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1948B1 - 휴대용 문서 편집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문서 편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1948B1
KR100951948B1 KR1020090066679A KR20090066679A KR100951948B1 KR 100951948 B1 KR100951948 B1 KR 100951948B1 KR 1020090066679 A KR1020090066679 A KR 1020090066679A KR 20090066679 A KR20090066679 A KR 20090066679A KR 100951948 B1 KR100951948 B1 KR 100951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keyboard
input
electronic document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6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7133A (ko
Inventor
송지원
류수민
박지혜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66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1948B1/ko
Publication of KR20090097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7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06Enforcing content protection by specific content processing
    • G06F21/1063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07General aspects irrespective of display type, e.g. determination of decimal point position, display with fixed or driving decimal point, suppression of non-significant zer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문서 편집기에 관한 것으로; 전원부와 제어판넬이 내장되며 접거나 펼쳐지도록 힌지결합되는 제1 및 제2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는 키보드와, 제1 및 제2케이스의 전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키보드로 입력한 내용을 상기 제어판넬의 제어에 의해 문서편집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및 제2LC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PC 또는 노트북 컴퓨터를 사용시의 장소적인 제약 및 설치의 번거로움이 거의 없고, 편리하게 전자문서를 작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gure R1020090066679
전자문서, 편집

Description

휴대용 문서 편집기 { Portable editor }
본 발명은 휴대용 문서 편집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더 상세하게는 비즈니스 업무를 위해 전자문서를 작성하되 직장이나 가정 등의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고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문서 편집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직장이나 가정 내에서 전자문서를 편집하는데 PC(퍼스널 컴퓨터)나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때, 상기 PC는 책상 등에 모니터와 본체 및 키보드 등이 설치된 상태이므로 다른 장소로 이동하여 작업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작업중인 자료를 다른 장소에서 계속 진행하기 위해서는 휴대용 메모리소자에 저장하거나 메일에 저장하였다가 이동 장소의 PC상에 저장한 후 사용해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특정 문서편집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작성된 전자문서를 재편집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문서편집용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는 PC 등을 사용해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다.
한편,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의 경우에는 최근에 많이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이나, 고가(高價)이며 휴대시에 행동에 많은 제약을 받으며, 이동한 장소에서 작업을 하기 위해 노트북을 펼치고 부팅을 하는 일련의 선행작업과 종료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노트북이 외에 사진을 이용한 편집 등을 위해서는 별도의 디지털 카메라나 스캐너 같은 이미지 입력장치가 연결되어 있어야만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고 전자문서의 편집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휴대용 문서 편집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문서의 편집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함께 내장한 휴대용 문서 편집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원부와 제어판넬이 내장되며 접거나 펼쳐지도록 힌지결합되는 제1 및 제2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는 키보드와; 제1 및 제2케이스의 전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키보드로 입력한 내용을 상기 제어판넬의 제어에 의해 문서편집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및 제2LCD;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키보드의 조작에 의해 작성되는 전자문서는 상기 제2LCD에 디스플레이되고, 완성된 전자문서는 제1LCD에 계단식으로 정렬되어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제어판넬은 상기 키보드로부터의 키입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입력된 전자문서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편집 작업 중에 필요한 내용을 음성출력하는 음성출력부와, CD입력부를 통해 입수된 CD를 인식하기 위한 CD인식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케이스의 테두리 하측에는 제1삽입홈이 형성되고, 그 제1삽 입홈에는 상기 키보드가 삽입 설치되되, 상기 키보드는 제1 및 제2보드로 분할되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힌지결합되는 접이식 키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케이스의 측면 테두리와 상기 제1케이스의 측면 테두리의 사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그 