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1084B1 - 빗물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빗물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1084B1
KR100951084B1 KR1020090121427A KR20090121427A KR100951084B1 KR 100951084 B1 KR100951084 B1 KR 100951084B1 KR 1020090121427 A KR1020090121427 A KR 1020090121427A KR 20090121427 A KR20090121427 A KR 20090121427A KR 100951084 B1 KR100951084 B1 KR 100951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reservoir
water
auxiliary tank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1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휴먼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휴먼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휴먼기술
Priority to KR1020090121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10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3Press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빗물저수조에 저장된 빗물이 다단의 격벽을 순차로 통과하면서 자연 정화되도록 하여 깨끗한 빗물을 다양한 사용처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집수부에 수집된 빗물이 빗물저수조에 입수되는 과정에서 수압차를 극복하고 원활하게 입수되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입수되는 과정에서의 낙하충격에 의한 빗물의 교란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빗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빗물 처리 장치는, 빗물을 수집하는 집수부; 상기 집수부에 연결된 낙수관을 통해 낙하되는 빗물이 저장되는 빗물저수조; 상기 빗물저수조 내에 저장된 빗물을 가압하여 이송하기 위한 펌프;및 상기 빗물저수조 내부에 전후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설치되어 상기 빗물저수조 내부를 복수의 격실로 구획함과 아울러 상기 빗물저수조에 작용하는 상하좌우의 토압을 지지하는 한편, 상부 일측에는 빗물이 통과하도록 개통구가 형성된 복수의 격벽;을 포함한다.
Figure R1020090121427
빗물처리, 교란방지, 빗물저수조, 챔버, 격벽, 보조탱크, 오버플로우 탱크

Description

빗물 처리 장치{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본 발명은 빗물을 집수하여 정화한 후에 다양한 사용처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빗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빗물저수조에 저장된 빗물이 다단의 격벽을 순차로 통과하면서 자연 정화되도록 하여 깨끗한 빗물을 다양한 사용처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집수부에 수집된 빗물이 빗물저수조에 입수되는 과정에서 수압차를 극복하고 원활하게 입수되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입수되는 과정에서의 낙하충격에 의한 빗물의 교란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빗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 볼 때 물 부족 국가에 속해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효율적인 수자원의 확보 및 활용 방안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향후 물부족에 따라 야기될 수 있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생활 용수의 절약, 다목적 댐의 건설 등 수자원 관리 뿐만 아니라 거의 활용되지 못하고 방류되는 빗물의 사용 방안에 대한 검토 및 개발이 강구되어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비가 집중적으로 내리는 우기(雨期)와 비가 거의 내리지 않는 건기(乾期)가 뚜렷이 구분되는 기후조건을 가지고 있어 댐 건설만으로는 수자 원 관리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으며, 우기에 빗물을 저장해 두었다가 건기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댐을 대규모로 건설해야 하고, 그에 따라 댐 건설 비용의 과다한 상승과 수몰 면적의 확대에 의한 환경 파괴의 문제점이 있는 바, 빗물의 효율적인 저장과 활용이 무엇보다도 시급한 실정이다.
도 1은 종래 빗물 처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종래 일반적인 빗물 처리 장치는 건물(1)의 옥상(2)이나 대지로 유입된 빗물을 한 곳으로 유도하여 수집하는 집수부(10)와, 상기 집수부(10)에 모인 빗물을 저장하여 사용처(41,42,43)로 공급하는 빗물저수조(20)를 포함한다.
상기 집수부(10)는 옥상(2)에 고인 빗물을 유도관(3)을 통해 낙하되도록 하여 수집하고, 상기 집수부(10)로 수집된 빗물은 낙수관(15)을 통해 지하에 매설된 빗물저수조(20)로 낙하시켜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빗물저수조(20)의 내부 일측에는 펌프(30)가 설치되어 빗물저수조(20) 내부에 저장된 빗물을 가압하여 공급관(35)을 통해 빗물의 사용처(41,42,43)로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빗물의 사용처(41,42,43)란 청소용수, 조경용수, 스프링쿨러 등이 사용되는 장소를 지칭한다.
