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8340B1 - 휴대용 지압 안마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지압 안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8340B1
KR100948340B1 KR1020080012137A KR20080012137A KR100948340B1 KR 100948340 B1 KR100948340 B1 KR 100948340B1 KR 1020080012137 A KR1020080012137 A KR 1020080012137A KR 20080012137 A KR20080012137 A KR 20080012137A KR 100948340 B1 KR100948340 B1 KR 100948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iprocating
drive motor
acupressure
switching means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2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6706A (ko
Inventor
이상암
Original Assignee
(주)두원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두원아이티 filed Critical (주)두원아이티
Priority to KR1020080012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8340B1/ko
Publication of KR20090086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6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8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8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5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73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 A61H2201/018By limiting the applied torque or for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81Special movement conversion means
    • A61H2201/149Special movement conversion means rotation-linear or vice vers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지압 안마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동모터의 구동 시 지압돌기를 출몰시켜 지압 및 안마되게 하는 동시에 구동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고, 조립 및 분해를 단순화하여 세척이 용이하도록 한 휴대용 지압 안마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지압 안마기는, 만곡면의 전면에 다수개의 출몰공(14)이 형성된 손잡이 케이스(10)와; 손잡이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설정된 프로그램이 입력되는 콘트롤부(20)와; 손잡이 케이스(10) 내에 내장되어 콘트롤부(20)의 신호를 받아 구동하는 구동모터(30)와; 구동모터(3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 주는 전환수단(40)과; 상기 손잡이 케이스(10)의 출몰공(14)에 위치하도록 외면에 다수개의 지압돌기(51)가 돌출되어 전환수단(40)의 가압력에 의하여 전방으로 전진하면서 지압하는 지압판(50)과; 손잡이 케이스(10)와 지압판(50) 사이에 탄력있게 설치되어 전환수단(40)의 가압력 해제시 전환수단(40)과 지압판(50)을 후방으로 후퇴시켜 원상복귀시키는 탄력부재(60); 로 구성한다.
손잡이 케이스, 콘트롤부, 구동모터, 전환수단, 웜기어, 진동부, 베어링, 포토센서, 제1,2포토센서, 왕복부재, 왕복본체, 제어판, 가압부, 완충부재, 지압판, 지압돌기, 탄력부재

Description

휴대용 지압 안마기{Potable Finger-Pressure Massager}
본 발명은 휴대용 지압 안마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동모터의 구동 시 지압돌기를 출몰시켜 지압 및 안마되게 하는 동시에 구동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고, 조립 및 분해를 단순화하여 세척이 용이하도록 한 휴대용 지압 안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방이나 수기계 치료(手技系治療: 침, 뜸, 안마 등) 때에 활용하는 피부나 근육에 나타나는 중요한 반응점(경혈) 및 이 반응점을 연결한 경로를 경혈경락(經穴經絡)이라고 한다.
경혈이나 경락을 실제로 응용하는 경우에 단지 경혈을 자로 재면서 찾아내는 것이 아니라 병과 관계가 있는 경락을 잘 문질러 그 경락 위에 특히 통증이나 패인 곳, 결림, 응어리, 냉증, 달아오름, 작은 점이나 피부진(皮膚疹) 등이 생긴 곳을 대상으로 하여 수기계 치료를 한다.
또한 경혈과 경락은 누구에게나 똑같이 규칙적으로 몸의 표면이나 근육에 경 혈이 배열되는 것은 아니다. 가정에서의 뜸치료나 지압요법에 응용하기 위해서는 경락에 따라 가볍게 문지르고 누르면 특히 아픔을 느끼거나, 결리는 곳이 반드시 있을 것이다. 그 부분이 바로 경혈이 있는 곳과 일치한다.
이러한, 경락에 따라 손이나 특수한 기구로 몸을 쓸거나, 주무르거나, 누르거나, 잡아당기거나, 두드리거나, 움직이거나 하여 경혈을 풀어줌에 따라 혈액순환을 돕고, 피로가 풀리게 하는 것을 안마(按摩)라고 하며, 근육, 관절, 내장의 변조를 조정하여 그 기능을 높이며, 신경의 흥분을 가라앉히는 수기요법(手技療法)으로, 의료 보조요법의 하나이기도 하다.
상기와 같은 안마는 불면, 두통, 고혈압, 혈액과 체액의 순환장애, 근육과 관절의 물리적 기능 이상, 각종 신경통과 교감신경의 실조, 그리고 소화기, 비뇨기 등의 기능장애 회복에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경락, 경혈을 자극하여 혈액순환을 도와 건강을 유지하는 방법인 지압과 안마는 물리치료의 일환으로 기능을 가진 시술자에게 시술을 받는 것이 합당하나, 시술비가 비싸고 일정한 시간과 장소에서 시술됨으로써, 장소와 시간에 제약을 받아 사용자가 항시 시술 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돌출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안마돌기를 인력이나 전동 등의 동력장치를 통하여 진동으로 두들겨 주는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스스로 뭉친 근육부위에 접촉하여 풀어주는 안마기가 개발되어 왔다.
