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0074B1 - 범용 메모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송 데이터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범용 메모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송 데이터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0074B1
KR100950074B1 KR1020090055143A KR20090055143A KR100950074B1 KR 100950074 B1 KR100950074 B1 KR 100950074B1 KR 1020090055143 A KR1020090055143 A KR 1020090055143A KR 20090055143 A KR20090055143 A KR 20090055143A KR 100950074 B1 KR100950074 B1 KR 100950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roadcast data
memory device
general
purpose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5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9851A (ko
Inventor
이주화
Original Assignee
쿠도커뮤니케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도커뮤니케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도커뮤니케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5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0074B1/ko
Publication of KR20090079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851A/ko
Priority to PCT/KR2009/007278 priority patent/WO201014727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0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0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7Establishing a secure communication between the client and a peripheral device or smart c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61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reading from or writing on a magnetic storage medium, e.g. hard disk drive
    • H04N21/42669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reading from or writing on a magnetic storage medium, e.g. hard disk drive the medium being remov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7Rights management associated to the content

Abstract

범용 메모리 장치는 단말과 연결되어, 해당 단말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 따른 방송 데이터를 처리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범용 메모리 장치는 화면 제어 인터페이스부, 비디오 재생 처리부, 인코딩/디코딩 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범용 메모리 장치는 고유 일련 번호를 가질 수 있으며, 각 구성 요소는 칩 기반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 USB, 셋탑박스, 방송데이터

Description

범용 메모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송 데이터 처리 방법{Universal memory device and broadcasting data processing method using the device}
본 발명은 방송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범용 메모리 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방송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송 기술 발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방송 서비스가 가능해지고 있으며, 방송 서비스는 공중파 방송을 비롯하여 위성 방송,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 케이블 방송, 인터넷 방송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되고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가 서비스를 일방적으로 제공받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제공받고자 하는 서비스를 선택하고 요청할 수 있는 양방향 통신 형태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로는 인터넷을 통하여 제공되는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인 IPTV(internet protocol TV) 서비스, 맞춤 영상 정보 서비스인 VOD(video on demand) 서비스 등이 있다.
이러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셋탑 박스(set-top box)가 필요하다. 셋탑 박스는 방송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는 기 능을 가지는 단말에 연결되어 방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여 단말로 제공하는 장치인데, 일반적으로 그 부피가 휴대하기에는 크고 무게 또한 무거운 단점이 있다.
또한 셋탑 박스가 요구되지 않아도, 인터넷을 통하여 방송 컨텐츠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 관련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이 있는 단말을 통해서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가입자 인증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은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단말에 가입자 인증에 필요한 인증서 등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른 단말을 통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단말과 연계하여, 해당 단말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 따른 데이터를 제공받아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범용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러한 범용 메모리 장치를 이용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 따른 방송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방송 데이터 처리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가지는 단말에 범용 메모리 장치를 연결시킨 상태에서, 상기 범용 메모리 장치의 보안 처리부가 상기 단말의 리소스를 토대로,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인증 서버로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에 대한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범용 메모리 장치의 비디오 재생 처리부가 상기 단말의 리소스를 토대로,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방송 컨텐츠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데이터에 대하여 디코딩을 포함하는 재생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범용 메모리 장치의 화면 제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단말의 리소스를 토대로, 방송 데이터가 재생되는 화면을 상기 단말상에 구성하여, 상기 화면 상에 상기 재생 처리된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방송 데이터 처리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가지는 단말에 범용 메모리 장치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단말을 통하여 상기 방송 데이터 관련 컨텐츠 정보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임의 컨텐츠에 대한 구매 요청 관련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범용 메모리 장치의 화면 제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이벤트 관련 구매 요청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을 통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인증 서버로 구매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구매 