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9572B1 -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 - Google Patents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9572B1
KR100949572B1 KR1020080086003A KR20080086003A KR100949572B1 KR 100949572 B1 KR100949572 B1 KR 100949572B1 KR 1020080086003 A KR1020080086003 A KR 1020080086003A KR 20080086003 A KR20080086003 A KR 20080086003A KR 100949572 B1 KR100949572 B1 KR 100949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ing bar
coupled
block
reactor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6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6841A (ko
Inventor
황창성
박흥식
Original Assignee
황창성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창성,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황창성
Priority to KR1020080086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572B1/ko
Publication of KR20100026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19Reactor parts specifically adapted to facilitate handling, e.g. to facilitate charging or discharging of fuel elemen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20Arrangements for introducing objects into the pressure vessel; Arrangements for handling objec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Arrangements for removing objects from the pressure ves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Abstract

본 발명은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의 유지보수시 분해 또는 조립을 위한 커플링(coupling), 슬리브(sleeve), 실(seal) 등의 중량물의 인출 및 인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방사능 노출지역에서의 작업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고, 크레인이 진입하기 어려운 좁은 영역에서 중량물을 편리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는 베이스(20), 컬럼부(40), 이송블록(90) 및 수평 가이딩 바(100)를 구비하여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의 유지보수시 분해된 또는 조립을 위한 중량물의 인출 및 인입이 편리하도록 한다. 이때, 베이스(20)는 하면에 전후 및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캐스터(24)가 설치된다. 컬럼부(40)는 베이스(20)의 상면에 고정결합되는 서포팅 블록(50)을 갖고, 서포팅 블록(50)에 회동가능하도록 수직으로 지지되어 결합되는 수직 가이딩 바(62)를 갖는다. 이송블록(90)은 수직 가이딩 바(62)에 상하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수평 가이딩 바(100)는 수직 가이딩 바(62)에 수평되도록 배치되어 이송블록(90)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전단에 중량물이 재치되는 로드(150)가 결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는 중량물이 로드(150)에 재치되도록 하여 수직 가이딩 바(62)상에서 이송블록(90)을 상하방향으로 이송시키고, 이송블록(90)상에서 수평 가이딩 바(100)를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며, 컬럼부(40)의 서포팅 블록(50)상에서 수직 가이딩 바(62)를 회동시키고, 베이스(20)를 이동시키므로써,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의 유지보수시 중량물을 인출 및 인입시킬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POSITION CARRIAGE FOR NUCLEAR REACTRO MODERATOR SEALING APPARATUS}
본 발명은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의 유지보수시 커플링, 슬리브, 실 등의 중량물의 인출 및 인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방사능 노출지역에서의 작업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고, 크레인이 진입하기 어려운 좁은 영역에서 중량물을 편리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소나 방사성 동위원소 설비의 가동중에 발생되는 중성자, 베타(β)선, 감마(γ)선 등의 방사선은 인체에 치명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원전 관계자 등 방사선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다루는 사람들은 업무특성상 지속적으로 방사선에 피폭될 수 있으므로, 방사선 노출이 염려되는 지역에서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한편, 원자력발전소에는 중수를 공급하거나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는 감속재 밀봉장치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감속재 밀봉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속재실(500)로 중수를 공급하거나 순환시키기 위해 그 하부에서 펌프(502)가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펌프(502)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504)가 설치된다. 그리고, 모터(504)의 상부에는 모터 트러스트 베어링(506)이 설치되고, 펌프(502)와 모터(504)사이에는 모터(504)의 구동로드를 펌프(502)의 베인에 연결시키기 위해 커플링(508)과 기계식 밀봉장치(510)가 설치된다. 