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1167B1 -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 및 스마트 공간 저작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 및 스마트 공간 저작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51167B1 KR100951167B1 KR1020080010809A KR20080010809A KR100951167B1 KR 100951167 B1 KR100951167 B1 KR 100951167B1 KR 1020080010809 A KR1020080010809 A KR 1020080010809A KR 20080010809 A KR20080010809 A KR 20080010809A KR 100951167 B1 KR100951167 B1 KR 1009511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space
- smart
- objects
- smart spa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 및 그 제공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는 공간 및 상기 공간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들을 포함하는 스마트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스마트 공간 정보 DB(Database), 상기 스마트 공간을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DB, 상기 공간과 상기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 조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조건 정보 DB 및 상기 스마트 공간에 대한 정보,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설정 조건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공간 및 상기 오브젝트들이 상기 사용자에게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평가정보를 출력하는 평가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간 디자인 저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간을 인식할 수 있는 맵, 상기 공간에 위치하는 오브젝트 및 사용자에 따른 상기 공간과 상기 오브젝트와의 관계의 적합성을 평가하고 추천해줄 수 있는 공간 디자인 저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많은 정보가 획득 및 제공되는 네트워크 환경이 삶의 패턴이자 기반이 되는 미래 사회에 대응하는 새로운 주거 유형은 기존의 주거 및 사무 공간과는 다른 장치와 시스템 및 서비스의 구축으로 인해 새로운 생활양식의 변화가 예상되며 공간의 물리적인 변화도 그에 맞게 변화되어야 한다. 지능형 공간은 개인의 정보화를 촉진하고 생활의 편리성과 효율성을 증대시키며, 국가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공간으로서 건전하게 정착, 활성화시키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술과 사용자와 공간의 관계성을 토대로 한 주택, 건축공간의 개발과 연구가 필요하며 공간 디자인에 적극 반영되어야한다.
따라서, 공간의 형태와 공간 내의 건축적 구성요소와 주요 사물에 대해 정리 하여 사용자에 따른 공간의 최종 목표를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지능형 공간 내에 적용되는 유비쿼터스 기술의 적용범위와 소비자 욕구에 맞는 서비스를 분석하여 지능형 환경에서 공간, 사용자, 사물의 관계를 알 수 있는 공간 저작(디자인) 도구(어플리케이션)이 절실히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지능형 공간과 상기 지능형 공간 내의 주요 오브젝트들을 사용자의 특성 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물리적 공간의 효율적인 디자인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저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는 공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공간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스마트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스마트 공간 정보 DB(Database),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DB, 상기 공간과 상기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 조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조건 정보 DB, 및 상기 스마트 공간에 대한 정보,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설정 조건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공간 및 상기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적합성에 대한 평가정보를 출력하는 평가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공간에 대한 정보는 상기 오브젝트들 각각의 관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공간과 상기 오브젝트들 간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성별, 나이, 신체조건, 능력, 또는 직업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 조건에 대한 정보는 법률상의 상기 공간 및 상기 오브젝트들의 규격에 대한 정보 또는 관리자 설정 조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설정 조건에 대한 정보는 상기 공간 및 상기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 간의 사용자 동선에 대한 정보, 상기 공간 및 상기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 간의 위치 관계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공간의 특성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 조건에 대한 정보는 상기 공간의 위치/크기에 대한 정보, 상기 오브젝트들 각각의 위치/크기에 대한정보, 상기 오브젝트들 간의 위치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공간과 상기 오브젝트간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가 정보는 상기 설정 조건에 어긋나는 공간 또는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가 정보는 상기 설정 조건에 어긋나는 공간 또는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설정 조건에 부합되도록 하기 위한 추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는 상기 공간 또는 상기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계 도면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설계 도면에 상응하는 상기 스마트 공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 공간 정보 DB로 출력하기 위한 스마트 공간 입력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공간에 대한 정보는 표준 공간 데이터에 의한 공간 맵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 제공 방법은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가 공간 및 상기 공간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들에 대한 정보, 사용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공간과 상기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 