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0266B1 -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 - Google Patents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0266B1
KR100950266B1 KR1020080051298A KR20080051298A KR100950266B1 KR 100950266 B1 KR100950266 B1 KR 100950266B1 KR 1020080051298 A KR1020080051298 A KR 1020080051298A KR 20080051298 A KR20080051298 A KR 20080051298A KR 100950266 B1 KR100950266 B1 KR 100950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elf
bolt
contact protrusions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1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4856A (ko
Inventor
서송길
Original Assignee
건원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원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건원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1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0266B1/ko
Publication of KR20090124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4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0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0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0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teeth, prongs, pins or needles penetrating the insulation
    • H01R4/2407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teeth, prongs, pins or needles penetrating the insulation having saw-tooth proj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joining or terminating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면에서 S형상의 부도체인 판체로 몸체중심에서 상하부로는 상하부관통장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하부관통장공 전후방측의 상하부내측면에는 도체인 전후방측접촉돌기가 각각 돌출형성되며, 상기 상부내측면의 도체인 전후방측접촉돌기와 상기 하부내측면의 도체인 전후방측접촉돌기는 연결선에 의해 각각 통전연결되고, 상단에는 상부로 수직연장되어 좌측으로 앵커장볼트가 수평으로 돌출되는 상단볼트판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하부로 수직연장되어 우측으로 앵커장볼트가 수평으로 돌출되는 하단볼트판이 형성되는 우측S자체결판과; 정면에서 역S형상의 부도체인 판체로 상기 우측S자체결판의 좌측에 위치되어 상기 상부관통장공을 출입하는 상부내측면을 갖되 상부내측면에는 도체인 상부접촉돌기가 각각 돌출형성되고, 몸체중심에서 하부로는 하부장공이 형성되며, 하부장공 전후방측의 하부내측면에는 도체인 하부전후방측접촉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상부접촉돌기와 상기 하부전후방측접촉돌기는 연결선에 의해 각각 통전연결되며, 상단에는 상부로 수직연장되어 상기 상단볼트판의 앵커장볼트가 각각 삽입관통되어 전후방너트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체결공을 갖는 상단체결판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하부로 수직연장되어 좌측으로 앵커장볼트가 수평으로 돌출되는 하단볼트판이 형성되는 좌측역S자체결판과; 상기 우측S자체결판의 하부관통장공에 출입되는 좌측반원링체인 좌측링몸이 형성되며, 좌측링몸 내측면 중심에는 접촉돌기가 돌출형성되고, 하단에는 하부로 수직연장되어 상기 우측S자체결판의 하단볼트판 앵커볼트가 각각 삽입관통되어 전후방너트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볼트공을 갖는 하단체결판이 형성되는 우측하단고정링과; 상기 좌측역S자체결판의 하부장공에 출입되는 우측반원링체인 우측링몸이 형성되며, 우측링몸 내측면 중심에는 접촉돌기가 돌출형성되고, 하단에는 하부로 수직연장되어 상기 좌측역S자체결판의 하단볼트판 앵커볼트가 각각 삽입관통되어 전후방너트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고정공을 갖는 하단고정편이 형성되는 좌측하단고정링과; 상기 우측S자체결판의 상부내측면 전후방측접촉돌기와 상기 좌측역S자체결판의 상부내측면 상부접촉돌기 