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3529B1 - 난연성 건축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난연성 건축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3529B1
KR100953529B1 KR1020090118051A KR20090118051A KR100953529B1 KR 100953529 B1 KR100953529 B1 KR 100953529B1 KR 1020090118051 A KR1020090118051 A KR 1020090118051A KR 20090118051 A KR20090118051 A KR 20090118051A KR 100953529 B1 KR100953529 B1 KR 100953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nonwoven fabric
layer
mold
seco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8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림임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림임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림임업
Priority to KR1020090118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35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1Producing wall or panel-like structures, e.g. for hulls, fuselages, or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18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di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88Adding charges, i.e.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03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005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 B29K2105/0026Flame proofing or flame retard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311/00Use of natural products or their composit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K2201/00 - B29K2309/00, as reinforcement
    • B29K2311/10Natural fibres, e.g. wool or co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503/00Use of resin-bonded materials as filler
    • B29K2503/04Inorganic materials
    • B29K2503/08Mineral aggregates, e.g. sand, clay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수제가 혼합된 난연액에 함침하여 부직포를 제조하고 발수제가 혼합된 난연액과 옥수수대분말을 혼합한 후 성형하여 옥수수대보드를 제작한 후 부직포와 옥수수대보드를 가압,성형하여 건축내장재를 제조하는 것으로, 화재시 유독가스에 의한 인명피해와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게 하고, 또한 건축내장재에 방수기능과 항균기능 그리고 단열기능과 흡음기능 등이 포함되도록 하여 건축내장재로서 우수한 기능을 갖도록 하며, 또한 건축내장재 일면에 황토층 또는 숯층 또는 황토와 숯을 혼합한 시트층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여 황토에 의한 원적외선 발생과 숯에 의한 유해물질 흡착으로 새집 증후군(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두드러기, 천식, 두통, 기관지염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외측에 한지를 도포하여 황토층과 숯 층 그리고 황토와 숯을 혼합한 시트층이 내장재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 한 난연성 건축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에 따른 본 발명은
난연성 부직포(100)를 성형하는 부직포 성형과정(S100)과;
옥수수대보드(300) 성형하는 옥수수대보드 성형과정(S300)과;
부직포와 옥수수대보드를 가압성형하여 건축내장재(500)를 성형하는 건축내장재성형과정(S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건축 내장재, 난연액, 부직포, 옥수수 보드, 발수제, 황토

Description

난연성 건축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Hardly combustible construction interior material and the manufactury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난연성 건축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수제가 혼합된 난연액에 함침하여 부직포를 제조하고 발수제가 혼합된 난연액과 옥수수대분말을 혼합한 후 성형하여 옥수수대보드를 제작한 후 부직포와 옥수수대보드를 가압,성형하여 건축내장재를 제조하는 것으로, 화재시 유독가스에 의한 인명피해와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게 하고, 또한 건축내장재에 방수기능과 항균기능 그리고 단열기능과 흡음기능 등이 포함되도록 하여 건축내장재로서 우수한 기능을 갖도록 하며, 또한 건축내장재 일면에 황토층 또는 숯층 또는 황토와 숯을 혼합한 시트층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여 황토에 의한 원적외선 발생과 숯에 의한 유해물질 흡착으로 새집 증후군(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두드러기, 천식, 두통, 기관지염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외측에 한지를 도포하여 황토층과 숯 층 그리고 황토와 숯을 혼합한 시트층이 내장재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 한 난연성 건축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내장재는 가연성 플라스틱이나 목재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화재시에 각종 유독가스를 발생시키는 동시에 화재를 확산시켜 많은 인명과 재산피해를 발생시켰고, 또한 건축 내장재를 새로운 자원으로 사용하게 됨에 따라 실내 인테리어 비용이 상승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리고 낮은 가격으로 판매되는 일반 건축 내장재의 경우 포르말린(formalin), 톨루엔(toluene), 휘발성유기물질(volatile organic compound) 등을 포함하고 있어서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을 다량으로 발산시키는데, 이로 인해 건물 입주자의 경우 소위 새집 증후군(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두드러기, 천식, 두통, 기관지염 등)을 보통 겪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화재시 많은 인명과 재산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새집 증후군 발생요인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한 기능성 보드를 개발하고 있는데, 특히 보드에 난연성 기능을 기본적으로 갖게 하면서 방수기능, 항균기능, 단열기능, 흡음기능 등이 모두 포함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을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253182호(내열성 고강도 재생 섬유합판과 그 제조법)에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0℃에서 500℃의 온도로 1차 열처리하고, 이후로 폐섬유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섬유가 충분히 융해될 수 있도록 원적외선 가열기를 이용하여 280℃에서 380℃의 온도로 2분에서 20분 동안 가열하며, 이후로 상기 폐섬유의 부분적인 열분해와 내열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300℃에서 400℃의 온도로 가열하는 동시에 폐섬유가 치밀한 구조를 가지기에 충분하도록 10Kg/cm2에서 30Kg/cm2 사이의 압력으로 2분에서 20분 동안 압착하여 제조한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단순히 폐섬유를 가열하면서 압착하여 하나의 재생 섬유합판을 제조하게 되는데, 이러한 재생 섬유 합판은 난연액에 함침하는 공정이 생략되어 있기 때문에 화재시 유독가스를 발생시켜 인명피해를 증가시키면서 화재를 확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문제점으로는 재생 섬유합판에 별다른 기능이 부가되지 않은 폴리계열 섬유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재생 섬유합판이 건축물 실내에 설치될 때 새집 증후군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고, 또한 방수 및 항균성에 대해 취약한 결점을 지닌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폐섬유를 수거하는 데에 있어서 최근에는 한계점에 도달한 관계로, 재료 공급의 어려움으로 제품생산에 곤란함이 따르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은 발수제가 혼합된 난연액에 함침과정을 통하여 제작함으로써 화재의 확산 방지와 함께 유독가스에 의한 인명피해를 방지하는 난연성 건축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일면에 황토층 또는 숯층 또는 황토와 숯이 혼합된 시트층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므로서, 황토에 의한 원적외선 발생과 숯에 의한 유해물질 흡착으로 새집 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는 난연성 건축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흡음기능과 단열기능, 방수기능, 항균기능 등이 포함되도록 함으로서 우수한 건축내장재로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외측에 한지를 도포하여 황토층 또는 숯층 또는 황토와 숯을 혼합한 시트층이 내장재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황토와 숯이 그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난연성 건축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 예에 의하여 구현된다.