그러나 종래의 빗물 처리 장치는 낙수관(15)을 통해 낙하되는 빗물이 빗물저수조(20)의 바닥면에 충돌할 때의 낙하충격에 의해 빗물저수조(20) 내에 저장된 빗물을 교란시킴으로 인해 빗물저수조(20) 바닥의 침전물(21)이 부유되어 빗물이 혼탁한 상태로 펌프(30)를 통해 사용처(41,42,43)로 공급됨으로써 일정 수준의 수질 을 요하는 사용처에서는 빗물을 재활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빗물저수조(20)가 대용량인 경우에는 빗물저수조(20) 내부의 수압이 대기압을 훨씬 상회하게 되므로 낙수관(15)을 통해 빗물이 제대로 유입되지 못하고 역류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빗물 처리 장치는 빗물저수조(20)가 단일의 탱크로 구성됨에 따라서, 비가 집중적으로 내리는 우기에는 빗물의 저장 능력에 한계가 있어 빗물을 효율적으로 재활용하지 못하고 그대로 방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반대로 비가 거의 내리지 않는 건기에는 빗물저수조(20) 내에 저장된 물이 고갈되어 빗물저수조(20)로부터 물을 공급받고자 하는 사용처(41,42,43)에 즉시 물을 공급하지 못하게 되어 사용처(41,42,43)에서는 별도의 물 공급원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야만 하므로 물의 수급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빗물 처리 장치의 빗물저수조(20)는 단순 박스형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어 주변의 설치 조건에 따라 지하 깊숙한 위치에 빗물저수조(20)가 매설될 경우에는 토압(土壓)을 견디지 못하고 외형이 변형 또는 파괴되어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빗물저수조 내에 저장된 빗물이 자연 정화되어 일정 수준의 수질을 갖는 빗물을 사용처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빗물저수조가 지하 깊은 곳에 매설되더라도 외부 토압을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갖는 빗물 처리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집수부에 수집된 빗물이 빗물저수조 내로 입수되는 과정에서 빗물의 교란을 최소화하고, 낙수관을 통해 낙하되는 빗물이 빗물저수조 내의 수압에 의해 역류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빗물저수조 내로 빗물이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빗물 처리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우기와 건기에 관계없이 사용처에 물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빗물 처리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빗물 처리 장치는, 빗물을 수집하는 집수부; 상기 집수부에 연결된 낙수관을 통해 낙하되는 빗물이 저장되는 빗물저수조; 상기 빗물저수조 내에 저장된 빗물을 가압하여 이송하기 위한 펌프;및 상기 빗물저수조 내부에 전후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설치되어 상기 빗물저수조 내부를 복수의 격실로 구획함과 아울러 상기 빗물저수조에 작용하는 상하좌우의 토압을 지지하는 한편, 상부 일측에는 빗물이 통과하도록 개통구가 형성된 복수의 격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격벽은 전후방에 인접된 격벽 간에 교번으로 일측과 타측 상부에 상기 개통구가 형성되어 빗물이 상기 전방에서 후방의 각 격실을 지그재그로 순차 통과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빗물저수조 내부에는 상기 낙수관을 통해 낙하되는 빗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내부에 마련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수용된 빗물이 상향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의 상측에는 수압을 지지하는 캡이 설치된 챔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챔버는 상기 낙수관을 통해 빗물이 낙하되는 최전방의 격실 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펌프는 상기 