사이에 하단의 피복제거부가 위치되어 통전고정되는 배전선로와; 상기 우측S자체결판의 하부내측면 전후방측접촉돌기와 상기 우측하단고정링의 접촉돌기 사이에 상단의 피복제거부가 위치되어 통전고정되는 일측인하선과; 상기 좌측역S자체결판의 하부내측면 하부전후방측접촉돌기와 상기 좌측하단고정링의 접촉돌기 사이에 상단의 피복제거부가 위치되어 통전고정되는 타측인하선을 구비하는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판스프링의 탄성에 의한 볼트와 너트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되 인하선과의 연결부위 접지면이 크고 완강하게 고정되어 인하선이 이탈될 염려가 전혀 없고, 접속부위의 온도가 높지않아 피복이 타거나 녹지 않으며, 접속부위가 쉽게 부식되지 않아 단선사고의 염려가 없고, 착탈식으로 시공작업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간단한 구조로 시공비용이 크게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우측S자체결판, 좌측역S자체결판, 우측하단고정링, 좌측하단고정링

Description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Branch sleeve of power line}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판스프링의 탄성에 의한 볼트와 너트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되 인하선과의 연결부위 접지면이 크고 완강하게 고정되어 인하선이 이탈될 염려가 전혀 없고, 접속부위의 온도가 높지않아 피복이 타거나 녹지 않으며, 접속부위가 쉽게 부식되지 않아 단선사고의 염려가 없고, 착탈식으로 시공작업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간단한 구조로 시공비용이 크게 절감되는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케이블의 연결부위 및 접속부분은 절연이 가능하도록 테이프를 접착시키거나 절연체로 케이블의 노출부위를 격리하도록 하였으나, 이는 쉽게 접속부위가 벗겨지거나 훼손될 뿐만 아니라, 수분이 접촉하게 되면 누전 또는 감전사고의 위험도 뒤따랐기 때문에 안전성에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근래에 들어 안전성을 고려하면서도 연결부위의 부식을 방지하도록 전선 접속부분을 완전히 밀폐하는 여러 형태의 전선 분기용 슬리브 등이 제공된 바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분기슬리브는 전선케이블과의 연결부위 접지면이 작기 때문 에 인장력이 약하여 슬리브 내에서 전선케이블이 쉽게 미끄러져 빠져나올 수 있었으며, 작은 접지면적에 의해 접속부위의 온도가 쉽게 상승하여 전선케이블 피복이 녹거나 타게 되어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공 접속부위가 쉽게 부식되어 접촉저항을 증가시키고 다시 접속부위의 온도가 상승되어 전해 부식을 가속화하는 과정이 반복됨으로서, 최종적으로 단선 사고 등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판스프링의 탄성에 의한 볼트와 너트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되 인하선과의 연결부위 접지면이 크고 완강하게 고정되어 인하선이 이탈될 염려가 전혀 없고, 접속부위의 온도가 높지않아 피복이 타거나 녹지 않으며, 접속부위가 쉽게 부식되지 않아 단선사고의 염려가 없고, 착탈식으로 시공작업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간단한 구조로 시공비용이 크게 절감되는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면에서 S형상의 부도체인 판체로 몸체중심에서 상하부로는 상하부관통장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하부관통장공 전후방측의 상하부내측면에는 도체인 전후방측접촉돌기가 각각 돌출형성되며, 상기 상부내측면의 도체인 전후방측접촉돌기와 상기 하부내측면의 도체인 전후방측접촉돌기는 연결선에 의해 각각 통전연결되고, 상단에는 상부로 수직연장되어 좌측으로 앵커장볼트가 수평으로 돌출되는 상단볼트판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하부로 수직연장되어 우측으로 앵커장볼트가 수평으로 돌출되는 하단볼트판이 형성되는 우측S자체결판과;
정면에서 역S형상의 부도체인 판체로 상기 우측S자체결판의 좌측에 위치되어 상기 상부관통장공을 출입하는 상부내측면을 갖되 상부내측면에는 도체인 상부접촉돌기가 각각 돌출형성되고, 몸체중심에서 하부로는 하부장공이 형성되며, 하부장공 전후방측의 하부내측면에는 도체인 하부전후방측접촉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상부접촉돌기와 상기 하부전후방측접촉돌기는 연결선에 의해 각각 통전연결되며, 상단에는 상부로 수직연장되어 상기 상단볼트판의 앵커장볼트가 각각 삽입관통되어 전후방너트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체결공을 갖는 상단체결판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하부로 수직연장되어 좌측으로 앵커장볼트가 수평으로 돌출되는 하단볼트판이 형성되는 좌측역S자체결판과;
