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8182B1 - 훈련용 폭음통 - Google Patents

훈련용 폭음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8182B1
KR100948182B1 KR1020090061877A KR20090061877A KR100948182B1 KR 100948182 B1 KR100948182 B1 KR 100948182B1 KR 1020090061877 A KR1020090061877 A KR 1020090061877A KR 20090061877 A KR20090061877 A KR 20090061877A KR 100948182 B1 KR100948182 B1 KR 100948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case
safety
primer
tr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1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홍
Original Assignee
한국씨앤오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씨앤오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씨앤오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1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81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8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8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8/00Practice or training ammunition
    • F42B8/12Projectiles or missiles
    • F42B8/26Hand gren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14/00Mechanical fuzes characterised by the ammunition class or type
    • F42C14/02Mechanical fuzes characterised by the ammunition class or type for hand gren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훈련용 폭음통에 관한 것으로, 성냥이나 라이터의 점화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뇌관의 폭발에 의해 폭음제를 폭발시켜 사용이 용이하고 폭발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훈련용 폭음통은, 상하 양측이 개방된 케이스(111),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공이축을 매개로 하여 전진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이(113), 상기 공이를 전진하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어댑터 조립체(110)와; 내부에 폭음제(121)가 채워지며 상기 어댑터 조립체의 케이스에 결합되는 폭음관(122), 상기 폭음관의 내부에 삽입되며 보조지연제(123)와 지연제(124)와 점화제(125)가 장입된 신관(126), 상기 신관의 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어댑터 조립체의 공이에 의해 타격되어 상기 보조지연제를 점화하는 뇌관(128)으로 이루어진 신관 조립체(120)와; 상기 공이축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공이축이 상기 뇌관을 향해 전진하지 못하게 구속하는 안전핀(130) 및 상기 공이와 뇌관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공이가 상기 뇌관을 타격하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안전노브(140)로 이루어진 2중 안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훈련용 폭음통, 폭음제, 뇌관, 안전핀

