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5719B1 - 변류기의 과열방지 및 2차 단자 개방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변류기의 과열방지 및 2차 단자 개방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5719B1
KR100955719B1 KR1020090094766A KR20090094766A KR100955719B1 KR 100955719 B1 KR100955719 B1 KR 100955719B1 KR 1020090094766 A KR1020090094766 A KR 1020090094766A KR 20090094766 A KR20090094766 A KR 20090094766A KR 100955719 B1 KR100955719 B1 KR 100955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transformer
secondary terminal
unit
temperatur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4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기찬
Original Assignee
삼성계측제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계측제어(주) filed Critical 삼성계측제어(주)
Priority to KR1020090094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57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5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3/00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 G01R13/02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for displaying measured electric variables in digital fo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8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Transfor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류기의 과열방지 및 2차 단자 개방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변류기 2차 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감지하는 입력 감지부, 상기 변류기의 2차 단자가 개방된 경우에 상기 변류기 2차 단자를 단락시키는 릴레이부, 상기 변류기의 2차 단자 또는 표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 상기 변류기 2차 단자의 전기적 접촉불량을 감지하는 접촉불량 감지부, 상기 변류기의 2차 단자 또는 표면 온도 및 접촉불량의 횟수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입력 감지부에서 감지된 전압으로부터 상기 변류기 2차 단자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2차 단자를 단락시키도록 상기 릴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온도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변류기의 2차 단자 또는 표면 온도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접촉불량 감지부에서 접촉불량이 감지되면 상기 표시부에 접촉불량의 횟수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변류기의 과열방지 및 2차 단자 개방감지 장치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변류기 2차 단자의 과열로 인한 소손사고, 접촉불량 및 불필요한 차단기의 오작동으로 인한 정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Figure R1020090094766
변류기, 변압기, 온도감지, 개방감지, 접촉불량

Description

변류기의 과열방지 및 2차 단자 개방감지 장치 {AN APPARATUS FOR PREVENTING AN OVERHEATED STATE AND SENSING OPEN STATE OF THE SECONDARY TERMINAL OF A CURRENT TRANSFORMER}
본 발명은 변류기의 과열방지 및 2차 단자 개방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변류기 내부에 위치하여 권선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고, 변류기 2차측의 접촉불량을 감지하여 접촉불량의 횟수를 표시할 수 있는 변류기의 과열방지 및 2차 단자 개방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류기(Current Transformer; CT)는 변압기의 일종으로서 교류의 큰 전류로부터 권선수에 비례하는 작은 전류를 얻음으로써 교류 전류계의 측정범위를 확대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변류기는 변압기와 같은 철심에 권선수가 적은 1차코일과 권선수가 많은 2차코일을 감은 것인데, 2차코일에는 전류계, 전력계 및 계전기 등을 연결한다. 1차코일 및 2차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전류비는 1차코일 및 2차코일의 권수비에 반비례한다. 1차전류의 정격값은 수십 암페어에서 수천 암페어까지 여러 가지가 있으나, 2차전류의 정격값은 대부분 5 암페어이다.
한편, 변류기는 변압기와 달라서 2차측 단자를 단락(short)하는 것은 안전하 지만, 개방(open)하는 것은 위험하다. 이것은 2차측 단자를 개방할 때 1차전류가 모든 철심을 자화시킴으로써 철심이 포화되어 발열하게 되고, 이로 인해 코일의 손상, 변류기의 폭발 위험성 및 감전사고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변류기의 2차코일에 연결된 전류계, 전력계 또는 계전기 등의 내/외부에서 전류회로가 개방되거나 기타 사유로 인해 변류기의 2차코일이 개방(open)될 경우 이를 즉시 감지하여 개방상태의 차단, 즉 개방된 2차측 단자를 즉시 단락(short)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가진 회로를 변류기 2차측에 연결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변류기의 2차측 단자가 개방된 경우 즉시 단락시킬 수 있는 기술의 일례가 본 출원인에 의하여 등록된 하기문헌 1 내지 3에 개시되어 있다.
