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5537B1 - 재연소 시스템 - Google Patents

재연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5537B1
KR100955537B1 KR1020080100873A KR20080100873A KR100955537B1 KR 100955537 B1 KR100955537 B1 KR 100955537B1 KR 1020080100873 A KR1020080100873 A KR 1020080100873A KR 20080100873 A KR20080100873 A KR 20080100873A KR 100955537 B1 KR100955537 B1 KR 100955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reburn
combustion
combustion furnac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0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1609A (ko
Inventor
김세원
이창엽
신명철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00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5537B1/ko
Publication of KR20100041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1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5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9/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returning combustion products or flue gases to the combustion chamber
    • F23C9/006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returning combustion products or flue gases to the combustion chamber the recirculation taking place in the combustion chamber

Abstract

재연소 시스템이 제공된다. 개시된 재연소 시스템은 내부에서 연소가 이루어지는 중공 형상의 연소로, 상기 연소로의 일측단에 장착되어 상기 연소로 내부에서 1차 화염을 일으키도록 주연료 및 공기를 공급하는 연소기, 상기 연소로 내부에 발생하는 1차 화염 주위로 재연소 연료를 분사하는 재연소 연료 공급부, 및 상기 재연소 연료의 분사를 조절하는 분사조절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재연소 시스템은 연소로 내에 재연소 연료가 맥동 방식으로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연료농후영역과 연료희박영역이 번갈아 발생하게 하며, 연료농후영역에서는 질소산화물(NOx)이 저감되고 연료희박 영역에서는 일산화탄소(CO)가 저감하게 되어 종국에는 NOx와 CO 둘 다 저감된 상태에서 혼합되어 배기되는 효과를 가진다.
연소로, 연소기, 재연소, 농후, 희박, 질소산화물, 분사

Description

재연소 시스템{Reburning System}
본 발명은 재연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소로 내에 재연소 연료를 맥동파 형태로 분사하여 화석연료의 연소시에 발생하는 질소산화물을 저감할 수 있는 재연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인류의 주된 에너지원은 탄화수소계열의 화석 연료이다. 그러나 이러한 화석연료의 연소 후 생성물에 의한 환경오염 문제가 심각하게 제기되고 있다. 주된 환경 오염원으로는 질소 산화물(NOx), 이산화탄소(CO2) 외에 연료의 불완전 연소로 인해 생기는 일산화탄소(CO)와 매연(soot) 등이 있다. 질소산화물은 광화학 스모그 및 산성비의 원인이 되며 동식물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오랫동안 많은 연구자들은 NOx를 감소시키는 다양한 방법을 연구하였다. 이로 인해 현재 시도되고 있는 저 NOx 방법으로는 배기가스 재순환, 물 또는 스팀분사, 공기 및 연료의 다단 연소, 선택적 비촉매 환원반응(SNCR, selective non-catalytic reduction), 선택적 촉매 환원반응(SC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등이 있다. 최근 선진국에서는 후연소 영역에서 NOx를 제거하는 재연소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며, NOx 저감율이나 경제성에 있어서 효율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재연소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재연소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재연소(Reburning) 방법은 3개의 반응 영역으로 구분된다. 즉, 연료 노즐 선단으로부터 일차 연소 영역(12,Primary Combustion Zone), 재연소 영역(14,Reburn Zone), 연소완료 영역(16,Burnout Zone)을 이룬다.
연소로(11) 내부에는 일차 연소 영역(12), 재연소 영역(14), 연소완료 영역(16)으로 구분되어지는 영역들이 형성된다. 연소로(11) 외부에는 연료통(20)과 공기통(30)이 배치되어 연소로(11) 내부로 연료 및 공기를 공급한다.
연료통(20)은 제1연료 공급관(22) 및 제2연료 공급관(24)을 통해 각각 일차 연소 영역(12), 재연소 영역(14)으로 연료를 주입하게 된다. 공기공급통(30)은 제1공기 공급관(32) 및 제2공기 공급관(36)을 통해 각각 일차 연소 영역(12) 및 연소완료 영역(16)으로 공기를 주입한다.
