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9945B1 - 시멘트계 모르타르를 이용한 도로포장공법 - Google Patents

시멘트계 모르타르를 이용한 도로포장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9945B1
KR100949945B1 KR20090091862A KR20090091862A KR100949945B1 KR 100949945 B1 KR100949945 B1 KR 100949945B1 KR 20090091862 A KR20090091862 A KR 20090091862A KR 20090091862 A KR20090091862 A KR 20090091862A KR 100949945 B1 KR100949945 B1 KR 100949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ement
mortar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91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종현
김문훈
Original Assignee
홍종현
김문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현, 김문훈 filed Critical 홍종현
Priority to KR20090091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9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cement or like binders
    • E01C7/12Mortar-bound pav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41Aluminium silicates other than 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44Thickening, gelling or viscosity increa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54Pigments;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75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for road constr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Abstract

본 발명은 시멘트계 모르타르를 이용한 도로포장공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적정비율의 단열재, 광촉매 등이 배합된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시멘트 콘크리트, 아스팔트 콘크리트 등으로 구성된 기저층 상부에 표면층을 도포함으로써 대기정화기능, 단열기능, 미끄럼저항기능, 칼라도로포장과 같은 다양한 기능이 발현되어 포장 전체를 기능성 콘크리트로 구성할 필요가 없어 시공이 용이하며 경제적인 시멘트계 모르타르를 사용한 도로포장공법에 관한 것이다.
.
다기능 모르타르, 기능성 도로포장공법, 대기정화기능, 단열기능, 칼라포장

Description

시멘트계 모르타르를 이용한 도로포장공법{A Method For Multiful Mortar}
본 발명은 시멘트계 모르타르를 이용한 도로포장공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적정비율의 단열재, 광촉매 등이 배합된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시멘트 콘크리트, 아스팔트 콘크리트 등으로 구성된 기저층 상부에 표면층을 도포함으로써 대기정화기능, 단열기능, 미끄럼저항기능, 칼라도로포장과 같은 다양한 기능이 발현되어 포장 전체를 기능성 콘크리트로 구성할 필요가 없어 시공이 용이하며 경제적인 시멘트계 모르타르를 이용한 도로포장공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능성 도로포장은 색상이나 기능을 발현하도록 도로포장 층 전체를 대상으로 기능발현을 위한 첨가물을 배합하여 그 기능이 발현되도록 하기 때문에 도로포장의 단가가 높은 문제가 있다.
그 예들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0796209호 "칼라 바닥재용 폴리머 시멘트 조성물 및 그 포장방법"의 경우 초미립 시멘트, 고로슬래그, 규사, 응결촉진재, 지연제, 유동화제, 안료, 폴리머 수지 등을 배합한 시멘트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는 단지 다양한 색상이 발현되는 바닥재를 제공하는데 불과한 것이고,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0890367호 "논슬립 칼라무늬 바닥재의 시공방법"의 경우도 아크릴, 용제, 소포제, 분산제, 증점제, 골재를 배합하여 단지 다양한 색상이 발현되는 바닥재를 제공하는데 불과하고,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568156호 "스칼렛 칼라 기능성 콘크리트 및 이를 사용한 도로포장공법"의 경우 잔골재, 굵은골재, 시멘트, 물, 스칼렛파우다, 토목섬유, 혼화제, 광촉매를 사용하여 기능성 칼라 콘크리트를 제공하고 있으나, 상기 기술에 의해서는 도로포장 전체에 대해서만 시공이 가능한 것이며, 기능성이 없는 시멘트 콘크리트 등에 의한 기저층 상부에 두께가 작은 표면층을 구성하는 경우 굵은 골재가 배합됨에 의해 표면층의 두께를 한정하는데 한계가 있어 재료 사용의 과다로 인한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0843271호 "차열성 포장 혼합물 및 차열성 포장 방법"의 경우, 소성안료, 무기안료, 카본블랙과 같은 차열성 안료와, 바인더, 경화제로 배합된 포장 혼합물을 이용하여 차열성 포장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는 단지 단순히 빛의 반사를 이용한 차열기능을 발현하는데 불과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들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시멘트 