하기 문헌 1 및 2에 있어서는, 변류기 2차측 단자에 직접 연결되어 2차측 단자가 개방된 경우 이를 입력신호로 하는 릴레이식 감지회로 또는 전자식 감지회로를 동작시켜 변류기 2차측 단자를 단락시킴으로써 변류기 소손 및 감전사고 등을 방지하고 위한 장치가 제시되고 있다.
하기 문헌 3에 있어서는, 변류기 2차측 단자의 개방이 아닌 사고로 발생되는 과전압이 장치의 회로에 유입될 때 이로 인한 변류기 2차측에 연결된 다른 보호용 계전기의 오동작을 방지할 목적으로 다른 보호용 계전기가 동작할 수 있는 시간인 2차 지연시간을 주어서 소정시간 경과 후 동작하는 장치가 제시되고 있다.
한편, 변류기는 1차권선 및 2차권선의 발열온도가 55도 이내에서 사용하도록 한국공업 규격인 계기용 변성기 KSC-1706, 계기용 변압/변류기 KSC-1707에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하기 문헌 1 내지 3에 개시된 장치는 정상동작하고 있더라도 변 류기 1차권선 및 2차권선 사이의 에폭시 절연재 균열로 인한 혼촉, 에나멜 동선의 절연성능 저하 또는 권선층간 혼촉으로 오차불량 등으로 인한 절연사고를 예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변류기의 2차 단자가 개방되기 전에 2차 단자 개방의 원인이 되는 2차 단자의 접촉불량을 감지하기 힘들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이러한 변류기는 변압기 1차측 및 2차측에 연결된 변류기들 중 어느 한 변류기가 개방되거나 부속기기 등을 수리 또는 보수해야되는 경우 변류기들 전체를 단락하지 않는 경우에는 비율차동계전기의 오작동으로 인하여 불필요한 정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도 갖는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44132호 (2006. 11. 02 등록)
[문헌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2036호 (2004. 05. 22 등록)
[문헌 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3776호 (2005. 04. 30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변류기의 2차 단자 또는 표면에서 발생하는 온도증가를 실시간으로 감지함으로써 규정한계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변류기 2차 단자의 단락시키거나 온도증가를 경보할 수 있는 변류기의 과열방지 및 2차 단자 개방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변류기의 2차 단자 개방의 원인이 되는 접촉불량 횟수를 표시함으로써 2차 단자가 개방되기 전에 접촉불량을 감지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변류기의 과열방지 및 2차 단자 개방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변압기 1차측 및 2차측에 연결된 변류기들 중 어느 한 변류기가 개방되거나 부속기기 등을 수리 또는 보수해야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비율차동계전기의 오작동으로 인하여 불필요한 정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변류기의 과열방지 및 2차 단자 개방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류기의 과열방지 및 2차 단자 개방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류기 2차 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감지하는 입력 감지부, 상기 변류기의 2차 단자가 개방된 경우에 상기 변류기 2차 단자를 단락시키는 릴레이부, 상기 변류기의 2차 단자 또는 표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 상기 변류기 2차 단자의 전기적 접촉불량을 감지하는 접촉불량 감지부, 상기 변류기의 2차 단자 또는 표면 온도 및 접촉불량의 횟수를 표시하는 표시 부 및 상기 입력 감지부에서 감지된 전압으로부터 상기 변류기 2차 단자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2차 단자를 단락시키도록 상기 릴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온도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변류기의 2차 단자 또는 표면 온도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접촉불량 감지부에서 접촉불량이 감지되면 상기 표시부에 접촉불량의 횟수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류기의 과열방지 및 2차 단자 개방감지 장치에 있어서, 변압기 1차측 및 2차측 양단에 연결된 복수의 변류기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변류기들 중 어느 한 변류기 2차 단자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는 연계연동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류기의 과열방지 및 2차 단자 개방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계연동 감지부에서 감지된 신호로부터 어느 한 변류기의 2차 단자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변류기들의 2차 단자들을 단락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류기의 과열방지 및 2차 단자 개방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부는 변류기의 2차 단자 또는 표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 센서, 상기 온도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열적 신호가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입력되는 