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1550B1 - 약제 혼합 장치 - Google Patents

약제 혼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1550B1
KR100951550B1 KR1020080015227A KR20080015227A KR100951550B1 KR 100951550 B1 KR100951550 B1 KR 100951550B1 KR 1020080015227 A KR1020080015227 A KR 1020080015227A KR 20080015227 A KR20080015227 A KR 20080015227A KR 100951550 B1 KR100951550 B1 KR 100951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al
mixing device
drug
drug mixing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5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8557A (ko
Inventor
권영덕
김성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Publication of KR20080078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8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9/0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 B01F29/30Mixing the contents of individual packages or containers, e.g. by rotating tins or bottles
    • B01F29/31Mixing the contents of individual packages or containers, e.g. by rotating tins or bottles the containers being supported by driving means, e.g. by rotating 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21S8/08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with lighting device attached sideways of the standard, e.g. for roads and high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9/0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 B01F29/30Mixing the contents of individual packages or containers, e.g. by rotating tins or bottles
    • B01F29/32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upling to rotating frames or the like; Coupling means therefor
    • B01F29/321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upling to rotating frames or the like; Coupling means therefor of test-tub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9/0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 B01F29/6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e.g. drum mix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1/00Mixers with shak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echanisms
    • B01F31/50Mixers with shak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echanisms with a receptacle submitted to a combination of movements, i.e. at least one vibratory or oscillatory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1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low-built type, e.g. landscape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16Fixing lighting devices to arms or stand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종류 이상의 서로 다른 약제성분이 담겨 있는 약병을 진동 및 회전에 의해 혼합하는 약제 혼합 장치로서, 약병 수납부, 장치 본체, 및 장치 본체에 내장되어 있는 편심 모터와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제공된 전원에 의해 편심 모터가 진동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진동에 의해 상기 약병 수납부에 장착된 약병이 진동 및 회전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 혼합 장치는, 다른 성분과 장기간 혼합된 상태에서는 불안정한 약제를 사용 직전에 다른 약제, 용매 등과 높은 균일도로 혼합할 수 있다.

Description

약제 혼합 장치 {Drugs Mixing Device}
본 발명은 약제 혼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종류 이상의 서로 다른 약제성분이 담겨 있는 약병을 진동 및 회전에 의해 혼합하는 약제 혼합 장치로서, 약병이 공차를 두고 장착되며 일면이 개방되어 있는 약병 수납부; 상기 약병 수납부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외면에 전원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는 장치 본체; 및 상기 장치 본체에 내장되어 있는 편심 모터와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있고, 전원 공급부로부터 제공된 전원에 의해 편심 모터가 진동을 발생시키면, 발생된 진동에 의해 상기 약병 수납부에 장착된 약병이 진동 및 회전하면서 약제성분을 혼합하는 것으로 구성된 약제 혼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약제들은 일반적으로 부형제 등을 포함하고 있는 조성물의 상태로 사용되며, 약제의 특성에 따라 이러한 조성물은 고상, 현탁 또는 유화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둘 또는 그 이상의 약제들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많은 약제들은 다른 성분, 예를 들어, 다른 종류의 약제, 용매, 현탁제, 유화제, 부형제 등과 혼합된 상태로 사용된다.
그런데, 일부 약제의 경우는 이러한 혼합 상태에서 장기간 유지될 때 불안정하여 사용 직전에 혼합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인간 성장 호르몬의 지속방출형 제제인 디클라제((주)LG 생명과학) 등과 같은 약제는, 인간 성장 호르몬을 포함하는 고형성분의 바이알과, 액상의 주사용매, 즉, MCT(Medium-Chain Triglyceride) 등을 포함하는 바이알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형성분과 주사용매는 사용 직전에 혼합하여 환자에게 투여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주사액의 제조를 위해, MCT 등과 같은 오일 용매에 활성 단백질인 고형성분을 균일하게 혼합(구체적으로 현탁)하는 것은 매우 용이하지 않으므로 일반적으로 소망하는 결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더욱이 불안정한 현탁 주사액은 주사시 환자에게 균일한 약을 공급하기 어려워 효능을 발휘하기 어렵게 된다.
