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3792B1 - 소켓 조립체 - Google Patents

소켓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3792B1
KR100953792B1 KR1020080045121A KR20080045121A KR100953792B1 KR 100953792 B1 KR100953792 B1 KR 100953792B1 KR 1020080045121 A KR1020080045121 A KR 1020080045121A KR 20080045121 A KR20080045121 A KR 20080045121A KR 100953792 B1 KR100953792 B1 KR 100953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elastic plate
portions
inverted
conve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5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9219A (ko
Inventor
박현미
Original Assignee
박현미
주식회사 티에프이스트포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미, 주식회사 티에프이스트포스트 filed Critical 박현미
Priority to KR1020080045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3792B1/ko
Publication of KR20090119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9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01R31/2601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74Devices having four or more poles, e.g. holders for compact fluorescent lamps
    • H01R33/76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래킷판(10)의 중앙 관통구멍(11)의 테두리에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부착된 탄성판(20)을 포함하고 있는 소켓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탄성판(20)에는, 일렬로 배열된 탄성과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진 일군의 복수 개의 프로브부(30)가 상기 탄성판(20)의 윗면과 밑면에서 양단이 돌출되어 있는 상태로 사출성형에 의해 심어져 있고, 상기 일군의 복수 개의 프로브부(30)들은 서로에 대하여 모든 부위가 동일한 간격을 두고서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서 하나의 프로브부(30)의 중간돌출부(30a)가 바로 인접한 다른 하나의 프로브부(30)의 횡단면도의 영역에 침입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 개의 프로브부(30) 각각은 폭방향 종단면 형상에서 볼 때 역 C자 형상부(31), 상기 역 C자 형상부의 양단에 바로 인접하여 배치된 기립부(32), 상기 기립부(32) 각각에 바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기립부(32)의 횡폭보다 큰 횡폭을 가진 수평부(33, 34)를 일체로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프로브부(30) 각각은 두께방향 종단면 형상에서 볼 때 상기 역 C자 형상부(31)의 양단부(31a)와 수렴부(31b) 사이의 부분(31c)에서 상기 프로브부의 두께방향 일방향으로 상기 수렴부(31b)와 부분(31c) 사이의 부위가 만곡되어 있다.
수렴부, 프로브부, 탄성판