그 중에서 본 발명의 안마기와 관련된 것 중에서 등록실용신안 제20-396484호와 제20-389871호가 선출원 된 안마기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전자(등록실용신안 제20-396484호)의 안마기는, 내부에 전원에 의하여 동작하도록 모터가 내장되는 안마기 진동부와, 다수개의 안마돌기가 돌출된 진동캡과, 진동부와 진동캡 사이에 위치하도록 진동부에 설치되는 자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안마기는 전원을 공급하면 진동부에 내장된 모터가 구동하여 진동부를 일정한 강도로 부들부들 진동되게 하고, 그 진동은 진동캡에 전달되어 진동캡에 설치된 안마돌기가 진동하면서 안마부위에 안마를 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자석은 발생되는 자력선을 이용하여 혈액순환을 도와 주는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안마기는 첫째, 진동부내에 모타가 내장되어 진동을 발생하도록 되어 있어 구동시 진동부 자체가 전체적으로 진동을 발생하게 되므로 사용시 진동에 의한 안마기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신도 모르게 손에 힘이 들어가 체력이 소모되어 장시간 사용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고, 둘째, 진동을 발생시키는 기술적 구성이 명확히 도시되지 않아 미완성 발명에 해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후자(등록실용신안 제20-389871호)의 안마기는, 타원 구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과 진동에 의해 안마와 지압을 수행하는 지압안마부와; 상기 지압안마부와 동축선상으로 조립하여 회전 및 진동시키도록 회전모터 및 진동모터로 구성되는 회전진동부와; 상기 회전진동부를 내부에 수납하여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손잡이부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안마기는 손잡이부에 설치된 스위치의 작동에 의하여 회전진동부가 구동하여 회전 및 진동을 발생시켜 지압안마부에 전달되게 함으로써 안마와 지압이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회전진동부의 구동은 실현 불가능한 미완성 발명에 해당되는 것으로, 즉 회전모터의 축은 회전모터와 일체형으로 조립되어 있어 지압안마부를 회전시킬 수가 있겠으나 진동모터는 회전모터의 축을 어떻게 진동을 가하는지의 기술적 구성이 불분명하며, 더욱이 진동모터의 진동시 회전모터와 일체형으로 조립된 축이 어떻게 축방향으로 전,후진할 수 있는지 알 수 없어 안마기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구동모터의 구동 시 지압돌기를 출몰시켜 지압 및 안마되게 하는 동시에 구동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고, 조립 및 분해를 단순화하여 세척이 용이하게 하고자 휴대용 지압 안마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용 지압 안마기는, 만곡면의 전면에 다수개의 출몰공이 형성된 손잡이 케이스와; 손잡이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설정된 프로그램이 입력되는 콘트롤부와; 손잡이 케이스 내에 내장되어 콘트롤부의 신호를 받아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 시켜 주는 전환수단과; 상기 손잡이 케이스의 출몰공에 위치하도록 외면에 다수개의 지압돌기가 돌출되어 전환수단의 가압력에 의하여 전방으로 전진하면서 지압하는 지압판과; 손잡이 케이스와 지압판 사이에 탄력있게 설치되어 전환수단의 가압력 해제시 전환수단과 지압판을 후방으로 후퇴시켜 원상복귀시키는 탄력부재; 로 구성한 것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특징이다.
상기 손잡이 케이스는 콘트롤부, 구동모터, 전환수단을 내장하는 케이스몸체와, 출몰공으로 지압돌기가 출몰하는 지압판의 외주면을 안내하는 동시에 지압판의 조립 및 분리되도록 케이스몸체에 나사조립되는 분리방지캡으로 구성한다.
