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5215B1 - 스트라이프원단용 급사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라이프원단용 급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5215B1
KR100955215B1 KR1020080021196A KR20080021196A KR100955215B1 KR 100955215 B1 KR100955215 B1 KR 100955215B1 KR 1020080021196 A KR1020080021196 A KR 1020080021196A KR 20080021196 A KR20080021196 A KR 20080021196A KR 100955215 B1 KR100955215 B1 KR 100955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
hollow shaft
driving wheel
splin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1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5944A (ko
Inventor
최연채
Original Assignee
(주)다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성 filed Critical (주)다성
Priority to KR1020080021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5215B1/ko
Publication of KR20090095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5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5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8Thread-feed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04B1/12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with colour pattern, e.g. intarsia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8Thread guide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Thread-chang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68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94Driving-gea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10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 D04B35/14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responsive to thread breakage
    • D04B35/16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responsive to thread breakage with detectors associated with a series of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10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 D04B35/18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responsive to breakage, misplacement, or malfunctioning of knitting instru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2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 D04B9/28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with colour patterns
    • D04B9/3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with colour patterns by stri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더부에 지지된 중공샤프트를 따라 적어도 한 쌍의 구동휠부 및 전자석축적드럼부를 배열함에 따라 개별적으로 급사작동이 가능하고 구동휠부와 전자석축적드럼부간 동력 전달 또는 차단을 신속하고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는 스트라이프원단용 급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스트라이프원단용 급사장치는 전자석 온오프 기능의 마이콤(micom) 형식을 갖는 컨트롤러(110)가 장착되고 상기 컨트롤러(110)와 접속된 복수개의 절사감지센서(111, 112)를 구비하되, 상기 컨트롤러(110) 및 상기 절사감지센서(112)를 일측의 하우징 구조 탑재하고 타측의 받침대 구조에 중공샤프트(190)를 세워 결합한 홀더부(100)와, 중공샤프트(190)에 탑재되고 스플라인 디스크(220)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구동휠부(200); 상기 스플라인 디스크(220)에게 전자석코일부(340)의 전자력을 제공 또는 소거하여 상기 구동휠부(200)와의 동력 전달 또는 차단을 수행하도록 상기 중공샤프트(190)에 탑재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석축적드럼부(300)를 포함하고, 적어도 한 쌍의 구동휠부(200) 및 전자석축적드럼부(300)가 중공샤프트(190)를 따라 다단계로 적층 배열되어 있다.
홀더부, 컨트롤러, 구동휠부, 전자석축적드럼부

Description

스트라이프원단용 급사장치{YARN FEEDER FOR STRIPE TEXTURE}
본 발명은 저장 공급방식의 스트라이프원단용 급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섬유산업의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섬유기계의 기술개발 유도와 시설근대화가 진행 중이다.
일반적으로 섬유기계는 섬유제품 중에서 직선상의 원사(yarn)인 방적사, 필라멘트사, 폴리 합성사 등을 이용하여, 평면상의 편성(knitted fabrics), 직물(woven fabrics), 부직포(non woven fabrics), 조물(braid fabrics)을 제조하는 기계이다.
예컨대, 환편기는 편성에 필요한 원사를 편침(needle)에 공급해주는 급사장치와 함께 사용되며, 이때 급사장치는 환편기 또는 그의 급사방식, 예컨대 일반 급사방식, 자카드(jacquard)용 급사방식, 스트라이프(stripe)용 급사방식 등에 따라 서로 다른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급사(yarn feeding)는 원사를 보빈(예 : 실타래)으로부터 중간과정을 지난 후 편침에 공급하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환편기의 싱글용 급사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 우징(1)의 회전축(2)에 실 저장 드럼(4)을 축설하고, 실 저장 드럼(4)을 벨트 풀리(3)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영구자석(18N)이 환상요입부 속에 부착된 2매의 디스크(16)로 이루어진 디스크 가이드(15)를 실 저장 드럼(4)의 전방쪽 판상 가이드(7)와 사절감지봉(8) 사이에 나사축(20)과 지지대(21)로 장착시켜서 된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급사장치는 싱글용 급사장치이므로 스트라이프(stripe)용 급사장치로서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일반용 급사장치는 앞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환편기용 급사장치에서도 알 수 있듯이, 실 저장 드럼을 해당 벨트 풀리로 회전시켜 원사축적 및 공급을 수행함으로써, 역시 동력 전달 또는 차단이 불가능하고, 실을 교차하여 공급할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한편, 종래의 스트라이프용 급사장치도 고무롤러의 마찰로 회전하는 방법 또는 테이프형 피더의 작동을 이용하는 방법을 통해서, 원사를 밀어주면서 공급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스트라이프용 급사장치는 고무롤러의 마모로 인한 교체 비용이 발생되고, 고무롤러와 테이프형 피더의 작동 구조에 따라 원사 상에 장력 불균형이 발생되고 있으며, 장력 불균형이 발생될 때 마다 원단 품질이 저하되는 단점을 갖고 있다.