본 발명 난연성 건축내장재 제조방법의 제1실시예는
난연성 부직포(100)를 성형하는 부직포 성형과정(S100)과;
옥수수대보드(300)를 성형하는 옥수수대보드 성형과정(S300)과;
부직포와 옥수수대보드를 가압성형하여 건축내장재(500)를 성형하는 건축내장재성형과정(S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난연성 건축내장재 제조방법의
상기 부직포 성형과정(S100)은;
원사로 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섬유와 마섬유를 길이는 1mm∼300mm 범위로 하고 직경은 5㎛ ∼100㎛범위로 하여 1 ~ 500g:500g~1kg의 비율로 혼합한 후 황토나 숯 또는 황토와 숯을 혼합한 것을 1kg 대 100~200g 혼합한 후 금형(210)에 충진,가압하여 부직포층(110)을 성형하는 단계와;
인산 나트륨 70g과 인산 암모늄을 30g을 혼합하여서 된 혼합물 100g을 물 1900~2100g에 용해하여 용해액을 얻은 후 상기 용해액에 한국 산업규격 KS M1415(액상 규산소다) 1종 용액을 1kg를 혼합하여 난연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난연액에 발수제를 난연액 1kg 대 발수제 20~25g로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용액에 함침과정을 통하여 난연성 부직포(100)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난연성 건축내장재 제조방법의
상기 함침과정은
탱크(230)에 상기 발수제가 혼합된 난연액(난연액에 발수제를 난연액 1kg 대 발수제 20~25g로 혼합)을 충진한 후 온도 10~20℃에서 탱크 내측에 구비된 롤러(250)로 가압력을 0.3~0.5kgf/cm2 로 하여 30~40초간 가압하여 부직포층(110)에 난연액층(130)을 형성하는 단계와;
건조기(270)로 80℃-120℃로 40분-60분 동안 건조시켜 난연성 부직포(100)를 제작하는 단계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난연성 건축내장재 제조방법의
상기 옥수수대보드 성형과정(S300)은
옥수수대를 10mm로 절단, 분쇄하는 단계와;
옥수수대분말 1kg을 발수제가 혼합된 난연액(난연액 1kg 대 발수제 20~25g으로 혼합) 1~1.2kg에 혼합하는 단계와;
금형(410)에 상기 혼합물을 충진한 후 온도 170~190℃에서 압력을 3.0kgf/cm2 로 하여 30~40초간 가압프레스(430)로 압착하여 옥수수대보드(300)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난연성 건축내장재 제조방법의
상기 건축내장재 성형과정(S500)은
난연액에 함침하여 제작함으로써 접착력을 갖는 난연성 부직포(100)를 금형(610) 내부에 넣은 다음 그 상부에 옥수수대보드(300)를 올려놓고 다시 난연성 부직포(100)를 올려놓은 다음 열프레스기(620)를 작동시켜 10kgf/cm2 ∼30kgf/cm2 의 압력으로 가압하고, 동시에 열프레스기(620)에 설치된 히터(630)를 온 시켜 170℃∼190℃의 고열을 유지시키면서 50∼70초 동안 열을 가하여 옥수수대보드(300)에 난연성 부직포(100)가 융해되도록 하여 판재(510)를 만드는 제1열프레스 성형단계와;
금형(610) 내부에 판재(510)를 넣은 다음 열프레스기(620)를 작동시켜 10kgf/cm2 ∼30kgf/cm2 의 압력으로 가압하고, 동시에 열프레스기(620)에 설치된 히터(630)를 온 시켜 170℃∼190℃의 고열을 유지시키면서 60∼80초 동안 열을 가하여, 잔여 된 난연성 부직포(100)와 난연액을 상기 옥수수대보드(300)에 융해시켜 더욱 치밀한 구조의 판재(510)가 되도록 하는 제2열프레스 성형단계와;
판재(510)를 금형(610) 내부에 넣은 다음, 냉각프레스기(640)로 8.0Kgf/cm2 ∼30Kgf/cm2 의 압력을 가하는 동시에, 냉각파이프를 통해 5.0℃∼10.0℃로 40∼70초 동안 급속 냉각시켜 판재(510)를 완성하는 냉각프레스성형단계와;
상기와 같이 제조된 판재(510) 일면에 황토층(530)을 2mm~3mm로 형성하거나, 일면에 숯층(550)을 2mm~3mm로 형성하거나, 또는 판재(510) 일면에 황토와 숯을 혼합한 시트층(570)을 2mm~3mm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황토층(530) 이나 숯층(550) 또는 시트층(570) 위에 한지(590)를 부착하여 건축내장재(500)의 성형을 마무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난연성 건축내장재는
원사로 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섬유와 마섬유를 길이는 1mm∼300mm 범위로 하고 직경은 5㎛ ∼100㎛범위로 하여 1 ~ 500g:500g~1kg의 비율로 혼합한 후 황토 또는 숯 또는 황토와 숯을 혼합한 것을 1kg 대 100~200g을 혼합한 후 금형(210)에 충진,가압하여 부직포층(110)을 성형하는 단계와; 인산 나트륨 70g과 인산 암모늄을 30g을 혼합하여서 된 혼합물 100g을 물 1900~2100g에 용해하여 용해액을 얻은 후 상기 용해액에 한국 산업규격 KS M1415(액상 규산소다) 1종 용액을 1kg를 혼합하여 난연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난연액에 발수제를 난연액 1kg 대 발수제 20~25g으로 혼합하는 단계와; 탱크(230)에 상기 발수제가 혼합된 난연액을 충진한 후 온도 10~20℃에서 탱크내측에 구비된 롤러(250)로 가압력을 0.3~0.5kgf/cm2 로 하여 30~40초간 가압하여 부직포층(110)에 난연액층(130)을 형성하는 단계와; 건조기(270)로 80℃-120℃로 40분-60분 동안 건조시켜 난연성 부직포(100)를 제작하는 단계로 포함하는 부직포 성형과정(S100)과;
옥수수대를 10mm로 절단, 분쇄하는 단계와; 옥수수대분말 1kg을 난연액 1~1.2kg에 혼합하는 단계와; 금형(410)에 상기 혼합물을 충진한 후 온도 170~190℃에서 압력을 3.0kgf/cm2 로 하여 30~40초간 가압프레스(430)로 압착하여 옥수수대보 드(300)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옥수수대보드 성형과정(S300)과;
