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3935B1 - Apparatus for linking crane saddle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linking crane saddl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53935B1 KR100953935B1 KR1020090040928A KR20090040928A KR100953935B1 KR 100953935 B1 KR100953935 B1 KR 100953935B1 KR 1020090040928 A KR1020090040928 A KR 1020090040928A KR 20090040928 A KR20090040928 A KR 20090040928A KR 100953935 B1 KR100953935 B1 KR 1009539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nk
- saddle
- crane
- saddles
- connec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10—Undercarriages or bogies, e.g. end carriages, end bogies
- B66C9/12—Undercarriages or bogies, e.g. end carriages, end bogies with load-distributing means for equalising wheel press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2—Trolleys or run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크레인용 새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크레인용 새들 간을 연결하는 크레인 새들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rane saddl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rane saddle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between crane saddles.
일반적인 천정 크레인은 일정 중량을 가지는 중량물을 전기모터 또는 유압모터 등의 동력을 이용하여 들어올리거나, 원하는 위치로 이송, 운반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천정 크레인(1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량물과 크레인(100) 사이에서 상기 중량물을 끌어올리기 위해 걸어주는 역할을 하는 후크(108)와, 상기 후크(108)에 걸린 중량물을 끌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는 힘을 발생시키는 권상장치(102) 및 크레인(100) 전체를 이송시킬 수 있는 주행장치(104)를 포함하고 있다.A general overhead crane is a device that can lift a heavy object having a certain weight by using a power such as an electric motor or a hydraulic motor, or transfer and transport it to a desired position. The
상기 권상장치(102)는 거어더(106)에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 제어되는 복수의 권상기(미도시)가 일정한 형태로 배치되어서 구성된다. 상기 권상기(미도시)에는 하단에 후크(108)가 연결되는 와이어로프가 권취되어 권상기(미도시)의 회동방향에 따라 후크(108)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The hoisting device 102 is configur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hoists (not shown) driven and controlled by a drive motor in the
상기 주행장치(104)는 주행레일(110)을 따라 직선 왕복이동하는 새들(112)로 구성된다. 상기 새들(112)은 대략 사각형태의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주행레일(110)을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주행휠(114)이 장치된다.The
상기 새들(112)은 중량물을 적재하고 있는 크레인(100)을 지지하여 주행시키므로, 중량물의 적재하중을 견딜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어야 한다. 상기 새들(112)의 주행휠(114)의 크기는 크레인(100)의 중량물의 적재하중이 증가하면 할수록 그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큰 사이즈로 구비하여야 하고, 그에 따라 주행레일(110)의 폭도 넓어져야 한다.The
따라서, 중량물의 하중에 따라 폭이 넓은 주행레일(110)을 다시 교체하여야 하고, 그로 인해 크레인(100)의 제작비용이 많이 올라가게 된다.Therefore, the wide running
또한, 새들(112)의 주행휠(114)이 크지거나, 주행레일(110)을 교체하게 되면 크레인(100)의 설치높이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unning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작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설치높이에도 제한을 받지않는 크레인 새들의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ane saddle connecting device that can minimize manufacturing costs and is not limited by the installation heigh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량물의 적재하중을 새들 전체에 고루 분산시킬 수 있는 크레인 새들의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ane saddle connecting device capable of distributing a heavy load evenly throughout the saddl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크레인 새들의 연결장치(2)는, 주행레일(8)을 따라 주행하는 크레인용 새들(4a,4b)을 분리 구성하고, 각 새들(4a,4b)마다 앞뒤 한 쌍의 주행휠(6)을 구비하고, 새들(4a,4b)간을 연결구(10)로 연결하되, 연결구(10)는 한 쌍의 링크블록(16)이 각 새들(4a,4b)에 체결되고 한 쌍의 링크블록(16)들 사이에는 링크바디(18)가 회동가능하게 축연결되어 좌우 링크유닛(12a,12b)을 형성하고, 좌우 링크유닛(12a,12b)의 사이에는 나사봉체(14)가 연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crane
본 발명의 크레인 새들의 연결장치는 중량물의 적재하중이 많이 나가더라도 주행휠을 크게 하거나 주행용 레일을 폭을 넓게 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작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중량물의 적재하중을 새들 전체에 고루 분산시켜 기기의 수명을 늘리고, 기기파손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connection device of the crane sadd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manufacturing cost because the running wheel does not have to increase the running wheel or wide the running rail even if the heavy load of the heavy load is large, and distributes the heavy load evenly throughout the saddle. By extending the life of the devi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the safety accidents caused by device damag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 크레인 새들의 연결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크레인 새들의 연결장치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크레인 새들의 연결구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 크레인 새들의 연결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크레인 새들의 연결장치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연결장치에서 연결구의 링크바디가 회동하는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서 전후좌우의 방향은 도 3에 표시된 바와 같다.1 is a plan view of the connection device of the crane sadd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connection device of the crane sadd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of the crane sadd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c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of the saddle, Figure 5 is a state of use of the connection device of the crane sadd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a and Figure 6b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link body of the connector in the connector of Figure 5 is rot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s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are as shown in FIG.