콘크리트 도로포장이나 아스팔트 콘크리트 도로포장에서 벗어나 최근 칼라 콘크리트 도로포장, 단열 도로포장, 광촉매 도로포장과 같은 특수목적의 기능성 도로포장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기능성 도로포장들은 단기능의 도로포장들이며, 다기능이 발현되는 도 로포장에 대한 제시가 없고, 기존의 기술로 도로포장의 표면층만을 도포하여 다기능을 발현하도록 하는 경우 온도균열 등에 의한 표면 균열, 기존 포장파손(포트홀), 표면층과 기저층의 접착문제, 소음발생(주행시) 등 도로포장의 근본적인 기능에 있어서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기저층에 기능성의 표면층을 시공함에 의해서도 다기능이 발현될 수 있으며, 표면층의 두께를 작게 하여도 온도제어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접착강도가 우수하여 들뜸에 의한 내구성 저하가 발생하지 않는 다기능 모르타르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공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시멘트계 모르타르는 시멘트, 콘크리트 폴리머, 잔골재, 알루미늄 실리게이트, 및 물을 포함하는 모르타르에 관한 것으로, 그 배합비는 시멘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머 3 내지 20중량부, 잔골재 50 내지 400중량부, 알루미늄 실리게이트 5 내지 20중량부, 물 30 내지 100중량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시멘트는 모르타르의 결합재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모르타르의 압축강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며, 배합비의 기준이 된다. 시멘트는 초속경시멘트, 보통포틀랜드시멘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플라이애쉬, 고로슬래그, 실리카흄 등을 혼합한 혼합시멘트를 사용하여도 무방하고, 조기 강도가 요구되는 시공여건 하에서는 조강시멘트를 사용함이 타당하다.
상기 폴리머는 모르타르의 인장강도와 부착강도의 증진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시멘트와 폴리머 결합재는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인장강도, 부착강도와 같은 강도 발현에 가장 큰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폴리머는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첨가물로서 안료, 단열재 등이 첨가됨에 따라 시멘트와 대비 이질적인 성질에 기해 시멘트 간에 부착력이 약화되어 특히 인장강도가 저하될 수 있는 바, 이러한 이질적인 재료들 간의 부착력을 강화함으로써 모르타르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폴리머는 시멘트 100중량부 대비 3 내지 20중량부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는 사용량이 3중량부 미만인 경우 폴리머의 기능이 발현되어 시멘트 간의 부착력을 증진시킬 수 없게 되는 것이며, 2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제성이 낮아지고 시멘트풀의 형성을 방해하므로 모르타르의 강도가 오히려 낮아지는 단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폴리머는 분말형의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한 바, 액상형의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사용량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잔골재는 미끄럼저항과 내마모성 저항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잔골재는 모래, 규사, 부순모래, 석분, 순환잔골재, 고로슬래그잔골재 중에서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잔골재는 시멘트 100중량부 대비 50 내지 400중량부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잔골재의 사용량이 50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부배합으로서 경제성이 낮아지고, 400중량부를 초과 사용하는 경우에는 모르타르의 강도가 낮아진다. 즉 시멘트 사용량을 제한하면서 모르타르의 강도를 강화시키기 위해서 잔골재의 사용범위는 50 내지 400중량부 범위에서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멘트계 모르타르는 이하에서 설명할 기저층의 상부에 얇은 두께로 포설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러한 목적에 의거 상기 잔골재의 입도를 0.25 내지 2mm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잔골재의 입도가 0.25mm미만인 경우 모르타르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이며, 2mm를 초과하는 경우 얇은 두께로 표면층을 형성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소포제, 증점제 또는 지연제가 더 첨부될 수 있는 바, 상기 소포제는 기포 발생을 억제하여 수밀성 증대를 위해 사용하고, 증점제는 시공면이 두께에 비하여 넓기 때문에 수화반응에 필요한 반응수들이 시공면에서 급격히 증발하여 소성수축에 따른 균열발생을 억제하고 작업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사용하며, 지연제는 시멘트와 폴리머의 반응이 매우 빠른 시간에 발생하여 조기에 경화가 발생하는 경우, 경화시간의 조절을 위해 사용하며, 소포제, 증점제, 지연제는 