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3182B1 -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3182B1
KR100953182B1 KR1020060049045A KR20060049045A KR100953182B1 KR 100953182 B1 KR100953182 B1 KR 100953182B1 KR 1020060049045 A KR1020060049045 A KR 1020060049045A KR 20060049045 A KR20060049045 A KR 20060049045A KR 100953182 B1 KR100953182 B1 KR 100953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diacetylene
sensor chip
diacetylene
solid substrate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9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5118A (ko
Inventor
김종만
이영복
이지석
안동준
양두호
이길선
이철희
이충완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49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3182B1/ko
Publication of KR20070115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5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 G01N31/1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at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02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provided with flat sample substrates, e.g. slides
    • G01N2035/00099Characterised by type of test elements
    • G01N2035/00158Elements containing microarrays, i.e. "biochi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경의 변화를 인식하여 형광을 발색시킬 수 있는 다이아세틸렌의 중합체가 고체기판위에 고정된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의 제조방법은 (ⅰ) 다이아세틸렌 단량체를 유기용매에 용해시키고, 이를 수용액에 혼합한 다음, 초음파 처리하여 분산된 다이아세틸렌 수용액을 수득하는 공정; 및, (ⅱ) 전기 분산된 다이아세틸렌 수용액을 자외선에 노광하여 폴리다이아세틸렌을 수득하고, 이를 마이크로어레이 제조장치에 적용하여 고체기판 위에 고정시키나, 또는 전기 분산된 다이아세틸렌 용액을 마이크로어레이 제조장치에 적용하여 고체기판 위에 고정시키고, 동일한 조건으로 자외선에 노광하여 폴리다이아세틸렌을 수득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은 온도, 탄수화물, 단백질 및 DNA인식과 같은 환경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바이오 칩의 제작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이아세틸렌 단량체,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

Description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 및 그의 제조방법{Polydiacetylene Sensor Chip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도 1a는 PCDA-EDEA를 포함하고, 가열되지 않은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의 형광현미경 사진이다.
도 1b는 PCDA-EDEA를 포함하고, 가열된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의 형광현미경 사진이다.
도 2a는 PCDA-ABA를 포함하고, 가열되지 않은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의 형광현미경 사진이다.
도 2b는 PCDA-ABA를 포함하고, 가열된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의 형광현미경 사진이다.
도 3a는 PCDA-EA를 포함하고, 가열되지 않은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의 형광현미경 사진이다.
도 3b는 PCDA-EA를 포함하고, 가열된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의 형광현미경 사진이다.
도 4a는 α-사이클로덱스트린과 반응한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의 형광현미경 사진이다.
도 4b는 β-사이클로덱스트린과 반응한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의 형광현미경 사진이다.
도 4c는 γ-사이클로덱스트린과 반응한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의 형광현미경 사진이다.