본 발명은 크레인의 적재하중 증가시 크레인용 새들(4a,4b)의 주행휠(6)의 크기를 증가하는 대신에, 복수의 새들(4a,4b)을 연결하여서 주행휠(6)의 개수를 증가시킨 장치이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새들(4a,4b)을 연결하는 연결구(10)도 회동가능케 구성하여서 적재하중이 새들(4a,4b) 전체에 골고루 분산되도록 한 것이다.Instead of increasing the size of the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크레인 새들장치(2)는 주행레일(8)에 연결구(10)로 연결된 좌우 새들(4a,4b)이 직선 주행가능하게 설치된다. 주행레일(8)은 H형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좌우 새들(4a,4b)은 대략 사각 형태로 형성되어 주행레일(8)의 하부를 감싸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좌우 새들(4a,4b)의 하단에는 앞과 뒤에 각각 한 쌍의 주행휠(6)이 구비되어 주행레일(8)상에 장치된다.In the
크레인용 새들(4a,4b)을 연결하는 연결구(1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링크블록(16) 사이에 링크바디(18)가 회동가능하도록 축연결된 좌우 링크유닛(12a,12b)을 형성하고, 좌우 링크유닛(12a,12b)을 나사봉체(14)로 체결하여서 구성된다. 연결구(10)가 고정 구조로 형성될 경우는 크레인이 적재하고 있는 중량물의 하중이 새들(4a,4b)의 일측으로 편중될 수 있으며, 특히, 주행레일(8)의 높낮이에 차이가 있는 부분에서는 중량물의 하중의 편중이 더욱 심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새들(4a,4b)은 빨리 파손되어 수명이 짧아지고, 새들(4a,4b)의 파손으로 인해 중량물이 추락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 to 5, the
본 발명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새들(4a,4b) 사이에 연결구(10)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여서, 좌우 새들(4a,4b)의 어느 측에 하중이 편중되더라도 연결구(10)의 링크바디(18)가 회동하여 중량물의 하중을 전체 새들(4a,4b)에 고루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6A and 6B, the
좌우 링크유닛(12a,12b)은 한 쌍의 링크블록(16)이 각 새들(4a,4b)에 연결되고, 한 쌍의 링크블록(16) 사이에 링크바디(18)를 축돌기(28) 및 축공(26) 구조로 축연결하여서 한 쌍의 링크블록(16)내에서 링크바디(18)가 회동가능케 구성된다.The left and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링크블록(16)의 좌우 측면에는 새들(4a,4b)과 나사결합되는 나사체결홈(24)이 형성됨과 동시에 전후 측면에는 축공(26)이 관통 형성되게 한다. 그리고, 링크바디(18)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본체의 전후 측면에 축공(26)에 대응되는 축돌기(28)가 형성된다. 링크바디(18)는 한 쌍의 링크블록(16)들에 개재되어 본체의 전후 측면에 형성된 축돌기(28)들이 한 쌍의 링크블록(16)의 축공(26)에 각각 끼워져서 축연결된다. 링크바디(18)는 한 쌍의 링크블록(16) 사이에 축결합되어 좌우로 회동하며 새들(4a,4b)이 받는 중량물의 적재하중을 새들(4a,4b) 전체로 분산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좌측 링크유닛(12a)과 우측 링크유닛(12b)은 나사선이 형성된 나사봉체(14)로 연결된다. 나사봉체(14)는 좌우 단부가 좌측 링크유닛(12a)의 링크바디(18) 우측과 우측 링크유닛(12b)의 링크바디(18) 좌측에 각각 체결되어서 구성된다. 그리고, 나사봉체(14)는 좌우 링크유닛(12a,12b)과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중앙에 체결용 각봉(20)이 일체 형성된다. 체결용 각봉(20)은 육각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스패어 등을 이용하여 손쉽게 체결할 수 있다.The
사용자가 체결용 각봉(20)을 오른쪽으로 돌리면 나사봉체(14)의 좌우단부가 좌우 링크유닛(12a,12b)의 링크바디(18)에 체결되고, 상기 체결용 각봉(20)을 왼쪽으로 돌리면 상기 나사봉체(14)의 좌우단부가 상기 좌우 링크유닛(12a,12b)의 링크바디(18)로부터 분리된다.When the user turns the
상기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나사봉체(14)의 체결용 각봉(20)을 이용하여 상기 나사봉체(14)의 좌우 단부를 한번에 상기 좌우 링크유닛(12a,12b)의 링크바디(18)에 체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use the
