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4059B1 -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4059B1
KR100954059B1 KR1020080074923A KR20080074923A KR100954059B1 KR 100954059 B1 KR100954059 B1 KR 100954059B1 KR 1020080074923 A KR1020080074923 A KR 1020080074923A KR 20080074923 A KR20080074923 A KR 20080074923A KR 100954059 B1 KR100954059 B1 KR 100954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nsmission
output
amplitude
lea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4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3416A (ko
Inventor
이동한
배지훈
권성호
조광수
최길영
채종석
강상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74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4059B1/ko
Priority to US12/328,385 priority patent/US8054161B2/en
Priority to EP09155311A priority patent/EP2175568A3/en
Publication of KR20100013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4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4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08General problems related to the reading of electronic memory record carriers, independent of its reading method, e.g.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198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setting parameters for the interrogator, e.g. programming parameters and operating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54Adjacent channel leakage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5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solation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7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nterrog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ransceivers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는, 송신 신호를 분배하여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전력 분배기; 상기 출력된 제2 송신 신호를 분배하여 제3 송신 신호 및 제4 송신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전력 분배기; 상기 출력된 제1 송신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변환하여 제1 변환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진폭/위상 변환기; 상기 출력된 제3 송신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변환하여 제2 변환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진폭/위상 변환기; 상기 생성된 제1 변환 신호를, 상기 출력된 제4 송신 신호와 연관되어 생성된 제1 누설 신호와 합성하는 제1 전력 합성기; 및 상기 생성된 제2 변환 신호를, 상기 출력된 제4 송신 신호와 연관되어 생성된 제2 누설 신호와 합성하는 제2 전력 합성기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80074923
RFID 시스템, RFID 리더, RFID 태그, 누설 신호, 진폭 변환, 위상 변환, 전력 분배, 전력 합성

Description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 LEAKAGE SIGNAL SUPPRESSION IN RFID READ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시스템에서 RFID 리더에 관련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RFID 시스템은 정보를 저장하고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교환하는 RFID 태그, 및 상기 RFID 태그와 무선 통신하는 판독기 일명, RFID 리더(reader)로 구성된다. 상기 RFID 태그는 전원 공급의 유무에 따라 전원을 필요로 하는 능동(Active)형과, 내부나 외부로부터 직접적인 전원의 공급 없이 RFID 리더의 전자기장에 의해 작동되는 수동(Passive)형으로 구분된다.
상기 RFID 태그는 다양한 모양의 형태로 만들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RFID 태그는 플라스틱 원판, 원통, 카드, 얇고 유연한 띠 또는 유리구슬(가운데 구멍이 있는) 등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RFID 태그는 단순히 도난 방지용으로 사용되는 1비트 저장용량의 읽기만 가능한 태그, 각각의 태그를 구분할 수 있는 고유 자료를 가지고 있는 32비트 또는 64비트 저장용량의 읽기 전용의 태그, 사용자가 메모리의 내용을 임의대로 수정 할 수 있는 512kb용량의 읽기, 쓰기용 태그 등의 종류가 있다. 상기 RFID 태그는 주로 125.134KHz, 13.56MHz, 433MHz, 860~960MHz 또는 2.45G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RFID 리더는 자료 취합기(Interrogator)라고도 불리며, RF(Radio Frequency) 에너지를 이용해서 RFID 태그와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RF주파수 유닛을 가지고 있다. RFID 리더는 손으로 휴대할 수 있는 형태나, 고정되어 설치되는 형태로 RFID 태그로부터 발사되는 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를 판독하는 기능을 한다.
그런데, UHF대역의 수동(Passive)형 RFID 시스템은 역산란 방식 (Backscattering)을 이용하기 때문에, RFID 리더에서 송출되는 신호의 크기가 역산란되어 돌아오는 RFID 태그의 신호보다 훨씬 크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RFID 시스템에서 RFID 리더는 RFID 태그의 신호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독립적인 2개의 진폭/위상 변환기를 통해 진폭, 위상이 각각 다른 누설 신호들을 제어함으로써, 누설 신호들을 효과적으로 억압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 가지 경로(내부, 외부)를 통해 발생하는 누설 신호들을 효율적으로 억압함으로써, 송수신간 격리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송수신간 격리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킴으로써, RFID 시스템의 인식률 및 인식 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는, 송신 신호를 분배하여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전력 분배기; 상기 출력된 제2 송신 신호를 분배하여 제3 송신 신호 및 제4 송신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전력 분배기; 상 기 출력된 제1 송신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변환하여 제1 변환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진폭/위상 변환기; 상기 출력된 제3 송신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변환하여 제2 변환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진폭/위상 변환기; 상기 생성된 제1 변환 신호를, 상기 출력된 제4 송신 신호와 연관되어 생성된 제1 누설 신호와 합성하는 제1 전력 합성기; 및 상기 생성된 제2 변환 신호를, 상기 출력된 제4 송신 신호와 연관되어 생성된 제2 누설 신호와 합성하는 제2 전력 합성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는, 송신 신호를 분배하여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전력 분배기; 상기 출력된 제2 송신 신호를 분배하여, 제3 송신 신호 및 제4 송신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전력 분배기; 상기 출력된 제3 송신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변환하여 제1 변환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진폭/위상 변환기; 상기 출력된 제4 송신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변환하여 제2 변환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진폭/위상 변환기; 상기 출력된 제1 송신 신호와 연관되어 생성된, 제1 누설 신호 및 제2 누설 신호를 반영하여, 생성된 상기 제1 변환 신호 및 상기 제2 변환 신호를 합성하는 제1 전력 합성기; 및 상기 제1 전력 합성기의 출력 신호를, 상기 제1 누설 신호 및 상기 제2 누설 신호와 합성하는 제2 전력 합성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방법은, 송신 신호를 분배하여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제2 송신 신호를 분배하여 제3 송신 신호 및 제4 송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제1 송신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변환하여 제1 변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제3 송신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변환하여 제2 변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제1 변환 신호를, 상기 출력된 제4 송신 신호와 연관되어 생성된 제1 누설 신호와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2 변환 신호를, 상기 출력된 제4 송신 신호와 연관되어 생성된 제2 누설 신호와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방법은, 송신 신호를 분배하여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제2 송신 신호를 분배하여, 제3 송신 신호 및 제4 송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제3 송신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변환하여 제1 변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제4 송신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변환하여 제2 변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제1 송신 신호와 연관되어 생성된, 제1 누설 신호 및 제2 누설 신호를 반영하여, 생성된 상기 제1 변환 신호 및 상기 제2 변환 신호를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합성에 의한 출력 신호를, 상기 제1 누설 신호 및 상기 제2 누설 신호와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독립적인 2개의 진폭/위상 변환기를 통해 진폭, 위상이 각각 다른 누설 신호들을 제어함으로써, 누설 신호들을 효과적으로 억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두 가지 경로(내부, 외부)를 통해 발생하는 누설 신호들을 효율적으로 억압함으로써, 송수신간 격리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송수신간 격리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킴으로써, RFID 시스템의 인식률 및 인식 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수동형 RFID 시스템은 RFID 리더 및 RFID 태그를 포함한다. 상기 수동형 RFID 시스템은 상기 RFID 태그가 동작하기 위한 에너지를 상기 RFID 리더에서 공급 해 준다. 상기 RFID 태그는 상기 RFID 리더로부터 공급된 에너지를 역산란(Backscattering)을 통해 반사한다. 그런데, 이때 상기 RFID 태그는 상기 반사되는 신호의 크기를 송신 정보에 따라서 다르게 변조한다.