본 발명은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환경의 변화를 인식하여 형광을 발색시킬 수 있는 다이아세틸렌의 중합체가 고체기판위에 고정된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다이아세틸렌(polydiacetylene)은 다이아세틸렌 단량체(diacetylene monomer)의 중합체로서, 다이아세틸렌 단량체를 적절한 조건하에 수용액에 분산시켜 자외선을 노광하면, 약 650nm에서 최대흡수파장을 나타내는 청색의 폴리다이아세틸렌이 제조된다. 이렇게 제조된 청색의 폴리다이아세틸렌 용액은 적절한 외부환경의 변화에 의해 약 550nm에서 최대흡수파장을 지니는 적색의 용액으로 변화된다. 예를 들어, 청색의 폴리다이아세틸렌 용액을 가열하면 용액의 색이 청색에서 보라색을 거쳐 적색으로 변환된다(참조: Kim & Ahn et. al., Macromolecules, 2005, 38, 9366). 이러한 청색에서 적색으로의 색전이 현상은 온도뿐만 아니라, pH의 변화, 용매의 교체, 추가적인 자외선 조사 등에 의해서도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분자인식에 의한 청색에서 적색으로의 색전이 현상을 이용한 다양한 종류의 폴리다이아세틸렌계 바이오센서가 연구되어 왔는 바(참조: USP 6,001,556; USP 6,180,135; USP 6,080,423), 예를 들면,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를 이용한 바이러스 검출(참조: Charych et. al., Science, 261:585, 1993), 대장균 검출(참조: Jiang et. al., J. Am. Chem. Soc., 120:12678, 1998), 항원-항체 반응(참조: Jelinek et. al., J. Am. Chem. Soc., 123:417, 2001), 효소반응(참조: Charych et. al., Angew. Chem. Int. Ed., 38:655, 1999), DNA-DNA 혼성화반응(참조: Ma et. al., Anal. Bioanal. Chem., 382:1708, 2005), 금속이온 검출(참조: Jelinek et. al., J. Am. Chem. Soc., 122:776, 2000), 콜레라 톡신의 검출(참조: Charych et. al., Langmuir, 13:1365, 1997), 사이클로덱스트린의 검출(참조: Kim & Ahn et. al., Chem. Lett., 32:282, 2003), 탄수화물의 검출(참조: Basu et. al., J. Am. Chem. Soc., 126:5038, 2004) 등이 보고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금까지 알려진 이러한 대부분의 폴리다이아세틸렌을 이용한 센서의 응용은 청색에서 적색으로의 색전이 현상에 국한되어 왔으나, 청색의 폴리다이아세틸렌은 형광을 나타내지 않고, 적색의 폴리다이아세틸렌은 형광을 나타냄이 알려짐에 따라(참조: Yasuda et. al., Chem. Phys. Lett., 209:281, 1993; Knoll et. al., Langmuir, 18:4082, 2002), 이를 이용한 형광센서의 개발이 진행되었다(참조: Jelinek et. al., J. Am. Chem. Soc., 127:10000, 2005). 그러나, 이처럼 폴리다이아세틸렌의 형광변화를 이용한 센서는 용액의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적용범위가 제한되었으므로, 보다 이용성이 우수한 형태의 폴리다이아세틸렌의 형광변화를 이용한 센서를 개발하여야 할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보다 활용성이 우수한 형태의 폴리다이아세틸렌의 형광변화를 이용한 센서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기능기가 도입된 폴리다이아세틸렌을 마이크로어레이 제조장치를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고체기판위에 고정화하여 칩의 형태로 제조할 경우, 다양한 물질의 검출에 이용할 수 있어, 그의 응용성이 향상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결국,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폴리다이아세틸렌이 고체기판에 고정화된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 센서칩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의 제조방법은 (ⅰ) 하기 일반식 (I)의 구조를 가지는 다이아세틸렌 단량체를, 유기용매에 용해시키고 이를 물에 혼합하거 나 또는 물에 직접 혼합한 다음, 초음파 처리하여 분산된 다이아세틸렌 수용액을 수득하는 공정; 및, (ⅱ) 전기 분산된 다이아세틸렌 수용액을 자외선에 노광하여 폴리다이아세틸렌을 수득하고, 이를 마이크로어레이 제조장치(microarray spotter)에 적용하여 고체기판 위에 고정시키거나, 또는 전기 분산된 다이아세틸렌 용액을 마이크로어레이 제조장치에 적용하여 고체기판 위에 고정시키고, 동일한 조건으로 자외선에 노광하여 폴리다이아세틸렌을 수득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A-( L 1 ) d -( CH 2 ) e -C≡C-C≡C-( CH 2 ) f -( L 2 ) g -B (I)
상기 식에서,
d + g는 0 내지 2이고;
e + f는 2 내지 50의 정수이며;
e 및 f는 1보다 큰 정수이고;
A 및 B는 -CH3, -NH2, -COOH, -OH, 말레이미드기, 바이오틴,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벤조산 또는 활성화된 에스테르이며; 및,
L1 및 L2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동일하지 않고, 탄소수가 2 이상인 알킬기, 하나 이상의 에틸렌 옥시드, 아민기, 아미드기, 에스테르기 또는 카르보닐기이다.