그리고, 상기 나사봉체(14)의 좌우 단부에는 위치고정용 죄임너트(22)가 나사삽입된다. 상기 위치고정용 죄임너트(22)는 상기 링크바디(18)에 나사연결된 나사봉체(14)가 상기 링크바디(18)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위치를 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Then, the fixing pinned
이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의 크레인용 새들의 연결장치(2)의 조립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ow, with reference to Figures 1 to 3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connection device (2) for cranes of the above configuration as follows.
사용자는 한 쌍의 링크블록(16) 사이에 링크바디(18)가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된 좌우 링크유닛(12a,12b)을 좌우 새들(4a,4b)에 각각 체결한다.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링크블록(16) 좌우측에는 나사체결홈(24)이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는 상기 의 나사체결홈(24)에 나사(32)를 끼워 상기 좌우 새들(4a,4b)에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나사봉체(14)의 좌우 단부에 위치고정용 죄임너트(22)를 끼운 후, 상기 나사봉체(14)의 좌우 단부를 상기 좌우 링크유닛(12a,12b)의 링크바디(18)에 형성된 체결공(30)에 끼운다. 사용자는 스패너 등을 상기 나사봉체(14)의 중앙에 형성된 체결용 각봉(20)에 끼우고 상기 나사봉체(14)를 오른쪽으로 돌려서 상기 링크바디(18)에 체결한다. 그리고, 다시 스패너 등을 이용하여 상기 나사봉체(14)의 좌우 단부에 있는 위치고정용 죄임너트(22)도 죄여준다.The user fastens the left and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크레인용 새들의 연결장치(2)는 중량물의 적재하중이 많이 나가더라도 주행휠(6)을 크게 하거나 주행용 레일(8)의 폭을 넓게 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작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crane
또한, 새들(4a,4b)이 주행레일(8)중에서 높낮이에 차이가 있는 부분에 위치하거나 지나갈때는 도 6a 및 도 6b에서와 같이 연결구(10)가 높낮이의 편차에 대응하는 작용을 하여 중량물의 적재하중을 새들(4a,4b) 전체에 고루 분산시키므로서 새들(4a,4b)의 수명을 늘릴 수 있고, 하중이 새들(4a,4b)의 일측에 편중됨으로 인해 기기가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30)은 거어더이고, 미설명부호(32)는 후크이다.In addition, when the saddle (4a, 4b) is located or passes 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height of the running rail (8) as shown in Figure 6a and 6b the
그 외에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 크레인 새들의 연결장치의 평면도,1 is a plan view of the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rane saddle,
도 2는 본 발명 크레인 새들의 연결장치의 요부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crane saddle conn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크레인 새들의 연결구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rane saddle,
도 4는 본 발명 크레인 새들의 연결구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크레인 새들의 연결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연결장치에서 연결구의 링크바디가 회동하는 상태도,
도 7은 종래 기술의 크레인 새들의 측면도이다.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rane saddle,
5 is a state of use of the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rane saddle,
6a and 6b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link body of the connector in the connecting device of FIG.