일차연소 영역(12)에는 일반적으로 약간의 과잉공기를 공급하고 화염을 형성한다. 일차연소 영역(12)으로부터는 일반적으로 질소산화물이 과다하게 발생한다(12a). 일차연소 영역(12)의 후류에 재연소 영역(14)이 존재하는데, 이곳에는 제2연료 공급관(24)을 거친 재연소 연료(Reburn fuel)라고 하는 총 연료의 10~30% 정도의 연료가 주입된다. 이로 인해 재연소 영역(14)은 연료 과농의 상태가 되고, 일 차연소 영역(12)에서 발생한 NO는 재연소 연료(14)와 반응하여 HCN을 생성하게 된다. 이는 다시 N2로 환원되어 NO를 저감시키게 된다(14a). 그리고 재연소 영역(14) 후류의 연소완료 영역(16)으로는 공기(Burnout air)를 공급시켜 재연소 영역(14)으로부터 배출된 미연연료 및 CO가 완전 연소되도록 한다(16a). 재연소 방법은 이러한 3단계 반응과정을 거쳐 NOx를 저감한다.
이에 비해 연료 희박 재연소(Fuel lean reburning)는 재연소의 응용 분야로, 재연소 연료를 최대한 적게 분사하고 연료완료 영역의 공기 공급을 생략하여, 보다 간략한 구조와 높은 경제성을 추구하는 실용적인 방법이다. 연료 희박 재연소 방법은 전체적으로는 연료 희박 상태를 유지하면서 국부적인 연료 농후 영역에서 NOx를 저감하는 특징이 있게 된다.
재연소는 연소 후류 영역에 탄화수소계열의 연료를 분사하여, 연료 농후 영역을 만들고 그 영역안에서 NO가 N2로 화학적인 변화가 일어나게 유도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재연소 방법은 유지되는 연료 농후 영역으로 인해 CO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결국 CO를 낮추기 위해 재연소 영역 일부거리 뒤에서 산화제를 다시 공급하거나, 아주 국부적인 영역 안에서만 연료 농후 상태를 만들기도(연료 희박 재연소) 한다. 그러나 이러한 CO 발생 억제 방법은 NOx 저감에 방해가 되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재연소 방법이 기대에 비해 NOx 저감율이 낮아질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일반 재연소 방법이 재연소 영역이라는 연료 농후 지역에서 NOx를 저감하는데 비해 연료를 상대적으로 많이 필요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 고, 상기 연료 희박 재연소 방법의 경우에 재연소 연료의 양이 전체 연료량의 5~15% 정도로 설정되는데, 이로 인해 일반 재연소에 비해 낮은 NOx 저감율을 나타내며, CO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일반 재연소 방법 및 연료 희박 재연소 방법의 적용시에 온도분포를 기초로 하여 재연소 메카니즘에 의한 NOx 및 CO의 저감 효율을 파악하고, 최대의 효율성을 얻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히 재연소 연료를 맥동파 형태로 분사함으로써 질소산화물을 저감하면서도 일산화탄소 발생을 억제하는 재연소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재연소 시스템은 내부에서 연소가 이루어지는 중공 형상의 연소로, 상기 연소로의 일측단에 장착되어 상기 연소로 내부에서 1차 화염을 일으키도록 주연료 및 산화제를 공급하는 연소기, 상기 연소로 내부에 발생하는 1차 화염 주위로 재연소 연료를 분사하는 재연소 연료 공급부, 및 상기 재연소 연료의 분사를 조절하는 분사조절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분사조절장치는 펄스(pulse) 형태로 상기 재연소 연료를 분사하는 맥동 재연소 분사조절장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사조절장치는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인 펄스(pulse) 형태로 상기 재연소 연료를 분사한다.
상기 분사조절장치는 솔레노이드 밸브 또는 액츄에이터일 수 있다.
상기 1차 화염 후단부의 연료 희박 영역에 상기 재연소 연료가 분사될 수 있다.
