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0271B1 - 개·보수가 용이한 하·폐수처리용 원반형 메디아 하이백 미생물부착장치 - Google Patents

개·보수가 용이한 하·폐수처리용 원반형 메디아 하이백 미생물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0271B1
KR100950271B1 KR20090096436A KR20090096436A KR100950271B1 KR 100950271 B1 KR100950271 B1 KR 100950271B1 KR 20090096436 A KR20090096436 A KR 20090096436A KR 20090096436 A KR20090096436 A KR 20090096436A KR 100950271 B1 KR100950271 B1 KR 100950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disk
shaped media
shaped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96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호
이정기
문태일
Original Assignee
블루워터바이오코리아(주)
(주)삼화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루워터바이오코리아(주), (주)삼화엔텍 filed Critical 블루워터바이오코리아(주)
Priority to KR20090096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02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0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0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8Aerobic processes using moving contact bodies
    • C02F3/082Rotating biological conta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5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 C02F3/107Inorganic materials, e.g. sand, 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5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 C02F3/108Immobilising gels, polymer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9Characterized by the sh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0Prevention of biofou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 개의 부채꼴 형상으로 분할된 메디아가 결합된 원반형 메디아와, 연결 파이프에 의해 고정된 원반형 메디아의 양 종단에 위치한 취부판을 원반형 메디아와 동일한 형상으로 분할시켜 복 수개의 원반형 메디아와 결합시킨 모듈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보수가 용이한 하·폐수처리용 원반형 메디아 하이백 미생물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은 하·폐수처리 중에 원반형 메디아에 이상이 발생시 좁은 공간의 장소라 할지라도 원반형 메디아의 이상이 발생한 부분의 부채꼴 형상의 메디아 모듈만을 선택적으로 원반형 메디아 장치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구조로서, 메디아의 개·보수나 교체가 용이하고, 플랜지와, 취부판에 형성된 결합공을 통해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조립하고 분해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인 것이 장점이다.
원반형, 메디아 장치, 하·폐수처리용, 모듈, 취부판, 연결 파이프, 플랜지

Description

개·보수가 용이한 하·폐수처리용 원반형 메디아 하이백 미생물부착장치{Discoid Media HYBAC Microorganism Contactors equipment device to facilitate repair or improvement for wastewater treatment}
본 발명은 개·보수가 용이한 하·폐수처리용 원반형 메디아 하이백 미생물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 개의 부채꼴 형상으로 분할된 메디아가 결합된 원반형 메디아와, 연결 파이프에 의해 고정된 원반형 메디아의 양 종단에 위치한 취부판을 원반형 메디아와 동일한 형상으로 분할시켜 복 수개의 원반형 메디아와 결합시킨 구조로서, 하·폐수처리 중에 원반형 메디아에 이상이 발생시에도 좁은 공간의 설치 장소에서도 원반형 메디아의 이상이 발생한 부분의 부채꼴 메디아 모듈만을 선택하여 분리시켜 손쉽게 개·보수 또는 교체가 용이하도록 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보수가 용이한 하·폐수처리용 원반형 메디아 하이백 미생물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세기는 산업화, 도시화에 의해 화학물질의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질소와 인과 같은 영양염류의 배출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연안과 호소의 수질환경을 심하게 오염시키고 있고, 영양염류가 다량 함유된 하수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고도처리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이 영양염류가 다량함유된 하수는 질소나 인과 같은 영양염류를 제거하기 위해 고도처리공법으로 처리하고 있고, 질소와 인의 제거 효율을 높이기 위해 미생물을 접종시킨 메디아를 하·폐수 처리장치에 적용하여 고도처리를 하고 있으며, 이러한 메디아 중에서 원반형 메디아를 사용한 고도처리장치로서, 국내 실용신안공보 