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8335B1 - 자가발전이 가능한 이동기구 - Google Patents

자가발전이 가능한 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8335B1
KR100948335B1 KR1020090053843A KR20090053843A KR100948335B1 KR 100948335 B1 KR100948335 B1 KR 100948335B1 KR 1020090053843 A KR1020090053843 A KR 1020090053843A KR 20090053843 A KR20090053843 A KR 20090053843A KR 100948335 B1 KR100948335 B1 KR 100948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kes
fixing bracket
coupled
pow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3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섭
Original Assignee
김진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섭 filed Critical 김진섭
Priority to KR1020090053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83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8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8335B1/ko
Priority to PCT/KR2010/003729 priority patent/WO2010147333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6Arrangement of lighting dynamos or drives therefor
    • B62J6/12Dynamos arranged in the wheel hub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0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on vehicles not being driven by a motor, e.g. bicy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21/14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within the armatures
    • H02K21/145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within the armatures having an annular armature coi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 H02K7/1846Rotary generato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wheels or associated parts

Abstract

본 발명은 자가발전이 가능한 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바퀴살을 가지는 타이어 휠과, 상기 바퀴살과 연결되는 허브와, 상기 타이어 휠의 회전에 무관하게 고정되며 상기 허브가 결합되는 고정축을 가지는 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바퀴살이 회전함에 따라 동시에 회전하도록 상기 바퀴살에 일부분이 걸쳐짐으로써 바퀴살의 회전에 따른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수단; 상기 발전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전력이 충전되는 충전부; 및 상기 충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력 소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이동기구에 의하면, 발전수단과 충전부를 구비함으로써, 이동기구의 운전에 따라 자체적으로 전력 발생이 가능하며, 이동기구를 이동시키기만 한다면 반영구적으로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자가발전, 일체형, 베어링, 마그네트, 코일, 충전부, 나사산, 갈고리

Description

자가발전이 가능한 이동기구{MOVING APPARATUS HAVING SELF-GENERATION FUNCTION}
본 발명은 자가발전이 가능한 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가 발전장치에 의해 유도 전류를 발생하여 충전장치에 저장한 후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부분에 사용할 수 있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자전거는 이동수단 또는 교통수단으로 쓰임은 물론,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운동수단으로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통상의 자전거는 자동차와 달리 발광램프에 불을 밝힐 수 있는 전원이 탑재되어 있지 아니하여 야간이동 또는 야간운동시에 안전상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체수단으로 야간의 미세한 빛을 받았을 때 이를 반사시켜 사람들이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야광반사체를 자전거의 전면 또는 후면에 취부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 경우 야간 시골길과 같이 일말의 빛도 찾아볼 수 없는 곳에서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설사 야광반사체가 작은 빛을 반사한다고 하여도 그 광량이 미세하 여 주변 사람이 미리 자전거를 인식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전거에 건전지를 이용한 LED등(전조등, 후미등 등)을 설치한 경우, 건전지 소모 후 처리에 따른 환경 문제 발생 및 건전지 교체의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간단한 구조의 자가 발전장치에 의해 자체적으로 전력을 발생시켜 특히 야간 주행 중 안정성을 향상시킨 자가발전이 가능한 