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9306B1 - 가축용 체위측정장치 - Google Patents

가축용 체위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9306B1
KR100949306B1 KR1020070125781A KR20070125781A KR100949306B1 KR 100949306 B1 KR100949306 B1 KR 100949306B1 KR 1020070125781 A KR1020070125781 A KR 1020070125781A KR 20070125781 A KR20070125781 A KR 20070125781A KR 100949306 B1 KR100949306 B1 KR 100949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position measuring
impact
pig
weighing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5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8964A (ko
Inventor
이일주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비육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비육종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비육종
Priority to KR1020070125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306B1/ko
Publication of KR20090058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8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4Devices for impeding movement; Devices for impeding passage through fencing, e.g. hobbles or the like; Anti-kick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7/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weighing material of special form or property
    • G01G17/08Apparatus for or methods of weighing material of special form or property for weighing livestock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가축용 체위측정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가축용 체위측정장치는 가축의 무게를 측정하는 계량대와 가축이 몸부림치거나 탈출하는 것을 차단하는 펜스가 포함되는 가축용 체위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계량대에는 가축에게 충격을 가하는 충격수단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한 가축용 체위측정장치는 가축의 체위를 측정하는 도중 가축이 체위측정장치 내에서 눕게되는 경우에도 가축이 스트레스를 받지 않게 하면서도 신속하게 일으켜 세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체위측정장치, 충격수단, 충격봉, 작동레버, 발판, 통공