요청에 따라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구매를 허용하는 응답 데이터가 제공되면, 상기 범용 메모리 장치의 비디오 재생 처리부가 상기 응답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컨텐츠 접속 정보를 토대로 상기 단말을 통하여, 상기 네트워 크에 연결되어 있는 방송 컨텐츠 서버로 해당 방송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비디오 재생 처리부가 상기 단말의 리소스를 토대로, 상기 방송 컨텐츠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데이터를 재생 처리하여 상기 단말을 통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범용 메모리 장치는, 상기 범용 메모리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가지는 단말에 연결되어 사용되고, 데이터를 인코딩하거나 인코딩된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인코딩/디코딩 부; 상기 단말의 리소스를 토대로, 상기 단말에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에 대한 재생 처리를 상기 인코딩/디코딩부와 연계하여 수행하는 비디오 재생 처리부; 상기 방송 데이터가 암호화된 경우, 상기 단말의 리소스를 토대로, 상기 암호화된 방송 데이터를 복호하여 상기 비디오 재생 처리부로 제공하는 보안 처리부; 상기 단말의 리소스를 토대로 상기 방송 데이터가 재생되는 화면을 상기 단말상에 구성하여, 상기 화면상에 비디오 재생 처리부에 의하여 재생되는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화면 제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별도의 셋탑 박스를 구비하지 않아도 범용 메모리 장치를 이용하여 임의 단말을 통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특히 범용 메모리 장치의 크기가 작아서 휴대성이 용이함으로, 사용자들은 범용 메모리 장치를 이용하여 언제 언디서나 편리하게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범용 메모리 장치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함에 따라, 어떠한 단말에서도 사용자 인증을 통하여 방송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특히 기존의 셋탑 장치와 비교하여 범용 메모리 장치를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사업자의 단말기 가격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범용 메모리 장치는 고유한 일련번호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일련 번호를 토대로 각 범용 메모리 장치를 용이하게 식별 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Terminal)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 따른 방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장치를 나타내며, 예를 들어, 컴퓨 터(compueter),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note book), IPTV,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컴퓨터, PC, 노트북, IPTV, 이동 단말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이동 단말은 셀룰라폰, PDA 등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 장치들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첨부한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용 메모리 장치(10)는 는 단말(20)과 연결되어 있으며, 단말(20)은 네트워크(30, 예를 들어, 인터넷 등)을 통하여 갱신 서버(40), 인증 서버(50), 방송 컨텐츠 서버(60), 프로그램 가이드 서버(70)와 연결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상 인증 서버(50), 갱신 서버(40), 방송 컨텐츠 서버(60) 및 프로그램 가이스 서버들을 포괄하여, 방송 서비스 시스템이라고 명명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각 서버들을 기능에 따라 분류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분류에 한정되지 않고 구현하고자 하는 형태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단말(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용 메모리 장치(10)와 유선 또는 무선 형태로 연결되며, 네트워크(30)를 통하여 각 서버들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한다. 단말(20)은 네트워크(30)를 통하여 서버들(40~7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1, 예: NIC(network interface card)), 네트워크(30)를 통하여 서버들(40~70)에 접속하기 위한 전용 프로그램(예: 웹 브라우저 등) 및 복수 동작에 연관된 각종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22),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이에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중앙 처리부(23, CPU), 영상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비디오 처리부(24)를 포함하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용 메모리 장치(10)와 통신하기 위한 장치 인터페이스부(26)를 포함한다. 장치 인터페이스부(26)는 범용 메모리 장치(10)와 유선으로 연결되기 위한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등일 수 있다. 또는 단말(20)과 범용 메모리 장치(10)가 무선을 통하여 통신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장치 인터페이스부(26)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모듈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20)의 이러한 구성 요소들(21~26)을 리소스(resource)라고 명명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단말(20)과 연결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용 메모리 장치(10)는 단말(20)의 각 구성 요소(21~25)와 연계하여 단말(20)이 방송 데이터를 수신 및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방송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다양한 부가 서비스에 관련된 양방향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방송 데이터는 방송 컨텐츠 서버(60)를 통하여 스트리밍 패킷 형태로 전송될 수 있으며, 단말(20)은 수신된 스트리밍 패킷을 해석하여 영상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양방향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 분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용 메모리 장치의 구조도이다.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용 메모리 장치(10)는 갱신 처리부(11), 화면 제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 보안 처리부(13), 프로그램 가이드 처리부(14), 비디오 재생 처리부(15), 인코딩/디코딩 처리부(16)를 포함한다.
갱신 처리부(11)는 범용 메모리 장치(10)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실행 모듈들에 대한 다운로드 및 갱신 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실행 모듈이란 화면 제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 보안 처리부(13), 프로그램 가이드 처리부(14), 비디오 재생 처리부(15), 인코딩/디코딩 처리부(16)를 포괄하여 지칭한 것이다.
화면 제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는 단말(20) 상에 표시되는 화면의 재생 및 제어를 수행하며, 특히, 비디오 재생 처리부(15)와 연계하여 재생되는 영상 데이터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화면 제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는 단말(20)의 로컬 드라이브 영역에 등록되어 있는 플래시 플레이어 엔진을 이용하여 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화면 제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는 영상 재생 레이어와 플래시 사용자 인터페이스 레이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플래시 사용자 인터페이스 레이어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뉴 화면 불투명도 및 크로마키 기법을 활용하여 단말(20)을 통해 표시되는 재생 윈도우 화면 플래시의 화면 구성을 제공한다.
