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6735B1 - Flaking properties measuring apparatus and measrung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Flaking properties measuring apparatus and measrung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6735B1
KR100956735B1 KR1020080046799A KR20080046799A KR100956735B1 KR 100956735 B1 KR100956735 B1 KR 100956735B1 KR 1020080046799 A KR1020080046799 A KR 1020080046799A KR 20080046799 A KR20080046799 A KR 20080046799A KR 100956735 B1 KR100956735 B1 KR 100956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men
flaking
steel sheet
plated steel
de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7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120809A (en
Inventor
현주식
임희중
문만빈
나상묵
남궁성
Original Assignee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6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6735B1/en
Publication of KR20090120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8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6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67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5/00Analysing materials by weighing, e.g. weighing small particles separated from a gas or liquid
    • G01N5/04Analysing materials by weighing, e.g. weighing small particles separated from a gas or liquid by removing a component, e.g. by evaporation, and weighing the remaind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4Purifying; Clea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04Measuring adhesive force between materials, e.g. of sealing tape, of coa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2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bending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23Bend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금강판의 플레이킹(Flaking properties, 도금박리성) 측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금강판의 프레스 성형시 비드 통과부위에서 발생하는 플레이킹 현상을 재현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측정 방법 및 측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flaking properties of a plated steel sheet, and more particularly, to reproduce the flaking phenomenon occurring at the bead passing part during press molding of a plated steel sheet. It is to provide a measuring method and a measuring device that can be.

본 발명은 길다란 스트립 형상의 시편을 마련하는 시편 마련 단계; 상기 시편을 세척하고 중량을 측정하는 기초 중량 측정 단계; 상기 시편이 U자형 또는 V자형으로 굽혀지도록 하중을 가하는 1차 변형 단계; 상기 시편이 U자형 또는 V자형으로 굽혀진 상태에서 상기 시편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시편이 굽힘변형과 평탄변형을 연속적으로 거치도록 하는 연속 변형 단계; 및 상기 연속 변형 단계를 거친 시편을 세척하여 벗겨진 도금층을 제거하고 상기 시편의 무게를 측정하는 최종 중량 측정 단계;를 포함하는 도금강판의 플레이킹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ecimen preparation step of preparing a long strip-shaped specimen; A basic gravimetric step of washing and weighing the specimen; A first deformation step of applying a load such that the specimen is bent into a U or V shape; A continuous deformation step of moving the specimen horizontally in a state where the specimen is bent in a U shape or a V shape so that the specimen continuously undergoes bending deformation and flat deformation; And a final weight measurement step of removing the peeled plating layer by washing the specimens subjected to the continuous deformation step and measuring the weight of the specimens.

플레이킹, 도금강판 Flaking, Plated Steel Sheet

Description

도금강판의 플레이킹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방법{Flaking properties measuring apparatus and measrung method using the same}Flaking measuring apparatus of plated steel sheet and measuring method using same {Flaking properties measuring apparatus and measru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도금강판의 플레이킹(Flaking properties, 도금박리성) 측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금강판의 프레스 성형시 비드 통과부위에서 발생하는 플레이킹 현상을 재현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측정 방법 및 측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flaking properties of a plated steel sheet, and more particularly, to reproduce the flaking phenomenon occurring at the bead passing part during press molding of a plated steel sheet. It is to provide a measuring method and a measuring device that can be.

최근에는 자동차, 가전제품 등에서 방청보증 연한이 증가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후도금에 장점을 가지고 있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수요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용융아연도금강판의 품질요구수준도 매우 까다로워지고 있다.Recently, the demand for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which has relatively advantages in post-plating, is rapidly increasing with the increase in the rust protection warranty in automobiles, home appliances, etc., and accordingly, the quality requirements of the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are also very demanding.