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기구의 주행 중 발생된 전력을 충전하여 이동기구가 주행 중이 아닌 상태에서도 충전된 전력을 이용할 수 있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자가발전이 가능한 이동기구는, 다수의 바퀴살을 가지는 타이어 휠과, 상기 바퀴살과 연결되는 허브와, 상기 타이어 휠의 회전에 무관하게 고정되며 상기 허브가 결합되는 고정축을 가지는 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바퀴살이 회전함에 따라 동시에 회전하도록 상기 바퀴살에 일부분이 걸쳐짐으로써 바퀴살의 회전에 따른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수단; 상기 발전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전력이 충전되는 충전부; 및 상기 충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력 소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발전수단은, 상기 허브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상기 고정축에 결합되며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중공 형상의 지지 브래킷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전수단은, 상기 지지 브래킷의 외주면과 면접하며 내측에 관통홀을 형성시키는 중앙벽이 돌출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벽이 돌출되는 고정 브래킷; 상기 중앙벽과 접하도록 고정 브래킷의 내측에 배치되는 금속판; 상기 금속판과 접하도록 배치되는 베어링; 상기 베어링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중공형상의 회전판과, 상기 바퀴살에 단부가 걸리도록 상기 회전판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다수의 회전걸쇠로 구성되는 회전 브래킷; 상기 회전판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중공 형상의 마그네트; 및 상기 고정 브래킷의 외측벽에 접하며 상기 마그네트와 이격되도록 내주면이 형성되며 내부에 코일이 내장되는 요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브래킷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브래킷의 중앙벽의 내주면에는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지지 브래킷과 고정 브래킷은 나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퀴살에 걸리는 회전걸쇠의 단부는 갈고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전부는 상기 고정 브래킷의 외주면 일측에 결합되되, 상기 마그네트와 코일 사이에서 발생하는 유도 전류를 정류시키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를 지난 전류의 전압을 조정하는 전압 조정부; 상기 전압 조정부를 지난 전류가 충전되는 충전지; 및 상기 충전지에 충전된 전류를 외부로 유도시키는 하나 이상의 출력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전수단과 충전부의 외면을 감싸는 방수부재 또는 방수 케이싱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전수단은, 상기 지지 브래킷의 외주면과 면접하며 내측에 관통홀을 형성시키는 중앙벽이 돌출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벽이 돌출되는 고정 브래킷; 상기 중앙벽과 접하도록 고정 브래킷의 내측에 배치되는 금속판; 상기 금속판과 접하도록 배치되는 베어링; 상기 베어링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중공형상의 회전판과, 상기 바퀴살에 단부가 걸리도록 상기 회전판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다수의 회전걸쇠로 구성되는 회전 브래킷; 상기 회전판의 외측면에 고정되며, 내부에 코일이 내장되는 중공 형상의 요크; 및 상기 고정 브래킷의 외측벽에 접하며 상기 요크와 이격되도록 내주면이 형성되는 중공 형상의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력 소모부는 상기 이동기구에 구비된 LED등, 속도계, 라디오, 핸드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이동기구에 의하면, 발전수단과 충전부를 구비함으로써, 이동기구의 운전에 따라 자체적으로 전력 발생이 가능하며, 이동기구를 이동시키기만 한다면 반영구적으로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충전부를 구비함으로써, 이동기구의 운전 중에 충전부에 충전된 전력을 이동기구가 이동중이 아닌 신호대기시나 일시 정지상태에서도 일정 시간 동안 사용함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의 발전수단과 충전부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이동기구의 바퀴에 손쉽게 체결 또는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 브래킷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고정 브래킷의 중앙벽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이동기구의 바퀴에 구비된 허브 등의 형상에 관계없이 사용자는 손쉽게 지지 브래킷과 고정 브래킷을 나사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회전걸쇠의 단부가 갈고리 형상을 가짐으로써 회전걸쇠와 바퀴살의 상호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이동기구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전수단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서 요크 및 마그네트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6과 도 7은 도 3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이동기구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바퀴살(200)을 