실1994-0004102호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전축(28)과 함께 회전토록 다단 설치되는 원반형 메디아(10)의 사이에는 칼러(16)가 설치되어 상호 축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구동부(20)와, 이 구동부(20)의 회전축(28)의 회전으로 함께 회전되며 수조를 통과하는 하수에 잠기거나, 대기에 노출되는 것이 반복되며 메디아 부재에 서식되는 미생물에 의해 하수 내에 함유되어 있는 유해성분을 제거시키는 원반형 메디아(10)로 구성되는 메디아 장치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7)가 구비된 수조 내에 설치된 하수처리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리고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5-0121902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판을 6 등분한 부채꼴 형상의 메디아(10)는 메디아 연결 파이프(38)가 관통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구(12)가 형성되고, 이 부채꼴 형상의 메디아(10)들을 연결 고정하기 위해 길이가 긴 장 봉의 연결 파이프(38)를 이용하여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부채꼴 메디아에 형성된 관통구(12)와 간격유지수단(30)을 관통시켜 메디아 연결 파이프(38)와 부채꼴 메디아(10)들이 서로 견고히 고정되도록 회전축(28)에 결합시킨 원반형 메디아 장치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생물 접촉장치(5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접촉조가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고안이나 또는 발명과 같은 원반형 메디아의 경우에는 미생물들을 접촉시킨 원반형 메디아가 회전에 의해 수조를 통과하여 하수에 잠기거나, 대기에 노출되는 것이 반복되면서 하수 중에 함유되어 있는 영양염류를 제거하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원반형 메디아가 각각 매 원반형 메디아마다 6등분으로 분할되어 고정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원반형 메디아와 양 단에서 고정하는 원반 형상의 취부판(36)이 연결 파이프(38)에 의해 고정되고, 또한 원반형 메디아와 연결 고정된 취부판(36)이 회전축과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있어 원반형 메디아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에는 이상이 있는 원반형 메디아만을 분리하여 개·보수 또는 교체를 하지 못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길이가 긴 장 봉 형상의 연결 파이프(38)들을 모두 메디아 장치로부터 인출하여 분리시킨 다음 그리고 부채꼴 메디아들을 회전축으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개·보수하거나 또는 교체하여야 하는 복잡한 작업과정을 거쳐야 할 뿐만 아니라 특히 좁은 공간의 하수처리장치 내에서는 길이가 긴 장봉의 연결 파이프(38)들을 제대로 메디아 장치로부터 원할하게 인출하기 위한 작업공간이 좁기 때문에 원반형 메디아(10) 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제대로 개·보수하지도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발명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다수 개의 부채꼴 형상으로 분할된 메디아가 결합된 원반형 메디아와, 연결 파이프에 의해 고정된 원반형 메디아의 양 종단에 위치한 취부판을 원반형 메디아와 동일한 형상으로 분할시켜 복수 개의 원반형 메디아와 결합시킨 모듈 구조로서, 하·폐수처리 중에 원반형 메디아에 이상이 발생시 좁은 공간의 장소라 할지라도 원반형 메디아의 이상이 발생한 부분의 모듈만을 선택하여 원반형 메디아 장치로부터 분리시켜 개·보수 또는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원반형 메디아의 개·보수가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보수가 용이한 하·폐수처리용 원반형 메디아 하이백 미생물부착장치를 제공함을 과제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회전축을 수직방향으로 감싸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된 플랜지와, 그리고 복수 개의 원반형 메디아를 양 종단에서 연결 파이프에 의해 고정시키는 취부판을 각각 플랜지와 취부판에 형성된 결합공을 통해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조립하고 분해할 수 있도록 한 구조로서,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회전축으로부터 손상된 부분의 취부판과 결합된 원반형 메디아 모듈만을 선택적으로 분리시켜 응급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좁은 공간의 설치장소에서도 원반형 메디아의 개·보수나 교체가 용이하고,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조립하고 분해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보수가 용이한 하·폐수처리용 원반형 메디아 하이백 미생물부착장치를 제공함을 다른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실시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폐수처리용 원반형 메디아 장치에 있어서,
다수 개의 부채꼴 형상으로 분할된 메디아가 결합된 원반형 메디아(10)와,
