1 케익 몸체(100-1)와 원 형상의 제2 케익 몸체(100-2)가 별도로 제조된 다음, 올려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승강 판체(220)가 상승되어 제2 케익 몸체(100-2)가 들어올려짐에 따라, 베이스 판체(210) 상에 놓여진 제1 케익 몸체(100-1)와 상승된 제2 케익 몸체(100-2)에 의해 단차진 다단 케익이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승강 판체(220)의 상승 높이는 제1 케익 몸체(100-1)의 높이에 대응되는 정도로서, 제1 케익 몸체(100-1)와 상승된 상태의 제2 케익 몸체(100-2)가 연이어지도록 함이 좋다.
물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케익 몸체(100-2)는 그 자체가 처음부터 2단 이상의 것으로 형성되어 그것이 상승됨에 따라 한번에 3단 이상의 다단 케익을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한 승강 수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X자형 연결 링크(230)이며, 그 X자형 연결 링크(230)는 한쌍의 링크 바(230a)가 서로 교차되되 그 교차점이 힌지 결합을 이루는 것이다.
해당 X자형 연결 링크(230)는 승강 판체(220)가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 형태인 바 승강 판체(220)의 수평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면서 안정적으로 승강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양측으로 2개가 이용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X자형 연결 링크(230)는 바람직하게, 베이스 판체(210) 내부에 설치되어 베이스 판체(210) 상의 상면 개구부(212)를 통해 출몰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즉 그 하단부가 베이스 판체(210) 내의 바닥면과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X자형 연결 링크(230)가 베이스 판체(210) 내부에 설치되면 그것이 압축된 상태에서 베이스 판체(210) 내부에 완전하게 감추어져 위치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승강 판체(220)가 베이스 판체(210)와 동일 높이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써 종래의 케익 받침대와 동일 내지 유사하게 되어, 그 위에 하면이 평평한 케익 몸체를 원활히 올려놓을 수 있다.
따라서, 각 X자형 연결 링크(230)를 이루는 두개의 링크 바(230a) 중의 자유단으로 되는 하단부를 일측으로 밀어붙이면, 그 X자형 연결 링크(230)는 세워짐으로써 승강 판체(220)를 상승시킬 수 있고, 반면 반대로 자유단으로 되는 하단부에 대한 미는 힘을 제거하거나 아니면 강제적으로 타측으로 잡아당기면, 그 X자형 연결 링크(230)는 눕혀짐으로써 승강 판체(220)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때, X자형 연결 링크(230)가 세워지거나 눕혀지는 과정에서 자유단들은 각기 접촉되는 베이스 판체(210)의 바닥면 또는 승강 판체(220)의 하면에 대해 미끄러지는데, 그 미끄러짐이 원활하도록 그들 자유단의 끝단부에는 굴림 작용을 위한 미니 롤러(232)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X자형 연결 링크(230)가 세워지거나 눕혀지는 과정에서 미끄러져 이동되는 자유단들의 이동을 각기 안내하도록 베이스 판체(210)의 바닥면 또는 승강 판체(220)의 하면 상에는 안내홈(216, 222)이 형성될 수도 있다.
덧붙여, 해당 X자형 연결 링크(230)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승강 판체(220)의 상승 정도를 변경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한 조작 수단은 사용자가 그것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승강 수단인 X자형 연결 링크(230)를 세우거나 또는 눕힐 수 있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판체(210)의 내부와 외부에 걸쳐 구비되되, 베이스 판체(210) 측면 상의 슬라이딩 구멍(214)을 통해 슬라이딩되고 외부 노출되는 부분은 손잡이부(242)로 되며 그 회동에 따라 각 X자형 연결 링크(230)의 하단부 측 자유단을 밀 수 있는 조작 회동 바(240)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조작 회동 바(240)는 그것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일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서는 X자형 연결 링크(230)의 하단부 측 자유단을 밀어서 X자형 연결 링크(230)를 세우며, 반면 그것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타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서는 X자형 연결 링크(230)의 하단부 측 자유단에 대한 미는 힘을 제거하거나 그것을 잡아당겨 X자형 연결 링크(230)가 자연스럽게 눕혀지도록 하거나 강제로 눕힐 수 있다.