가지는 타이어 휠(100)과, 상기 바퀴 살(200)과 연결되며 내부에 베어링을 구비하는 허브(300)와, 상기 타이어 휠(100)의 회전에 무관하게 좌우 프레임(400)에 고정되며 상기 허브(300)가 결합되는 고정축(500)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상기 이동기구는 페달(미도시)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이나 사람의 인력(引力)에 의해 타이어 휠(100)이 회전되는 구조의 자전거, 리어카 등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이동기구는 바퀴살(200)이 회전함에 따라 동시에 회전하도록 상기 바퀴살에 일부분이 걸쳐지며, 바퀴살(200)의 회전에 따른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수단(600), 상기 발전수단(600)으로부터 발생된 전력이 충전되는 충전부(700) 및 상기 충전부(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력 소모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발전수단(600)은 고정 브래킷(610), 금속판(620), 베어링(630), 회전 브래킷(640), 마그네트(650) 및 요크(6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축(500)에는 상기 허브(300)의 일부분 구체적으로, 허브(300)의 좌측면과 측면 일부를 감싸도록 지지 브래킷(670)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 브래킷(670)은 그 내부로 허브(30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중공의 단면 형상이 원형이면서 일측부가 개방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지지 브래킷(670)에는 고정축(500)이 관통하도록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 브래킷(670)과 허브(300) 사이의 고정축(500)상에는 별도 의 시트(680)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예를 들면, 자전거의 모델별 종류에 따라 상기 허브(300)와, 허브(300)의 일측에 구비된 시트(680)의 총 두께, 구체적으로 고정축(500)의 길이방향을 따른 길이가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상기 고정 브래킷(610)은 지지 브래킷(670)의 외주면에 면접하여 결합되며, 내측에는 관통홀(611)을 형성시키는 중앙벽(612)이 바퀴살(200)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으며 마찬가지로 가장자리를 따라서도 바퀴살(200)을 향하도록 외측벽(613)이 돌출되어 있다.
즉, 상기 중앙벽(612)과 외측벽(613) 사이에는 후술하는 베어링(630), 회전 브래킷(640) 등이 배치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중앙벽(612)은 직접적으로 지지 브래킷(670)의 외주면에 면접하는 부분으로서, 단면형상이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브래킷(67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671)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 브래킷(670)의 외주면을 마주보는 고정 브래킷(610)의 중앙벽(612)의 내주면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나사산(671)과 대응 결합하는 나사산(614)이 형성되어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허브와 시트의 길이에 따라 상기 고정 브래킷(610)을 회전시켜 지지 브래킷(670)에 용이하게 나사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좀 더 자세하게는, 후술하는 회전걸쇠(642)가 바퀴살(200)에 걸릴 수 있도록 고정 브래킷(610)과 지지 브래킷(670)의 상호 결합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고정 브래킷(610)을 지지 브래킷(670)에 강제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때는 지지 브래킷(670)과 고정 브래킷(610) 사이의 접촉면에서 미끌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무 등의 별도 부재가 개재될 수도 있다.
상기 금속판(620)은 고정 브래킷(610)의 중앙벽(612)과 접하도록 고정 브래킷(610)의 내측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금속판(620)은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고정 브래킷(610)의 중앙벽(612)에 강제 삽입되어 배치된다.
즉, 상기 금속판(620)의 결합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후술하는 베어링(630), 회전 브래킷(640), 마그네트(650)의 좌우 및 상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상기 금속판(620)과 금속판(620)과 마주보는 중앙벽(612)의 일면에는 별도의 접착제를 더 개재하여 금속판(620)의 고정을 더욱 확실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어링(630)은 그 내주면이 금속판(620)과 접하도록 상기 고정 브래킷(610)의 수용공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어서, 상기 회전 브래킷(640)은 상기 베어링(630)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중공형상의 회전판(641), 상기 바퀴살(200)에 단부가 걸리도록 상기 회전판(64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다수의 회전걸쇠(64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판(641)도 금속판(620)과 마찬가지로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가진다.