보안 처리부(13)는 범용 메모리 장치(10)를 통하여 재생되는 모든 것들에 대한 보안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보안 처리부(13)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 모듈(131), 컨텐츠에 대한 복호화를 포함하는 보안 처리를 수행하는 컨텐츠 보안 모듈(132), 데이터 재생시 나타나는 화면에 대한 캡쳐를 방지하는 화면 캡쳐 방지 모듈(133)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증 모듈(131)은 단말(2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1)를 통하여 인증 서버(50)와 연계하여 사용자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한다. 사용자 인증 모듈(131)은 단말(2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1)를 통하여 인증 서버(50)로의 접속이 이루어지면, 자체적으로 저장되어 있던 사용자 정보(ID, 패스워드, 인증서 등) 또는 단말(2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ID, 패스워드 등) 또는/및 범용 메모리 장치에 부여되어 저장되어 있는 고유 일련번호를 인증 서버(50)로 전송하여, 사용자 정보에 대한 인증 처리를 요청한다. 이후 인증 서버(50)로부터 제공되는 인증 처리에대한 결과를 토대로 이후의 작업이 선택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컨텐츠 보안 모듈(132)은 단말(20)을 통하여 방송 컨텐츠 서버(60)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에 대한 보안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암호화되어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를 복호하여, 등록된 사용자만이 해당 방송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화면 캡쳐 방지 모듈(133)은 비디오 재생 처리부(15)에 의하여 단말(20)을 통하여 재생되는 화면에 대한 캡쳐를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상에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후킹을 통한 실행되는 모든 프로세스의 특정 디바이스에 대한 접근를 감시하며, 또는 프로세스의 패턴 분석을 통해 캡쳐 프로세스를 인지한다. 또는 GDI(graphics device interface), D/S (Direct Show) 방식의 캡쳐가 발생하면 이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또한 터미널 서비스를 이용한 복제를 방지하며, 예를 들어 윈도우 2000 이상의 OS에서 터미널 서비스를 이용한 라이브 재생을 제어하여 화면 캡쳐를 제한한다. 이외에도 미러 드라이브를 이용하여 복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VNC(virtual network computing), TCO(total cost ownership) 스트림(Stream) 원격 데스크톱 등을 통한 캡쳐 시도를 제한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클립 보드를 통한 화면 캡쳐를 방지한다.
프로그램 가이드 처리부(14)는 EPG 파서, XPG 파서를 통하여 방송 서비스 관련 체널 정보, 메뉴 카테고리 정보를 저장한 XML 파일들(EPG XML 파일, XPG XML 파일)을 각각 생성하여 저장하며, 단말(2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1)를 통하여 저장된 XML 파일들에 대한 갱신 처리를 수행한다.
비디오 재생 처리부(15)는 방송 데이터의 재생을 수행한다. 비디오 재생 처리부(15)는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를 통해 화면 제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면서, 방송 데이터 재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재생 처리부(15)는 다이렉트쇼(DirectShow) 기술을 이용하여 방송 데이터의 재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송 데이터 재생 처리에 대한 것은 이후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인코딩/디코딩 처리부(16)는 단말(20)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하거나, 디코딩된 영상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인코딩/디코딩 처리부(16)는 예를 들어, SD/HD 규격의 H.264, MPEG-2 및 MPEG-4 기반의 코덱 중 적어도 하나의 코덱으로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다. 또한, 디코딩 데이터를 예를 들어, DV, DVCPRO HD, MPEG-1, MPEG-2 및 MJPEG 형식 중 적어도 하나의 형식으로 인코딩할 수 있다. 인코딩/디코딩 처리부(16)는 설명의 편의상 코덱으로도 명명된다.
위에 기술된 범용 메모리 장치의 각 구성 요소들은 칩 기반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위의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용 메모리 장치(10)은 크게 CD 구동 영역(A1)과 메모리 구동 영역(A2)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도 3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용 메모리 장치의 내부 영역 구조가 예시되어 있다.
첨부한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범용 메모리 장치(10)의 CD 구동 영역(A1)에는 갱신 처리부(11)가 위치되며, 나머지 구성 요소들(11~16)이 메모리 구동 영역(A2)에 위치되는 형태로, 범용 메모리 장치(10)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구동 영역(A2)에 실행 모듈들에 관련된 구성 요소 파일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구성 요소 파일로는 플래시 SWF(shock wave flash) 파일, EPG XML 파일, XPG XML 파일, 폰트 정보 파일, 이미지 파일, 코덱 및 레지스트리 정보 등이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 파일들은 메모리 구동 영역(A2)에 히든 파일 시스템(hidden file system)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범용 메모리 장치(10)가 단말(20)과 연결되면, 단말(20)은 범용 메모리 장치(10)의 각 구성 요소와 연계하여 네트워크(30)를 통하여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게 된다. 즉, 범용 메모리 장치(10)의 각 구성 요소들은 단말(20)의 리소스(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메모리, 중앙 처리부, 비디오 처리부 등)를 통하여,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처리하여 단말(20)에서 재생시킨다.
다음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범용 메모리 장치 및 단말을 토대로, 본 발명의 실시 예 따른 방송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방송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5 내지 도 9는 각 처리 과정에 다른 장치들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여기서 장치란 범용 메모리 장치의 각 구성 요소(11~16)를 나타낸다.