온도입력부, 상기 온도입력부로 입력된 전기적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및 온도 변화에 따른 상기 전기적 신호의 변화값을 보상하는 온도 보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류기의 과열방지 및 2차 단자 개방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촉불량 감지부는 포토 커플러를 이용하여 변류기 2차 단자의 접촉불량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류기의 과열방지 및 2차 단자 개방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류기 2차 단자의 개방에 의해 작동한 상기 릴레이부의 작동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복구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류기의 과열방지 및 2차 단자 개방방지 장치에 의하면, 변류기의 2차 단자 또는 표면에서 발생하는 온도증가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는 온도감지부를 구비함으로써 규정한계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변류기 2차 단자의 단락시키거나 온도증가를 경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류기의 과열방지 및 2차 단자 개방방지 장치에 의하면, 변류기의 2차 단자 개방의 원인이 되는 접촉불량 감지부를 구비하고, 접촉불량 횟수를 표시함으로써 2차 단자가 개방되기 전에 접촉불량을 감지함으로써 접촉불량의 원인을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류기의 과열방지 및 2차 단자 개방방지 장치에 의하면, 변압기 1차측 및 2차측에 연결된 변류기들 사이에 연계연동 감지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변류기들 중 어느 한 변류기가 개방되거나 부속기기 등을 수리 또는 보수해야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비율차동계전기의 오작동으로 인하여 불필요한 정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는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류기 2차 단자의 외부 결선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류기의 과열방지 및 2차 단자 개방감지 장치의 내부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류기의 과열방지 및 2차 단자 개방감지 장치의 입력 감지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류기의 과열방지 및 2차 단자 개방감지 장치의 온도감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류기의 과열방지 및 2차 단자 개방감지 장치의 접촉불량 감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류기의 내부 온도 및 접촉불량 횟수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류기의 과열방지 및 2차 단자 개방감지 장치의 릴레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류기의 과열방지 및 2차 단자 개방감지 장치(50)의 외부 연결단자(1)는 3상(R, S, T)을 갖는 변류 기(3)의 변류기 터미널 보드(CT Terminal Board; 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변류기 터미널 보드(5)에는 전력계 및 계전기 등과 같은 계측장비(7)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외부 연결단자(1)의 통신단자(9) 통신모듈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관리자 시스템(도시하지 않음)과 신호를 송수신하고, 변류기의 2차 단자 또는 표면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 센서가 온도센서 연결단자(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연결단자(1)에는 연계연동 연결단자(13), 접촉불량 신호용 접점(15) 및 단락용 경보접점(17)이 마련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변류기의 과열방지 및 2차 단자 개방감지 장치(50)는 전원부(19), 입력 감지부(21), 릴레이부(23), 키보드부(25), 연계연동 감지부(27), 온도감지부(29), 접촉불량 감지부(31), 표시부(33) 및 제어부(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원부(19)는 상기 변류기의 과열방지 및 2차 단자 개방감지 장치(50)에 90 V 내지 260 V의 AC/DC 전압을 공급한다. 상기 입력 감지부(21)는 변류기 2차 단자에 직접 연결되어 2차 단자가 개방(open)될 경우 상기 2차 단자에 인가된 전압, 즉 입력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입력 감지부(21)는 과전압 보호부(37), 입력전압 감쇠부(39), 버퍼증폭부(41) 및 비교증폭부(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 R상, S상 및 T상의 회로는 모두 동일하므로 변류기 2차 단자의 R상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과전압 보호부(37)는 R상, S상 및 T상 각각의 변류기 2차 단자에 직접 연결됨으로써 2차 단자의 개방전압을 감소시켜 과전압을 차단한다. 상기 과전압 보호부(37)로서는 배리스터(TNR1, TNR2)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과전압 보호부(37) 는 변류기 2차 단자에 과전압, 즉 개방전압이 증가하게 되면 낮은 임피던스를 갖는 배리스터(TNR1, TNR2)를 통하여 전류를 접지로 흐르게 함으로써 회로를 보호하게 된다.