또한, 펌프(502)와 밀봉장치(510)에는 연속적으로, 역지밸브, 후단밸브와 같은 밸브들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는 중수로 원자력 발전소에 주로 적용된다. 그리고,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과 장비성능의 극대화를 위해 지속적인 정비가 필요하고, 정비시 중수누출로 인한 방사선 사고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는 방사선 누출 위험지역에 설치되므로, 작업자가 에어하네스(air harness), 방호복 등의 방사능 차폐를 위한 안전장비를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해야 한다. 그리고,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가 설치된 영역은 한 명의 작업자가 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협소하고, 유지보수시 분리시켜야 하는 커플링(coupling), 슬리브(sleeve), 실(seal) 등의 무게가 한 명의 작업자가 직접 들어올리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의 유지보수 작업은 방사능 노출의 위험이 높은 영역에서 이루어지면서도 그 소요시간이 많이 필요하고, 중량물을 들어올려야 하는 문제로 인해 회피되는 작업으로서 이에 대한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필요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방사선 누출 위험지역에 설치된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를 유지보수할 때 에어하네스(air harness), 방호복 등의 방사능 차폐를 위한 안전장비를 착용하고 작업해야 하는 작업자가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의 커플링, 슬리브, 실 등의 분해 또는 조립을 위한 중량물의 인출 및 인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크레인과 같은 중량물 이송장비가 진입하기 어려운 좁은 영역에 설치된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의 유지보수시 더욱 쉽게 접근하여 중량물을 편리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하고, 방사능 노출지역에서의 작업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의 유지보수시 중량물의 인출 및 인입을 위한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에 있어서, 하면에 전후 및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캐스터(24)가 설치되는 베이스(20)와; 상기 베이스(20)의 상면에 고정결합되는 서 포팅 블록(50)을 갖고, 상기 서포팅 블록(50)에 회동가능하도록 수직으로 지지되어 결합되는 수직 가이딩 바(62)를 갖는 컬럼부(40)와; 상기 수직 가이딩 바(62)에 상하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이송블록(90) 및; 상기 수직 가이딩 바(62)에 수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이송블록(90)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전단에 상기 중량물이 재치되는 로드(150)가 결합되는 수평 가이딩 바(100)를 포함하여, 상기 중량물이 상기 로드(150)에 재치되도록 하여 상기 수직 가이딩 바(62)상에서 상기 이송블록(90)을 상하방향으로 이송시키고, 상기 이송블록(90)상에서 상기 수평 가이딩 바(100)를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며, 상기 컬럼부(40)의 서포팅 블록(50)상에서 상기 수직 가이딩 바(62)를 회동시키고, 상기 베이스(20)를 이동시키므로써,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의 유지보수시 중량물을 인출 및 인입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에서 상기 컬럼부(40)는 상기 베이스(20)의 상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직 가이딩 바(62)를 고정시키기 위한 스톱퍼 블록(70)을 더 구비하되; 상기 서포팅 블록(50)에는 상기 베이스(20)에 고정되어 결합되는 하우징(52)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부 회동 플레이트(56)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 가이딩 바(62)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 회동 플레이트(56)에 결합되는 상부 회동 플레이트(68)가 결합되며, 상기 스톱퍼 블록(70)은 상기 베이스(20)에 고정되어 결합되고, 중심에 중공(71)이 형성되며,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중공(71)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부 회동 플레이트(68)의 일측이 삽입되어 위치되는 리세스(74)가 형성되는 하우징(72)과, 상기 하우징(72)의 중공(71)내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리세스(74)를 통해 삽입되는 상기 상부 회동 플레이트(68)의 상하측에 위치되는 상하부 슬리브(86, 88) 및, 상기 상하부 슬리브(86, 88)에 결합되고, 상기 상하부 슬리브(86, 88)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대(80)를 구비하여, 상기 조절대(80)로 상기 상하부 슬리브(86, 88) 사이의 간격을 줄여 상기 상부 회동 플레이트(68)를 고정시키므로써 상기 컬럼부(40)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에서 상기 수직 가이딩 바(62)와 수평 가이딩 바(100)는 각 일측면에 래크 기어(64, 104)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블록(90)은 상기 수직 가이딩 바(62)와 수평 가이딩 바(100)가 이송시 통과되도록 형성되는 케이스(92)와, 상기 케이스(92)내에서 양단이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92)에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수직 가이딩 바(62)에 형성된 래크 기어(64)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95)가 설치되는 제 1 샤프트(94)와, 상기 제 1 샤프트(94)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92)에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상기 케이스(92)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제 1 손잡이(98) 및, 상기 수평 가이딩 바(100)에 형성된 래크 기어(104)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14)를 갖고, 상기 케이스(92)에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상기 케이스(92)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제 2 손잡이(11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에 의하면,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의 유지보수시 인출(분리)된 후 다시 인입(결합)되어야 하는 커플링, 슬리브, 실 등의 중량물의 이송작업을 편리하게 하도록 한다. 