몸체의 양단에 제1힌지편이 구비되고, 그 몸체의 일측 중앙에는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핀이 축설되며, 상기 연결핀의 중앙에는 제2힌지편이 상기 연결부재의 외부로 외향돌출되고, 상기 제1케이스의 측면 테두리에는 상기 제1힌지편이 힌지결합되는 제1힌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케이스의 측면 테두리에는 상기 제2힌지편이 힌지 결합되는 제2힌지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케이스의 테두리 하측에는 내측에 CD데크가 내장되는 CD삽입구가 형성되고, 제2케이스의 측면 테두리 상측에는 내측에 디지털카메라가 구비되는 제2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삽입홈의 내부에는 디지털카메라의 접속단자가 결합되는 제1입출력 소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PC 또는 노트북 컴퓨터를 사용시에 장소적인 제약 및 설치의 번거로움이 거의 없고, 편리하게 전자문서를 작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자문서의 편집 및 출력을 위해 사용되는 카메라나 펜스캐너 및 프린터로의 출력과 같은 다양한 제공하여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문서편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문서 편집기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문서 편집기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문서 편집기의 측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문서 편집기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문서 편집기를 펼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제1케이스를 수평회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문서 편집기의 회로 구성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문서 편집기(1)는 좌우측에 구비되어 일반적인 책과 같이 접혀지도록 각각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케이스(10,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케이스(20)의 측면 테두리와 상기 제1케이스(10)의 측면테두리는 연결부재(30)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30)는 몸체(32)의 양단에 제1힌지편(32a)이 구비되고, 그 몸체(32)의 일측 중앙에는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핀(34)이 축설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핀(34)의 중앙에는 제2힌지편(34a)이 상기 연결부재(30)의 외부로 외향돌출된다.
한편, 상기 제2케이스(20)의 측면 테두리에는 상기 연결부재(30)의 제1힌지 편(32a)이 힌지결합되는 제1힌지공(20a)이 형성되고, 상기 제1케이스(10)의 측면테두리에는 상기 연결핀(34)의 제2힌지편(34a)이 힌지결합되는 제2힌지공(10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10,20)는 제1힌지편(32a)을 중심으로 서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회동이 가능하고, 상기 제1케이스(10)는 제2힌지편(34a)을 중심으로 수평회동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케이스(10,20)의 전면에는 문서편집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1LCD(41)와, 제2LCD(42)가 각각 구비되며, 제1케이스(10)의 하단 테두리에는 제1삽입홈(11)이 형성되어 접이식 키보드(44)가 삽입된다.
한편, 제2케이스(20)의 측면 테두리 하측에는 CD삽입부(4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접이식 키보드(44)는 외부로 노출시켜 펼치는 경우 통상적인 PC용 키보드의 버튼 구성과 동일한 자판배열을 가지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키보드(44)는 중앙부가 접힘이 가능하도록 제1 및 제2보드(44a,44b)가 힌지부(44c)로 연결 구성된다.
따라서 키보드(44)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접어서 사이즈를 절반으로 줄여 제1삽입홈(11)에 삽입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힌지부(44c)를 중심으로 펼쳐 사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케이스(20)의 측면 테두리 상측에는 사물 등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슬림형 디지털카메라(50)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21)이 형성되며, 상기 제1케이스(10)의 상단 테두리에는 이미지를 스캐닝(scanning)할 수 있는 펜스캐너(60) 가 삽입되는 제3삽입홈(1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삽입홈(21)의 내부에는 디지털카메라(50)의 접속단자(51)가 결합되는 제1입출력소켓(70)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2케이스(20)의 상단 테두리에는 음성출력부(72)를 구성하는 스피커(72a)가 내장되고, 상기 제2케이스(20)의 후면에는 전원부(74)를 구성하는 배터리(74a)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케이스(10)의 측면 테두리 상측에는 프린터(100)나 USB장치(200) 등을 연결할 수 있는 제2입출력소켓(76)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키보드(44)의 조작에 의해 작성되는 전자문서는 상기 제2LCD(42)상에 디스플레이되며, 페이지당 완성된 전자문서는 제1LCD(41)상에 계단식으로 정렬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상기 제1LCD(41)상에는 문서입력내용, 편집내용, 출력 내용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메뉴(41a)가 디스플레이되어 선택함으로써 작업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문서를 편집하던 중에 이미지 작업의 수행이 필요한 경우에는 디지털카메라(50) 또는 펜스캐너(60)를 이용하여 획득한 영상정보 및 이미지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문서 편집기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디스플레이부(40)는 제1 및 제2LCD(41,42)로 구성되며, 그 제1 및 제2LCD(41,42)는 제1 또는 제2케이스(10,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판넬(15)을 구성 하는 제어부(78)의 제어에 의해 필요한 문서편집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부(40)에 디스플레이되는 전자문서편집내용은 메모리부(80)에 저장되며, 상기 메모리부(80)에는 시스템의 운영프로그램 및 문서편집용 소프트웨어가 저장되며, 사용자가 작성한 전자문서 등을 저장하게 된다.