일반적으로, 환자에게 투여하기 직전에 현탁 주사액을 제조하는 과정은, 고형성분과 주사용매가 담겨진 바이알을 투여자(예를 들어, 간호사, 환자 자신)가 직접 손으로 흔들어 혼합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식으로 제조된 주사액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현탁 균일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종래의 일부 의료기기를 이용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는 있지만, 일반적인 의료기기는 고가이고 작동 조작이 복잡하며 크기가 크므로, 실질적으로 상기 목적에 적용함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다른 성분과 장기간 혼합된 상태에서는 불안정한 약제를, 1 회 주사 또는 일정기간의 연속적인 투여를 위해, 사용 직전에 다른 약제, 용매 등과 효과적 으로 혼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휴대가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한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약제 혼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성분과의 장기간 혼합된 상태에서는 불안정한 약제를 1 회 주사 투여 또는 일정기간의 연속적인 투여를 위한 사용 직전에 진동 및 회전작용을 통해 다른 약제, 용매 등과 높은 균일도로 혼합할 수 있는 약제 혼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인해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작은 구조로 휴대가 가능하며, 사용이 편리한 약제 혼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약제 혼합 장치는,
두 종류 이상의 서로 다른 약제성분이 담겨 있는 약병을 진동 및 회전에 의해 혼합하는 약제 혼합 장치로서,
약병이 소정의 공차를 두고 장착되며, 일면이 개방되어 있는 약병 수납부;
상기 약병 수납부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외면에 전원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는 장치 본체; 및
상기 장치 본체에 내장되어 있는 편심 모터와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있고,
전원 공급부로부터 제공된 전원에 의해 편심 모터가 진동을 발생시키면, 발생된 진동에 의해 상기 약병 수납부에 장착된 약병이 진동 및 회전하면서 약제성분을 혼합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 혼합 장치는, 전원 공급부로부터 제공된 전원에 의해 편심 모터가 진동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진동은 약병 수납부로 전달되어 그곳에 장착되어 있는 약병에 진동이 가해지게 된다. 이때, 약병 수납부와 약병 사이에는 소정의 공차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공차에 의해 진동 및 회전 작용이 동시에 일어나면서, 약병 내에 들어있는 서로 다른 두 종류 이상의 약제성분이 혼합된다. 즉, 약병 수납부에 장착된 약병에 물리적 접촉에 의해 직접적으로 회전력을 가하지 않고도,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진동력 만이 가해진 상태에서 약병이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원리는 본 발명자들에 의해 처음으로 확인되었으며, 그로 인해 장치의 구조를 간소화시킬 뿐만 아니라, 약병에 진동과 회전을 동시에 가함으로써 약제성분들의 혼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 혼합 장치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 약병, 더욱 구체적으로는, 약병 수납부에 장착될 수 있는 약병(bottle, vial)은, 일반적으로 주사액 약병과 같이 하단이 밀봉되어 있고 내용물이 충진된 상태에서 상단 주입구가 탄력적 인 소재(예를 들어, 고무)의 마개로 밀봉되어 있으며, 상기 고무 마개와 병의 주입구를 금속 캡으로 일체화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약병은 그것의 주입구가 상기 약제 혼합 장치의 상단을 향하도록 삽입되지만, 그와 반대 구조의 장착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약제 혼합 장치에 사용되는 약제 혼합물은 두 종류 이상의 서로 다른 약제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체에 투여하기 전에 약제성분들의 혼합, 바람직하게는 현탁을 필요로 하는 혼합 약제에 대하여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서로 다른 약제성분은 각각 고상의 제 1 물질과 액상의 제 2 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 1 물질은 제 2 물질에 분산되어 있는 구조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 1 물질은 성장호르몬의 서방형 분말 약제(예를 들어, 디클라제)이고, 제 2 물질은 MCT 등과 같은 오일형 주사용매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공차는 약병 수납부와 약병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바, 약병이 약병 수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대면하고 있는 약병의 외면과, 약병 수납부의 내측면, 또는 약병 수납부의 내측면에 충격완충용 부재 등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 그러한 충격완충용 부재의 내측면 사이가 서로 밀착되어 있지 않고,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약병이 소정의 공차를 두고 약병 수납부에 장착됨으로써, 앞서의 설명과 같이, 약병이 진동됨과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공차를 형성하는 