빗물저수조의 최후방의 격실 내의 빗물을 가압하여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빗물 처리 장치는 상기 펌프에 의해 가압 이송된 빗물을 저장하여 사용처에 공급하기 위한 보조탱크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탱크에는 빗물을 사용처로 공급하기 위한 배관이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보조탱크 내의 빗물 부족시에 상수도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기 위한 배관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탱크의 일측에는 상기 보조탱크 내에 저장된 빗물의 유량이 상기 보조탱크의 저장 허용 용량을 초과할 경우 오버플로우되는 여분의 빗물을 저장하고 배출하기 위한 오버플로우 탱크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처리 장치에 의하면, 빗물저수조 내부에 복수의 격벽을 설치하여 빗물이 빗물저수조로부터 보조탱크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이물질의 자연 침하로 인해 정화되도록 함으로써 일정 수준 이상의 수질을 갖는 빗물을 공급함과 동시에, 빗물저수조에 설치된 격벽에 의해 토압을 지탱하게 되어 빗물저수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낙수관을 통해 낙하되는 빗물이 빗물저수조 내에 구비된 챔버의 내부로 낙하된 뒤에 상방향으로 유로가 전환되어 빗물저수조에 유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챔버의 배출구 상측에 캡을 설치함으로써 빗물저수조로 낙하되는 빗물의 교란을 최소화하면서 수압에 의한 역류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빗물저수조와는 별도로 보조탱크를 구비하고 보조탱크에 사용처와 상수도원을 연결 설치함으로써 우기와 건기에 관계없이 사용처에 물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처리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처리 장치의 빗물저수조 내부에 구비되는 챔버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처리 장치의 빗물저수조가 격벽에 의해 구획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처리 장치의 빗물저수조 내에 서 빗물의 흐름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처리 장치는 건물의 옥상이나 대지로 유입된 빗물을 한 곳으로 유도하여 수집하는 집수부(100)와, 상기 집수부(100)에 연결된 낙수관(140)을 통해 낙하되는 빗물을 저장하는 빗물저수조(200)와, 상기 빗물저수조(20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된 펌프(260)에 의해 가압 이송되는 빗물을 저장하여 사용처(610,620,630,640)에 공급하기 위한 보조탱크(300)를 포함한다.
상기 집수부(100)에 수집된 빗물은 배출관(110)으로 배출되어 필터(120)를 거치면서 빗물에 포함된 쓰레기, 낙엽, 모래, 부유성 오물 등 비교적 크기가 큰 이물질이 여과된 뒤에 집수관(130)을 따라 취합되어 낙수관(140)으로 유입된다.
상기 낙수관(140)을 통해 낙하되는 빗물은 빗물저수조(200) 내부의 일측에 구비된 챔버(150)로 유입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챔버(150)는 낙수관(140)을 통해 낙하되는 빗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내부에 마련되어 있고, 챔버(150)의 상단부에는 배출구(152)가 형성되어 챔버(150)로 낙하된 빗물의 유로가 상향으로 전환되어 배출된다.
이에 따라서 낙수관(140)을 통해 낙하되는 빗물은 챔버(150)의 바닥면에 충돌하면서 낙하속도가 급감된 후에 상측의 배출구(152)를 통해 배출되게 되며, 이로써 종래 빗물이 빗물저수조 바닥면(200a)으로 직접 낙하될 경우에 초래되던 빗물의 교란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낙수관(140)을 통해 낙하되는 빗물이 빗물저수조(200) 내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챔버(150)의 배출구(152)의 상측으로는 배출통로를 확 보하면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캡(155)이 설치된다.