따라서,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를 유지보수할 때 방사선 누출 위험으로 인해 에어하네스(air harness), 방호복 등의 방사능 차폐를 위한 안전장비를 착용하고 작업해야 하는 작업자의 작업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특히, 중량물이 로드(150)에 재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이송블록(90)의 상하이송, 수평 가이딩 바(100)의 수평이송, 수직 가이딩 바(62)의 회동, 베이스(20)를 이동운동을 통해 다양한 위치 변환이 가능하므로, 커플링, 슬리브, 실 등의 중량물의 이송작업뿐만아니라 분해 및 조립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수평 가이딩 바(100)가 연장되는 형태를 가지므로, 크레인과 같은 중량물 이송장비가 진입하기 어려운 좁은 영역에 설치된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의 유지보수시 더욱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고, 방사능 노출지역에서의 작업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 송기(10)는 베이스(20), 컬럼부(40), 이송블록(90) 및 수평 가이딩 바(100)를 구비하여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의 유지보수시 커플링(coupling), 슬리브(sleeve), 실(seal) 등의 분해되거나 조립을 위한 중량물의 인출 및 인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방사능 노출지역에서의 작업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고, 크레인이 진입하기 어려운 좁은 영역에서 중량물을 편리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10)는 통상의 고중량물보다는 가볍지만, 작업자가 혼자서 들기 어려워 간이 크레인 등을 사용하여야 하는 중량물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제안된 것으로,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의 유지보수시 해체하여 수리, 교환 또는 점검하여야 하는 커플링, 슬리브, 실 등의 중량물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의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인원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면서도 작업의 용이성을 제공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10)의 베이스(20)는 하면에 전후 및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캐스터(24)가 설치되어 위치이송기(1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필요한 장소에 이동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어 그 편리함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때, 캐스터(24)는 통상 다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있는 것을 사용하여 복잡하고, 좁은 통로에서도 편리하게 방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컬럼부(40)는 베이스(20)의 상면에 고정결합되는 서포팅 블록(50)을 갖고, 이 서포팅 블록(50)에 회동가능하도록 수직으로 지지되어 결합되는 수직 가이딩 바(62)를 갖는다. 이와 같은 컬럼부(40)는 베이스(20)에 대해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 컬럼부(40)에 결합되는 이송블록(90)과 수평 가이딩 바(10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송블록(90)은 수직 가이딩 바(62)에 상하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이 이송블록(90)에 결합되는 수평 가이딩 바(100)의 높이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수평 가이딩 바(100)는 수직 가이딩 바(62)에 수평되도록 배치되어 이송블록(90)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전단에 중량물이 재치되는 로드(150)가 결합되는 것으로, 이 수평 가이딩 바(100)는 중량물이 재치되는 로드(150)를 수평방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10)는 중량물이 로드(150)에 재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이송블록(90)의 상하이송, 수평 가이딩 바(100)의 수평이송, 수직 가이딩 바(62)의 회동, 베이스(20)를 이동운동을 통해 다양한 위치 변환이 가능하므로, 커플링, 슬리브, 실 등의 중량물의 이송작업뿐만아니라 분해 및 조립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수평 가이딩 바(100)가 연장되는 형태를 가지므로, 크레인과 같은 중량물 이송장비가 진입하기 어려운 좁은 영역에 설치된 원자로 감 속재 밀봉장치의 유지보수시 더욱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고, 방사능 노출지역에서의 작업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10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2 내지 도 10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LM 레일과 블록을 사용하여 슬라이딩 구성요소를 지지하는 기술, 기어를 사용한 구동기구에 관한 기술, 