먼저, 첨부한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범용 메모리 장치(10)를 단말(20)에 연결시킨다(S100). 여기서 범용 메모리 장치(10)는 USB 형식으로 단말(20)과 유선으로 연결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말(20)과의 연결이 완료되면, 범용 메모리 장치(10)의 갱신 처리부(11)가 메모리 구동 영역(A2)을 확인하여 갱신 처리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갱신처리를 수행한다(S110~S12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갱신 과정을 수행하는 각 장치간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갱신 처리부(11)는 USB 포트를 통하여 단말(20)과 연결된 상태에서, 먼저, 메모리 구동 영역(A2)에 있는 실행 모듈들을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 프로그램들 또는 응용 프로그램들인 실행 파일들과, 실행 모듈들에 관련된 구성 요소 파일들에 대한 버전 정보들을 해당 파일들에 대한 최신 버전 정보와 비교한다. 여기서 최신 버전 정보는 단말(2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1)를 통하여 갱신 서버(40)로부터 제공받는다.
임의 파일의 현재 버전 정보와 최신 버전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갱신 처리부(11)는 단말(2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1)를 통하여 갱신 서버(40)로 해당 파일의 새로운 버전의 다운로드를 요청하고(S121), 다운로드되는 파일을 토대로 해당 파일에 대한 갱신 처리를 수행한다(S122). 이러한 갱신 처리는 각 파일별로 수행된다.
한편, 갱신 처리부(11)는 단말(20)에 존재하는 동일 코덱의 정보를 단말(20)로부터 백업하여 메모리 구동 영역(A2)에 저장하며, 저장된 코덱을 영상 재생에 필요한 새로운 코덱을 단말(2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1)를 통하여 갱신 서버(40)로부터 제공받아서 메모리 구동 영역(A2)에 저장한다. 그리고 영상 재생에 필요한 코덱을 단말(20)의 해당 레지스트리에 등록하여 이후 방송 데이터 처리에 사용되도록 한다(S130).
한편, 단말(20)과 범용 메모리 장치(10)의 연결이 해제되면, 단말(20)의 레지스트리에 등록된 코덱은 기존 코덱으로 롤백(rollback)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범용 메모리 장치(10)의 실행 모듈들에 대한 갱신 처리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진 다음에 각 실행 모듈들은 구동되어, 방송 데이터를 처리하여 재생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먼저,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질 수 있다(S140).
도 6에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각 장치간의 동작 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첨부한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갱신 처리부(11)의 갱신 과정이 종료되었다는 통보를 받으면 범용 메모리 장치(10)의 보안 처리부(13)는 인증 과정을 시작하 며(S141),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를 단말(2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1)를 통하여 인증 서버(50)로 제공하면서 인증을 요청한다(S142).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범용 메모리 장치(1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일 수 있으며, 또는 단말(2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일 수도 있다. 이 때 사용자 정보이외에 범용 메모리 장치(10)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 일련 번호가 인증 서버(50)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인증 서버(50)는 범용 메모리 장치(10)의 고유 일련 번호를 토대로 사용자 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미리, 사용하고자 하는 범용 메모리 장치의 고유 식별 번호와 자신의 사용자 정보를 인증 서버(50)에 등록시킨다. 이후 인증 서버(50)는 단말(2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정보와 고유 일련 번호를 등록된 정보와 비교하고, 일치하는 경우 적법한 사용자가 적법한 범용 메모리 장치를 사용하여 단말(20)을 통한 방송 데이터 수신을 요청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인증에 따른 데이터를 단말(20)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제3자가 범용 메모리 장치를 불법으로 복제하여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인증 서버(50)로부터 제공된 사용자 정보에 대하여 적법성을 나타내는 인증 인데이터가 단말(20)을 통하여 전달되면 보안 처리부(13)는 이후의 단계를 진행하며, 인증 서버(50)로부터 인증 실패에 따른 인증 실패 데이터가 전송되면 이후 단계 진행을 종료한다.
이러한 인증 과정은 백그라운드(background) 프로세스로 수행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보안 처리부(13)에 의하여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면 방송 컨텐츠 서버(60)로부터 방송 데이터가 단말(20)로 전송되며, 범용 메모리 장치(10)의 비디오 재생 처리부(15)는 단말(20)의 비디오 처리부(24)와 연계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1)를 통하여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처리하여 단말(20)을 통하여 재생시킨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생 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각 장치간의 동작 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비디오 재생 처리부(15)는 단말(2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1)를 통하여 방송 컨텐츠 서버(60)와의 접속이 이루어지면, 방송 컨텐츠 서버(60)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스트리밍 패킷을 수신한다(S150). 스트리밍 패킷은 보안 처리된 패킷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CAS(conditional access system) 보안 처리된 패킷일 수 있다. 스트리밍 패킷은 첨부한 도 7에 도시되어 있듯이, 단말(20)의 메모리(22)의 버퍼에 저장되며, 보안 처리부(13)의 컨텐츠 보안 모듈(132)은 버퍼에 저장된 스트리밍 패킷을 복호화한다(S160). 스트리밍 패킷이 CAS 패킷인 경우 암호화된 방송 데이터와 수신자 개별 혹은 특정 그룹에게 부여된 수신자격(entitlement)이 포함되어 있으며, 컨텐츠 보안 모듈(132)은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비밀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방송 데이터를 복호한다.