상기 입력전압 감쇠부(39)는 변류기 2차 단자의 개방전압의 진폭을 조절함으로써 입력전압의 크기를 줄여준다. 상기 입력전압 감쇠부(39)는 변류기 2차 단자의 R상에서 저항(R29, R32)으로 구성된다. 상기 입력전압 감쇠부(39)에서 출력된 변류기 2차 단자의 입력신호는 버퍼증폭부(41) 입력된다. 상기 버퍼증폭부(41)는 변류기 출력에 영향을 줄이기 위해 입력 임피던스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오피-앰프(OP-AMP; U5A)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버퍼증폭부(41)에 의해 증폭된 입력신호는 비교증폭부(43)로 입력되고, 상기 비교증폭부(43)는 입력신호의 전압과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그 결과값, 즉 변류기의 개방 여부에 따라 로우(L) 또는 하이(H) 값을 출력한다. 상기 비교증폭부(43)는 오피-앰프(U5B) 및 저항(R26)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35)는 입력 감지부(21)의 입력신호로부터 기준전압을 초과하는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변류기 2차 단자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면 도 7에서 도시한 릴레이부(23)를 동작시켜 변류기 2차 단자를 단락시킴으로써 변류기 소손 및 감전사고 등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5)는 변류기 2차 단자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면 릴레이부(23)의 경보접점을 온 상태로 전환시킴으로써 관리자 등에게 변류기 2차 단자의 개방 상태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릴레이부(23)는 VCC2에 인가된 전압으로부터 포토커플러(ISO1)를 동작 시킴으로써 스위치를 온상태로 전환하여 변류기 2차 단자를 단락시키게 된다. 이 경우, 관리자는 변류기의 개방원인을 점검하여 수리작업 등을 마친 후에 키보드부(25)의 복구스위치(RESET-SW)를 작동시켜 릴레이부(23)의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전환하여 릴레이부(23)를 리셋하게 된다.
상기 연계연동 감지부(27)는 복수의 변류기들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변류기들 중 어느 하나의 변류기의 개방 여부를 판단하여 제어부(35)로 전송한다. 다시 말해, 상기 연계연동 감지부(27)는 변압기의 1차측 및 2차측에 연결된 복수의 변류기들 중에서 어느 한 변류기의 2차 단자가 개방되거나 부속기기의 보수 등으로 인하여 변류기 2차 단자를 단락해야 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35)는 변압기에 연결된 복수의 변류기들의 2차 단자들을 모두 단락시킨다. 따라서, 변압기를 보호하기 위한 차단기, 예를 들어 비율차동 계전기의 오동작을 방지함으로써 불필요한 정전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제어부(35)는 어느 한 변류기의 2차 단자가 개방되더라도 변류기들의 2차 단자들을 모두 단락시키지 않고 필요에 따라 2차 단자가 개방된 변류기만을 단락시킬 수도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변압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상기 변류기는 변압기 등 송/배전 계통의 기계, 기구 및 장치 등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온도감지부(29)는 변류기 2차측의 R상, S상 및 T상의 각각에 위치한 온도감지 센서(45)를 이용하여 변류기의 2차 단자 또는 표면 온도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온도감지 센서(45)는 열전대를 이용한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감지부(29)는 온도입력부(46), 증폭부(47) 및 온도 보상부(48)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온도감지 센서(45)에서 감지된 열적 신호가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온도입력부(46)로 입력되고, 증폭부(47)를 통하여 증폭된다. 이 경우, 상기 온도 보상부(48)는 온도의 증가에 따른 전기적 신호의 변화, 예를 들어 주파수의 변화값 등을 보상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온도감지부(29)에서 변류기의 2차 단자 또는 표면 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35)는 릴레이부(23)를 제어하여 변류기 2차 단자를 단락시키고, 관리자에게 경보하게 된다. 이 경우, 도 6에서 도시한 표시부(33)는 온도감지부(29)에서 감지한 온도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도감지부(29)는 온도 상승의 원인, 예를 들어 변류기 1차 권선 및 2차 권선 사이의 절연재 균열로 인한 혼촉, 에나멜 동선의 절연성능 저하 또는 권선층간 혼촉으로 인한 오차불량 등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촉불량 감지부(31)는 변류기 2차측의 전기적 접촉불량을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변류기 2차 단자에서는 나사조임, 전선터미널 압착 또는 납땜 등에서 접촉불량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접촉불량을 초기에 감지하지 못해 방치하게 되면 변류기 2차 단자가 완전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접촉불량 감지부(31)는 이러한 접촉불량에 의해 변류기 2차 단자가 순간적으로 개방되면 이에 대응하여 순간적으로 증가하는 입력전압(VCC2)에 의해 포토커플러(ISO5)가 동작함으로써 변류기 2차 단자의 접촉불량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35)는 접촉불량 감지부(31)로부터 변류기 2차 단자의 접촉불량이 감지되는 경우 표시부(33)를 제어하여 접촉불량의 횟수를 표시하게 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35)는 변류기 2차 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의 크기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기준 전압 이상의 전압이 지속적으로, 예를 들어 2초 이상(이는 선택가능한 것이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가되면 변류기 2차 단자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함으로써 릴레이부(23)를 동작시켜 변류기 2차 단자를 단락시킨다. 