특히, 자동차용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경우는 매우 엄격한 표면관리기준을 가지고 있어 이러한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대안 중 하나로서 사전에 강판의 프레스 성형시 도금박리현상을 예측하여 소재 개선여부를 검토하고 있다.In particular, the alloyed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for automobiles has very strict surface management standards, and as one of the alternatives to meet the needs of these customers, it is necessary to predict the plating peeling phenomenon during the press forming of the steel sheet in advance to examine the material improvement. Doing.

프레스 성형 중에 발생하는 도금박리현상은 파우더링(Powdering)과 구분하여 플레이킹(Flaking)이라 한다. 플레이킹(Flaking), 즉 도금박리현상은 소재를 프레스 가공시 다이(Die)와의 마찰로 인하여 도금층 표면이 금형에 응착되어 소재가 움직일 때 도금층이 벗겨지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주로 프레스 성형 중 비드 통과부위에서 발생한다.Plating delamination during press molding is called flaking, which is distinguished from powdering. Flaking, or plating peeling,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the surface of the plating layer adheres to the mold due to friction with the die when pressing the material, and the plating layer peels off when the material moves. Occurs in

현재까지는 프레스 성형 중 발생하는 도금박리현상을 측정하기 위하여 소재의 파우더링성을 측정하는 시험장치를 이용하였었다. 그러나, 이 시험장치의 경우 소재를 잡아주어 블랭크 홀딩력(Blank Holding Force)을 조절하는 드로 비드(draw bead)부 없이 단순한 컵 모양으로 성형한 뒤 도금 박리량을 측정하기 때문에 드로 비드를 통과할 때의 플레이킹 현상에 대해서는 정확한 시험 및 측정을 할 수 없는 실정이었다.Until now, a test apparatus for measuring the powdering property of a material was used to measure the plating peeling phenomenon generated during press molding. However, in this test apparatus, it is formed into a simple cup shape without a draw bead portion that controls the blank holding force by holding the material, and then the plating peeling amount is measured. The flaking phenomenon could not be accurately tested and measured.

본 발명의 목적은 도금 강판에서 발생하는 플레이킹 현상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측정방법을 제공하여, 소재 가공시 발생하는 도금층의 품질을 평가함으로써 제품 연구개발기간을 단축하고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도금강판의 플레이킹 측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asuring method that can quantitatively measure the flaking phenomenon occurring in a plated steel sheet, to shorten the product research and development period and reduce trial and error by evaluating the quality of the plated layer generated during material processing. It is to provide a method for measuring flaking of a plated steel shee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편을 사용하여 플레이킹 현상을 유도할 수 있는 도금강판의 플레이킹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measuring flaking of a plated steel sheet which can induce flaking using a specime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다란 스트립 형상의 시편을 마련하는 시편 마련 단계; 상기 시편을 세척하고 중량을 측정하는 기초 중량 측정 단계; 상기 시편이 U자형 또는 V자형으로 굽혀지도록 하중을 가하는 1차 변형 단계; 상기 시편이 U자형 또는 V자형으로 굽혀진 상태에서 상기 시편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시편이 굽힘변형과 평탄변형을 연속적으로 거치도록 하는 연속 변형 단계; 및 상기 연속 변형 단계를 거친 시편을 세척하여 벗겨진 도금층을 제거하고 상기 시편의 무게를 측정하는 최종 중량 측정 단계;를 포함하는 도금강판의 플레이킹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ecimen preparation step of preparing a long strip-shaped specimen; A basic gravimetric step of washing and weighing the specimen; A first deformation step of applying a load such that the specimen is bent into a U or V shape; A continuous deformation step of moving the specimen horizontally in a state where the specimen is bent in a U shape or a V shape so that the specimen continuously undergoes bending deformation and flat deformation; And a final weight measurement step of removing the peeled plating layer by washing the specimens subjected to the continuous deformation step and measuring the weight of the specimens.