상기 연소로는 중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소로의 타측단으로는 연소시 발생하는 배기 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재연소 연료는 탄화수소 계열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연소기는 주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부와 산화제공급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료공급부에는 공급된 주연료가 상기 연소로의 축을 중심으로 사선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재연소 시스템은 연소로 내에 재연소 연료가 맥동 방식으로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연료농후영역과 연료희박영역이 번갈아 발생하게 하며, 연료농후영역에서는 NOx가 저감되고 연료희박 영역에서는 CO가 저감하게 되어 종국에는 NOx와 CO 둘 다 저감된 상태에서 혼합되어 배기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재연소 연료가 동일 제한된 공간 내에서 펄스 형태로 분사되는 구조이므로 연소로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연소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맥동 재연소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맥동 재연소 시스템에서 연소로 내의 연료 농후영역 및 연료 희박영역에 대한 분포 및 주기를 보여주는 그래프, 및 도 4는 종래의 재연소 방법과 본 발명에 따른 맥동 재연소 시스템의 NOx 저감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연소 시스템(100)을 설명한다. 재연소 시스템(100)은 중공형의 연소로(110), 연소로(110)의 일측단에 고정되어 연소로(110) 내에서 화염이 타측단으로 향할 수 있도록 연료 및 산화제를 공급하는 연소기(113), 연소로(110) 내로 재연소 연료를 공급하는 2차 연료 공급 유닛(120), 및 2차 연료 공급 유닛(120)을 통해 공급되는 재연소 연료의 연소로(110)내로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분사 조절 유닛(130)으로 구성된다. 연소기(113)를 지지할 수 있도록 연소로(110)의 입구단에는 마운트(112)가 설치된다. 상기 마운트(112)에는 중앙에 삽입홀(112a)이 형성되어 연소기(113)가 그 내부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연소로(110)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소로(110)는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고, 연소기(113)는 연 소로(110) 상,하단이나 측면에 고정되어 연소로(110) 내에서 화염이 배기구(111) 쪽 후류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급되는 연료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연료가 가능하고 공기 등의 산화제는 유량계(미도시)를 사용하여 공급될 수 있다.
연소로(110) 외부와 배기구(111)에는 벽면 온도 및 내부 온도 분포, 벽면으로의 열전달량, 연소 가스 분석기 프로브 삽입 등을 위한 다양한 크기의 측정구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연소로에는 재연소 연료를 다양한 위치에서 공급할 수 있도록 2차 연료 공급 유닛(120)이 적절히 배치될 수 있다. 연소로(110) 내부에는 단열재인 내화벽돌, 캐스타블, 세라크울을 설치하여 외부로의 열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수냉벽이나 수관을 설치하여 물을 가열하는데 열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연소기(113)는 연소로(110) 내로 1차 연료를 공급하는 중공형의 1차 연료 공급관(115), 1차 연료 공급관(115)의 주위를 둘러싸며 공기와 같은 산화제를 연소로(110) 내의 화염에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산화제 공급부(114)로 구성된다.
1차 연료 공급관(115)의 상단에는 화염 안정화를 위해 일정한 선회각(vane angle)을 가진 선회기(116,radial flow guide vane swirler)가 설치될 수 있다.
산화제 공급부(114)에는 외부와 연통하는 산화제공급구(114a)가 연결되어 유입된 산화제가 1차 연료 공급관(115)의 주위를 감싸며 연소로(110) 내로 이동할 수 있다.
2차 연료 공급 유닛(120)은 연소로(110)의 벽면에 적절한 개수로 설치될 수 있는데, 연소로(110) 내에 형성되는 1차 연소 영역(118)의 후단부에 재연소 연료가 분사될 수 있도록 연소로(110)의 축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연소로(110)의 반경 방향으로 동일 원주 상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2차 연료 공급 유닛(120)은 외부의 연료탱크(미도시)로부터 연료를 이송하는 재연소 연료 공급관(125), 재연소 연료 분사 노즐(123)로 구성된다. 재연소 연료 공급관(125), 재연소 연료 분사 노즐(123)은 연소로(110)의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체(124)에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재연소 연료 분사 노즐(123)은 오리피스(122) 및 분사팁(121)로 이루어진다. 오리피스(122)는 공급된 연료가 안정된 상태로 공급될 수 있도록 내부 압력 및 양을 적절히 조절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분사팁(121)은 오리피스(122)와 연결되는 일측면과 연통하는 타측면에 적절한 개수의 분사구가 형성되어 연소로(110) 내에 재연소 연료의 분무(atomizing)가 원활히 될 수 있게 한다.
