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9818B1 -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잔디 네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잔디 네트 - Google Patents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잔디 네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잔디 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9818B1
KR100949818B1 KR1020090075923A KR20090075923A KR100949818B1 KR 100949818 B1 KR100949818 B1 KR 100949818B1 KR 1020090075923 A KR1020090075923 A KR 1020090075923A KR 20090075923 A KR20090075923 A KR 20090075923A KR 100949818 B1 KR100949818 B1 KR 100949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grass net
coupling
grass
coup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철
Original Assignee
정해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해철 filed Critical 정해철
Priority to KR1020090075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8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of plastics, e.g. concrete with plastics, linoleu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20Cultivation on ma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4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vege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네트 유닛들 간의 결합이 용이하고, 배수가 용이한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잔디 네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잔디 네트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잔디 네트는 제1측벽, 상기 제1측벽과 직교하는 제2측벽, 상기 제1측벽과 평행하는 제3측벽 및 상기 제2측벽과 평행하는 제4측벽을 갖는 사각틀 형상의 본체부와, 홈의 형상으로서 상기 제1측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형성되는 제1결합부와, 홈의 형상으로서 상기 제2측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형성되는 제2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보다 큰 폭을 갖는 홈의 형상으로서 상기 제3측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형성되는 제3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보다 큰 폭을 갖는 홈의 형상으로서 상기 제4측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형성되는 제4결합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개의 잔디 네트 유닛이 배열되어 있되, 하나의 잔디 네트 유닛의 상기 제3결합부 상에 인접한 잔디 네트 유닛의 상기 제1결합부가 포개지거나, 하나의 잔디 네트 유닛의 상기 제4결합부 상에 인접한 잔디 네트 유닛의 상기 제2결합부가 포개지는 형태로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잔디 네트 유닛은 폐합성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잔디 네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잔디 네트{A grass net unit using recycling plastic and grass net using the unit}
본 발명은 잔디 발아, 잔디 식재 또는 잔디 보호용 등의 다양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는 잔디 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합성수지를 이용하고, 여러 유닛들을 쉽게 연속적으로 배열할 수 있는 잔디 네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잔디 네트에 관한 것이다.
주택, 공원, 경기장 등에 잔디밭으로 형성된 녹지 공간은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바닥에 비하여 온도나 습도 조절, 공기정화 등 쾌적한 환경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인 잔디밭은 넓은 바닥토에 잔디를 그대로 식재하여 형성된다. 이 경우 식재된 잔디들이 사람이나, 자동차 등 외부적인 요인에 의하여 쉽게 훼손될 수 있어 안정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최근의 잔디밭은 시멘트, 콘크리트, 아스팔트와 같은 재료로 네트를 미리 시공한 후 잔디를 식재하여 형성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재료들은 여름철 기온 상승시 지열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고, 다시 지상으로 발열시켜 쾌적한 환경을 저해하며, 또한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겨울철에 결빙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잔디를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며, 많은 강수량에 대하여도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잔디 네트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폐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자원의 재활용이 가능함과 동시에 네트 유닛의 성형이 용이하고, 네트 유닛들간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설계된 구조를 갖는 잔디 네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잔디 네트 유닛들을 쉽게 결합할 수 있으며, 네트 유닛들 간에 결합된 부분을 배수로로 이용함으로써, 잔디의 보호 및 많은 강우량에도 배수가 용이한 잔디 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디 네트는 제1측벽, 상기 제1측벽과 직교하는 제2측벽, 상기 제1측벽과 평행하는 