그리고, 본 발명은 양측 상단에 시편을 위치시키기 위한 지지면을 형성하며, 양측 지지면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하부금형과, 평탄한 기초면의 중앙에서 삼각 프리즘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 비드부를 구비하는 상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밀착시키는 프레스로 구성되는 금형부;와 상기 시편의 일측을 고정하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를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으로 구성되는 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편이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사이에 맞물려 접촉하여 위치하는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이송되어, 상기 시편이 연속적으로 굽힘변형과 평탄변형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강판의 플레이킹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support surface for positioning the specimen on the upper end of both sides, and the lower mold forming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the two support surfaces, and protrudes in the form of a triangular prism at the center of the flat base surface, the support An upper mold having a bead portion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urface, a mold portion consisting of a press for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and a clamp for fixing one side of the specimen, and to transfer the clamp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conveying unit configured as a conveying means, wherein the specimen is convey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hile being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and the specimen continuously undergoes bending deformation and flat deformation. A flaking measurement apparatus for a plated steel sheet is provided.

본 발명은 도금강판의 중요 특성인 플레이킹 현상을 재현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도금강판의 프레스 성형시에 발생하는 플레이킹 현상을 정량적으로 비교적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소재의 실제 제품 성형시 나타날 수 있는 표면문제를 사전에 예측하여 불량률을 감소시키고 소재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quantitatively analyzing and reproducing the flaking phenomenon, which i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a plated steel sheet, so that the flaking phenomenon generated during press forming of a plated steel sheet can be measured quantitatively and relatively accurately.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surface problem that may occur in the actual molding of the material in advance, thereby reducing the defective rate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material.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금강판의 플레이킹 측정 방법 및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a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flaking of a plat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a user's or operator's intention or custom.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한편, 설명의 편의상 종래 발명과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 또는 명칭을 사용한다.On the other han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ame parts or structures as the conventional invention and the same parts us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names.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Fe함량에 따른 GA 및 Fe-P 플래쉬(flash) 강판의 박리 경향을 나타낸다. Fe함량이 증가하면 비드 통과 중에 굽힘 변형이 가해져 GA나 Fe-P 플래쉬(flash) 강판의 도금박리가 거의 같은 수준으로 발생한다. 그런데 9%이하의 낮은 Fe함유 구간에서는 Fe-P 강판의 경우 도금박리가 거의 발생하지 않으나 GA강판의 경우 박리가 발생한다.Figure 1 shows the peeling tendency of the GA and Fe-P flash (steel) flash steel according to the Fe content. When the Fe content is increased, bending deformation is applied during the passage of the beads, so that the plating peeling of the GA or Fe-P flash steel sheet occurs at about the same level. However, in the Fe-containing section of less than 9%, the plating peeling hardly occurs in the case of Fe-P steel sheet, but peeling occurs in the GA steel sheet.

이는 도금층이 금형에 응착되어 도금박리현상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즉, 파우더링(Powdering)현상과 달리 도금박리(Flaking)현상은 낮은 Fe함유 소재에서 발생한다. 또한 도금박리현상의 경우 파우더링에 의하여 야기되는 박리 현상과 달리 도금층이 단상으로 구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재와 도금층간 계면에서 도금층 박리현상이 관찰된다.This is because the plating layer adhered to the mold and plating peeling occurred. In other words, unlike powdering, flaking occurs in low Fe-containing materials.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plating peeling phenomenon, unlike the peeling phenomenon caused by powdering, the plating layer peeling phenomenon is observ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material and the plating layer even though the plating layer is composed of a single phas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킹 측정 방법을 나타낸 공정순서도이 다.2 is a process flowchart showing a flaking measur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킹 측정 방법은 길다란 스트립 형상의 시편을 마련하는 시편 마련 단계(S-21), 상기 시편을 세척하고 중량을 측정하는 기초 중량 측정 단계(S-22), 상기 시편이 U자형 또는 V자형으로 굽혀지도록 하중을 가하는 1차 변형 단계(S-23), 상기 시편이 U자형 또는 V자형으로 굽혀진 상태에서 상기 시편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시편이 굽힘변형과 평탄변형을 연속적으로 거치도록 하는 연속 변형 단계(S-24), 상기 연속 변형 단계를 거친 시편을 세척하여 벗겨진 도금층을 제거하고 상기 시편의 무게를 측정하는 최종 중량 측정 단계(S-25)를 포함한다.As shown, the flaking measur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pecimen preparation step (S-21) for preparing a long strip-shaped specimen, a basic weight measurement step (S-) for washing and measuring the specimen 22), the first deformation step of applying a load to be bent in the U-shaped or V-shaped (S-23), the specimen is bent in a U-shaped or V-shaped to move the specime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specimen Continuous deformation step (S-24) to continuously pass through this bending deformation and flat deformation, the final weight measurement step (S-) to remove the peeled plating layer by removing the peeled plating layer by washing the specimen through the continuous deformation step (S- 25).