조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공간에 대한 정보,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설정 조건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공간 및 상기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적합성에 대한 평가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 제공방법은 상기 공간 또는 상기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계 도면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설계 도면에 상응하는 상기 공간 또는 상기 공간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는 스마트 공간의 형태와 사용자 행위 또는 사용자의 특성을 분류하여 공간 내의 건축적 구성요소와 주요 사물에 대해 정리하여 공간의 최종 목표에 따른 기본 행위의 분석이 가능하고 또한 공간 내에 적용되는 유비쿼터스 기술의 적용범위와 소비자 욕구에 맞는 서비스를 분석하여 지능형 환경에서 공간, 사용자, 사물의 관계 파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지능형 공간 내의 디지털 기기, 공간 사용자, 실별 사용 용도에 따라 물리적 공간의 효율적인 디자인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를 통하여 변이되는 데이터들은 지능형 공간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알 수 있고 그것을 이용하여 건축구성요소 데이터의 시각적인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물리적 공간과 사용자, 적용 기술 간의 관계성을 한눈에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의 개략적인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100)는 평가 모듈(110), 스마트 공간 정보 DB(Database, 120), 사용자 정보 DB(130), 및 조건 정보 DB(140)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100)는 스마트 공간 입력 모듈(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DB라 함은, 각각의 DB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DB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상기 DB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DB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DB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평가 모듈(11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공간, 공간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들, 및 사용자 특성 또는 사용자의 행위에 따라 상기 공간과 상기 오브 젝트들 및 상기 사용자의 적합성에 대한 평가 및 추천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연산 및 제어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평가 모듈(110)은 필요한 데이터의 입출력의 제어 및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공 등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평가 모듈(110)의 구체적인 기능들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서 개시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공간 정보 DB(120)는 공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공간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스마트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상기 스마트 공간에 대한 정보라 함은, 공간의 위치, 크기 등을 소프트웨어가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공간에 위치한 오브젝트를 인식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공간에 대한 정보는 3차원의 공간을 인지할 수 있는 공간 맵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공간을 인지할 수 있다고 함은 어플리케이션(즉, 상기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100)) 자체가 공간을 인식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100)는 공간의 위치, 크기 뿐만 아니라, 공간을 구성하는 공간 구성요소(예컨대, 벽, 기둥, 천장, 바닥 등)의 위치 및 크기 등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공간 맵은 본 출원인이 출원한 한국특허출원(10-2007-0060641, "공간 맵 저작 방법 및 그 도구, 공간 맵을 이용한 자동화 시스템", 이하 '전출원')에 개시된 표준 공간 데이터를 이용한 공간 맵일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 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공간을 인식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출원에 개시된 내용 및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될 수 있으며 또한 레퍼런스로 사용될 수 있다.
전출원에는 공간을 이루는 구성요소 위주로 기술되었지만, 공간에 위치한 오브젝트들 역시 공간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로 취급하는 경우에는, 전출원에 개시된 방법에 의해 상기 공간 맵 자체에 상기 오브젝트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전출원에는 공간을 계층적인 그래프로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공간에 위치한 오브젝트들 역시 계층적인 그래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 및 공간에 위치한 오브젝트들의 일 예를 나타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공간 및 공간에 위치한 오브젝트들에 상응하는 스마트 공간에 대한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다.
전출원에 개시된 내용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방(room)은 지붕(roof), 벽 1, 2, 3, 및 4(wall 1, 2, 3, and 4), 문(door), 창문 1, 2, 3, 4, 및 5(window 1, 2, 3, 4, and 5), 및 바닥(floor)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방에는 여러 가지 물건들(예컨대, 디스플레이, 테이블, 의자 1,2,3 , 침대, 및 책상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공간(예컨대, 방)은 계층적인 그래프로 표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 예가 도 6에 도시된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평균적 전문가에게 트리가 그래프의 부분 집합임은 널리 공지된 바이며, 그래프 이론에 대해서는 전산학에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는 도 5에 도시된 공간 및 오브젝트들을 방향 그래프(di-graph)로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방(V1)은 지붕(V2), 바닥(V3), 및 벽들(V4, V5, V6, V7))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벌텍스 V1으로부터 V2, V3, V4, V5, V6, 및 V7으로 에지(edge)가 있다.