Description

소켓 조립체 {socket asembly}
본 발명은 반도체 칩을 전기적으로 검사하는 장치에 구비된 소켓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소켓 조립체들 중 제1 타입의 소켓 조립체가 특허등록 제791888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등록공보에 개시된 제1 타입의 소켓 조립체는 브래킷판의 중앙 관통구멍에 복수의 관통구멍을 갖고서 실리콘 고무 등의 재질로 만들어진 탄성판을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부착하고, 반도체 칩의 접촉 단자에 접촉하게 될 도전성 플런저와 검사용 회로기판의 접촉단자에 접촉하게 될 도전성 접촉핀을 이들 사이에 도전성 스프링을 개재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에 탄성적으로 출몰가능하게 삽입하고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제1 타입의 소켓 조립체는 상기 탄성판의 변형에 따라 상기 스프링의 자세가 변화되어, 상기 도전성 스프링과 상지 도전성 플런저 및 도전성 접촉핀 간의 접촉위치가 가변되어 일정한 전류를 접촉핀에서 플런저에 보낼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상기 도전성 스프링을 경유하여만 플런저에 접촉 핀의 전류를 보낼 수 있는 구조이어서 하이 스피드를 요하는 소켓 조립체에는 옳바른 반도체 칩의 시험이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탄성판에 도전성 플런저와 도전성 접촉핀을 출몰가능하게 장착하는 구성은 복잡한 사출성형공정이 필요하게 되어 그 제조 비용도 상승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반도체 칩에 복수개의 접촉단자가 존재하는 경우에 그 만큼 복수개의 접촉단자와 접촉하게될 도전성 플런저도 필요하게 되어 상기 탄성판과 스프링의 자세변화에 따른 도전성 플런저들 간의 부딪침을 방지하기 위해 이들 간의 피치에 제한이 있어, 소켓 조립체가 비대해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소켓 조립체들 중 제2 타입의 소켓 조립체가 등록실용 제427407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등록공보에 개시된 제2 타입의 소켓 조립체는 절연성과 탄성을 가진 실리콘부, 상기 실리콘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구멍에 삽입된 도전성의 쇠구슬부, 상기 쇠구슬부 상하단에 접속된 도전성 접촉단자들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상기 쇠구슬부는 상기 관통구멍에 복수개의 쇠구슬이 적층되어 있으며, 실리콘부의 탄성작용에 의한 실리콘부의 자세변경에 동조하여 상기 복수개의 쇠구슬도 자세변경되지만, 상기 복수개의 쇠구슬들 간에는 점 접촉상태를 유지하여 항상 도전성 접촉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접촉상태에 있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제2 타입의 소켓 조립체는 상기 복수개의 쇠구슬들 간의 수 많은 점 접촉점들에 의해 전기적 흐름을 일측 접촉단자에서 타측 접촉단자로 전달하기 때문에 전기적 흐름이 불안할 뿐만 아니라 쇠구슬이 움직일 때 주변의 실리콘 이 점접촉 지점에 묻어 전기적 흐름에 영향을 주고, 많은 점 접촉점들 간의 마찰로 인한 이물질이 발생하게 되고, 점 접촉점이 많아 저항이 증대되고, 실리콘부의 탄성 변형시 상기 쇠구슬부도 횡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하나의 반도체 칩에 복수개의 접촉단자가 존재하는 경우에 그 만큼 복수개의 접촉단자와 접촉하게될 쇠구슬부도 필요하게 되어 상기 쇠구슬부의 횡방향 자세변화에 따른 상기 쇠구슬부들 간의 부딪침을 방지하기 위해 이들 간의 피치에 제한이 있어, 소켓 조립체가 비대해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절연성과 탄성을 가진 실리콘부에 횡과 종으로 만곡되어 탄성이고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진 프로브부가 그 양단이 상하로 돌출되게 한 상태로 심어진 탄성판이 브래킷판에 부착시켜 소켓 조립체를 구성시킴으로써 상기 과제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소켓 조립체에 의해, 반도체 칩에 대한 전기적 시험을 반복 수행하여도 전기적 유로의 길이가 가변되지 않아 저항의 변화가 없으며, 프로브부의 양단인 일측 접촉단자와 타측 접촉단자 간의 거리를 1mm 이하로 구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프로브부 간의 피치를 종래보다 작게 구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켓 조립체가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에는 본 실시예의 소켓 조립체가 부호 