제3측벽 및 상기 제2측벽과 평행하는 제4측벽을 갖는 사각틀 형상의 본체부와, 홈의 형상으로서 상 기 제1측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형성되는 제1결합부와, 홈의 형상으로서 상기 제2측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형성되는 제2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보다 큰 폭을 갖는 홈의 형상으로서 상기 제3측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형성되는 제3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보다 큰 폭을 갖는 홈의 형상으로서 상기 제4측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형성되는 제4결합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개의 잔디 네트 유닛이 배열되어 있되, 하나의 잔디 네트 유닛의 상기 제3결합부 상에 인접한 잔디 네트 유닛의 상기 제1결합부가 포개지거나, 하나의 잔디 네트 유닛의 상기 제4결합부 상에 인접한 잔디 네트 유닛의 상기 제2결합부가 포개지는 형태로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잔디 네트 유닛은 폐합성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측벽으로부터 안쪽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걸림부를 더 포함하여, 제3결합부의 끝단이 상기 제1측벽과 제1걸림부 사이에 끼워지고, 상기 제2측벽으로부터 안쪽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걸림부를 더 포함하여, 제4결합부의 끝단이 상기 제2측벽과 제2걸림부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잔디 네트는 상기 제3결합부 상에 제1결합부가 포개진 형태 또는 제4결합부 상에 제2결합부가 포개진 형태로 내부 배수로를 형성하고, 상기 잔디 네트에서 가장자리에 형성된 결합부들이 외부 배수로를 형성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디 네트 유닛은 제1측벽, 상기 제1측벽과 직교하는 제2측벽, 상기 제1측벽과 평행하는 제3측벽 및 상기 제2측벽과 평행하는 제4측벽을 갖는 사각틀 형상의 본체부; 홈의 형상으로서 상기 제1측벽 및 제2측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각각 형성되는 2개의 제1타입 결합부; 및 상기 제1타입 결합부보다 큰 폭을 갖는 홈의 형상으로서 상기 제3측벽 및 제4측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각각 형성되는 2개의 제2타입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 및 각각의 결합부는 폐합성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잔디 네트 유닛은 폐합성수지로 형성됨으로써 자원의 재활용 및 네트 유닛의 성형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잔디 네트는 홈 형상의 제1타입 결합부가 이보다 약간 큰 폭을 갖는 홈 형상의 제2타입 결합부에 포개지고, 또한 제2타입 결합부의 끝단이 제1타입 결합부 쪽에 형성된 걸림부에 끼워짐으로써, 잔디 네트 유닛들 간의 결합이 용이함과 동시에 결합된 부분을 배수로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잔디 네트는 종래의 시멘트나 아스팔트 등으로 시공된 잔디 네트에 비하여 저비용으로 쉽게 제조할 수 있으며, 배수가 용이하여 잔디 보호를 충실히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잔디 네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잔디 네트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잔디 네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잔디 네트 유닛(100)은 본체부(110), 2개의 제1타입 결합부(120a, 120b) 및 2개의 제2타입 결합부(120c,120d)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4개의 측벽을 갖는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잔디(101)가 식재된다. 본체부(110)의 하부에는 복수의 통공을 갖는 바닥부가 형성될 수 있다.
4개의 측벽은 제1측벽(112a), 제2측벽(112b), 제3측벽(112c) 및 제4측벽(112d)으로 구분될 수 있다. 4개의 측벽 중 하나의 측벽을 제1측벽(112a)이라 할 때, 제2측벽(112b)은 제1측벽(112a)와 가장자리에서 직교하도록 형성된다. 제3측벽(112b)는 제1측벽(112a)에 평행하며, 제2측벽(112b)과 가장자리에서 직교하도록 형성된다. 제4측벽(112d)는 제1측벽(112a) 및 제3측벽(112d) 각각의 가장자리에서 직교하며, 제2측벽(112b)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2개의 제1타입 결합부(120a, 120b) 및 2개의 제2타입 결합부(120c,120d)는 각각 측벽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홈의 형상으로 된다. 제1타입 결합부중 하나(120a)는 제1측벽(112a)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120b)는 제2측벽(112b)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2타입 결합부중 하나(120c)는 제3측벽(112c)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120d)는 제4측벽(112d)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형성된다.
결합부의 형성을 위해 연장되는 부분은 “L”자 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L”자 형에서 바닥부분과 끝부분은 90° 각도로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90°보다 더 큰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바닥부분과 끝부분의 각도가 너무 커지면 홈의 한쪽 높이가 너무 낮아지게 되고, 이 경우 배수로의 역할을 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바닥부분과 끝부분은 대략 90~120° 정도의 각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닥부분과 끝부분이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와 같이 각이 진 상태로 연결될 수 있으며, 구불어진 형태와 같이 부드럽게 라운딩(rounding)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결합부의 형상에 따라 홈의 형상이 결정되게 되며, 이는 잔디 네트 유닛(100)이 배치되는 위치나 목적, 강수량 등에 의해 달라진다.