상기 1차 변형 단계(S-23)는 길다란 스트립 모양의 시편을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사이에 고정시킨 후, 상부금형을 하강하여 시편이 V자 또는 U자 형상으로 되도록 가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1차 변형만으로는 플레이킹 유도되는 것은 아니므로 1차 변형된 상태에서, 시편이 금형부를 통과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연속 변형 단계(S-24)를 거치게 된다.The first deformation step (S-23) is to fix the long strip-shaped specimen between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and then to lower the upper mold to process the specimen to be V-shaped or U-shaped. Since only the primary deformation is not induced to flake, the primary deformation is performed, and the specimen undergoes a continuous deformation step (S-24) for horizontally moving the specimen to pass through the mold part.

이렇게 1차 변형 단계(S-23)과 연속 변형 단계(S-24)를 거치면 시편의 거의 전구간이 굽힘변형과 평탄변형을 겪게 되므로, 플레이킹으로 인한 도금박리량의 측정이 용이해 진다.Thus, after the first deformation step (S-23) and the continuous deformation step (S-24), almost the entire area of the specimen undergoes bending deformation and flat deformation, thereby facilitating the measurement of plating peeling due to flaking.

본 발명은 스트립 형상의 시편을 마련하여, 시편의 평가구간에 굽힘변형과 평탄변형을 연속적으로 가하여, 시편에 플레이킹 발생을 유도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ip-shaped specimen and continuously applies bending deformation and flat deformation to the evaluation section of the specimen to induce flaking in the specimen.

플레이킹이 발생하여 도금박리가 발생하면 시편의 중량이 감소하게 되므로, 기초 중량 측정 단계(S-22)에서 측정된 중량과, 최종 중량 측정 단계(S-25)에서 측정된 중량을 비교함으로써 도금 강판의 플레이킹 특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해준다.When the flaking occurs and the plating peeling occurs, the weight of the specimen is reduced, so that the plating is performed by comparing the weight measured in the basic weighing step (S-22) with the weight measured in the final weighing step (S-25). Allows you to quantitatively measure the flaking properties of the steel sheet.

측정의 정확성을 위해서 기초 중량 측정 단계(S-22)와, 최종 중량 측정 단계(S-25)는 mg(밀리그램) 단위로 중량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박리된 도금을 제거하기 위하여 최종 중량 측정 단계(S-25)에서의 세척은 초음파 세척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the accuracy of the measurement, the basic weighing step (S-22) and the final weighing step (S-25) are preferably weighed in mg (milligrams), and the final weighing to remove the peeled plating The washing in step S-25 is preferably performed using ultrasonic cleaning.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플레이킹 측정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플레이킹 측정 장치에 관하여 살펴본다.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flake measurement apparatus that can perform the above flake measurement metho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킹 측정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laking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킹 측정 장치는 크게 금형부(100)와 이송부(200)로 이루어진다.As shown, the flaking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a mold unit 100 and the transfer unit 200.

