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0129B1 -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0129B1
KR100950129B1 KR1020080011953A KR20080011953A KR100950129B1 KR 100950129 B1 KR100950129 B1 KR 100950129B1 KR 1020080011953 A KR1020080011953 A KR 1020080011953A KR 20080011953 A KR20080011953 A KR 20080011953A KR 100950129 B1 KR100950129 B1 KR 100950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eat sink
terminal block
main circui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5975A (ko
Inventor
김대성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1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0129B1/ko
Publication of KR20090085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0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0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06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354Gas-insulated switchgear comprising a vacuum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06Terminal arrangements
    • H01H2033/6613Cooling arrangement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terminal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igh-Tension Arc-Extinguishing Switches Without Spraying Means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Abstract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에 있어서 발열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를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접점부와 가동접점부 중 어느 일 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전기적 도체로 된 단자 블록(TERMINAL BLOCK); 상기 단자 블록에 연결되며, 클립형(CLIP TYPE) 접촉자가 외주 면에 설치되고 전기적 도체로 된 원통형 접촉 단자 부; 상기 단자 블록의 표 면적을 증대시키도록 상기 단자 블록에 고정 설치되고, 다수의 냉각핀을 가진 히트 싱크(HEAT SINK)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진공 인터럽터, 히트 싱크, 단자

Description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MAIN CIRCUIT TERMINAL ASSEMBLY FOR VACUUM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진공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진공차단기의 진공인터럽터(VACUUM INTERRUPTER)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에 있어서 대전류 통전에 대한 방열특성이 우수하여 진공차단기의 온도상승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전력계통의 회로에 흐르는 전류가 미리 결정된 전류 값을 초과하면 회로를 차단시켜 과전류 사고나 단락사고로부터 회로 및 부하기기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회로차단기는 최근 이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모든 산업분야에서 크기는 축소하고 취급 전력용량은 대용량화를 요구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대전류 통전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온도상승이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진공차단기는 전력계통의 전력 수전을 위한 전원 측 수전단자와 부하 측으로의 배전을 위한 부하 측 배전단자를 갖는 단자 부인 크래들(CRADLE)과, 회로를 차단 또는 접속하는 개폐접점부가 구비된 진공 인터럽터를 포함하는 주회로 부와, 상기 주회로 부에 접속되고 상기 크래들의 수전단자 및 배전단자에 접속가능한 주회 로 단자와, 상기 주회로 부의 개폐접점 부를 구동하는 액튜에이터(ACTUATOR), 상기 주회로 단자를 상기 크래들의 수전단자 및 배전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인입하여 접속하는 위치 또는 인출하여 분리하는 위치로 상기 주회로 부와 상기 주회로 단자와 상기 액튜에이터를 이송가능하게 지지하는 기판 부와 바퀴를 갖는 이송 대차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진공차단기는 상기 크래들의 수전단자 및 배전단자에 접속되어 대전류 통전에 의해서 특히 발열이 많은 상기 주회로 단자 부분에 대한 방열 수단이 전혀 마련되지 않아 진공차단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회로 단자 부분에 표 면적을 증가시켜 효과적으로 방열함으로써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부 온도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 인터럽터(VACUUM INTERRUPTER)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진공 인터럽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전기적 도체로 된 단자 블록(TERMINAL BLOCK);
상기 단자 블록에 연결되며, 클립형(CLIP TYPE) 접촉자가 외주 면에 설치되고 전기적 도체로 된 원통형 접촉 단자 부;