이를 위해, 조작 회동 바(240)는 그것이 밀게 되는 X자형 연결 링크(230)의 하단부 측 자유단과 분리되거나 아니면 서로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서로 결합되는 경우에는 그 결합 부분이 힌지 결합을 이룬다.
해당 조작 회동 바(240)가 회동될 수 있도록 그것은 베이스 판체(210)의 바닥면 중심부에 대해 힌지 결합을 이루며, 즉 힌지 결합부(244)를 통해 결합된다.
추가적으로, 조작 회동 바(240)가 일 방향으로 완전히 이동되어 X자형 연결 링크(230)를 완전하게 세워서 승강 판체(220)가 완전히 상승된 상태에서, 승강 판체(220)가 임의대로 하강되거나 조작 회동 바(240)가 임의대로 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그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임의 하강 방지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해당 임의 하강 방지 수단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데, 일 예로서, 그것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구멍(214)의 일측 단부에 대해 형성되는 걸림 턱(250)으로 구현될 수 있다.
덧붙여, 만약, 베이스 판체(210)가 종이재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힌지 결합부(244)를 원활히 형성할 수 없을 것인 바, 그 경우에는 별도의 힌지 부재를 구성하여 그 바닥면 중심에 결합하여 조작 회동 바(240)와 힌지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덧붙여, 승강 판체(220)의 상면 상에는 그 위에 놓이는 제2 케익 몸체(100-2)를 위치 고정하기 위한 통상의 케익 고정구(224)가 구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베이스 판체(210)의 상면 상에도 제1 케익 몸체(100-1)를 위치 고정하기 위한 케익 고정구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다른 케익 받침대(200)의 작용에 대해 도 3과 도 4를 참조로 이하 설명한다.
도 3의 (a) 및 도 4를 참조하면, 조작 회동 바(240)가 완전히 일측에 위치되고 X자형 연결 링크(230)가 완전히 압축되며 승강 판체(220)가 완전히 하강되어 승강 판체(220)의 상면이 베이스 판체(210)의 상면과 수평된 상태에서는 베이스 판체(210) 상에 놓여진 제1 케익 몸체(100-1) 중심부로 승강 판체(220) 상에 놓여진 제2 케익 몸체(100-2)가 삽입되어 제1 케익 몸체(100-1)와 제2 케익 몸체(100-2)가 공히 1단 케익을 형성한다.
따라서, 그와 같이 1단 케익인 상태에서 원활히 포장, 운반 및 보관될 수 있으며, 종래의 통상적인 1단 케익용 포장 박스로 포장될 수 있다.
그러하다가, 해당 케익을 진열 또는 사용하고자 하는 시점에서는 사용자가 조작 회동 바(240)의 손잡이부(242)를 잡고 해당 조작 회동 바(240)를 타측으로 완전하게 이동시켜 걸림 턱(250)을 통해 위치 고정시키면, 그에 따라 X자형 연결 링크(230)가 완전하게 세워지고 승강 판체(220)가 완전하게 상승됨으로써, 도 3의 (b) 및 도 4와 같이, 베이스 판체(210) 상에 잔존하는 제1 케익 몸체(100-1)와 상승된 상태의 승강 판체(220) 상의 제2 케익 몸체(100-2)에 의해 다단 케익이 형성된다.