상기 메모리부(80)의 프로그램은 제어부(78)의 제어 및 연산처리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편집내용은 키보드(44)를 통해 입력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78)는 건전지나 충전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원부(74)의 전원을 이용하여 구동되며, 경고 멘트나 전자문서 편집 작업 중에 필요한 내용을 음성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부(72)가 구비된다. 상기 음성출력부(72)는 내장 스피커(72a)로 구성된다.
그리고, CD를 인식하기 위한 CD인식부(82)가 구비되는데, 상기 CD인식부(82)는 제1케이스(10)에 내장되어 CD투입구(11)를 통해 입수되는 CD데크(미도시됨)로 이루어져 그 내용을 읽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문서 편집기(1)는 전자문서의 편집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디지털카메라(50)와 펜스캐너(60)가 구비된다.
상기 디지털카메라(50)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문서 편집기(1)의 제2삽입홈(21)에 삽입해놓고, 필요에 의해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2삽입홈(21)에서 분리해 내어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디지털카메라(50)는 촬영한 사진의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센서(52)와, 상기 영상센서(52)로부터 획득된 영상정보를 디지털화된 데이터로 변 환처리하는 신호처리부(53)와, 상기 신호처리부(53)로부터 처리된 영상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접속단자(51)와, 상기 디지털카메라(5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54)와, 상기 사진촬영을 수행하기 위한 버튼들로 이루어지는 조작부(55)와, 상기 촬영된 영상정보를 저장관리하는 메모리(56)와, 상기 촬영한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보조LCD(57)로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문서 편집기(1)의 제2삽입홈(21)에는 상기 디지털카메라(50)의 접속단자(51)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제1입출력소켓(70)이 구비되어 있어, 디지털카메라(50)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입출력소켓(70)을 통해 상기 디지털카메라(50)의 메모리(56)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전송받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문서 편집기(1)는 제1케이스(10)의 상단 테두리에 형성되는 제3삽입홈(12)에 펜스캐너(60)가 삽입되어 있어 이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스캔하게 되는데, 상기 펜스캐너(60)는 이미지를 스캐닝하는 스캐닝센서(61)와, 상기 스캐닝센서(61)에서 스캐닝된 이미지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62)와, 상기 펜스캐너(60)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버튼(63)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펜스캐너(60)는 케이블로 제어판넬(15)과 접속되어 있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된다. 따라서, 별도의 전원공급용 밧데리를 사용하지는 않는다.
물론, 상기 펜스캐너(60)는 상기 디지털카메라(50)와 같이 독립구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함도 가능하며, 실질적으로 그와 같은 펜스캐너(60)의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는 동일한 원리로 이해해야 한다.
한편, 상기 제어판넬(15)은 플래시메모리(200)나 프린터(100)와 같은 외부기기를 접속할 수 있는 제2입출력소켓(76)이 구비되며, 이와 같은 제2입출력소켓(76)은 하나 이상의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소켓이 구비될 수 있으나, USB단자가 접속될 수 있는 USB소켓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프린터(100)를 접속하는 경우 편집된 전자문서를 출력하여 서면으로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 경우 프린터 드라이버 등과 같이 해당 외부기기를 사용하기 위한 별도의 드라이버를 제공해야 함은 당연하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문서 편집기의 작동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문서 편집기(1)를 사용하기 위해 제1 및 제2케이스(10,20)를 펼친 후, 제1케이스(10)의 테두리 하측에 형성되는 제1삽입홈(11)에서 접이식 키보드(44)를 꺼낸 후 힌지부(44c)를 중심으로 펼쳐 놓은 상태에서 제1케이스(10)의 측면에 구비되는 전원버튼(84)을 누르게 되면, 밧데리(74a)로 구성되는 전원부(74)의 전원이 제어판넬(15)에 투입되어 시스템이 구동된다.