상기 우측S자체결판의 하부관통장공에 출입되는 좌측반원링체인 좌측링몸이 형성되며, 좌측링몸 내측면 중심에는 접촉돌기가 돌출형성되고, 하단에는 하부로 수직연장되어 상기 우측S자체결판의 하단볼트판 앵커볼트가 각각 삽입관통되어 전후방너트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볼트공을 갖는 하단체결판이 형성되는 우측하단고정링과;
상기 좌측역S자체결판의 하부장공에 출입되는 우측반원링체인 우측링몸이 형성되며, 우측링몸 내측면 중심에는 접촉돌기가 돌출형성되고, 하단에는 하부로 수직연장되어 상기 좌측역S자체결판의 하단볼트판 앵커볼트가 각각 삽입관통되어 전후방너트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고정공을 갖는 하단고정편이 형성되는 좌측하단고정링과;
상기 우측S자체결판의 상부내측면 전후방측접촉돌기와 상기 좌측역S자체결판의 상부내측면 상부접촉돌기 사이에 하단의 피복제거부가 위치되어 통전고정되는 배전선로와;
상기 우측S자체결판의 하부내측면 전후방측접촉돌기와 상기 우측하단고정링 의 접촉돌기 사이에 상단의 피복제거부가 위치되어 통전고정되는 일측인하선과;
상기 좌측역S자체결판의 하부내측면 하부전후방측접촉돌기와 상기 좌측하단고정링의 접촉돌기 사이에 상단의 피복제거부가 위치되어 통전고정되는 타측인하선을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판스프링의 탄성에 의한 볼트와 너트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되 인하선과의 연결부위 접지면이 크고 완강하게 고정되어 인하선이 이탈될 염려가 전혀 없고, 접속부위의 온도가 높지않아 피복이 타거나 녹지 않으며, 접속부위가 쉽게 부식되지 않아 단선사고의 염려가 없고, 착탈식으로 시공작업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간단한 구조로 시공비용이 크게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의 모습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의 작동모습을 보인 정 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는, S자형상으로 우측에 위치되어 배전선로(50)의 전력을 타측인하선(70)으로 인하시키는 우측S자체결판(10)과, 역S자 형상으로 좌측에 위치되어 배전선로(50)의 전력을 일측인하선(60)으로 인하시키는 좌측역S자체결판(20)과, 타측인하선(70)을 우측S자체결판(10) 하부에 고정시키는 우측하단고정링(30)과, 일측인하선(60)을 좌측역S자체결판(20) 하부에 고정시키는 좌측하단고정링(40)과, 우측S자체결판(10)과 좌측역S자체결판(20)을 통해 전력을 일타측인하선(60,70)으로 인하시키는 배전선로(50)로 구성된다.
상기 우측S자체결판(10)은 정면에서 S형상의 부도체인 판체로 몸체중심에서 상하부로는 상하부관통장공(11,11a)이 각각 형성되고, 상하부관통장공(11,11a) 전후방측의 상하부내측면(12,13)에는 도체인 전후방측접촉돌기(12a,12b)(13a,13b)가 각각 돌출형성되며, 상기 상부내측면(12)의 도체인 전후방측접촉돌기(12a,12b)와 상기 하부내측면(13)의 도체인 전후방측접촉돌기(13a,13b)는 연결선(14,14a)에 의 해 각각 통전연결되고, 상단에는 상부로 수직연장되어 좌측으로 앵커장볼트(15b,15c)가 수평으로 돌출되는 상단볼트판(15,15a)이 각각 형성되며, 하단에는 하부로 수직연장되어 우측으로 앵커장볼트(16b,16c)가 수평으로 돌출되는 하단볼트판(16,16a)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좌측역S자체결판(20)은 정면에서 역S형상의 부도체인 판체로 상기 우측S자체결판(10)의 좌측에 위치되어 상기 상부관통장공(11)을 출입하는 상부내측면(21)을 갖되 상부내측면(21)에는 도체인 상부접촉돌기(21a)가 각각 돌출형성되고, 몸체중심에서 하부로는 하부장공(22)이 형성되며, 하부장공(22) 전후방측의 하부내측면(23)에는 도체인 하부전후방측접촉돌기(23a,23b)가 각각 돌출형성되고, 상기 상부접촉돌기(21a)와 상기 하부전후방측접촉돌기(23a,23b)는 연결선(24,24a)에 의해 각각 통전연결되며, 상단에는 상부로 수직연장되어 상기 상단볼트판(15,15a)의 앵커장볼트(15b,15c)가 각각 삽입관통되어 전후방너트(25c,25d)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체결공(25a,25b)을 갖는 상단체결판(25)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하부로 수직연장되어 좌측으로 앵커장볼트(26b,26c)가 수평으로 각각 돌출되는 하단볼트판(26,26a)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우측하단고정링(30)은 상기 우측S자체결판(10)의 하부관통장공(11a)에 출입되는 좌측반원링체인 좌측링몸(31)이 형성되며, 좌측링몸(31) 내측면 중심에는 접촉돌기(32)가 돌출형성되고, 하단에는 하부로 수직연장되어 상기 우측S자체결판(10)의 하단볼트판(16,16a) 앵커볼트(16b,16c)가 각각 삽입관통되어 전후방너트(33c,33d)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볼트공(33a,33b)을 갖는 하단체결판(33)이 형성 된다.