만일 폴리 합성사를 종래의 스트라이프용 급사장치에 사용할 경우, 폴리 합성사가 고무롤러를 파먹거나, 테이프형 피더에서 미끄러져서, 편성 생산을 어렵거 나, 그의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게 하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또한, 종래의 스트라이프용 급사장치는 상기 고무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해 회동벨트 등을 사용하기 때문에 다양한 속도의 급사공급이 불가능한 단점을 갖고 있으며, 별도의 보조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앞서 언급된 대부분의 종래 기술에 따른 급사장치는 급사중 발생되는 풍면(風綿) 등의 이물질이 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단이 부재되어 작동 성능 저하의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홀더부에 지지된 중공샤프트를 따라 적어도 한 쌍의 구동휠부 및 전자석축적드럼부를 배열함에 따라 개별적으로 급사작동이 가능하여 다양한 원사를 선택적으로 공급시키거나, 원사를 상호 교대하여 공급할 수 있는 스트라이프원단용 급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동휠부의 스플라인 허브(spline hub), 스플라인 허브에 장착된 스플라인 디스크, 스플라인 디스크를 자력으로 잡아당기도록 전자석축적드럼부에 내장된 전자석코일부, 전자석코일부의 비자화 작동시 신속하게 스플라인 디스크를 원위치시키도록 스플라인 디스크에 설치된 복수개의 복원스프링, 전자석코일부의 자화 또는 비자화 작동에 따른 스플라인 디스크의 상승 또는 하강을 이용하여 전자석코일부를 제외한 전자석축적드럼부의 다른 구성 요소를 급정지 또는 해제시키는 브레이크링크 및 그의 고무자석을 통해서, 구동휠부와 전자석축적드럼부간 동력 전달 또는 차단을 신속하고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는 스트라이프원단용 급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석축적드럼부의 하판에 제1팬구조를 형성하고, 전자석축적드럼부의 상판에 제2팬구조를 형성하여, 풍면(風綿) 등의 이물질이 중공샤프트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동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스트라이프원단용 급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은, 하기에 상세히 설명할 바와 같이, 전자석 온오프 기능의 마이콤(micom) 형식을 갖는 컨트롤러가 장착되고 상기 컨트롤러와 접속된 복수개의 절사감지센서를 구비한 스트라이프원단용 급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 및 상기 절사감지센서를 일측의 하우징 구조 탑재하고 타측의 받침대 구조에 중공샤프트를 세워 결합한 홀더부; 상기 중공샤프트에 탑재되고 스플라인 디스크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구동휠부; 상기 스플라인 디스크에게 전자석코일부의 전자력을 제공 또는 소거하여 상기 구동휠부와의 동력 전달 또는 차단을 수행하도록 상기 중공샤프트에 탑재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석축적드럼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한 쌍의 상기 구동휠부 및 상기 전자석축적드럼부가 상기 중공샤프트를 따라 다단계로 적층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라이프원단용 급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구동휠부는 휠 테두리 안쪽 원주면에 복수개의 원주 돌기를 형성하고, 보스(boss)부위에 베어링을 장착하고, 저부 중앙에 함몰된 원형홈을 형성하고, 상부 중앙에 스플라인 허브를 형성한 휠몸체구조; 상기 스플라인 허브에서 승강 또는 하강 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을 구현하도록 스플라인 요철을 디스크 몸체의 외주에 형성하고, 디스크 몸체의 중앙에 금속링을 인서트 시키고, 디스크 몸체의 상면에 복수개의 스프링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구멍에서 일부분 돌출되도록 복원스프링을 안치시킨 스플라인 디스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자석축적드럼부는 하판과 상판 사이에 핀지지튜브와 드럼핀을 결합한 것으로서, 상기 하판에 형성된 십자형 또는 방사형의 제1팬구조; 상기 상판에 형성된 십자형 또는 방사형의 제2팬구조; 상기 핀지지튜브 내부 공간을 기준으로 상기 중공샤프트에 고정된 전자석코일부; 상기 전자석코일부의 자석안착홈에 안착된 고무자석; 상기 고무자석에 직각연장부를 접촉 또는 비접촉시키도록 링크하부를 하판의 링크가이드구멍에 삽입시키고 있고 링크상부를 상판의 