금형부(100)는 양측 상단에 시편(20)을 위치시키기 위한 지지면(122)을 형성하며 양측 지지면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124)을 형성하고 있는 하부금형(120)과, 평탄한 기초면(142)의 중앙에서 삼각 프리즘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면(122)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 비드부(144)를 구비하는 상부금형(140)과, 상기 상부금형(140)과 하부금형(120)을 밀착시키는 프레스(160)를 포함한다.The mold part 100 forms a support surface 122 for positioning the specimen 20 at both upper ends, and a lower mold 120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124 between the support surfaces, and a flat foundation. An upper mold 140 having a bead portion 144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upport surface 122 and protruding in the form of a triangular prism at the center of the surface 142, and the upper mold 140 and the lower mold ( And a press 160 to closely contact the 120.

이송부(200)는 금형부(100)의 일측에 배치되어, 금형부에 의하여 변형된 시편(20)을 잡아당기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시편(20)의 일측을 고정하는 클램프(220)와, 상기 클램프를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240)을 포함한다.The transfer part 20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old part 100 and serves to pull the specimen 20 deformed by the mold part, and the clamp 220 fixing one side of the specimen 20. , A conveying means 240 for conveying the clamp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이송수단(240)은 상부금형(140)과 하부금형(120)의 사이에서 변형된 시편(20)을 수평방향으로 잡아당겨서, 시편(20)의 전체 구간에서 플레이킹이 발생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수평방향으로 왕복 가능한 유압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veying means 240 is to pull the specimen 20 deformed between the upper mold 140 and the lower mold 12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induce flaking occurs in the entire section of the specimen 20 It is preferable to use a hydraulic cylinder capable of reciproca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이송수단(240)의 단부에는 클램프(220)가 구비되며, 클램프(220)는 시편(20)의 일측을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end of the conveying means 240 is provided with a clamp 220, the clamp 220 serves to fix one side of the specimen (20).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킹 측정 장치의 금형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킹 측정 장치에 시편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ld portion of the flaking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pecimen is fixed to the flaking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금형부(100)는 상부금형(140)과 하부금형(120)을 포함한다. 하부금형(120)은 양측에 시편(20)을 위치시키기 위한 지지면(122)을 형성하고 있으며, 지지면(122)의 사이에는 시편(20)이 변형할 수 있는 공간(124)을 형성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mold part 100 includes an upper mold 140 and a lower mold 120. The lower mold 120 forms a support surface 122 for positioning the specimen 20 on both sides, and forms a space 124 between the support surfaces 122 that the specimen 20 can deform. have.

상부금형(140)은 지지면(122)에 대응하는 평탄한 기초면(142)과, 기초면(142)의 중앙에 삼각 프리즘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비드부(144)를 포함한다.The upper mold 140 includes a flat base surface 142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surface 122, and a bead portion 144 protruding in a triangular prism shape at the center of the base surface 142.

비드부(144)의 재질은 일반 프레스 금형의 재질과 동일한 종류를 사용하는 것이 시험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일반적으로 냉간용공구강으로는 SKD11 재질이 많이 사용된다.The material of the bead part 144 may be the same as the material of the general press die to help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test. In general, SKD11 material is used as a cold work tool.

도 5를 참조하면, 시편(20)은 상부금형(140)과 하부금형(120)의 사이에 1차적으로 변형을 받게 된다. 이 상태에서 시편(2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시편(20)의 전체 구간이 굽힘변형과 평탄변형을 겪게 되므로, 플레이킹의 양을 측정하기가 더욱 용이해진다.Referring to FIG. 5, the specimen 20 is primarily deformed between the upper mold 140 and the lower mold 120. In this state, when the specimen 20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entire section of the specimen 20 undergoes bending deformation and flat deformation, thereby making it easier to measure the amount of flaking.