상기 전환수단은, 구동모터의 축과 동축선상으로 연결되는 웜기어와; 구동모터를 고정설치하도록 케이스몸체 내에 일체로 조립하는 지지판과; 상기 웜기어와 평행되게 케이스몸체와 지지판 사이의 하부에 연결하는 안내봉과; 케이스몸체와 지지판 사이에 위치하도록 케이스몸체의 양측에 각각 고정설치되어 콘트롤부에 그 신호를 보내어 구동모터를 정,역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1,2포토센서와; 왕복본체와, 왕복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웜기어와 맞물려서 웜기어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전,후진되는 웜구멍과, 왕복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안내봉에 끼워져서 전,후 왕복운동시 유동되지 않도록 안내하는 안내구멍과, 왕복본체의 측방에 돌출시켜 전,후 이동의 제어와 구동모터의 회전방향을 전환시키는 동시에 전원의 오프시 초기상태로 전환되도록 제1,2포토센서를 각각 작동시켜 콘트롤부에 신호를 보내도록 유도하는 제어판과, 전방에는 일체로 조립되어 케이스몸체의 전방 중심부로 출몰하도록 돌출되어 지압판을 밀어주는 가압부로 구성된 왕복부재; 로 구성한 것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전환수단은, 구동모터의 축에 고정단이 일체로 조립되고 자유단에 베어링이 일체로 조립되어 원호 궤적을 그리면서 회전하는 진동부와; 케이스몸체 내에 일체로 조립하는 지지판과; 케이스몸체와 지지판 사이의 상,하부에 상호 평행되게 연결하는 상,하부 안내봉과; 케이스몸체와 지지판 사이에 위치하도록 케이스몸체의 후방에 고정설치되어 콘트롤부에 그 신호를 보내어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포토센서와; 왕복본체와, 상기 상,하부 안내봉에 각각 슬라이딩되게 조립되도록 왕복본체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상,하부 안내구멍과, 왕복본체의 측방에 돌출시켜 전원의 오프시 초기상태로 전환되도록 포토센서를 각각 작동시켜 콘트롤부에 신호를 보내도록 유도하는 제어판과, 왕복본체의 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하여 원호 궤적을 그리는 진동부의 베어링에 의하여 전방으로 밀리도록 하는 마찰편과, 전방에는 일체로 조립되어 케이스몸체의 전방 중심부로 출몰하도록 돌출되어 지압판을 밀어주는 가압부로 구성된 왕복부재; 로 구성한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이다.
상기 가압부에는 왕복부재의 전진시 구동모터에 과부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과부하방지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과부하방지수단은, 왕복본체의 중앙부에 축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조립홈과, 상기 조립홈에 끼워져서 일체로 조립되도록 걸림턱이 형성되는 동시에 과부하 방지를 위한 완충거리의 확보를 위하여 후방에 다수개의 완충발이 형성된 가압구와, 왕복본체와 가압구 사이에 설치하여 왕복본체의 전진시 탄력있게 탄성한계점까지 압축되어 가압구를 밀어 주도록 하는 동시에 구동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는 완충부재로 구성한다.
상기 완충부재는 탄력부재의 스프링계수보다 크게 설정하여 구동모터의 구동시 탄력부재가 먼저 압축된 뒤 설정된 스프링계수의 임계점에 도달하게 되면 완충부재가 탄력있게 압축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구동모터의 구동 시 지압돌기를 출몰시켜 지압 및 안마되게 하는 동시에 구동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고, 조립 및 분해를 단순화하여 세척이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휴대용 지압 안마기에 대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용 지압 안마기의 구조를 나타낸 동작 전(후퇴)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요부 발췌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동작시 지압판의 전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요부 발췌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휴대용 지압 안마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동작 전), 도 8은 도 7의 요부 발췌 평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동작 시 지압판의 전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요부 발췌 평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 휴대용 지압기의 좌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지압 안마기는 도 1 내지 도 10와 같이, 손잡이 케이스(10), 콘트롤부(20), 구동모터(30), 전환수단(40), 지압판(50), 탄력부재(60)로 구성한다.
상기 손잡이 케이스(10)는 콘트롤부(20), 구동모터(30), 전환수단(40)을 내장하는 케이스몸체(10a)와, 출몰공(14)으로 지압돌기(51)가 출몰하는 지압판(50)의 외주면을 안내하는 동시에 지압판(50)의 조립 및 분리되도록 케이스몸체(10a)에 나사조립되는 분리방지캡(10b)으로 구성한다.
상기 케이스몸체(10a)는 도면에서는 직선형의 원통으로 형성하였으나 별도의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ㄱ"자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대략 중간부에 콘트롤부(20)가 고정설치되도록 하여 후방에는 밧테리의 삽입공간(11)을 형성하여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전원선을 연결하여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잭(12)이 설치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콘트롤부(20)에 전원의 공급 및 차단 또는 지압의 세기를 조절하는 스위치부(13)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분리방지캡(10b)은 도 11과 같이 만곡면의 전면에 다수개의 출몰공(14)이 형성되어 지압판(50)의 지압돌기(51)가 출몰하도록 한다.
상기 콘트롤부(20)는 케이스몸체(10a)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원의 공급시 설정된 프로그램이 작동하여 구동모터(30)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30)는 케이스몸체(10a) 내에 내장되어 콘트롤부(20)의 신호를 받아 구동하며, 구동모터(30)의 회전속도는 콘트롤부(20)와 스위치부(13)의 조작에 의하여 지압 및 안마 횟수를 조절한다.
상기 전환수단(40)은 구동모터(3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 기능을 한다.