2개의 제1타입 결합부(120a, 120b) 및 2개의 제2타입 결합부(120c,120d)는 본체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부(110)와 별도로 형성된 후 본체부(110) 측벽의 바닥 모서리에 연결될 수 있다.
2개의 제2타입 결합부(120c,120d)에 의해 형성되는 홈의 폭은 2개의 제1타입 결합부(120a, 120b)에 의해 형성되는 홈의 폭보다 더 크다. 이는 잔디 네트 유닛과 다른 잔디 네트 유닛 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후술하겠으나, 본 발명에 따른 잔디 네트는 하나의 잔디 네트 유닛의 제1타입 결합부(120a)는 다른 하나의 잔디 네트 유닛의 제2타입 결합부(120c) 위에 포개지는 형태로 결합하고, 하나의 잔디 네트 유닛의 제1타입 결합부(120b)가 다른 하나의 잔디 네트 유닛의 제2타입 결합부(120c) 위에 포개지는 형태로 결합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때, 제1타입 결합부에 의해 형성되는 홈의 폭이, 제2타입 결합부에 의해 형성되는 홈의 폭보다 같거나 클 경우에는 제1타입 결합부가 제2타입 결합부 위에 포개지지 않거나 포개지더라도 무리한 힘에 의해 깨질 우려가 있다.
상기의 본체부(110) 및 제1타입 결합부(120a,120b) 및 제2타입 결합부(120c,120d)는 폐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잔디 네트 유닛을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는 폐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폐합성수지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비닐알콜(PVC), 폴리에틸렌 테라프탈레이트(PET) 등의 합성수지를 수집하여, 이를 열분해하여 다시 이용하는 것으로써, 자원의 재활용이 가능하며, 또한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용융되는 특징에 의해 네트 유닛의 성형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본체부(110) 내부는 보호틀(130)에 의해 분할되어 있을 수 있다. 본체부(100)의 내부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은 경우, 많은 양의 잔디 가 식재되게 되고, 이 경우 사람이나 자전거 등의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잔디가 훼손될 수 있는데, 보호틀(130)은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의해 식재된 잔디가 훼손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보호틀(130)은 본체부(110)와 분리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본체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보호틀(1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들과 평행 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측벽들에 대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 혹은 마름모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평면에서 볼 때 삼각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기타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을 참조하면, 본체부(110)의 각각의 측벽의 끝단은 직교하는 다른 측벽들의 끝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는 잔디 네트 유닛(110)의 배수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제3측벽(112c)의 측면 끝단과 제4측벽(112d)의 측면 끝단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제3측벽(112c)와 제4측벽(112d)의 연결 부분을 통하여는 유닛 내부의 수분이 외부로 잘 배출되지 못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측벽(112c)와 제4측벽(112d)의 측면 끝단이 이격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격된 부분을 통하여 유닛 내부의 수분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잔디 네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잔디 네트 유닛(200)은 도 1과 마찬가지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잔디 네트 유닛(200) 역시 본체부(110), 2개의 제1타입 결합부(120a, 120b) 및 2개의 제2타입 결합부(120c,120d)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부(110), 2개의 제1타입 결합부(120a, 120b) 및 2개의 제2타입 결합부(120c,120d)는 도 1에 도시된 잔디 네트 유닛(100)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잔디 네트 유닛(200)은 제1걸림부(210a) 및 제2걸림부(210b)를 더 포함한다. 도 2에서 제1걸림부(210a)는 제1측벽(112a)으로부터 안쪽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2걸림부(210b)는 제2측벽(112b)으로부터 안쪽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1걸림부(210a) 및 제2걸림부(210b)는 하나의 잔디 네트 유닛과 다른 하나의 잔디 네트 유닛을 결합할 때 결합력을 강화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제1타입 결합부(120a)가 다른 하나의 잔디 네트 유닛의 상대적으로 홈의 폭이 더 큰 제2타입 결합부(120c) 위에 포개지는 형태로 결합할 때에, 제2타입 결합부(120c)의 끝단이 제1타입 결합부(120a)가 형성되는 제1측벽(112a)의 내측에 이격 형성된 제1걸림부(210a)와 제1측벽(112a)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제1타입 결합부(120a)와 제2타입 결합부(120c)가 흔들리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제1타입 결합부(120a)와 제2타입 결합부(120a)가 나사 결합 등을 하지 않더라도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삭제