지붕(V2)은 벽들(V4, V5, V6, V7)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지붕(V2)으로부터 벽들(V4, V5, V6, V7)로 에지가 있다. 물론, 방(V1)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표현하기 위한 에지(V1으로부터 V2, V3, V4, V5, V6, 및 V7)와 지붕(V2)과 연결된 벽들(V4, V5, V6, V7)을 표현하기 위한 에지(V2로부터 V4, V5, V6, V7))는 그 종류가 다를 수도 있다. 즉, ‘구성’을 표현하는 에지와 ‘연결’을 표현하는 에지를 구분하기 위해 소정의 정보를 그래프 데이터 구조에서 더 사용할 수도 있다. 또는, 벌텍스들(예컨대, 방과 벽 또는 지붕과 벽)의 정보에 기초하여 ‘구성’을 표현하는 에지인지 ‘연결’을 표현하는 에지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바닥(V3)과 벽들(V4, V5, V6, V7)은 연결되어 있으므로, 바닥(V3)로부터 벽들(V4, V5, V6, V7)로 에지가 있다.
또한, 벽들(V4, V5, V6, V7)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연결 상태를 표현하기 위한 에지가 존재한다. 예컨대, 벽1(V4)과 벽2(V5)는 연결되어 있으므로, 서로 에지가 존재하고, 벽2(V5)와 벽3(V6)은 연결되어 있으므로, 서로 에지가 존재한다. 또한, 벽3(V6)과 벽4(V7)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서로 에지가 존재한다. 여기서 벽 4(V7)는 도 6의 정면방향의 벽을 의미한다.
또한, 벽1(V4)에는 문(V8)과 창문들(V9, V10)이 있으므로, 각각 에지가 존재한다. 또한, 문(V8)과 창문들(V9, V10)은 같은 벽(V4)에 존재하는 개구(opening)로써 서로 에지가 존재한다. 이때에는 각 개구의 위치된 순서에 따라 서로 에지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문(V8)은 바닥(V3)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에지가 존재한다.
벽3(V6)에는 창문들(V11, V12, V13)이 있으므로, 각각 에지가 존재한다. 그리고, 창문들(V11, V12, V13)은 위치된 순서에 따라 서로 에지가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5에 도시된 실제 공간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층적인 그래프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계층(트리에서는 형제 노드(sibling_node))의 벌텍스끼리의 연관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에지를 더 표현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오브젝트들도 도 6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즉, 물건들도 공간에 위치하면 공간을 구성하는 객체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조명기구(light)는 방과 천장에 위치하므로 그에 상응하는 버텍스(V1, V2)에 에지로 연결될 수 있다. 물론, 방과 천장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위치에 존재하는지는 조명기구(light)에 상응하는 버텍스(V21) 또는 대응되는 에지에 소정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V17)에 대응되는 벌텍스(V17)는, 벽2(V5)로부터 에지로 연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침대를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 침대에 대응되는 벌텍스(V20)를 생성하고, 벽2(V5), 벽3(V6), 및 바닥(V3)으로부터 침대(V15)로의 에지를 생성하면 된다. 즉, 공간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들도 동일한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그 오브젝트가 공간의 정확히 어떠한 위치에 존재하는지도 대응되는 버텍스 또는 에지에 상응하는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브젝트들 각각의 관계에 대한 정보도 도 6에 도시된 계층적 그래프에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의자1, 2, 3(V14, V15, V16)이 각각 연관(예컨대, 같은 종류의 물건)이 있다면, 대응되는 버텍스(V14, V15, V16)는 소정의 에지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자1 및 2는 테이블(V18)과 연관(예컨대, 주물과 종물)이 있다면, 또한 대응되는 버텍스(V14, V15)는 소정의 에지로 연결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공간에 대한 정보는 전출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공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공간에 