덧붙여, 상기 회전판(641)은 베어링(630)의 외측면에 고정되므로, 상기 바퀴 살(200)의 회전에 의한 상기 회전걸쇠(642)의 연동 회전시에 회전걸쇠(642)에 일체로 형성된 회전판(641)도 회전하게 되고 이때, 베어링(630)도 마찬가지로 회전됨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걸쇠(642)의 단부는 바퀴살(200)에 좀 더 용이하고 확실하게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갈고리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회전걸쇠(642)의 단부는 바퀴살(200)에 걸리도록 단순히 절곡된 형상을 가져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마그네트(650)는 상기 회전판(641)의 외측면, 회전걸쇠(642)의 일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마그네트(650)는 중공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N극, S극의 마그네트 부재가 교대로 배치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650)는 회전판(641)에 고정됨으로써 회전판(641)의 회전시에 동시에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마그네트(650)와 회전판(641) 사이에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결합력 상승을 위한 별도의 접착제가 더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요크(660)는 그 외주면이 상기 고정 브래킷(610)의 외측벽(613)에 접하며 내주면은 상기 마그네트(650)와 이격되도록 중공 형상으로 구성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요크(660)는 한 쌍의 케이스 내부에 코일(661)이 감긴 보빈이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마그네트(650)의 회전을 통한 자계의 변화에 따라서 상기 요크(660)의 코일(661)에는 유도 전류가 생성되며, 상기 유도 전류는 후술하는 충전부(700)로 입력되어 진다.
한편, 상기 지지 브래킷(670)과 발전수단(600)의 결합체를 상기 자전거 또는 리어커 등의 전방 또는 후방 고정축(500)에 결합시에는, 먼저 외부에서 지지 브래킷(670)과 발전수단(600)을 먼저 나사 결합시킨 후에 지지 브래킷(670)의 관통공(672)에 고정축(500)이 삽입되도록 결합시킨 후, 상기 회전걸쇠(642)를 바퀴살(200)에 결합시키게 된다.
이어서, 고정 브래킷(610)을 지지 브래킷(670)에 대하여 회전시켜 결합 위치를 조절하여 좀 더 견고하게 회전걸쇠(642)가 바퀴살(200)에 걸리도록 한다.
다음, 지지 브래킷(670)과 발전수단(600)의 결합체의 좌우 또는 상하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축(500)에는 지지 브래킷(670)의 일면과 접하여 체결 완료시 지지 브래킷(670)을 가압하도록 너트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너트와 지지 브래킷(670) 사이에는 별도의 와셔가 개재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고정축(500)의 단부에는 너트가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됨은 물론이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축(500)의 단부에는 상기 좌우 프레임(400)이 결합되며, 상기 좌우 프레임(400)의 고정을 위한 또 다른 너트 체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충전부(7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브래킷(610)의 외주면 일 측에 결합되며, 정류부, 전압 조정부, 충전지 및 출력 커넥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충전부(700)는 요크(660)의 코일(661)과 전류 통전을 위한 와이어(미도시)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정류부는 바퀴살(200)의 회전시, 상기 요크(660)의 코일(661)에서 발생하는 유도 전류를 직류로 정류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전압 조정부는 정류부에서 정류된 직류 전원의 전압을 조정하여 후술하는 전력 소모부의 입력 요구치로 맞추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충전지는 전압 조정부를 지난 전류가 충전되는 구성이며, 이러한 충전지에는 충전지에 충전된 전류를 외부로 유도시키도록 하나 이상의 출력 커넥터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전력 소모부는 자전거 또는 리어커 등에 구비된 LED등, 전자 속도계, 라디오, 핸드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시되지 않은 페달을 밟는 등의 행위를 통해 바퀴살(200)을 회전시키게 되며, 마그네트(650)의 회전을 통한 자계 변화에 의해 코일(661)에서 발생하는 유도 전류는 충전부를 통해 정류된 후 전력 소모부로 입력되어 진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우천 시의 경우에도 전술한 전력 발생이 가능하도록, 상기 발전수단(600)과 충전부(700)의 외면을 감싸는 방수부재 또는 방수 케이싱(800,800′)을 더 구비시킬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 그네트(650)와 요크(660)의 설치 위치는 상호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그네트(650)는 고정 브래킷(610)의 외측벽(613)에 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요크(660)는 마그네트(650)의 내측으로 상기 회전판(641)에 결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바퀴살(200)의 회전시에 마그네트(650)는 고정된 상태를 가지고, 이에 반해 요크(660)는 동시에 회전하는 상태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 전술한 충전부(700)는 생략되어 지며, 상기 전력 소모부는 요크(660)와 별도의 전원 와이어(미도시)를 통해 연결되는 바퀴살(200)로부터 구동 전류를 인가받아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발전수단(600)의 외면을 감싸도록 상기 방수 케이싱(800″)이 구비될 수 있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이동기구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전수단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2에서 요크 및 마그네트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과 도 7은 도 3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8은 도 6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타이어 휠 200: 바퀴살