상기 단자 블록의 표 면적을 증대시키도록 상기 단자 블록에 고정 설치되고, 다수의 냉각 핀을 가진 히트 싱크(HEAT SINK)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 인터럽터(VACUUM INTERRUPTER)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진공 인터럽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전기적 도체로 된 단자 블록(TERMINAL BLOCK);
상기 단자 블록에 연결되며, 클립형(CLIP TYPE) 접촉자가 외주 면에 설치되고 전기적 도체로 된 원통형 접촉 단자 부;
상기 단자 블록의 표 면적을 증대시키도록 상기 단자 블록에 고정 설치되고, 핀(PIN) 형상의 다수의 냉각 핀(COOLING PIN)을 가진 히트 싱크(HEAT SINK)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는 단자 블록 상에 다수의 냉각 핀(COOLING FIN) 또는 핀 형태의 냉각 핀(COOLING PIN)을 가진 히트 싱크를 부설하므로 주회로 단자의 표 면적을 증가시켜 신속한 방열에 의해 주회로 단자를 냉각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는 단자 블록의 상하면과 양측면상에 히트 싱크를 부설하여 주회로 단자의 표 면적을 크게 증가시켜 신속한 방열에 의해 주회로 단자를 냉각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는 상부 히트 싱크 블록과 하부 히트 싱크 블록에 있어서 냉각 핀들 사이의 홈 부분이 공기의 대류 통로를 제공하도록 냉각 핀의 방향이 단자 블록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공기의 대류현상을 이용하여 단자 블록을 신속히 냉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는 한 쌍의 측면 히트 싱크 블록에 있어서 공기의 대류 통로를 제공하도록 냉각 핀의 방향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의 대류현상을 이용하여 단자 블록을 신속히 냉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는 접촉 단자 부에 표 면적을 증대시키도록 부분적으로 히트 싱크 부가 형성되어 있어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의 전체적 냉각 효과가 더욱 증대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이를 달성하는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의 작용효과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 의해서 좀 더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차단기의 주회로 부에 대한 사시 도인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차단기의 주회로 부 전체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차단기의 주회로 부(1)는 상기 배경기술의 설명에서 기설명한 바와 같이 이송 대차의 기판상에 지지되어 크래들(CRADLE)의 단자에 접속되는 인입위치 또는 크래들의 단자로부터 분리되는 인출위치로 이송될 수 있고, 교류 R, S, T의 3상 또는 여기에 중성상인 N상을 포함한 4상 용으로 3개 또는 4개가 한 대의 진공 차단기에 마련될 수 있다.
상 별의 주회로 부(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구분하여 진공 인터럽터(2), 진공 인터럽터 방열부(3), 상부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4a), 하부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4b), 히트 싱크(HEAT SINK)(5), 상부 클립형(CLIP TYPE) 접촉자(7a), 하부 클립형 접촉자(7b) 및 주회로 부 외함(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진공 인터럽터(2)는 진공 용기 내에 개폐접점으로서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이 부설된 고전압용 전기 개폐기구이며, 액튜에이터에 의해서 상기 가동접점이 구동되어 고정접점에 접촉하는 통전 위치와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고정접점으로부터 분리되는 차단위치의 개폐 동작 위치를 가진다. 진공 인터럽터의 구성과 작용에 대해서는 잘 알려진 바와 같으므로 더욱 상세한 구성 및 동작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진공 인터럽터 방열부(3)는 진공 인터럽터(2)의 발열을 냉각시키기 위해 진공 인터럽터(2)의 상부 면에 설치되는 히트 싱크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4a) 및 하부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4b)는 본 발명에 따른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하의 상세한 구성 및 작용효과의 설명시 상부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4a) 및 하부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4b)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 대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부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4a)와 하부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4b)는 각각 진공 인터럽터(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진공 인터럽터(2)의 상기 가동접점과 고정접점 측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주회로 부(1)가 미 도시한 크래들의 부하 측 및 전원 측 단자와 접속되는 인입 위치에서, 진공 인터럽터(2)의 상기 가동접점이 고정접점과 접촉되면, 크래들의 전원 측 단자로부터 상부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4a)와 진공 인터럽터(2), 하부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4b) 및 크래들의 부하 측 단자를 거쳐 부하 측으로 전류가 통전할 수 있는 회로가 형성된다. 또한, 주회로 부(1)가 미 도시한 크래들의 부하 측 및 전원 측 단자와 분리된 인출 위치에서 상기 회로는 구성되지 않고, 상기 인입 위치에서 진공 인터럽터(2)의 가동접점이 고정접점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회로는 차단된다.