구체적인 예에서, 약병 수납부의 내경이 약병의 외경에 비해 상기 공차 만큼 큰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공차의 크기는 약병의 크기, 중량, 가해지는 진동수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다만, 공차가 너무 작은 경우에는 약병의 회전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고, 반대로 공차가 너무 큰 경우에는 약병에 가해지는 진동 충격에 의해 파손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공차의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약병 수납부의 내경을 기준으로 0.5 ~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5%일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약병은 원통형 구조로서 그것의 외경이 대략 16.1 ~ 16.4 mm일 때, 이에 대응하여 상기 약병 수납부 역시 원통형 구조이고 약병의 외면에 부착된 라벨 등의 두께를 고려하여 그것의 내경이 대략 16.75 ~ 16.9 mm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약병과 약병 수납부의 측부에 형성된 공차는 라벨의 두께 등을 제외할 때 0.35 ~ 0.8 mm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약병의 진동과 회전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상기 약병의 상단과 약병 수납부의 상단면 역시 서로 밀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상기 약병 수납부의 길이가 약병의 길이보다 큰 크기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약병 수납부에 삽입된 약병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면서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약병 수납부의 대응 내측면에는 충격 흡수용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충격 흡수용 부재는, 편심 모터로부터 발생한 강한 진동에 의해 약병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약병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며, 소음 발생을 크게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약병의 회전 속도가 지나치게 높은 경우에는 혼합되는 과정에서 기포 발생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반대로 회전속도가 지나치게 낮은 경우에는 약제성분들 간의 혼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충격 흡수용 부재의 소재는 상기와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펀지 또는 고무 재질일 수 있다.
충격 흡수용 부재가 부가된 상태에서 약병은 충격 흡수용 부재와의 사이에 공차를 가질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진동이 인가되는 과정에서 약병과 충격 흡수용 부재 사이에 순간적인 공차가 발생하고, 약병의 회전이 어려울 정도의 마찰력을 유발하지 않는다면, 약병이 약병 수납부에 장착되고 진동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약병과 충격 흡수용 부재 사이에는 외견상 공차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약병 수납부에 삽입된 약병에 가해지는 강한 충격을 완화시키고 약병의 상하 운동에 의한 약제성분들의 혼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약병 수납부의 대응 상단면에는 탄력적인 완충부재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탄력적인 완충부재는, 약병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약병이 정해진 수납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약병이 진동 및 회전을 하는 과정에서 충격에 의해 약병 수납부의 위쪽으로 밀려 올라가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상기 완충부재가 약병의 상단을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이탈을 방지하면서 상하 왕복 운동을 유발시킬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약제 혼합 장치에 지속적인 진동이 가해지는 과정에서 약병이 상기 약 병 수납부로부터 이탈될 가능성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약병 수납부의 개방된 일면의 일측 또는 양측에 스커트 구조의 가이드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약제 혼합 장치는 두 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약제 성분이 혼합되어 있는 약병이 진동하면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약제성분들을 혼합, 바람직하게는 현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약병의 진동 및 회전 작동은 편심 구조의 회전 모터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는 다양한 전원 공급원에 의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장치의 부피를 최소화하고 이동이 자유로운 휴대용 전지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일차전지 또는 이차전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약제 혼합 장치의 형태는, 예를 들어,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사용자의 손에 쥐고 혼합하는 형태와 바닥에 놓고 혼합하는 형태로 나뉠 수 있다.