통상 빗물저수조(200)는 지하에 매설되는 것으로 빗물의 저장 용량이 50톤 내지 200톤에 달하며, 빗물저수조(200)의 높이 또한 수 미터에 달하므로 빗물저수조(200)에 빗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빗물저수조(200) 내부의 바닥면에는 대기압에 더하여 큰 수압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150) 내부의 수압(P2)과 대기압(P1)과의 압력차이가 커지게 되면, 낙수관(140)을 통해 빗물이 원활하게 유입되지 못하고 오히려 역류현상이 초래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챔버(150)의 상단부에 형성된 배출구(152)의 상측으로 캡(155)을 설치하여 캡(155)의 직상방에서 작용하는 수압(P3)을 지지하도록 하여 챔버(150) 내부의 수압(P2)과 대기압(P1)과의 압력차이를 줄임으로써 낙수관(140)을 통해 빗물이 원활하게 낙하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빗물저수조(200) 내부에는 복수의 격벽(215,225,235,245)이 전후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설치되어, 빗물저수조(200) 내부 공간이 복수의 격실(210,220,230,240,250)로 구획된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215,225,235,245)은 인접된 격벽 간에 교번으로 일측과 타측 상부에 빗물이 통과되는 개통구(215a,225a,235a,245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낙수관(140)을 통해 낙하되는 빗물은 챔버(150)를 거쳐 최전방의 제1격실(210)로 유입되고, 제1격벽(215)의 우측 상부에 형성된 개통구(215a)를 통과하 여 제2격실(220)로 유입되며, 제2격실(220)로 유입된 빗물은 제2격벽(225)의 좌측 상부에 형성된 개통구(225a)를 통과하여 제3격실(230)로 유입되고, 계속하여 제3격벽(235)의 개통구(235a)와 제4격벽(245)의 개통구(245a)를 통과하면서 제4격실(240)과 최후방의 제5격실(250)로 순차 이송된다.
이와 같이 빗물저수조(200) 내부에 복수의 격벽(215,225,235,245)이 다단으로 설치되고, 빗물이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지그재그로 이송되도록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빗물저수조(200) 내부에서의 빗물의 유로를 길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낙수관(140)을 통해 최초 유입된 빗물 중에 함유되어 있던 이물질은 전방의 제1격실(210)로부터 후방의 제5격실(250)로 순차 이송되는 과정에서 자연 침하에 의해 걸러지게 되며, 최후방의 제5격실(250)로 유입되는 빗물은 양호한 수질 상태를 갖게 된다. 즉, 전방의 제1격실(210)로부터 후방의 제5격실(250)로 갈수록 침전물의 양은 점차로 감소하게 된다.
각 격실(210,220,230,240,250)의 하부는 격벽(215,225,235,245)에 의해 막힌 상태이므로 전방의 격실에 침전된 이물질은 후방의 격실로 이동이 차단되며, 상기 개통구(215a,225a,235a,245a)를 통해서만 빗물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격실(210) 내부에 쌓인 침전물은 배출펌프(214)에 의해 배출관(216)을 통해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빗물저수조(200) 내의 빗물의 수질을 더욱 개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빗물저수조(200)의 제5격실(250)에는 펌프(260)가 설치되어, 빗물저수조(200) 최후방의 제5격실(250)에 저장된 양호한 수질의 빗물을 가압하여 배 출관(266)을 통해 이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 빗물저수조(200) 내부에 복수의 격벽(215,225,235,245)이 다단으로 이격 설치됨에 따라서 빗물저수조(200)가 지하에 매설되는 경우 빗물저수조(200)에 작용하는 상하좌우의 토압을 지탱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하게 됨으로써 토압에 의한 빗물저수조(200)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빗물저수조(2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펌프(260)에 의해 가압 이송된 빗물은 배출관(266)을 따라서 보조탱크(300)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빗물저수조(200)는 장마철 등 우기시를 대비하여 평상시에는 그 내부가 비워진 상태로 유지되어야 함에 반하여, 상기 보조탱크(300)는 사용처(610,620,630,640)로 물 공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항상 물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보조탱크(300) 내에 저장된 빗물의 유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관(266)의 유로상에는 보조탱크(300)로 유입되는 빗물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게이지(270)가 설치되고, 보조탱크(300) 내에는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레벨게이지(310)가 설치된다.