복수 개가 나열된 상기 원반형 메디아(10)의 양 종단에 위치한 취부판(36)으로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취부판(36)은 원반형 메디아와 동일한 형상으로 분할된 구조로서, 상기 분할된 원반형 메디아와 취부판(36)이 체결수단에 의해 각각 회전축(28)에 결합되어 회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개·보수가 용이한 하·폐수처리용 원반형 메디아 하이백 미생물부착장치를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원반형 메디아 및 취부판은 각각 회전축과 결합되는 위치에 다수 개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회전축의 플랜지에 형성된 다수 개의 결합공과 일치되도록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어 회전축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원반형 메디아는 양면에 각각 연결 파이프를 삽입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 파이프 고정밴드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취부판은 원반형 메디아와 결합되는 일면의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 파이프 고정밴드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 파이프 고정밴드의 홈에 연결 파이프들이 각각 삽입되어 양 종단의 취부판 사이에 위치한 복수 개의 원반형 메디아들이 고정되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원반형 메디아 장치는 하수처리 중에 원반형 메디아에 이상이 발생시 플랜지에 결합된 취부판 및 원반형 메디아를 체결수단인 볼트, 너트를 풀어 회전축으로부터 손상된 부분의 취부판과 결합된 원반형 메디아 모듈만을 선택적으로 분리시켜 응급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좁은 공간의 설치장소에서도 원반형 메디아의 개·보수나 교체가 용이하고,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조립하고 분해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인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상기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다수 개의 부채꼴 형상으로 분할된 메디아가 결합된 원반형 메디아와, 연결 파이프에 의해 고정된 원반형 메디아의 양 종단의 취부판을 원반형 메디아와 동일한 형상으로 분할시켜 복수 개의 원반형 메디아와 결합시킨 모듈 구조로서, 하수처리 중에 원반형 메디아에 이상이 발생시 원반형 메디아의 이상이 발생한 부분의 모듈만을 선택적으로 원반형 메디아 장치로부터 분리시켜 개·보수나 또는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좁은 공간의 설치장소에서도 원반형 메디아의 개·보수가 용이하고, 플랜지와, 취부판에 형성된 결합공을 통해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조립하고 분해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인 것이 장점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인 도 8 내지 도 13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각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수처리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인 도 8 내지 도 13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의 내용과 같다.
본 발명에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원반형 메디아와 취부판이 연결 파이프에 의해 고정되어 회전축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취부판이 플랜지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8의 분할된 원반형 메디아와 취부판이 플랜지에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결합시키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8의 분할된 원반형 메디아와 취부판이 연결 파이프에 의해 고정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12는 도 8의 원반형 메디아 하이백 미생물부착장치에서 이상이 발생한 원반형 메디아 모듈을 원반형 메디아 장치로부터 분리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원반형 메디아를 찍은 사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폐수처리용 원반형 메디아 장치에 있어서,
다수 개의 부채꼴 형상으로 분할된 메디아가 결합된 원반형 메디아(10)와,
복수 개가 나열된 상기 원반형 메디아(10)의 양 종단에 위치한 취부판(36)으로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취부판(36)은 원반형 메디아와 동일한 형상으로 분할된 구조로서, 상기 분할된 원반형 메디아와 취부판(36)이 체결수단에 의해 각각 회전축(28)에 결합되어 회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반형 메디아 장치는 질소나 인과 같은 영양염류가 다량 함유된 하수에서 영양염류를 제거하기 위한 고도처리장치에 설치되며, 도 13의 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은 부채꼴 형상의 메디아를 조립하여 결합시킨 원반형 메디아 장치인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서 원반형 메디아(10)란 원반 형상의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는 메디아로서, 하나의 원반 형상을 갖는 원반형 메디아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도 13의 사진에 나타난 형상 구조와 같이 1/6~1/3 등분으로 분할된 부채꼴 형상의 메디아들이 조합되어 원반 형상을 이루는 구조의 형태이다. 