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5504B1 - 광분배장치 - Google Patents

광분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5504B1
KR100955504B1 KR1020080061409A KR20080061409A KR100955504B1 KR 100955504 B1 KR100955504 B1 KR 100955504B1 KR 1020080061409 A KR1020080061409 A KR 1020080061409A KR 20080061409 A KR20080061409 A KR 20080061409A KR 100955504 B1 KR100955504 B1 KR 100955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errule
plug
optical fibe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1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1494A (ko
Inventor
김경선
김진희
Original Assignee
(주)에이피텔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피텔레텍 filed Critical (주)에이피텔레텍
Priority to KR1020080061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5504B1/ko
Publication of KR20100001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5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74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 G02B6/3878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comprising a plurality of ferrules, branching and break-out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with an intermediate part, e.g. adapter, receptacle, linking two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69Mounting ferrules to connector body, i.e.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85Multicore or multichannel optical connectors, i.e. one single ferrule containing more than one fibre, e.g. ribbon type

Abstract

본 발명은 광분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커넥터단심페룰과 상기 커넥터단심페룰에 삽입된 커넥터광섬유를 갖는 광커넥터와 결합되는 광어댑터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광섬유로부터의 광신호를 복수의 광신호로 분기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광분배장치에 있어서, 직선상의 광분배관과 상기 광분배관의 양단에 노출되도록 상기 광분배관에 결합된 분배부단심페룰 및 분배부복심페룰과 상기 광분배관의 내부에서 분기되고 상기 분배부단심페룰과 상기 분배부복심페룰에 삽입된 1(입력) X N(출력) 형태의 분배부광섬유를 가지고, 상기 분배부광섬유의 입력단이 상기 광어댑터에 결합된 커넥터광섬유에 대향하도록 상기 광어댑터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광분배모듈과; 관형태의 페룰홀더와 상기 페룰홀더의 일단에 결합된 플러그복심페룰과 상기 플러그복심페룰에 삽입된 N개의 플러그광섬유를 가지고, 상기 플러그광섬유가 상기 분배부광섬유의 출력단에 각각 대향하도록 상기 광분배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기플러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조립작업이 간단해지고 설치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광분배, 페룰, 플러그, 광섬유

Description

광분배장치{Optical Splitting Device}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분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분배장치의 결합단면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광분배모듈의 분해사시도,
도4는 도3에 도시된 어댑터연결편과 분배부하우징의 부분절개사시도,
도5는 도1에 도시된 광분배모듈의 결합단면도,
도6은 도3에 도시된 광분배관영역의 단면도,
도7은 도1에 도시된 분기플러그의 분해사시도,
도8은 도1에 도시된 분기플러그의 부분절개 분해사시도,
도9는 도1에 도시된 분기플러그의 결합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분배장치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11은 종래의 광분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광분배모듈 11 : 분배부스프링
20, 120 : 광분배부 21, 121 : 광분배관
22, 122 : 분배부단심페룰 23, 123 : 분배부복심페룰
24 : 슬리브 26 : 분배부광섬유
30 : 스토핑관 40 : 플러그연결편
41 : 플러그연결편바디부 42 : 플러그페룰안내관
50 : 어댑터연결편 51 : 어댑터연결편지지벽체
52 : 어댑터연결편바디부 53 : 어댑터연결편결합관
60 : 분배하우징 61 : 확경부
62 : 협경부 80 : 분기플러그
81 : 광섬유안내관 82 : 페룰홀더
83 : 플러그복심페룰 90 : 분배부연결편
91 : 분배부연결편지지벽체 92 : 분배부연결편바디부
93 : 분배부연결편결합관 84 : 플러그스프링
86, 186 : 플러그하우징 87, 187 : 플러그광섬유
180 : 어댑터연결플러그 181 : 어댑터연결편
183 : 플러그단심페룰 185 : 광섬유안내부
201 : 광어댑터 202 : 광커넥터
본 발명은 광분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섬유를 전송경로로 사용하는 광통신시스템에 설치되어 하나의 신호를 여러 개의 신호로 분기하는 데 사용되는 광통신부품에 관한 것이다.