물론, 이 경우 제1 및 제2케이스(10,20)를 180°보다 작은 각도로 펼쳐 세워놓는 것도 가능하며, 180°로 완전히 펼친 상태로 책상에 펼쳐놓고 전자문서 편집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원하는 방향이나 위치로 설정하도록 펼쳐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원 투입으로 인해 구동되어 문서편집용 소프트웨어가 로딩(loading)되면 사용자는 키보드(44)를 통해 키입력을 행함으로써 전자문서를 작성 및 편집작업을 수행하며, 최종적으로 외부기기인 프린터(100)를 통해 출력하여 서면으로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문서작성 내용은 낱장의 경우에는 제2케이스(20)의 제2LCD(42)로 디스플레이되며, 이는 제1케이스(10)의 제1LCD(41)상에 페이지당 완성된 전자문서가 계단식으로 정렬되어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상기 전자문서를 작성하던 중에 영상정보를 첨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케이스(20)의 측면 테두리의 제2삽입홈(21)에서 슬림형 디지털카메라(50)를 분리시킨 후 이를 이용하여 사물 등의 사진을 찍게 된다.
이와 같이 디지털케메라(50)를 조작하여 메모리(56)에 저장된 영상정보는 접속단자(51)를 통해 제어판넬(15)로 전송된다.
즉, 사진을 촬영한 후 디지털카메라(50)를 제2케이스(20)의 측면 테두리의 제2삽입홈(21)에 삽입하면, 디지털케메라(50)의 접속단자(51)가 제1입출력소켓(70)에 접속되어 하나의 외부 장치로 인식하여 디지털카메라(50)의 메모리(56)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으며, 그 영상정보를 로딩하여 전자문서의 편집에 이용하게 된다.
물론, 특정 이미지를 스캐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케이스(10)의 상단 테두리에 형성되는 제3삽입홈(12)에서 펜스캐너(60)를 빼낸 후 문서 등의 글자나 그림 등의 이미지를 스캔하게 되며, 이와 같은 이미지정보는 제어판넬(15)로 즉시 입 력되어 편집에 이용된다.
이와 같은 영상정보 또는 이미지정보와 함께 텍스트의 입력이 가능하며, 이미지정보 등을 텍스트로 전환하거나 자르기, 붙이기, 이동 등의 다양한 편집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편집된 전자문서는 제2LCD(42)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를 선택하여 출력되는 문서의 내용을 미리 확인할 수 있으며, 제2입출력소켓(76)에 연결되는 프린터(100)로 문서를 편리하게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플래시메모리(200)에 편집된 전자문서 화일을 저장하여 추후 PC 등으로 확인함도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문서 편집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더 상세하게는 비즈니스 업무를 위해 전자문서를 작성하되 직장이나 가정 등의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고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문서 편집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문서 편집기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문서 편집기의 측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문서 편집기의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문서 편집기를 펼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1케이스를 수평회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문서 편집기의 회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휴대용 문서 편집기 10: 제1케이스
15: 제어판넬 20: 제2케이스
40: 디스플레이부 41: 제1LCD
42: 제2LCD 44: 키보드
50: 디지털카메라 60: 펜스캐너
100: 프린터 200: 플래시메모리

Claims (4)

  1. 전원부와 제어판넬이 내장되며 접거나 펼쳐지도록 힌지결합되는 제1 및 제2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의 테두리 하측에 형성되는 제1삽입홈에 삽입 설치되고, 제1 및 제2보드로 분할되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힌지결합되는 키보드와;
    제1 및 제2케이스의 전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키보드로 입력한 내용을 상기 제어판넬의 제어에 의해 문서편집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및 제2LCD와;
    상기 제1케이스의 상단 테두리에 형성되는 제3삽입홈에 삽입되는 펜스캐너와;
    상기 제2케이스의 측면 테두리와 상기 제1케이스의 측면 테두리의 사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제1케이스의 측면 테두리 상측에 형성되어 프린터나 USB장치를 연결할 수 있는 제2입출력소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키보드의 조작에 의해 작성되는 전자문서는 상기 제2LCD에 디스플레이되고, 완성된 전자문서는 제1LCD에 계단식으로 정렬되어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제어판넬은 상기 키보드로부터의 키입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입력된 전자문서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편집 작업 중에 필요한 내용을 음성출력하는 음성출력부와, CD입력부를 통해 입수된 CD를 인식하기 위한 CD인식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케이스의 테두리 