따라서, 상기 RFID 리더는 일정 시간 동안 상기 RFID 태그로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송신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과,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동시에 수행한다. 또한, 상기 RFID 리더는 송수신 안테나를 분리하거나(안테나 분리형), 써큘레이터(Circulator)를 사용해서 송수신 안테나를 통합하여(안테나 통합형), 송수신간의 격리도를 확보한다.
도 1은 안테나 분리형의 RFID 리더를 구비한 RFID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RFID 시스템은 안테나 분리형의 RFID 리더(100) 및 RFID 태그(150)를 포함한다.
RFID 리더(100)는 송신부(110), 수신부(120), 송신 안테나(130), 및 수신 안테나(140)를 포함한다.
송신부(110)는 송신 신호를 출력하여 송신 안테나(130)로 전송한다. 송신 안테나(130)는 상기 송신 신호를 전달 받아 RFID 태그(150)로 송신한다. RFID 태그(150)는 송신 안테나(130)로부터 상기 송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송신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송신 정보를 전송한다. 수신 안테나(140)는 RFID 태그(150)로부터 상기 송신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부(120)로 전달한다. 수신부(120)는 수신 안테나(140)로부터 상기 송신 정보를 전달 받아 이를 처리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송수신 과정에서, 송신 누설에 의한 간섭 신호(누설 신호)(101, 102)가 발생할 수 있다. 누설 신호(101, 102)는 크게 두 가지 경로를 통해 발생될 수 있다. 첫 번째로, 누설 신호(101)는 송수신 안테나(130, 140) 주변 환경이 고정되었거나 변화가 거의 없는 경우, RFID 리더(100) 내에서 발생할 수 있다. 두 번째로, 누설 신호(102)는 RFID 리더(100)가 여러 가지 형태의 물품(종이, 목재, 플라스틱, 금속 등)에 부착된 RFID 태그(150)를 인식하는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다. 즉, 누설 신호(102)는 송수신 안테나(130, 140)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여기서, 상기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는 도 1의 RFID 리더, 즉 안테나 분리형의 RFID 리더에 탑재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는 제1 전력 분배기(201), 제2 전력 분배기(202), 디지털 신호 처리기(204), 제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205), 제1 진폭/위상 변환기(206), 제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207), 제2 진폭/위상 변환기(208), 제1 전력 합성기(212), 제2 전력 합성기(213), 주파수 하향 변환기(211),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09), 및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력 분배기(201)는 송신 신호를 분배하여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출력한다. 제1 전력 분배기(201)는 상기 출력된 제1 송신 신호를 제1 진폭/위상 변환기(206)에 전달하고, 상기 출력된 제2 송신 신호를 제2 전력 분배 기(202)에 전달한다. 제1 전력 분배기(201)는 실제 구현 시 방향성 결합기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제2 전력 분배기(202)는 제1 전력 분배기(201)로부터 상기 제2 송신 신호를 전달 받고, 상기 전달된 제2 송신 신호를 분배하여 제3 송신 신호 및 제4 송신 신호를 출력한다. 제2 전력 분배기(202)는 상기 출력된 제3 송신 신호를 제2 진폭/위상 변환기(208)에 전달하고, 상기 출력된 제4 송신 신호를 송신 안테나(203)에 전달한다. 제2 전력 분배기(202)는 실제 구현 시 방향성 결합기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204)는 상기 제4 송신 신호와 연관되어 생성된 제1 누설 신호를 감지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204)는 상기 감지된 제1 누설 신호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제1 변환 신호의 생성을 위한 제1 디지털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누설 신호는 상기 RFID 리더 내에서 발생하는 내부 누설 신호일 수 있다.
제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205)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204)에 의해 생성된 제1 디지털 제어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제1 아날로그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제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205)는 상기 출력된 제1 아날로그 제어 신호를 제1 진폭/위상 변환기(206)에 전달한다. 제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205)는 진폭과 위상을 각각 제어하여 변환하기 때문에, 실제 구현 시 두 개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가 한 쌍을 이루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제1 진폭/위상 변환기(206)는 제1 전력 분배기(201)에 의해 출력된 제1 송 신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변환하여 제1 변환 신호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제1 진폭/위상 변환기(206)는 제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205)에 의해 출력된 제1 아날로그 제어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제1 진폭/위상 변환기(206)는 상기 제1 아날로그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된 제1 송신 신호의 진폭을 상기 제1 누설 신호와 동일 진폭으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제1 변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진폭/위상 변환기(206)는 상기 제1 아날로그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된 제1 송신 신호의 위상을 상기 제1 누설 신호와 역위상(180도)으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제1 변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신호 처리기(204)는 상기 제4 송신 신호와 연관되어 생성된 제2 누설 신호를 감지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204)는 상기 감지된 제2 누설 신호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제2 변환 신호의 생성을 위한 제2 디지털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2 누설 신호는 송수신 안테나(203, 214)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외부 누설 신호일 수 있다.
제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207)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204)에 의해 생성된 제2 디지털 제어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제2 아날로그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제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207)는 상기 출력된 제2 아날로그 제어 신호를 제2 진폭/위상 변환기(208)에 전달한다. 제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207)는 진폭과 위상을 각각 제어하여 변환하기 때문에, 실제 구현 시 두 개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가 한 쌍을 이루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제2 진폭/위상 변환기(208)는 제2 전력 분배기(202)에 의해 출력된 제3 송신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변환하여 제2 변환 신호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제2 진폭/위상 변환기(208)는 제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207)에 의해 출력된 제2 아날로그 제어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제2 진폭/위상 변환기(208)는 상기 제2 아날로그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된 제3 송신 신호의 진폭을 상기 제2 누설 신호와 동일 진폭으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제2 변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진폭/위상 변환기(208)는 상기 제2 아날로그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된 제3 송신 신호의 위상을 상기 제2 누설 신호와 역위상(180도)으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제2 변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전력 합성기(212)는 제1 진폭/위상 변환기(206)에 의해 생성된 제1 변환 신호를 상기 제1 누설 신호와 합성한다. 즉, 제1 전력 합성기(212)는 상기 제1 변환 신호(제1 누설 신호와 동일 진폭 및 역위상을 가짐)와, 상기 제1 누설 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제1 누설 신호의 진폭 및 위상을 상쇄시킴으로써 상기 제1 누설 신호를 억압할 수 있다.