시멘트100중량부 대비 1중량부 이하(0초과)의 범위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물은 시멘트와 반응하여 수화작용을 통해 모르타르를 경화시키고 작업성(workability)을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시멘트 100중량부 대비 물 30 내지 100중량부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한정하고 있는 바, 이는 물을 30중량부 미만을 사용하면 모르타르의 유동성이 낮아지고, 100중량부를 초과 사용하면 모르타르의 강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한편, 물의 사용량을 조절하고 작업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동화제를 시멘트의 1중량부 이하(0초과)의 범위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단열재로서 알루미늄 실리게이트를 첨가하여 본 발명의 모르타르가 도로에서 표면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태양광의 반사와 흡수를 차단하는 방법을 통해 열에너지의 축적을 막아주어 도로의 표면층에서 온도상승 억제 및 온도균열 등이 발생하여 도로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두께가 얇은 표면층을 구성함에 있어서 단열재에 의해 온도변형을 잡아주게 됨으로서 표면층이 기저층의 상부에서 들뜸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단열재로서 알루미늄 실리게이트는 시멘트 100중량부 대비 5 내지 20중량부의 범위에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5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도로의 표면층에서 그 기능이 발휘되는 것이 어렵고, 20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모르타르 강도가 저하되며 비경제적인 바, 상기와 같이 한정을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광촉매를 더 첨가함으로써 도로의 표면층에서 빛의 자외선을 이용하여 유해물질을 산화분해 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광촉매는 시멘트 100중량부 대비 3 내지 20중량부의 범위로 첨가되는 것이 타당한 바, 3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그 기능이 발휘되기 어려울 것이며, 2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모르타르 강도저하 및 비경제성의 문제가 있다.
삭제
상기 광촉매는 분말형 아나타제 TiO2를 사용하거나 액상형의 광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로의 표면층을 형성함에 있어 안료를 더 첨가하여 도로 표면이 다양한 색상이 발현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바, 상기와 같이 첨가되는 안료는 무기질의 산화철 안료나, 레드머드 등이 첨가될 수 있으며, 특히 스칼렛파우다 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안료를 사용한 도로포장은 안료의 비중이 낮기 때문에 모르타르에 물의 사용이 많은 경우 물과 안료의 재료분리가 쉽게 발생하고 그에 따라 균일한 색상의 발현이 어려워, 단위수량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스칼렛 파우다의 높은 비중과 공극 채움 현상에 의거 재료분리가 발생하지 않아 균일한 색상 발현이 용이하고, 경제적 측면에서 보면 스칼렛 파우다는 산업부산물이기 때문에 종래의 안료 가격과 비교하였을 때, 그 가격이 경제적이다.
또한 상기 안료는 시멘트 100중량부 대비 2 내지 20중량부로 배합하는 것이 타당한 바, 안료의 사용량이 2중량부 미만인 경우, 색상의 포화도가 낮아지고, 2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제성이 낮아지고 모르타르의 강도가 낮아지는 단점이 발생하기 때문에, 안료의 사용량은 시멘트 100중량부 대비 2 내지 20중량부 범 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상기에서 언급한 구성요소가 첨가된 본 발명의 시멘트계 모르타르는 특히 도로포장에 있어 표면층을 구성하는 경우 광촉매기능(자동차배기가스 NOx를 흡착제거하는 기능성), 도시열섬화 저감기능(단열기능), 칼라도로포장, 자동차 및 보행자 미끄럼저항기능과 같은 다기능이 발현되도록 하는 것으로, 잔골재만이 첨가된 모르타르에 기해 두께가 작은 표면층을 구성하면서도 상기 기능이 발현되는 것으로 그 시공이 용이하고, 도로의 개,보수 시 간단한 시공에 의해 도로에 다기능이 발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시멘트계 다기능 모르타르를 이용한 도로포장 공법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멘트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기저층을 시공하는 단계(S10)와; 기저층의 상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시공하는 단계(S20)와; 상기 시멘트계 모르타르를 포설하여 표면층을 시공하는 단계(S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멘트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기저층을 시공하는 단계(S10)에는 공지의 재질로 시멘트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도로포장에 있어 기저층(10)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렇게 어떠한 기능을 발휘하는 첨가물 없이 콘크리트만으로 기저층(10)을 형성함에 의해 재료적인 면에서 경제적인 것이다.