시중 구매를 통해 적용할 수 있는 캐스터 및 베어링 등의 부품에 관한 기술, 시중 구매품인 프로파일(profile) 등을 사용하여 구성요소를 보강하는 기술, 구성요소간의 조립을 위해 볼트 등을 사용하는 기술 등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관련분야의 기술을 통해 통상적으로 알 수 있는 기술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의 우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에서 베이스, 컬럼부의 서포팅 블록 및 스톱퍼 블록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5에 서 라인 A-A'을 따라 절취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에서 컬럼부의 스톱퍼 블록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에서 컬럼부의 수직 가이딩 바와 관련된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에서 이송블록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4에서 라인 B-B'을 따라 절취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에서 이송블록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3에서 라인 C-C'을 따라 절취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10)는 베이스(20), 컬럼부(40), 이송블록(90) 및 수평 가이딩 바(100)를 구비하여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의 유지보수시 커플링(coupling), 슬리브(sleeve), 실(seal) 등의 중량물을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가 설치된 위치로부터 부품 수리 및 교환이 이루어지는 장소로 인출시키거나 수리장소로부터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가 설치된 위치로 인입시켜 조립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베이스(2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 성부품 위치이송기(10)의 기본 받침을 이루는 것으로, 금속재의 평편한 플레이트(22)의 하면에 프로파일 등의 보강재를 결합시켜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한다. 이와 같은 베이스(20)는 하면에 전후 및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캐스터(24)가 설치되어 위치이송기(1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캐스터(24)는 본 실시예에서는 4개를 설치하였는데, 이 개수는 적용되는 중량물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베이스(20)는 둘레에 다수개의 세팅 블록(3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세팅 블록(30)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단이 플레이트(22)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바(32), 베이스(2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고정바(32)의 타단에 결합되고 하단에 받침판(36)이 설치되는 장나사(32) 및, 장나사(32)의 고정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너트(38)로 이루어진다. 이 세팅 블록(30)은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의 분해작업시 이송시키고자 하는 부품을 안정적으로 들어올릴 필요가 있을 때 또는 그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된다. 즉, 고정바(32)의 상하측에서 장나사(32)에 결합되어 있는 너트(38)를 조절하여 장나사(32)의 위치를 조절하므로써, 베이스(20) 전체 둘레를 걸쳐 설치된 각 세팅 블록(30)을 통해 지면이 불규칙한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지면에 대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컬럼부(40)는 베이스(20)의 상면에 고정결합되는 서포팅 블록(50)을 갖고, 이 서포팅 블록(50)에 회동가능하도록 수직으로 지지되어 결합되는 수직 가이딩 바(62)를 갖는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컬럼부(40)는 베이스(20)의 상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수직 가이딩 바(62)를 고정시키기 위한 스톱퍼 블록(70)이 설치된다. 즉, 컬럼부(40)는 베이스(20)에 대해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 컬럼부(40)에 결합되는 이송블록(90)과 수평 가이딩 바(10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중량물을 분리하는 작업 또는 설치하는 작업을 할 때 컬럼부(40)의 수직 가이딩 바(62)가 고정되도록 하므로써, 수직 가이딩 바(62)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여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도 6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포팅 블록(50)에는 베이스(20)에 고정되어 결합되는 하우징(52)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부 회동 플레이트(56)가 설치된다. 이때, 하부 회동 플레이트(56)는 하우징(52)내부에서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는 회전축(54)에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수직 가이딩 바(62)의 하부에는 하부 회동 플레이트(56)에 결합되는 상부 회동 플레이트(68)가 결합된다. 그리고, 스톱퍼 블록(70)은,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우징(72), 상하부 슬리브(86, 88) 및 조절대(80)를 구비하여 수직 가이딩 바(62)의 하부에 결합되는 상부 회동 플레이트(68)를 놓거나 잡아서 회전가능상태 또는 정지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톱퍼 블록(70)의 하우징(72)은 베이스(20)에 고정되어 결합되고, 중심에 중공(71)이 형성되며, 일측면으로부터 중공(71)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부 회동 플레이트(68)의 일측이 삽입되어 위치되는 리세스(7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하부 슬리브(86, 88)는 하우징(72)의 중공(71)내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결합되되, 리세스(74)를 통해 삽입되는 상부 회동 플레이트(68)의 상하측에 위치된다. 