또 달리, 제1 전력 합성기(212)는 후술하는 제2 전력 합성기(213)로부터의 출력 신호와, 제1 진폭/위상 변환기(206)로부터의 제1 변환 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제1 누설 신호를 또 다시 억압할 수 있다. 제1 전력 합성기(212)는 실제 구현 시 방향성 결합기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제2 전력 합성기(213)는 상기 생성된 제2 변환 신호를 상기 제2 누설 신호 와 합성한다. 이때, 제2 전력 합성기(213)는 수신 안테나(214)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상기 제2 누설 신호와 RFID 태그 응답 신호를 포함함)와, 제2 진폭/위상 변환기(208)로부터 수신된 제2 변환 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제2 누설 신호의 진폭 및/ 위상을 상쇄시킴으로써 상기 제2 누설 신호를 억압할 수 있다. 제2 전력 합성기(213)는 실제 구현 시 방향성 결합기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주파수 하향 변환기(211)는 제1 전력 합성기(212)의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주파수 하향 변환기(211)는 제2 전력 합성기(213)의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주파수 하향 변환기(211)는 RFID 태그 응답 신호, 즉 수신 안테나(214)로부터 수신된 신호 중 상기 제2 누설 신호가 제거된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RFID 태그로부터의 송신 정보를 복원한다.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09)는 상기 하향 변환된 제1 전력 합성기(212)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기(204)에 공급한다. 주파수 하향 변환기(211)가 IQ 복조기인 경우,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09)는 Q(Quadrature-phase) 채널의 데이터에 대한 디지털 신호 변환을 할 수 있다.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10)는 상기 하향 변환된 제1 전력 합성기(212)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기(204)에 공급한다. 주파수 하향 변환기(211)가 IQ 복조기인 경우,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10)는 I(In-phase) 채널의 데이터에 대한 디지털 신호 변환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진폭/위상 변환기(206)와 제1 전력 합성기(212)는 상기 RFID 리더 내에 발생하는 제1 누설 신호를 억압하고, 제2 전력 합성기(213)와 제2 진폭/위상 변환기(208)는 송수신 안테나(203, 214)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제2 누설 신호를 억압한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진폭/위상 변환기(206)와 제1 전력 합성기(212)는 송수신 안테나(203, 214)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제2 누설 신호를 억압하고, 제2 전력 합성기(213)와 제2 진폭/위상 변환기(208)는 상기 RFID 리더 내에 발생하는 제1 누설 신호를 억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독립적인 2개의 진폭/위상 변환기, 즉 제1 진폭/위상 변환기(206) 및 제2 진폭/위상 변환기(208)를 통해 진폭, 위상이 각각 다른 제1 누설 신호와 제2 누설 신호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 누설 신호 및 상기 제2 누설 신호를 효과적으로 억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여기서, 상기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는 도 1의 RFID 리더, 즉 안테나 분리형의 RFID 리더에 탑재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는 제1 전력 분배기(301), 제2 전력 분배기(302), 디지털 신호 처리기(304), 제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05), 제1 진폭/위상 변환기(306), 제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07), 제2 진폭/위상 변환기(308), 제1 전력 합성기(312), 제2 전력 합성기(313), 주파수 하향 변환기(311),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09), 및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력 분배기(301)는 송신 신호를 분배하여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출력한다. 제1 전력 분배기(301)는 상기 출력된 제1 송신 신호를 송신 안테나(303)에 전달하여, 송신 안테나(303)를 통해 RFID 태그(도 1의 "150" 참조)에 전송되도록 한다. 제1 전력 분배기(301)는 상기 출력된 제2 송신 신호를 제2 전력 분배기(302)에 전달한다. 제1 전력 분배기(301)는 실제 구현 시 방향성 결합기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제2 전력 분배기(302)는 제1 전력 분배기(301)로부터 상기 제2 송신 신호를 전달 받고, 상기 전달된 제2 송신 신호를 분배하여 제3 송신 신호 및 제4 송신 신호를 출력한다. 제2 전력 분배기(302)는 상기 출력된 제3 송신 신호를 제1 진폭/위상 변환기(306)에 전달하고, 상기 출력된 제4 송신 신호를 제2 진폭/위상 변환기(308)에 전달한다. 제2 전력 분배기(302)는 실제 구현 시 방향성 결합기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304)는 상기 제1 송신 신호와 연관되어 생성된 제1 누설 신호를 감지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304)는 상기 감지된 제1 누설 신호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제1 변환 신호의 생성을 위한 제1 디지털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누설 신호는 상기 RFID 리더 내에서 발생하는 내부 누설 신호일 수 있다.
제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05)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304)에 의해 생성된 제1 디지털 제어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제1 아날로그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제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05)는 상기 출력된 제1 아날로그 제어 신호를 제1 진폭/위상 변환기(306)에 전달한다. 제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05)는 진폭과 위상을 각각 제어하여 변환하기 때문에, 실제 구현 시 두 개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가 한 쌍을 이루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제1 진폭/위상 변환기(306)는 제2 전력 분배기(301)에 의해 출력된 제3 송신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변환하여 제1 변환 신호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제1 진폭/위상 변환기(306)는 제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05)에 의해 출력된 제1 아날로그 제어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제1 진폭/위상 변환기(306)는 상기 제1 아날로그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된 제3 송신 신호의 진폭을 상기 제1 누설 신호와 동일 진폭으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제1 변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진폭/위상 변환기(306)는 상기 제1 아날로그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된 제3 송신 신호의 위상을 상기 제1 누설 신호와 역위상(180도)으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제1 변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신호 처리기(304)는 상기 제1 송신 신호와 연관되어 생성된 제2 누설 신호를 감지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304)는 상기 감지된 제2 누설 신호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제2 변환 신호의 생성을 위한 제2 디지털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2 누설 신호는 송수신 안테나(303, 314)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외부 누설 신호일 수 있다.