제1걸림부(210a)가 제1측벽(112a)에서 이격된 정도 및 제2걸림부(210b)가 제제2측벽(112b)에서 이격된 정도는 제2타입 결합부(120c,120d)의 끝부분, 즉 “L”자형의 바닥부분과 연결되는 끝부분의 두께보다 약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격된 정도가 제2타입 결합부의 끝부분의 두께보다 적은 경우 제2타입 결합부가 제1걸림부(210a)와 제1측벽(112a) 사이에, 혹은 제2걸림부(210b)와 제2측벽(112b) 사이에 잘 끼워지지 아니하고, 이격된 정도가 너무 큰 경우 제걸림부(210a) 및 제2걸림부(210b)의 존재에 따른 제2타입 결합부(120c,120d)의 끼움 효과를 얻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걸림부(210a)가 제1측벽(112a)에서 이격된 정도 및 제2걸림부(210b)가 제2측벽(112b)에서 이격된 정도는 제2타입 결합부(120c,120d) 두께의 105%~120% 정도가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잔디 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시된 잔디 네트(300)는 복수의 잔디 네트 유닛(100)이 4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잔디 네트 유닛(100)은 도 1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4개의 측벽을 갖는 사각틀 형상의 본체부(110), 2개의 제1타입 결합부(120a,120b) 및 2개의 제2타입 결합부(120c,120d)를 포함하고, 이들은 모두 폐합성수지로 형성된다.
본체부(110)는 사각틀의 형상으로, 제1측벽, 상기 제1측벽과 직교하는 제2측벽, 상기 제1측벽과 평행하는 제3측벽 및 상기 제2측벽과 평행하는 제4측벽을 갖는다. 본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틀(130)에 의하여 내부가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을 수 있다.
2개의 제1타입 결합부(120a,120b)는 다시 홈의 형상으로서 상기 제1측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형성되는 제1결합부(120a)와 홈의 형상으로서 상기 제2측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형성되는 제2결합부(120b)로 나누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2개의 제2타입 결합부(120c,120d)는 제1결합부보다 큰 폭을 갖는 홈의 형상으로서 상기 제3측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형성되는 제3결합부(120c)와 제2결합부보다 큰 폭을 갖는 홈의 형상으로서 상기 제4측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형성되는 제4결합부(120d)로 나누어질 수 있다.
2개의 제1타입 결합부(120a,120b)와 2개의 제2타입 결합부(120c,120d)가 나누어지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제1타입 결합부(120a)와 다른 하나의 제1타입 결합부(120b)의 홈의 폭이 동일하고, 본체부(110)가 정사각틀의 형상일 수도 있으나, 본체부(110)가 직사각틀로서 제1측벽의 수평 길이와 제2측벽의 수평 길이가 상이할 수 있으며, 또한, 제1측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형성되는 결합부의 폭과 제2측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형성되는 결합부의 폭이 상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잔디 네트 유닛들(100) 간의 결합은 2방향으로 배열되거나, 4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이는 잔디 네트가 설치되는 지역의 면적이나 형상 등에 의해 결정된다. 하나의 잔디 네트 유닛의 제3결합부(120c) 상에 인접한 잔디 네트 유닛의 제1결합부(120a)가 포개지거나, 또는 하나의 잔디 네트 유닛의 제4결합부(120d) 상에 인접한 잔디 네트 유닛의 제2결합부(120b)가 포개지는 형태로 배열된다.
도 4는 잔디 네트 유닛의 결합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제1결합부(120a)와 제3결합부(120c)가 결합되는 과정을 예로 들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결합부(120a)는 제1측벽(112a)의 바닥 모서리로부터 바깥쪽 방향으로 바닥부분(411a)과 끝부분(412a)이 “L”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1폭(w1)을 갖는 홈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3결합부(120c)는 제3측벽(112c)의 바닥 모서리로부터 바깥쪽 방향으로 바닥부분(411b)과 끝부분(412b)이 “L”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2폭(w2)을 갖는 홈을 형성한다.