링크가이드홈에 삽입시킨 브레이크링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라이프원단용 급사장치는 홀더부의 중공샤프트에 복수 쌍의 구동휠부 및 전자석축적드럼부를 결합시키는 방식의 장착 구조를 제공하여서, 필요에 따라 다수로 구동휠부 및 전자석축적드럼부를 다단으로 증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라이프원단용 급사장치는 원사 종류 또는 원사 개수에 대응하게 구동휠부 및 전자석축적드럼부가 구비됨에 따라, 개별적인 급사작동이 가능하고, 다양한 원사를 선택적으로 공급시키거나, 원사를 상호 교대하여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라이프원단용 급사장치는 스플라인 허브(spline hub), 스플라인 디스크, 전자석코일부, 복원스프링, 브레이크링크, 고무자석을 제 공하여 구동휠부와 전자석축적드럼부간 동력 전달 또는 차단을 신속하고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라이프원단용 급사장치는 제1팬구조와 제2팬구조를 통해서 풍면(風綿)이 중공샤프트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동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프원단용 급사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4a 와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작동 관계를 보인 일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트라이프원단용 급사장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홀더부(100), 적어도 한 쌍의 구동휠부(200), 전자석축적드럼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환편기의 섬유기계라인(40)을 따라 수십에서 수백 개로 배치되어 사용 가능하며, 상기 섬유기계라인(40) 상에 설치볼트(41)의 조임과 동시에 단자간 통전이 이루어지는 방식을 통해서, 상기 환편기용 중앙통제부(도시 안됨)에 접속되어 계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각각의 회동벨트(50, 51)에 해당 구동휠부(200)를 체결하여 회동력을 전달 받는 바와 같은 휠 벨트 방식에 적용된다.
여기서, 회동벨트(50, 51)는 사용 환경에 따라 서로 다른 속도로 작동하거나 동일 속도로 작동 가능하고, 각각의 구동휠부(200)를 회동벨트(50, 51)에 설정된 속도로 구동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홀더부(100)는 섬유기계라인(도시 안됨)에 복수개로 배열 및 설치되고, 구성품의 설치 공간 또는 기반을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홀더부(100)는 일측의 하우징 구조와 타측의 받침대 구조를 일체형으로 형성한다.
홀더부(100) 일측의 하우징 구조에는 전자석 온오프 기능의 마이콤(micom) 형식을 갖는 컨트롤러(110)가 장착되고, 상기 컨트롤러(110)와 접속된 복수개의 절사감지센서(111, 112)가 장착된다. 절사감지센서(111, 112)는 사도(絲路)를 갖는 링크절의 회동을 감지하여 절사 상황을 체크하는 센서이다. 절사감지센서(111, 112)에 의한 절사 감지에 대응하여 컨트롤러(110)는 절사 신호를 중앙통제부에게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컨트롤러(110)는 중앙통제부의 전자석 온 또는 오프 명령을 입력받아 동력 전달 또는 차단을 위한 전자석코일부의 자화 또는 비자화 작동 및 그 타이밍을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이를 위한 통상의 회로구성을 갖는다. 이때, 컨트롤러(110)는 전선 또는 내부접속단자와 같은 전기적 하네스(113 : harness)를 통해 각각의 전자석코일부(340)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컨트롤러(110)에 는 전원 온오프 스위치(도시 안됨)가 더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더부(100) 일측의 하우징 구조의 상부에는 중공샤프트(190)를 지지하기 위한 상부지지대(114)가 볼트결합에 의해 취부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부지지대(114)는 도 2 또는 도 3에서처럼 수평판 형상을 갖거나, 1쌍 이상으로 구동휠부(200) 및 전자석축적드럼부(300)를 증설하기 위해 준비될 바와 같이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길이의 중공샤프트(도시 안됨)를 지지하기 위해 한글 기억자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더부(100) 타측의 받침대 구조의 상부에는 중공샤프트(190)가 세워지고, 와셔 및 장착너트를 이용하여 중공샤프트(190)가 취부 가능하게 장착된다.