난연성 부직포(100)를 금형(610) 내부에 넣은 다음 그 상부에 옥수수대보드(300)를 올려놓고 다시 난연성 부직포(100)를 올려놓은 다음 열프레스기(620)를 작동시켜 10kgf/cm2 ∼30kgf/cm2 의 압력으로 가압하고, 동시에 열프레스기(620)에 설치된 히터(630)를 온 시켜 170℃∼190℃의 고열을 유지시키면서 50∼70초 동안 열을 가하여 옥수수대보드(300)에 난연성 부직포(100)가 융해되도록 하여 판재(510)를 만드는 제1열프레스 성형단계와; 금형(610) 내부에 판재(510)를 넣은 다음 열프레스기(620)를 작동시켜 10kgf/cm2 ∼30kgf/cm2 의 압력으로 가압하고, 동시에 열프레스기(620)에 설치된 히터(630)를 온 시켜 170℃∼190℃의 고열을 유지시키면서 60∼80초 동안 열을 가하여, 잔여 된 난연성 부직포(100)를 상기 옥수수대보드(300)에 융해시켜 더욱 치밀한 구조의 판재(510)가 되도록 하는 제2열프레스 성형단계와; 판재(510)를 금형(610) 내부에 넣은 다음, 냉각프레스기(640)로 8.0Kgf/cm2 ∼30Kgf/cm2 의 압력을 가하는 동시에, 냉각파이프를 통해 5.0℃∼10.0℃로 40∼70초 동안 급속 냉각시켜 판재(510)를 완성하는 냉각프레스성형단계와; 상기와 같이 제조된 판재(510) 일면에 황토층(530)을 2mm~3mm로 형성하거나, 일면에 숯층(550)을 2mm~3mm로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와 달리 판재(510) 일면에 황토와 숯을 혼합한 시트층(570)을 2mm~3mm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황토층(530)과 숯층(550) 그리고 시트층(570) 위에 한지(590)를 부착하여 건축내장재(500)의 성형을 마무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내장재 성형과정(S500)을 통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난연성 건축내장재 제조방법의 제2실시예는
원사로 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섬유와 마섬유를 길이는 1mm∼300mm 범위로 하고 직경은 5㎛ ∼100㎛범위로 하여 1 ~ 500g:500g~1kg의 비율로 혼합한 후 금형(210)에 충진하여 부직포층(110)을 성형하는 단계와;
인산 나트륨 65~75g와 인산 암모늄을 25~35g을 혼합하여서 된 혼합물 100g을 물1900g~2100g에 용해하여 용해액을 얻은 후 상기 용해액에 한국 산업규격 KS M1415(액상 규산소다) 1종 용액을 900g~1100g를 혼합하여 난연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난연액에 발수제를 난연액 1kg 대 발수제 20~25g으로 혼합하는 단계와;
탱크(230)에 상기 발수제가 혼합된 난연액을 충진한 후 온도 10~20℃에서 탱크내측에 구비된 롤러(250)로 가압력을 0.3~0.5kgf/cm2 로 하여 30~40초간 가압하여 부직포층(110)에 난연액층(130)을 형성하는 단계와;
건조기(270)로 80℃-120℃로 40분-60분 동안 건조시켜 난연성 부직포(100)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난연성 부직포(100)를 금형(610) 내부에 넣은 다음 열프레스기(620)를 작동시켜 6kgf/cm2 ∼20kgf/cm2 의 압력으로 가압하고, 동시에 열프레스기(620)에 설치된 히터(630)를 온 시켜 190~210℃의 고열을 유지시키면서 50∼70초 동안 열을 가하여, 부직포판재(180)를 만드는 제1열프레스 성형단계와;
금형(610) 내부에 상기 부직포판재(180)를 넣은 다음 열프레스기(620)를 작동시켜 20kgf/cm2 ∼30kgf/cm2 의 압력으로 가압하고, 동시에 열프레스기(620)에 설치된 히터(630)를 온 시켜 190℃∼210℃의 고열을 유지시키면서 50∼70초 동안 열을 가하여, 압축되면서 더욱 치밀한 구조의 부직포판재(180)를 만드는 제2열프레스 단계와;
부직포판재(180)를 금형(610) 내부에 넣은 다음, 냉각프레스기(640)로 20Kgf/cm2 ∼30Kgf/cm2 의 압력을 가하는 동시에, 냉각파이프를 통해 10℃∼10.0℃로 50∼70초 동안 급속 냉각시켜 난연성 부직포(100)를 섬유합판으로 제조하여 단독으로 건축내장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원사로 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섬유와 마섬유를 길이는 1mm∼300mm 범위로 하고 직경은 5㎛ ∼100㎛범위로 하여 1 ~ 500g:500g~1kg의 비율로 혼합한 후 황토나 숯 또는 황토와 숯을 혼합한 것을 1kg 대 100~200g을 혼합한 후 금형(210)에 충진하여 부직포층(110)을 성형하는 단계와
인산 나트륨 65~75g와 인산 암모늄을 25~35g을 혼합하여서 된 혼합물 100g을 물1900g~2100g에 용해하여 용해액을 얻은 후 상기 용해액에 한국 산업규격 KS M1415(액상 규산소다) 1종 용액을 900g~1100g를 혼합하여 난연액을 제조하는 단계 와;
난연액에 발수제를 난연액 1kg 대 발수제 20~25g으로 혼합하는 단계와;
탱크(230)에 상기 발수제가 혼합된 난연액을 충진한 후 온도 10~20℃에서 탱크내측에 구비된 롤러(250)로 가압력을 0.3~0.5kgf/cm2 로 하여 30~40초간 가압하여 부직포층(110)에 난연액층(130)을 형성하는 단계와;
건조기(270)로 80℃-120℃로 40분-60분 동안 건조시켜 난연성 부직포(100)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난연성 부직포(100)를 금형(610) 내부에 넣은 다음 열프레스기(620)를 작동시켜 6kgf/cm2 ∼20kgf/cm2 의 압력으로 가압하고, 동시에 열프레스기(620)에 설치된 히터(630)를 온 시켜 190~210℃의 고열을 유지시키면서 50∼70초 동안 열을 가하여, 부직포판재(180)를 만드는 제1열프레스 성형단계와;
금형(610) 내부에 상기 부직포판재(180)를 넣은 다음 열프레스기(620)를 작동시켜 20kgf/cm2 ∼30kgf/cm2 의 압력으로 가압하고, 동시에 열프레스기(620)에 설치된 히터(630)를 온 시켜 190℃∼210℃의 고열을 유지시키면서 50∼70초 동안 열을 가하여, 압축되면서 더욱 치밀한 구조의 부직포판재(180)를 만드는 제2열프레스 단계와;