히트 싱크(5)는 상부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4a)와 하부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4b)의 표 면적을 증가시켜 신속한 방열을 유도하여 상부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4a)와 하부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4b)를 대기 중에서 효과적으로 신속하게 냉각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그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부 클립형(CLIP TYPE) 접촉자(7a)와 하부 클립형 접촉자(7b)는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각각 다수의 접촉자 핑거(FINGER)와 이들 접촉자 핑거들에 접촉 압력을 제공하는 환형의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상부 클립형(CLIP TYPE) 접촉자(7a)와 하부 클립형 접촉자(7b)는 각각 상부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4a)와 하부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4b)의 선단 부에 접속 설치되어, 상기 인입 위치에서 미 도시한 크래들의 전원 측 단자 및 부하 측 단자(상기 상부 및 하부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에 대응되게 각기 상 및 하 위치에 마련됨)에 접촉하여 통전 가능한 상태로 되고, 상기 인출 위치에서 미 도시한 크래들의 전원 측 단자 및 부하 측 단자로부터 분리되어 단로(斷路) 상태(회로가 단절된 상태)로 된다.
주회로 부 외함(8)은 진공 인터럽터(2)를 수용하고 지지하는 C자형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고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케이스(CASE)이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의 구성과 작용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에 대한 분해 사시 도이다. 도 2와 도 3은 정확하게는 도 1의 상부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4a)와 하부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4b)에 있어서 이들이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들 중 하부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4b)를 대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더욱 정확히는 하부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4b)}는 진공 인터럽터(도 1의 부호 2 참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서, 단자 블록(4b-1), 원통형 접촉 단자 부(6), 히트 싱크(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자 블록(4b-1)은 진공 인터럽터(도 1의 부호 2 참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전기적 도체로 된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넓적한 막대 형상이고 일명 부스 바(BUS BAR)로 통칭되는 부재이다. 도 3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자 블록(4b-1)의 상부 면에는 상부 히트 싱크 블록(5c)를 고정 설치하기 위한 나사 구멍 부(4b-3)가 4개 마련되며, 미 도시되었지만 단자 블록(4b-1)의 하부 면에도 마찬가지로 하부 히트 싱크 블록(5d)을 고정 설치하기 위한 나사 구멍 부가 4개 마련된다. 단자 블록(4b-1)의 양 측면에는 양 측면 히트 싱크 블록(5a, 5b)을 고정 설치하기 위한 나사 구멍 부(4b-2)가 2개씩 마련된다.
접촉 단자 부(6)는 전기적 도체로 된 원통형의 부재로서, 단자 블록(4b-1)에 연결되며, 클립형 접촉자(도 1의 부호 7b참조)가 외주 면에 설치된다.
접촉 단자 부(6)는 그 표 면적을 증대시키도록 부분적으로 히트 싱크 부(6a)가 형성되어 있으며, 나머지 부분은 클립형 접촉자(도 1의 부호 7b참조)가 설치되는 접촉자 접속 부(6b)이다.
다수의 냉각 핀(COOLING FIN)(5a-2, 5b-2, 5c-2, 5d-2)을 가진 히트 싱크(5)가 단자 블록(4b-1)의 표 면적을 증대시키도록 단자 블록(4b-1)에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히트 싱크(5)는 단자 블록(4b-1) 중 접촉 단자 부(6)에 인접한 부위에 설치된다. 히트 싱크(5)의 다수의 냉각 핀(5a-2, 5b-2, 5c-2, 5d-2)은 기저부(서로 연결된 아래 부분)가 두껍고 자유단 부가 상기 기저부보다 얇은 칼날 형태를 가진다. 상기 히트 싱크(5)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어진 히트 싱크이다.