본 발명에서 원반형 메디아(10)는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따라 편의상 부채꼴 메디아란 용어와 혼용해서 사용하며, 편의상 원반형 메디아와 부채꼴 메디아는 동일부호인 10을 사용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원반형 메디아(10)에 형성시킨 복수 개의 관통구(12)는 원반형 메디아(10)를 통과하는 하·폐수의 흐름 저항을 줄이기 위해 형성시킨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원반형 메디아 장치에서 상기 회전축(28)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회전축(28)의 수직방향으로 감싸는 플랜지(32)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원반형 메디아(10) 및 취부판(36)은 각각 회전축(28)과 결합되는 위치에 다수 개의 결합공(16)이 형성되고, 회전축(28)의 플랜지(32)에 형성된 다수 개의 결합공(16)과 일치되도록 체결수단(15)에 의해 체결되어 회전축(28)에 결합되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원반형 메디아(10) 및 취부판(10)과 플랜지(32)를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수단(15)은 볼트, 너트 등을 사용하여 결합공(16)에 삽입시켜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볼트, 너트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체결수단(15)이 사용되어 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원반형 메디아(10)들이 연결 파이프(38)에 의해 취부 판(36)과 연결 고정되는 구조를 살펴보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채꼴 메디아(10)는 양면에 각각 연결 파이프(38)를 삽입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 파이프 고정밴드(39)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부채꼴 취부판(36)은 부채꼴 메디아(10)와 결합되는 일면의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 파이프 고정밴드(39)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 파이프 고정밴드(39)의 홈에 연결 파이프(38)들이 각각 삽입되어 양 종단의 취부판(36) 사이에 위치한 복수 개의 부채꼴 메디아(10)들이 고정되어진다.
이때 부채꼴 메디아(10)들과 취부판(36)이 연결 파이프(38)에 의해 고정되면서, 회전축(28)에 결합되어지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일측 종단의 취부판(36)을 체결수단(15)을 이용하여 회전축의 플랜지(32)에 결합시킨 다음 취부판(36)이 원반형 메디아(10)와 결합되는 내측 면에 형성된 연결 파이프 고정밴드(39)의 홈에 단 봉인 연결 파이프(38)의 일측 종단을 삽입시킨 다음 부채꼴 메디아(10)의 일측 면에 형성시킨 연결 파이프 고정밴드(39)의 홈에 길이가 짧은 단 봉인 연결 파이프(38)의 일측 종단을 삽입시킨 후 상기 회전축의 플랜지(32)에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부채꼴 메디아(10)를 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을 순차적으로 반복하면 도 12의 A 구조와 같은 부채꼴 메디아 모듈이 회전축(28)에 결합되어지고, 이러한 부채꼴 메디아 모듈이 모두 회전축(28)에 결합되어지면 원반형 메디아 장치가 완성되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원반형 메디아 장치는 원반형 메디아(10)에 이상이 발생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8)의 플랜지(32)로부터 이상이 발생한 부분의 부채꼴 메디아 모듈만을 선택하여 원반형 메디아 장치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때 부채꼴 메디아 모듈을 원반형 메디아 장치로부터 분리시키는 작업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원반형 메디아 장치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부채꼴 메디아 모듈을 분리시켜 손쉽게 개·보수하거나 또는 교체함으로써 좁은 공간의 설치장소에서도 원반형 메디아의 개·보수나 또는 교체가 용이한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종래의 원반형 메디아 장치에서 메디아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긴 장 봉의 연결 파이프(28)를 모두 인출하여야 함에 따라 좁은 설치공간에서는 원반형 메디아 장치를 제대로 개·보수 또는 교체를 할 수 없는데 반해 본 발명은 좁은 공간의 설치장소에서도 이상이 발생한 부채꼴 메디아만을 선택하여 손쉽게 개·보수하거나 또는 교체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반형 메디아(10)는 미생물이 잘 접종되고, 처리 하·폐수가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도 13의 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은 형상의 망상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원반형 메디아(10)의 소재는 합성수지제 또는 세라믹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나일론 등과 합성수지 소재나 또는 알루미나, 황토 등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세라믹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원반형 메디아(10)는 미생물이 접종되기 쉬운 망상형 구조로서, 원반형 메디아(10)에 사용하는 소재의 종류는 본 발명의 특징이 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원반형 메디아(10)는 하·폐수에 함유되어 있는 오염물질의 종류에 따라 접종되어지는 미생물의 종류가 달라지게 되며, 대표적으로 암모니아, 아민류, 질산염류 등과 같은 질소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미생물로서, 니트로소모나스 속(Nitrosomonas sp.), 니트로박테리아속(Nitrobactor sp.) 