7 is a side view of a crane saddle of the prior ar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4a,4b : 새들 6 : 주행휠4a, 4b: Saddle 6: Travel wheel
8 : 주행레일 10 : 연결구8: running rail 10: connector
12a,12b : 링크유닛 14 : 나사봉체12a, 12b: link unit 14: screw rod
16 : 링크블록 18 : 링크바디16: link block 18: link body
20 : 체결용 각봉 22 : 위치고정용 죄임너트20: each bar for fastening 22: clamping nut for position fixing
26 : 축공 28 : 축돌기26: axial ball 28: axial projection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0928A KR100953935B1 (en) | 2009-05-11 | 2009-05-11 | Apparatus for linking crane saddl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0928A KR100953935B1 (en) | 2009-05-11 | 2009-05-11 | Apparatus for linking crane saddl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53935B1 true KR100953935B1 (en) | 2010-04-22 |
Family
ID=42220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40928A KR100953935B1 (en) | 2009-05-11 | 2009-05-11 | Apparatus for linking crane saddl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5393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58029A1 (en) * | 2017-09-22 | 2019-03-28 | Konecranes Global Corporation | Trolley of a cran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226332A (en) | 1979-11-30 | 1980-10-07 | Hatch Associates Ltd. | Equalization system for overhead cranes |
JPH06158999A (en) * | 1992-11-18 | 1994-06-07 | Hitachi Constr Mach Co Ltd | Segment conveyor for shielding |
JP2002302379A (en) | 2001-04-06 | 2002-10-18 | Mitsubishi Heavy Ind Ltd | Traveling body frame structure and crane provided therewith |
-
2009
- 2009-05-11 KR KR1020090040928A patent/KR10095393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226332A (en) | 1979-11-30 | 1980-10-07 | Hatch Associates Ltd. | Equalization system for overhead cranes |
JPH06158999A (en) * | 1992-11-18 | 1994-06-07 | Hitachi Constr Mach Co Ltd | Segment conveyor for shielding |
JP2002302379A (en) | 2001-04-06 | 2002-10-18 | Mitsubishi Heavy Ind Ltd | Traveling body frame structure and crane provided therewith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58029A1 (en) * | 2017-09-22 | 2019-03-28 | Konecranes Global Corporation | Trolley of a crane |
US11505435B2 (en) | 2017-09-22 | 2022-11-22 | Konecranes Global Corporation | Trolley of a cran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583175B (en) | The method that hoisting crane suspended rack assembly section is linked together and the frame installation assembly of use thereof | |
CN201626682U (en) | Transmission device of electric artesian wheel | |
KR102174551B1 (en) | Towing mechanism, bogie assembly and straddle-type monorail vehicle | |
US10486948B2 (en) | Rope hoist | |
US20190085516A1 (en) | Lifter assembly and system for removing highway or railway bridges | |
KR100953935B1 (en) | Apparatus for linking crane saddles | |
US20140306472A1 (en) | Low profile lifting assembly for managing electrical components during installation and service of machines | |
CN212751637U (en) | Tackle device for large span | |
CN203186473U (en) | crawler-type chassis and crawler-type engineering machinery | |
EP3184479A1 (en) | Simplified assembly trellis-like modular element for towers of tower cranes and tower comprising such modular element | |
KR101488345B1 (en) | Bogie of the active damper safely device and rail vehicle having the same | |
CN204150957U (en) | A kind of load balancing mechanism of flexible riser | |
CN102587668A (en) | Tensile beam, arm support and pump truck | |
CN102561195B (en) | Assembled wire strand bracket | |
CN205500591U (en) | Overhead traveling crane track card | |
US3247975A (en) | Mobile gantry crane having a resiliently supported bridge | |
CN204676434U (en) | A kind of railway T-beam rescue trolley | |
CN202294858U (en) | Track holding locking device | |
CN200985258Y (en) | Adjustable traction device | |
CN102356040A (en) | Stop element and combination of a stop element and a fastening means | |
JP5693934B2 (en) | Lifting bracket and insulator device | |
CN207418211U (en) | A kind of spare tire lifting device | |
CN205772905U (en) | Adjustable cable coaster and use the crane of this cable coaster | |
CN108032791A (en) | A kind of electric pole hauls draw-gear | |
CN202766014U (en) | Static fixing device of elevator hoisting rop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AMND | Amendment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