광섬유를 사용하여 통신시스템을 구성할 때 광분배함 등에서 하나의 광신호를 2이상의 광신호로 분기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광분배장치(Optical Splitting Device)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11은 종래의 광분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종래의 광분배장치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분배부(120)와, 광분배부(120)에 대하여 분리 형성된 어댑터연결플러그(180)를 갖고 있다.
광분배부(120)는 직선상의 광분배관(121)과, 광분배관(121)에 설치된 1(입력) X 2(출력) 형태의 분배부광섬유(126)를 갖고 있다.
분배부광섬유(126)는 광분배관(121)의 양측으로 여장(餘長)을 갖도록 광분배관(121)에 설치된다.
어댑터연결플러그(180)는 광섬유안내부(185)와, 광섬유안내부(185)의 전단에 결합된 어댑터연결편(181)과, 어댑터연결편(181)의 전단에 결합된 플러그단심페룰(183)과, 플러그단심페룰(183)을 둘러싸도록 어댑터연결편(181)에 결합된 플러그하우징(186)과, 광섬유안내부(185)와 플러그단심페룰(183)에 삽입되도록 설치된 플러그광섬유(187)를 갖고 있다.
어댑터연결편(181)은 상면에 어댑터연결편걸림벽(181a)이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하우징(186)은 양 측면에 어댑터하우징안내홈(201a)에 대응하는 플러그하우징안내돌기(186a)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플러그하우징걸림개구(186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광섬유(187)는 플러그단심페룰(183)을 통과하여 여장을 갖도록 플러그 단심페룰(183)에 삽입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광분배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커넥터단심페룰(202a)이 광어댑터(201)의 어댑터페룰안내관(도시되지 않음)에 진입하도록 광커넥터(202)를 광어댑터(201)에 결합한다. 여기서 광어댑터(201)와 광커넥터(202)사이의 결합동작은 어댑터하우징안내홈(201a)에 커넥터안내돌기(202c)가 삽입되고, 커넥터이탈방지돌기(201b)가 커넥터걸림벽(202b)을 넘어가도록 이루어진다.
광커넥터(202, SC 타입)와 광어댑터(201)사이의 결합상태는 커넥터이탈방지돌기(201b)와 커넥터걸림벽(202b)의 걸림작용에 의해 유지된다.
다음에 플러그단심페룰(183)이 광어댑터(201)의 어댑터페룰안내관(도시되지 않음)에 진입하도록 어댑터연결플러그(180)를 광어댑터(201)에 결합한다. 여기서 광어댑터(201)와 어댑터연결플러그(180)사이의 결합동작은 어댑터하우징안내홈(201a)에 커넥터안내돌기(202c)가 삽입되고 분배모듈이탈방지돌기(201b)가 어댑터연결편걸림벽(181a)을 넘어가도록 이루어진다.
어댑터연결플러그(180)와 광어댑터(201)사이의 결합상태는 분배모듈이탈방지돌기(201b)와 어댑터연결편걸림벽(181a)의 걸림작용에 의해 유지된다.
마지막으로 플러그광섬유(187)와 분배부광섬유(126)를 융착 접속한다.