복호된 방송 데이터는 스트리밍 패킷이 저장되어 있는 버퍼에서 비디오 재생 처리부(15)가 사용하는 메모리(22)의 버퍼로 이동되며(S161), 비디오 재생 처리부(15)는 해당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방송 데이터에 대한 재생 처리를 수행한다.
비디오 재생 처리부(15)는 첨부한 도 8에 도시되어 있듯이, 화면 제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와 상호 작용하여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며(S170), 이 경우 IPC를 통해 비디오 재생 처리부(15)와 화면 제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 사이의 통 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비디오 재생 처리부(15)는 재생 관련 윈도우를 화면 제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의 윈도우에 등록한다. 여기서 재생 관련 윈도우는 재생 제어 부분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분으로 분리되어 동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비디오 재생 처리부(15)는 다이렉트쇼(DirectShow) 기술을 이용하여 방송 데이터의 재생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렌더링(rendering)을 위한 렌더러(renderer)를 구성한다. 인코딩/디코딩 처리부(16) 즉, 코덱을 필터 매니저에 등록하고, 재생하고자 하는 영상의 종류 및 단말의 사양을 토대로 영상 데이터 재생시 사용되는 필터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필터들을 연결하여 렌더러를 구성한다.
다음에 화면 제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와의 협의를 통하여 핸들을 획득하여 재생 관련 윈도우에 렌더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비디오 재생 처리부(15)는 화면 제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와 통신하면서 메모리(22)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방송 데이터를 단말(20)의 비디오 처리부(24)를 통하여 재생시킨다. 재생되는 방송 데이터는 단말(20)의 표시 장치(도시하지 않음)나 단말(20)에 연결되어 있는 별도의 표시 장치를 통하여 표시된다.
여기서 다이렉트쇼 기술을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디오 재생 처리부(15)의 구현 예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위에 기술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용 메모리 장치(10) 를 단말(20)에 연결시키는 것에 의하여, 범용 메모리 장치(10)가 단말(20)의 리소스(중앙 처리부(23), 메모리(2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1) 등)와 연계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를 처리하여 재생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20)이 별도의 셋탑 박스 기능을 구비하지 않아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용 메모리 장치(10)를 통하여 용이하게 방송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범용 메모리 장치(10)에 인증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시키고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토대로 인증을 받을 수 있으므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 정보를 별도의 매체에 저장시켜 구비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범용 메모리 장치(10)를 이용하여 원하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용 메모리 장치(10)를 이용하여 방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가 재생되는 화면을 구성하는 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구성 과정을 수행하는 각 장치간의 동작 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여기서 장치란 범용 메모리 장치의 각 구성 요소(11~16)를 나타낸다.
범용 메모리 장치(10)의 화면 제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는 비디오 재생 처리부(15)와 연동하여 동작하면서 데이터가 재생되는 화면을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화면 제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는 단말(20)의 로컬 드라이브에 등록되어 있는 플래시 플레이어 엔진을 이용하여 동작하며, 영상 재생 레이어와 플래시 사용자 인터페이스 레이어로 분류되어 동작할 수 있다.
영상 재생 레이어와 플래시 UI 레이어로 구성되어 나타납니다. 플래시 메뉴화면 불투명도 및 크로마키 기법을 활용하여 재생 윈도우 화면 플래시의 UI 레이어드한 화면 구성을 제공합니다.
먼저, 화면 제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는 단말(20)에 위치하는 플래시 플레이어 엔진(25)을 자신의 프로세스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플래시 플레이어 엔진(25)을 이용하여 범용 메모리 장치(10)의 메모리 구동 영역(A2)에 저장되어 있는 플래시 파일을 로딩하여 플래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한다.