10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소켓 조립체(100)는 브래킷판(10)의 중앙 관통구멍(11)의 테두리에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부착된 실리콘 고무 핫멜트, 테프론 등의 재질의 탄성판(2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탄성판(20)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렬로 배열된 일군의 복수 개의 프로브부(30)가 사출성형에 의해 심어져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프로브핀(30)은 탄성과 도전성을 가진 재질로 만들어져 있고, 그 양단이 상기 탄성판(20)의 윗면과 밑면에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일군의 복수 개의 프로브부(30)들은 서로에 대하여 모든 부위가 동일한 간격을 두고서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서 하나의 프로브부(30)의 중간돌출부(30a)가 바로 인접한 다른 하나의 프로브부(30)의 횡단면도의 영역에 침입하게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판(20)에 일렬로 배치된 하나의 일군의 복수 개의 프로브부(30)가 심어져 있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서로에 평행하게 복수 개의 일군의 복수 개의 프로브부들이 심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프로브부(30) 각각은 폭방향 종단면 형상에서 볼 때 역 C자 형상부(31), 상기 역 C자 형상부의 양단에 바로 인접하여 배치된 기립부(32), 상기 기립부(32) 각각에 바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기립부(32)의 횡폭보다 큰 횡폭을 가진 수평부(33, 34)를 일체로 포함하고 있다.
상기 2개의 수평부(33, 34)들중 상단에 배치된 수평부(33)에는 도시되지 않은 반도체 칩의 접촉 단자에 접촉하게 될 도전성 제1소켓부(41)가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고, 하단에 배치된 수평부(34)에는 도시되지 않은 검사용 회로기판의 접촉단자에 접촉하게 될 도전성 제2소켓부(42)가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프로브부(30) 각각은 두께방향 종단면 형상에서 볼 때 상기 역 C자 형상부(31)의 양단부(31a)와 수렴부(31b) 사이의 부분(31c)에서 상기 프로브부의 두께방향 일방향으로 상기 수렴부(31b)와 부분(31c) 사이의 부위가 20~35도 만곡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소켓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브래킷판(10)에 장착된 탄성판(20)은 상기 제1소켓부(41)가 반도체 칩의 접촉단자와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제2소켓부(41)이 검사용 회로기판의 접촉단자와 접촉될 때 그 접촉력으로 인하여 탄성변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프로브부(30)도 탄성변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프로브부(30)의 기립부(32)가 인접한 프로브부(30)의 수렴부(31b)에 간섭을 받지 않고 상하로 탄성적으로 위치변형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역 C자 형상부(31)의 양단부(31a)와 수렴부(31b) 사이의 부분(31c)에서 상기 프로브부의 두께방향 일방향으로 상기 수렴부(31b)와 부분(31c) 사이의 부위가 20~35도 정도 만곡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프로브부(30)들을 일렬로 배치할 때, 다른 종래의 프로브부들보다 서로에 좁은 간격을 두고서 상기 프로브부(30)가 배치될 수 있어서, 그만큼 본 실시예의 소켓 조립체가 종래의 소켓 조립체보다 소형화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탄성판(20)의 탄성적인 자세변화에 따른 상기 프로브부(30)의 탄성적인 자세변화시에도 전류가 흐르는 길이가 항상 일정하여 안정적으로 균일한 전류를 제2소켓부에서 제1소켓부로 공급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프로브부가 횡으로 만곡되어 있어서, 다른 타입의 종래 의 프로브부 보다도 작은 높이를 가지고 있어서, 탄성판을 박판으로 만들 수 있게 되어, 결국 소켓 조립체가 종래의 소켓 조립체보다도 얇게 만들어지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소켓 조립체에 대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소켓 조립체에 구비된 탄성판에 대한 확대 정단면도 및 역 C자 형상부의 확대 평면도.