이때, 제3결합부(120c)에 의해 형성되는 홈의 제2폭(w2)는 제1결합부(120a)에 의해 형성되는 홈의 제1폭(w1)보다 더 크다(w2>w1). 이를 통하여 제1결합부(120a)가 제3결합부(120c) 상에 포개지는 형태로 제1결합부(120a)와 제3결합부(120c)가 결합되게 된다.
제1결합부(120a)와 게3결합부(120c)의 결합에 의해 하나의 홈의 형태를 이룰 수 있고, 이 부분은 잔디 네트(300)에서 내부 배수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잔디 네트 유닛(100)에서 배출되는 수분은 잔디 네트 유닛의 모서리 부분(302)을 통하여, 형성된 내부 배수로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물론, 가장자리의 결합부는 그 자체로 외부 배수로의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잔디 네트를 시공함에 있어서 별도의 배수로를 형성하지 않아도 결합부들의 결합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배수로가 형성될 수 있어서, 많은 강우량에도 쉽게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배수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도 1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각각의 측벽의 끝단은 직교하는 다른 측벽들의 끝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제1측벽(112a)의 안쪽에는 걸림부(413)가 제1측벽(112a)과 평행하게 이격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3결합부(120c)의 끝부분(412b)은 제1결합부(120a)의 제1측벽(112a)와 걸림부(413) 사이에 끼움 결합된다.
걸림부(413)의 수평 길이는 제1측벽(112a)의 수평 길이와 동일할 수 있으나, 제3결합부(120c)의 끝부분(412b)이 끼워지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이므로 제1측벽(112a)이 수평 길이보다 짧아도 무방하다.
도 4에서는 제1결합부(120a)와 제3결합부(120c)가 결합되는 예를 제시하였으나, 제2결합부(120b)와 제4결합부(120d)도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잔디 네트는 폐합성수지를 이용함으로써, 자원의 재활용과 함께 손쉽게 잔디 네트 유닛을 성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별도의 배수로를 형성하지 않더라도, 결합부들의 결합에 의해 자연스럽게 배수로가 형성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잔디 네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걸림부가 포함된 잔디 네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디 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잔디 네트 유닛의 결합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Claims (10)

  1. 제1측벽, 상기 제1측벽과 직교하는 제2측벽, 상기 제1측벽과 평행하는 제3측벽 및 상기 제2측벽과 평행하는 제4측벽을 갖는 사각틀 형상의 본체부와, 홈의 형상으로서 상기 제1측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형성되는 제1결합부와, 홈의 형상으로서 상기 제2측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형성되는 제2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보다 큰 폭을 갖는 홈의 형상으로서 상기 제3측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형성되는 제3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보다 큰 폭을 갖는 홈의 형상으로서 상기 제4측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형성되는 제4결합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개의 잔디 네트 유닛이 배열되어 있되,
    하나의 잔디 네트 유닛의 상기 제3결합부 상에 인접한 잔디 네트 유닛의 상기 제1결합부가 포개지거나, 또는 하나의 잔디 네트 유닛의 상기 제4결합부 상에 인접한 잔디 네트 유닛의 상기 제2결합부가 포개지는 형태로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잔디 네트 유닛은 폐합성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디 네트 유닛은
    상기 제1측벽으로부터 안쪽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걸림부를 더 포함하 여, 제3결합부의 끝단이 상기 제1측벽과 제1걸림부 사이에 끼워지고,
    상기 제2측벽으로부터 안쪽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걸림부를 더 포함하여, 제4결합부의 끝단이 상기 제2측벽과 제2걸림부 사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부의 수평 길이는 상기 제1측벽의 수평 길이보다 같거나 짧고,
    상기 제2걸림부의 수평 길이는 상기 제2측벽의 수평 길이보다 같거나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디 네트는 상기 제3결합부 상에 제1결합부가 포개진 형태 또는 제4결합부 상에 제2결합부가 포개진 형태로 내부 배수로를 형성하고, 상기 잔디 네트에서 가장자리에 형성된 결합부들이 외부 배수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네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틀에 의하여 내부가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네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각각의 측벽의 끝단은 직교하는 다른 측벽들의 끝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네트.