중공샤프트(190)는 비도전성 재질로 제작되어서, 전자석코일부(340)의 전자력의 영향을 최소로 받도록 제작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더부(100) 타측의 받침대 구조의 저면에는 중공샤프트(190)용 와셔 및 장착너트의 투입 후 공구 사용을 위해서 바닥구멍(101)이 형성되어 있다. 바닥구멍(101)은 도시 되어 있지 않지만 마감용 마개로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휠부(200)와 전자석축적드럼부(300)는 한 쌍 또는 복수 쌍으로 중공샤프트(190)를 따라 다단계로 적층 배열되어 있다.
구동휠부(200)와 전자석축적드럼부(300)에 관련된 베어링 내지 부시(bush)는 나사 결합 방식, 키(key) 방식, 억지끼움 방식, 단차를 이용한 장착 방식 등과 같이 통상의 축부재상에 기계 구성 요소를 탑재, 장착 또는 축설시키는 방식을 이용하여 중공샤프트(190)에 탑재 또는 장착 된다.
구동휠부(200)는 그의 베어링을 개재한 상태에서 중공샤프트(190)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동휠부(200)는 회동벨트(50, 51)로부터 회동력이 전달되는 이상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전자석축적드럼부(300)는 그의 상부베어링과 하부베어링을 이용하여 중공샤프트(190)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전자석코일부(340)를 내장하고 있다. 이때, 전자석코일부(340)는 중공샤프트(190)에 고정되어 있다.
전자석축적드럼부(300)는 상기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구동휠부(200)와 달리, 전자석코일부(340)의 자화 작동에 따라 구동휠부(200)로부터 동력 전달이 이루어질 때 상기 구동휠부(200)와 함께 회전하여 급사를 수행하고, 전자석코일부(340)의 비자화 작동에 따라 구동휠부(200)로부터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정지하여 급사를 수행하지 않는 역할을 담당한다.
전자석축적드럼부(300)는 브레이크링크(350) 및 고무자석(360)을 이용한 급정지 기능을 갖는다.
전자석축적드럼부(300)는 제1, 제2팬구조(319, 379)를 이용한 이물질 유입 방지 기능을 갖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부(100) 타측의 받침대 구조와 상부지지대(114) 사이의 중공샤프트(190)를 기반으로 적어도 한 쌍의 구동휠부(200), 전자석축적드럼부(300)가 탑재된다.
구동휠부 및 전자석축적드럼부 쌍(400)은 하기에 설명할 구동휠부(200)와 전자석축적드럼부(300)가 쌍을 이루어 탑재될 때 형성되는 점선 레이아웃을 갖는다.
구동휠부 및 전자석축적드럼부 쌍(400)은 구동휠부(200)와 전자석축적드럼부(300)와 동일한 구성 및 결합관계를 갖고 있으므로, 그의 중복된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다만, 구동휠부 및 전자석축적드럼부 쌍(400)은 필요에 따라 상대적으로 긴 길이의 중공샤프트, 기억자 단면 형상의 상부지지대, 멀티용 컨트롤러 등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더 증설 가능하다.
구동휠부(200)는 휠 테두리 안쪽 원주면에 복수개의 원주 돌기(211)를 형성하고, 보스(boss)부위에 베어링(212)을 장착하고, 저부 중앙에 함몰된 원형홈(213)을 형성하고, 상부 중앙에 스플라인 허브(214)를 형성한 휠몸체구조(210)를 갖는다.
구동휠부(200)는 상기 스플라인 허브(214)에서 승강 또는 하강 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을 구현하도록 스플라인 요철(221)을 디스크 몸체의 외주에 형성하고, 디스크 몸체의 중앙에 금속링(222)을 인서트 시키고, 디스크 몸체의 상면에 복수개의 스프링구멍(223)을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구멍(223)에서 일부분 돌출되도록 복원스프링(224)을 안치시킨 스플라인 디스크(220)를 갖는다.
스플라인 디스크(220)의 금속링(222)의 내경은 홀더부(100)의 중공샤프트(19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서, 중공샤프트(190)를 따라 슬라이딩 작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플라인 디스크(220)와 스플라인 허브(214)의 사이 또는 금속링(2220)의 내경과 중공샤프트(190)의 사이에는 윤활제가 도포되어 있거나 또는 비급유 윤활용 부싱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전자석축적드럼부(300)는 하판(310), 드럼핀(320), 핀지지튜브(330), 전자석코일부(340), 브레이크링크(350), 고무자석(360), 하판(370)을 갖는다.
각각의 전자석축적드럼부(300)는 서로 다른 재질 또는 동일 재질의 원사를 드럼핀(320)에 미리 감아 사용한다.