제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07)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304)에 의해 생성 된 제2 디지털 제어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제2 아날로그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제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07)는 상기 출력된 제2 아날로그 제어 신호를 제2 진폭/위상 변환기(308)에 전달한다. 제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07)는 진폭과 위상을 각각 제어하여 변환하기 때문에, 실제 구현 시 두 개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가 한 쌍을 이루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제2 진폭/위상 변환기(308)는 제2 전력 분배기(302)에 의해 출력된 제4 송신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변환하여 제2 변환 신호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제2 진폭/위상 변환기(308)는 제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07)에 의해 출력된 제2 아날로그 제어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제2 진폭/위상 변환기(308)는 상기 제2 아날로그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된 제4 송신 신호의 진폭을 상기 제2 누설 신호와 동일 진폭으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제2 변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진폭/위상 변환기(308)는 상기 제2 아날로그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된 제4 송신 신호의 위상을 상기 제2 누설 신호와 역위상(180도)으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제2 변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전력 합성기(312)는 상기 제1 누설 신호를 반영하여, 상기 제1 변환 신호 및 상기 제2 변환 신호를 합성한다. 즉, 제1 전력 합성기(312)는 상기 제1 변환 신호(제1 누설 신호와 동일 진폭 및 역위상을 가짐)와 상기 제2 변환 신호(제2 누설 신호와 동일 진폭 및 역위상을 가짐)를 합성하여 제2 전력 합성기(313)에 전송한다. 제1 전력 합성기(312)는 실제 구현 시 방향성 결합기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제2 전력 합성기(313)는 제1 전력 합성기(312)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제1 누설 신호 및 상기 제2 누설 신호와 합성한다. 이때, 제2 전력 합성기(313)는 수신 안테나(314)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상기 제1 누설 신호, 제2 누설 신호 및 RFID 태그 응답 신호를 포함함)와, 제1 전력 합성기(312)의 출력 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제1 누설 신호와 상기 제2 누설 신호를 억압한다. 제2 전력 합성기(313)는 실제 구현 시 방향성 결합기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주파수 하향 변환기(311)는 제2 전력 합성기(313)의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주파수 하향 변환기(311)는 RFID 태그 응답 신호, 즉 수신 안테나(314)로부터 수신된 신호 중 상기 제2 누설 신호와, 상기 제1 누설 신호가 제거된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RFID 태그로부터의 송신 정보를 복원한다.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09)는 상기 하향 변환된 제2 전력 합성기(313)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기(304)에 공급한다. 주파수 하향 변환기(311)가 IQ 복조기인 경우,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09)는 Q(Quadrature-phase) 채널의 데이터에 대한 디지털 신호 변환을 할 수 있다.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10)는 상기 하향 변환된 제2 전력 합성기(313)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기(304)에 공급한다. 주파수 하향 변환기(311)가 IQ 복조기인 경우,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10)는 I(In-phase) 채널의 데이터에 대한 디지털 신호 변환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진폭/위상 변환기(306, 308)와 제1 및 제2 전력 합성기(312,313)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누설 신호 및 상기 제2 누설 신호를 억압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는 독립적인 2개의 진폭/위상 변환기(306, 308)를 통해 진폭과 위상이 각각 다른 2개의 누설 신호(제1 누설 신호와 제2 누설 신호)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 누설 신호 및 상기 제2 누설 신호를 효과적으로 억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는 송수신 격리도를 개선하여 RFID 태그에 대한 인식률 및 인식 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안테나 통합형의 RFID 리더를 구비한 RFID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RFID 시스템은 안테나 통합형의 RFID 리더(400) 및 RFID 태그(450)를 포함한다.
RFID 리더(400)는 송신부(410), 수신부(420), 써큘레이터(430), 및 송수신 안테나(440)를 포함한다.
송신부(410)는 송신 신호를 출력하여 써큘레이터(430)로 전송한다. 써큘레이터(430)는 상기 송신 신호를 수신하여 송수신 안테나(440)로 전달한다. 송수신 안테나(440)는 상기 송신 신호를 전달 받아 RFID 태그(450)로 송신한다. 여기서, 써큘레이터(430)는 실제 구현 시 방향성 결합기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RFID 태그(450)는 송수신 안테나(440)로부터 상기 송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송신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송신 정보를 전송한다. 송수신 안테나(440)는 RFID 태그(450)로부터 상기 송신 정보를 수신하여 써큘레이터(430)로 전달한다. 써큘레이터(430)는 상기 송신 정보를 전달 받아 수신부(420)로 전달한다. 수신부(420)는 상기 전달된 송신 정보를 처리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송수신 과정에서, 송신 누설에 의한 간섭 신호(누설 신호)(401, 402)가 발생할 수 있다. 누설 신호(401, 402)는 크게 두 가지 경로를 통해 발생될 수 있다. 첫 번째로, 누설 신호(401)는 송수신 안테나(440) 주변 환경이 고정되었거나 변화가 거의 없는 경우, RFID 리더(400) 내에서 발생할 수 있다. 두 번째로, 누설 신호(402)는 RFID 리더(400)가 여러 가지 형태의 물품(종이, 목재, 플라스틱, 금속 등)에 부착된 RFID 태그(450)를 인식하는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다. 즉, 누설 신호(402)는 송수신 안테나(440)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여기서, 상기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는 도 4의 RFID 리더, 즉 안테나 통합형의 RFID 리더에 탑재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는 제1 전력 분배기(501), 제2 전력 분배기(502), 써큘레이터(503), 디지털 신호 처리기(504), 제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05), 제1 진폭/위상 변환 기(506), 제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07), 제2 진폭/위상 변환기(508), 제1 전력 합성기(512), 제2 전력 합성기(513), 주파수 하향 변환기(511),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509), 및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5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력 분배기(501)는 송신 신호를 분배하여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출력한다. 제1 전력 분배기(501)는 상기 출력된 제1 송신 신호를 제1 진폭/위상 변환기(506)에 전달하고, 상기 출력된 제2 송신 신호를 제2 전력 분배기(502)에 전달한다. 제1 전력 분배기(501)는 실제 구현 시 방향성 결합기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제2 전력 분배기(502)는 제1 전력 분배기(501)로부터 상기 제2 송신 신호를 전달 받고, 상기 전달된 제2 송신 신호를 분배하여 제3 송신 신호 및 제4 송신 신호를 출력한다. 제2 전력 분배기(502)는 상기 출력된 제3 송신 신호를 제2 진폭/위상 변환기(508)에 전달하고, 상기 출력된 제4 송신 신호를 써큘레이터(503)에 전달한다. 제2 전력 분배기(502)는 실제 구현 시 방향성 결합기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써큘레이터(503)는 제2 전력 분배기(502)로부터 상기 제4 송신 신호를 전달 받아 송수신 안테나(514)로 전달한다. 송수신 안테나(514)는 상기 제4 송신 신호를 전달 받아 RFID 태그(도 4의 "450" 참조)에 전송한다. 송수신 안테나(514)는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상기 제4 송신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송신 정보)를 수신한다. 써큘레이터(503)는 송수신 안테나(514)로부터 상기 응답 신호를 전달 받아 제2 전력 합성기(513)에 전달한다. 써큘레이터(503)는 실제 구현 시 방향성 결합기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504)는 상기 제4 송신 신호와 연관되어 생성된 제1 누설 신호를 감지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504)는 상기 감지된 제1 누설 신호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제1 변환 신호의 생성을 위한 제1 디지털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누설 신호는 상기 RFID 리더 내에서 발생하는 내부 누설 신호일 수 있다.
제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05)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504)에 의해 생성된 제1 디지털 제어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제1 아날로그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제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05)는 상기 출력된 제1 아날로그 제어 신호를 제1 진폭/위상 변환기(506)에 전달한다. 제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05)는 진폭과 위상을 각각 제어하여 변환하기 때문에, 실제 구현 시 두 개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가 한 쌍을 이루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제1 진폭/위상 변환기(506)는 제1 전력 분배기(501)에 의해 출력된 제1 송신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변환하여 제1 변환 신호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제1 진폭/위상 변환기(506)는 제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05)에 의해 출력된 제1 아날로그 제어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제1 진폭/위상 변환기(506)는 상기 제1 아날로그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된 제1 송신 신호의 진폭을 상기 제1 누설 신호와 동일 진폭으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제1 변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진폭/위상 변환기(506)는 상기 제1 아날로그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된 제1 송신 신호의 위상을 상기 제1 누설 신호와 역위상(180도)으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제1 변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신호 처리기(504)는 상기 제4 송신 신호와 연관되어 생성된 제2 누설 신호를 감지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504)는 상기 감지된 제2 누설 신호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제2 변환 신호의 생성을 위한 제2 디지털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2 누설 신호는 송수신 안테나(514)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외부 누설 신호일 수 있다.
