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8438B1 - 배전선로 분기 슬리브 - Google Patents

배전선로 분기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8438B1
KR100828438B1 KR1020080010003A KR20080010003A KR100828438B1 KR 100828438 B1 KR100828438 B1 KR 100828438B1 KR 1020080010003 A KR1020080010003 A KR 1020080010003A KR 20080010003 A KR20080010003 A KR 20080010003A KR 100828438 B1 KR100828438 B1 KR 100828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plate
coupling
plate body
branch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0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화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화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화이앤씨
Priority to KR1020080010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84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8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8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1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a substantially-radial tightening or securing memb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도체인 직사각형상의 탄성판체로 좌우측 중심에는 좌우측체결장공이 각각 형성되어 피복이 절개된 전선케이블의 피복절개부 상면에 위치되는 상부체결판체와; 부도체인 직사각형상의 탄성판체로 중심에는 전후방향으로 삽입공을 갖는 받침판이 형성되고, 받침판 좌우측단 중심에는 각각 좌우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체결판체의 좌우측체결장공을 각각 관통하어 체결너트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좌우측체결볼트부가 형성된 하부체결판체와; 상부에는 반원형상으로 전선케이블의 피복절개부 하부에 밀착되는 하단받침부가 형성되고, 하단받침부 저면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체결판체의 삽입공을 관통하는 수직판이 형성되되 수직판의 전후방에는 볼트공이 형성되어 선단의 피복을 절개시킨 인하선 선단을 감싸는 링부를 갖고 양측단에 상기 볼트공 연장선상에 체결공을 갖는 고정클립이 형성되어 볼트와 너트에 의해 인하선을 수직판에 체결고정시켜 통전이 이루어지는 도체인 인하선통전구를 구비하는 배전선로 분기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인하선과의 연결부위 접지면이 크고 완강하게 고정되어 인하선이 이탈될 염려가 전혀 없고, 접속부위의 온도가 높지않아 피복이 타거나 녹지 않으며, 접속부위가 쉽게 부식되지 않아 단선사고의 염려가 없고, 착탈식으로 시공작업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상부체결판체, 하부체결판체, 인하선통전구