이때, 유기용매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DMF(dimethylformamide), DMSO(dimethylsuloxide),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헥산, THF(tetrahydrofuran), 아세톤, 알코올 등을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자외선의 노광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220 내지 300nm,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260nm, 가장 바람직하게는 254nm의 자외선을 1 내지 3분간 조사하여 수행하며, 고체기판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아민, 알데히드, 카르복실산, 활성화된 에스테르, 말레이미드 또는 탄수화물로 표면이 개질된 유리,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기판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의하면, 다이아세틸렌 단량체의 일종인 PCDA-EDEA(N-(2-(2-(2-aminoethoxy)ethoxy)ethyl)pentacosa-10,12-diynamide)를 DMF에 용해시키고 이를 물에 혼합하거나 또는 물에 직접 혼합한 다음, 초음파 처리하여 분산된 PCDA-EDEA 용액을 수득하는 공정; 및, 전기 수득한 PCDA-EDEA 용액을 자외선에 노광하여 고분자를 수득하고, 이를 마이크로어레이 제조장치에 적용하여 알데히드로 표면이 개질된 슬라이드 유리기판 위에 고정시키는 공정에 의하여, PCDA-EDEA가 중합된 고분자가 알데히드로 표면이 개질된 슬라이드 유리기판위에 고정화된 어레이 센서칩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처럼 제조된 어레이 센서칩을 가열하면, 형광이 발색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에 의하면, 다이아세틸렌 단량체의 일종인 PCDA- ABA(4-pentacosa-10,12-diynamidobutanoic acid)를 DMF에 용해시키고 이를 물에 혼합하거나 또는 물에 직접 혼합한 다음, 초음파 처리하여 분산된 PCDA-ABA 용액을 수득하는 공정; 및, 전기 수득한 PCDA-ABA 용액을 마이크로어레이 제조장치에 적용하여 CAB(cellulose acetate butyrate)가 용해된 THF 용액으로 표면이 개질된 플라스틱 기판 위에 고정시키고, 이를 자외선에 노광하는 공정에 의하여, PCDA-ABA가 중합된 고분자가 CAB로 표면이 개질된 플라스틱 기판 위에 고정화된 어레이 센서칩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처럼 제조된 어레이 센서칩을 가열하면, 형광이 발색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 의하면, 다이아세틸렌 단량체의 일종인 PCDA-EA(N-(2-hydroxyethyl)pentacosa-10,12-diynamide)를 DMF에 용해시키고 이를 물에 혼합하거나 또는 물에 직접 혼합한 다음, 초음파 처리하여 분산된 PCDA-EA 용액을 수득하는 공정; 및, 전기 수득한 PCDA-EA 용액을 자외선에 노광하여 고분자를 수득하고, 이를 마이크로어레이 제조장치에 적용하여 CAB로 표면이 개질된 플라스틱 기판 위에 고정시키는 공정에 의하여, PCDA-EA가 중합된 고분자가 CAB로 표면이 개질된 플라스틱 기판 위에 고정화된 어레이 센서칩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처럼 제조된 어레이 센서칩을 가열하면, 형광이 발색된다.
본 발명의 어레이 센서칩이 가열되거나 또는 탄수화물, 단백질, DNA와 같은 생리활성물질과 결합되면, 에너지의 전이에 의하여 고분자를 형성하는 다이아세틸렌 단량체 주쇄의 p-Orbital이 부분적으로 변형되고, 이에 의하여 공액된 부 분(conjugated part)의 길이가 감소하게 되며, 감소된 공액길이가 에너지로 전환되어 형광이 발산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을 이용하면, 탄수화물, 단백질, DNA와 같은 생리활성물질의 결합여부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바이오 칩의 제작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말단에 아민기를 지니는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세칩의 제조
Figure 112006038612606-pat00001
상기 구조식을 갖는 PCDA-EDEA(N-(2-(2-(2-aminoethoxy)ethoxy)ethyl)pentacosa-10,12-diynamide) 11mg을 2㎖ DMF(dimethylformamide)에 용해시킨 다음, 30㎖의 물에 가하고, 15분동안 초음파처리하여 분산시켰다. PCDA-EDEA가 분산된 용액을 0.8㎛의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하고, 4℃에서 4시간 동안 냉각시켰다. 이어, PCDA-EDEA가 분산된 용액을 254nm의 자외선으로 2분간 노광하여(1mW/㎠) 청색의 폴리다이아세틸렌 용액을 수득한 다음, 마이크로어레이 제조장치(Nano-Plotter 2.0, GeSiM, Germany)를 이용하여 알데히드로 표면이 개질된 슬라이드 유리기판((주)지노첵, 대한민국) 위에 고정화시켜서,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을 제조하였다.