또한 그러하다가, 해당 케익의 부피를 다시 축소하고자 하는 시점에서는 사용자가 조작 회동 바(240)의 손잡이부(242)를 잡고 해당 조작 회동 바(240)를 반대로 완전하게 이동시키면, 그에 따라 X자형 연결 링크(230)가 자중 등에 의해 완전하게 눕혀지고 승강 판체(220)가 완전하게 하강됨으로써, 다시 도 3의 (a)와 같은 1단 케익 상태로 변환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1단 케익 상태와 2단 이상의 케익 상태로 자유자재로 변환될 수 있어, 새로운 재미를 부여하고, 종래의 다단 케익이 갖는 큰 부피 및 크기에 따른 포장, 운반 및 보관의 난이성을 완전하게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구현되는 다단 케익은 제1 케익 몸체(100-1)를 링 형상으로 할 수 있어 그 제조를 위한 빵과 같은 원재료의 소요량을 대폭 줄여 저가로 제조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케익을 구현할 수 있는 케익 받침대(200)는 간편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용이하게 제조, 보급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익 받침대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승강 판체(220)의 상부 측에 그것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또 하나의 추가 승강 판체(260)가 구비되는 경우를 나타내며, 이 경우에는 베이스 판체(210) 상에 링 형상의 제1 케익 몸체(100-1)가 놓여지고, 승강 판체(220) 상에는 링 형상의 제2 케익 몸체(100-2')가 놓여지며, 추가 승강 판체(260) 상에는 원 형상의 제3 케익 몸체(100-3)가 놓여진다.
이 경우에서, 추가 승강 판체(260)는 하부 측의 승강 판체(220)에 대해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고정 구비되거나, 이와 다르게 베이스 판체(210)에 대해 승강 판체(220)가 승강되는 것처럼 추가 승강 판체(260)가 승강 판체(220)에 대해 동일한 방식으로 승강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부피 축소된 상태에서는 제2 케익 몸체(100-2')와 제3 케익 몸체(100-3)가 제1 케익 몸체(100-1) 중심부 내부에 감추어져 있다가, 부피 확장됨에 따라 상승되어 다단 케익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제3 실시예에 따른 케익 받침대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각 X자형 연결 링크(230)가 상하 다단(즉, 2단 이상)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며, 하부 측의 것과 상부 측의 것이 서로 단부에서 힌지 결합된다.
이와 같이, 각 X자형 연결 링크(230)를 다단으로 하면, 승강 판체(220)의 승강 높이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100-1 : 제1 케익 몸체 100-2 : 제2 케익 몸체
100-2' : 링 형상 제2 케익 몸체 100-3 : 제3 케익 몸체
200 : 케익 받침대 210 : 베이스 판체
212 : 상면 개구부 214 : 슬라이딩 구멍
216 : 안내홈 220 : 승강 판체
222 : 안내홈 224 : 케익 고정구
230 : X자형 연결 링크 230a : 링크 바
232 : 미니 롤러 240 : 조작 회동 바
242 : 손잡이부 244 : 힌지 결합부
250 : 걸림 턱 260 : 추가 승강 판체

Claims (6)

  1. 상면 상에 제1 케익 몸체가 놓여지는 베이스 판체;
    상기 베이스 판체보다 작은 지름을 갖고 상기 베이스 판체의 상부 측 중심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되며 상면 상에 제2 케익 몸체가 놓여지는 승강 판체;
    하부 측의 상기 베이스 판체와 상부 측의 상기 승강 판체 사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승강 판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 수단; 및
    사용자가 상기 승강 수단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조작하는 조작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 수단은,
    상기 베이스 판체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조작 수단은,
    상기 베이스 판체 내부에서 상기 승강 수단을 간섭하고 상기 베이스 판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익 받침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판체가 상승된 상태에서 임의 하강을 차단하기 위해 구비되는 임의 하강 방지 수단;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 수단은,
    X자형 연결 링크이고,
    상기 조작 수단은,
    상기 베이스 판체에 대해 일정 각도 범위로 회동되는 조작 회동 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익 받침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판체는,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판체와 동일 높이의 상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익 받침대.