그런데 종래의 광분배장치에 따르면, 플러그광섬유(187)와 분배부광섬유(126)를 융착 접속하여야 하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분배부광섬유(126)와 플러그광섬유(187)가 각각 여장을 갖도록 광분배관(121)과 플러그단심페룰(183)에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공간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압동작에 의해 조립할 수 있도록 한 광분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넥터단심페룰과 상기 커넥터단심페룰에 삽입된 커넥터광섬유를 갖는 광커넥터와 결합되는 광어댑터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광섬유로부터의 광신호를 복수의 광신호로 분기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광분배장치에 있어서, 직선상의 광분배관과 상기 광분배관의 양단에 노출되도록 상기 광분배관에 결합된 분배부단심페룰 및 분배부복심페룰과 상기 광분배관의 내부에서 분기되고 상기 분배부단심페룰과 상기 분배부복심페룰에 삽입된 1(입력) X N(출력) 형태의 분배부광섬유를 가지고, 상기 분배부광섬유의 입력단이 상기 광어댑터에 결합된 커넥터광섬유에 대향하도록 상기 광어댑터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광분배모듈과; 관형태의 페룰홀더와 상기 페룰홀더의 일단에 결합된 플러그복심페룰과 상기 플러그복심페룰에 삽입된 N개의 플러그광섬유를 가지고, 상기 플러그광섬유가 상기 분배부광섬유의 출력단에 각각 대향하도록 상기 광분배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기플러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분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분배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분배장치의 결합단면도이며, 도3은 도1에 도시된 광분배모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4는 도3에 도시된 어댑터연결편과 분배부하우징의 부분절개사시도이며, 도5는 도1에 도시된 광분배모듈의 결합단면도이며, 도6은 도3에 도시된 광분배관영역의 단면도이며, 도7은 도1에 도시된 분기플러그의 분해사시도이며, 도8은 도1에 도시된 분기플러그의 부분절개 분해사시도이며, 도9는 도1에 도시된 분기플러그의 결합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분배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분배모듈(10)과, 광분배모듈(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기플러그(80)를 갖고 있다.
광분배모듈(10)은 직선상의 광분배관(21)과 광분배관(21)의 양단에 노출되도록 광분배관(21)에 결합된 분배부단심페룰(22) 및 분배부복심페룰(23)을 갖는 광분배부(20)와, 광분배관(21)의 둘레영역에 배치된 스토핑관(30)과, 분배부복심페룰(23)을 둘러싸도록 스토핑관(30)에 결합된 플러그연결편(40)과, 분배부단심페룰(22)을 둘러싸도록 스토핑관(30)에 결합된 어댑터연결편(50)과, 광분배관(21)에 결합된 분배부스프링(11)과, 플러그연결편(40)과 어댑터연결편(50)을 지지하는 분배부하우징(60)을 갖고 있다.
광분배부(20)는 광분배관(21), 분배부단심페룰(22) 및 분배부복심페룰(23)에 더하여 분배부복심페룰(23)에 결합된 슬리브(24) 및 스페이서(25)와, 광분배관(21)에 내장된 1(입력) X 2(출력) 형태의 분배부광섬유(26)를 갖고 있다.
광분배관(21)은 내표면 양단에 각각 페룰장착계단부(21a)가 형성되어 있고, 외표면에는 분배관지지턱(21b)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분배관지지턱(21b)에는 한 쌍의 분배관정렬홈(21c)이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분배부단심페룰(22)은 일단에 단심삽입홈(2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분배부단심페룰(22)은 단심삽입홈(22a)영역이 페룰장착계단부(21a)에 접촉하도록 광분배관(21)에 설치된다(단심삽입홈과 페룰장착계단부사이에는 에폭시가 충진됨).
분배부복심페룰(23)은 일단에 복심삽입홈(23a)이 형성되어 있고, 복심삽입홈(23a)영역이 페룰장착계단부(21a)에 접촉하도록 광분배관(21)에 설치된다.
슬리브(24)는 씨형(C Type) 슬리브이다.
분배부광섬유(26)는 입력측이 분배부단심페룰(22)에 삽입되고 출력측이 분배부복심페룰(23)에 삽입된다.
스토핑관(30)은 외표면에 한 쌍의 걸림리브(31)가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일단에는 스토핑관정렬돌기(32)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토핑관(30)은 내표면에 스토핑관지지턱(33)이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연결편(40)은 블럭형태의 플러그연결편바디부(41)와, 플러그연결편바디부(41)로부터 연장 형성된 플러그페룰안내관(42)과, 플러그페룰안내관(42)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플러그연결편바디부(41)로부터 연장 형성된 한 쌍의 플러그연결편걸림암(43)과, 플러그연결편바디부(41)로부터 플러그페룰안내관(42)과 반대방향으 로 연장 형성된 플러그연결편결합관(44)을 갖고 있다.