상기 전환수단(40)의 일실시 예로써 도 1 내지 도 6과 같이, 구동모터(30)의 축과 동축선상으로 연결되는 웜기어(41)와; 구동모터(30)를 고정설치하도록 케이스몸체(10a) 내에 일체로 조립하는 지지판(42)과; 상기 웜기어(41)와 평행되게 케이스몸체(10a)와 지지판(42) 사이의 하부에 연결하는 안내봉(43)과; 케이스몸체(10a)와 지지판(42) 사이에 위치하도록 케이스몸체(10a)의 양측에 각각 고정설치되어 콘트롤부(20)에 그 신호를 보내어 구동모터(30)를 정,역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1,2포토센서(44a)(44b)와; 왕복본체(451)와, 왕복본체(451)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웜기어(41)와 맞물려서 웜기어(41)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전,후진되는 웜구멍(452)과, 왕복본체(451)의 하부에 형성되어 안내봉(43)에 끼워져서 전,후 왕복운동시 유동되지 않도록 안내하는 안내구멍(453)과, 왕복본체(451)의 측방에 돌출시켜 전,후 이동의 제어와 구동모터(30)의 회전방향을 전환시키는 동시에 전원의 오프시 초기상태로 전환되도록 제1,2포토센서(44a)(44b)를 각각 작동시켜 콘트롤부(20)에 신호를 보내도록 유도하는 제어판(454)과, 전방에는 일체로 조립되어 케이스몸체(10a)의 전방 중심부로 출몰하도록 돌출되어 지압판(50)을 밀어주는 가압부(455)로 구성된 왕복부재(45); 로 구성한다.
상기 웜기어(41)의 회전 시 요동되지 않고 직선방향으로 안내되도록 자유단 을 잡아주는 지지대(421)를 지지판(42)에 일체로 고정설치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전환수단(40)은 도 5 내지 도 10과 같이, 구동모터(30)의 축에 고정단이 일체로 조립되고 자유단에 베어링(411´)이 일체로 조립되어 원호 궤적을 그리면서 회전하는 진동부(41´)와; 케이스몸체(10a) 내에 일체로 조립하는 지지판(42)과; 케이스몸체(10a)와 지지판(42) 사이의 상,하부에 상호 평행되게 연결하는 상,하부 안내봉(43a)(43b)과; 케이스몸체(10a)와 지지판(42) 사이에 위치하도록 케이스몸체(10a)의 후방에 고정설치되어 콘트롤부(20)에 그 신호를 보내어 구동모터(30)의 구동을 제어하는 포토센서(44)와; 왕복본체(451)와, 상기 상,하부 안내봉(43a)(43b)에 각각 슬라이딩되게 조립되도록 왕복본체(451)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상,하부 안내구멍(453a)(453b)과, 왕복본체(451)의 측방에 돌출시켜 전원의 오프 시 초기상태로 전환되도록 포토센서(44)를 각각 작동시켜 콘트롤부(20)에 신호를 보내도록 유도하는 제어판(454)과, 왕복본체(451)의 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하여 원호 궤적을 그리는 진동부(41´)의 베어링(411´)에 의하여 전방으로 밀리도록 하는 마찰편(456)과, 전방에는 일체로 조립되어 케이스몸체(10a)의 전방 중심부로 출몰하도록 돌출되어 지압판(50)을 밀어주는 가압부(455)로 구성된 왕복부재(45); 으로 구성한다.
상기 가압부(455)에는 왕복부재(45)의 전진시 구동모터(30)에 과부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과부하방지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과부하방지수단은, 왕복본체(451)의 중앙부에 축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조립홈(451a)과, 상기 조립홈(451a)에 끼워져서 일체로 조립되도 록 걸림턱(455c)이 형성되는 동시에 과부하 방지를 위한 완충거리의 확보를 위하여 후방에 다수개의 완충발(455b)이 형성된 가압구(455a)와, 왕복본체(451)와 가압구(455a) 사이에 설치하여 왕복본체(451)의 전진시 탄력있게 탄성한계점까지 압축되어 가압구(455a)를 밀어 주도록 하는 동시에 구동모터(30)의 과부하를 방지하는 완충부재(455d)로 구성한다.
상기 지압판(50)은 고무재로써상기 곡선형의 외면에 형성된 분리방지캡(10b)의 출몰공(14)으로 출몰하도록 다수개의 지압돌기(51)가 돌출되어 전환수단(40)의 가압력에 의하여 전방으로 전진하면서 지압한다.
상기 지압판(50)은 분리방지캡(10b)을 케이스몸체(10a)으로 부터 분리시 함께 분리되어 지압돌기(51)의 세척이 용이하도록 하여 항상 청결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또한 분리방지캡(10b)의 분리 시 탄력부재(60)도 동시에 분리되나 세척 후 간단하게 조립될 수가 있다.