상기 부직포판재(180)를 금형(610) 내부에 넣은 다음, 냉각프레스기(640)로 20Kgf/cm2 ∼30Kgf/cm2 의 압력을 가하는 동시에, 냉각파이프를 통해 10℃∼10.0℃로 50∼70초 동안 급속 냉각시켜 난연성 부직포(100)를 섬유합판으로 제조하여 단 독으로 건축내장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 난연성 건축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은 발수제가 혼합된 난연액에 부직포를 함침하여 제조하므로, 화재시 유독가스에 의한 인명피해와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방수기능과 항균기능을 발휘하게 되며, 또한 단열기능과 흡음기능을 함께 수행하게 되므로 건축내장재로서 우수한 기능을 발휘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면에 황토층 또는 숯층 또는 황토와 숯을 혼합한 시트층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어 있어서, 황토로부터는 원적외선이 발생하게 되고, 숯에 의해서는 흡착이 일어나므로, 새로운 건물에서 흔히 일어날 수 있는 새집 증후군을 예방하고, 쾌적한 환경을 갖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외측에 한지를 도포하여 황토층 또는 숯층 또는 황토와 숯을 혼합한 시트층이 내장재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황토 또는 숯이 그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출원인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앞서 본 실시 예들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내장재의 제작과정을 나타낸 과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내장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크게 난연성 부직포(100)를 성형하는 부직포 성형과정(S100)과, 옥수수대보드(300) 성형하는 옥수수대보드 성형과정(S300)과 부직포와 옥수수대보드를 가압성형하여 건축내장재(500)를 성형하는 건축내장재성형과정(S500)으로 이루어진다.
부직포 성형과정(S100)은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원사로 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섬유와 마섬유(이외의 모든 섬유도 가능함)를 1 ~ 500g:500g~1kg의 비율로 혼합하여 부직포층(110)을 만드는데 섬유의 길이는 1mm∼300mm 범위로 하고 직경은 5㎛ ∼100㎛범위로 하며, 상기 섬유에 대해서 혼합과정을 실행한다.
이때 혼합과정에 황토 또는 숯 또는 황토와 숯을 같이 혼합하는데 그 이유는 기존에는 건축내장재의 성형과정에서 황토 또는 숯을 도포하였는데 상기의 경우 황토 또는 숯이 표면에 고르기 분포되지못하여 효능을 얻지못하고 있기 때문에 미리 혼합하여 섬유층에 황토 또는 숯을 고르게 침투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에 따라 본 발명은 황토에 의한 원적외선 발생과 숯에 의한 유해물질 흡착으로 새집 증후군(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두드러기, 천식, 두통, 기관지염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섬유와 마섬유 또는 혼합하였을 때를 1kg으로 하였을 때 황토 또는 숯 또는 황토와 숯을 혼합한 것을 100~200g 혼합하게 된다.
이후 혼합된 섬유를 일정한 금형(210)에 충진한 후 압착하여 부직포층(110)을 성형한다.
상기 부직포층(110) 성형과정은 일반적인 성형과정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함침과정을 실시하여 부직포층(110)에 난연액층(130)을 형성하는데, 함침과정을 할 때 사용되는 난연액은 인산 나트륨 65 ~75g과 인산 암모늄을 25~35g을 혼합하여서 된 혼합물 100g을 물 1900~2100g에 용해하여 용해액을 얻은 후 상기 용해액에 한국 산업규격 KS M1415(액상 규산소다) 1종 용액을 900~1100g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난연액에 발수제를 첨가하여 사용하는데, 상기와 같이 함침되어 제조된 난연성 부직포(100)는 난연성 이외에 방수기능과 항균기능 그리고 섬유가 갖는 특성으로 인한 단열기능과 흡음기능 등을 함께 갖게 된다.
난연액과 발수제의 혼합비는 난연액 1kg에 발수제를 20~25g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함침과정은 탱크(230)에 상기 발수제가 혼합된 난연액(난연액과 발수제의 혼합비는 난연액 1kg에 발수제를 20~25g를 혼합)을 충진한 후 온도 10~20℃에서 탱크내측에 구비된 롤러(250)로 가압력을 0.3~0.5kgf/cm2 로 하여 30~40초간 가압하여 함침한다.
상기 부직포층(110)에 대해 롤러(250)를 사용하여 압착하는 단계는 모두 7단계로 즉, 7개의 롤러(250)를 통과하면서 상기 부직포층(100) 표면에 묻어 있는 난연액은 롤러(250)에 의해 부직포층(110) 내부로 골고루 스며들고, 부칙포층(110) 외측도 도포하게 된다.
기존에는 1개의 롤러를 이용하여 함침하였는데, 이때 부직포층(110)에 난연액이 고르게 침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다단계로 함침과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함침 및 압착처리하는 단계 이후로, 상기 난연성 부직포(100)에 대해 건조기(270)로 80℃-120℃로 40분-60분 동안 건조시키는 단계를 실시하여 난연성 부직포(100)의 성형과정을 마무리한다.
이때 상기 난연성 부직포(100)를 금형(610) 내부에 넣은 다음 열프레스기(620)를 작동시켜 6kgf/cm2 ∼20kgf/cm2 의 압력으로 가압하고, 동시에 열프레스기(620)에 설치된 히터(630)를 온 시켜 190~210℃의 고열을 유지시키면서 50∼70초 동안 열을 가하여, 부직포판재(180)가 만들어지게 된다.
이후 다시 제2열프레스 성형과정을 수행한다.