하측에는 내측에 CD데크가 내장되는 CD삽입구가 형성되고, 제2케이스의 측면 테두리 상측에는 내측에 디지털카메라가 구비되는 제2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삽입홈의 내부에는 디지털카메라의 접속단자가 결합되는 제1입출력 소켓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그 몸체의 양단에 제1힌지편이 구비되고, 그 몸체의 일측 중앙에는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핀이 축설되며, 상기 연결핀의 중앙에는 제2힌지편이 상기 연결부재의 외부로 외향돌출되고, 상기 제1케이스의 측면 테두리에는 상기 제1힌지편이 힌지결합되는 제1힌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케이스의 측면 테두리에는 상기 제2힌지편이 힌지 결합되는 제2힌지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문서 편집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90066679A 2009-07-22 2009-07-22 휴대용 문서 편집기 KR100951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679A KR100951948B1 (ko) 2009-07-22 2009-07-22 휴대용 문서 편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679A KR100951948B1 (ko) 2009-07-22 2009-07-22 휴대용 문서 편집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323A Division KR20090028057A (ko) 2007-09-13 2007-09-13 휴대용 문서 편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7133A KR20090097133A (ko) 2009-09-15
KR100951948B1 true KR100951948B1 (ko) 2010-04-09

Family

ID=41356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6679A KR100951948B1 (ko) 2009-07-22 2009-07-22 휴대용 문서 편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194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616Y1 (ko) * 2003-03-11 2003-06-18 신형묵 멀티형 노트북 컴퓨터
KR20040103303A (ko) * 2003-05-30 2004-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노트북 컴퓨터
KR20060122201A (ko) * 2005-05-25 2006-11-3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키보드 수납이 가능한 휴대용 개인 정보 단말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616Y1 (ko) * 2003-03-11 2003-06-18 신형묵 멀티형 노트북 컴퓨터
KR20040103303A (ko) * 2003-05-30 2004-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노트북 컴퓨터
KR20060122201A (ko) * 2005-05-25 2006-11-3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키보드 수납이 가능한 휴대용 개인 정보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7133A (ko) 200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3441B2 (en) Hand hel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printed documents
US8717613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scanning and/or printing an image
US20100177019A1 (en) Display apparatus, scanner, display system, and display method using the same
US8305293B2 (en) Portable dual display reader and operation system thereof
US20060056144A1 (en) Electronic apparatus
CN102193764A (zh) 显示和处理多个文档的电子系统及方法
CN101547233A (zh) 一种具有名片拍摄功能的手持数码、信息设备
KR100951948B1 (ko) 휴대용 문서 편집기
US20100296010A1 (en) Digital picture frame greeting card
JP2005301647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090028057A (ko) 휴대용 문서 편집기
US20070175997A1 (en) Electronic business card case
JP2005191771A (ja) 画像入力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JP3099626U (ja) 画像投影表示機能を具えたデータ処理装置
US20110037690A1 (en) Electronic album
JP4193084B2 (ja) コンピュータ装置
US20050247791A1 (en) Mobile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JP4814480B2 (ja) 電子カメラ
JP4383926B2 (ja) 画像取り込み装置
JP2004015619A (ja) メモリー機能付き電子黒板装置
US20070036463A1 (en) Platform-independent preference setting method
CN218181408U (zh) 一种桌面双屏机
CN215186819U (zh) 手机辅助屏幕装置及手机辅助设备
US20160295063A1 (en) Tablet computer with integrated scanner
US11379056B2 (en) Editor's pen p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