여기서, 하부 슬리브(88)는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장공(89)이 형성되는데, 하부 슬리브(88)가 하우징(72)에 결합된 후 장공(89)에는 핀(78)이 결합되어 하부 슬리브(88)의 이동을 단속하도록 한다. 그리고, 조절대(80)는 상하부 슬리브(86, 88)에 결합되고, 손잡이(82)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직접 회전시켜 상하부 슬리브(86, 88)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한다. 여기서, 조절대(80)는 하측에 나사가 형성되는 조절축(84)이 결합되어 구성된 것으로, 조절축(84)이 하부 슬리브(88)에 나사 결합되어 풀림과 조임하는 방법으로 하부 슬리브(88)를 이동시켜 상부 회동 플레이트(68)를 고정하거나 푸는 작용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작업자는 스톱퍼 블록(70)의 조절대(80)로 상하부 슬리브(86, 88) 사이의 간격을 줄여 상부 회동 플레이트(68)를 고정시키므로써, 컬럼부(40)가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컬럼부(40)의 수직 가이딩 바(62)는 중공(61)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관을 사용하여 무게를 감소시키면서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하고, 일측면에 래크 기어(64)가 형성되어 이송블록(90)에 설치되는 피니언(95, 도 9 및 도 10 참조)이 맞 물리도록 하므로써, 이송블록(90)이 수직 가이딩 바(62)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송가능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직 가이딩 바(62)에 형성되는 피니언(95)은 기계가공을 통해 수직 가이딩 바(62)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게 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 이 피니언(95)은 별도로 제작되어 수직 가이딩 바(62)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구조를 갖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수직 가이딩 바(62)에는 LM 레일(66)이 결합되어 이송블록(90)에 설치되는 LM 블록(94a, 도 9 및 도 10 참조)이 결합되어 이송블록(90)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물론, 이와 같은 LM 레일(66) 및 LM 블록(94a)은 관련분야에서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형태가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컬럼부(40)의 수직 가이딩 바(62)에는 이송블록(90)이 결합된다. 이 이송블록(90)은 수직 가이딩 바(62)에 상하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이 이송블록(90)에 결합되는 수평 가이딩 바(100)의 높이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블록(90)은 케이스(92), 제 1 샤프트(94), 제 1 손잡이(98) 및 제 2 손잡이(110)를 구비하여, 전술한 컬럼부(40)에 지지되어 상하운동되면서 후술하는 수평 가이딩 바(100)가 컬럼부(40)의 수직 가이딩 바(62)의 좌우방향{도 3을 기준으로 볼 때}으로 슬라이딩운동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이때, 케이스(92)는 박스 형태로 수직 가이딩 바(62)와 수평 가이딩 바(100)가 이송시 통과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는 제 1 샤프트(94), 제 1 손잡이(98) 및 제 2 손잡이(11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93)가 설치된다. 물론, 이와 같은 케이스(9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아래 지지구조, 보강구조 등 설계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송블록(90)이 수직 가이딩 바(62)를 따라 상하이동되는 작동은 제 1 샤프트(94)와 제 1 손잡이(98)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 제 1 샤프트(94)는 케이스(92)내에서 양단이 회동가능하도록 케이스(92)에 지지되어 설치되고, 수직 가이딩 바(62)에 형성된 래크 기어(64)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95)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 1 손잡이(98)는 제 1 샤프트(94)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케이스(92)에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케이스(92)의 외측으로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손잡이(98)는 제 1 샤프트(94)에 설치되는 워엄 휠(96)과 워엄(99)로 접속되므로써, 제 1 샤프트(94)를 회전시켜 이송블록(90)이 수직 가이딩 바(62)의 상하로 이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평 가이딩 바(100)는 수직 가이딩 바(62)에 수평되도록 배치되어 이송블록(90)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전단에 중량물이 재치되는 로드(150)가 결합되는 것으로, 이 수평 가이딩 바(100)는 중량물이 재치되는 로드(150)를 수평방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평 가이딩 바(100)는 전술한 컬럼부(40)의 수직 가이딩 바(62)와 유 사하게 중공의 원통형 관으로 형성되고, 이송블록(90)과 LM 가이딩 구조에 의해 지지된다. 즉, 수평 가이딩 바(100)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측에 래크 기어(104, 도 10 참조)가 형성되고, 양측에 LM 레일(106)이 설치된다. 그리고, 양측에 설치된 LM 레일(106)은 이송블록(90)의 외측에 결합되는 브라켓(120)에 설치된 LM 블록(94b)에 결합된다. 