제2열프레스 성형과정은 금형(610) 내부에 부직포판재(180)를 넣은 다음 열프레스기(620)를 작동시켜 20kgf/cm2 ∼30kgf/cm2 의 압력으로 가압하고, 동시에 열 프레스기(620)에 설치된 히터(630)를 온 시켜 190℃∼210℃의 고열을 유지시키면서 50∼70초 동안 열을 가하여, 압축되면서 더욱 치밀한 구조의 부직포판재(180)가 된다.
상기 성형단계 이후로, 상기 부직포판재(180)를 금형(610) 내부에 넣고 냉각프레스기(640)로 가압하는 동시에 냉각파이프를 통하여 급속 냉각시키는 단계를 실시한다.
상기와 같이 냉각시키는 단계에서 부직포판재(180)를 금형(610) 내부에 넣은 다음, 냉각프레스기(640)로 20Kgf/cm2 ∼30Kgf/cm2 의 압력을 가하는 동시에, 냉각파이프를 통해 10℃∼10.0℃로 50∼70초 동안 급속 냉각시켜 부직포판재(180)를 완성하여 섬유합판으로 제조하여 단독으로 건축내장재로 사용할 수도 있다.
옥수수대보드(300) 성형과정은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옥수수대를 5~15mm로 절단, 분쇄한다.
이후 상기 부직포 성형과정에 사용된 난연액에 옥수수대분말을 혼합한다.
이때 난연액과 옥수수대분말의 혼합비율은 옥수수대분말 1kg에 발수제가 혼합된 난연액을 1~1.2kg를 혼합한다.
이후 금형(410)에 상기 혼합물을 충진한 후 온도 170~190℃에서 압력을 2~4.0kgf/cm2 로 하여 30~40초간 가압프레스(430)로 압착하여 옥수수대보드(300)를 성형하는데, 이때 난연액이 일부 증발하면서 연질상태에서 판형상의 옥수수대보 드(300)로 성형된다.
그리고,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난연성 부직포(100)과 옥수수대보드(300)를 가압하여 건축내장재(500)를 성형하는데, 그 과장은 우선 제1열프레스성형을 실행한다.
제1열프레스 성형과정은
난연성 부직포(100)를 금형(610) 내부에 넣은 다음 그 상부에 옥수수대보드(300)를 올려놓고 다시 난연성 부직포(100)를 올려놓고 다음 열프레스기(620)를 작동시켜 10kgf/cm2 ∼30kgf/cm2 의 압력으로 가압하고, 동시에 열프레스기(620)에 설치된 히터(630)를 온 시켜 170℃∼190℃의 고열을 유지시키면서 50∼70초 동안 열을 가하여, 상기 옥수수대보드(300)에 난연성 부직포(100)가 융해되면서 치밀한 구조의 즉, 부직포층(513), 옥수수대보드층(511),부직포층(513)으로 된 판재(510)가 만들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판재(510) 두께는 3-30mm 정도가 적당하다.
이후 다시 제2열프레스 성형과정을 수행한다.
제2열프레스 성형과정은 금형(610) 내부에 판재(510)를 넣은 다음 열프레스기(620)를 작동시켜 10kgf/cm2 ∼30kgf/cm2 의 압력으로 가압하고, 동시에 열프레스기(620)에 설치된 히터(630)를 온 시켜 170℃∼190℃의 고열을 유지시키면서 60∼80초 동안 열을 가하여, 잔여 된 상기 옥수수대보드(300)에 난연성 부직포(100)가 융해되면서 더욱 치밀한 구조의 판재(510)가 된다.
상기 성형단계 이후로, 상기 판재(510)를 금형(610) 내부에 넣고 냉각프레스기(640)로 가압하는 동시에 냉각파이프를 통하여 급속 냉각시키는 단계를 실시한다.
상기와 같이 냉각시키는 단계에서 판재(510)를 금형(610) 내부에 넣은 다음, 냉각프레스기(640)로 8.0Kgf/cm2 ∼30Kgf/cm2 의 압력을 가하는 동시에, 냉각파이프를 통해 5.0℃∼10.0℃로 40∼70초 동안 급속 냉각시켜 판재(510)를 완성하게 된다.
상기 제1,2열프레스 성형과정과 냉각프레스성형과정은 컨베이어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개별공정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완성된 판재(510)는 가열되면서 압착되어 만들어지는 관계로, 내부와 외부간의 조직이 치밀해지면서 보다 큰 강도를 지니게 되는데, 이로 인해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지니면서 섬유가 갖는 특성인 흡음기능과, 단열기능을 가지게 되고, 또한 난연액에 함침될 때 난연기능, 방수기능, 항균기능 등을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조된 판재(510)는 일면에 황토층(530)을 2mm~3mm로 형성하거나, 또는 일면에 숯층(550)을 2mm~3mm로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와 달리 판재(510) 일면에 황토와 숯을 혼합한 시트층(570)을 2mm~3mm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판재(510) 상에 형성되는 황토층(530)은 원적외선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원적외선은 살균 및 화학작용을 하게 되어 실내에 머물러 있는 포 르말린, 톨루엔, 휘발성유기물질 등을 흡착 내지 중화시키게 되고, 동시에 오염된 실내공기를 정화하면서 탈취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실내에서 활동하는 사람은 상기와 같이 발생된 원적외선에 의해 신진대사가 촉진되면서 새집 증후군이 예방된다.
또는 상기 판재(510)상에 형성되는 숯층(550)은 흡습성이 뛰어나 실내의 습도를 조절해 주게 되고, 또한 실내공기에 포함된 악취 및 포르말린, 톨루엔, 휘발성유기물질(Voc) 등을 흡착하여 제거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실내에서 활동하는 사람은 새집증후군이 예방된다.
또는 판재(510)상에 황토와 숯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시트층(570)을 형성하는데, 이러한 시트층(570)은 황토와 숯의 특성을 동시에 나타내게 된다.
난연성 부직포(100)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황토 또는 숯을 혼합한 후 판재(510)에 다시 황토층 또는 숯층 또는 시트층을 구비하는 이유는 황토 또는 숯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증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황토층(530) 또는 숯층(550) 또는 시트층(570) 위에 한지(590)를 부착하여 건축내장재(500)의 성형을 마무리한다.