상기 탄력부재(60)는 손잡이 케이스(10)와 지압판(50) 사이에 탄력있게 설치되어 전환수단(40)의 가압력 해제시 전환수단(40)과 지압판(50)을 후방으로 후퇴시켜 원상복귀시키도록 한다.
상기 탄력부재(60)와 완충부재(455d)는 본 발명에서는 코일스프링으로 사용하였으나 이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진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탄력부재(60)는 완충부재(455d)의 스프링계수보다 작게 설정하여 구동모터(30)의 구동시 탄력부재(60)를 먼저 압축시킨 뒤 설정된 스프링계수의 임계점 에 도달하게 되면 완충부재(455d)가 탄력있게 압축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인 도 1 내지 도 6의 휴대용 지압 안마기는, 본 발명의 안마기는 스위치부(13)를 오프시키게 되면 왕복부재(45)는 후방의 제2포토센서(44b)로 이동되어 있다. 즉, 콘트롤부(20)에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전원의 오프 시 왕복부재(45)가 어느 위치에 있던지 후방의 제2포토센서(44b)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왕복부재(45)의 위치감지는 스위치부(13)의 오프 시에 제2포토센서(44b)에 왕복부재(45)의 제어판(454)이 위치되어 있지 않으면 콘트롤부(20)는 이를 감지하여 프로그램에 따라서 구동모터(30)를 구동시켜 제어판(454)이 제2포토센서(44b)로 이동시키도록 하므로써 안마기의 작동을 위한 초기상태로 항상 전환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도 1 및 도 2의 초기상태에서 스위치부(13)의 조작에 의하여 전원이 공급되면 콘트롤부(20)가 그 전기적 신호를 받아서 구동모터(30)를 구동하게 된다.
이때, 제2포토센서(44b)에 왕복부재(45)의 제어판(454)이 위치되어 있음을 콘트롤부(20)가 감지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콘트롤부(20)는 구동모터(30)를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웜기어(41)를 회전시키게 되며, 웜기어(41)는 회전만 할 뿐 전,후진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어 결국 이와 맞물려 있는 웜구멍(452)이 전진하여야 되는 데, 웜구멍(452)은 왕복부재(45)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국 왕복부재(45)가 전진할 수밖에 없는 것이고, 왕복부재(45)는 웜기어(41)와 안내봉(43)에 웜구멍(452)과 안내구멍(453)이 끼워져 있어 그 웜기어(41)와 안내봉(43)의 안내를 받아 직선방향으 로 슬라이딩하면서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왕복부재(45)의 전방에 설치된 가압부(455)가 전진하면서 지압판(50)을 밀어주게 되므로 지압판(50)의 지압돌기(51)는 분리방지캡(10b)의 출몰공(14)의 안내를 받아 돌출되어 안마를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도 3 및 도 4 상태)
이때, 왕복부재(45)의 전진시 가압부(455)가 직접적으로 지압판(50)을 밀어서 지압을 하게 되는 데, 지압돌기(51)는 지압을 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지압판(50)은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고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때 구동모터(30)는 역회전하기 전까지는 계속적으로 작동하여 웜기어(41)를 회전시켜 왕복부재(45)를 전진시킬려고 하게 되므로 결국 대응되는 반력이 구동모터(30)에 전달하여 구동모터에 과부하가 발생하게 되어 고장이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반력을 완충시키면서 자연스럽게 구동모터(30)의 과부하를 흡수하도록 가압부(455)의 과부하방지수단이 동작하게 된다.
즉, 왕복부재(45)의 전진 시 가압부(455)는 동시에 전진하게 되므로 탄력부재(60)를 먼저 압축하게 되며, 이 탄력부재(60)의 탄력은 완충부재(455d)의 탄력(스프링계수)보다 약하기 때문에 탄력부재(60)의 압축으로 지압판(50)이 상술한 바와 같이 전진하게 지압을 하게 되는 것이며, 탄력부재(60)의 압축으로 지압판(50)이 전진한 상태에서는 더 이상 이동할 수 없게 분리방지캡(10b)이 저지하게 되고, 계속적으로 전진하는 가압부(455)는 지압판(50)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여 지압판(50)과 더불어 정지되어 있으나 구동모터(30)의 구동에 의하여 왕복부재(45)는 계속적으로 전진하게 되므로 결국 가압부(455)의 정지력과 왕복부재(45)의 이동력을 완충부재(455d)가 흡수하여 압축하게 되어 구동모터(30)의 자연스런 구동과 웜기어(452)의 회전을 도모할 수가 있으며, 이로인해 구동모터(30)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계속적으로 전진하는 왕복부재(45)의 제어판(454)이 전방의 제1포토센서(44a)에 도달하게 되면 제1포토센서(44a)의 신호를 콘트롤부(20)가 감지하여 구동모터(30)의 정회전을 정지시키고, 이와 동시에 구동모터(3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구동모터(30)의 역회전으로 웜기어(41)도 역회전하게 되므로 왕복부재(45)는 웜기어(41)와 안내봉(43)의 안내를 받아 후진하게 되며, 이때 압축되어 있던 탄력부재(60)와 완충부재(455d)의 탄발력이 작용하여 지압판(50)과 가압부(455)를 원상복귀시켜 주게 된다.