이어, 전기 제조된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을 형광현미경하에서 관찰하여 형광발색여부를 확인한 다음, 전기 센서칩을 70℃로 1분간 가열하고, 다시 형광현미경(올림푸스 BX51, Germany)하에서 형광발색여부를 확인하였다(참조: 도 1a 및 도 1b). 도 1a는 PCDA-EDEA를 포함하고, 가열되지 않은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의 형광현미경 사진이고, 도 1b는 PCDA-EDEA를 포함하고, 가열된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의 형광현미경 사진이다. 도 1a 및 도 1b에서 보듯이, PCDA-EDEA를 포함하는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을 가열하면 형광이 발색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말단에 카르복실기를 지니는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세칩의 제조
Figure 112006038612606-pat00002
상기 구조식을 갖는 14mg의 PCDA-ABA(4-pentacosa-10,12-diynamidobutanoic acid)를 3㎖ DMF에 용해시킨 다음, 40㎖의 물에 가하고, 15분동안 초음파처리하여 분산시켰다. PCDA-ABA가 분산된 용액을 0.8㎛의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하고, 4℃에서 4시간 동안 냉각시켰다. 이어, PCDA-ABA가 분산된 용액을 마이크로어레이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0.1g/ml CAB(cellulose acetate butyrate)(분자량=16,000, butyryl content=50-54%)가 용해된 THF 용액으로 표면이 개질된 플라스틱 기판("CAB 기판")((주)지노첵, 대한민국)위에 고정화시키고, 이를 254nm의 자외선으로 2분간 노광하여(1mW/㎠),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을 제조하였다.
이어, 상기 PCDA-ABA를 포함하는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전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열처리에 의한 형광발색여부를 확인하였다(참조: 도 2a 및 도 2b). 도 2a는 PCDA-ABA를 포함하고, 가열되지 않은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의 형광현미경 사진이고, 도 2b는 PCDA-ABA를 포함하고, 가열된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의 형광현미경 사진이다. 도 2a 및 도 2b에서 보듯이, PCDA-ABA를 포함하는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을 가열하면 형광이 발색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말단에 알코올기를 지니는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세칩의 제조
Figure 112006038612606-pat00003
상기 구조식을 갖는 12.5mg의 PCDA-EA(N-(2-hydroxyethyl)pentacosa-10,12-diynamide)를 2㎖ DMF에 용해시킨 다음, 40㎖의 물에 가하고, 15분동안 초음파처리하여 분산시켰다. PCDA-EA가 분산된 용액을 0.8㎛의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하고, 4℃에서 4시간 동안 냉각시켰다. 이어, 전기 PCDA-EA가 분산된 용액을 254nm의 자외선으로 2분간 노광하여(1mW/㎠), 청색의 폴리다이아세틸렌 용액을 수득한 다음, 이를 마이크로어레이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CAB 기판위에 고정화시켜서,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을 제조하였다.