또한 플래시 플레이어 엔진(25)을 이용하여 메모리 구동 영역(A2)의 EPG XML 파일을 로딩하여 채널 정보를 획득하고, 또한 메모리 구동 영역(A2)의 XPG XML 파일을 로딩하여 메인 카테고리 정보와 하위 카테고리 정보를 획득하여 메뉴 리스트를 생성하며, 이러한 채널 정보와 메뉴 리스트를 토대로 플래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메인 화면을 구성한다. 이후 메인 화면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이벤트(예를 들어, 구매, 메뉴 선택 등)를 플래시 플레이어 엔진(25)이 인식하면, 화면 제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는 해당 이벤트에 따라 요구되는 정보를 XPG XML 파일로부터 로딩하여 화면상에 표시하거나 또는 비디오 재생 처리부(15)로 전달하여 이벤트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데이터 처리 방법의 하나로,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구현되는 플래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발생되는 이벤트를 처리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벤트 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흐름도이며, 도 11은 이벤트 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각 장치간의 동작 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여기서 장치란 범용 메모리 장치의 각 구성 요소(11~16)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VOD 서비스에 따라, 사용자가 소정 컨텐츠를 구매하고자 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화면 제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에 위치된 플래시 플레이어 엔진(25)이 플래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서 사용자가 소정 컨텐츠에 대한 구매를 요청하는 이벤트를 입력하면(예를 들어, 구매 버튼을 클릭하면)(S300), 구매를 요청하기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이하, 구매 요청 데이터라고 명명함)를 XPG XML 파일로부터 읽어와서 화면 제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에 전달한다(S310).
화면 제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는 전달받은 구매 요청 데이터를 토대로, 단말(2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1)를 통하여 인증 서버(50)로 접속한다(S320). 접속이 이루어지면(S330), 화면 제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는 인증 서버(50)로 기존에 구매한 컨텐츠에 대한 구매 리스트 조회를 요청하며(S340), 인증 서버(50)로부터 제공되는 구매 리스트에 현재 구매하고자 하는 컨텐츠가 없는 경우에는 해당 컨텐츠의 구매를 요청한다(S350~S360).
인증 서버(50)로부터 해당 컨텐츠에 대한 구매가 가능하다는 응답을 받으면, 화면 제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는 컨텐츠의 구매 권한 여부를 문의한다(S370~S380). 이 경우 인증 서버(50)는 사용자 정보를 토대로 예를 들어 해당 사용자의 서비스 등급이 상기 컨텐츠를 구매할 수 있는 등급인지 또는 사용자의 연령 이 상기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연령인지 등을 판단하여,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에 대한 구매 권한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말(2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1)를 통하여 인증 서버(50)로부터 구매 권한이 있다는 응답 데이터를 제공받으면(S390), 화면 제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는 응답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컨텐츠 접속 정보 데이터를 비디오 재생 처리부(15)로 전달한다(S400). 컨텐츠 접속 정보 데이터는 해당 방송 컨텐츠 서버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제공받고자 하는 컨텐츠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재생 처리부(15)는 전달받은 컨텐츠 접속 정보 데이터를 토대로, 방송 컨텐츠 서버(60)로 접속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요청한다(S410). 이에 따라 방송 컨텐츠 서버(60)로부터 해당 컨텐츠의 스트리밍 패킷이 단말(20)을 통하여 수신되면(S420), 비디오 재생 처리부(15)는 위의 도 7 및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스트리밍 패킷에 대한 재생 처리 과정을 수행하여 해당하는 방송 데이터를 화면상에 재생시킨다(S430).
다음에는 프로그램 가이드 처리부(14)가 프로그램 가이드를 갱신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 가이드 갱신 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각 장치간의 동작 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여기서 장치란 범용 메모리 장치의 각 구성 요소(11~16)를 나타낸다.
범용 메모리 장치(10)의 프로그램 가이드 처리부(14)는 단말(2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1)를 통하여 프로그램 가이드 서버(70)로 접속하여 방송 채널 정보를 제공받는다. 그리고 제공받은 방송 채널 정보와 기존 EPG XML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기존데이터를 비교하여 갱신되어야 하는 목록을 확인하고, 갱신된 목록을 프로그램 가이드 서버(70)로부터 제공받아 EPG XML 파일을 갱신한다. 이 경우, 갱신되어야 하는 확인된 EPG 정보를 토대로 기존 EPG XML 파일로부터 소정 채널 정보를 삭제하거나 새로운 채널 정보를 추가하는 등의 형태로 갱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XPG XML 파일에 대한 갱신 처리 또한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프로그램 가이드 처리부(14)는 이러한 갱신 과정을 설정된 주기마다 수행할 수 있고, 또는 필요에 따라 또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 장치들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용 메모리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3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용 메모리 장치의 내부 영역 구조가 예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방송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갱신 과정을 수행하는 각 장치간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각 장치간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생 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각 장치간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구성 과정을 수행하는 각 장치간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벤트 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이벤트 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각 장치간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 가이드 갱신 처리 과정을 수행 하는 각 장치간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Claims (16)

  1. 방송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가지는 단말에 범용 메모리 장치를 연결시킨 상태에서,
    상기 범용 메모리 장치의 보안 처리부가 상기 단말의 리소스를 토대로,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인증 서버로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에 대한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범용 메모리 장치의 비디오 재생 처리부가 상기 단말의 리소스를 토대로,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방송 컨텐츠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데이터에 대하여 디코딩을 포함하는 재생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범용 메모리 장치의 화면 제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단말의 리소스를 토대로, 방송 데이터가 재생되는 화면을 상기 단말상에 구성하여, 상기 화면 상에 상기 재생 처리된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범용 메모리 장치의 고유 일련 번호를 상기 인증 서버로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방송 데이터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메모리 장치의 갱신 처리부가 상기 단말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된 갱신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범용 메모리 장치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들에 대한 갱신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데이터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을 통하여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단말의 리소스의 하나인 메모리의 버퍼에 저장시키는 단계;