즉, 가압부(455)는 왕복부재(45)의 후진 시 먼저 탄력이 강한 완충부재(455d)의 탄발력이 먼저 작용하여 왕복부재(45)의 점차적인 이동량만큼 지압판(50)을 밀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후퇴되므로 가압부(455)는 왕복부재(45)와 더불어 같이 원상복귀하여 신장하게 되고, 이때 가압부(455)의 가압구(455a)에 연장된 완충발(455b)의 걸림턱(455c)이 왕복본체(451)의 조립홈(451a)에 걸려서 더 이상의 신장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부터는 완충부재(455d)의 탄력이 지압판(50)에는 전달되지 않게 되어 압축되어 있던 탄력부재(60)의 탄력이 작용하여 지압판(50)을 후퇴시켜 원상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왕복부재(45)의 후퇴로 제어판(454)이 제2포토센서(44b)에 도달하게 되면 콘트롤부(20)가 다시 그 신호를 감지하여 구동모터(30)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키므로써 상술한 왕복운동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며, 이로 인해 지압돌기(51)가 출몰하면서 자연스럽게 진동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지압 및 안마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전환수단(40)을 도시한 것으로, 도1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과 작동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도 1에서는 구동모터(30)를 정,역방향으로 반복하여 구동시키도록 한 것에 비하여, 다른 실시 예인 도 는 구동모터(30)의 구동을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만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즉, 도 7의 전환수단(40)은 스위치부(13)를 오프시키게 되면 왕복부재(45)는 후방의 포토센서(44)로 이동되어 있다. 즉, 콘트롤부(20)에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전원의 오프 시 왕복부재(45)가 어느 위치에 있던지 포토센서(44)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왕복부재(45)의 위치감지는 스위치부(13)의 오프 시에 포토센서(44)에 왕복부재(45)의 제어판(454)이 위치되어 있지 않으면 콘트롤부(20)는 이를 감지하여 프로그램에 따라서 구동모터(30)를 구동시켜 제어판(454)이 포토센서(44)로 이동시키도록 하므로써 안마기의 작동을 위한 초기상태로 항상 전환시키게 된다.
이때, 왕복부재(45)는 탄력부재(60) 및 완충부재(455d)의 탄력에 의하여 후방으로 후퇴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진동부(41´)의 자유단에 설치되어 원호 궤적을 그리면서 회전하게 되는 베어링(411´)은 구동모터(30)의 축을 중심으로 후방 및 상,하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왕복부재(45)의 마찰편(456)과는 접촉을 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초기상태에서 스위치부(13)의 조작에 의하여 전원이 공급되면 콘트롤부(20)가 그 전기적 신호를 받아서 구동모터(30)를 구동하게 된다.
이때, 포토센서(44)에 왕복부재(45)의 제어판(454)이 위치되어 있음을 콘트롤부(20)가 감지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콘트롤부(20)는 구동모터(3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구동모터(30)의 회전으로 축에 고정설치된 진동부(41´)가 원호 궤적을 그리면서 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진동부(41´)의 베어링(411´)이 구동모터(30)의 축의 전방측 중심선상으로 점차적으로 각운동을 하게 되면 베어링(411´)이 왕복부재(45)의 마찰편(456)과 접촉을 하게 되는 데, 베어링(411´)은 회전을 하게 되므로 마찰편(456)과의 마찰력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며, 베어링(411´)은 마찰편(456)의 상부 → 중간부 → 하부 순으로 이동하면서 왕복부재(45)를 왕복시키게 된다.