  7. 제1측벽, 상기 제1측벽과 직교하는 제2측벽, 상기 제1측벽과 평행하는 제3측벽 및 상기 제2측벽과 평행하는 제4측벽을 갖는 사각틀 형상의 본체부;
    홈의 형상으로서 상기 제1측벽 및 제2측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각각 형성되는 2개의 제1타입 결합부; 및
    상기 제1타입 결합부보다 큰 폭을 갖는 홈의 형상으로서 상기 제3측벽 및 제4측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각각 형성되는 2개의 제2타입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 및 각각의 결합부는 폐합성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네트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잔디 네트 유닛은
    상기 제1측벽으로부터 안쪽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걸림부; 및
    상기 제2측벽으로부터 안쪽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네트 유닛.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틀에 의하여 내부가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네트 유닛.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각각의 측벽의 끝단은 직교하는 다른 측벽들의 끝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네트 유닛.
KR1020090075923A 2009-08-17 2009-08-17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잔디 네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잔디 네트 KR100949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923A KR100949818B1 (ko) 2009-08-17 2009-08-17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잔디 네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잔디 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923A KR100949818B1 (ko) 2009-08-17 2009-08-17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잔디 네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잔디 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9818B1 true KR100949818B1 (ko) 2010-03-30

Family

ID=42183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923A KR100949818B1 (ko) 2009-08-17 2009-08-17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잔디 네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잔디 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98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9910B2 (ja) * 1991-06-03 1994-12-07 日本植生株式会社 緑化用植生基布とそれを用いた植生袋及び張芝体
JPH0774488B2 (ja) * 1990-08-20 1995-08-09 ダイヤテックス株式会社 人工芝構造体
JP2006345825A (ja) * 2005-06-20 2006-12-28 Keiichi Sugino 珪藻頁岩を用いた緑化用土壌、舗装構造、および珪藻頁岩を含む保水等機能品
JP2008082099A (ja) * 2006-09-28 2008-04-10 Yunison:Kk ブロック及びブロックの敷設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4488B2 (ja) * 1990-08-20 1995-08-09 ダイヤテックス株式会社 人工芝構造体
JPH0699910B2 (ja) * 1991-06-03 1994-12-07 日本植生株式会社 緑化用植生基布とそれを用いた植生袋及び張芝体
JP2006345825A (ja) * 2005-06-20 2006-12-28 Keiichi Sugino 珪藻頁岩を用いた緑化用土壌、舗装構造、および珪藻頁岩を含む保水等機能品
JP2008082099A (ja) * 2006-09-28 2008-04-10 Yunison:Kk ブロック及びブロックの敷設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07061A (zh) 用于铺面的透水式地格
US6931798B1 (en) Modular protection device for underpinning
CA2975770C (en) Stormwater chamber with stackable reinforcing ribs
JP2006214103A (ja) 桝体、及び、これを用いた雨水等貯留浸透施設
US20150135613A1 (en) Eco-friendly structure capable of reducing strong wind pressure and storing rainwa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ructure
KR100949818B1 (ko)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잔디 네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잔디 네트
KR100868986B1 (ko) 담수 기능을 갖는 보도블록
JP2009077687A (ja) 緑化駐車場
WO2006100705A1 (en) Modular grid used to obtain carriageable pavements on grass or sand surfaces
KR101283346B1 (ko) 보도블록용 배수부재
KR100788201B1 (ko) 배수판 및 배수판 성형방법
KR101989538B1 (ko) 잔디 모듈
JP4849686B2 (ja) 緑化植栽保護パネル
KR20100005687U (ko) 투수홈이 형성된 보도블럭용 포석 케이스
KR102030135B1 (ko) 결속형 잔디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식생로드 시공방법
US10472813B1 (en) Subsurface fluid conveyance chamber and method
KR101390487B1 (ko) 염전 바닥재
KR200282669Y1 (ko) 비탈면 보호 블럭
KR20090044642A (ko) 논둑 보호용 조립식 블록
CN104746400A (zh) 路面绿化材料和绿化路面
JP5707314B2 (ja) 芝生保護材並びに芝生駐車場及びその構築方法
RU2200786C1 (ru) Элемент поверхностного дождеотводного канала
KR101325225B1 (ko) 조립식 박스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리텐션 구조물
KR102227144B1 (ko) 플륨관 성형장치
JP2009185540A (ja) テラスデッ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