이어, 상기 PCDA-EA를 포함하는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전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열처리에 의한 형광발색여부를 확인하였다(참조: 도 3a 및 도 3b). 도 3a는 PCDA-EA를 포함하고, 가열되지 않은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의 형광현미경 사진이고, 도 3b는 PCDA-EA를 포함하고, 가열된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의 형광현미경 사진이다. 도 3a 및 도 3b에서 보듯이, PCDA-EA를 포함하는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을 가열하면 형광이 발색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폴리다이아세틸렌 마이크로어레이를 이용한 탄수화물의 검출
PCDA-EDEA 11mg을 2㎖ DMF에 용해시킨 다음, 30㎖의 물에 가하고, 15분동안 초음파처리하여 분산시켰다. PCDA-EDEA가 분산된 용액을 0.8㎛의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하고, 4℃에서 4시간 동안 냉각시켰다. 이어, PCDA-EDEA가 분산된 용액을 254nm의 자외선으로 2분간 노광하여(1mW/㎠) 청색의 폴리다이아세틸렌 용액을 수득한 다음, 마이크로어레이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CAB 기판 위에 고정화시켜서,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을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전기 제조된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에 각각 3종류의 10mM의 사이클로덱스트린(α-cyclodextrin, β-cyclodextrin 및 γ-cyclodextrin) 수용액 20㎕를 가하고 30분동안 반응시킨 후, 형광현미경으로 형광발색여부를 확인하였다(참조: 도 4a, 도 4b 및 도 4c). 도 4a는 α-사이클로덱스트린과 반응한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의 형광현미경 사진이고, 도 4b는 β-사이클로덱스트린과 반응한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의 형광현미경 사진이며, 도 4c는 γ-사이클로덱스트린과 반응한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의 형광현미경 사진이다.
도 4a 내지 도 4c에서 보듯이, PCDA-EDEA를 포함하는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은 α-사이클로덱스트린과 반응할 경우에만, 형광발색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입증하였듯이, 본 발명은 환경의 변화를 인식하여 형광을 발색시킬 수 있는 다이아세틸렌의 중합체가 고체기판위에 고정된 폴리다이 아세틸렌 센서칩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은 온도, 탄수화물, 단백질 및 DNA인식과 같은 환경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바이오 칩의 제작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ⅰ) 하기 일반식 (I)의 구조를 가지는 다이아세틸렌 단량체를, 유기용매에 용해시키고 이를 물에 혼합하거나 또는 물에 직접 혼합한 다음, 초음파 처리하여 분산된 다이아세틸렌 수용액을 수득하는 공정; 및,
    (ⅱ) 상기 분산된 다이아세틸렌 수용액에 220 내지 300nm의 자외선을 1 내지 3분간 조사하여 폴리다이아세틸렌을 수득하고, 마이크로어레이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고체기판 위에 고정시키거나, 또는 상기 분산된 다이아세틸렌 용액을 마이크로어레이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고체기판 위에 고정시키고, 상기 고체기판에 220 내지 300nm의 자외선을 1 내지 3분간 조사하여 폴리다이아세틸렌을 수득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폴리다이아세틸렌 어레이 센서칩의 제조방법:
    A-(L1)d-(CH2)e-C≡C-C≡C-(CH2)f-(L2)g-B (I)
    상기 식에서,
    d + g는 0 내지 2이고;
    e + f는 2 내지 50의 정수이며;
    e 및 f는 1보다 큰 정수이고;
    A 및 B는 -CH3, -NH2, -COOH, -OH, 말레이미드기, 바이오틴,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벤조산 또는 활성화된 에스테르이며; 및,
    L1 및 L2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동일하지 않고, 탄소수가 2 이상인 알킬기, 하나 이상의 에틸렌 옥시드, 아민기, 아미드기, 에스테 르기 또는 카르보닐기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유기용매는 DMF(dimethylformamide), DMSO(dimethylsuloxide),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헥산, THF(tetrahydrofuran), 아세톤 또는 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다이아세틸렌 어레이 센서칩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자외선의 노광은 220 내지 300nm의 자외선을 1 내지 3분간 조사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다이아세틸렌 어레이 센서칩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고체기판은 아민, 알데히드, 카르복실산, 활성화된 에스테르, 말레이미드 또는 탄수화물로 표면이 개질된 유리,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다이아세틸렌 어레이 센서칩의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60049045A 2006-05-30 2006-05-30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53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045A KR100953182B1 (ko) 2006-05-30 2006-05-30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045A KR100953182B1 (ko) 2006-05-30 2006-05-30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118A KR20070115118A (ko) 2007-12-05
KR100953182B1 true KR100953182B1 (ko) 2010-04-15

Family