그러나, 상기 제어부(35)는 기준 전압 이상의 전압이 지속적으로 감지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2초 미만동안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변류기 2차 단자를 단락시키지 않고 접촉불량인 것으로 판단하여 표시부(33)에 접촉불량의 횟수를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관리자는 상기 표시부(33)를 관리함으로써 변류기 2차 단자의 접촉불량 여부를 인식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류기 2차 단자의 외부 결선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류기의 과열방지 및 2차 단자 개방감지 장치의 내부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류기의 과열방지 및 2차 단자 개방감지 장치의 입력 감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류기의 과열방지 및 2차 단자 개방감지 장치의 온도감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류기의 과열방지 및 2차 단자 개방감지 장치의 접촉불량 감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류기의 내부 온도 및 접촉불량 횟수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류기의 과열방지 및 2차 단자 개방감지 장치의 릴레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6)

  1. 변류기 2차 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감지하되, 상기 2차 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2차 단자의 개방전압을 감소시키는 과전압 보호부, 상기 개방전압의 진폭을 조절하는 입력전압 감쇠부, 버퍼증폭부 및 비교증폭부를 포함하는 입력 감지부;
    상기 변류기의 2차 단자가 개방된 경우에 상기 변류기 2차 단자를 단락시키는 릴레이부;
    상기 변류기의 2차 단자 또는 표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
    상기 변류기 2차 단자가 순간적으로 개방되면 이에 대응하여 순간적으로 증가하는 입력전압으로부터 상기 변류기 2차 단자의 전기적 접촉불량을 감지하는 접촉불량 감지부;
    상기 변류기의 2차 단자 또는 표면 온도, 및 접촉불량의 횟수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입력 감지부에서 감지된 전압으로부터 상기 변류기 2차 단자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2차 단자를 단락시키도록 상기 릴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온도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변류기의 2차 단자 또는 표면 온도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접촉불량 감지부에서 접촉불량이 감지되면 상기 표시부에 접촉불량의 횟수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류기의 과열방지 및 2차 단자 개방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커패시터 및 릴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변압기 1차측 및 2차측 양단에 연결된 복수의 변류기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변류기들 중 어느 한 변류기 2차 단자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는 연계연동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류기의 과열방지 및 2차 단자 개방감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계연동 감지부에서 감지된 신호로부터 어느 한 변류기의 2차 단자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변류기들의 2차 단자들을 단락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류기의 과열방지 및 2차 단자 개방감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부는
    변류기의 2차 단자 또는 표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 센서;
    상기 온도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열적 신호가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입력되는 온도입력부;
    상기 온도입력부로 입력된 전기적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및
    온도 변화에 따른 상기 전기적 신호의 변화값을 보상하는 온도 보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류기의 과열방지 및 2차 단자 개방감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불량 감지부는 포토 커플러를 이용하여 변류기 2차 단자의 접촉불량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류기의 과열방지 및 2차 단자 개방감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류기 2차 단자의 개방에 의해 작동한 상기 릴레이부의 작동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복구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류기의 과열방지 및 2차 단자 개방감지 장치.