본 발명은 플레이킹 현상을 측정하기 위한 것인데, 시편(20)을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경우에 비드부(144)의 하단 모서리(145)나 지지면(125)의 모서리(125)에서 긁힘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측정 결과에 신뢰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비드부(144)의 모서리(145)와 지지면(122)의 모서리(125)는 0.2~1.0R 의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라운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measure the flaking phenomenon, the scratching phenomenon in the lower edge 145 of the bead 144 or the edge 125 of the support surface 125 when the specimen 20 is transpor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f this occurs,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results will be reduced. Therefore, the edge 145 of the bead portion 144 and the edge 125 of the support surface 122 are preferably rounded to have a radius of curvature of 0.2-1.0R.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킹 측정 장치를 이용한 플레이킹 측정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도이다.6 is a process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flaking measurement method using a flaking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금형(160)이 상승한 상태에서 클램프(220)에 시편(20)을 고정하고 하부금형(120)의 위쪽에 위치시킨다. 물론 시편(20)을 고정하기 이전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편(20)의 중량을 측정한다.As shown in the upper part of the figure, the specimen 20 is fixed to the clamp 220 in the upper mold 160 is raised and positioned above the lower mold 120. Of course, before fixing the specimen 20, the weight of the specimen 20 is measured as described above.

다음으로 도면의 중앙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160)를 작동하여 상부금형(160)을 하강시켜서, 시편(20)이 상부금형(160)과 하부금형(140)의 사이에서 1차적으로 V자 형태 또는 U자 형태로 변형 되도록 한다.Next, as shown in the center of the figure, by operating the press 160 to lower the upper mold 160, the specimen 20 is primarily V between the upper mold 160 and the lower mold 140. It should be transformed into the shape of U or U.

다음으로 도면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수단(220)을 작동하여 시편(20)을 우측으로 이동시켜 시편(20)의 전체 구간이 상부금형(160)과 하부금형(140)을 통과하며 굽힘변형과 평탄변형을 겪게 하여 플레이킹 현상을 유도한다.Next, as shown at the bottom of the drawing, by operating the conveying means 220 to move the specimen 20 to the right, the entire section of the specimen 20 passes through the upper mold 160 and the lower mold 140 It causes bending and flat deformation to induce flaking.

이 때, 시편(20)은 상부금형(160)과 하부금형(140)의 사이에서 5kN(0.5ton) ~ 500kN(50ton) 의 압력을 받게 된다. 압력은 상기의 범위에서 시편이 실제 가공중에 받는 하중에 근거하여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시편은 수직방향으로 상부금형(160)과 하부금형(140)의 사이에서 압력을 받으면서 10~30mm/min 의 속도로 이송된다. At this time, the specimen 20 is subjected to a pressure of 5kN (0.5ton) ~ 500kN (50ton) between the upper mold 160 and the lower mold 140. The pressure is set in the above range based on the load the specimen receives during the actual machining. Then, the specimen is conveyed at a speed of 10 ~ 30mm / min while receiving a pressure between the upper mold 160 and the lower mold 140 in the vertical direction.

다음으로, 시편(20)을 초음파로 세척한 다음 중량을 측정하여 중량의 변화량을 산출함으로써 소재의 플레이킹 특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한다.Next, the flaking properties of the material are quantitatively measured by washing the specimen 20 by ultrasonic and then measuring the weight to calculate the change in weight.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art belong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therefrom. I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도 1은 Fe함량에 따른 GA 및 Fe-P 플래쉬(flash) 강판의 박리 경향을 나타낸 그래프,1 is a graph showing the peeling tendency of GA and Fe-P flash steel sheet according to Fe conten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킹 측정 방법을 나타낸 공정순서도,2 is a process flowchart showing a flaking measur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킹 측정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laking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킹 측정 장치의 금형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ld portion of the flaking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킹 측정 장치에 시편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5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pecimen is fixed to the flaking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킹 측정 장치를 이용한 플레이킹 측정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도임.6 is a process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flaking measurement method using a flaking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 시편 100 : 금형부20: Specimen 100: Mold part

120 : 하부금형 140 : 상부금형120: lower mold 140: upper mold

160 : 프레스 200 : 이송부160: press 200: transfer unit

220 : 클램프 240 : 이송수단220: clamp 240: transfer means

Claims (8)