Description

훈련용 폭음통{CRUMP CASE FOR TRAINING}
본 발명은 훈련용 폭음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성냥이나 라이터의 점화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뇌관의 폭발에 의해 폭음제를 폭발시켜 사용이 용이하고 폭발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훈련용 폭음통에 관한 것이다.
종래 훈련용 폭음통은 용기, 상기 용기에 충진되는 폭음제 및 상기 폭음제에 삽입되는 도화선으로 구성된다.
종래 기술에 의한 훈련용 폭음통은, 성냥이나 라이터 등의 점화도구를 통해 도화선이 점화하면 상기 폭음제는 상기 도화선의 길이만큼 타들어 가는 동안 점화가 지연되며 상기 도화선이 전부 타면 점화되어 폭발함으로써 폭음을 발생한다.
그러나, 종래 훈련용 폭음통에 따르면, 점화도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는 폭음제를 점화할 수 없으므로 반드시 점화도구를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도 있고, 성냥이나 라이터로 도화선을 점화할 때 불씨가 훈련장에 떨어질 수 있는데 훈련장은 대 개 풀숲이나 산악지역이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할 우려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성냥이나 라이터 등의 점화도구로 도화선에 불을 붙인 후 도화선의 불이 폭음제에 전달되기 직전에 훈련용 폭음통을 던져야 폭음제가 점화된다. 도화선이 연소되기 이전에 훈련용 폭음통을 던지면 도화선이 소화되어 폭음제가 점화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때, 도화선이 용기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도화선의 연소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으므로 훈련용 폭음통을 쥔 상태에서 폭음제가 폭발하는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성냥이나 라이터 등의 점화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폭음제의 폭발을 유도할 수 있는 훈련용 폭음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약의 지연에 의해 폭음제가 폭발하도록 하여 폭음제가 폭발하기 직전까지 훈련용 폭음통을 손에 쥐고 있지 않도록 하려는데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훈련용 폭음통은, 상하 양측이 개방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공이축을 매개로 하여 전진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이, 상기 공이를 전진하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어댑터 조립체와; 내부에 폭음제가 채워지며 상기 어댑터 조립체의 케이스에 결합되는 폭음관, 상기 폭음관의 내부에 삽입되며 보조지연제와 지연제와 점화제가 장입된 신관, 상기 신관의 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어댑터 조립체의 공이에 의해 타격되어 상기 보조지연제를 점화하는 뇌관으로 이루어진 신관 조립체와; 상기 공이가 상기 뇌관을 타격하지 못하도록 상기 공이를 2중으로 잠궈 지지하는 2중 안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중 안전수단은 상기 공이축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공이축이 상기 뇌관을 향해 전진하지 못하게 구속하는 안전핀 및 상기 공이와 뇌관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공이가 상기 뇌관을 타격하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안전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훈련용 폭음통에 의하면, 폭음제가 성냥이나 라이터의 점화를 기인하여 폭발하지 않고 공이의 타격에 의한 뇌관의 점화로 인하여 폭발하여 성냥이나 라이터를 휴대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고 불씨에 의한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전핀과 안전노브를 뽑고 바로 투하하여도 지연제를 통해 폭음제가 일정 시간 이후 폭발하여 종래와 같이 도화선이 탈 때까지 손으로 잡고 있을 필요 가 없으므로 훈련자의 손에서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되지 않으며, 결국 훈련용 폭음통으로서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것처럼, 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훈련용 폭음통(100)은, 어댑터 조립체(110), 신관 조립체(120) 및 2중 안전수단으로 구성된다.
어댑터 조립체(110)는 도면 기준 상하 양측이 개방된 케이스(111), 케이스(111)의 내부에 공이축(112)을 매개로 하여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이(113), 공이(113)를 후술하는 신관 조립체(120)의 뇌관(128)측으로 탄력 지지하는 코일스프링(114)로 구성된다.
케이스(111)는 친환경적인 생분해성 수지를 재질로 하여 수거의 불편함을 없앨 수 있고 작게 분산될 수 있도록 타구간보다 두께가 얇은 즉 노치 형태의 파단안내홈(111a)이 다수개 구비된다.
공이축(112)은 예컨대 봉 형태이며 저부를 향해 개방된 홈이 형성된다. 공이축(112)의 상기 홈에는 공이(113)가 삽입 장착되며, 2중 안전수단의 해제시 하강하여 공이(113)가 뇌관(128)을 타격하도록 한다.
코일스프링(114)은 공이축(112)의 둘레부에 끼워지며 상하 양단부가 케이스(111)에 형성된 지지턱(111b)과 공이축(112)의 지지턱(112a)에 지지된다. 코일스프링(114)은 케이스(111)의 지지턱(111b)을 지지기반으로 하여 공이축(112)을 하강시킬 수 있도록 압축된 상태로 설치된다. 지지턱(111b)은 원통형 케이스(111)의 내부에 중심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지지턱(112a)은 원통형으로 형성된 공이축(112)의 둘레부에 외부를 향해 돌출되어 공이축(112)의 둘레부와 지지턱(111b,112a)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코일스프링(114)이 설치되고, 도 2를 기준으로 할 때 코일스프링(112)의 상부는 케이스(111)의 지지턱(111b)에 지지되고 하부는 공이축(112)의 지지턱(112a)에 지지된다.
삭제
신관 조립체(120)는, 내부에 폭음제(121)가 채워진 폭음관(122), 폭음관(122)의 내부에 삽입되며 장약(보조지연제(123)-지연제(124)-점화제(125))이 장입된 신관(126), 신관(126)의 상측에 뇌관홀더(127)를 통해 장착되는 뇌관(128)로 구성된다.