300: 허브 400: 좌우 프레임
500: 고정축 600: 발전수단
610: 고정 브래킷 611: 관통홀
612: 중앙벽 613: 외측벽
614: 나사산 620: 금속판
630: 베어링 640: 회전 브래킷
641: 회전판 642: 회전걸쇠
650: 마그네트 660: 요크
661: 코일 670: 지지 브래킷
671: 나사산 672: 관통공
680: 시트 700: 충전부
800,800′,800″: 방수 케이싱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다수의 바퀴살을 가지는 타이어 휠과, 상기 바퀴살과 연결되는 허브와, 상기 타이어 휠의 회전에 무관하게 고정되며 상기 허브가 결합되는 고정축을 가지는 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바퀴살이 회전함에 따라 동시에 회전하도록 상기 바퀴살에 일부분이 걸쳐짐으로써 바퀴살의 회전에 따른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수단; 상기 발전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전력이 충전되는 충전부; 및 상기 충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력 소모부를 포함하되,
    상기 발전수단은, 상기 허브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상기 고정축에 결합되며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중공 형상의 지지 브래킷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발전수단은, 상기 지지 브래킷의 외주면과 면접하며 내측에 관통홀을 형성시키는 중앙벽이 돌출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벽이 돌출되는 고정 브래킷; 상기 중앙벽과 접하도록 고정 브래킷의 내측에 배치되는 금속판; 상기 금속판과 접하도록 배치되는 베어링; 상기 베어링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중공형상의 회전판과, 상기 바퀴살에 단부가 걸리도록 상기 회전판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다수의 회전걸쇠로 구성되는 회전 브래킷; 상기 회전판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중공 형상의 마그네트; 및 상기 고정 브래킷의 외측벽에 접하며 상기 마그네트와 이격되도록 내주면이 형성되며 내부에 코일이 내장되는 요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브래킷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브래킷의 중앙벽의 내주면에는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지지 브래킷과 고정 브래킷은 나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이동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살에 걸리는 회전걸쇠의 단부는 갈고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이동기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상기 고정 브래킷의 외주면 일측에 결합되되,
    상기 마그네트와 코일 사이에서 발생하는 유도 전류를 정류시키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를 지난 전류의 전압을 조정하는 전압 조정부;
    상기 전압 조정부를 지난 전류가 충전되는 충전지; 및
    상기 충전지에 충전된 전류를 외부로 유도시키는 하나 이상의 출력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이동기구.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수단과 충전부의 외면을 감싸는 방수부재 또는 방수 케이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이동기구.
  8. 다수의 바퀴살을 가지는 타이어 휠과, 상기 바퀴살과 연결되는 허브와, 상기 타이어 휠의 회전에 무관하게 고정되며 상기 허브가 결합되는 고정축을 가지는 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바퀴살이 회전함에 따라 동시에 회전하도록 상기 바퀴살에 일부분이 걸쳐짐으로써 바퀴살의 회전에 따른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수단; 상기 발전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전력이 충전되는 충전부; 및 상기 충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력 소모부를 포함하되,
    상기 발전수단은, 상기 허브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상기 고정축에 결합되며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중공 형상의 지지 브래킷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발전수단은, 상기 지지 브래킷의 외주면과 면접하며 내측에 관통홀을 형성시키는 중앙벽이 돌출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벽이 돌출되는 고정 브래킷; 상기 중앙벽과 접하도록 고정 브래킷의 내측에 배치되는 금속판; 상기 금속판과 접하도록 배치되는 베어링; 상기 베어링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중공형상의 회전판과, 상기 바퀴살에 단부가 걸리도록 상기 회전판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다수의 회전걸쇠로 구성되는 회전 브래킷; 상기 회전판의 외측면에 고정되며, 내부에 코일이 내장되는 중공 형상의 요크; 및 상기 고정 브래킷의 외측벽에 접하며 상기 요크와 이격되도록 내주면이 형성되는 중공 형상의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이동기구.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소모부는 상기 이동기구에 구비된 LED등, 속도계, 라디오, 핸드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이동기구.