즉, 베어링(411´)이 마찰편(456)의 상부에서 중간부를 거치는 동안에는 점차적으로 왕복부재(45)를 전방으로 밀어주게 되며, 중간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동안에는 베어링(411´)이 점차적으로 마찰편(456)으로 부터 벗어나는 단계이므로 왕복부재(45)는 후방으로 후퇴하게 된다.(도 9 및 도 10 상태)
따라서 왕복부재(45)의 최대 전진 이동거리는 베어링(411´)이 구동모터(30)의 축 중심선상에 위치할 때이므로 왕복부재(4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진하여 지 압판(50)을 밀어서 지압 및 안마를 행하게 되는 것이며, 왕복부재(45)의 후퇴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탄력부재(60)와 완충부재(455d)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동모터(30)는 계속적으로 일방향으로만 회전을 하게 되고, 구동모터(30)의 회전 시 진동부(41´)도 동시에 원호 궤적을 그리면서 회전을 하게 되므로 그 진동부(41´)에 의하여 왕복부재(45)가 전,후 왕복운동하면서 지압판(50)을 출몰시키게 되어 지압 및 안마를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용 지압 안마기의 구조를 나타낸 동작 전(후퇴)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요부 발췌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동작시 지압판의 전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요부 발췌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휴대용 지압 안마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동작 전),
도 8은 도 7의 요부 발췌 평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동작 시 지압판의 전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요부 발췌 평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 휴댕용 지압기의 좌측면도이다.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손잡이 케이스 10a;케이스몸체
10b;분리방지캡 20;콘트롤부
30;구동모터 40;전환수단
41;웜기어 41´;진동부
411´;베어링 42;지지판
43;안내봉 43a,43b;상,하부 안내봉
44;포토센서 44a,44b;제1,2포토센서
45;왕복부재 451;왕복본체
452;웜구멍 453;안내구멍
453,453b;상,하부 안내구멍 454;제어판
455;가압부 455a;가압구
455d;완충부재 456;마찰편
50;지압판 51;지압돌기
60;탄력부재

Claims (7)

  1. 만곡면의 전면에 다수개의 출몰공(14)이 형성된 손잡이 케이스(10)와; 손잡이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설정된 프로그램이 입력되는 콘트롤부(20)와; 손잡이 케이스(10) 내에 내장되어 콘트롤부(20)의 신호를 받아 구동하는 구동모터(30)와; 구동모터(3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 주는 전환수단(40)과; 상기 손잡이 케이스(10)의 출몰공(14)에 위치하도록 외면에 다수개의 지압돌기(51)가 돌출되어 전환수단(40)의 가압력에 의하여 전방으로 전진하면서 지압하는 지압판(50)과; 손잡이 케이스(10)와 지압판(50) 사이에 탄력있게 설치되어 전환수단(40)의 가압력 해제시 전환수단(40)과 지압판(50)을 후방으로 후퇴시켜 원상복귀시키는 탄력부재(60); 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지압 안마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케이스(10)는 콘트롤부(20), 구동모터(30), 전환수단(40)을 내장하는 케이스몸체(10a)와, 출몰공(14)으로 지압돌기(51)가 출몰하는 지압판(50)의 외주면을 안내하는 동시에 지압판(50)의 조립 및 분리되도록 케이스몸체(10a)에 나사조립되는 분리방지캡(10b)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지압 안마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환수단(40)은, 구동모터(30)의 축과 동축선상으로 연결되는 웜기어(41)와; 구동모터(30)를 고정설치하도록 케이스몸체(10a) 내에 일체로 조립하는 지지판(42)과; 상기 웜기어(41)와 평행되게 케이스몸체(10a)와 지지판(42) 사이의 하부에 연결하는 안내봉(43)과; 케이스몸체(10a)와 지지판(42) 사이에 위치하도록 케이스몸체(10a)의 양측에 각각 고정설치되어 콘트롤부(20)에 그 신호를 보내어 구동모터(30)를 정,역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1,2포토센서(44a)(44b)와; 왕복본체(451)와, 왕복본체(451)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웜기어(41)와 맞물려서 웜기어(41)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전,후진되는 웜구멍(452)과, 왕복본체(451)의 하부에 형성되어 안내봉(43)에 끼워져서 전,후 왕복운동시 유동되지 않도록 안내하는 안내구멍(453)과, 왕복본체(451)의 측방에 돌출시켜 전,후 이동의 제어와 구동모터(30)의 회전방향을 전환시키는 동시에 전원의 오프시 초기상태로 전환되도록 제1,2포토센서(44a)(44b)를 각각 작동시켜 콘트롤부(20)에 신호를 보내도록 유도하는 제어판(454)과, 전방에는 일체로 조립되어 케이스몸체(10a)의 전방 중심부로 출몰하도록 돌출되어 지압판(50)을 밀어주는 가압부(455)로 구성된 왕복부재(45); 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지압 안마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환수단(40)은, 구동모터(30)의 축에 고정단이 일체로 조립되고 자유단에 베어링(411´)이 일체로 조립되어 원호 궤적을 그리면서 회전하는 진동부(41´)와; 케이스몸체(10a) 내에 일체로 조립하는 지지판(42)과; 케이스몸체(10a)와 지지판(42) 사이의 상,하부에 상호 평행되게 연결하는 상,하부 안내봉(43a)(43b)과; 케이스몸체(10a)와 지지판(42) 사이에 위치하도록 케이스몸체(10a)의 후방에 고정설치되어 