폭음관(122)은 상하부가 각각 개방된 관형이며 하부에는 캡(122a)에 의해 밀봉되고, 케이스(111)에 나사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신관(126)은 뇌관(128)의 점화와 동시에 폭음제(121)가 점화하지 않도록 보조 지연제(123) - 지연제(124) - 점화제(125)가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가면서 차례로 적층되는 통 구조이며, 생분해성 수지를 재질로 할 수 있다.
뇌관(128)은 신관(126)의 상측 개방부에 뇌관홀더(127)를 통해 장착되며, 공이(113)의 타격시 보조 지연제(123)를 점화한다.
2중 안전수단은 안전핀(130) 및 안전노브(140)로 구성된다.
안전핀(130)은 손가락을 끼는 링형의 파지부(131) 및 공이축(112)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부(132)로 구성된다.
지지부(132)는 서로 간격을 두고 탄성 변형되는 2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132)는 공이축(112)의 상단부에 형성된 연결부(112b)의 둘레부에 끼워지면서 케이스(111)에 압입된다.
훈련자가 안전핀(130)을 빼면 안전핀(130)이 공이축(112)에서 빠질 수 있도록 지지부(132)의 안쪽 면과 연결부(112b)의 바깥쪽 면에는 각각 경사형 걸림턱(132a,112c)이 형성된다. 즉, 지지부(132)를 연결부(112b)에 끼우면 경사형 걸림턱(132a,112c)이 서로 걸리게 되어 안전핀(130)이 빠지지 않도록 하며, 사용자로부터 외력이 가해지면 안전핀(130)이 경사형 걸림턱(132a,112c)의 경사를 타고 빠지게 된다.
안전핀(130)은 공이축(112)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후좌우 및 회동하지 않도록 케이스(111)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케이스(111)에는 핀정렬홈(111c)이 형성된다. 핀정렬홈(111c)은 케이스(111)의 상단부에 상부와 좌우 양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안전핀(130)의 파지부(131)가 핀정렬홈(111c)에 삽입되면 파지부(131)가 케이스(111) 내부에 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케이스(111)에서 회전하거나 전후로 움직이지 않는다.
안전노브(140)는 케이스(111)에 내부와 외부가 통하도록 형성된 노브공(111d)을 통해 케이스(111) 내부에 삽입되어 공이(113)와 뇌관(128)을 격리한다.
안전노브(140)는 파지부(141) 및 파지부(141)에 일체로 형성되며 케이스(111)의 노브공(111d)에 삽입되어 공이(113)가 뇌관(128)에서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봉 형상의 격리부(142)로 이루어진다. 격리부(142)는 공이(113)가 수용되는 곡선형 내지 V 형의 공이수용홈(142a)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안전핀(130)은 제거되었지만 안전노브(140)는 제거되지 않은 경우 코일스프링(114)의 탄성력에 의해 공이(113)가 하강하여 공이수용홈(142a) 안에 삽입되기 때문에 공이(113)와 격리부(142)간에 슬립이 방지되므로 공이(113)가 격리부(142)를 통과하여 뇌관(128)을 타격하는 오동작이 방지된다. 또한, 공이수용홈(142a)에 의해 격리부(142)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케이스(111)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다.
안전핀(130)과 안전노브(140)는 모두가 해제되어야만 공이(113)가 뇌관(128)을 타격할 수 있으므로 안전핀(130)과 안전노브(140)의 어느 하나만 해제된 경우에는 폭발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2중 안전수단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훈련용 폭음통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훈련용 폭음통(100)은 평상시 안전핀(130)과 안전노브(140)가 공이(113)를 뇌관(128)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공이(113)가 뇌관(128)을 타격할 수 없으므로 폭발이 일어나지 않는다.
한편, 안전핀(130)이나 안전노브(140) 중 어느 하나가 부주의로 인하여 빠진 경우 즉 안전핀(130)이 빠진 경우 공이축(112)의 구속이 해제되어 공이축(112)과 공이(113)가 뇌관(128)으로 이동하려 하지만 안전노브(140)가 공이(113)의 이동을 막기 때문에 공이(113)가 뇌관(128)을 타격하지 못한다. 반대로, 안전노브(140)가 빠진 경우 안전핀(130)이 공이축(112)을 구속하는 상태에서는 공이(113)가 뇌관(128)을 타격하지 못한다.
대항 훈련시 안전핀(130)의 파지부(131)를 훈련복의 고리에 걸어 훈련용 폭음통(100)을 휴대한다.
대항 훈련시 훈련용 폭음통(100)을 투척하기 위하여 안전노브(140)를 먼저 뽑는다. 이렇게 되면 공이(113)는 안전핀(130)에 의해서만 구속된다.
지지부(132)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공이축(112)의 연결부(112b)에 끼워져 공이축(112)이 하강하지 못하도록 잡고 있으며, 안전핀(130)을 뽑으면 지지부(132)와 연결부(112b)의 경사형 걸림턱(132a,112c)가 모아져 공이축(112)에서 빠지게 된다.
안전핀(130)이 공이축(112)에서 빠지는 순간 공이축(112)을 뇌관(128)측으로 탄력 지지하는 코일스프링(114)의 복원력에 의해 공이축(112)과 공이(113)가 뇌관(128)으로 이동하며 공이(113)가 뇌관(128)을 타격한다.
뇌관(128)은 공이(113)로부터 가해지는 타격력에 의해 점화하며, 이 점화는 보조지연제(123) - 지연제(124) - 점화제(125) 점화로 이어진다. 이 과정 중에 보조지연제(123)와 지연제(124)에 의해 뇌관(128)의 폭발이 바로 점화제(125)에 전달되지 않고 일정 시간 이후에 전달된다.
따라서, 일정 시간 지연된 후 점화제(125)가 점화되고, 점화제(125의 점화는 점화안내공을 통해 폭음제(121)에 전달되어 폭음제(121)가 점화함으로써 폭음이 발생된다.
이로써, 원거리에서도 폭음을 통해 대항군이나 대항군 지역의 폭발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훈련용 폭음통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훈련용 폭음통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훈련용 폭음통, 110 : 어댑터 조립체
111 : 케이스, 112 : 공이축
113 : 공이, 114 : 코일스프링
120 : 신관 조립체, 121 : 폭음제
122 : 폭음관, 123 : 보조지연제
124 : 지연제, 125 : 점화제
130 : 안전핀, 140 : 안전노브