제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07)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504)에 의해 생성된 제2 디지털 제어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제2 아날로그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제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07)는 상기 출력된 제2 아날로그 제어 신호를 제2 진폭/위상 변환기(508)에 전달한다. 제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07)는 진폭과 위상을 각각 제어하여 변환하기 때문에, 실제 구현 시 두 개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가 한 쌍을 이루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제2 진폭/위상 변환기(508)는 제2 전력 분배기(502)에 의해 출력된 제3 송신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변환하여 제2 변환 신호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제2 진폭/위상 변환기(508)는 제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07)에 의해 출력된 제2 아날로그 제어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제2 진폭/위상 변환기(508)는 상기 제2 아날로그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된 제3 송신 신호의 진폭을 상기 제2 누설 신호와 동일 진폭으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제2 변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진폭/위상 변환 기(508)는 상기 제2 아날로그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된 제3 송신 신호의 위상을 상기 제2 누설 신호와 역위상(180도)으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제2 변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전력 합성기(512)는 제1 진폭/위상 변환기(506)에 의해 생성된 제1 변환 신호를 상기 제1 누설 신호와 합성한다. 즉, 제1 전력 합성기(512)는 상기 제1 변환 신호(제1 누설 신호와 동일 진폭 및 역위상을 가짐)와, 상기 제1 누설 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제1 누설 신호의 진폭 및 위상을 상쇄시킴으로써 상기 제1 누설 신호를 억압할 수 있다.
또 달리, 제1 전력 합성기(512)는 후술하는 제2 전력 합성기(513)로부터의 출력 신호와, 제1 진폭/위상 변환기(506)로부터의 제1 변환 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제1 누설 신호를 또 다시 억압할 수 있다. 제1 전력 합성기(512)는 실제 구현 시 방향성 결합기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제2 전력 합성기(513)는 상기 생성된 제2 변환 신호를 상기 제2 누설 신호와 합성한다. 이때, 제2 전력 합성기(513)는 송수신 안테나(514)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상기 제2 누설 신호와 RFID 태그 응답 신호를 포함함)와, 제2 진폭/위상 변환기(506)로부터 수신된 제2 변환 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제2 누설 신호의 진폭 및 위상을 상쇄시킴으로써 상기 제2 누설 신호를 억압할 수 있다. 제2 전력 합성기(513)는 실제 구현 시 방향성 결합기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주파수 하향 변환기(511)는 제1 전력 합성기(512)의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주파수 하향 변환기(511)는 제2 전력 합성 기(513)의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주파수 하향 변환기(511)는 RFID 태그 응답 신호, 즉 송수신 안테나(514)로부터 수신된 신호 중 상기 제2 누설 신호가 제거된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RFID 태그로부터의 송신 정보를 복원한다. 여기서, 상기 제2 누설 신호는 써큘레이터(503)을 통해 전달된 누설 신호일 수 있다.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509)는 상기 하향 변환된 제1 전력 합성기(512)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기(504)에 공급한다. 주파수 하향 변환기(511)가 IQ 복조기인 경우,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509)는 Q(Quadrature-phase) 채널의 데이터에 대한 디지털 신호 변환을 할 수 있다.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510)는 상기 하향 변환된 제1 전력 합성기(512)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기(504)에 공급한다. 주파수 하향 변환기(511)가 IQ 복조기인 경우,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510)는 I(In-phase) 채널의 데이터에 대한 디지털 신호 변환을 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진폭/위상 변환기(506)와 제1 전력 합성기(512)가 상기 RFID 리더 내에 발생하는 제1 누설 신호를 억압하고, 제2 전력 합성기(513)와 제2 진폭/위상 변환기(508)가 송수신 안테나(503, 514)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제2 누설 신호를 억압한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진폭/위상 변환기(506)와 제1 전력 합성기(512)는 송수신 안테나(514)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제2 누설 신호를 억압하고, 제2 전력 합성기(513)와 제2 진폭/위상 변환기(508)는 상기 RFID 리더 내에 발생하는 제1 누설 신호를 억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독립적인 2개의 진폭/위상 변환기, 즉 제1 진폭/위상 변환기(506) 및 제2 진폭/위상 변환기(508)를 통해 진폭, 위상이 각각 다른 제1 누설 신호와 제2 누설 신호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 누설 신호 및 상기 제2 누설 신호를 효과적으로 억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여기서, 상기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는 도 4의 RFID 리더, 즉 안테나 통합형의 RFID 리더에 탑재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는 제1 전력 분배기(601), 제2 전력 분배기(602), 써큘레이터(603), 디지털 신호 처리기(604), 제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05), 제1 진폭/위상 변환기(606), 제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07), 제2 진폭/위상 변환기(608), 제1 전력 합성기(612), 제2 전력 합성기(613), 주파수 하향 변환기(611),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609), 및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6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력 분배기(601)는 송신 신호를 분배하여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출력한다. 제1 전력 분배기(601)는 상기 출력된 제1 송신 신호를 써큘레이터(603)에 전달하고, 상기 출력된 제2 송신 신호를 제2 전력 분배기(602)에 전달한다. 제1 전력 분배기(601)는 실제 구현 시 방향성 결합기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제2 전력 분배기(602)는 제1 전력 분배기(601)로부터 상기 제2 송신 신호를 전달 받고, 상기 전달된 제2 송신 신호를 분배하여 제3 송신 신호 및 제4 송신 신호를 출력한다. 제2 전력 분배기(602)는 상기 출력된 제3 송신 신호를 제1 진폭/위상 변환기(606)에 전달하고, 상기 출력된 제4 송신 신호를 제2 진폭/위상 변환기(608)에 전달한다. 제2 전력 분배기(602)는 실제 구현 시 방향성 결합기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써큘레이터(603)는 제1 전력 분배기(601)로부터 상기 제1 송신 신호를 전달 받아 송수신 안테나(614)로 전달한다. 송수신 안테나(614)는 상기 제1 송신 신호를 전달 받아 RFID 태그(도 4의 "450" 참조)에 전송한다. 송수신 안테나(614)는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상기 제1 송신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송신 정보)를 수신한다. 써큘레이터(603)는 송수신 안테나(614)로부터 상기 응답 신호를 전달 받아 제2 전력 합성기(613)에 전달한다. 써큘레이터(603)는 실제 구현 시 방향성 결합기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604)는 상기 제1 송신 신호와 연관되어 생성된 제1 누설 신호를 감지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604)는 상기 감지된 제1 누설 신호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제1 변환 신호의 생성을 위한 제1 디지털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누설 신호는 상기 RFID 리더 내에서 발생하는 내부 누설 신호일 수 있다.