KR1020090094766A 2009-10-06 2009-10-06 변류기의 과열방지 및 2차 단자 개방감지 장치 KR100955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766A KR100955719B1 (ko) 2009-10-06 2009-10-06 변류기의 과열방지 및 2차 단자 개방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766A KR100955719B1 (ko) 2009-10-06 2009-10-06 변류기의 과열방지 및 2차 단자 개방감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5719B1 true KR100955719B1 (ko) 2010-05-03

Family

ID=42281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766A KR100955719B1 (ko) 2009-10-06 2009-10-06 변류기의 과열방지 및 2차 단자 개방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5719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4031A2 (ko) * 2010-09-27 2012-04-05 한국전력공사 배전계통 인적오류 능동 대응방식 ct 자동 보호용 제어장치
KR101307939B1 (ko) * 2012-01-19 2013-09-12 주식회사 이앤엠테크 변류기 보호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20140013719A (ko) * 2012-07-26 2014-02-0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과전류 계전기 및 이를 포함한 차단기
KR101451387B1 (ko) 2013-11-20 2014-10-22 엔텍월드(주) 계기용 변류기 2차 단자 개방 감시 및 보호 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1451389B1 (ko) * 2013-11-20 2014-10-22 엔텍월드(주) 계기용 변류기 개방 상태 감시 및 보호 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20160122356A (ko) * 2015-04-13 2016-10-2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안전 스위칭 부를 갖는 차단기
CN107144758A (zh) * 2017-05-25 2017-09-08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热效应对变压器抗短路能力影响的试验方法
KR102436136B1 (ko) * 2022-05-17 2022-08-26 (주)화림테크 송배전선로 아크방전 감지용 IoT 센서모듈
KR102436137B1 (ko) * 2022-05-17 2022-08-26 (주)화림테크 송배전선로의 아크방전 발생감시 IoT시스템
KR102454527B1 (ko) * 2022-05-17 2022-10-13 안덕순 직렬 아크방전을 감지하는 IoT 센서모듈
KR102454529B1 (ko) * 2022-05-17 2022-10-14 안덕순 직렬 아크방전 감시 IoT시스템
KR102457490B1 (ko) * 2022-07-27 2022-10-24 윤성전력(주) 내장애자 감시용 IoT 센서모듈
KR102497264B1 (ko) * 2022-01-18 2023-02-08 엔텍월드(주) 전력회로 이상상태 감시 시스템
KR102663907B1 (ko) 2023-02-01 2024-05-10 엔텍월드(주) 계기용 변류기 2차개방 설치적용형 감시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9685A (ko) * 1996-11-28 1998-08-17 이종훈 주상변압기 부하관리용 측정장치 및 방법
KR20060016860A (ko) * 2004-08-19 2006-02-23 삼성계측제어(주) 변류기 2차단자의 개방 감지장치
KR20060089111A (ko) * 2005-02-03 2006-08-08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디지털형 변압기 시스템
KR100860858B1 (ko) 2008-07-09 2008-09-29 와이피피디지텍(주) 보조 릴레이를 이용한 전자식 전력량계용 변류기의 2차측코일 단선 자기진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9685A (ko) * 1996-11-28 1998-08-17 이종훈 주상변압기 부하관리용 측정장치 및 방법
KR20060016860A (ko) * 2004-08-19 2006-02-23 삼성계측제어(주) 변류기 2차단자의 개방 감지장치
KR20060089111A (ko) * 2005-02-03 2006-08-08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디지털형 변압기 시스템
KR100860858B1 (ko) 2008-07-09 2008-09-29 와이피피디지텍(주) 보조 릴레이를 이용한 전자식 전력량계용 변류기의 2차측코일 단선 자기진단장치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278B1 (ko) 2010-09-27 2012-05-11 한국전력공사 계기용 변성기 보호용 단자대
WO2012044031A3 (ko) * 2010-09-27 2012-05-24 한국전력공사 배전계통 인적오류 능동 대응방식 ct 자동 보호용 제어장치
WO2012044031A2 (ko) * 2010-09-27 2012-04-05 한국전력공사 배전계통 인적오류 능동 대응방식 ct 자동 보호용 제어장치
KR101307939B1 (ko) * 2012-01-19 2013-09-12 주식회사 이앤엠테크 변류기 보호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20140013719A (ko) * 2012-07-26 2014-02-0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과전류 계전기 및 이를 포함한 차단기