Claims (4)

  1. 브래킷판(10)의 중앙 관통구멍(11)의 테두리에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부착된 탄성판(20)을 포함하고 있는 소켓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20)에는, 일렬로 배열된 탄성과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진 일군의 복수 개의 프로브부(30)가 상기 탄성판(20)의 윗면과 밑면에서 양단이 돌출되어 있는 상태로 사출성형에 의해 심어져 있고,
    상기 일군의 복수 개의 프로브부(30)들은 서로에 대하여 모든 부위가 동일한 간격을 두고서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서 하나의 프로브부(30)의 중간돌출부(30a)가 바로 인접한 다른 하나의 프로브부(30)의 횡단면도의 영역에 침입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 개의 프로브부(30) 각각은 폭방향 종단면 형상에서 볼 때 역 C자 형상부(31), 상기 역 C자 형상부의 양단에 바로 인접하여 배치된 기립부(32), 상기 기립부(32) 각각에 바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기립부(32)의 횡폭보다 큰 횡폭을 가진 수평부(33, 34)를 일체로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프로브부(30) 각각은 두께방향 종단면 형상에서 볼 때 상기 역 C자 형상부(31)의 양단부(31a)와 수렴부(31b) 사이의 부분(31c)에서 상기 프로브부의 두께방향 일방향으로 상기 수렴부(31b)와 부분(31c) 사이의 부위가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렴부(31b)와 부분(31c) 사이의 부위에 대한 만곡정도는 20~3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20)에 일렬로 배치된 상기 일군의 복수 개의 프로브부(30)가 복수의 군으로서 서로에 평행하게 상기 탄성판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조립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수평부(33, 34)들중 상단에 배치된 수평부(33)에는 반도체 칩의 접촉 단자에 접촉하게 될 도전성 제1소켓부(41)가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고, 하단에 배치된 수평부(34)에는 검사용 회로기판의 접촉단자에 접촉하게 될 도전성 제2소켓부(42)가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조립체.
KR1020080045121A 2008-05-15 2008-05-15 소켓 조립체 KR100953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121A KR100953792B1 (ko) 2008-05-15 2008-05-15 소켓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121A KR100953792B1 (ko) 2008-05-15 2008-05-15 소켓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219A KR20090119219A (ko) 2009-11-19
KR100953792B1 true KR100953792B1 (ko) 2010-04-21

Family

ID=41602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5121A KR100953792B1 (ko) 2008-05-15 2008-05-15 소켓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379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5426A (ja) 1996-10-11 1998-05-15 Minnesota Mining & Mfg Co <3M> Icソケット
KR20010015424A (ko) * 1999-07-26 2001-02-26 요코다 마코도 콘택트 핀, 콘택트 핀 조립체 및 전기 부품용 소켓
KR100791888B1 (ko) 2007-05-16 2008-01-07 리노공업주식회사 반도체 칩 검사용 소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5426A (ja) 1996-10-11 1998-05-15 Minnesota Mining & Mfg Co <3M> Icソケット
KR20010015424A (ko) * 1999-07-26 2001-02-26 요코다 마코도 콘택트 핀, 콘택트 핀 조립체 및 전기 부품용 소켓
KR100791888B1 (ko) 2007-05-16 2008-01-07 리노공업주식회사 반도체 칩 검사용 소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219A (ko) 200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1594B2 (en) Connector
US20070042615A1 (en) Land grid array socket
US10641793B2 (en) Contact pin and test base having contact pins
US7448877B1 (en) High density flexible socket interconnect system
KR101178972B1 (ko) 반도체 패키지에 사용되는 콘택트 어셈블리 및 소켓
TWI285009B (en) Conductive elastomeric contact system with anti-overstress columns
US20090250256A1 (en) Socket contact terminal and semiconductor device
US8251713B2 (en) Contact terminal having insulative cap
US10908182B2 (en) 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and contact
US6830461B2 (en) Electrical contact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using same
KR101826663B1 (ko)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양방향 도전성 소켓,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양방향 도전성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5661B1 (ko) 전기 부품용 소켓 및 그 제조 방법
US20150130490A1 (en) Probe apparatus for testing chips
US20090325402A1 (en) Burn-in socket with imporved contacts
KR101051032B1 (ko) 반도체 칩 검사용 소켓
US11162979B2 (en) Plate spring-type connecting pin
KR100953792B1 (ko) 소켓 조립체
JP2000195637A (ja) Csp素子が形成されたウェハ及びbga素子のテストソケット
KR101160846B1 (ko) 전도성 고무 연결핀 및 그 제조 방법
EP3364194B1 (en) Kelvin test probe, kelvin test probe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3829099B2 (ja) 電気的接続装置
JP2015010980A (ja) プローブ装置
KR20160124347A (ko) 고주파 디바이스 테스트용 양방향 도전성 소켓, 고주파 디바이스 테스트용 양방향 도전성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US10236607B2 (en) Contacting device
KR101904166B1 (ko) 가이드몰드의 내측에 경사 탄성전도판을 구비한 센서용 신호전달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