Description

배전선로 분기 슬리브{Branch Sleeve of Power Line}
본 발명은 배전선로 분기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하선과의 연결부위 접지면이 크고 완강하게 고정되어 인하선이 이탈될 염려가 전혀 없고, 접속부위의 온도가 높지않아 피복이 타거나 녹지 않으며, 접속부위가 쉽게 부식되지 않아 단선사고의 염려가 없고, 착탈식으로 시공작업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배전선로 분기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케이블의 연결부위 및 접속부분은 절연이 가능하도록 테이프를 접착시키거나 절연체로 케이블의 노출부위를 격리하도록 하였으나, 이는 쉽게 접속부위가 벗겨지거나 훼손될 뿐만 아니라, 수분이 접촉하게 되면 누전 또는 감전사고의 위험도 뒤따랐기 때문에 안전성에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근래에 들어 안전성을 고려하면서도 연결부위의 부식을 방지하도록 전선 접속부분을 완전히 밀폐하는 여러 형태의 전선 분기용 슬리브 등이 제공된 바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분기슬리브는 전선케이블과의 연결부위 접지면이 작기 때문에 인장력이 약하여 슬리브 내에서 전선케이블이 쉽게 미끄러져 빠져나올 수 있었 으며, 작은 접지면적에 의해 접속부위의 온도가 쉽게 상승하여 전선케이블 피복이 녹거나 타게 되어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공 접속부위가 쉽게 부식되어 접촉저항을 증가시키고 다시 접속부위의 온도가 상승되어 전해 부식을 가속화하는 과정이 반복됨으로서, 최종적으로 단선 사고 등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하선과의 연결부위 접지면이 크고 완강하게 고정되어 인하선이 이탈될 염려가 전혀 없고, 접속부위의 온도가 높지않아 피복이 타거나 녹지 않으며, 접속부위가 쉽게 부식되지 않아 단선사고의 염려가 없고, 착탈식으로 시공작업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배전선로 분기 슬리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도체인 직사각형상의 탄성판체로 좌우측 중심에는 좌우측체결장공이 각각 형성되어 피복이 절개된 전선케이블의 피복절개부 상면에 위치되는 상부체결판체와;
부도체인 직사각형상의 탄성판체로 중심에는 전후방향으로 삽입공을 갖는 받침판이 형성되고, 받침판 좌우측단 중심에는 각각 좌우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체결판체의 좌우측체결장공을 각각 관통하어 체결너트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좌우측체결볼트부가 형성된 하부체결판체와;
상부에는 반원형상으로 전선케이블의 피복절개부 하부에 밀착되는 하단받침부가 형성되고, 하단받침부 저면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체결판체의 삽입공을 관통하는 수직판이 형성되되 수직판의 전후방에는 볼트공이 형성되어 선단의 피복을 절개시킨 인하선 선단을 감싸는 링부를 갖고 양측단에 상기 볼트공 연장선상에 체결공을 갖는 고정클립이 형성되어 볼트와 너트에 의해 인하선을 수직판에 체 결고정시켜 통전이 이루어지는 도체인 인하선통전구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인하선과의 연결부위 접지면이 크고 완강하게 고정되어 인하선이 이탈될 염려가 전혀 없고, 접속부위의 온도가 높지않아 피복이 타거나 녹지 않으며, 접속부위가 쉽게 부식되지 않아 단선사고의 염려가 없고, 착탈식으로 시공작업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배전선로 분기 슬리브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배전선로 분기 슬리브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배전선로 분기 슬리브의 시공모습을 보인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배전선로 분기 슬리브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용상태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배전선로 분기 슬리브는, 전선케이블(50)의 피복절개부(52) 상측에 위치되어 하부체결판체(20)와 체결고정되는 부도체인 상부체결판체(10)와, 전선케이블(50)의 피복절개부(52) 하측에 위치되어 하부체결판체(20)와 체결고정되어 인하선통전구(30)를 전선케이블(50)의 피복절개부(52)에 밀착고정시키는 부도체인 하부체결판체(20)와, 상하부체결판체(10,20)에 의해 체결고정되어 인하선(40)으로 통전연결되는 인하선통전구(3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체결판체(10)는 전선케이블(50)의 피복절개부(52) 상측에 위치되어 하부체결판체(20)와 체결고정되는 부도체인 직사각형상의 탄성판체로, 좌우측 중심에는 좌우측체결장공(11,12)이 각각 형성되어 피복(51)이 절개된 전선케이블(50)의 피복절개부(52) 상면에 안착된다.
상기 하부체결판체(20)는 전선케이블(50)의 피복절개부(52) 하측에 위치되어 하부체결판체(20)와 체결고정되어 인하선통전구(30)를 전선케이블(50)의 피복절개부(52)에 밀착고정시키는 부도체인 직사각형상의 탄성판체로, 중심에는 전후방향으로 삽입공(22)을 갖는 받침판(21)이 형성되고, 받침판(21) 좌우측단 중심에는 각각 좌우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체결판체(10)의 좌우측체결장공(11,12)을 각각 관통하어 체결너트(23a,24a)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좌우측체결볼트부(23,24)가 형성된 다.
상기 인하선통전구(30)는 상하부체결판체(10,20)에 의해 체결고정되어 인하선(40)으로 통전연결되는 도체인 연결구로, 상부에는 반원형상으로 전선케이블(50)의 피복절개부(52) 하부에 밀착통전되는 하단받침부(31)가 형성되고, 하단받침부(31) 저면에서 하부로 수직돌출되어 상기 하부체결판체(20)의 삽입공(22)을 관통하는 수직판(32)이 형성되되 수직판(32)의 전후방에는 볼트공(33,33a)이 형성되어 선단의 피복(41)을 절개시킨 인하선(40) 선단을 감싸는 링부(34a)를 갖고 양측단에 상기 볼트공(33,33a) 연장선상에 체결공(34b,34c)을 갖는 고정클립(34)이 형성되어 볼트(35)와 너트(35a)에 의해 인하선(40)을 수직판(32)에 체결고정시켜 통전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전선케이블(50)의 피복절개부(52) 하측에 밀착된 상태로 도체인 인하선통전구(30)가 부도체인 상하부체결판체(10,20)에 의해 완강히 체결고정됨에 따라 시공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체결력이 보다 와강하여 분리의 염려가 전혀 없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배전선로 분기 슬리브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배전선로 분기 슬리브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배전선로 분기 슬리브의 시공모습을 보인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배전선로 분기 슬리브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체결판체 11 : 좌측체결장공
12 : 우측체결장공
20 : 하부체결판체 21 : 받침판
22 : 삽입공 23 : 좌측체결볼트부
24 : 우측체결볼트부 23a,24a : 체결너트
30 : 인하선통전구 31 : 하단받침부
32 : 수직면 33,33a : 볼트공
34 : 고정클립 34a : 링부
34b,34c : 체결공 35 : 볼트
35a : 너트
40 : 인하선 41 : 피복
50 : 전선케이블 51 : 피복
52 : 피복절개부