KR101631627B1 (ko) 2012-07-26 2016-06-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과전류 계전기 및 이를 포함한 차단기
KR101451387B1 (ko) 2013-11-20 2014-10-22 엔텍월드(주) 계기용 변류기 2차 단자 개방 감시 및 보호 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1451389B1 (ko) * 2013-11-20 2014-10-22 엔텍월드(주) 계기용 변류기 개방 상태 감시 및 보호 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US10084306B2 (en) 2015-04-13 2018-09-25 Lsis Co., Ltd. Circuit breaker having safety switching part
KR20160122356A (ko) * 2015-04-13 2016-10-2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안전 스위칭 부를 갖는 차단기
KR101701028B1 (ko) * 2015-04-13 2017-02-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안전 스위칭 부를 갖는 차단기
CN107144758A (zh) * 2017-05-25 2017-09-08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热效应对变压器抗短路能力影响的试验方法
CN107144758B (zh) * 2017-05-25 2020-02-07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热效应对变压器抗短路能力影响的试验方法
KR102497264B1 (ko) * 2022-01-18 2023-02-08 엔텍월드(주) 전력회로 이상상태 감시 시스템
KR102436136B1 (ko) * 2022-05-17 2022-08-26 (주)화림테크 송배전선로 아크방전 감지용 IoT 센서모듈
KR102436137B1 (ko) * 2022-05-17 2022-08-26 (주)화림테크 송배전선로의 아크방전 발생감시 IoT시스템
KR102454527B1 (ko) * 2022-05-17 2022-10-13 안덕순 직렬 아크방전을 감지하는 IoT 센서모듈
KR102454529B1 (ko) * 2022-05-17 2022-10-14 안덕순 직렬 아크방전 감시 IoT시스템
KR102457490B1 (ko) * 2022-07-27 2022-10-24 윤성전력(주) 내장애자 감시용 IoT 센서모듈
KR102663907B1 (ko) 2023-02-01 2024-05-10 엔텍월드(주) 계기용 변류기 2차개방 설치적용형 감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5719B1 (ko) 변류기의 과열방지 및 2차 단자 개방감지 장치
US5986860A (en) Zone arc fault detection
US8878396B2 (en) Continuous uninterruptable AC grounding system for power system protection
US11588324B2 (en) Electrical fault detection and recovery power distribution syste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440492B1 (ko) 전기화재 예방 및 과부하 차단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JP5268624B2 (ja) 計器用変流器2次回路開放防止装置
JP2005304148A (ja) 絶縁監視システム
KR100861229B1 (ko) 전기 선로의 스파크 발생시에 자동 작동하는 전원 차단장치
KR101904578B1 (ko) 부하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336067B1 (ko) 전력계통 이상 표시장치
US7215519B2 (en) Ground and line fault interrupt controller/adapter
KR20190067564A (ko) 배전계통 전원선로 고장시 실시간 탐지/복구시스템 및 그 공사방법
KR101045021B1 (ko) 중성선 전류 감지장치 및 능동형 영상고조파 필터를 구비한 분전반
KR101241859B1 (ko) 능동형 영상고조파 필터를 구비한 분전반
US10320184B2 (en) Method and means for complex, universal earth fault protection in power high and medium voltage system
JP6651541B2 (ja) エネルギー発生設備を中電圧グリッドに接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エネルギー発生設備
KR101840288B1 (ko) 누전차단기
CN112154585B (zh) 用于识别并联布置的绕组中的匝间短路的方法和装置
EP355203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jecting current over an electrical conductor
KR101104559B1 (ko) 소손 방지용 모터 기동 회로
KR20170051984A (ko) 사용전 전기단락저항 측정기 장치를 적용한 수배전반
KR20190022123A (ko) 온도와 압력 기반 사고예방 기능을 구비한 링메인유닛(rmu) 시스템
KR101887457B1 (ko) 누전 차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00153229A1 (en) System for detecting and limiting the effects of loss of insulation of an electrical transformer
KR100616782B1 (ko) 누설전류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