하판(310)은 전체적으로 원형 판 형상으로서, 보스 부위에 베어링(311)을 장착하고, 베어링(311)으로부터 외곽쪽으로 이격된 곳에서 판 두께 방향으로 복수개의 링크가이드구멍(312)을 관통하게 형성하고, 링크가이드구멍(312)으로부터 외곽쪽으로 이격된 곳의 판 상면에 링형상의 튜브체결홈(313)을 형성하고, 튜브체결홈(313)으로부터 외곽쪽으로 이격된 곳의 판 상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복수개의 하핀구멍(314)을 형성하고, 튜브체결홈(313)의 아래쪽 판 저면과 코너 부위에 십자형 또는 방사형의 제1팬구조(319)를 형성하고 있다. 링크가이드구멍(312)에도 비급유 윤활용 부싱 등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팬구조(319)는 전자석축적드럼부(300)의 회전시 바깥쪽으로 바람을 일으켜서 풍면 등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각각의 드럼핀(320)은 강철 와이어를 절곡 및 절단하여 제작한 것으로서, 상기 하핀구멍(314)에 체결되는 핀하단부와, 상기 핀하단부로부터 절곡각도 45°로 절곡된 경사하부와, 상기 경사하부의 상부에서 상기 핀하단부의 연장방향과 평행하 게 절곡 형성된 핀중앙부(321)와, 상기 핀중앙부(321)의 상부에서 상기 경사하부에 비해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절곡된 경사상부와, 상기 경사상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핀하단부와 일치되게 상향으로 연장되어 후술할 상판(370)의 상핀구멍(374)에 체결되는 핀상단부를 갖는다.
핀지지튜브(330)는 하판(310)의 튜브체결홈(313)과 상판(370)의 튜브체결홈(373)에 삽입되는 중공 튜브형 구조물로서, 상기 드럼핀(320)의 개수 및 배열 간격에 일치되고 상하로 연장된 복수개의 반원 함몰홈(331)을 외주면에 형성하고 있다. 각각의 반원 함몰홈(331)에는 드럼핀(320)의 핀중앙부(321)가 각각 안착된다. 이로써, 편지지튜브(330)는 복수개의 드럼핀(320)을 지지하면서 형상 또는 간격 유지를 담당한다.
전자석코일부(340)는 핀지지튜브(330)의 중공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핀지지튜브(330)의 내주면과 비접촉할 수 있는 크기로서 제작되어 있다.
전자석코일부(340)는 자력선을 유도하면서 홀더부(100)의 중공샤프트(190)에 고정 결합되는 부싱(341)에 전자석코일구조의 코일권선(342)을 구비하고, 코일권선(342)의 상부 마감판 상에는 복수개의 자석안착홈(343)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코일권선(342)은 전기적 하네스를 통해 컨트롤러에 의해 자화 작동 또는 비자화 작동을 제어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부싱(341)의 상부에는 상판(370)의 베어링(371)이 안착되고, 부싱(341)의 하부에는 하판(310)의 베어링(311)이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싱(341)과 하판(310)의 베어링(311)은 도전성 재질로 제작되어서, 전자석코일부(340)의 자화 작동시에 발생되어 전달받은 전자력을 이용하여 스플라인 디스크(220)를 잡아당겨 동력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반면, 전자석코일부(340)의 비자화 작동시에는 복원스프링(224)에 의해서 부싱(341) 및 하판(310)의 베어링(311)으로부터 스플라인 디스크(220)가 신속하게 이격되도록 한다.
브레이크링크(350) 및 고무자석(360)은 전자석코일부(340)의 자화 또는 비자화 작동에 따른 스플라인 디스크(220)의 상승 또는 하강을 이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전자석코일부(340)를 제외한 전자석축적드럼부(300)의 다른 구성 요소를 급정지 또는 해제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서 브레이크링크(350)는 하판(310)의 링크가이드구멍(312)을 슬라이딩 작동 가능하게 관통하는 링크하부와, 상판(370)의 링크가이드홈(372)에서 슬라이딩 작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하부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는 링크상부와, 상기 링크하부와 상기 링크상부 사이에서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고무자석(360)의 상부 쪽에 배치되는 직각연장부(351)를 갖는다. 링크가이드홈(372)에도 비급유 윤활용 부싱 등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자석(360)은 전자석코일부(340)의 복수개의 자석안착홈(343)에 각각 삽입 고정되는 영구자석으로서, 전자석코일부(340)의 자화 작동시에 발생하는 전자력보다 상대적으로 월등히 작지만 설계치에 합당한 자력을 상기 브레이크링크(350)의 직각연장부(351)에 작용시킨다.