Claims (1)

  1. 부도체인 직사각형상의 탄성판체로 좌우측 중심에는 좌우측체결장공이 각각 형성되어 피복이 절개된 전선케이블의 피복절개부 상면에 위치되는 상부체결판체와;
    부도체인 직사각형상의 탄성판체로 중심에는 전후방향으로 삽입공을 갖는 받침판이 형성되고, 받침판 좌우측단 중심에는 각각 좌우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체결판체의 좌우측체결장공을 각각 관통하어 체결너트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좌우측체결볼트부가 형성된 하부체결판체와;
    상부에는 반원형상으로 전선케이블의 피복절개부 하부에 밀착되는 하단받침부가 형성되고, 하단받침부 저면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체결판체의 삽입공을 관통하는 수직판이 형성되되 수직판의 전후방에는 볼트공이 형성되어 선단의 피복을 절개시킨 인하선 선단을 감싸는 링부를 갖고 양측단에 상기 볼트공 연장선상에 체결공을 갖는 고정클립이 형성되어 볼트와 너트에 의해 인하선을 수직판에 체결고정시켜 통전이 이루어지는 도체인 인하선통전구를 구비하는 배전선로 분기 슬리브.
KR1020080010003A 2008-01-31 2008-01-31 배전선로 분기 슬리브 KR100828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003A KR100828438B1 (ko) 2008-01-31 2008-01-31 배전선로 분기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003A KR100828438B1 (ko) 2008-01-31 2008-01-31 배전선로 분기 슬리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8438B1 true KR100828438B1 (ko) 2008-05-13

Family

ID=39650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0003A KR100828438B1 (ko) 2008-01-31 2008-01-31 배전선로 분기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843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578B1 (ko) * 2008-03-20 2008-06-05 (주)상일전설 배전선로의 분기슬리브
KR101224847B1 (ko) 2012-11-05 2013-01-22 (주)신명이앤씨 배전 선로의 분기 슬리브
KR101684313B1 (ko) * 2016-09-29 2016-12-08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배전선로용 분기 슬리브
CN108054032A (zh) * 2017-11-01 2018-05-18 王亚苹 一种电网往用电设施接线可闭合连接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0211A (ko) * 2003-10-28 2005-05-03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자켓 절연 커버와 자켓 레일 커버를 이용하는 분기 슬리브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0211A (ko) * 2003-10-28 2005-05-03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자켓 절연 커버와 자켓 레일 커버를 이용하는 분기 슬리브결합구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공개특허공보10-2005-0040211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578B1 (ko) * 2008-03-20 2008-06-05 (주)상일전설 배전선로의 분기슬리브
KR101224847B1 (ko) 2012-11-05 2013-01-22 (주)신명이앤씨 배전 선로의 분기 슬리브
KR101684313B1 (ko) * 2016-09-29 2016-12-08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배전선로용 분기 슬리브
CN108054032A (zh) * 2017-11-01 2018-05-18 王亚苹 一种电网往用电设施接线可闭合连接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5578B1 (ko) 배전선로의 분기슬리브
KR100828438B1 (ko) 배전선로 분기 슬리브
KR100853691B1 (ko)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
KR100851249B1 (ko)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
US10458641B2 (en) Hot stick light
US8263880B2 (en) Assembly comprising electric and/or electronic components
KR100850769B1 (ko)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 슬리브
US10069260B2 (en) Supply rail
KR102051522B1 (ko) 접지선 연결기구
KR100751518B1 (ko)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KR100854020B1 (ko) 배전선로의 분기슬리브
KR100853687B1 (ko)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
KR100816282B1 (ko) 배전 선로의 분기슬리브
KR200442452Y1 (ko) 배전 케이블 설치용 케이블 접속재
KR100950266B1 (ko)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
KR100849897B1 (ko)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
US6586672B2 (en) Electrical insulating box assembly for electrical fixtures
KR20170017336A (ko) 전자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인렛 소켓
KR100859907B1 (ko) 전선 연결 장치
KR102195149B1 (ko) 배전선로의 볼형 분기슬리브
KR102030317B1 (ko) 완철용 피뢰기 고정 장치
KR100659024B1 (ko)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US9948013B2 (en) Modular electrical power transfer device for integrated power platform
CN206259512U (zh) 防触电型接线端子
KR100860977B1 (ko)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