상기 좌측하단고정링(40)은 상기 좌측역S자체결판(20)의 하부장공(22)에 출입되는 우측반원링체인 우측링몸(41)이 형성되며, 우측링몸(41) 내측면 중심에는 접촉돌기(42)가 돌출형성되고, 하단에는 하부로 수직연장되어 상기 좌측역S자체결판(20)의 하단볼트판(26,26a) 앵커볼트(26b,26c)가 각각 삽입관통되어 전후방너트(43c,43d)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고정공(43a,43b)을 갖는 하단고정편(43)이 형성된다.
상기 배전선로(50)는 상기 우측S자체결판(10)의 상부내측면(12) 전후방측접촉돌기(12a,12b)와 상기 좌측역S자체결판(20)의 상부내측면(21) 상부접촉돌기(21a) 사이에 하단의 피복제거부(51)가 위치되어 통전고정된다.
상기 일측인하선(60)은 상기 우측S자체결판(10)의 하부내측면(13) 전후방측접촉돌기(13a,13b)와 상기 우측하단고정링(30)의 접촉돌기(32) 사이에 상단의 피복제거부(61)가 위치되어 통전고정된다.
상기 타측인하선(70)은 상기 좌측역S자체결판(20)의 하부내측면(23) 하부전후방측접촉돌기(23a,23b)와 상기 좌측하단고정링(40)의 접촉돌기(42) 사이에 상단의 피복제거부(71)가 위치되어 통전고정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배전선로(50)의 피복제거부(51)를 통해 전력은 우측S자체결판(10) 상부내측면(12)의 전후방측접촉돌기(12a,12b)를 거쳐 연결선(14,14a)을 통하고 다시 하부내측면(13)의 전후방측접촉돌기(13a,13b)를 거쳐 우측하단고정링(30)에 의해 고정된 일측인하선(60)의 피복제거부(61)를 통해 전력이 인하된다.
또한, 배전선로(50)의 피복제거부(51)를 통해 전력은 좌측역S자체결판(20) 상부내측면(21)의 상부접촉돌기(21a)를 거쳐 연결선(24,24a)을 통하고 다시 하부내측면(23)의 하부전후방측접촉돌기(23a,23b)를 거쳐 좌측하단고정링(40)에 의해 고정된 타측인하선(70)의 피복제거부(71)를 통해 전력이 인하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의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의 작동모습을 보인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우측S자체결판 11,11a : 상하부관통장공
12 : 상부내측면 12a,12b : 전후방측접촉돌기
13 : 하부내측면 13a,13b : 전후방측접촉돌기
14,14a : 연결선 15,15a : 상단볼트판
15b,15c : 앵커장볼트 16,16a : 하단볼트판
16b,16c : 앵커장볼트
20 : 좌측역S자체결판 21 : 상부내측면
21a : 상부접촉돌기 22 : 하부장공
23 : 하부내측면 23a,23b : 하부전후방측접촉돌기
24,24a : 연결선 25 : 상단체결판
25a,25b : 체결공 25c,25d : 전후방측너트
26,26a : 하단볼트판 26b,26c : 앵커장볼트
30 : 우측하단고정링 31 : 좌측링몸
32 : 접촉돌기 33 : 하단체결판
33a,33b : 볼트공 33c,33d : 전후방너트
40 : 좌측하단고정링 41 : 우측링몸
42 : 접촉돌기 43 : 하단고정편
43a,43b : 고정공 43c,43d : 전후방너트
50 : 배전선로 51 : 피복제거부
60 : 일측인하선 61 : 피복제거부
70 : 타측인하선 71 : 피복제거부

Claims (1)

  1. 정면에서 S형상의 부도체인 판체로 몸체중심에서 상하부로는 상하부관통장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하부관통장공 전후방측의 상하부내측면에는 도체인 전후방측접촉돌기가 각각 돌출형성되며, 상기 상부내측면의 도체인 전후방측접촉돌기와 상기 하부내측면의 도체인 전후방측접촉돌기는 연결선에 의해 각각 통전연결되고, 상단에는 상부로 수직연장되어 좌측으로 앵커장볼트가 수평으로 돌출되는 상단볼트판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하부로 수직연장되어 우측으로 앵커장볼트가 수평으로 돌출되는 하단볼트판이 형성되는 우측S자체결판과;
    정면에서 역S형상의 부도체인 판체로 상기 우측S자체결판의 좌측에 위치되어 상기 상부관통장공을 출입하는 상부내측면을 갖되 상부내측면에는 도체인 상부접촉돌기가 각각 돌출형성되고, 몸체중심에서 하부로는 하부장공이 형성되며, 하부장공 전후방측의 하부내측면에는 도체인 하부전후방측접촉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상부접촉돌기와 상기 하부전후방측접촉돌기는 연결선에 의해 각각 통전연결되며, 상단에는 상부로 수직연장되어 상기 상단볼트판의 앵커장볼트가 각각 삽입관통되어 전후방너트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체결공을 갖는 상단체결판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하부로 수직연장되어 좌측으로 앵커장볼트가 수평으로 돌출되는 하단볼트판이 형성되는 좌측역S자체결판과;
    상기 우측S자체결판의 하부관통장공에 출입되는 좌측반원링체인 좌측링몸이 형성되며, 좌측링몸 내측면 중심에는 접촉돌기가 돌출형성되고, 하단에는 하부로 수직연장되어 상기 우측S자체결판의 하단볼트판 앵커볼트가 각각 삽입관통되어 전후방너트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볼트공을 갖는 하단체결판이 형성되는 우측하단고정링과;
    상기 좌측역S자체결판의 하부장공에 출입되는 우측반원링체인 우측링몸이 형성되며, 우측링몸 내측면 중심에는 접촉돌기가 돌출형성되고, 하단에는 하부로 수직연장되어 상기 좌측역S자체결판의 하단볼트판 앵커볼트가 각각 삽입관통되어 전후방너트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고정공을 갖는 하단고정편이 형성되는 좌측하단고정링과;