플러그연결편바디부(41)에는 바디공(41a)이 플러그페룰안내관(42)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플러그연결편걸림암(43)은 플러그페룰안내관(42) 대향면에 플러그하우징걸림돌기(43a)가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연결편결합관(44)은 양 측면에 각각 플러그연결편탄성홈(44a)이 절취 형성되어 있고, 상면과 저면에는 각각 플러그연결편걸림슬릿(44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플러그연결편결합관(44)은 플러그페룰안내관(42)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어댑터연결편(50)은 어댑터연결편지지벽체(51)에 의해 구획되는 관형태의 어댑터연결편바디부(52) 및 어댑터연결편결합관(53)을 갖고 있다.
어댑터연결편지지벽체(51)에는 어댑터연결편벽체공(51a)이 어댑터연결편바디부(52)와 어댑터연결편결합관(53)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어댑터연결편바디부(52)는 상면에 어댑터연결편걸림벽(52a)이 형성되어 있다.
어댑터연결편결합관(53)은 양 측면에 각각 어댑터연결편탄성홈(53a)이 절취 형성되어 있고, 상면과 저면에는 각각 어댑터연결편걸림슬릿(53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어댑터연결편결합관(53)은 상면에 어댑터연결편이탈방지돌기(53c)가 형성되어 있고, 내표면에는 한 쌍의 어댑터연결편정렬돌기(53d)가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분배부스프링(11)은 양단이 각 분배관지지턱(21b)과 스토핑관지지턱(33)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분배부스프링(11)은 플러그연결편(40)이 스토핑관(30)에 결합될 때 수축하고, 이에 따라 스토핑관(30)은 분배부복심페룰(2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탄성 가압된다.
분배부하우징(60)은 플러그연결편(40)이 수용되는 확경부(61)와, 어댑터연결편(50)이 수용되는 협경부(62)로 구성되어 있다.
확경부(61)는 양 측면에 각각 분배부하우징안내홈(61a)이 절취 형성되어 있다.
협경부(62)는 양 측면에 어댑터하우징안내홈(201a)에 대응하는 분배부하우징안내돌기(62a)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분배부하우징걸림개구(62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분배부하우징걸림개구(62b)에는 어댑터연결편이탈방지돌기(53c)를 수용하기 위한 분배부하우징돌기홈(62c)이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광분배모듈(10)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조립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광분배부(20)는 조립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분배부스프링(11)을 광분배관(21)에 장착한다.
다음에 스토핑관(30)을 광분배관(21)에 삽입한다.
다음에 걸림리브(31)가 플러그연결편걸림슬릿(44b)에 삽입되도록 플러그연결편(40)을 분배부단심페룰(22)을 향해 가압한다. 이에 따라 플러그연결편(40)은 걸림리브(31)와 플러그연결편걸림슬릿(44b)사이의 걸림작용을 통해 스토핑관(30)에 결합된다.
다음에 어댑터연결편정렬돌기(53d)와 분배관정렬홈(21c)을 정렬시킨 상태에서 어댑터연결편(50)을 플러그연결편(40)을 향해 가압한다. 여기서 어댑터연결편(50)의 가압동작은 걸림리브(31)가 어댑터연결편걸림슬릿(53b)에 삽입될 때까지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어댑터연결편(50)은 걸림리브(31)와 어댑터연결편걸림슬릿(53b)사이의 걸림작용을 통해 스토핑관(30)에 결합된다.
다음에 어댑터연결편(50)을 확경부(61)에 삽입한 상태에서 분배부하우징(60)을 분배관지지턱(21b)을 향해 가압한다. 여기서 분배부하우징(60)의 가압동작은 어댑터연결편걸림벽(52a)이 분배부하우징걸림개구(62b)에 진입하고 어댑터연결편이탈방지돌기(53c)가 분배부하우징돌기홈(62c)에 삽입될 때까지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분배부하우징(60)은 어댑터연결편이탈방지돌기(53c)와 분배부하우징돌기홈(62c)사이의 걸림작용을 통해 어댑터연결편(50)에 결합된다.