그리고, 수평 가이딩 바(100)에 형성된 래크 기어(104)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14)는 케이스(92)에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케이스(92)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제 2 손잡이(110)의 피니언 기어(114)에 맞물린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 2 손잡이(110)는 수평 가이딩 바(100)를 이송시키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10)는 수평 가이딩 바(100)의 전단에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의 유지보수시 밀봉장치의 분해시 발생되는 커플링, 슬리브, 실 등의 중량물을 재치시키기 위한 로드(150)가 결합된다. 이와 같은 로드(150)는 통상 포크(fork) 또는 개폐가능한 클램프(clamp) 형태로 형성되어 해당 중량물의 분해시 해당 중량물의 하측으로 끼워 넣거나 물리도록하여 중량물이 받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분해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인력으로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작업이 필요없도록 한다. 그리고, 조립시 조립영역에서 해당 중량물을 로드(150)상에 놓거나 클램프에 물린 상태에서 조립위치로 이동하고, 분해과정과 반대로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로드(150)에 중량물이 재치된다고 지칭하였으나, 이는 놓는다는 의미뿐만아니라 중 량물이 로드(150)에 고정되거나 걸리는 상태를 포괄하여 지칭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10)는 수평 가이딩 바(100)의 후단에 무게추를 놓을 수 있는 밸런싱 로드(130)를 설치하여, 중량물의 무게가 비교적 클 경우 무게추를 이용해 장치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10)는 중량물이 로드(150)에 재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이송블록(90)의 상하이송, 수평 가이딩 바(100)의 수평이송, 수직 가이딩 바(62)의 회동, 베이스(20)를 이동운동을 통해 다양한 위치 변환이 가능하므로,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의 유지보수시 분리가 필요한 커플링, 슬리브, 실 등의 중량물 구성부품의 이송작업뿐만아니라 분해 및 조립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의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에서 베이스, 컬럼부의 서포팅 블록 및 스톱퍼 블록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5에서 라인 A-A'을 따라 절취하여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에서 컬럼부의 스톱퍼 블록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에서 컬럼부의 수직 가이딩 바와 관련된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에서 이송블록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4에서 라인 B-B'을 따라 절취 하여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에서 이송블록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3에서 라인 C-C'을 따라 절취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
20 : 베이스 24 : 캐스터
40 : 컬럼부 50 : 서포팅 블록
52 : (서포팅 블록) 하우징 56 : 하부 회동 플레이트
62 : 수직 가이딩 바 64, 104 : 래크 기어
68 : 상부 회동 플레이트 70 : 스톱퍼 블록
71 : (스톱퍼 블록) 중공 72 : (스톱퍼 블록) 하우징
74 : 리세스 80 : 조절대
86 : 상부 슬리브 88 : 하부 슬리브
90 : 이송블록 92 : 케이스
94 : 제 1 샤프트 95, 114 : 피니언 기어
98 : 제 1 손잡이 100 : 수평 가이딩 바
110 : 제 2 손잡이 150 : 로드

Claims (3)

  1.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의 유지보수시 중량물의 인출 및 인입을 위한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에 있어서,
    하면에 전후 및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캐스터(24)가 설치되는 베이스(20)와;
    상기 베이스(20)의 상면에 고정결합되는 서포팅 블록(50)을 갖고, 상기 서포팅 블록(50)에 회동가능하도록 수직으로 지지되어 결합되는 수직 가이딩 바(62)를 갖는 컬럼부(40)와;
    상기 수직 가이딩 바(62)에 상하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이송블록(90) 및;
    상기 수직 가이딩 바(62)에 수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이송블록(90)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전단에 상기 중량물이 재치되는 로드(150)가 결합되는 수평 가이딩 바(100)를 포함하여, 상기 중량물이 상기 로드(150)에 재치되도록 하여 상기 수직 가이딩 바(62)상에서 상기 이송블록(90)을 상하방향으로 이송시키고, 상기 이송블록(90)상에서 상기 수평 가이딩 바(100)를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며, 상기 컬럼부(40)의 서포팅 블록(50)상에서 상기 수직 가이딩 바(62)를 회동시키고, 상기 베이스(20)를 이동시키므로써,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의 유지보수시 중량물을 인출 및 인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럼부(40)는 상기 베이스(20)의 상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직 가이딩 바(62)를 고정시키기 위한 스톱퍼 블록(70)을 더 구비하되;
    상기 서포팅 블록(50)에는 상기 베이스(20)에 고정되어 결합되는 하우징(52)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부 회동 플레이트(56)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 가이딩 바(62)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 회동 플레이트(56)에 결합되는 상부 회동 플레이트(68)가 결합되며,