제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05)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604)에 의해 생성된 제1 디지털 제어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제1 아날로그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제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05)는 상기 출력된 제1 아날로그 제어 신 호를 제1 진폭/위상 변환기(606)에 전달한다. 제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05)는 진폭과 위상을 각각 제어하여 변환하기 때문에, 실제 구현 시 두 개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가 한 쌍을 이루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제1 진폭/위상 변환기(606)는 제2 전력 분배기(601)에 의해 출력된 제3 송신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변환하여 제1 변환 신호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제1 진폭/위상 변환기(606)는 제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05)에 의해 출력된 제1 아날로그 제어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제1 진폭/위상 변환기(606)는 상기 제1 아날로그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된 제3 송신 신호의 진폭을 상기 제1 누설 신호와 동일 진폭으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제1 변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진폭/위상 변환기(606)는 상기 제1 아날로그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된 제3 송신 신호의 위상을 상기 제1 누설 신호와 역위상(180도)으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제1 변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신호 처리기(604)는 상기 제1 송신 신호와 연관되어 생성된 제2 누설 신호를 감지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604)는 상기 감지된 제2 누설 신호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제2 변환 신호의 생성을 위한 제2 디지털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2 누설 신호는 송수신 안테나(614)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외부 누설 신호일 수 있다.
제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07)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604)에 의해 생성된 제2 디지털 제어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제2 아날로그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제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07)는 상기 출력된 제2 아날로그 제어 신호를 제2 진폭/위상 변환기(608)에 전달한다. 제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07)는 진폭과 위상을 각각 제어하여 변환하기 때문에, 실제 구현 시 두 개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가 한 쌍을 이루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제2 진폭/위상 변환기(608)는 제2 전력 분배기(602)에 의해 출력된 제4 송신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변환하여 제2 변환 신호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제2 진폭/위상 변환기(608)는 제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07)에 의해 출력된 제2 아날로그 제어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제2 진폭/위상 변환기(608)는 상기 제2 아날로그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된 제4 송신 신호의 진폭을 상기 제2 누설 신호와 동일 진폭으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제2 변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진폭/위상 변환기(608)는 상기 제2 아날로그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된 제4 송신 신호의 위상을 상기 제2 누설 신호와 역위상(180도)으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제2 변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전력 합성기(612)는 상기 제1 누설 신호를 반영하여, 상기 제1 변환 신호 및 상기 제2 변환 신호를 합성한다. 즉, 제1 전력 합성기(612)는 상기 제1 변환 신호(제1 누설 신호와 동일 진폭 및 역위상을 가짐), 상기 제2 변환 신호(제2 누설 신호와 동일 진폭 및 역위상을 가짐)를 합성하여 제 2전력합성기(613)에 전송한다.
제1 전력 합성기(612)는 상기 제1 변환 신호와 상기 제1 누설 신호의 합성 에 의한 출력 신호를, 제2 전력 합성기(613)에 전송한다. 제1 전력 합성기(612)는 실제 구현 시 방향성 결합기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제2 전력 합성기(613)는 제1 전력 합성기(612)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제1 누설 신호 및 상기 제2 누설 신호와 합성한다. 이때, 제2 전력 합성기(613)는 수신 안테나(314)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상기 제2 누설 신호와 RFID 태그 응답 신호를 포함함)와, 제1 전력 합성기(612)의 출력 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제1 누설 신호와 제2 누설 신호를 억압한다. 제2 전력 합성기(613)는 실제 구현 시 방향성 결합기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주파수 하향 변환기(611)는 제2 전력 합성기(613)의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주파수 하향 변환기(611)는 RFID 태그 응답 신호, 즉 수신 안테나(314)로부터 수신된 신호 중 상기 제2 누설 신호와, 상기 제1 누설 신호가 제거된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RFID 태그로부터의 송신 정보를 복원한다.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609)는 상기 하향 변환된 제2 전력 합성기(613)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기(604)에 공급한다. 주파수 하향 변환기(611)가 IQ 복조기인 경우,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609)는 Q(Quadrature-phase) 채널의 데이터에 대한 디지털 신호 변환을 할 수 있다.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610)는 상기 하향 변환된 제2 전력 합성기(613)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기(604) 에 공급한다. 주파수 하향 변환기(611)가 IQ 복조기인 경우,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610)는 I(In-phase) 채널의 데이터에 대한 디지털 신호 변환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독립적인 2개의 진폭/위상 변환기, 즉 제1 진폭/위상 변환기(606) 및 제2 진폭/위상 변환기(608)를 통해 진폭, 위상이 각각 다른 제1 누설 신호와 제2 누설 신호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 누설 신호 및 상기 제2 누설 신호를 효과적으로 억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상기 송신 누설 신호 억압 방법은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는 도 1의 RFID 리더(안테나 분리형) 또는 도 4의 RFID 리더(안테나 통합형)에 탑재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S710)에서 상기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는 송신 신호를 분배하여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출력한다.
다음으로, 단계(S720)에서 상기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는 상기 출력된 제2 송신 신호를 분배하여 제3 송신 신호 및 제4 송신 신호를 출력한다.
다음으로, 단계(S730)에서 상기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는 상기 출력된 제1 송신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변환하여 제1 변환 신호를 생성한다. 즉, 상기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는 상기 출력된 제1 송신 신호의 진폭을 제1 누설 신호(RFID 리더 내부에서 발생되는 누설 신호)와 동일 진폭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 변환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는 상기 출력된 제 1 송신 신호의 위상을 상기 제1 누설 신호와 역위상(180도)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 변환 신호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단계(S740)에서 상기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는 상기 출력된 제3 송신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변환하여 제2 변환 신호를 생성한다. 즉, 상기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는 상기 출력된 제3 송신 신호의 진폭을 제2 누설 신호(RFID 리더의 송수신 안테나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누설 신호)와 동일 진폭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 변환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는 상기 출력된 제3 송신 신호의 위상을 상기 제2 누설 신호와 역위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 변환 신호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단계(S750)에서 상기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는 상기 생성된 제1 변환 신호를 상기 제1 누설 신호와 합성한다. 이로써, 상기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는 상기 제1 누설 신호를 억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제1 누설 신호로 인한 간섭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760)에서 상기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는 상기 생성된 제2 변환 신호를 상기 제2 누설 신호와 합성한다. 이로써, 상기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는 상기 제2 누설 신호를 억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제2 누설 신호로 인한 간섭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는 상기 제2 변환 신호와 상기 제2 누설 신호의 합성에 의한 출력 신호를 반영하여, 상기 제1 변환 신호와 상기 제1 누설 신호의 합성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는 상기 출 력 신호, 제1 변환 신호, 및 제1 누설 신호를 모두 합성함으로써 이차적으로 상기 제1 누설 신호 및 제2 누설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방법은 두 번에 걸쳐 내부 또는 외부에서 발생하는 누설 신호를 효율적으로 억압함으로써, 송수신간 격리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RFID 시스템의 인식률과 인식 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상기 송신 누설 신호 억압 방법은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는 도 1의 RFID 리더(안테나 분리형) 또는 도 4의 RFID 리더(안테나 통합형)에 탑재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S810)에서 상기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는 송신 신호를 분배하여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출력한다.
다음으로, 단계(S820)에서 상기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는 상기 출력된 제2 송신 신호를 분배하여, 제3 송신 신호 및 제4 송신 신호를 출력한다.