Description

가축용 체위측정장치{MEASUREMENT APPARATUS OF BODY PARAMETERS FOR DOMESTIC ANIMALS}
본 발명은 가축의 무게와 크기 등의 체위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가축용 체위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가축이 체위측정장치 내부에서 몸부림치거나 눕는 것을 통제하여 가축의 체중, 체고, 체장 및 육량 등을 신속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가축용 체위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돼지나 소 등의 가축을 사육 또는 개량하는 기관, 단체 및 회사에서는 육질이 우수한 품종의 가축을 생산하기 위해 사육되는 가축들의 무게, 크기 및 건강상태 등을 수시로 측정한다. 이와 같은 작업은 우수한 품종의 가축을 선발하기 위함이고, 상기 선발된 우수한 가축을 기반으로 우수한 품질의 축산품을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축의 체위측정은 가축을 체위측정장치에 가둔 후 행해지며, 상기 체위측정장치는 가축의 체위를 신속하게 측정하여 가축이 체위측정으로 인해 스 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체위측정장치는 대표적으로 돼지의 체위를 측정할 때 사용되는 돈형기와 소의 체위를 측정할 때 사용되는 우형기 등이 있고, 기타 가축들도 각 가축에 맞는 체위측정장치가 있다.
이하, 상기 돈형기(이하 체위측정장치라 함)를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의한 체위측정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의한 체위측정장치(2)는 돼지의 무게를 측정하는 계량대(10), 상기 계량대(10)에서 돼지가 내려오거나 몸부림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계량대(10)의 양측에 설치되는 측면펜스(20), 상기 측면펜스(20)의 양측에 설치되는 게이트 도어(30) 및 돼지가 측면펜스(20)와 게이트 도어(30)를 넘어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양측 측면펜스(20)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부펜스(40)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양측의 측면펜스(20)는 돼지가 계량대(10)에 들어가는 데는 지장이 없지만 몸을 돌리지는 못할 정도의 폭만큼만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간격으로 측면펜스(20)를 이격시키는 것은, 체위측정 시 돼지가 몸부림치는 것을 방지하여 신속하게 체위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체위측정장치(2)를 이용하여 돼지의 체위를 측정하는 방법은 먼저, 게이트 도어(30)를 개방하고 돼지를 체위측정장치(2)에 집어넣는다. 돼지가 체위측정장치(2)에 들어가면 돼지는 계량대(10) 위에 위치하게 되고, 계량대(10)는 돼지의 무게를 측정한다.
상기에서 계량대(10)에는 스프링에 의해 무게를 측정하는 기계식 저울 또는 압력센서에 의해 무게를 측정하는 전자식 저울이 사용될 수 있으며,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돼지의 무게를 측정한 뒤에는 돼지의 크기를 측정하며, 돼지 몸체의 지정된 부분을 측정용 자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상기와 같이 진행되는 체위측정방법은 가능한 신속하게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돼지가 좁은 우리와 흡사한 체위측정장치(2)에 장시간 갇혀있게 되면, 심한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상기 스트레스는 돼지의 육질을 떨어트리기 때문이다.
그러나 돼지가 체위측정 중 체위측정장치(2)의 내부에서 눕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돼지가 체위측정장치(2) 내부에서 눕게 되면 돼지의 크기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게 되고, 작업자는 돼지의 체위를 측정하기 위해 돼지를 강제로 일으켜 세우게 된다.
돼지를 일으켜 세우기 위해서는 돼지의 몸에 물리력을 가하게 되고, 돼지는 고통을 피하기 위해 스스로 일어서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물리력으로 돼지에게 고통을 가하게 되면 돼지는 공포감을 느끼게 되고, 이 경우 일부 돼지는 공포심으로 인해 일어서지 않고 몸을 움츠리게 된다. 이와 같이 돼지가 즉시 일어나지 않고 움츠리고 있으면, 돼지를 일으키기 위해 반복해서 돼지에게 고통을 주게 되고, 돼지는 상기 반복되는 고통과 공포로 심한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돼지를 일으켜 세우는 과정에서 돼지를 심하게 다루게 되면 돼지의 몸에는 외상이 발생 될 수 있으며, 상기 스트레스와 외상은 돼지의 육질을 떨어트리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돼지는 한 마리의 무게가 평균 100㎏이 넘는 가축으로, 가축 중에서는 몸집이 큰 편에 속하며, 이와 같은 돼지가 체위측정장치(2)의 내부에 눕게 되면, 돼지를 일으켜 세우는데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는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가축이 체위측정장치의 내부에서 눕게 되어도, 가축을 체위측정 전에 신속하게 일으켜 세울 수 있는 가축용 체위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가축을 일으켜 세울 때 가축이 스트레스를 받거나 가축에게 외상이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축용 체위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가축용 체위측정장치는 가축의 무게를 측정하는 계량대와 가축이 몸부림치거나 탈출하는 것을 차단하는 펜스가 포함되는 가축용 체위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량대에는 가축에게 충격을 가하는 충격수단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격수단은 상기 계량대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필요시에만 상면으로 돌출되는 충격봉과, 상기 충격봉을 승강시키는 승강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격봉은 상기 계량대로부터 수직으로 승/하강 되는 원통형상의 봉이며, 상단부가 원형으로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격봉에는 상기 계량대의 내부 상면과 충격봉의 플랜지 사이에 스프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상기 계량대의 측면에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일측은 상기 계량대의 외부로 돌출되며, 타측은 상기 충격봉의 하부면에 접촉되는 작동레버가 포함되며, 상기 작동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기 충격봉이 승/하강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가축용 체위측정장치는 가축의 체위를 측정하는 도중 가축이 체위측정장치 내에서 눕게되는 경우에도 가축이 스트레스를 받지 않게 하면서도 신속하게 일으켜 세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축을 일으켜 세우는 과정에서도 가축에게 외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가축용 체위측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축용 체위측정장치(1)는 돼지의 무게를 측정하는 계량대(100), 상기 계량대(100)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측면펜스(200), 상기 양측 측면펜스(200)의 일측에 힌지(31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는 게이트 도어(300), 상기 측면펜스(200)의 상부에 설치되어 돼지가 상기 측면펜스(200)와 게이트 도어(300)를 넘어가는 것을 차단하는 상부펜스(400) 및 돼지를 일으킬 때 사용되는 충격수단(50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계량대(100)는 돼지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며,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무게를 측정하는 기계식 저울 또는 압력센서 등을 사용하여 무게를 측정하는 전자식 저울이 사용된다. 상기에서 기계식 저울 또는 전자식 저울은 종래에 사용되던 것과 동일하다.