상판(370)은 상기 하판(31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면적의 원형 판 형상으로 서, 보스 부위에 베어링(371)을 장착하고, 베어링(371)으로부터 외곽쪽으로 이격된 곳의 판 저면 중에서 상기 하판(310)의 링크가이드구멍(312)과 일치하는 곳에 링크가이드홈(372)을 형성하고, 링크가이드홈(372)으로부터 외곽쪽으로 이격된 곳의 판 저면 중에서 상기 하판(310)의 튜브체결홈(313)과 일치하는 곳에 튜브체결홈(373)을 형성하고, 튜브체결홈(373)으로부터 외곽쪽으로 이격된 곳의 판 저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복수개의 상핀구멍(374)을 형성하고, 링크가이드홈(372)의 위쪽 판 상면과 보스 주위에 십자형 또는 방사형의 제2팬구조(379)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제2팬구조(379)는 전자석축적드럼부(300)의 회전시 바깥쪽으로 바람을 일으켜서 풍면 등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하, 도 4a 와 도 4b를 통해서 실시예의 작동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도 4a에 보이듯이, 본 발명의 컨트롤러는 환편기용 중앙통제부의 시스템 온(ON) 작동에 따라 작동 대기 상태이다.
중앙통제부는 모든 회동벨트를 작동시켜서 본 발명의 모든 구동휠부(200)를 회전시킨다.
이때, 구동휠부(200)는 해당 회동벨트의 속도에 대응하게 회전된다.
컨트롤러의 대기 작동시에는 각각의 전자석축적드럼부(300)의 전자석코일부(340)에 작동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비자화 작동 상태이다.
비자화 작동시, 구동휠부(200)에서 스플라인 디스크(220)는 휠몸체구조(210)의 스플라인 허브(214)의 하사점(D1)에서 안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 중인 구동휠부(200)와 함께 회전한다. 여기서, 하사점(D1)이란 스플라인 디스크(220)의 상부 가 스플라인 허브(214)에서 거의 돌출되지 않은 안치 상태의 위치를 의미한다.
전자석코일부(340)의 자석안착홈(343)에 삽입 고정된 고무자석(360)은 그의 자력으로 브레이크링크(350)의 직각연장부(351)를 잡아당긴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링크(350)는 관련 하사점(D2)에서 위치되어 있다. 여기서, 브레이크링크(350) 관련 하사점(D2)이란 직각연장부(351)의 저면이 고무자석(360)의 상면에 밀착되어 임시 고정된 상태임과 동시에, 하판(310)의 링크가이드구멍(312)을 통해 브레이크링크(350)의 링크하부의 끝단이 돌출되어서 스플라인 디스크(220)에 의해 연동되는 푸셔(pusher)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시작점 위치를 의미한다.
전자석코일부(340)의 고무자석(360)과 브레이크링크(350)를 기반으로, 결국 전자석코일부(340)를 제외한 전자석축적드럼부(300)의 다른 구성 요소들은 임시 고착된 상태이다.
특히, 브레이크링크(350) 관련 하사점(D2)에서, 브레이크링크(350)의 링크하부 끝단은 하판(310)의 링크가이드구멍(312)에서 가이드된 상태에서 스플라인 디스크(220) 쪽으로 돌출되어 있지만 비접촉 상태이며, 역시 스플라인 디스크(220)의 복원스프링(224) 끝단도 역시 전자석축적드럼부(300)의 하판(310)에 비접촉 상태이다.
이런 연유로 비자화 작동시에는 구동휠부(200)만 회전하기 때문에, 전자석축적드럼부(300)의 드럼핀(320)에 미리 감겨진 실의 급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도 4b에 보이듯이, 작동 대기 상태의 컨트롤러는 중앙통제부로부터 전자석 온 명령을 입력받는다.
전자석 온 명령에 상응하게 컨트롤러는 전자석축적드럼부(300) 별로 해당 전자석코일부(340)의 자화 작동을 수행하고, 해당 구동휠부(200)와 해당 전자석축적드럼부(300)간 동력 전달을 수행한다.
자화 작동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부연 설명하면, 전자석코일부(340)에서 발생된 전자력(예 : 잡아당기는 힘)은 베어링(311)을 경유하여 구동휠부(200)의 스플라인 디스크(220)의 금속링(222) 쪽으로 작용한다.
스플라인 구조의 특성상, 금속링(222)을 갖는 스플라인 디스크(220)는 하사점(D1)에서 상사점(U1)까지 상승하면서 전자석축적드럼부(300)의 하판(310)의 베어링(311)의 외륜에 신속하게 밀착된다.