먼저, 사용자의 손에 쥐고 혼합하는 형태의 장치는, 사용자가 장치 본체를 손에 쥔 상태에서, 약병을 장착하고 전원 스위치를 작동시켜 혼합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의 장치 본체는 손에 쥐기 편한 그립 구조의 원기둥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바닥에 놓고 혼합하는 형태의 장치는, 바닥에 놓고 약병을 장착한 상태에서 전원 스위치를 작동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바닥과의 충격으로 인해 약병 내지 장치에 손상이 유발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장치 본체의 하단 일 측면에는, 충격을 완화하고 장치의 균형이 유지될 수 있도록, 수평 받침대가 장착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 본체의 상단 일 측면에 도 충격 완충부가 추가로 장착된 구조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약제 혼합과정에서 장치를 바닥과 이격함과 동시에 바닥과의 충격으로 인한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충격 완충부는 재질이나 형태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압축 스프링과 같은 탄력적인 완충부재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약제 혼합 장치에 대한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서 A 부위의 확대 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약제 혼합 장치(300)는, 크게 약병 수납부(100)와 장치 본체(200)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약병 수납부(100)를 살펴보면, 내부에 바이알(vial) 형태의 약병(400)이 소정의 공차를 두고 장착되어 있으며, 약병(400)이 장착되는 대응 내측면에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부재로서 스펀지(110)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약병 수납부(100)의 개구면 양측면에는 약병(4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커트들(12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공차는 도 2에서 보다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바, 도 2를 참조하면, 약병(400)의 외면과 약병 수납부(100)의 내면에 부착되어 있는 스펀지(110)의 내면 사이에 소정의 공극(T)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공극(T)으로 인해 약병(400)이 약병 수납부(100) 또는 이에 부착된 스펀지 등의 충격흡수용 부재(110)와의 마찰력이 거의 없는 상태이므로, 약병(400)에 장치 본체(200)를 통한 진동이 간접적으로 인가되면, 약병(400)의 회전 및 진동이 가능한 것으로 추측된다. 이 때, 상기 공극(T)의 크기는 약병 수납부(100)의 내경에 대하여 1 내지 5%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장치 본체(200)는, 그립 구조의 원기둥 형태로 되어 있으며, 일 측면에는 전원 스위치(210)가 설치되어 있다. 장치 본체(200)의 내부에는 편심 구조의 회전 모터와 전원 공급부가 내장되어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 도 3의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에는 도 1의 약제 혼합 장치의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약제 혼합 장치(300)는, 약병 수납부(100)와 장치 본체(200)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 장치 본체(200)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장치 본체(200)의 내부는 편심 구조의 회전모터(220), 전원 스위치(210), 및 전원 공급원인 휴대용 전지(230)로 구성되어 있다. 휴대용 전지(230)에서 공급된 전원은 전원연결 단자(211)를 경유하여 편심 구조의 회전모터(220)로 전달되며, 이때 전원연결 단자(211)에 연결된 전원 스위치(210)를 통해 전원의 ON/OFF를 제어하게 된다. 회전모터(220)에는 편심 구조의 회전추(221)가 장착되어 있으며, 회전 모터(220)가 작동하게 되면, 편심 구조의 회전추(221)에 의해 유발된 편심 모멘트 에 의해 고진동이 발생된다. 발생된 진동은 약병 수납부(100)로 전달되며, 약병 수납부(100) 내에 소정의 공차를 두고 장착되어 있는 약병(400)은 진동 및 회전 동작을 수반하면서 약병(400) 내에 들어있는 약제성분들을 혼합하게 된다.
도 4에는 도 1의 약제 혼합 장치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을 참조하면, 약병 수납부(100)에 장착된 약병(400)은 작동과정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위해 스커트(120)에 의해 감싸져 있으며, 장치 본체(200)의 일 측면에는 전원 스위치(210)가 설치되어 있다. 전원 스위치(210)에 연결된 전원 연결단자는 전원 공급부와 편심 구조의 회전 모터 사이의 전원공급 여부를 제어하게 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약제 혼합 장치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약제 혼합 장치(700)의 작동원리는 기본적으로 도 1의 경우와 동일하나, 약제 혼합시 바닥에 놓고 작동시킨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약병 수납부(500)의 내부에는 바이알(vial) 형태의 약병(400)이 소정의 공차를 두고 장착되어 있고, 약병(400)이 장착되는 대응 내측면에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고무 재질의 충격 완충부재(510)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약병(400)의 상단에 대응하는 약병 수납부(500)의 내부에는 압축 스프링(520)이 설치되어 있어서, 약병(400)을 정위치시키고 상하 운동을 유발하여 약제성분들의 혼합 효율성을 더욱 높인다.