분기플러그(80)는 광섬유안내관(81)과, 광섬유안내관(81)의 일단에 삽입된 관형상의 페룰홀더(82)와, 페룰홀더(82)의 일단에 결합된 플러그복심페룰(83)과, 플러그복심페룰(83)을 둘러싸도록 광섬유안내관(81)에 결합된 분배부연결편(90)과, 광섬유안내관(81)에 결합된 플러그스프링(84)과, 광섬유안내관(81)의 둘러싸도록 형성된 플랜지(85)와, 분배부연결편(90)을 지지하는 플러그하우징(86)과, 광섬유안 내관(81)과 플러그복심페룰(83)에 삽입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플러그광섬유(87)를 갖고 있다.
광섬유안내관(81)은 내표면에 안내관지지턱(81a)이 형성되어 있고, 외표면에는 한 쌍의 안내관걸림벽(81b)이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페룰홀더(82)는 외표면에 홀더지지턱(82a)이 형성되어 있다.
홀더지지턱(82a)에는 홀더정렬홈(82b)이 형성되어 있다.
분배부연결편(90)은 분배부연결편지지벽체(91)에 의해 구획되는 관형태의 분배부연결편바디부(92) 및 분배부연결편결합관(93)을 갖고 있다.
분배부연결편지지벽체(91)에는 분배부연결편벽체공(91a)이 분배부연결편바디부(92)과 분배부연결편결합관(93)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분배부연결편바디부(92)는 상면에 분배부연결편걸림벽(92a)이 형성되어 있다.
분배부연결편결합관(93)은 양 측면에 각각 분배부연결편탄성홈(93a)이 절취 형성되어 있고, 상면과 저면에는 각각 분배부연결편걸림슬릿(93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분배부연결편결합관(93)은 상면에 분배부연결편이탈방지돌기(93c)가 형성되어 있고, 내표면에는 한 쌍의 분배부연결편정렬돌기(93d)가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스프링(84)은 양단이 각각 홀더지지턱(82a)과 안내관지지턱(81a)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플러그스프링(84)은 분배부연결편(90)이 광섬유안내관(81)에 결합될 때 수축하고, 이에 따라 페롤홀더(82)는 플랜지(8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탄성 가압된다.
플러그하우징(86)은 양측면에 분배부하우징안내홈(61a)에 대응하는 플러그하우징안내돌기(86a)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플러그하우징걸림개구(86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플러그하우징걸림개구(86b)에는 분배부연결편이탈방지돌기(93c)를 수용하기 위한 플러그하우징돌기홈(86c)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플러그광섬유(87)는 광섬유안내관(81)을 통과하여 플러그복심페룰(83)에 삽입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분기플러그(80)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조립할 수 있다.
먼저 플러그광섬유(87)를 광섬유안내관(81)과 페룰홀더(82)를 순차적으로 통과시킨다.
다음에 플러그스프링(84)이 장착된 상태로 페룰홀더(82)를 광섬유안내관(81)에 삽입한다.
다음에 플러그광섬유(87)를 플러그복심페룰(83)에 삽입한다.
다음에 분배부연결편정렬돌기(93d)와 홀더정렬홈(82b)을 정렬시킨 상태에서 분배부연결편(90)을 플랜지(85)를 향해 가압한다. 여기서 분배부연결편(90)의 가압동작은 안내관걸림벽(81b)이 분배부연결편걸림슬릿(93b)에 삽입될 때까지 이루어진 다. 이에 따라 분배부연결편(90)은 안내관걸림벽(81b)과 분배부연결편걸림슬릿(93b)사이의 걸림작용을 통해 광섬유안내관(81)에 결합된다.
다음에 플러그하우징(86)을 플랜지(85)를 향해 가압한다. 여기서 플러그하우징(86)의 가압동작은 분배부연결편걸림벽(92a)이 플러그하우징걸림개구(86b)에 진입하고 분배부연결편이탈방지돌기(93c)가 플러그하우징돌기홈(86c)에 삽입될 때까지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플러그하우징(86)은 분배부연결편이탈방지돌기(93c)와 플러그하우징돌기홈(86c)사이의 걸림작용을 통해 분배부연결편(90)에 결합된다.