    상기 버퍼에 저장된 방송 데이터가 암호화되어 있는 경우, 상기 범용 메모리 장치의 보안 처리부가 상기 단말의 리소스를 토대로 상기 방송 데이터를 복호하는 단계;
    상기 보안 처리부가 상기 복호된 방송 데이터를 상기 단말의 메모리의 다른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범용 메모리 장치의 비디오 재생 처리부가 상기 단말의 리소스를 토대로, 상기 버퍼에 저장된 복호된 방송 데이터를 재생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송 데이터 처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범용 메모리 장치의 비디오 재생 처리부가 상기 단말의 사양 및 방송 데이터의 타입을 토대로 재생 처리를 위한 필터들을 조합하여 필터 매니저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비디오 재생 처리부가 상기 필터 매니저에 상기 범용 메모리 장치의 인 코딩/디코딩부를 등록시키고, 상기 메모리의 버퍼에 저장된 복호된 방송 데이터를 상기 인코딩/디코딩부를 통하여 디코딩시키고 상기 필터들을 통하여 처리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송 데이터 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범용 메모리 장치의 화면 제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단말의 리소스의 하나인 플래시 플레이어 엔진을 이용하여, 상기 범용 메모리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플래시 파일을 로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여 상기 단말을 통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범용 메모리 장치의 화면 제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플래시 플레이어 엔진을 이용하여, 상기 범용 메모리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가이드 파일을 로딩하여 방송 데이터 관련된 채널 정보 및 메뉴 정보를 포함하는 메인 화면을 구성하여 상기 단말을 통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송 데이터 처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메모리 장치의 프로그램 가이드 처리부가 상기 단말을 통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프로그램 가이드 서버로부터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프로그램 가이드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범용 메모리 장치에 등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데이터 처리 방법.
  7. 삭제
  8. 방송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가지는 단말에 범용 메모리 장치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단말을 통하여 상기 방송 데이터 관련 컨텐츠 정보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임의 컨텐츠에 대한 구매 요청 관련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범용 메모리 장치의 화면 제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이벤트 관련 구매 요청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을 통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인증 서버로 구매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구매 요청에 따라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구매를 허용하는 응답 데이터가 제공되면, 상기 범용 메모리 장치의 비디오 재생 처리부가 상기 응답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컨텐츠 접속 정보를 토대로 상기 단말을 통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방송 컨텐츠 서버로 해당 방송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비디오 재생 처리부가 상기 단말의 리소스를 토대로, 상기 방송 컨텐츠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데이터를 재생 처리하여 상기 단말을 통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 서버로 구매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범용 메모리 장치의 화면 제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단말의 리소스를 토대로, 상기 인증 서버에게 기존 구매 리스트 조회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기존 구매 리스트에 상기 이벤트 관련 컨텐츠가 없는 경우, 상기 화면 제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단말의 리소스를 토대로, 상기 인증 서버로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면서 구매 권한이 있는지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방송 데이터 처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서버로 구매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 권한이 있는 경우,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응답 데이터가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 처리 방법.
  10. 범용 메모리 장치에서,
    상기 범용 메모리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가지는 단말에 연결되어 사용되고,
    상기 단말의 리소스에 포함되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방송 데이터를 인코딩하거나 인코딩된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인코딩/디코딩 부;
    상기 인코딩/디코딩부에 의하여 디코딩된 방송 데이터를 상기 단말의 리소스에 포함되는 비디오 처리부를 통하여 재생시키는, 비디오 재생 처리부;
    상기 방송 데이터가 암호화된 경우, 상기 암호화된 방송 데이터를 복호하여 상기 비디오 재생 처리부로 제공하는 보안 처리부;
    상기 방송 데이터가 재생되는 화면을 상기 단말상에 구성하여, 상기 화면상에 비디오 재생 처리부에 의하여 재생되는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화면 제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단말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갱신 서버로부터 상기 비디오 재생 처리부, 보안 처리부, 화면 제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인코딩/디코딩부의 최신 버전의 정보를 제공받아, 각 부들을 갱신처리하는 갱신 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범용 메모리 장치는 CD 구동 영역과 메모리 구동 영역으로 나뉘어지고, 상기 CD 구동 영역에 상기 갱신 처리부가 위치되고, 상기 메모리 구동 영역에 상기 갱신 처리부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인 상기 비디오 재생 처리부, 보안 처리부, 화면 제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인코딩/디코딩부, 및 관련 파일들이 저장되어 있는, 범용 메모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을 통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프로그램 가이드 서버로부터 방송 데이터 관련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제공받아 프로그램 가이드 파일을 생성하는 프로그램 가이드 처리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면 제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프로그램 가이드 처리부로부터 제공되는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상기 단말의 화면상에 표시하는, 범용 메모리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처리부는
    상기 단말의 리소스를 토대로,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인증 서버와 통신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 모듈;
    상기 단말의 리소스를 토대로,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방송 컨텐츠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데이터가 암호화되어 있는 경우, 상기 방송 데이터에 대한 복호화를 수행하는 컨텐츠 보안 모듈; 및
    상기 단말의 리소스를 토대로, 상기 비디오 재생 처리부에 의하여 상기 단말 상에 재생되는 화면에 대한 켭쳐를 방지하는 화면 캡쳐 방지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범용 메모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 모듈에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범용 메모리 장치.