길다란 스트립 형상의 시편을 마련하는 시편 마련 단계;A specimen preparation step of preparing a long strip-shaped specimen; 상기 시편을 세척하고 중량을 측정하는 기초 중량 측정 단계;A basic gravimetric step of washing and weighing the specimen; 상기 시편이 U자형 또는 V자형으로 굽혀지도록 하중을 가하는 1차 변형 단계;A first deformation step of applying a load such that the specimen is bent into a U or V shape; 상기 시편이 U자형 또는 V자형으로 굽혀진 상태에서 상기 시편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시편이 굽힘변형과 평탄변형을 연속적으로 거치도록 하는 연속 변형 단계;A continuous deformation step of moving the specimen horizontally in a state where the specimen is bent in a U shape or a V shape so that the specimen continuously undergoes bending deformation and flat deformation; 상기 연속 변형 단계를 거친 시편을 세척하여 벗겨진 도금층을 제거하고 상기 시편의 무게를 측정하는 최종 중량 측정 단계;를 포함하는 도금강판의 플레이킹 측정 방법.The final weight measurement step of removing the peeled plating layer by washing the specimen passed through the continuous deformation step and measuring the weight of the specimen; Flaking measurement method of a plated steel sheet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기초 중량 측정 단계와 상기 최종 중량 측정 단계는 시편의 중량을 mg 단위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강판의 플레이킹 측정 방법.The basic weighing step and the final weighing step is a flaking measurement method of the plated steel sheet, characterized in that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specimen in mg unit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연속 변형 단계는 시편에 5~500 kN 범위의 하중을 가하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강판의 플레이킹 측정 방법.The continuous deformation step is a method for measuring flaking of a plated steel sheet, characterized in that the load is applied to the specimen in the range of 5 ~ 500 k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연속 변형 단계는 시편을 10~30mm/min 범위의 속도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강판의 플레이킹 측정 방법.The continuous deformation step is flaking measurement method of the plated steel sheet,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porting the specimen at a speed in the range of 10 ~ 30mm / mi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최종 중량 측정 단계에서의 시편의 세척은 초음파 세척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강판의 플레이킹 측정 방법.The method for measuring flaking of a plated steel sheet, characterized in that the cleaning of the specimen in the final weighing step uses ultrasonic cleaning. 양측 상단에 시편을 위치시키기 위한 지지면을 형성하며, 양측 지지면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하부금형과, 평탄한 기초면의 중앙에서 삼각 프리즘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 비드부를 구비하는 상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밀착시키는 프레스로 구성되는 금형부;와Forming a support surface for positioning the specimen on the upper end of both sides, the lower mold forming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the two support surfaces, and protruding in the form of a triangular prism from the center of the flat base surfac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upport surface An upper mold having a bead portion formed with a mold, and a mold portion configured to press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시편의 일측을 고정하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를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으로 구성되는 이송부;를 포함하며,And a conveyer configured to include a clamp for fixing one side of the specimen and a conveying means for conveying the clamp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시편이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의 사이에 맞물려 접촉하여 위치하는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이송되어, 상기 시편이 연속적으로 굽힘변형과 평탄변형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강판의 플레이킹 측정 장치.Flaking measurement apparatus of the plated steel sheet, characterized in that the specimen is convey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is in contact with and position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specimen undergoes bending and flat deformation continuously.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상부금형의 비드부 모서리는 0.2R~1.0R 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강판의 플레이킹 측정 장치.Beading corner of the upper mold is flaking measurement apparatus of the plated steel shee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have a curvature of 0.2R ~ 1.0R.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하부금형의 지지면 모서리는 0.2R ~ 1.0R 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강판의 플레이킹 측정 장치.Flaking measuring device of the plated steel sheet,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surface edge of the lower mold is formed to have a curvature of 0.2R ~ 1.0R.
KR1020080046799A 2008-05-20 2008-05-20 Flaking properties measuring apparatus and measrung method using the same KR1009567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799A KR100956735B1 (en) 2008-05-20 2008-05-20 Flaking properties measuring apparatus and measrung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799A KR100956735B1 (en) 2008-05-20 2008-05-20 Flaking properties measuring apparatus and measrung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809A KR20090120809A (en) 2009-11-25
KR100956735B1 true KR100956735B1 (en) 2010-05-06