상기 보조탱크(300)의 내부에는 펌프(320)가 설치되어 보조탱크(300) 내에 저장된 물을 가압하여 공급관(326)을 통해 다양한 사용처(610,620,630,640)로 공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탱크(300)에는 비가 내리지 않는 건기시에 보조탱크(300) 내 의 물 부족을 대비하여 상수도원(500)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기 위한 배관(510)이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조탱크(300)는 우기시에는 상기 빗물저수조(200)로부터 빗물을 공급받아 사용처(610,620,630,640)로 공급하게 되며, 건기시에는 상수도원(500)으로부터 수도물을 보충받아 사용처(610,620,630,640)로 공급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처(610,620,630,640)로의 물 수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탱크(300)의 일측에는 보조탱크(300)의 저장 허용 용량을 초과할 경우 오버플로우되는 여분의 빗물을 저장하고 배출하기 위한 오버플로우 탱크(400)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탱크(300)의 수위가 상한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보조탱크(300)의 상부 일측에 연결된 오버플로우관(330)을 통해 오버플로우 탱크(400)로 빗물이 유입되고, 상기 오버플로우 탱크(400)에 저장된 빗물은 펌프(410)에 의해 가압되어 배출관(4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보조탱크(300) 내에 구비된 레벨게이지(310)를 통해 감지된 수위가 하한치 이하일 경우에는 상수도원(510)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보충하게 되고, 물의 유량이 상한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오버플로우 탱크(400)로 자연 배수되도록 하여 보조탱크(300) 내의 유량을 항상 적정 수준으로 유지토록 함으로써 사용처(610,620,630,640)로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빗물저수조(200)로 빗물이 원활히 유입되어 자연 정화과정을 거친 후에 보조탱크(300)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보조탱크(300)에서는 항상 적정 수위로 물이 채워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청소용수, 조경용 수, 스프링쿨러, 화장실용수 등이 사용되는 다양한 사용처(610,620,630,640)로 물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빗물 처리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처리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처리 장치의 빗물저수조 내부에 구비되는 챔버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처리 장치의 빗물저수조가 격벽에 의해 구획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처리 장치의 빗물저수조 내에서 빗물의 흐름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0 : 집수부 15,140 : 낙수관
20,200 : 빗물저수조 30,214,260,320,410 : 펌프
41,42,43,610,620,630,640 : 사용처
120 : 필터 150 : 챔버
210 : 제1격실 215 : 제1격벽
215a,225a,235a,245a : 개통구 220 : 제2격실
225 : 제2격벽 230 : 제3격실
235 : 제3격벽 240 : 제4격실
245 : 제4격벽 250 : 제5격실
270 : 유량게이지 300 : 보조탱크
310 : 레벨게이지 400 : 오버플로우 탱크
500 : 상수도원

Claims (8)

  1. 빗물을 수집하는 집수부;
    상기 집수부에 연결된 낙수관을 통해 낙하되는 빗물이 저장되는 빗물저수조;
    상기 빗물저수조 내에 저장된 빗물을 가압하여 이송하기 위한 펌프;및
    상기 빗물저수조 내부에 전후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설치되어 상기 빗물저수조 내부를 복수의 격실로 구획함과 아울러 상기 빗물저수조에 작용하는 상하좌우의 토압을 지지하는 한편, 상부 일측에는 빗물이 통과하도록 개통구가 형성된 복수의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빗물저수조 내부에는, 상기 낙수관을 통해 낙하되는 빗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내부에 마련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수용된 빗물이 상향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의 상측에는 수압을 지지하는 캡이 설치된 챔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격벽은 전후방에 인접된 격벽 간에 교번으로 일측과 타측 상부에 상기 개통구가 형성되어 빗물이 상기 전방에서 후방의 각 격실을 지그재그로 순차 통과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처리 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낙수관을 통해 빗물이 낙하되는 최전방의 격실 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빗물저수조의 최후방의 격실 내의 빗물을 가압하여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처리 장치.
  6. 제1항, 제2항, 제4항,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 처리 장치는 상기 펌프에 의해 가압 이송된 빗물을 저장하여 사용처에 공급하기 위한 보조탱크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탱크에는 빗물을 사용처로 공급하기 위한 배관이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보조탱크 내의 빗물 부족시에 상수도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기 위한 배관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처리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탱크의 일측에는 상기 보조탱크 내에 저장된 빗물의 유량이 상기 보조탱크의 저장 허용 용량을 초과할 경우 오버플로우되는 여분의 빗물을 저장하고 배출하기 위한 오버플로우 탱크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처리 장치.