한지(590)를 부착하는 이유는 건축내장재(500)를 이루는 황토층(530) 또는 숯층(550) 또는 시트층(570)이 판재(51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황토층(530) 또는 숯층(550) 또는 시트층(570)의 원적외선 발생과 유해물질 흡착율을 증대시키고 화재시 유독가스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기존에는 외측에 인테리어필름(interior film)을 부착하였는데 상기 필 름은 황토층(530) 또는 숯층(550) 또는 시트층(570)에서 발생하는 원적외선의 확산을 방해하고 화재지 유독가스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필름을 사용하지 않고 한지(590)를 부착하는 것이다.
한지(590)에는 수많은 타공이 형성되어 타공을 통하여 황토에서 발생하는 원적외선을 발산하고 유해물질은 숯이 타공을 통하여 흡수함으로써 기존 필름을 사용하였을 때보다 기능 수행효율이 월등하게 작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완성된 건축내장재(500)는 건축물의 실내 벽면 내지는 바닥면, 사무실 인테리어 칸막이용으로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축내장재(500)는 실내에 설치되어 사용될 경우에 방수 및 항균기능, 흡음기능, 단열기능 등을 발휘하면서 새집 증후군을 예방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내장재의 제작과정을 나타낸 과정도,
a는 부직포 성형과정 b는 옥수수대보드 성형과정
c는 부직포와 옥수수대보드를 가압하여 건축내장재를 성형하는 과정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내장재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부직포 300 :옥수수대보드
500 : 건축내장재

Claims (8)

  1. 난연성 부직포(100)를 성형하는 부직포 성형과정(S100)과;
    옥수수대보드(300) 성형하는 옥수수대보드 성형과정(S300)과;
    부직포와 옥수수대보드를 가압성형하여 건축내장재(500)를 성형하는 건축내장재성형과정(S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건축내장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성형과정(S100)은;
    원사로 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섬유와 마섬유를 길이는 1mm∼300mm 범위로 하고 직경은 5㎛ ∼100㎛범위로 하여 1 ~ 500g:500g~1kg의 비율로 혼합한 후 황토나 숯 또는 황토와 숯을 혼합한 것을 1kg 대 100~200g 혼합한 후 금형(210)에 충진,가압하여 부직포층(110)을 성형하는 단계와;
    인산 나트륨 65~75g와 인산 암모늄을 25~35g을 혼합하여서 된 혼합물 100g에 물을 1900g~2100g을 용해하여 용해액을 얻은 후 상기 용해액에 한국 산업규격 KS M1415(액상 규산소다) 1종 용액을 900g~1100g를 혼합하여 난연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난연액에 발수제를 난연액 1kg 대 발수제 20~25g으로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발수제가 혼합된 난연액에 함침하는 함침과정을 통하여 난연성 부직포(100)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건축내장재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과정은
    탱크(230)에 상기 발수제가 혼합된 난연액을 충진한 후 온도 10~20℃에서 탱크내측에 구비된 롤러(250)로 가압력을 0.3~0.5kgf/cm2 로 하여 30~40초간 가압하여 부직포층(110)에 난연액층(130)을 형성하는 단계와;
    건조기(270)로 80℃-120℃로 40분-60분 동안 건조시켜 난연성 부직포(100)를 제작하는 단계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건축내장재 제조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내장재 성형과정(S500)은
    발수제가 혼합된 난연액에 함침하여 제작함으로써 접착력을 갖는 난연성 부직포(100)를 금형(610) 내부에 넣은 다음 그 상부에 옥수수대보드(300)를 올려놓고 다시 난연성 부직포(100)를 올려놓고 다음 열프레스기(620)를 작동시켜 10kgf/cm2 ∼30kgf/cm2 의 압력으로 가압하고, 동시에 열프레스기(620)에 설치된 히터(630)를 온 시켜 170℃∼190℃의 고열을 유지시키면서 50∼70초 동안 열을 가하여 옥수수대보드(300)에 난연성 부직포(100)가 융해되도록 하여 판재(510)를 만드는 제1열프레스 성형단계와;
    금형(610) 내부에 판재(510)를 넣은 다음 열프레스기(620)를 작동시켜 10kgf/cm2 ∼30kgf/cm2 의 압력으로 가압하고, 동시에 열프레스기(620)에 설치된 히터(630)를 온 시켜 170℃∼190℃의 고열을 유지시키면서 60∼80초 동안 열을 가하여, 잔여 된 난연성 부직포(100)를 상기 옥수수대보드(300)에 융해시켜 더욱 치밀한 구조의 판재(510)가 되도록 하는 제2열프레스 성형단계와;
    판재(510)를 금형(610) 내부에 넣은 다음, 냉각프레스기(640)로 8.0Kgf/cm2 ∼30Kgf/cm2 의 압력을 가하는 동시에, 냉각파이프를 통해 5.0℃∼10.0℃로 40∼70 초 동안 급속 냉각시켜 판재(510)를 완성하는 냉각프레스성형단계와;
    상기와 같이 제조된 판재(510) 일면에 황토층(530)을 2mm~3mm로 형성하거나, 또는 일면에 숯층(550)을 2mm~3mm로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와 달리 판재(510) 일면에 황토와 숯을 혼합한 시트층(570)을 2mm~3mm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황토층(530) 또는 숯층(550) 또는 시트층(570) 위에 한지(590)를 부착하여 건축내장재(500)의 성형을 마무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건축내장재 제조방법.