마지막으로 플러그복심페룰(83)을 연마하여 플러그광섬유(87)의 여장을 제거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분배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플러그복심페룰(83)이 플러그페룰안내관(42)에 진입하도록 분기플러그(80)를 광분배모듈(10)에 결합한다. 여기서 분기플러그(80)와 광분배모듈(10)사이의 결합동작은 분배부하우징안내홈(61a)에 플러그하우징안내돌기(86a)가 삽입되고 플러그하우징이탈방지돌기(43a)가 분배부연결편걸림벽(92a)을 넘어가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분기플러그(80)와 광분배모듈(10)의 결합은 씨씨디비젼시스템(CCD Vision System) 등의 영상시스템을 플러그연결편(40)의 전방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분배부복심페룰(23)을 플러그연결편(40)에 대하여 회전시켜 분배부광섬유(26)의 출력 측을 일정 방향으로 정렬시키고, 플러그복심페룰(83)의 전방에 씨씨디비젼시스템(CCD Vision System) 등의 영상시스템을 배치시킨 상태에서 분배부광섬유(26)의 출력측 정렬방향과 일치하도록 플러그복심페룰(83)을 분배부연결편(90)에 대하여 회전시킨 후 실시된다.
분기플러그(80)와 광분배모듈(10)사이의 결합상태는 플러그하우징이탈방지돌기(43a)와 분배부연결편걸림벽(92a)의 걸림작용에 의해 유지된다.
분기플러그(80)와 광분배모듈(10)이 결합된 상태에서 플러그복심페룰(83)과 분배부복심페룰(23)은 슬리브(24)에 의해 정렬되고, 플러그스프링(84)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가압 접촉된다.
다음에 커넥터단심페룰(202a)이 광어댑터(201)의 어댑터페룰안내관(도시되지 않음)에 진입하도록 광커넥터(202)를 광어댑터(201)에 결합한다. 여기서 광어댑터(201)와 광커넥터(202)사이의 결합동작은 어댑터하우징안내홈(201a)에 커넥터안내돌기(202c)가 삽입되고 커넥터이탈방지돌기(201b)가 커넥터걸림벽(202b)을 넘어가도록 이루어진다.
광커넥터(202)와 광어댑터(201)사이의 결합상태는 커넥터이탈방지돌기(201b)와 커넥터걸림벽(202b)의 걸림작용에 의해 유지된다.
마지막으로 분배부단심페룰(22)이 광어댑터(201)의 어댑터페룰안내관(도시되지 않음)에 진입하도록 광분배모듈(10)을 광어댑터(201)에 결합한다. 여기서 광어댑터(201)와 광분배모듈(10)사이의 결합동작은 어댑터하우징안내홈(201a)에 분배부하우징안내돌기(62a)가 삽입되고 분배모듈이탈방지돌기(201b)가 어댑터연결편걸림벽(52a)을 넘어가도록 이루어진다.
광분배모듈(10)과 광어댑터(201)사이의 결합상태는 분배모듈이탈방지돌 기(201b)와 어댑터연결편걸림벽(52a)의 걸림작용에 의해 유지된다.
광어댑터(201)와 광분배모듈(10)이 결합된 상태에서 커넥터단심페룰(202a)과 분배부단심페룰(22)은 분배부스프링(11)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가압 접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광어댑터(20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광분배모듈(10)과 광분배모듈(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기플러그(80)를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조립작업이 간단해지고 설치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분배부광섬유(26)를 1(입력) X 2(출력) 형태로 구성하고 있으나, 1(입력) X 3(출력), 1(입력) X 4(출력) 등과 같이 다른 형태로 분배부광섬유(26)를 구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광어댑터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광분배모듈과 광분배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기플러그를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조립작업이 간단해지고 설치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1)

  1. 커넥터단심페룰과 상기 커넥터단심페룰에 삽입된 커넥터광섬유를 갖는 광커넥터와 결합되는 광어댑터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광섬유로부터의 광신호를 복수의 광신호로 분기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광분배장치에 있어서,
    직선상의 광분배관과 상기 광분배관의 양단에 노출되도록 상기 광분배관에 결합된 분배부단심페룰 및 분배부복심페룰과 상기 광분배관의 내부에서 분기되고 상기 분배부단심페룰과 상기 분배부복심페룰에 삽입된 1(입력) X N(출력) 형태의 분배부광섬유를 가지고, 상기 분배부광섬유의 입력단이 상기 광어댑터에 결합된 커넥터광섬유에 대향하도록 상기 광어댑터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광분배모듈과;
    관형태의 페룰홀더와 상기 페룰홀더의 일단에 결합된 플러그복심페룰과 상기 플러그복심페룰에 삽입된 N개의 플러그광섬유를 가지고, 상기 플러그광섬유가 상기 분배부광섬유의 출력단에 각각 대향하도록 상기 광분배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기플러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분배장치.