  5. 상면 상에 제1 케익 몸체가 놓여지는 베이스 판체;
    상기 베이스 판체보다 작은 지름을 갖고 상기 베이스 판체의 상부 측 중심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되며 상면 상에 제2 케익 몸체가 놓여지는 승강 판체;
    하부 측의 상기 베이스 판체와 상부 측의 상기 승강 판체 사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승강 판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 수단; 및
    사용자가 상기 승강 수단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조작하는 조작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 수단은,
    상기 베이스 판체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조작 수단은,
    상기 베이스 판체 내부에서 상기 승강 수단을 간섭하고 상기 베이스 판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구성을 갖는 케익 받침대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판체 상에 놓여지는 상기 제1 케익 몸체는,
    평면적으로 링 형상이고,
    상기 승강 판체 상에 놓여지는 상기 제2 케익 몸체는,
    평면적으로 원 형상이며,
    상기 승강 판체가 하강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 케익 몸체가 상기 제1 케익 몸체 중심부로 삽입되고,
    상기 승강 판체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 케익 몸체가 상기 제1 케익 몸체 중심부로부터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익.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익 몸체는,
    처음부터 2단 이상으로 형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익.
KR1020100000819A 2010-01-06 2010-01-06 케익 및 케익 받침대 KR100957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819A KR100957572B1 (ko) 2010-01-06 2010-01-06 케익 및 케익 받침대
PCT/KR2010/007463 WO2011083903A2 (ko) 2010-01-06 2010-10-28 케이크 및 케이크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819A KR100957572B1 (ko) 2010-01-06 2010-01-06 케익 및 케익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7572B1 true KR100957572B1 (ko) 2010-05-11

Family

ID=42281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0819A KR100957572B1 (ko) 2010-01-06 2010-01-06 케익 및 케익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75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892U (ko) * 2019-02-19 2020-08-27 비알코리아주식회사 케이크 받침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1790A (en) 1982-12-02 1984-07-24 William Snider Simulated cake and collapsible container therefor
JP2008264172A (ja) 2007-04-19 2008-11-06 Oshio Sangyo Kk 鏡餅容器
KR20090006290U (ko) * 2007-12-21 2009-06-25 곽건화 케이크 받침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1790A (en) 1982-12-02 1984-07-24 William Snider Simulated cake and collapsible container therefor
JP2008264172A (ja) 2007-04-19 2008-11-06 Oshio Sangyo Kk 鏡餅容器
KR20090006290U (ko) * 2007-12-21 2009-06-25 곽건화 케이크 받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892U (ko) * 2019-02-19 2020-08-27 비알코리아주식회사 케이크 받침대
KR200493149Y1 (ko) * 2019-02-19 2021-02-08 비알코리아주식회사 케이크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3077B2 (en) Invertible Christmas tree
US11730298B2 (en) Invertible Christmas tree
US7984679B1 (en) Multiple terraced collapsible table
US7694494B2 (en) Tree support and cover system
US20040221517A1 (en) Modular stage prop
US20100330240A1 (en) Layer cake support
KR100957572B1 (ko) 케익 및 케익 받침대
US11297982B2 (en) Cake carrier
US11439254B1 (en) Tiered ornament tree
US8127696B2 (en) Block pedestal having slidably supported horizontal members
WO2012025875A1 (en) A table
CN204599739U (zh) 一种桌腿组件和可升降桌子
KR101116300B1 (ko) 케이크 받침대
KR20230153666A (ko) 다단으로 변환이 가능한 케익 받침대
WO2007014163A3 (en) Containerized transport and storage system
CN206565533U (zh) 一种具有储物功能的升降桌
US11076713B2 (en) Folding artificial tree device and system
KR20160120045A (ko) 야전 침대
KR101181651B1 (ko) 선물 적재 화환
JP3398108B2 (ja) 多目的収納箱
CN104248232A (zh) 一种可折叠餐桌
EP3269658A1 (en) Device for transporting and storing goods
US20170135511A1 (en) Invertible christmas tree
KR200355230Y1 (ko) 제례행사용 공물그릇
CN208746880U (zh) 一种家具生产用开料后转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