히트 싱크(5)는, 단자 블록(4b-1)의 상부 면에 고정 설치되어 단자 블록(4b-1)의 표 면적을 증대시키는 상부 히트 싱크 블록(5c)과, 단자 블록(4b-1)의 하부 면에 고정 설치되어 단자 블록(4b-1)의 표 면적을 증대시키는 하부 히트 싱크 블록(5d)과, 단자 블록(4b-1)의 양 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단자 블록(4b-1)의 표 면적을 증대시키는 한 쌍의 측면 히트 싱크 블록(5a, 5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 히트 싱크 블록(5c)과 하부 히트 싱크 블록(5d)은 냉각 핀들(5c-2, 5d-2) 사이의 홈 부분이 공기의 대류 통로를 제공하도록 냉각 핀(5c-2, 5d-2)의 방향이 단자 블록(4b-1)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한 쌍의 측면 히트 싱크 블록(5a, 5b)은 공기의 대류 통로를 제공하도록 냉각 핀(5a-2, 5b-2)의 방향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트 싱크(5)는 다수의 핀(pin) 형태의 냉각 핀(cooling pin)(5a-2a 내지 5d-2a)을 가진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히트 싱크 블록(5a-5d)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4a, 4b)의 방열 및 냉각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4a, 4b)는 크래들 측의 단자와 접속되어 발열이 많이 일어나는 주회로 단자 부에 있어서 히트 싱크(5)를 부설하여 주회로 단자 부의 표 면적을 증가시켜 넓은 표 면적에서 방열이 일어남으로써 신속한 주회로 단자 부의 냉각을 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4a, 4b)는 히트 싱크(5)를 단자 블록(4b-1) 중 접촉 단자 부(6)에 인접한 부위에 설치함으로써, 크래들 측 단자에 인입 위치에서 접속되어 발열이 가장 많이 일어나는 부분이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4a, 4b)는 단자블록(4b-1)의 상하 및 좌우 측면 즉 4면상에 히트 싱크 블록(5a, 5b, 5c, 5d)를 부설하여 표 면적이 크게 증가될 수 있어 신속한 방열에 의해 단자블록(4b-1)을 냉각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이때 히트 싱크 블록(5a, 5b, 5c, 5d)은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냉각 핀(COOLING FIN)(5a-2, 5b-2, 5c-2, 5d-2)을 가진 히트 싱크 블록 외에 도 4에 도시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냉각 핀(COOLING PIN)(5a-2a 내지 5d-2a)를 가진 히트 싱크 블록이 설치되어도 표 면적 이 크게 증가될 수 있어 신속한 방열에 의해 단자블록(4b-1)을 신속히 냉각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4a, 4b)는 접촉 단자 부(6)에도 그 표 면적을 증대시키도록 부분적으로 히트 싱크 부(6a)가 형성되어 있어 방열 및 냉각 효과가 더욱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4a, 4b)는 상부 히트 싱크 블록(5c)과 하부 히트 싱크 블록(5d)의 냉각 핀들(5c-2, 5d-2)의 방향이 단자 블록(4b-1)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이들 냉각 핀(5c-2, 5d-2) 사이의 홈 부분이 공기의 대류 통로를 제공하고, 한 쌍의 측면 히트 싱크 블록(5a, 5b)도 공기의 대류 통로를 제공하도록 냉각 핀(5a-2, 5b-2)의 방향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이들 냉각 핀들(5a-2, 5b-2, 5c-2, 5d-2) 사이로 주변의 공기가 대류하면서 열을 빼앗아감으로써 방열 및 냉각효과는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4a, 4b)의 전기적 통전 경로 제공의 동작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회로 부(1)가 미 도시한 크래들의 부하 측 및 전원 측 단자와 접속되는 인입 위치에서, 진공 인터럽터(2)의 가동접점이 고정접점과 접촉되면, 상기 크래들의 전원 측 단자로부터 상부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4a)와 진공 인터럽터(2), 하부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4b) 및 크래들의 부하 측 단자를 거쳐 부하 측으로 전류가 통전할 수 있는 회로가 형성되어 이 회로를 통해 전원 측으로부터 부하 측으로 전류가 통전된다. 또한, 주회로 부(1)가 미 도시한 크래들의 부하 측 및 전원 측 단자 와 분리된 인출 위치에서 상기 회로는 구성되지 않으므로 당연히 전원 측으로부터 부하 측으로 통전은 이루어지지 않으며, 상기 인입 위치에서도 진공 인터럽터(2)의 가동접점이 고정접점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회로는 차단되어 상기 전원 측으로부터 부하 측으로 전류는 흐르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차단기의 주회로 부에 대한 사시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에 대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에 대한 분해 사시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에 있어서 히트 싱크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 도이다.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주회로 부 2: 진공 인터럽터