또한, 장치 본체(600)는 일 측면에 전원 스위치(610)가 형성되어 있는 원기 둥 형태이며, 하단 일 측면에 장착되어 있는 수평 받침대(620)를 통해 장치(700)의 균형을 유지하게 된다.
도 6에는 도 5의 약제 혼합 장치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약병 수납부(500)에 약병(400)이 수납된 상태로 바닥에 놓여져 있는 구조이다. 약병 수납부(500)의 하단에는 또 다른 압축 스프링(540)이 설치되어 있고, 장치 본체(600)의 하단에는 수평 받침대(620)가 설치되어 있다. 압축 스프링(540)과 수평 받침대(620)에 의해서 장치(600)는 수평을 유지함과 동시에 작동과정에서 바닥과의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제 혼합 장치의 구조 및 작동 과정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약제 혼합 장치는, 다른 성분과 장기간 혼합된 상태에서는 불안정한 약제를, 1 회 주사 투여 또는 일정기간의 연속적인 투여를 위해, 사용 직전에 다른 약제, 용매 등과 높은 균일도로 혼합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로 인해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휴대가 가능하여 필요한 장소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약제 혼합 장치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A 부위의 확대 투시도이다;
도 3는 도 1의 약제 혼합 장치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은 도 1의 약제 혼합 장치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제 혼합 장치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약제 혼합 장치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500: 약병 수납부 110, 510: 충격흡수용 부재 (스펀지)
200, 600: 장치 본체 210, 610: 전원 스위치
220: 편심구조의 회전모터 300, 700: 약제 혼합 장치
400: 약병

Claims (15)

  1. 두 종류 이상의 서로 다른 약제성분이 담겨 있는 약병을 진동 및 회전에 의해 혼합하는 약제 혼합 장치로서,
    약병이 소정의 공차를 두고 장착되며, 일면이 개방되어 있는 약병 수납부;
    상기 약병 수납부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외면에 전원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는 장치 본체; 및
    상기 장치 본체에 내장되어 있는 편심 모터와 전원 공급부;
    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제공된 전원에 의해 편심 모터가 진동을 발생시키면, 발생된 진동에 의해 상기 약병 수납부에 장착된 약병이 진동 및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혼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차의 크기는 약병 수납부의 내경을 기준으로 0.5 ~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혼합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차의 크기는 약병 수납부의 내경을 기준으로 1 ~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혼합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약제성분은 각각 고상의 제 1 물질과 액 상의 제 2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혼합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물질은 제 2 물질에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혼합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물질은 성장호르몬의 서방형 분말 약제이고, 상기 제 2 물질은 오일형 주사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혼합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병 수납부는, 삽입된 약병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도록, 약병 수납부의 대응 내측면에는 충격 흡수용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혼합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용 부재는 스펀지 또는 고무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혼합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약병에 대응하는 약병 수납부의 상단면에는 탄력적인 완충부재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혼합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병 수납부의 개방된 일면의 일측 또는 양측에, 삽입된 약병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커트 구조의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혼합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휴대용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혼합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는 손에 쥐기 편한 그립 구조의 원기둥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혼합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의 하단 일 측면에는 수평 받침대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혼합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의 상단 일 측면에는 충격 완충부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혼합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완충부는 압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혼합 장치.