Family

ID=41603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799A KR100956735B1 (en) 2008-05-20 2008-05-20 Flaking properties measuring apparatus and measrung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673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718B1 (en) * 2017-12-26 2019-11-18 주식회사 포스코 Flaking testting apparatus for coated plate
CN110743973B (en) * 2019-10-30 2021-05-18 马鞍山钢铁股份有限公司 Automobile coated plate stamping powder-removing test die and test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1150A (en) * 1996-12-23 1998-09-15 김종진 Powder ring and plating peeling measuring device and method of plated steel sheet
KR20000038759A (en) * 1998-12-09 2000-07-05 이구택 Method for measuring fineness and plating adhesion of galvanized steel plate
KR20050015843A (en) * 2003-08-08 2005-0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owdering test equipment of coated steel sheet and test method to use this
JP2006047074A (en) 2004-08-04 2006-02-16 Toshiba Corp Method of evaluating exfoliation of coat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1150A (en) * 1996-12-23 1998-09-15 김종진 Powder ring and plating peeling measuring device and method of plated steel sheet
KR20000038759A (en) * 1998-12-09 2000-07-05 이구택 Method for measuring fineness and plating adhesion of galvanized steel plate
KR20050015843A (en) * 2003-08-08 2005-0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owdering test equipment of coated steel sheet and test method to use this
JP2006047074A (en) 2004-08-04 2006-02-16 Toshiba Corp Method of evaluating exfoliation of coa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809A (en) 200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arcia-Romeu et al. Springback determination of sheet metals in an air bending process based on an experimental work
Neto et al. Influence of boundary conditions on the prediction of springback and wrinkling in sheet metal forming
Weiss et al. Comparison of bending of automotive steels in roll forming and in a V-die
KR100956735B1 (en) Flaking properties measuring apparatus and measrung method using the same
Kim et al. An experimental study on forming characteristics of pre-coated sheet metals
CN201666781U (en)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C warp value of cold-rolled steel sheet
Qian et al. Experimental and numerical investigation of flange angle in Chain-die formed AHSS U-channel sections
Wang et al. Measurement of friction under sheet forming conditions
CN102608024A (en) Method for detecting coating pulverization of alloyed galvanized plate
Mendiguren et al. Improvement of accuracy in a free bending test for material characterization
Badr et al. Experimental study in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cremental forming and the nature of springback in automotive steels
Liang et al. Springback and longitudinal bow in chain-die forming U and hat channels
JP5904162B2 (en) Method for predicting appearance deformation of film, manufacturing method, and press molding method
Bayraktar et al. Buckling limit diagrams (BLDs) of interstitial free steels (IFS): Comparison of experimental and finite element analysis
KR0137394B1 (en) Testing apparatus for the friction calculation of coated steel plate
KR0143494B1 (en) Measuring apparatus & method for adhesive strength of coating
KR102045718B1 (en) Flaking testting apparatus for coated plate
RU2308697C1 (en) Method of testing sheet material
KR101019602B1 (en) Plating attachment characteristic evaluation tester of plating grater
Purohit et al. On surface damage of polymer coated sheet metals during forming
Arola et al. FEM-Modeling of bendability of ultra-high strength steel
CN110806472A (en) Quality evaluation method for preventing hot-rolled plain carbon steel from cracking at 90-degree bending
Narasimhan A novel criterion for predicting forming limit strains
Sobis et al. An experimental analysis of the onset of buckling in sheet metal forming
CN112557131B (en) Method for analyzing and evaluating wear galling of metal surface and insert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