KR1020080061409A 2008-06-27 2008-06-27 광분배장치 KR100955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409A KR100955504B1 (ko) 2008-06-27 2008-06-27 광분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409A KR100955504B1 (ko) 2008-06-27 2008-06-27 광분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494A KR20100001494A (ko) 2010-01-06
KR100955504B1 true KR100955504B1 (ko) 2010-04-30

Family

ID=41811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1409A KR100955504B1 (ko) 2008-06-27 2008-06-27 광분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55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963B1 (ko) 2009-09-28 2012-02-29 서진일렉트론(주) 광분배모듈
KR20160107409A (ko) 2015-03-03 2016-09-19 주식회사 제시테크 광 손실을 최소화한 광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4148A1 (ko) * 2010-11-30 2012-06-07 서진일렉트론(주) 광분배모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2251A (ja) * 2002-07-15 2004-04-02 Seikoh Giken Co Ltd 光ファイバコネクタ用プラグ、光ファイバコネクタ用プラグフレーム、光ファイバコネクタ用プラグホルダ及び光ファイバコネクタ用プラグの組み立て方法
US7391954B1 (en) * 2007-05-30 2008-06-24 Corning Cable Systems Llc Attenuated optical splitter modu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2251A (ja) * 2002-07-15 2004-04-02 Seikoh Giken Co Ltd 光ファイバコネクタ用プラグ、光ファイバコネクタ用プラグフレーム、光ファイバコネクタ用プラグホルダ及び光ファイバコネクタ用プラグの組み立て方法
US7391954B1 (en) * 2007-05-30 2008-06-24 Corning Cable Systems Llc Attenuated optical splitter modu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963B1 (ko) 2009-09-28 2012-02-29 서진일렉트론(주) 광분배모듈
KR20160107409A (ko) 2015-03-03 2016-09-19 주식회사 제시테크 광 손실을 최소화한 광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494A (ko)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80972B2 (en) Ultra-small form factor optical connectors used as part of a reconfigurable outer housing
US20210063650A1 (en) Remote release tab connector assembly
US11454766B2 (en) Ultra-small form factor optical connector having dual alignment keys
US20220163734A9 (en) Ultra-small form factor optical connector and adapter
CN101915968B (zh) 包括对准套塞的光纤插座和插头组件
US9482826B2 (en) Connector body for making crimp-less fiber optic cable connections
US11187857B2 (en) Ultra-small form factor optical connector and adapter
WO2019190616A1 (en) Ultra-small form factor optical connector and adapter
US9915789B2 (en) Optical adaptor for mounting to a receptacle to optically couple connectorized optical cables
US20220075126A1 (en) Ultra-small form factor optical connector and adapter
KR100955504B1 (ko) 광분배장치
US20170160477A1 (en) Optical adaptor for mounting to a receptacle to optically couple connectorized optical cables
KR20110004240A (ko) 현장조립형 광커넥터
KR101132835B1 (ko) 광 커넥터
KR101119963B1 (ko) 광분배모듈
CN117471615A (zh) 插芯组件、光纤连接器、光网络设备及光通信系统
EP3776039A1 (en) Ultra-small form factor optical connector and adapter
WO2012074148A1 (ko) 광분배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