위치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표준 공간 데이터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100)가 공간을 인식할 수 있고, 상기 공간에 위치한 오브젝트를 인식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 DB(130)는 상기 공간을 사용할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그럼으로써 상기 사용자에 적합한 공간을 저작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사용자 정보 DB(130)에는 상기 사용자의 성별, 나이, 신체조건, 능력, 또는 직업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 DB(130)에 저장된 정보의 적어도 일부는 공간 또는 오브젝트들의 적합성을 평가하거나 추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나이 또는 키에 따라 적합한 문의 손잡이의 위치 또는 창문의 높이가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평가모듈(110)은 상기 사용자 정보 DB(130)에 저장된 정보와 상기 스마트 공간 정보 DB(12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문의 손잡이의 위치 또는 창문의 높이가 적당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적당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솔루션(solution)에 대한 정보는 소정의 저장장치(미도시)에 별도로 저장되거나, 상기 평가모듈(110)에 포함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나이 또는 키에 따른 적합한 문의 손잡이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소정의 저장장치(미도시) 또는 상기 평가모듈(110)에 미리 저장해 둘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평가모듈(110)은 상기 스마트 공간에 포함된 각각의 공간 또는 오브젝트가 상기 사용자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결과 상기 적합하지 않은 경우, 적합하지 않은 공간 또는 오브젝트들에 대한 정보를 소정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거나, 상기 솔루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합한 위치 또는 변경사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문의 손잡이의 위치 또는 창문의 높이는 무한정 변경될 수 있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예컨대, 건축법 또는 기타 법률, 규정 등의 규제에 의하여 건축 공간 또는 오브젝트는 변경 가용한 폭이 정해질 수 있다. 예컨대, 문의 손잡이는 지상에서 소정의 위치 이상에 존재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는 경우에는 적어도 이러한 규정에 맞도록 상기 평가모듈(110)이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거나 추천할 수 있다.
또는, 관리자가 미리 조건을 설정해둘 수도 있다. 예컨대, 공간의 종류 또는 용도에 따라 창문의 크기는 얼마 이상이 되도록 미리 설정해둘 수 있다면, 상기 평가모듈(110)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거나 추천할 수 있다. 이러한 규정 또는 조건은 상기 조건 정보 DB(140)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자라고 함은 상기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100)를 실질적으로 운용하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관리자는 상기 조건 정보 DB(140)에 상기 공간 및 상기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 간의 사용자 동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 및 상기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 간의 위치 관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공간의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조건들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필요한 다른 조건들에 대한 정보(예컨대, 특정 공간의 위치/크기에 대한 조건, 상기 오브젝트들 각각의 위치/크기에 대한 조건, 상기 오브젝트들 간의 위치에 대한 조건, 또는 상기 공간과 상기 오브젝트간의 위치에 대한 조건 등)은 디폴트(default)로 상기 조건 정보 DB(140)에 저장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를 이용해 관리자가 미리 설정해 둘 수 있는 조건 또는 상기 조건 정보 DB(140)에 저장될 수 있는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다.