등과 같은 탈질 미생물과 인산염 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미생물로서, 세파로스속(Sepharose sp.) 등이 접종되어지며, 상기 접종 미생물들은 본 발명의 특징이 되지 아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반형 메디아 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원반형 원반형로 구성되는 메디아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메디아 장치가 수조 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하수처리장치의 구성도,
도 3은 종래의 다른 원반형 원반형 메디아 장치에서 원반형 메디아와 취부판이 연결 파이프에 의해 고정되어 회전축과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원반형 원반형 메디아가 간격유지수단과 연결 파이프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원반형 메디아와 취부판이 간격유지수단과 연결파이프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도 3의 원반형 원반형 메디아가 수조 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하수처리장치의 구성도,
도 7은 도 3의 원반형 메디아 장치로부터 장 봉의 연결 파이프들이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원반형 메디아와 취부판이 연결 파이프에 의해 고정되어 회전축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취부판이 플랜지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분할된 원반형 메디아와 취부판이 플랜지에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결합시키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8의 분할된 원반형 메디아와 취부판이 연결 파이프에 의해 고정 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2는 도 8의 원반형 메디아 하이백 미생물부착장치에서 이상이 발생한 원반형 메디아 모듈을 원반형 메디아 장치로부터 분리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원반형 메디아를 찍은 사진에 관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원반형 메디아 12 : 관통구
15 : 체결수단 16 : 결합공
17 : 커버 20 : 구동부
28 : 회전축 30 : 간격유지수단
32 : 플랜지 36 : 취부판
38 : 연결 파이프 39 : 연결 파이프 고정밴드
50 : 미생물 접촉장치

Claims (7)

  1. 하·폐수처리용 원반형 메디아 장치에 있어서,
    다수 개의 부채꼴 형상으로 분할된 메디아가 결합된 망상형 구조의 원반형 메디아와,
    복수 개가 나열된 상기 원반형 메디아의 양 종단에 위치한 취부판으로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취부판은 원반형 메디아와 동일한 형상으로 분할된 구조로서, 상기 분할된 원반형 메디아와 취부판이 체결수단에 의해 각각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되어지고,
    상기 회전축은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회전축의 수직방향으로 감싸는 플랜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원반형 메디아 및 취부판은 각각 회전축과 결합되는 위치에 다수 개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회전축의 플랜지에 형성된 다수 개의 결합공과 일치되도록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어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원반형 메디아는 양면에 각각 연결 파이프를 삽입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 파이프 고정밴드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취부판은 원반형 메디아와 결합되는 일면의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 파이프 고정밴드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 파이프 고정밴드의 홈에 연결 파이프들이 각각 삽입되어 양 종단의 취부판 사이에 위치한 복수 개의 원반형 메디아들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보수가 용이한 하·폐수처리용 원반형 메디아 하이백 미생물부착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반형 메디아는 원반형 메디아를 통과하는 하·폐수의 흐름 저항을 줄이기 위해 복수 개의 관통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보수가 용이한 하·폐수처리용 원반형 메디아 하이백 미생물부착장치.
  6. 삭제
  7. 제 1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반형 메디아의 소재는 합성수지제 또는 세라믹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보수가 용이한 하·폐수처리용 원반형 메디아 하이백 미생물부착장치.