  16.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메모리 장치는 상기 단말과 USB(universal serial bus) 형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범용 메모리 장치.
KR1020090055143A 2009-06-19 2009-06-19 범용 메모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송 데이터 처리 방법 KR100950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143A KR100950074B1 (ko) 2009-06-19 2009-06-19 범용 메모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송 데이터 처리 방법
PCT/KR2009/007278 WO2010147275A1 (en) 2009-06-19 2009-12-07 Universal memory device and method of broadcast data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143A KR100950074B1 (ko) 2009-06-19 2009-06-19 범용 메모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송 데이터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851A KR20090079851A (ko) 2009-07-22
KR100950074B1 true KR100950074B1 (ko) 2010-03-26

Family

ID=41290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5143A KR100950074B1 (ko) 2009-06-19 2009-06-19 범용 메모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송 데이터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50074B1 (ko)
WO (1) WO2010147275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21425A (ko) * 2006-06-22 2007-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및 방송 수신기와방송 시스템
KR20090050331A (ko) * 2007-11-15 2009-05-20 주식회사 드리머아이 디엠비용 수신제한시스템의 휴대형 클라이언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02147A2 (en) * 2006-03-07 2007-09-13 Bitband Technologies Ltd. Personalized insertion of advertisements in streaming media
KR100787976B1 (ko) * 2006-03-08 2007-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청 제한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21425A (ko) * 2006-06-22 2007-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및 방송 수신기와방송 시스템
KR20090050331A (ko) * 2007-11-15 2009-05-20 주식회사 드리머아이 디엠비용 수신제한시스템의 휴대형 클라이언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47275A1 (en) 2010-12-23
KR20090079851A (ko) 200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5480B2 (en) System, method, and infrastructure for real-time live streaming content
US9769507B2 (en) System, method, and infrastructure for real-time live streaming content
US8955020B2 (en) Transcoding and data rights management in a mobile video network with STB as a hub
JP5756567B2 (ja) ハードウェアベースの信頼のルート内でメタデータに基づき動的且つリアルタイムに広告を挿入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0859612B1 (ko)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원격 실시간 액세스를 위한 방법,장치 및 시스템
US8544047B2 (en) Automatically reconfigurable multimedia system with interchangeable personality adapters
CN101507276B (zh) 具有可换个性适配器的能自动重配置多媒体系统
CN106534053B (zh) 媒体文件的权限控制方法、服务器及设备
JP5659226B2 (ja) コンテンツ受信機、コンテンツ出力方法
US20110023077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to enable convergent television accessibility on digital television panels with encryption capabilities
US85108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content protected media streams
JP5357263B2 (ja) コンテンツ受信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出力方法
US20080307533A1 (en) Content Distribution System, Distribution Server, Receiving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JP5135316B2 (ja) コンテンツ受信装置
JP5353615B2 (ja) コンテンツ放送装置、コンテンツ放送方法、コンテンツ受信装置、コンテンツ受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放送システム
JP2017153129A (ja) 受信装置
KR100950074B1 (ko) 범용 메모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송 데이터 처리 방법
JP5292237B2 (ja) コンテンツ受信装置
JP2011229092A (ja) コンテンツ受信装置
JP4904728B2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クライアント端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13347501B (zh) 视频播放方法及装置
JP5637409B2 (ja) コンテンツ受信装置、コンテンツ受信方法、コンテンツ放送装置、コンテンツ放送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放送システム
WO2011030687A1 (ja) コンテンツ受信装置
KR20230068861A (ko) Drm 컨텐트 재생을 위한 미디어 sdk 및 그 제어 방법
NL1031639C1 (nl) De uitvinding behelst een methode om te communiceren tussen een draadloze smartcard en een dataverwerker zoals DVB receiver of een notebook alsmede een methode om te communiceren tussen een draadloze smartcard en een netwerk zoals het inter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