콘트롤부(20)에 그 신호를 보내어 구동모터(30)의 구동을 제어하는 포토센서(44)와; 왕복본체(451)와, 상기 상,하부 안내봉(43a)(43b)에 각각 슬라이딩되게 조립되도록 왕복본체(451)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상,하부 안내구멍(453a)(453b)과, 왕복본체(451)의 측방에 돌출시켜 전원의 오프 시 초기상태로 전환되도록 포토센서(44)를 각각 작동시켜 콘트롤부(20)에 신호를 보내도록 유도하는 제어판(454)과, 왕복본체(451)의 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하여 원호 궤적을 그리는 진동부(41´)의 베어링(411´)에 의하여 전방으로 밀리도록 하는 마찰편(456)과, 전방에는 일체로 조립되어 케이스몸체(10a)의 전방 중심부로 출몰하도록 돌출되어 지압판(50)을 밀어주는 가압부(455)로 구성된 왕복부재(45); 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지압 안마기.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455)에는 왕복부재(45)의 전진시 구동모터(30)에 과부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과부하방지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지압 안마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과부하방지수단은, 왕복본체(451)의 중앙부에 축방 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조립홈(451a)과, 상기 조립홈(451a)에 끼워져서 일체로 조립되도록 걸림턱(455c)이 형성되는 동시에 과부하 방지를 위한 완충거리의 확보를 위하여 후방에 다수개의 완충발(455b)이 형성된 가압구(455a)와, 왕복본체(451)와 가압구(455a) 사이에 설치하여 왕복본체(451)의 전진시 탄력있게 탄성한계점까지 압축되어 가압구(455a)를 밀어 주도록 하는 동시에 구동모터(30)의 과부하를 방지하는 완충부재(455d)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지압 안마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30)의 구동시 탄력부재(60)가 먼저 압축된 뒤 설정된 스프링계수의 임계점에 도달하게 되면 완충부재(455d)가 탄력있게 압축되도록 완충부재(455d)의 스프링계수를 탄력부재(60) 보다 크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지압 안마기.
KR1020080012137A 2008-02-11 2008-02-11 휴대용 지압 안마기 KR100948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137A KR100948340B1 (ko) 2008-02-11 2008-02-11 휴대용 지압 안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137A KR100948340B1 (ko) 2008-02-11 2008-02-11 휴대용 지압 안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6706A KR20090086706A (ko) 2009-08-14
KR100948340B1 true KR100948340B1 (ko) 2010-03-22

Family

ID=41205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2137A KR100948340B1 (ko) 2008-02-11 2008-02-11 휴대용 지압 안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834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092Y1 (ko) 1999-08-25 2000-02-15 여성진 안마기
KR200206372Y1 (ko) 1998-08-28 2000-12-01 우경원 마사지기
KR200238935Y1 (ko) 2001-04-02 2001-10-10 김귀옥 휴대용 안마기
JP2004121528A (ja) 2002-10-02 2004-04-22 Kawasaki Seiki Seisakusho:Kk マッサージ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372Y1 (ko) 1998-08-28 2000-12-01 우경원 마사지기
KR200170092Y1 (ko) 1999-08-25 2000-02-15 여성진 안마기
KR200238935Y1 (ko) 2001-04-02 2001-10-10 김귀옥 휴대용 안마기
JP2004121528A (ja) 2002-10-02 2004-04-22 Kawasaki Seiki Seisakusho:Kk マッサージ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6706A (ko) 2009-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1260B2 (en) Leg massage device
KR101267052B1 (ko) 의자형 안마기
JP3088296U (ja) マッサージ装置
KR101675762B1 (ko) 큐브형 척추 교정용 마사지기
KR100769483B1 (ko) 휴대용 전동식 머리 안마기
KR101345771B1 (ko) 단일 구동부로 넓은 면적의 안마가 가능한 안마장치
KR101825676B1 (ko) 지압과 두드림이 가능한 마사지 장치
KR101334396B1 (ko) 안마기의 가변 지압볼
KR20050041787A (ko) 다리 마사지기
KR101871592B1 (ko) 확장모듈이 장착되는 마사지기
KR100948340B1 (ko) 휴대용 지압 안마기
KR100787926B1 (ko) 휴대용 안마기
KR101034549B1 (ko) 마이컴에 의해 구동되는 수축-돌출 지압봉을 갖는 복부 다이어트 기구
KR20230000466U (ko) 마사지용 매트
CN210447573U (zh) 一种肌肉筋膜放松器械
US20030045817A1 (en) Leg massage and exercise device
KR200195614Y1 (ko) 안마기
JP5383176B2 (ja) マッサージユニット及びこれを具えた椅子型マッサージ機
KR100948339B1 (ko) 휴대용 지압 안마기
KR200257853Y1 (ko) 다리 마사지장치
KR200409075Y1 (ko) 마사지 장치
CN204016844U (zh) 一种足部按摩仪
KR200256720Y1 (ko) 다리 운동구가 구비된 마사지 장치
KR102638619B1 (ko) 진동형 발 마사지 장치
KR200376020Y1 (ko) 지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