3: 진공 인터럽터 방열 부
4a: 상부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
4b: 하부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
4b-1: 단자 블록 4b-2: 측면 나사 구멍 부
4b-3: 상면 나사 구멍 부
5: 히트 싱크
5a: 측면 히트 싱크 블록(좌측) 5a-1: 나사 안내 홈 부
5a-2 ~ 5d-2: 냉각 핀(cooling fin)
5a-2a ~ 5d-2a: 냉각 핀(cooling pin)
5b: 측면 히트 싱크 블록(우측) 5b-1: 나사 구멍 부
5c: 상부 히트 싱크 블록 5c-1: 나사 안내 홈 부
5d: 하부 히트 싱크 블록 5d-1: 나사 구멍 부
6a: 히트 싱크 부 6b: 접촉자 접속 부
7a: 상부 클립형 접촉자 7b: 하부 클립형 접촉자
8: 주회로 부 외함

Claims (13)

  1. 진공 인터럽터(VACUUM INTERRUPTER)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진공 인터럽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전기적 도체로 된 단자 블록(TERMINAL BLOCK);
    상기 단자 블록에 연결되며, 클립형(CLIP TYPE) 접촉자가 외주 면에 설치되고 전기적 도체로 된 원통형 접촉 단자 부;
    상기 단자 블록의 표 면적을 증대시키도록 상기 단자 블록 중 상기 접촉 단자 부에 인접한 부위에 고정 설치되고, 기저부가 두껍고 자유단 부가 상기 기저부보다 얇은 칼날 형태를 가진 다수의 냉각 핀(COOLING FIN)을 가지며, 상기 단자 블록의 상부 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단자 블록의 표 면적을 증대시키는 상부 히트 싱크 블록과, 상기 단자 블록의 하부 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단자 블록의 표 면적을 증대시키는 하부 히트 싱크 블록과, 상기 단자 블록의 양 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단자 블록의 표 면적을 증대시키는 한 쌍의 측면 히트 싱크 블록을 가지는 히트 싱크(HEAT SINK);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히트 싱크 블록과 상기 하부 히트 싱크 블록은 냉각 핀들 사이의 홈 부분이 공기의 대류 통로를 제공하도록 냉각 핀의 방향이 상기 단자 블록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면 히트 싱크 블록은 공기의 대류 통로를 제공하도록 냉각 핀의 방향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단자 부는 상기 접촉 단자 부의 표 면적을 증대시키도록 부분적으로 히트 싱크 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싱크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어진 히트 싱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
  9. 진공 인터럽터(VACUUM INTERRUPTER)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진공 인터럽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전기적 도체로 된 단자 블록(TERMINAL BLOCK);
    상기 단자 블록에 연결되며, 클립형(CLIP TYPE) 접촉자가 외주 면에 설치되고 전기적 도체로 된 원통형 접촉 단자 부;
    상기 단자 블록의 표 면적을 증대시키도록 상기 단자 블록 중 상기 접촉 단자 부에 인접한 부위에 고정 설치되고, 핀(PIN) 형상의 다수의 냉각 핀(COOLING PIN)을 가지며,
    상기 단자 블록의 상부 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단자 블록의 표 면적을 증대시키는 상부 히트 싱크 블록과, 상기 단자 블록의 하부 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단자 블록의 표 면적을 증대시키는 하부 히트 싱크 블록과, 상기 단자 블록의 양 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단자 블록의 표 면적을 증대시키는 한 쌍의 측면 히트 싱크 블록을 가진 히트 싱크(HEAT SINK);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
  10. 삭제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단자 부는 상기 접촉 단자 부의 표 면적을 증대시키도록 부분적으로 히트 싱크 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싱크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어진 히트 싱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
KR1020080011953A 2008-02-05 2008-02-05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 KR100950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953A KR100950129B1 (ko) 2008-02-05 2008-02-05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953A KR100950129B1 (ko) 2008-02-05 2008-02-05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975A KR20090085975A (ko) 2009-08-10