    상기 스톱퍼 블록(70)은 상기 베이스(20)에 고정되어 결합되고, 중심에 중공(71)이 형성되며,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중공(71)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부 회동 플레이트(68)의 일측이 삽입되어 위치되는 리세스(74)가 형성되는 하우징(72)과,
    상기 하우징(72)의 중공(71)내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리세스(74)를 통해 삽입되는 상기 상부 회동 플레이트(68)의 상하측에 위치되는 상하부 슬리브(86, 88) 및,
    상기 상하부 슬리브(86, 88)에 결합되고, 상기 상하부 슬리브(86, 88)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대(80)를 구비하여, 상기 조절대(80)로 상기 상하부 슬리브(86, 88) 사이의 간격을 줄여 상기 상부 회동 플레이트(68)를 고정시키므로써 상기 컬럼부(40)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 성부품 위치이송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가이딩 바(62)와 수평 가이딩 바(100)는 각 일측면에 래크 기어(64, 104)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블록(90)은 상기 수직 가이딩 바(62)와 수평 가이딩 바(100)가 이송시 통과되도록 형성되는 케이스(92)와,
    상기 케이스(92)내에서 양단이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92)에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수직 가이딩 바(62)에 형성된 래크 기어(64)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95)가 설치되는 제 1 샤프트(94)와,
    상기 제 1 샤프트(94)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92)에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상기 케이스(92)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제 1 손잡이(98) 및,
    상기 수평 가이딩 바(100)에 형성된 래크 기어(104)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95)를 갖고, 상기 케이스(92)에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상기 케이스(92)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제 2 손잡이(9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
KR1020080086003A 2008-09-01 2008-09-01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 KR100949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003A KR100949572B1 (ko) 2008-09-01 2008-09-01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003A KR100949572B1 (ko) 2008-09-01 2008-09-01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841A KR20100026841A (ko) 2010-03-10
KR100949572B1 true KR100949572B1 (ko) 2010-03-24

Family

ID=42178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6003A KR100949572B1 (ko) 2008-09-01 2008-09-01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957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0111B1 (ko) 2004-11-23 2006-07-13 한전기공주식회사 감속재펌프 밀봉장치의 교체정비장치
KR100834686B1 (ko) 2006-07-28 2008-06-0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원자로 헤드 관통관 보수 로봇용 원격 제어 가이드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0111B1 (ko) 2004-11-23 2006-07-13 한전기공주식회사 감속재펌프 밀봉장치의 교체정비장치
KR100834686B1 (ko) 2006-07-28 2008-06-0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원자로 헤드 관통관 보수 로봇용 원격 제어 가이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841A (ko) 201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2515247C2 (de)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der Außenwand eines Kernreaktorhauptbehälters
CN105690357B (zh) 一种核辐射环境下具有10个自由度的遥控维护动力系统
CN108044599A (zh) 一种应用于强磁场强辐射工况的检修机械臂装置
KR100949572B1 (ko) 원자로 감속재 밀봉장치 구성부품 위치이송기
CN109179121B (zh) 一种用于施工升降机吊笼的调试装置
CN108942770B (zh) 一种蜗壳离心泵芯包的拆装工装
EP0602184A1 (en) DEVICE FOR POSITIONING A TOOL IN AN ENCLOSURE BOUNDED BY A WALL THROUGH AN OPENING.
CN108825150A (zh) 一种自动化扶管装置
CN206328102U (zh) 升降装置
KR101568524B1 (ko) 감속기용 구동커플링 커버 지지장치
CN106744493A (zh) 升降装置
JP2021046768A (ja) レール送り装置を備えた台車
CN207138950U (zh) 刀座修复装置
KR101437101B1 (ko) 원자력 발전소 비상 디젤엔진 발전기의 메인베어링 정비용 인양장비 및 그 인양방법
CN215633026U (zh) 一种山岭隧道二衬钢筋精准装配成套设备
CN208686336U (zh) 一种自动化扶管装置
CN205734414U (zh) 管件自动上料磨削系统
CN210108996U (zh) 铸件高速大通量在线智能实时成像检测装置
CN109622637B (zh) 快速调节导卫装置
CN207451072U (zh) 一种简易龙门架
CN209627179U (zh) 大型发电机定子铁芯叠压测量装置
CN207514179U (zh) 一种自动旋转装置
CN112792404A (zh) 核电站堆芯围板切割装置
KR101662476B1 (ko) 승하강식 활주로 진입등주
CN207418183U (zh) 一种滚床升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