상기 기저층의 상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시공하는 단계(S20)는 상기 기저층(10)에 상기 표면층(30)을 도포함에 있어 양 층 간의 부착력 을 강화하기 위해 프라이머층(20)을 도포하는 것으로, 이러한 프라이머층(20)의 구성에 기해 두께가 얇은 표면층(30)이 기저층(10)의 상부에서 부착력이 강화되어 이질의 재질에 의해 변형량의 차이에 기인한 층분리(들뜸)가 없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시멘트계 모르타르를 포설하여 표면층을 시공하는 단계(S30)에는 상기 표면층(30)이 3 내지 10mm의 두께로 포설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바, 이렇게 두께가 작은 표면층(30)을 구성하더라도 상기에서 언급한 시멘트계 다기능 모르타르가 단열기능 등에 기해 온도에 의한 변형이 방지되고 접착강도(부착력)이 우수하여 기저층과 층분리(들뜸)이 방지되어 도로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시멘트계 모르타르를 이용한 도로포장 공법은 적정 배합비의 광촉매에 의해 NOx의 제거율이 향상되며, 적정 배합비의 단열재에 기해 온도저감효과가 발생하여 온도균열 및 표면온도상승 등이 제어되며, 적정 배합비의 잔골재에 기해 미끄럼 저항능력이 우수하며, 접착강도가 우수하여 도로의 기저층과의 부착력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멘트계 모르타르를 이용한 도로포장 공법은 기존의 시멘트 콘크리트 도로포장이나 아스팔트 콘크리트 도로포장의 상부에 덧칠할 수 있어서 시공 및 보수가 용이하고 사용성의 폭이 넓은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멘트계 모르타르를 이용한 도로포장 공법은 도로포장에 있어 두께가 작은 표면층만을 기능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어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멘트계 모르타르를 이용한 도로포장 공법은 도로 등에 적정 강도를 유지하면서 다양한 칼라를 나타낼 수 있어, 종래의 회색이나 검은색 도로포장과 비교하여 차별화된 공공디자인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 및 실험 예를 설명한다.
폴리머 배합비
우선 본 발명의 실험 예로 초속경 시멘트와 분말수지(폴리머)를 혼합한 시멘트 결합재, 물, 소포제, 증점제, 지연제를 배합함으로서 경도시험, 접착강도, 작업성, 균열 측정을 통하여 적정의 시멘트 결합재 배합비를 도출한다.
시험 No. 시멘트 (C) 폴리머 소포제 증점제 지연제 경도 (HS) 접착강도 (kgf/cm2) 작업성 균열
1 100중량부 3중량부 60중량부 0.6중량부 0.6중량부 0.5중량부 48 16 양호 없음
2 100중량부 6중량부 60중량부 0.6중량부 0.6중량부 0.5중량부 55 21 양호 없음
3 100중량부 9중량부 60중량부 0.6중량부 0.6중량부 0.5중량부 60 24 양호 없음
표 1의 시험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폴리머(분말수지)의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시험체의 경도와 접착강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폴리머의 배합량을 증가시킴에 의해 모르타르의 경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접착강도 또한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나, 폴리머의 가격이 매우 높기 때문에 다량 사용하게 되면 경제성이 낮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 폴리머의 적정 배합비는 시멘트 100중량부 대비 3 내지 20중량부로 제한하는 것이 타당하다.