예컨대, 관리자는 부엌 공간에서는 냉장고와 수납장을 오고 가는 동선을 가장 짧게 설정해둘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평가모듈(110)은 상기 스마트 공간 정보 DB(120)에 포함된 상기 수납장의 위치 및 상기 냉장고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냉장고 또는 상기 수납장의 가용 위치에 대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장이 냉장고와 가까운 벽 쪽에 위치할 공간이 존재한다면, 도 2에 도시된 공간과 오브젝트는 관리자가 설정해 둔 조건에 적합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적합하지 않은 상기 수납장과 상기 냉장고를 표시하기 위해 소정의 마크(10)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장이 상기 냉장고에 위치할 수 있는 가장 가까운 위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것은 상기 평가모듈(110)이 상기 스마트 공간 정보 DB(12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납장 또는 냉장고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고, 파악된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수납장 또는 냉장고가 위치할 수 있는 가용 위치에 대한 정보를 판단한 후, 가용 위치별 최단 동선을 계산할 수 있다. 최단동선이라 함은, 오브젝트들, 공간들, 또는 오브젝트와 공간 사이에서의 최단거리를 의미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실제 이동할 수 있는 거리 중의 최단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공간 정보 DB(120)에 저장된 정보 중 문의 손잡이의 위치가 상기 사용자 정보 DB(130)에 저장된 사용자의 키에 비해 너무 낮게 설정된 경우, 상기 평가모듈(110)은 상기 손잡이 위치를 변경할 것을 추천해 줄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의 키 별 손잡이의 위치에 대한 솔루션 정보가 소정의 저장장치 또는 상기 평가모듈(110)에 포함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평가모듈(110)은 구체적으로 변경할 위치(예컨대, 위로 10cm 등)를 추천해 줄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 위치를 규정하는 소정의 규정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규정은 상기 조건 정보 DB(140)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평가모듈(110)은 이러한 규정을 충족하는 한도에서 추천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공간이 감시 카메라에 모두 노출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평가모듈(110)은 상기 감시 카메라의 가용 촬영 폭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노출되지 않는 공간에 대한 정보를 소정의 마크(2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감시 카메라 중 일부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감시 카메라를 추가로 설치하도록 추천해 줄 수도 있다. 물론, 이때에는 상기 감시 카메라의 가용 촬영 폭에 대한 정보는 상기 감시 카메라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소정의 특성(attribute) 필드로서 저장될 수 있다.
관리자는 도 4와 같이 디스플레이되는 공간에서 직접 입력장치(예컨대, 마우스 등)를 통해 공간 또는 오브젝트(예컨대, 감시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할 수도 있다. 변경된 공간 또는 오브젝트에 따라 상기 스마트 공간 정보 DB(120)에 저장된 정보는 변경될 수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기술적 사상은 전출원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관리자는 공간의 특성 또는 용도에 대한 정보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평가모듈(110)은 상기 조건 정보 DB(140)에 미리 저장된 공간의 특성 또는 용도별 조건에 따라 적합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관리자는 특정 공간을 공부방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건 정보 DB(140)에는 공부방의 특성 또는 용도에 따른 조건들이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책상과 조명의 위치에 대한 정보, 조명의 밝기에 대한 정보, 또는 창문의 크기에 대한 정보 등이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100)는 공간의 특성 또는 용도를 지정하여 사용자에 적합한 공간을 저작할 수도 있다. 예컨대, 관리자가 공부방을 선택하면,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적합한 공부방의 공간 및 오브젝트의 형태를 템플릿(template)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템플릿은 특성 또는 용도별 공간의 기준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템플릿을 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관리자는 일일이 공간 또는 오브젝트의 위치 크기를 설계할 필요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100)는 다양한 형태의 설계 도면 등을 임포트(import)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오토캐드(Autocad)로 설계된 공간이 존재한다면, 이는 단지 점과 선으로 구성된 설계 도면에 불과한 것이어서 상기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100)가 상기 설계 도면을 인식하여 특정 공간에서 공간 사이의 경로 또는 오브젝트와의 관계 등을 인식할 수 없다. 즉, 상기 설계 도면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100)가 직접 사용할 수 없으므로, 상기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100)가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 공간에 대한 정보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100)는 스마트 공간 입력 모듈(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공간 입력 모듈(150)은 상기 공간 또는 상기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계 도면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설계 도면에 상응하는 상기 스마트 공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 공간 정보 DB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설계 도면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공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스마트 공간에 대한 정보가 전출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표준 공간 데이터에 의한 공간 맵에 대한 정보라면, 전출원에 개시된 임포트부(170)와 같은 방법으로 임포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스마트 공간 입력 모듈(150)는 수신된 설계 도면을 디스플레이 해주면서 사용자로 하여금 그 위에 다시 드로잉 정보를 그리게 하고, 속성 정보를 입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스마트 공간 입력 모듈(150)은 수신된 설계 도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설계 도면 위에 상기 설계 도면과 동일한 도면을 그릴 수 있다.