KR20090096436A 2009-10-09 2009-10-09 개·보수가 용이한 하·폐수처리용 원반형 메디아 하이백 미생물부착장치 KR100950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96436A KR100950271B1 (ko) 2009-10-09 2009-10-09 개·보수가 용이한 하·폐수처리용 원반형 메디아 하이백 미생물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96436A KR100950271B1 (ko) 2009-10-09 2009-10-09 개·보수가 용이한 하·폐수처리용 원반형 메디아 하이백 미생물부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0271B1 true KR100950271B1 (ko) 2010-03-31

Family

ID=42183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96436A KR100950271B1 (ko) 2009-10-09 2009-10-09 개·보수가 용이한 하·폐수처리용 원반형 메디아 하이백 미생물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02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40847A (zh) * 2020-11-11 2021-02-09 潘成阳 一种城市污水高效低耗再生处理装置
EP4069649A4 (en) * 2019-12-04 2023-09-20 Baktek Cevre Teknolojileri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SMART HYBRID BIORESTORATION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7492A (ja) * 1994-08-19 1996-03-05 Toyo Bio Reactor Kk 回転円板式処理装置
KR20050121902A (ko) * 2004-06-23 2005-12-28 세일기술 주식회사 망상형 접촉체를 이용한 회전 미생물 접촉조
KR200426865Y1 (ko) * 2006-06-27 2006-09-20 주식회사 아이텍코리아 립필터 방식을 활용한 하천수의 수질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7492A (ja) * 1994-08-19 1996-03-05 Toyo Bio Reactor Kk 回転円板式処理装置
KR20050121902A (ko) * 2004-06-23 2005-12-28 세일기술 주식회사 망상형 접촉체를 이용한 회전 미생물 접촉조
KR200426865Y1 (ko) * 2006-06-27 2006-09-20 주식회사 아이텍코리아 립필터 방식을 활용한 하천수의 수질정화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69649A4 (en) * 2019-12-04 2023-09-20 Baktek Cevre Teknolojileri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SMART HYBRID BIORESTORATION DEVICE
CN112340847A (zh) * 2020-11-11 2021-02-09 潘成阳 一种城市污水高效低耗再生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0271B1 (ko) 개·보수가 용이한 하·폐수처리용 원반형 메디아 하이백 미생물부착장치
CN103058383A (zh) 一种用于受污染河湖原位修复的多功能模块化浮岛
JP2009131838A (ja) 紫外線殺菌装置
KR102216106B1 (ko)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
KR101774447B1 (ko) 해양플랜트 해수담수화용 파이프의 내부 이물질 제거용 장비
CN104118941B (zh) 一种高效脱氮除磷人工湿地装置
CN211170372U (zh) 一种环形微生物包埋缓释仓
JP2794553B2 (ja) 土壌菌を利用する回転接触式汚水処理装置
CN107512755A (zh) 一种污水有机物降解装置
CN208898604U (zh) 一种微生物净化污水处理装置
JPH0123594Y2 (ko)
KR200468318Y1 (ko) 스크류 컨베이어의 슬러지 차단장치
PL187639B1 (pl) Tarczowe złoże obrotowe
CN207981843U (zh) 一种重污染土壤重金属去除设备
CN110862140A (zh) 生物转盘
CN2702990Y (zh) 强力除垢防垢器
CN216426861U (zh) 聚氨酯载体固定化微生物水处理装置
CN202212051U (zh) 转盘过滤器中空出水轴
KR20050049445A (ko) 수질정화장치
EP0209603A1 (en) Water cleaning apparatus
CN209583774U (zh) 一种脱氮装置
CN212857117U (zh) 一种多环芳烃污染土壤修复装置
CN203065305U (zh) 一种组合式生物转盘处理装置
CN216863932U (zh) 一种基于平板陶瓷膜的mbr和mbbr复合污水处理设备
CN216155606U (zh) 一种悬浮式旋转曝气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