잔골재 배합비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험 예로 시멘트 결합재, 잔골재(규사, 0.5mm∼1mm 치수), 물을 배합함으로서 경도시험, 접착강도, 미끄럼저항, 작업성, 균열 측정을 통하여 최적의 잔골재 배합비를 도출한다.
시험No. 시멘트결합재 (표 1의 No.2) 잔골재 경도시험 (HS) 접착강도 (kgf/cm2) 미끄럼저항 (BPN) 작업성 균열
1 100중량부 100중량부 60중량부 53 19 79 양호 없음
2 100중량부 200중량부 60중량부 47 17 81 양호 없음
3 100중량부 300중량부 60중량부 42 15 85 양호 없음
* 경도시험 : 쇼어경도시험(KS B 0807 ) 기준에 따라 실시한다.
* 미끄럼저항시험 : (ASTM E 303) British Pendulum Tester 기준에 따라 실시한다.
* 접착강도시험 :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미끄럼방지포장)에 따라 실시한다.
표 2의 시험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잔골재(규사)의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경도와 부착강도가 낮아지나 미끄럼 저항성은 증가한다. 따라서 경도, 부착강도, 미끄럼저항성, 작업성, 균열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적정의 잔골재 배합비는 시멘트 100중량부 대비 잔골재 50 내지 400중량부로 한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광촉매, 단열재 배합비.
다음으로 상기 실험 예들을 토대로 시멘트 결합재, 잔골재(규사), 안료(산화철), 광촉매(TiO2), 단열재(알루미늄 실리게이트)를 배합하여 대기정화시험과 단열시험을 통해 적정 배합비를 도출한다.
시험 No. 시멘트결합재 (표 2의 No.2) 잔골재 안료 광촉매 단열재
1 100중량부 200중량부 60중량부 5중량부 5중량부 0중량부
2 100중량부 200중량부 60중량부 5중량부 10중량부 10중량부
3 100중량부 200중량부 60중량부 5중량부 20중량부 20중량부
구분 측정시간(시간:분) 아스팔트포장 시험 No.1 시험 No.2 시험 No.3
단열시험 오전 6:00 21oC 20oC 19oC 19oC
정오 13:00 67oC 58oC 53oC 50oC
오후 18:00 31oC 28oC 26oC 25oC
대기정화시험 2시간 후 NOx 저감효율 52% 85% 91% 93%
* 단열시험 : 아스팔트 포장면 상부에 기능성 모르타르 도포 후, 적외선 방사온도계를 이용하여 표면온도 측정한다.
* 대기정화시험 : "한국환경과학회지, 제15권, 제5호, pp.431-438, 굵은골재 최대치수 40 mm 투수 콘크리트의 물리적 특성과 질소산화물 제거에 관한 연구"에서 제시하는 방법 사용한다.