관리자로 하여금 상기 설계 도면을 새롭게 그리게 할 때에는 상기 스마트 공간 입력 모듈(150)은 상기 설계 도면 위의 점과 선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를 정확하게 그리도록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설계 도면의 점 또는 선의 위치 근처에 입력장치(예컨대, 마우스)를 가까이 가져가면, 상기 설계 도면의 점 또는 선의 위치로 상기 입력장치를 이동시키는 기능(예컨대, CAD의 OSNAP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스마트 공간 입력 모듈(150)은 자동으로 상기 설계 도면에 대응되는 도면을 새롭게 그리면서, 상기 설계 도면에 위치한 점 또는 선의 적어도 일부분의 위치가 불분명한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전술한 OSNAP 기능등을 이용하여 상기 설계 도면에 위치한 점 또는 선의 일부분의 위치확인을 받을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공간에 대한 정보를 3차원으로 디스플레이하여 보여줄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하게 하거나, 공간의 특성 또는 용도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오브젝트 별 조건(예컨대, 의자는 공부에 적합한 의자, 화면의 사이즈 등) 및 공간에 대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의 구성요소에 대한 세부정보를 디스플레이해 줄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100)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관리자가 직접 다양한 공간을 설계할 수 있는 툴(tool)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축구성요소 데이터의 시각적인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물리적 공간과 사용자, 적용 기술 간의 관계성을 한눈에 인지할 수 있는 효과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의 개략적인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가 공간을 평가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가 공간을 평가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가 공간을 평가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공간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공간에 대한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다.
Claims (12)
- 공간 및 상기 공간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들을 포함하는 스마트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스마트 공간 정보 DB(Database);상기 스마트 공간을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DB;상기 스마트 공간에 포함된 상기 공간과 상기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 조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조건 정보 DB; 및상기 스마트 공간에 대한 정보,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설정 조건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공간에 포함된 상기 공간 및 상기 오브젝트들이 상기 사용자에게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평가정보를 출력하는 평가모듈을 포함하고,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판단 결과 적합하지 않은 경우, 적합하지 않은 공간 또는 오브젝트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공간에 대한 정보는,상기 오브젝트들 각각의 관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공간과 상기 오브젝트들 간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는,상기 사용자의 성별, 나이, 신체조건, 능력, 또는 직업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조건에 대한 정보는,상기 공간 및 상기 오브젝트들의 규격에 대한 법률상의 정보 또는 관리자 설정 조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설정 조건에 대한 정보는,상기 공간 및 상기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 간의 사용자 동선에 대한 정보, 상기 공간 및 상기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 간의 위치 관계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공간의 특성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조건에 대한 정보는,상기 공간의 위치 또는 크기에 대한 정보, 상기 오브젝트들 각각의 위치 또는 크기에 대한정보, 상기 오브젝트들 간의 위치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공간과 상기 오브젝트간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정보는,상기 설정 조건에 어긋나는 공간 또는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정보는,상기 설정 조건에 어긋나는 공간 또는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설정 조건에 부합되도록 하기 위한 추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공간 또는 상기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계 도면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설계 도면에 상응하는 상기 스마트 공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 공간 정보 DB로 출력하는 스마트 공간 입력 모듈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공간에 대한 정보는,표준 공간 데이터에 의한 공간 맵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