KR1020090053843A 2009-06-17 2009-06-17 자가발전이 가능한 이동기구 KR100948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843A KR100948335B1 (ko) 2009-06-17 2009-06-17 자가발전이 가능한 이동기구
PCT/KR2010/003729 WO2010147333A2 (ko) 2009-06-17 2010-06-10 자가발전이 가능한 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843A KR100948335B1 (ko) 2009-06-17 2009-06-17 자가발전이 가능한 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8335B1 true KR100948335B1 (ko) 2010-03-22

Family

ID=42183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3843A KR100948335B1 (ko) 2009-06-17 2009-06-17 자가발전이 가능한 이동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48335B1 (ko)
WO (1) WO201014733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9632A (ko) 2018-02-19 2019-08-28 양승희 차량 바퀴용 자가발전 발광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062U (ja) * 1993-06-29 1995-01-27 祥吉 熊倉 発電機の自転車車輪への取付装置
JP2006254646A (ja) * 2005-03-14 2006-09-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電子機器用充電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8688U (ja) * 1992-04-01 1993-10-26 株式会社三ツ葉電機製作所 自転車用発電装置
JPH10108428A (ja) * 1996-09-27 1998-04-24 Pioneer Electron Corp 自転車用発電機
JP2001088759A (ja) * 1999-09-24 2001-04-03 Sanyo Electric Co Ltd 自転車用ハブダイナモ
KR100493067B1 (ko) * 2003-03-06 2005-06-07 유재형 회전체용 발광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062U (ja) * 1993-06-29 1995-01-27 祥吉 熊倉 発電機の自転車車輪への取付装置
JP2006254646A (ja) * 2005-03-14 2006-09-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電子機器用充電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9632A (ko) 2018-02-19 2019-08-28 양승희 차량 바퀴용 자가발전 발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47333A3 (ko) 2011-03-31
WO2010147333A2 (ko) 201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0387B1 (ko) 무접촉 자전거 발전기, 차량 조명시스템 및 자전거
GB2323344A (en) Wheel assembly with lighting circuit
US20100019676A1 (en) Electric generator for bicycle
US6749321B2 (en) Automatic power-generating device for decorative lamps
WO2005075284A2 (en) Electricity generation for human powered vehicles
US6382820B1 (en) Illuminating novelty device for a hubcap
KR100948335B1 (ko) 자가발전이 가능한 이동기구
KR20140006097U (ko) 자전거용 발전기
JP2001088759A (ja) 自転車用ハブダイナモ
EP1092913A1 (en) Indication device
KR101396385B1 (ko) 자동차용 휠 점멸장치
JP4834132B2 (ja) 自転車用照明システム
JP2628799B2 (ja) 自転車の自動点灯照明装置
US20080007145A1 (en) Bicycle with at least one generator
KR200265935Y1 (ko) 헬멧용 안전표시장치
KR200298561Y1 (ko) 자전거용 발전기
KR200478310Y1 (ko) 휠 라이트
JP4746151B1 (ja) 自転車の灯火システム
KR200295632Y1 (ko) 자전거용 발전기
KR20130119724A (ko) 자전거의 자가 발전장치
JP2010215107A (ja) 自転車の点滅尾灯装置
JPH0735278U (ja) 自転車用発光装置
KR20170112119A (ko) 회전휠용 발전장치를 구비한 이동장치
KR101313641B1 (ko) 자전거 바퀴의 전력공급장치
TWM435769U (en) Ring of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