다음으로, 단계(S830)에서 상기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는 상기 출력된 제3 송신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변환하여 제1 변환 신호를 생성한다. 즉, 상기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는 상기 출력된 제3 송신 신호의 진폭을 제1 누설 신호(RFID 리더 내부에서 발생하는 누설 신호)와 동일 진폭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 변환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는 상기 출력된 제 3 송신 신호의 위상을 상기 제1 누설 신호와 역위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 변환 신호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단계(S840)에서 상기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는 상기 출력된 제4 송신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변환하여 제2 변환 신호를 생성한다. 즉, 상기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는 상기 출력된 제4 송신 신호의 진폭을 제2 누설 신호(RFID 리더의 송수신 안테나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누설 신호)와 동일 진폭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 변환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는 상기 출력된 제4 송신 신호의 위상을 상기 제2 누설 신호와 역위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 변환 신호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단계(S850)에서 상기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는 상기 제1 누설 신호 및 상기 제2 누설 신호를 반영하여, 상기 제1 변환 신호 및 상기 제2 변환 신호를 합성한다. 즉, 상기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는 상기 제1 누설 신호, 상기 제2 누설 신호, 상기 제1 변환 신호, 및 상기 제2 변환 신호를 모두 합성하여 상기 제1 누설 신호 및 상기 제2 누설 신호를 억압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방법은 두 가지 경로(내부, 외부)를 통해 발생하는 누설 신호를 효율적으로 억압함으로써, 송수신간 격리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RFID 시스템의 인식률 및 인식 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 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안테나 분리형의 RFID 리더를 구비한 RFID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안테나 통합형의 RFID 리더를 구비한 RFID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400: RFID 리더
110, 410: 송신부
120, 420: 수신부
130, 203, 303: 송신 안테나
140, 214, 314: 수신 안테나
150, 450: RFID 태그
201, 301, 501, 601: 제1 전력 분배기
202, 302, 502, 602: 제2 전력 분배기
204, 304, 504, 604: 디지털 신호 처리기
205, 305, 505, 605: 제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206, 306, 506, 606: 제1 진폭/위상 변환기
207, 307, 507, 607: 제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208, 308, 508, 608: 제2 진폭/위상 변환기
209, 309, 509, 609: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210, 310, 510, 610: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211, 311, 511, 611: 주파수 하향 변환기
212, 312, 512, 612: 제1 전력 합성기
213, 313, 513, 613: 제2 전력 합성기
440, 514, 614: 송수신 안테나
430, 503, 603: 써큘레이터

Claims (20)

  1. 송신 신호를 분배하여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전력 분배기;
    상기 출력된 제2 송신 신호를 분배하여 제3 송신 신호 및 제4 송신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전력 분배기;
    상기 출력된 제1 송신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변환하여 제1 변환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진폭/위상 변환기;
    상기 출력된 제3 송신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변환하여 제2 변환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진폭/위상 변환기;
    상기 생성된 제1 변환 신호를, 상기 출력된 제4 송신 신호와 연관되어 생성된 제1 누설 신호와 합성하는 제1 전력 합성기; 및
    상기 생성된 제2 변환 신호를, 상기 출력된 제4 송신 신호와 연관되어 생성된 제2 누설 신호와 합성하는 제2 전력 합성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폭/위상 변환기는,
    상기 출력된 제1 송신 신호의 진폭을 상기 제1 누설 신호와 동일 진폭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 변환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출력된 제1 송신 신호의 위상을 상기 제1 누설 신호와 역위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 변환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진폭/위상 변환기는,
    상기 출력된 제3 송신 신호의 진폭을 상기 제2 누설 신호와 동일 진폭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 변환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출력된 제3 송신 신호의 위상을 상기 제2 누설 신호와 역위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 변환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 합성기는,
    상기 제2 전력 합성기의 출력 신호를 반영하여, 상기 제1 변환 신호와 상기 제1 누설 신호의 합성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누설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제1 누설 신호에 기초하여 상 기 제1 변환 신호의 생성을 위한 제1 디지털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 및
    상기 생성된 제1 디지털 제어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제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누설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제2 누설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변환 신호의 생성을 위한 제2 디지털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 및
    상기 생성된 제2 디지털 제어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제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 합성기의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하는 주파수 하향 변환기; 및
    상기 하향 변환된 제1 전력 합성기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
  8. 송신 신호를 분배하여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전력 분배기;
    상기 출력된 제2 송신 신호를 분배하여, 제3 송신 신호 및 제4 송신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전력 분배기;
    상기 출력된 제3 송신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변환하여 제1 변환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진폭/위상 변환기;
    상기 출력된 제4 송신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변환하여 제2 변환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진폭/위상 변환기;
    상기 출력된 제1 변환 신호 및 상기 출력된 제2 변환 신호를 합성하는 제1 전력 합성기; 및
    상기 제1 전력 합성기의 출력 신호를, 상기 출력된 제1 송신 신호와 연관되어 생성된 제1 누설 신호 및 제2 누설 신호와 합성하는 제2 전력 합성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폭/위상 변환기는,
    상기 출력된 제3 송신 신호의 진폭을 상기 제1 누설 신호와 동일 진폭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 변환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출력된 제3 송신 신호의 위상을 상기 제1 누설 신호와 역위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 변환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진폭/위상 변환기는,
    상기 출력된 제4 송신 신호의 진폭을 상기 제2 누설 신호와 동일 진폭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 변환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출력된 제4 송신 신호의 위상을 상기 제2 누설 신호와 역위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 변환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누설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제1 누설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변환 신호의 생성을 위한 제1 디지털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 및
    상기 생성된 제1 디지털 제어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제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누설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제2 누설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변환 신호의 생성을 위한 제2 디지털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 및
    상기 생성된 제2 디지털 제어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제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 합성기의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하는 주파수 하향 변환기; 및
    상기 하향 변환된 제1 전력 합성기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
  14. 송신 신호를 분배하여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제2 송신 신호를 분배하여 제3 송신 신호 및 제4 송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제1 송신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변환하여 제1 변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제3 송신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변환하여 제2 변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제1 변환 신호를, 상기 출력된 제4 송신 신호와 연관되어 생성된 제1 누설 신호와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2 변환 신호를, 상기 출력된 제4 송신 신호와 연관되어 생성된 제2 누설 신호와 합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된 제1 송신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변환하여 제1 변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된 제1 송신 신호의 진폭을 상기 제1 누설 신호와 동일 진폭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 변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된 제1 송신 신호의 위상을 상기 제1 누설 신호와 역위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 변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된 제3 송신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변환하여 제2 변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된 제3 송신 신호의 진폭을 상기 제2 누설 신호와 동일 진폭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 변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된 제3 송신 신호의 위상을 상기 제2 누설 신호와 역위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 변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제1 변환 신호를, 상기 출력된 제4 송신 신호와 연관되어 생성된 제1 누설 신호와 합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변환 신호와 상기 제2 누설 신호의 합성에 의한 출력 신호를 반영하여, 상기 제1 변환 신호와 상기 제1 누설 신호의 합성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방법.