ID=39141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9045A KR100953182B1 (ko) 2006-05-30 2006-05-30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31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334B1 (ko) * 2011-04-06 2013-04-0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다이아세틸렌 자성 나노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895B1 (ko) * 2011-07-06 2013-07-2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영동증착에 의한 폴리다이아세틸렌층의 형성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형성된 폴리다이아세틸렌층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599B1 (ko) 2006-10-24 2007-12-05 안동준 폴리다이아세틸렌 함유 고분자 필름을 이용한 센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80054962A (ko) * 2006-12-14 2008-06-19 안동준 Dna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 및 그제조방법
KR20080054955A (ko) * 2006-12-14 2008-06-1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백질을 포함하는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 및 그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599B1 (ko) 2006-10-24 2007-12-05 안동준 폴리다이아세틸렌 함유 고분자 필름을 이용한 센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80054962A (ko) * 2006-12-14 2008-06-19 안동준 Dna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 및 그제조방법
KR20080054955A (ko) * 2006-12-14 2008-06-1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백질을 포함하는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 및 그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충완,양두호,안동준,이길선,이영복,김종만,폴리다이아세틸렌 초분자의 micro array 형성 및 Chemical-Chip 응용,한국고분자학회,제30권2호,2005.10.13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334B1 (ko) * 2011-04-06 2013-04-0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다이아세틸렌 자성 나노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118A (ko) 200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i et al. Malic acid carbon dots: from super-resolution live-cell imaging to highly efficient separation
Liu et al. Microwave-assisted synthesis of wavelength-tunable photoluminescent carbon nanodots and their potential applications
Yang et al. A virus resonance light scattering sensor based on mussel-inspired molecularly imprinted polymers for high sensitive and high selective detection of Hepatitis A Virus
Sun et al. Size-dependent property and cell labeling of semiconducting polymer dots
Kim et al. Immobilized polydiacetylene vesicles on solid substrates for use as chemosensors
Wang et al. Fluorescence emission from dendrimers and its pH dependence
Pasparakis et al. Photodegradable polymers for biotechnological applications
Howes et al. Phospholipid encapsulated semiconducting polymer nanoparticles: their use in cell imaging and protein attachment
Park et al. White-emitting conjugated polymer nanoparticles with cross-linked shell for mechanical stability and controllable photometric properties in color-conversion LED applications
So et al. Gram-scale synthesis and kinetic study of bright carbon dots from citric acid and Citrus japonica via a microwave-assisted method
Alas et al. Solvatochromic surface-passivated carbon dots for fluorometric moisture sensing in organic solvents
Wei et al. Molecularly imprinted polymer based on CdTe@ SiO 2 quantum dots as a fluorescent sensor for the recognition of norepinephrine
Li et al. Autofluorescent Polymers: 1 H, 1 H, 2 H, 2 H-Perfluoro-1-decanol Grafted Poly (styrene-b-acrylic acid) Block Copolymers without Conventional Fluorophore
CN108780087B (zh) 比率感测化合物及由该化合物制造的装置
Guan et al. Unprecedented strong photoluminescences induced from both aggregation and polymerization of novel nonconjugated β-cyclodextrin dimer
Prusty et al. A fluorogenic reaction based on heavy-atom removal for ultrasensitive DNA detection
JP2010112957A (ja) 蛍光ナノシリカ粒子、ナノ蛍光材料、それを用いたバイオチップ及びそのアッセイ法
Liu et al. Preparation of carbon quantum dots with a high quantum yield and the application in labeling bovine serum albumin
JP4853972B2 (ja) 分子インプリント微粒子を用いた試料中の標的分子検出方法
Edlund et al. Covalent VEGF protein immobilization on resorbable polymeric surfaces
KR100953182B1 (ko)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칩 및 그의 제조방법
Nagai et al. Synthesis of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coated with thiol-reactive gel via emulsion polymerization
Jung et al. Patterning of single-wall carbon nanotubes via a combined technique (chemical anchoring and photolithography) on patterned substrates
KR100781599B1 (ko) 폴리다이아세틸렌 함유 고분자 필름을 이용한 센서 및 그의 제조방법
NZ570093A (en) Method of making luminescent nanoparticles from carbohydr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