표 3 및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광촉매와 단열재의 배합량이 증가할수록 단열기능이 높아지고, NOx 저감효율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광촉매와 단열재는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아 다량 사용하는 경우, 경제성이 낮아지고, 이질의 재질에 의해 접착강도와 표면경도가 낮아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광촉매의 적정 배합비율은 시멘트 100중량부 대비 3 내지 20중량부이고, 단열재의 적정 배합비율은 시멘트 100중량부 대비 5 내지 20중량부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상기 실험 예들에 따라 대기오염 방지, 미끄럼 저항성능 향상, 단열 기능 향상 등의 시멘트계 다기능 모르타르의 적정 배합비율은, 시멘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머 3 내지 20중량부, 잔골재 50 내지 400중량부, , 물 30 내지 100중량부, 안료 3 내지 20중량부, 광촉매 3 내지 20중량부, 단열재 5 내지 20중량부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이하에서는 상기 적정배합비 내에서 즉 초속경시멘트 100중량부, 분말형수지 7중량부. 규사 200중량부, 물 60부, 광촉매(TiO2) 10중량부, 단열재(알루미늄 실리게이트) 10중량부, 안료(산화철) 3중량부로 배합한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7mm 두께로 아스팔트 콘크리트 표면을 포장한 시험체와, 종래의 아스팔트 포장 시험체를 대조구로 하여 다양한 시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아스팔트포장 본 발명에 의한 포장
대기정화시험 NOx 제거효율 53% 91%
단열시험 오전 6:00 정오 13:00 오후 18:00 22oC 65oC 33oC 21oC 51oC 28oC
미끄럼저항시험(ASTM E 303) 50 BPN 80 BPN
접착강도(아스팔트위 도포 후, 20oC) - 18 kgf/cm2
표면경도시험(KS B 0807) - HS 45
충격시험(KS F 2221) - 잔갈라짐 및 벗겨짐 없음
마모저항시험(KS F 4715) - 벗겨짐 및 밑판노출이 없음
균열 - 없음
작업성 - 양호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포장은 대기정화시험의 경우 2시간 후의 NOx 저감율이 91%로 매우 우수하게 나타났고, 단열시험 결과, 최대 14oC 까지 차이를 나타내며, 미끄럼저항시험 결과 80BPN으로 미끄럼저항성이 우수하며, 접착강도가 18kgf/cm2으로 양호한 바, 본 발명에 의한 포장 즉 본 발명의 시멘트계 다기능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도로에 표면층을 구성하는 경우에 있어 입도가 작은 잔골재만이 첨가된 모르타르에 의해 두께가 작은 표면층을 구성하더라도 대기정화 기능이 우수하게 되는 것이며, 단열기능이 우수하게 되어 표면온도 저감 및 온도균열 등의 방지되고, 기저층(아스팔트 등)과의 접착강도가 우수하여 온도, 하중 등에 의해 표면층의 들뜸이 방지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멘트계 모르타르를 이용한 도로포장 공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시멘트계 모르타르를 이용한 도로포장 공법에 의해 형성된 도로의 측단면도이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시멘트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기저층을 시공하는 단계와;
    시멘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머 3 내지 20중량부, 입도가 0.25 - 2mm인 잔골재 50 내지 400중량부, 단열재로 알루미늄 실리게이트 미립분 5 내지 20중량부, 물 30 내지 100중량부, 광촉매 3 내지 20중량부, 증점제 1중량부 이하(0중량부 초과), 안료 3 내지 20중량부로 배합된 시멘트계 모르타르를 포설하여 표면층을 시공하되, 상기 표면층이 3 내지 10mm의 두께로 포설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계 모르타르를 이용한 도로포장 공법.
  9. 제 8항에 있어서,
    시멘트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기저층을 시공하는 단계에는 기저층을 시공하고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계 모르타르를 이용한 도로포장 공법.