이와 동시에, 스플라인 디스크(220)의 상승 또는 하강(M)은 브레이크링크(350)를 관련 하사점(D2)에서 상사점(U2)까지 들어올리거나 내리는(P) 푸셔(pusher)로서 작용하여, 고무자석(360)과 브레이크링크(350)의 직각연장부(351)를 이격시켜 임시 고정된 상태를 해제시킴과 함께 복원스프링(224)을 압착시킨다.
전자석코일부(340)의 전자력이 고무자석(360)의 자력 또는 복원스프링(224)의 스프링 탄성력보다 월등히 크기 때문이다.
이렇게 자화 작동 도중에는 스플라인 디스크(220)가 하판(310)의 베어링(311)의 외륜에 밀착되기 때문에, 구동휠부(200)의 회전력이 전자석축적드럼부(300)에 전달되고, 결국 전자석코일부(340)를 제외한 전자석축적드럼부(300)의 구성 요소가 구동휠부(200)와 함께 회전한다.
이런 경우 전자석축적드럼부(300)의 드럼핀(320)에 미리 감겨진 실의 급사와 동시에 실의 축적이 이루어지므로, 기존 고무롤러의 마모 등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함과 함께, 급사중인 원사 상에 장력 불균형이 발생되지 않아 스트라이프원단의 품질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그리고, 중앙통제부로부터 전자석 오프 명령이 컨트롤러에게 하달될 경우, 전자석 오프 명령에 상응하게 컨트롤러는 전자석코일부(340)의 비 자화 작동을 수행하여 전자석코일부(340)의 전자력이 소거됨에 따라, 압착된 복원스프링(224)이 스프링 탄성력을 작용하여 스플라인 디스크(220)를 상사점(U1)에서 하사점(D1)까지 하강시키고, 이에 따라 스플라인 디스크(220)가 전자석축적드럼부(300)의 하판(310)의 베어링(311)의 외륜으로부터 이격되어 동력 차단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다시 도 4a의 상태가 된다.
이와 동시에, 들어올려진 브레이크링크(350)도 스플라인 디스크(220)의 복귀에 따라지지 기반을 잃게 됨과 함께 다시 고무자석(360)의 자력에 영향을 받아서 상사점(U2)에서 하사점(D2)까지 이동함과 함께 도 4a의 상태와 같이 전자석코일부(340)에 밀착된다. 이에 따라 전자석축적드럼부(300)의 급정지가 이루어고, 실의 급사가 정지된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사용 도중 전자석 온 또는 오프 명령에 따라 컨트롤러에 의해 반복된다.
그리고, 도 3의 구동휠부 및 전자석축적드럼부 쌍(400)의 전자석축적드럼부에게 동력 차단이 이루어지는 대신 아래쪽의 구동휠부(200)의 전자석축적드럼 부(300)에게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그 반대로 하는 것을 교대로 작동시켜서, 결국 해당 원사를 상호 교대하여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싱글용 급사장치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프원단용 급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4a 와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작동 관계를 보인 일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홀더부 110 : 컨트롤러
111, 112 : 절사감지센서 190 : 중공샤프트
200 : 구동휠부 210 : 휠몸체구조
214 : 스플라인 허브 220 : 스플라인 디스크
300 : 전자석축적드럼부 310 : 하판
320 : 드럼핀 330 : 핀지지튜브
340 : 전자석코일부 350 : 브레이크링크
360 : 고무자석 370 : 하판

Claims (3)

  1. 전자석 온오프 기능의 마이콤(micom) 형식을 갖는 컨트롤러가 장착되고 상기 컨트롤러와 접속된 복수개의 절사감지센서를 구비한 스트라이프원단용 급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 및 상기 절사감지센서를 일측의 하우징 구조 탑재하고 타측의 받침대 구조에 중공샤프트를 세워 결합한 홀더부;
    상기 중공샤프트에 탑재되고 스플라인 디스크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구동휠부;
    상기 스플라인 디스크에게 전자석코일부의 전자력을 제공 또는 소거하여 상기 구동휠부와의 동력 전달 또는 차단을 수행하도록 상기 중공샤프트에 탑재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석축적드럼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한 쌍의 상기 구동휠부 및 상기 전자석축적드럼부가 상기 중공샤프트를 따라 다단계로 적층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라이프원단용 급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휠부는
    휠 테두리 안쪽 원주면에 복수개의 원주 돌기를 형성하고, 보스(boss)부위에 베어링을 장착하고, 저부 중앙에 함몰된 원형홈을 형성하고, 상부 중앙에 스플라인 허브를 형성한 휠몸체구조;
    상기 스플라인 허브에서 승강 또는 하강 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을 구현하도록 스플라인 요철을 디스크 몸체의 외주에 형성하고, 디스크 몸체의 중앙에 금속링을 인서트 시키고, 디스크 몸체의 상면에 복수개의 스프링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구멍에서 일부분 돌출되도록 복원스프링을 안치시킨 스플라인 디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라이프원단용 급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축적드럼부는 하판과 상판 사이에 핀지지튜브와 드럼핀을 결합한 것으로서,
    상기 하판에 형성된 십자형 또는 방사형의 제1팬구조;
    상기 상판에 형성된 십자형 또는 방사형의 제2팬구조;
    상기 핀지지튜브 내부 공간을 기준으로 상기 중공샤프트에 고정된 전자석코일부;
    상기 전자석코일부의 자석안착홈에 안착된 고무자석;
    상기 고무자석에 직각연장부를 접촉 또는 비접촉시키도록 링크하부를 하판의 링크가이드구멍에 삽입시키고 있고 링크상부를 상판의 링크가이드홈에 삽입시킨 브레이크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라이프원단용 급사장치.