  18. 송신 신호를 분배하여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제2 송신 신호를 분배하여, 제3 송신 신호 및 제4 송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제3 송신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변환하여 제1 변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제4 송신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변환하여 제2 변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제1 송신 신호와 연관되어 생성된, 제1 누설 신호 및 제2 누설 신호를 반영하여, 생성된 상기 제1 변환 신호 및 상기 제2 변환 신호를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합성에 의한 출력 신호를, 상기 제1 누설 신호 및 제2 누설 신호와 합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된 제3 송신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변환하여 제1 변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된 제3 송신 신호의 진폭을 상기 제1 누설 신호와 동일 진폭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 변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된 제3 송신 신호의 위상을 상기 제1 누설 신호와 역위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 변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된 제4 송신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변환하여 제2 변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된 제4 송신 신호의 진폭을 상기 제2 누설 신호와 동일 진폭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 변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된 제4 송신 신호의 위상을 상기 제2 누설 신호와 역위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 변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방법.
KR1020080074923A 2008-07-31 2008-07-31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 및 방법 KR100954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923A KR100954059B1 (ko) 2008-07-31 2008-07-31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 및 방법
US12/328,385 US8054161B2 (en) 2008-07-31 2008-12-04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 leakage signal suppression in RFID reader
EP09155311A EP2175568A3 (en) 2008-07-31 2009-03-17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 leakage signal suppression in RFID rea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923A KR100954059B1 (ko) 2008-07-31 2008-07-31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416A KR20100013416A (ko) 2010-02-10
KR100954059B1 true KR100954059B1 (ko) 2010-04-20

Family

ID=41607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4923A KR100954059B1 (ko) 2008-07-31 2008-07-31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054161B2 (ko)
EP (1) EP2175568A3 (ko)
KR (1) KR1009540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66323B2 (en) 2009-12-07 2014-03-0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RFID reader and method for suppressing transmission leakage signal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21823B2 (en) * 2009-11-16 2020-04-14 Global Paymen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td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teraction with a terminal
CN103516444B (zh) * 2012-06-21 2016-09-28 天津中兴智联科技有限公司 一种无源射频识别系统设备接收性能测试装置
KR20150040472A (ko) * 2013-10-07 2015-04-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입동기식 발진기를 이용한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상쇄 장치 및 방법
CN105162714B (zh) * 2015-10-22 2018-03-27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射频终端的性能检测方法及系统
CN106203222B (zh) * 2016-07-21 2019-06-28 苏州中科沿芯微电子科技有限公司 应用于远距离uhf rfid读写器的回波抵消方法
WO2021107583A1 (ko) * 2019-11-29 2021-06-03 주식회사 파이칩스 Rfid 리더용 송수신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405B1 (ko) 2007-07-24 2008-12-05 주식회사 미네르바 송수신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회로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7910A (en) * 1996-11-29 2000-08-22 X-Cyte, Inc. Dual mode transmitter/receiver and decoder for RF transponder tags
US5861837A (en) * 1997-03-19 1999-01-19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Poly-frequency CW doppler radar system with leakage cancellation and method
DE60139740D1 (de) * 2000-03-07 2009-10-15 Panasonic Corp Verzögerungsschaltung und Vorwärtskopplungsverstärker
US7230996B2 (en) * 2002-06-13 2007-06-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ransmitting circuit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WO2005076489A1 (ja) * 2004-02-04 2005-08-18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無線タグ通信装置
WO2005112285A1 (ja) * 2004-05-14 2005-11-2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無線通信装置
KR100612206B1 (ko) * 2004-07-13 2006-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쿼드러처 신호를 이용한 레이더 시스템
US7671720B1 (en) * 2004-09-01 2010-03-02 Alien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ratus for removing distortion in radio frequency signals
EP1810210B1 (de) * 2004-10-08 2008-07-09 Elektrobit Wireless Communications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unterdrückung eines sendesignals in einem empfänger eines rfid schreib-/lesegeräts
US20060098765A1 (en) 2004-11-05 2006-05-11 Impinj, Inc.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RFID systems
FI119670B (fi) * 2005-07-08 2009-01-30 Valtion Teknillinen RFID-lukulaitteisto ja -menetelmä
KR100716018B1 (ko) * 2006-05-17 2007-05-08 한국과학기술원 모바일 무선인식 리더기 및 그 출력 누설신호 제거방법
US7471204B2 (en) * 2006-07-07 2008-12-30 Broadcom Corporation Receiver architecture for canceling blocking signals
FI119083B (fi) * 2006-08-24 2008-07-15 Idesco Oy RFID-lukija antennin epäsovituksen kompensoinnilla
US7684751B2 (en) * 2006-09-26 2010-03-23 Intel Corporatio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adapted for self-jammer cancellation
US20080079547A1 (en) * 2006-09-29 2008-04-03 Sensormatic Electronics Corporatio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having a signal canceller and method thereof
US8000674B2 (en) * 2007-07-31 2011-08-16 Intel Corporation Canceling self-jammer and interfering signals in an RFID system
KR100932064B1 (ko) * 2007-09-04 2009-12-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fid 태그 및 그 제어 방법
US8306480B2 (en) * 2008-01-22 2012-11-0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ssion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full duplex transceiv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405B1 (ko) 2007-07-24 2008-12-05 주식회사 미네르바 송수신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회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66323B2 (en) 2009-12-07 2014-03-0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RFID reader and method for suppressing transmission leakage signal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416A (ko) 2010-02-10
EP2175568A2 (en) 2010-04-14
EP2175568A3 (en) 2012-10-31
US20100026460A1 (en) 2010-02-04
US8054161B2 (en) 201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4059B1 (ko)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 및 방법
US7009515B2 (en) Frequency-hopping RFID system
US7526266B2 (en) Adaptive coherent RFID reader carrier cancellation
US20070224942A1 (en) Radio-Frequency Receiver Device
US20060138653A1 (en) RFIC chip, and position recognition system and security system using the same
US20080238620A1 (en) Radio-frequency tag communication device
ATE341796T1 (de) Hochempfindlicher leser für passive transponder
KR20080097115A (ko) 무선 주파수 식별 장치
US8089360B2 (en) Radio-frequency tag communication device
US9514336B2 (en)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 operation of a power amplifier of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reader device
US8400272B2 (en) Method and device for improving the signal to noise ratio (SNR) of a backscatter signal received from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ag
JP4200866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249794B1 (ko) 무선주파수인식 리더 및 그것의 송신 누설 신호 억압 방법
KR20080042578A (ko) 리더/태그 통합형 무선 인식 장치
US8074885B2 (en) Integrated RF card reader
JP4657657B2 (ja) リーダライタ、及び無線タグシステム
KR20100018346A (ko) 아날로그 궤환을 이용한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 및방법, 그리고 상기 송신 누설 신호 억압 장치를 포함하는rfid 리더
WO2009054568A1 (en) Rfid reader supporting dense mode using fft algorithm
US8823493B2 (en) Devices employing modulator switching and methods thereof
KR100747594B1 (ko) 리더/태그 통합형 무선 인식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장치
JP2010034785A (ja) 無線通信装置
JP4239012B2 (ja) 無線通信装置
JP2007060144A (ja) 無線タグ通信装置
JPH11272814A (ja) 無線通信方式および無線式情報記憶媒体
KR101004531B1 (ko) 시공간 방식을 이용한 rfid 리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