    상기 우측S자체결판의 상부내측면 전후방측접촉돌기와 상기 좌측역S자체결판의 상부내측면 상부접촉돌기 사이에 하단의 피복제거부가 위치되어 통전고정되는 배전선로와;
    상기 우측S자체결판의 하부내측면 전후방측접촉돌기와 상기 우측하단고정링의 접촉돌기 사이에 상단의 피복제거부가 위치되어 통전고정되는 일측인하선과;
    상기 좌측역S자체결판의 하부내측면 하부전후방측접촉돌기와 상기 좌측하단고정링의 접촉돌기 사이에 상단의 피복제거부가 위치되어 통전고정되는 타측인하선을 구비하는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
KR1020080051298A 2008-05-31 2008-05-31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 KR100950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298A KR100950266B1 (ko) 2008-05-31 2008-05-31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298A KR100950266B1 (ko) 2008-05-31 2008-05-31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856A KR20090124856A (ko) 2009-12-03
KR100950266B1 true KR100950266B1 (ko) 2010-03-31

Family

ID=41686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1298A KR100950266B1 (ko) 2008-05-31 2008-05-31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02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313B1 (ko) * 2016-09-29 2016-12-08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배전선로용 분기 슬리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133B1 (ko) 2008-02-05 2008-07-14 송의석 배전선로의 분기슬리브
KR100853687B1 (ko) 2008-02-27 2008-08-25 (주)세명엔지니어링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133B1 (ko) 2008-02-05 2008-07-14 송의석 배전선로의 분기슬리브
KR100853687B1 (ko) 2008-02-27 2008-08-25 (주)세명엔지니어링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856A (ko) 200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5578B1 (ko) 배전선로의 분기슬리브
JP3065299U (ja) 過熱・過電流の保護機能を具えた安全ソケット
KR100851249B1 (ko)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
KR100853691B1 (ko)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
KR100854020B1 (ko) 배전선로의 분기슬리브
KR100950266B1 (ko)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
KR100828438B1 (ko) 배전선로 분기 슬리브
KR100853687B1 (ko)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
KR101046400B1 (ko) 배전선로의 분기슬리브
KR20100095872A (ko) 개량멀티탭
BR102015018570A2 (pt) módulo de soquete para um dispositivo eletrocirúrgico; dispositivo eletrocirúrgico, e, conjunto com um módulo de soquete e uma ferramenta de remoção
KR100860974B1 (ko) 주상 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JPS639344B2 (ko)
RU2507656C2 (ru)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ая коробка,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осветительных кабелей в туннелях
KR200387209Y1 (ko) 방우형 작업등
KR101150440B1 (ko)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
KR101081802B1 (ko) 배전선로의 분기슬리브
KR100849897B1 (ko)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
KR100860977B1 (ko)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
KR100659024B1 (ko)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KR100783163B1 (ko) 정션박스
KR101796114B1 (ko) 대용량 전력 단자대
KR200443613Y1 (ko) 배전 선로의 분기 슬리브
KR100726367B1 (ko) 전선 연결용 커넥터
KR20140094783A (ko) 시멘트저항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