분사 조절 유닛(130)은 제어기(131), 연결 라인(132), 및 조절 밸브(133)로 이루어진다. 제어기(130)는 펄스(pulse) 형태로 입력 신호를 연결 라인(132)을 거쳐 조절 밸브(133)로 전달한다. 조절 밸브(133)는 입력받은 신호에 따라서 오리피스(122)에 흐르는 2차 연료를 단속할 수 있다. 즉, 조절 밸브(133)는 규칙적인 시간 간격에 따라서 오리피스(122)를 개방 또는 폐쇄시킴으로써 그 내부에 흐르는 2차 연료가 맥동파 형태로 연소로(110) 내부로 분사될 수 있게 한다.
분사 조절 유닛(130)은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 또는 액츄에이터(actuator)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2를 다시 참조하여, 분사 조절 유닛(130)을 통해 연소로(110) 내에 다단으로 구성되는 연료 영역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연소기(113)에서 공급되는 1차 연료에 의해 연소로(110)에는 1차 연소 영역(118)이 형성된다. 1차 연소 영역(118)은 연소기(113)로부터의 연료 및 산화제 등을 계속적으로 공급받아 일정한 상태의 불꽃을 유지한다.
분사 조절 유닛(130)이 제어기(131)의 지시를 받아 일정한 간격으로 재연소 연료 분사 노즐(123)을 통해 연소로(110) 내로 2차 연료의 분사를 시작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원 발명의 핵심인 맥동 재연소 분사가 이루어진다.
맥동 재연소 분사가 실시되는 경우에는 상기의 1차 연소 영역(118)의 후단부 측으로 연료농후영역(150) 및 연료희박영역(140)으로 구성되는 2차 연소 영역이 이루어진다. 소정시간 분사가 될 경우에는 연료 농후 영역(150)을 이루게 되고, 분사가 되지 않거나 아주 미량만 분사하는 경우에는 연료 희박 영역(140)을 이룬다. 즉, 분사되는 시간 순서대로 제1연료 농후 영역(152), 제1연료 희박 영역(142), 제2 연료 농후 영역(154), 제2 연료 희박 영역(144) 순으로 연소 영역들이 차례로 형성된다.
상기의 연소영역들(140,150)은 점점 배기구(111) 측으로 밀려 나가면서 겹쳐지는 구조를 이루게 되어 있는데, 연료 농후 영역(150)과 연료 희박 영역(140)이 겹칩으로써 혼합 영역(160)을 이룬다. 제1연료 희석 영역(162)과 제2연료 희석 영역(164)을 보게 되면 제1연료 희석 영역(162)의 면적이 다소 크므로 점점 배기구(111) 측으로 접근할수록 각 연료 희석 영역(160)의 면적이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에서 보듯이, 가로축을 중심으로 막대 그래프로 도시되어 있는데, 각 막대 형상(142a,144a,152a,154a)에서 연소로(110)의 축방향을 따라서 연료 농후 영역(150) 및 연료 희박 영역(140)에 대한 분포 및 주기가 대략적으로 나타내어진 그래프이다. 그래프를 보면 우측으로 갈수록 막대 모양의 면적이 점점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연료 농후 영역(150)의 막대형상(152a,154a) 및 연료 희박 영역(140)의 막대형상(142a,144a)이 각각 연소로(110)의 배기구(111) 측으로 접근함에 따라 서로 혼합에 의해서 그 영역이 축소되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은 연료 농후 영역(150)과 연료 희박 영역(140)의 세부적인 반응과정에 대해서 살핀다.
연료 농후 영역(150)은 연소로(110)에 공급되는 전체 연료중 대략 10~30% 정도의 연료가 재연소라는 형태로 별도로 공급되는 것인데, 재연소 연료를 분사하게 되면 연료 농후 영역(150) 내에서 연료농후 상태를 띠게 된다. 즉, 1차 연소 영역(118)에서 발생한 질소 산화물이 다시 질소로 환원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게 된다. 하기의 반응식1은 재연소 연료로 분사된 탄화수소계열 연료가 열분해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CHi계열의 라디칼들이 NO와 반응하여 HCN을 형성하고, HCN는 식(1)~(5)의 과정을 거쳐 N2로 환원되는 일련의 과정이다.