  6. 원사로 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섬유와 마섬유를 길이는 1mm∼300mm 범위로 하고 직경은 5㎛ ∼100㎛범위로 하여 1 ~ 500g:500g~1kg의 비율로 혼합한 후 황토나 숯 또는 황토와 숯을 혼합한 것을 1kg 대 100~200g을 혼합한 후 금형(210)에 충진,가압하여 부직포층(110)을 성형하는 단계와; 인산 나트륨 70g과 인산 암모늄을 30g을 혼합하여서 된 혼합물 100g을 물 1900~2100g에 용해하여 용해액을 얻은 후 상기 용해액에 한국 산업규격 KS M1415(액상 규산소다) 1종 용액을 1kg를 혼합하여 난연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난연액에 발수제를 난연액 1kg 대 발수제 20~25g으로 혼합하는 단계와; 탱크(230)에 상기 발수제가 혼합된 난연액을 충진한 후 온도 10~20℃에서 탱크 내측에 구비된 롤러(250)로 가압력을 0.3~0.5kgf/cm2 로 하여 30~40초간 가압하여 부직포층(110)에 난연액층(130)을 형성하는 단계와; 건조기(270)로 80℃-120℃로 40분-60분 동안 건조시켜 난연성 부직포(100)를 제작하는 단계로 포함하는 부직포 성형과정(S100)과;
    옥수수대를 10mm로 절단, 분쇄하는 단계와; 옥수수대분말 1kg을 난연액 1~1.2kg에 혼합하는 단계와; 금형(410)에 상기 혼합물을 충진한 후 온도 170~190℃에서 압력을 3.0kgf/cm2 로 하여 30~40초간 가압프레스(430)로 압착하여 옥수수대보드(300)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옥수수대보드 성형과정(S300)과;
    난연성 부직포(100)를 금형(610) 내부에 넣은 다음 그 상부에 옥수수대보드(300)를 올려놓고 다시 난연성 부직포(100)를 올려놓은 다음 열프레스기(620)를 작동시켜 10kgf/cm2 ∼30kgf/cm2 의 압력으로 가압하고, 동시에 열프레스기(620)에 설치된 히터(630)를 온 시켜 170℃∼190℃의 고열을 유지시키면서 50∼70초 동안 열을 가하여 옥수수대보드(300)에 난연성 부직포(100)가 융해되도록 하여 판재(510)를 만드는 제1열프레스 성형단계와; 금형(610) 내부에 판재(510)를 넣은 다음 열프레스기(620)를 작동시켜 10kgf/cm2 ∼30kgf/cm2 의 압력으로 가압하고, 동시에 열프레스기(620)에 설치된 히터(630)를 온 시켜 170℃∼190℃의 고열을 유지시키면서 60∼80초 동안 열을 가하여, 잔여 된 난연성 부직포(100)를 상기 옥수수대보드(300)에 융해시켜 더욱 치밀한 구조의 판재(510)가 되도록 하는 제2열프레스 성형단계와; 판재(510)를 금형(610) 내부에 넣은 다음, 냉각프레스기(640)로 8.0Kgf/cm2 ∼30Kgf/cm2 의 압력을 가하는 동시에, 냉각파이프를 통해 5.0℃∼10.0℃로 40∼70초 동안 급속 냉각시켜 판재(510)를 완성하는 냉각프레스성형단계와; 상기와 같이 제조된 판재(510) 일면에 황토층(530)을 2mm~3mm로 형성하거나, 일면에 숯층(550)을 2mm~3mm로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와 달리 판재(510) 일면에 황토와 숯을 혼합한 시트층(570)을 2mm~3mm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황토층(530)과 숯층(550) 그리고 시트층(570) 위에 한지(590)를 부착하여 건축내장재(500)의 성형을 마무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내장재 성형과정(S500)을 통하여 제조되는 난연성 건축내장재.
  7. 원사로 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섬유와 마섬유를 길이는 1mm∼300mm 범위로 하고 직경은 5㎛ ∼100㎛범위로 하여 1 ~ 500g:500g~1kg의 비율로 혼합한 후 금형(210)에 충진하여 부직포층(110)을 성형하는 단계와;
    인산 나트륨 65~75g와 인산 암모늄을 25~35g을 혼합하여서 된 혼합물 100g을 물 1900g~2100g에 용해하여 용해액을 얻은 후 상기 용해액에 한국 산업규격 KS M1415(액상 규산소다) 1종 용액을 900g~1100g를 혼합하여 난연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난연액에 발수제를 난연액 1kg 대 발수제 20~25g으로 혼합하는 단계와;
    탱크(230)에 상기 발수제가 혼합된 난연액을 충진한 후 온도 10~20℃에서 탱크내측에 구비된 롤러(250)로 가압력을 0.3~0.5kgf/cm2 로 하여 30~40초간 가압하여 부직포층(110)에 난연액층(130)을 형성하는 단계와;
    건조기(270)로 80℃-120℃로 40분-60분 동안 건조시켜 난연성 부직포(100)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난연성 부직포(100)를 금형(610) 내부에 넣은 다음 열프레스기(620)를 작동시켜 6kgf/cm2 ∼20kgf/cm2 의 압력으로 가압하고, 동시에 열프레스기(620)에 설치된 히터(630)를 온 시켜 190~210℃의 고열을 유지시키면서 50∼70초 동안 열을 가하여, 부직포판재(180)를 만드는 제1열프레스 성형단계와;
    금형(610) 내부에 상기 부직포판재(180)를 넣은 다음 열프레스기(620)를 작동시켜 20kgf/cm2 ∼30kgf/cm2 의 압력으로 가압하고, 동시에 열프레스기(620)에 설치된 히터(630)를 온 시켜 190℃∼210℃의 고열을 유지시키면서 50∼70초 동안 열을 가하여, 압축되면서 더욱 치밀한 구조의 부직포판재(180)를 만드는 제2열프레스 단계와;
    상기 부직포판재(180)를 금형(610) 내부에 넣은 다음, 냉각프레스기(640)로 20Kgf/cm2 ∼30Kgf/cm2 의 압력을 가하는 동시에, 냉각파이프를 통해 10℃∼10.0℃로 50∼70초 동안 급속 냉각시켜 난연성 부직포(100)를 섬유합판으로 제조하여 단독으로 건축내장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난연성 건축내장재 제조방법.