KR1020090121427A 2009-12-08 2009-12-08 빗물 처리 장치 KR100951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427A KR100951084B1 (ko) 2009-12-08 2009-12-08 빗물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427A KR100951084B1 (ko) 2009-12-08 2009-12-08 빗물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1084B1 true KR100951084B1 (ko) 2010-04-05

Family

ID=42219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1427A KR100951084B1 (ko) 2009-12-08 2009-12-08 빗물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10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682B1 (ko) 2010-12-15 2013-01-29 한삼코라(주) 수질정화를 갖는 하천유지용수 저류시스템
KR20230158193A (ko) * 2022-05-11 2023-11-20 김명수 건설차량용 잔류물 수거통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2443Y1 (ko) * 1991-04-15 1994-04-15 주식회사 유로매틱 사용용수를 집수, 정화처리하여 재사용 가능케한 용수의 리싸이클 장치
KR200279807Y1 (ko) 2002-04-02 2002-06-26 장영한 정화조 탱크
KR100612249B1 (ko) 2005-03-21 2006-08-16 이영술 빗물정화가 가능한 조립식 콘크리트 수조
KR20070007986A (ko) * 2005-07-12 2007-01-17 나상철 초기 우수 유출수 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2443Y1 (ko) * 1991-04-15 1994-04-15 주식회사 유로매틱 사용용수를 집수, 정화처리하여 재사용 가능케한 용수의 리싸이클 장치
KR200279807Y1 (ko) 2002-04-02 2002-06-26 장영한 정화조 탱크
KR100612249B1 (ko) 2005-03-21 2006-08-16 이영술 빗물정화가 가능한 조립식 콘크리트 수조
KR20070007986A (ko) * 2005-07-12 2007-01-17 나상철 초기 우수 유출수 정화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682B1 (ko) 2010-12-15 2013-01-29 한삼코라(주) 수질정화를 갖는 하천유지용수 저류시스템
KR20230158193A (ko) * 2022-05-11 2023-11-20 김명수 건설차량용 잔류물 수거통
KR102662516B1 (ko) * 2022-05-11 2024-04-30 김명수 건설차량용 잔류물 수거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11427C (en) Rainwater collection and redistribution system
KR100924075B1 (ko) 수직형 초기 우수 정화장치
CN209011273U (zh) 一种地埋式雨水收集回用系统
JP6242097B2 (ja) 地下排水ポンプ設備
KR100951084B1 (ko) 빗물 처리 장치
CN211185126U (zh) 一种建筑的屋顶绿化系统
CN210152092U (zh) 一种房屋建筑排水结构
KR102320487B1 (ko) 빗물활용 저류시스템
KR101185579B1 (ko) 초기우수배제형 빗물 저류장치
JP5619478B2 (ja) サイフォン排水システム
KR101531692B1 (ko)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 및 이의 시공방법
JP2011505512A (ja) 廃水を収容および処理するシステムと方法
CN105604164A (zh) 一种应用于综合管廊的雨水收集调蓄工艺
KR20040021732A (ko) 이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의 저장 및 이용장치
CN108222237A (zh) 一种净水储水装置
JP2010077623A (ja) 地下貯水槽
JP5557211B2 (ja) 雨水貯溜及び流出抑制のためのタンク
CN210795963U (zh) 物联型海绵城市调蓄净化系统
CN210737725U (zh) 一种滑雪场地下阶梯式蓄水池群
PL176565B1 (pl) Budowla przenośna z elementów prefabrykowanych z żelbetu lub z materiału zastępczego
JP2002364027A (ja) 初期雨水分離装置付き濾過沈殿装置及び連結型貯水槽
CN211420764U (zh) 一种海绵城市生态景观步道结构
JP4668091B2 (ja) 雨水等の貯水施設及び貯水施設の沈殿物除去方法
JP6198446B2 (ja) 雨水貯留浸透システム
CN115012503B (zh) 一种加长高围挡溢流蓄排水控制井及蓄排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