KR20090091862A 2009-09-28 2009-09-28 시멘트계 모르타르를 이용한 도로포장공법 KR100949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91862A KR100949945B1 (ko) 2009-09-28 2009-09-28 시멘트계 모르타르를 이용한 도로포장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91862A KR100949945B1 (ko) 2009-09-28 2009-09-28 시멘트계 모르타르를 이용한 도로포장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9945B1 true KR100949945B1 (ko) 2010-03-30

Family

ID=42183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91862A KR100949945B1 (ko) 2009-09-28 2009-09-28 시멘트계 모르타르를 이용한 도로포장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994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540B1 (ko) * 2011-09-20 2013-03-11 황익현 운반이 용이한 아스콘을 사용하여 포장하는 방법
CN108867267A (zh) * 2018-07-09 2018-11-23 昆明理工大学 一种高抗滑水泥混凝土路面表面构造成型仪及方法
KR102282160B1 (ko) 2020-11-12 2021-07-27 아세아시멘트(주) 공기정화형 표면 코팅재 미장 시공법
KR102286861B1 (ko) 2020-11-12 2021-08-06 아세아시멘트(주) 공기정화형 표면코팅 시멘트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550B1 (ko) 2005-05-16 2007-03-22 원종필 내화 및 단열 성능 향상을 위한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KR100754910B1 (ko) * 2006-10-10 2007-09-03 (주)한남개발 폐 석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도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0794223B1 (ko) 2006-11-01 2008-01-11 홍종현 화산쇄설물을 주재로 한 도로포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도로포장 방법
KR100796209B1 (ko) * 2007-08-23 2008-01-21 (주)두영티앤에스 칼라 바닥재용 폴리머 시멘트 조성물 및 그 포장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550B1 (ko) 2005-05-16 2007-03-22 원종필 내화 및 단열 성능 향상을 위한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KR100754910B1 (ko) * 2006-10-10 2007-09-03 (주)한남개발 폐 석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도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0794223B1 (ko) 2006-11-01 2008-01-11 홍종현 화산쇄설물을 주재로 한 도로포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도로포장 방법
KR100796209B1 (ko) * 2007-08-23 2008-01-21 (주)두영티앤에스 칼라 바닥재용 폴리머 시멘트 조성물 및 그 포장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540B1 (ko) * 2011-09-20 2013-03-11 황익현 운반이 용이한 아스콘을 사용하여 포장하는 방법
CN108867267A (zh) * 2018-07-09 2018-11-23 昆明理工大学 一种高抗滑水泥混凝土路面表面构造成型仪及方法
CN108867267B (zh) * 2018-07-09 2023-11-14 昆明理工大学 一种高抗滑水泥混凝土路面表面构造成型仪及方法
KR102282160B1 (ko) 2020-11-12 2021-07-27 아세아시멘트(주) 공기정화형 표면 코팅재 미장 시공법
KR102286861B1 (ko) 2020-11-12 2021-08-06 아세아시멘트(주) 공기정화형 표면코팅 시멘트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0514B1 (ko) 고성능 속경성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100873391B1 (ko) 속경성 콘크리트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속경성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보수공법
KR101873782B1 (ko) 내구성능이 개선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유지 보수 방법
KR101900248B1 (ko) 내환경성 개질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802698B1 (ko) 친환경 재료를 이용한 도로 측구 및 도막 바닥 보수보강 공법
KR100949945B1 (ko) 시멘트계 모르타르를 이용한 도로포장공법
KR102102627B1 (ko) 균열억제형 기능성 보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유지 및 보수 방법
KR101300515B1 (ko) 고성능 시멘트 콘트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접착식 덧씌우기 포장공법
KR101038796B1 (ko) 바텀애쉬를 이용한 도로 포장용 투수성 조성물
KR20120021780A (ko) 저취형 차열성포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시공방법
KR100847375B1 (ko) 초미립 시멘트를 이용한 흡수성 폴리머 개질 속경성 폴리머시멘트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방법
KR101031981B1 (ko) 자기충전성 폴리머 시멘트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보수공법
KR101634607B1 (ko) 차열성 블록 및 차열성 시멘트 조성물
KR100796209B1 (ko) 칼라 바닥재용 폴리머 시멘트 조성물 및 그 포장방법
KR100978896B1 (ko) 친환경 반사형 콘크리트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2351177B1 (ko) 단면보수용 시멘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54341B1 (ko) 흙포장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흙포장 시공방법
KR100454875B1 (ko) 도로포장재 조성물
KR101654215B1 (ko) 폴리머 시멘트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시공 방법
KR101041549B1 (ko) 대기온도 절감효과를 갖는 폴리머 시멘트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반강성 도로 포장 및 보수 공법
KR100881772B1 (ko) 방수용 시멘트 조성물 및 이의 포장방법
KR102052655B1 (ko) 시인성 개선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KR101426691B1 (ko) 개질 유화 아스팔트를 이용한 교면 포장용 고성능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포장공법
KR101832159B1 (ko) 자기 평활성 시멘트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공법
KR101015061B1 (ko) 황토 칼라 투배수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투배수 콘크리트 포장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