C,CH,CH2 + NO →HCN + ... (1) HCN + O → NCO + H (2)
NCO + H → NH + CO (3) NH + H → N + H2 (4)
N + NO → N2 + O (5)
연료 희박 영역(140)은 재연소 연료 분사 노즐(123)로부터 연료가 거의 분사되지 않는 영역으로서 1차 연소 영역(118) 또는 연료 농후 영역(150)에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CO) 및 미연 탄화수소를 산화하여 이산화탄소(CO2)로 변환시키는 환경을 만들게 된다. CO가 산화되는 화학 반응은 아래의 반응식 2의 식 (6)의 과정이다.
CO + OH → CO2 + H (6)
혼합 영역(160)은 연료 농후 영역(150)과 연료 희박 영역(140)이 차츰 섞이면서 구성되는 영역으로 연소로(110)의 배기구(111) 측으로 접근해 갈수록 그 영역이 확대되어짐으로써 종국에는 질소와 이산화탄소 등과 같은 유해하지 않은 가스로 배출된다.
도 4를 참조하여 본원의 재연소시스템과 종래의 재연소 시스템을 비교 설명한다. 도 4는 가로축으로 전체 연료에 대한 재연소 연료비를 나타낸 무차원 값을 나타내고, 세로축으로는 질소산화물(NOx)의 저감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재연소 시스템(100)에 대한 그래프(172)의 경우 가로축의 재연소 연료비가 증가함에 따라 NOx 저감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종래의 재연소 시스템(174)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나 오히려 그 저감 효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재연소 연료비 0.13으로 같은 양의 재연소 연료를 공급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연소 시스템(100)에서 31%의 NOx 저감율을 나타내는 반면에, 종래의 재연소 시스템에서 보이는 21%에 비해 10% 정도의 효율적인 NOx 저감이 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연소 시스템(100)에서는 종래와 같은 연소완료 공기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재연소에 비해 재연소 영역비가 크게 증가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일반 재연소에서는 일반적으로 재연소 영역비가 0.25이므로 전체 연소로의 1/4 정도가 재연소 연료에 의한 NOx 저감 영역인데 반해서, 본 발명에 따른 연소 시스템(100)에서는 전체 연소로의 약 3/4 정도가 NOx 저감 반응이 가능한 영역이다. 따라서, 넓은 공간을 확보하여 재연소 반응이 진행되는 만큼 효율적인 유해가스 저감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재연소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맥동 재연소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맥동 재연소 시스템에서 연소로 내의 연료 농후영역 및 연료 희박 영역에 대한 분포 및 주기를 보여주는 그래프, 및
도 4는 종래의 재연소 방법과 본 발명에 따른 맥동 재연소 시스템의 NOx 저감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재연소 시스템 110 : 연소로
111 : 배기구 112 : 마운트
113 : 연소기 114 : 산화제 공급부
115 : 1차 연료 공급관 116 : 선회기
118 : 1차 연소 영역 120 : 2차 연료공급유닛
121 : 분사팁 122 : 오리피스
123 : 재연소 연료 분사 노즐 124 : 고정체
125 : 재연소 연료 공급관 130 : 분사 조절 유닛
131 : 제어기 132 : 연결 라인
133 :조절 밸브 140 : 연료희박영역
142 :제1연료 희박 영역 144 : 제2연료 희박 영역
150 : 연료농후영역 152 : 제1연료 농후 영역
154 : 제2연료 농후 영역 160 : 연료희석영역
162 : 제1연료 희석 영역 164 : 제2연료 희석 영역
172 : 본 발명의 연소 시스템 174 : 종래의 재연소 시스템

Claims (10)

  1. 내부에서 연소가 이루어지는 중공 형상의 연소로(110);
    상기 연소로(110)의 일측단에 장착되며, 상기 연소로(110) 내부에 화염영역인 1차연소영역(118)을 형성하도록 주연료 및 산화제를 공급하는 연소기(113);
    상기 1차연소영역(118)에 재연소 연료를 분사하여 2차연소영역을 형성하게 하며, 상기 재연소 연료의 공급을 유도하는 오리피스(122) 및 상기 오리피스(122)의 일측단에 연결되는 분사팁(121)을 구비하는 2차 연료 공급유닛(120); 및
    제어기(131), 조절 밸브(133), 및 상기 제어기(131)와 상기 조절밸브(133)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연결 라인(132)을 구비하며, 상기 재연소 연료의 분사를 조절하는 분사조절유닛(130);
    을 포함하며,
    상기 조절 밸브(133)는 상기 제어기(131)로부터 입력받은 신호에 따라서 상기 오리피스(122)에 흐르는 상기 재연소 연료를 펄스 형태로 조절하고,
    이에 따라 상기 2차연소영역에서 연료농후영역(150)과 연료희박영역(140)이 교대로 반복되어 재연소 반응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연소 시스템(100).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조절유닛(130)은 솔레노이드 밸브 또는 액츄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연소 시스템(100).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1차연소영역(118)의 후단부에 재연소 연료가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연소 시스템(100).