KR1020080015227A 2007-02-22 2008-02-20 약제 혼합 장치 KR1009515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645 2007-02-22
KR20070017645 2007-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557A KR20080078557A (ko) 2008-08-27
KR100951550B1 true KR100951550B1 (ko) 2010-04-09

Family

ID=39710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5227A KR100951550B1 (ko) 2007-02-22 2008-02-20 약제 혼합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51550B1 (ko)
WO (1) WO20081030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531B1 (ko) * 2009-09-25 2010-04-23 정수영 약제혼합장치
CN112156696A (zh) * 2020-09-10 2021-01-01 绍兴慧行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多轴运动原理的印染搅拌装置及其搅拌方法
WO2023214243A1 (en) 2022-05-03 2023-11-09 Thomas Edwards Enhanced mixing device, system and method of mixing
GB2610674A (en) * 2022-05-03 2023-03-15 Joseph Edwards Thomas Mixing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mix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17998A1 (en) 1993-03-25 1994-10-05 Corob S.R.L. An agitator for mixing or blending various products, in particular paints, varnishes or the like
JPH0952039A (ja) * 1995-08-17 1997-02-25 Iijima Kogyo Kk 振動体の加振装置
US5906433A (en) 1994-10-11 1999-05-25 Corob S.R.L. Mixer for products generally disposed in containers and a unit particularly adaptable to the mixer, for supporting and clamping at least one of the containers
CA2300030A1 (en) 1999-03-05 2000-09-05 Labplas Inc. Device for blending the contents of a ba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5270A (en) * 1982-10-18 1983-11-15 Red Devil Inc. Paint mixer container clamping device with inertially driven can rotating function
ES2022636B3 (es) * 1987-11-16 1991-12-01 Ici Plc Agitador de pinturas.
DE4432993C1 (de) * 1994-09-16 1996-06-20 Byk Gulden Lomberg Chem Fab Mischeinrichtung für mittels einer Spritze zu verabreichende Mitte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17998A1 (en) 1993-03-25 1994-10-05 Corob S.R.L. An agitator for mixing or blending various products, in particular paints, varnishes or the like
US5906433A (en) 1994-10-11 1999-05-25 Corob S.R.L. Mixer for products generally disposed in containers and a unit particularly adaptable to the mixer, for supporting and clamping at least one of the containers
JPH0952039A (ja) * 1995-08-17 1997-02-25 Iijima Kogyo Kk 振動体の加振装置
CA2300030A1 (en) 1999-03-05 2000-09-05 Labplas Inc. Device for blending the contents of a b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03004A1 (en) 2008-08-28
KR20080078557A (ko) 2008-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1550B1 (ko) 약제 혼합 장치
JP6676740B2 (ja) 連結容易な移送システム
US65002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dissolved gas from a solution
RU97104030A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 стабильный препарат оксалиплатины
ATE420684T1 (de) System zum füllen und montieren von pharmazeutischen abgabevorrichtungen
WO2005016405A3 (en) Infusion apparatus with constant force spring energy source
US20070244467A1 (en) Self-Filling Two Chamber Injectable Device
KR970704434A (ko) 약학적으로 안정한 옥살리플라티늄 제제(pharmaceutically stable oxaliplatinum preparation)
NO980963D0 (no) Anordning for legemiddellevering
JP2004511306A (ja) 受容体と容器との間を結合するデバイス、およびそのデバイスを含む即使用可能なアセンブリ
US20020022804A1 (en) Syringe device
EP3411005B1 (en) Medical metering device
JPWO2018181531A1 (ja)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包装体
KR101814010B1 (ko) 피부 미용 기기
RU2676517C2 (ru) Шприц-ручка
KR20200019399A (ko) 마이크로 니들 피부미용기기
CN210252103U (zh) 一种护士用混药装置
JP2008539838A (ja) 薬剤懸濁液及び異なる密度を有する混合要素を内包するカートリッジ
KR101439466B1 (ko) 약물 주사 장치 및 약물 주사용 키트
JP6881807B1 (ja) 注射器充填装置
US10391233B2 (en) Drug delivery kit,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drug delivery system
CN211913584U (zh) 用于护理科的西林瓶摇匀器
CN213348635U (zh) 外科用药物振荡器
CN218422392U (zh) 一种药物振荡器
KR200337785Y1 (ko) 정제 약의 계수 포장장치용 진동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