계량대(100)의 양측에 설치되는 측면펜스(200)는 가로 부재와 세로 부재로 제작되고, 돼지가 서거나 눕기에는 충분하지만 몸을 돌리지는 못할 정도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이트 도어(300)는 상기 측면펜스(200)와 동일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양측의 측면펜스(200)에 의해 형성된 양측 케이트가 개/폐될 수 있게 측면펜스(200)의 일측에 힌지(31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체결된다.
상부펜스(400)는 돼지가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고, 양측 측면펜스(200)의 상부를 연결시키는 가로 부재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부펜스(400)는 체위측정장치(1)의 용이한 제작과 내구성을 구려하여 측면펜스(200)와 동일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격수단(500)은 계량대(100)의 내부 측면에 설치되고, 충격봉(510)과 승강부(520)로 구성된다. 상기 계량대(100)는 측면에 절개홈(110)이 형성되고, 상부면 중앙부분 즉, 돼지가 누웠을 때 복부가 위치되는 부분에는 통공이 형성된다.
충격수단(500)의 충격봉(510)은 계량대(100)의 상부면 중앙부분에 형성된 통공(120)으로부터 승/하강되게 설치된다. 상기 충격봉(510)은 돼지의 신체에 외상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상단부(513)가 원형으로 가공되고, 하단부는 충격봉(510)이 계량대(100)의 통공(120)을 통해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랜지(511)가 구비되며, 상기 플랜지(511)는 상기 통공(120)보다 직경이 크고 충격봉(51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된 후 부착된다. 또한, 상기 충격봉(510)에는 스프링(512)이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512)은 충격봉(510)에 삽입된 뒤 계량대(100)의 통공(120) 내측 상부면과 충격봉(510)의 플랜지(511) 사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스프링(512)은 충격봉(510)이 사용되지 않을 때 계량대(100)의 통공(120)으로 돌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된다.
승강부(520)는 상기 충격봉(510)을 계량대(100)의 상부로 승강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기 계량대(100)의 측면에 형성된 절개홈(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브래킷(521), 상기 브래킷(521)에 설치되는 회전축(522) 및 상기 회전축(52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레버(523)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작동레버(523)는 계량대(100)의 외부로 좌측 단부가 노출되고, 상기 충격봉(510) 하단부의 플랜지(511) 하부면에 우측 단부가 위치된다. 이러한 작동레버(523)는 계량대(100)의 외부로 노출된 좌측 단부에 발판(524)이 더 부착될 수 있고, 상기 발판(524)은 작동레버(523)를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부착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축용 체위측정장치(1)의 사용을 다음과 같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가축용 체위측정장치(1)의 계량대(100)에는 충격수단(50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충격수단(500)의 충격봉(510) 은 평상시에는 계량대(100)의 통공(120) 내부에 삽입되어 있게 된다.
즉, 충격봉(510)은 자중과 스프링(512)의 탄성에 의해 계량대(100)의 통공(120) 내부에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충격봉(510)을 작동시키는 작동레버(523)는 상기 충격봉(510)의 자중과 스프링(512)의 탄성에 의해 회전축(522)을 중심으로 우측 단부가 하강되고, 좌측 단부는 상승된다.
이와 같이 충격수단(500)은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계량대(1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돼지가 체위측정장치(1)의 내부와 외부로 이동하는데에도 어떠한 지장도 주지 않는다.
그러나 돼지가 체위측정을 기다리거나 체위측정 중 체위측정장치(1) 내부에서 누우면, 체위측정장치(1)에 구비된 충격수단(500)을 작동시켜 돼지가 일어서게 한다.
충격수단(500)의 작동법은 계량대(100)의 절개홈(110) 외부로 돌출된 작동레버(523)의 발판(524)을 밟는다. 발판(524)을 밟으면 작동레버(523)는 좌측 단부가 회전축(522)을 중심으로 하강되고, 우측 단부는 회전축(522)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승된다. 이때, 충격봉(510)은 하부의 플랜지(511)가 작동레버(523)의 우측 단부에 접해 있으므로 상기 작동레버(523)의 우측 단부에 밀려 계량대(100)의 통공(120) 상부로 돌출된다.
통공(120) 외부로 돌출된 충격봉(510)은 돼지의 복부에 충격을 가하게 되고, 상기 충격봉(510)을 통해 복부에 충격을 받은 돼지는 상기 충격봉(510)을 피해 일어서게 된다. 이후 상기 작동레버(523)의 발판(524)에서 발을 내려놓으면 상기 충 격봉(510)은 자중과 스프링(512)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 전 위치인 계량대(100)의 통공(120)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충격봉(510)을 사용하여 충격을 가해도 돼지가 일어서지 않는 경우에는 2회 내지 3회 정도 반복해서 돼지에게 충격을 가해 돼지가 일어서게 한다. 이때, 상기 충격봉(510)은 상단부(513)가 원형으로 가공되어 있으므로 돼지에게 외상을 입히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충격수단(500)은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스프링(512)에 의해 통공(120)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차단되고, 이로 인해 충격봉(510)이 무분별하게 돌출되거나 돌출된 뒤 다시 통공(120)으로 삽입되지 않아 돼지의 이동에 지장을 주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돼지에 국한되어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소를 포함한 모든 가축용 체위측정장치에 사용 가능한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과 수정이 가능한 것을 의미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가축용 체위측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축용 체위측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가축용 체위측정장치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절단선 Ⅳ-Ⅳ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축용 체위측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체위측정장치 100: 계량대
200: 측면펜스 300: 게이트 도어
400: 상부펜스 500: 충격수단
510: 충격봉 511: 플랜지
512: 스프링 520: 승강부
521: 브래킷 522: 회전축
523: 작동레버 524: 발판