  6. 제 1항, 제 4항, 및 제 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로(110)는 중공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연소 시스템(100).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로(110)의 타측단으로는 연소시 발생하는 배기 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구(11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연소 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재연소 연료는 탄화수소 계열의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연소 시스템(100).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기(113)는 주연료를 공급하는 1차연료 공급관(115)과 산화제공급부(11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연소 시스템(100).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1차연료 공급관(115)에는 공급된 상기 주연료가 상기 연소로(110)의 축을 중심으로 사선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선회기(11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연소 시스템(100).
KR1020080100873A 2008-10-14 2008-10-14 재연소 시스템 KR100955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873A KR100955537B1 (ko) 2008-10-14 2008-10-14 재연소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873A KR100955537B1 (ko) 2008-10-14 2008-10-14 재연소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609A KR20100041609A (ko) 2010-04-22
KR100955537B1 true KR100955537B1 (ko) 2010-04-30

Family

ID=42217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0873A KR100955537B1 (ko) 2008-10-14 2008-10-14 재연소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55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940B1 (ko) * 2014-05-15 2016-08-2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석유코크스 연료 산업용 보일러의 재연소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6104A (ja) * 1982-03-10 1983-09-17 Hitachi Zosen Corp 固体燃焼炉における炉内脱硫法
JPH06213411A (ja) * 1993-01-14 1994-08-02 Tokyo Gas Co Ltd 濃淡燃焼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6104A (ja) * 1982-03-10 1983-09-17 Hitachi Zosen Corp 固体燃焼炉における炉内脱硫法
JPH06213411A (ja) * 1993-01-14 1994-08-02 Tokyo Gas Co Ltd 濃淡燃焼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609A (ko) 201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2413B1 (ko) 초저질소산화물 연소장치
JP6466142B2 (ja) 燃焼ガスの内部再循環による超低窒素酸化物燃焼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KR100969857B1 (ko) 연료 연소장치
US20030134241A1 (en) Process and apparatus of combustion for reduction of nitrogen oxide emissions
CN101244361B (zh) 一种促进选择性非催化还原氮氧化物的方法
CN102179171B (zh) 具有前置流场均匀装置的多级热解耦合脱硝方法及其装置
KR101583509B1 (ko) 저 질소산화물 연소장치
KR101203189B1 (ko) 연소가스의 내부 재순환을 통한 초저질소산화물 연소장치
US10760789B2 (en) Boiler and a method for NOx emission control from a boiler
CN208406566U (zh) 一种用于循环流化床锅炉sncr脱硝系统的多点式喷射装置
CN108434964A (zh) 一种用于循环流化床锅炉sncr脱硝系统的矩阵式喷射装置
CA2615344A1 (en) Tertiary air addition to solid waste-fired furnaces for nox control
KR101063977B1 (ko) 재연소 연료 분사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연소 시스템
US9746177B2 (en) Urea decomposition and improved SCR NOx reduction on industrial and small utility boilers
KR102115576B1 (ko) 초저질소산화물 연소장치
KR100955537B1 (ko) 재연소 시스템
KR101730545B1 (ko) 초저공해 연소장치
RU218594U1 (ru) Модернизированная однопоточная горелка
KR20210068193A (ko) 재순환 포트를 포함하는 초저질소산화물 연소장치
RU216635U1 (ru) Модернизированная двухпоточная горелка
RU216775U1 (ru) Модернизированная прямоточно-вихревая горелка
RU2797080C1 (ru) Способ снижения выбросов оксидов азота и двухпоточная горелк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RU214581U1 (ru) Горелка
KR102317001B1 (ko) 버너의 질소산화물 저감장치
RU222725U1 (ru) Горелка водогрейного котл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