KR100950129B1 true KR100950129B1 (ko) 2010-03-30

Family

ID=41205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953A KR100950129B1 (ko) 2008-02-05 2008-02-05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01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87373A1 (en) 2013-12-20 2015-06-24 LSIS Co., Ltd. Terminal structure of main circuit part of vacuum circuit break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040B1 (ko) * 2012-07-26 2013-09-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
KR101698813B1 (ko) 2014-08-04 2017-01-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용 냉각 유닛
KR102194656B1 (ko) * 2019-04-25 2020-12-23 엘에스일렉트릭(주) 차단기용 터미널 구조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6502A (ja) * 1999-06-18 2001-01-12 Toshiba Corp 真空遮断器
KR200211202Y1 (ko) * 2000-09-01 2001-01-15 엘지산전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방열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6502A (ja) * 1999-06-18 2001-01-12 Toshiba Corp 真空遮断器
KR200211202Y1 (ko) * 2000-09-01 2001-01-15 엘지산전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방열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87373A1 (en) 2013-12-20 2015-06-24 LSIS Co., Ltd. Terminal structure of main circuit part of vacuum circuit breaker
CN104733220A (zh) * 2013-12-20 2015-06-24 Ls产电株式会社 真空断路器的主电路部分的终端结构
US9418805B2 (en) 2013-12-20 2016-08-16 Lsis Co., Ltd. Terminal structure of main circuit part of vacuum circuit breaker
CN104733220B (zh) * 2013-12-20 2017-07-18 Ls产电株式会社 真空断路器的主电路部分的终端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975A (ko) 2009-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2617B2 (en) Main circuit terminal assembly for vacuum circuit breaker
CN101589447B (zh) 低压断路器的双断触头系统、包括双断触头系统的塑壳断路器和断开电路的方法
KR101678288B1 (ko) 직류 회로용 회로 차단기 및 직류 회로용 회로 차단 장치
US10748729B2 (en) Low profile fusible disconnect switch device
KR100950129B1 (ko)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
US10224169B2 (en) High voltage compact fusible disconnect switch device with magnetic arc deflection assembly
US6194984B1 (en) Movable contact assembly for an electrical contactor
US8035047B2 (en) Reduced material plug-on jaw with symmetrical spring for a circuit breaker
JP2012138173A (ja) 回路遮断器
US9147541B2 (en) Circuit breaker comprising ventilation channels for efficient heat dissipation
US10636607B2 (en) High voltage compact fused disconnect switch device with bi-directional magnetic arc deflection assembly
EP2306482B1 (en) Main circuit terminal assembly for vacuum circuit breaker
KR20130041282A (ko) 열 추출 장치를 구비한 스위칭 디바이스
US9805887B2 (en) Slot motor configuration for high amperage multi-finger circuit breaker
KR20240008906A (ko) 통합된 차단 모듈을 갖는 전기 보호 장치들 및 시스템들
KR20180087100A (ko) 직류 회로 차단기
TWI695399B (zh) 斷路器
JP5089830B2 (ja) ブッシング
KR101332722B1 (ko) 회로 차단 장치용 아크 슈트
JP6234872B2 (ja) 回路遮断器
ES2834972T3 (es) Unidad terminal para interruptor contactor de vacío
CN212874379U (zh) 用于低压断路器的端子夹具覆盖装置及对应的低压断路器
KR20240008926A (ko) 전기 보호 장치들 및 시스템들
KR20230011113A (ko) 아크 소호부, 차단부 및 이를 포함하는 기중 차단기
KR101122795B1 (ko) 냉각기능을 갖는 배선용차단기의 고정접촉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