KR1020080021196A 2008-03-07 2008-03-07 스트라이프원단용 급사장치 KR100955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196A KR100955215B1 (ko) 2008-03-07 2008-03-07 스트라이프원단용 급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196A KR100955215B1 (ko) 2008-03-07 2008-03-07 스트라이프원단용 급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944A KR20090095944A (ko) 2009-09-10
KR100955215B1 true KR100955215B1 (ko) 2010-06-22

Family

ID=41296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1196A KR100955215B1 (ko) 2008-03-07 2008-03-07 스트라이프원단용 급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52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8534A (ja) * 1991-05-21 1993-07-20 Sipra Patentwickl & Beteiligung Gmbh ストランド供給装置
KR980008185U (ko) * 1996-07-31 1998-04-30 장병인 환편기용 급사 장치
US20040216498A1 (en) 2001-05-29 2004-11-04 Birger Johansson Stopper magnet for a measuring yarn feeder
KR20070018589A (ko) * 2005-08-10 2007-02-14 조철신 줄무늬 편성용 사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8534A (ja) * 1991-05-21 1993-07-20 Sipra Patentwickl & Beteiligung Gmbh ストランド供給装置
KR980008185U (ko) * 1996-07-31 1998-04-30 장병인 환편기용 급사 장치
US20040216498A1 (en) 2001-05-29 2004-11-04 Birger Johansson Stopper magnet for a measuring yarn feeder
KR20070018589A (ko) * 2005-08-10 2007-02-14 조철신 줄무늬 편성용 사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944A (ko) 2009-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3197A (en) Yarn-delivery device for yarn-consuming textile machines
US5385007A (en) Pot-spinning device having magnetic bearing providing radial and axial support
US4660783A (en) Yarn brake, particularly for textile machines
CN101448988B (zh) 具有可移动的进纱环的积极式导纱装置
KR102512374B1 (ko) 양말 등을 위한 편직 기계를 위한 실 공급 장치
US4890464A (en) Positive feeding device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
US2688789A (en) Yarn handling equipment
KR100955215B1 (ko) 스트라이프원단용 급사장치
CN108462309A (zh) 支承纺织转子的方法以及支承器、纺织转子和支承轴承
CN105624877A (zh) 一种纺织纱线的均匀上蜡装置
JP2014074259A (ja) 給糸装置及び給糸方法
KR100365125B1 (ko) 방직기의 실 공급장치
KR20070018589A (ko) 줄무늬 편성용 사 공급장치
US4972686A (en) Electromagnetic needle selector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US3434673A (en) Drive mechanism
CN103917473A (zh) 电梯用曳引机和电梯用曳引机的制造方法
CN203065680U (zh) 电磁绕线轮
CN100582345C (zh) 断经自停装置及断经自停装置板条
CN205973273U (zh) 络纱机的自动上蜡装置
CN212955492U (zh) 一种落丝盘
CN221052134U (zh) 一种拉链缝合机断线检测用的辅助轮
US5044149A (en) Apparatus for selectively resisting the rotation of spindles of a textile machine
CN202744704U (zh) 电磁离合摩擦轮
TW202005897A (zh) 喂紗裝置及具有喂紗裝置的系統
CN214736511U (zh) 一种编织带用纤维丝输送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