-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가 공간 및 상기 공간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들을 포함하는 스마트 공간에 대한 정보, 사용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공간과 상기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 조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상기 스마트 공간에 대한 정보,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설정 조건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공간에 포함된 상기 공간 및 상기 오브젝트들이 상기 사용자에게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평가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평가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결과 적합하지 않은 경우, 적합하지 않은 공간 또는 오브젝트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의 스마트 공간 저작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의 스마트 공간 저작 방법은,상기 공간 또는 상기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계 도면을 수신하는 단계; 및수신된 상기 설계 도면에 상응하는 상기 공간 또는 상기 공간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의 스마트 공간 저작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10809A KR100951167B1 (ko) | 2008-02-01 | 2008-02-01 |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 및 스마트 공간 저작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10809A KR100951167B1 (ko) | 2008-02-01 | 2008-02-01 |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 및 스마트 공간 저작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84558A KR20090084558A (ko) | 2009-08-05 |
KR100951167B1 true KR100951167B1 (ko) | 2010-04-06 |
Family
ID=41205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10809A KR100951167B1 (ko) | 2008-02-01 | 2008-02-01 |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 및 스마트 공간 저작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51167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61893A (ko) * | 1999-12-29 | 2001-07-07 | 김문수 | 가상환경에서의 이사짐 배치 방법 및 시스템 |
KR20020005206A (ko) * | 2000-06-26 | 2002-01-17 | 권대현 | 인터넷상에 주택 공간을 구축하는 방법 및 구축된 주택공간을 이용한 광고 방법 |
KR20020086323A (ko) * | 2002-08-08 | 2002-11-18 | 한용복 | 인터넷을 이용한 디자인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
KR20070087916A (ko) * | 2006-02-03 | 2007-08-29 | 엔에이치엔(주) | 가구 배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
2008
- 2008-02-01 KR KR1020080010809A patent/KR10095116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61893A (ko) * | 1999-12-29 | 2001-07-07 | 김문수 | 가상환경에서의 이사짐 배치 방법 및 시스템 |
KR20020005206A (ko) * | 2000-06-26 | 2002-01-17 | 권대현 | 인터넷상에 주택 공간을 구축하는 방법 및 구축된 주택공간을 이용한 광고 방법 |
KR20020086323A (ko) * | 2002-08-08 | 2002-11-18 | 한용복 | 인터넷을 이용한 디자인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
KR20070087916A (ko) * | 2006-02-03 | 2007-08-29 | 엔에이치엔(주) | 가구 배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84558A (ko) | 2009-08-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37096B1 (ko) | 3차원 bim 객체 모델을 이용한 3차원 모니터링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모니터링 시스템 | |
US11914928B2 (en) | Method for moving and aligning 3D objects in a plane within the 2D environment | |
US11106842B2 (en) | Structural design systems and methods for floor plan simulation and modeling in mass customization of equipment | |
Atazadeh et al. | Extending a BIM-based data model to support 3D digital management of complex ownership spaces | |
Kulahcioglu et al. | A 3D analyzer for BIM-enabled Life Cycle Assessment of the whole process of construction | |
US20130222373A1 (en) | Computer program,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and searching units in a multi-level structure | |
US9398413B1 (en) | Mapping electronic devices within an area | |
Barzegar et al. | 3D BIM-enabled spatial query for retrieving property boundaries: a case study in Victoria, Australia | |
US20150113462A1 (en) | Generating an operational user interface for a building management system | |
JP5895037B2 (ja) | 建築情報統合管理システムおよび建築情報統合管理プログラム | |
US20190107940A1 (en) | Map-like interface for an electronic design representation | |
CN110968905B (zh) | 房屋空间区域分配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 |
WO2013123675A1 (en) | Provid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data | |
US20130289945A1 (en) | System and Method for Space Utilization Optimization and Visualization | |
WO2016081628A1 (en) | System and method for aggregating and analyzing data and creating a spatial and/or non-spatial graphical display based on the aggregated data | |
CN104700225A (zh) | 房产测绘管理系统 | |
CN110175355B (zh) | 一种基于机器学习的建筑匹配方法及装置 | |
KR101362126B1 (ko) | 단위공간 개념을 도입한 3차원 공간 그래픽 기반의 공사비 및 공사기간 예측 시스템 | |
KR100951167B1 (ko) | 스마트 공간 저작 장치 및 스마트 공간 저작 방법 | |
Yeh et al. | The iHelmet: An AR‐Enhanced Wearable Display for BIM Information | |
JP2005201919A (ja) | 建物情報案内装置および方法 | |
Gotlib et al. | Cartographical presentation of BIM models | |
Krumm et al. | Data Store Issues for Location-Based Services. | |
KR101475287B1 (ko) | 공간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 |
Ngowtanasuwan | An application of mathematical model for decision in building plan desig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