  8. 원사로 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섬유와 마섬유를 길이는 1mm∼300mm 범 위로 하고 직경은 5㎛ ∼100㎛범위로 하여 1 ~ 500g:500g~1kg의 비율로 혼합한 후 황토나 숯 또는 황토와 숯을 혼합한 것을 1kg 대 100~200g을 혼합한 후 금형(210)에 충진하여 부직포층(110)을 성형하는 단계와
    인산 나트륨 65~75g와 인산 암모늄을 25~35g을 혼합하여서 된 혼합물 100g을 물 1900g~2100g에 용해하여 용해액을 얻은 후 상기 용해액에 한국 산업규격 KS M1415(액상 규산소다) 1종 용액을 900g~1100g를 혼합하여 난연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난연액에 발수제를 난연액 1kg 대 발수제 20~25g으로 혼합하는 단계와;
    탱크(230)에 상기 발수제가 혼합된 난연액을 충진한 후 온도 10~20℃에서 탱크내측에 구비된 롤러(250)로 가압력을 0.3~0.5kgf/cm2 로 하여 30~40초간 가압하여 부직포층(110)에 난연액층(130)을 형성하는 단계와;
    건조기(270)로 80℃-120℃로 40분-60분 동안 건조시켜 난연성 부직포(100)를 제작하는 단계로 된 함침단계와;
    상기 난연성 부직포(100)를 금형(610) 내부에 넣은 다음 열프레스기(620)를 작동시켜 6kgf/cm2 ∼20kgf/cm2 의 압력으로 가압하고, 동시에 열프레스기(620)에 설치된 히터(630)를 온 시켜 190~210℃의 고열을 유지시키면서 50∼70초 동안 열을 가하여, 부직포판재(180)를 만드는 제1열프레스 성형단계와;
    금형(610) 내부에 상기 부직포판재(180)를 넣은 다음 열프레스기(620)를 작동시켜 20kgf/cm2 ∼30kgf/cm2 의 압력으로 가압하고, 동시에 열프레스기(620)에 설치된 히터(630)를 온 시켜 190℃∼210℃의 고열을 유지시키면서 50∼70초 동안 열을 가하여, 압축되면서 더욱 치밀한 구조의 부직포판재(180)를 만드는 제2열프레스 단계와;
    상기 부직포판재(180)를 금형(610) 내부에 넣은 다음, 냉각프레스기(640)로 20Kgf/cm2 ∼30Kgf/cm2 의 압력을 가하는 동시에, 냉각파이프를 통해 10℃∼10.0℃로 50∼70초 동안 급속 냉각시켜 난연성 부직포(100)를 섬유합판으로 제조하여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난연성 건축내장재.
KR1020090118051A 2009-12-01 2009-12-01 난연성 건축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953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051A KR100953529B1 (ko) 2009-12-01 2009-12-01 난연성 건축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051A KR100953529B1 (ko) 2009-12-01 2009-12-01 난연성 건축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3529B1 true KR100953529B1 (ko) 2010-04-21

Family

ID=42220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8051A KR100953529B1 (ko) 2009-12-01 2009-12-01 난연성 건축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352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666B1 (ko) 2013-04-30 2015-01-22 (주) 정산인터내셔널 난연성 및 발수방오성 코어쉘 입자, 이를 이용한 난연성 및 발수방오성 부여방법, 원단 염색 및 가공 방법
KR101941969B1 (ko) * 2017-09-22 2019-01-25 주식회사 강화그린 종이를 이용한 친환경 방염합판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181614A (zh) * 2019-05-22 2019-08-30 广东驰景家居实业有限公司 一种隔热静音板的制备方法
KR102251359B1 (ko) 2020-06-30 2021-05-14 주식회사 지오위드 준불연 케나프 섬유판이 접착된 준불연 골판지 보드 및 제조방법
KR102251361B1 (ko) 2020-06-30 2021-05-14 주식회사 지오위드 준불연 케나프 보드 및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3499A (ko) * 2005-02-22 2006-08-25 변종화 천연내장패널
KR100649613B1 (ko) * 2005-07-30 2006-11-27 주식회사 준완 난연성 건축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3499A (ko) * 2005-02-22 2006-08-25 변종화 천연내장패널
KR100649613B1 (ko) * 2005-07-30 2006-11-27 주식회사 준완 난연성 건축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666B1 (ko) 2013-04-30 2015-01-22 (주) 정산인터내셔널 난연성 및 발수방오성 코어쉘 입자, 이를 이용한 난연성 및 발수방오성 부여방법, 원단 염색 및 가공 방법
KR101941969B1 (ko) * 2017-09-22 2019-01-25 주식회사 강화그린 종이를 이용한 친환경 방염합판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181614A (zh) * 2019-05-22 2019-08-30 广东驰景家居实业有限公司 一种隔热静音板的制备方法
CN110181614B (zh) * 2019-05-22 2024-05-24 广东驰景家居实业有限公司 一种隔热静音板的制备方法
KR102251359B1 (ko) 2020-06-30 2021-05-14 주식회사 지오위드 준불연 케나프 섬유판이 접착된 준불연 골판지 보드 및 제조방법
KR102251361B1 (ko) 2020-06-30 2021-05-14 주식회사 지오위드 준불연 케나프 보드 및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9613B1 (ko) 난연성 건축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953529B1 (ko) 난연성 건축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54879A (ko) 준불연 건축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준불연 건축내장재
KR101447235B1 (ko) 방염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49816A (ko) 목질패널로 제조한 난연 탄화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313693B1 (ko) 준 불연 특성을 갖도록 제공되는 다용도 섬유판재 및 그 제조방법
CN116096959A (zh) 利用人造丝短纤维的具有阻燃性的短纤维层压体的制造方法以及阻燃人造丝短纤维层压体
US6740271B2 (en) Board and board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ing crushed vegetational material and clay
KR20210094425A (ko) 친환경 천장재 및 제조 방법
KR101301648B1 (ko) 헴프 섬유를 이용한 고기능성 원단 및 건축 자재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생분해성 시트
KR102088677B1 (ko) 기능성 경량 목섬유 단열재 제조 및 난연 처리.
KR20110023225A (ko) 건축용 친환경 황토보드 제조 방법
KR20130114777A (ko) 장섬유를 이용한 단열재 및 그의 제조 방법
RU111557U1 (ru) Изоляционный материал
JP2008296395A (ja) 生分解性断熱材とその成型体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を用いた植物育成材と肥料材
KR101031739B1 (ko) 수맥 및 유해전자파차단 매트
JP2010241667A (ja) 無機質軽量断熱板材
US8945678B2 (en) Soft batt insulation material and method for making
KR100553243B1 (ko) 층간소음제거재와 그 제조법
KR101487326B1 (ko) 골판지합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골판지합판
KR100799612B1 (ko) 난연성 발포유리입자를 이용한 판재 및 그 제조방법
JP2007138365A (ja) 耐熱・不燃性組成物
KR102471551B1 (ko) 마섬유를 이용한 바닥재(장판, 타일, 마루)의 제조방법
KR101790201B1 (ko) 황토 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2142863B1 (ko) 건축용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