Claims (5)

  1. 가축의 무게를 측정하는 계량대와 가축이 몸부림치거나 탈출하는 것을 차단하는 펜스가 포함되는 가축용 체위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량대에는 가축에게 충격을 가하는 충격수단: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체위측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수단은,
    상기 계량대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필요시에만 상면으로 돌출되는 충격봉과, 상기 충격봉을 승강시키는 승강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체위측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봉은,
    상기 계량대로부터 수직으로 승/하강 되는 원통형상의 봉이며, 상단부가 원형으로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체위측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봉에는,
    상기 계량대의 내부 상면과 충격봉의 플랜지 사이에 스프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체위측정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계량대의 측면에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일측은 상기 계량대의 외부로 돌출되며, 타측은 상기 충격봉의 하부면에 접촉되는 작동레버가 포함되며, 상기 작동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기 충격봉이 승/하강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체위측정장치.
KR1020070125781A 2007-12-05 2007-12-05 가축용 체위측정장치 KR100949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781A KR100949306B1 (ko) 2007-12-05 2007-12-05 가축용 체위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781A KR100949306B1 (ko) 2007-12-05 2007-12-05 가축용 체위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964A KR20090058964A (ko) 2009-06-10
KR100949306B1 true KR100949306B1 (ko) 2010-03-23

Family

ID=40989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5781A KR100949306B1 (ko) 2007-12-05 2007-12-05 가축용 체위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93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45259A (zh) * 2010-10-14 2012-05-09 廖明忠 一种重量测量方法和装置
JP2017201130A (ja) * 2017-08-21 2017-11-09 三協立山株式会社 サッ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91634B (zh) * 2014-04-08 2016-06-29 广东省现代农业装备研究所 种鸡测定设备
CN108593070A (zh) * 2018-07-05 2018-09-28 北京市农林科学院 一种家禽自动称重装置
CN112616693B (zh) * 2020-11-25 2022-06-21 云南农业大学 一种医用近交系猪限越养殖栏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3328U (ko) 1987-05-30 1988-12-13
KR100257455B1 (en) 1998-05-19 2000-06-01 Rep Korea Nat Vet & Quarantine A movable type exterior rest of breeding pig
KR200390080Y1 (ko) 2005-05-03 2005-07-18 울산광역시(관리부서 농업기술센터) 가축 보정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3328U (ko) 1987-05-30 1988-12-13
KR100257455B1 (en) 1998-05-19 2000-06-01 Rep Korea Nat Vet & Quarantine A movable type exterior rest of breeding pig
KR200390080Y1 (ko) 2005-05-03 2005-07-18 울산광역시(관리부서 농업기술센터) 가축 보정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45259A (zh) * 2010-10-14 2012-05-09 廖明忠 一种重量测量方法和装置
JP2017201130A (ja) * 2017-08-21 2017-11-09 三協立山株式会社 サッ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964A (ko) 200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306B1 (ko) 가축용 체위측정장치
US10863727B2 (en) Method for automatic sea lice monitoring in salmon aquaculture
US4748719A (en) Stunning of animals
DK177933B1 (en) Sow chute and hoist
EP3060320B1 (de) Übungsgerät, insbesondere für den klettersport
KR200470418Y1 (ko) 비육돈 자동 선별기
CN104886218B (zh) 解剖架
WO2007112487A1 (en) Livestock handling device
JP6471384B2 (ja) 野生動物捕獲装置
JP6813583B2 (ja) 生きている鳥をハンドリングし、等級付けし、ワクチン接種するための方法、デバイスおよびシステム
CA1245861A (en) Animal trap
US20080202444A1 (en) Method and system for weighing confined livestock, such as penned pigs
CA3081730A1 (en) Livestock handling apparatus
EP1695617A1 (en) An animal handling apparatus
RU2523501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ой ускоренной фиксации идентифицированных коров
KR101992426B1 (ko) 선별부를 구비한 축산용 저울
US1487935A (en) Apparatus for slaughtering cattle
CN109717094B (zh) 一种仔猪种优选用体重测定装置
KR20130125451A (ko) 무게측정기를 구비한 사료섭취량 조사장치용 사료조
KR20140006615A (ko) 축산용 조립식 저울
DE60317075T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messung der muskelkraft
CN207544173U (zh) 一种可计量捕鼠装置
CN207356147U (zh) 一种兽医专用检查装置
CN216627021U (zh) 限位笼体及长颈鹿理疗笼舍
GB2443078A (en) Animal handling c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