Claims (5)

  1. 상하 양측이 개방된 원통형의 케이스(111),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공이축(112), 상기 공이축의 단부에 장착되는 공이(113), 상기 공이축과 공이를 일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탄력 지지하는 코일스프링(114)으로 이루어진 어댑터 조립체(110)와;
    내부에 폭음제(121)가 채워지며 상기 어댑터 조립체의 케이스의 단부에 결합되는 폭음관(122), 상기 폭음관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공이를 향하는 곳에서부터 보조지연제(123)와 지연제(124)와 점화제(125)가 차례로 장입된 원통형의 신관(126), 상기 신관의 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어댑터 조립체의 공이에 의해 타격되어 상기 보조지연제를 점화하는 뇌관(128)으로 이루어진 신관 조립체(120)와;
    상기 공이가 상기 코일스프링(11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뇌관을 향해 직선 이동하지 못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삽입되면서 상기 공이축을 지지하는 안전핀(130) 및 상기 공이와 뇌관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공이가 상기 코일스프링(11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뇌관을 향해 직선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안전노브(140)로 이루어진 2중 안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용 폭음통.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전노브는 상기 케이스에 내부와 외부가 통하도록 형성된 노브공(111d)을 통해 상기 케이스에 삽입되어 상기 공이와 상기 뇌관을 격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용 폭음통.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전노브는 파지부(141) 및 상기 파지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노브공(111d)에 삽입되어 상기 공이(113)가 상기 뇌관(128)에서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봉 형상의 격리부(142)를 포함하고,
    상기 격리부는 상기 공이(113)가 삽입되는 공이수용홈(142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용 폭음통.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핀은 손가락을 끼는 링형의 파지부(131) 및 공이축(112)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부(132)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부가 상기 어댑터 조립체의 케이스에 압입되면서 상기 공이축에 형성된 연결부(112b)의 둘레부에 끼워 연결되며,
    상기 지지부(132)의 안쪽 면과 상기 연결부(112b)의 바깥쪽 면에는 서로 끼워짐으로써 상기 안전핀을 상기 공이축에 고정하는 경사형 걸림턱(132a,112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용 폭음통.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1)의 단부에 좌우 양측이 개방된 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안전핀이 삽입되는 핀정렬홈(111c)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용 폭음통.
KR1020090061877A 2009-07-07 2009-07-07 훈련용 폭음통 KR100948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877A KR100948182B1 (ko) 2009-07-07 2009-07-07 훈련용 폭음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877A KR100948182B1 (ko) 2009-07-07 2009-07-07 훈련용 폭음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8182B1 true KR100948182B1 (ko) 2010-04-01

Family

ID=42219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1877A KR100948182B1 (ko) 2009-07-07 2009-07-07 훈련용 폭음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81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983B1 (ko) 2017-08-07 2018-07-16 고려화공 주식회사 발화스프링을 갖는 안전고리를 이용한 점화식 폭음통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2330A (en) 1972-05-09 1973-10-02 J Hall Grenade fuse lever
KR870002023B1 (ko) * 1984-05-09 1987-11-30 엠. 카루소 안토니 퓨즈
KR920000973Y1 (ko) * 1989-10-06 1992-02-06 고려화공 주식회사 훈련용 수류탄
KR200378335Y1 (ko) 2004-12-21 2005-03-14 한국씨앤오테크 주식회사 훈련용 수류탄의 기폭관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2330A (en) 1972-05-09 1973-10-02 J Hall Grenade fuse lever
KR870002023B1 (ko) * 1984-05-09 1987-11-30 엠. 카루소 안토니 퓨즈
KR920000973Y1 (ko) * 1989-10-06 1992-02-06 고려화공 주식회사 훈련용 수류탄
KR200378335Y1 (ko) 2004-12-21 2005-03-14 한국씨앤오테크 주식회사 훈련용 수류탄의 기폭관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983B1 (ko) 2017-08-07 2018-07-16 고려화공 주식회사 발화스프링을 갖는 안전고리를 이용한 점화식 폭음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3615B1 (ko) 수류탄 메커니즘
KR100915706B1 (ko) 유탄발사기용 40㎜ 연습탄
CH628422A5 (fr) Subprojectile destine a etre expulse d&#39;un projectile.
KR100948182B1 (ko) 훈련용 폭음통
WO2001065200A2 (en) Cartridge format delay igniter
CN210159118U (zh) 一种手掷式灭火弹
KR101324986B1 (ko) 시간차 폭발이 가능한 섬광 폭음탄
KR101768823B1 (ko) 슬라이더 조립체 강제 장전장치가 구비된 분산탄용 자탄
US538675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arming pipe bombs
KR101887274B1 (ko) 비전기식 지연/압력카트리지
US8800448B2 (en) Stand-off door breaching device
KR101917427B1 (ko) 유도탄용 꼬리날개 고정장치
KR20130104362A (ko) 친환경 장단거리 박격포 연습탄
US4421033A (en) Exercise projectile
ES2324096T3 (es) Dispositivo de encendido provisto de un dispositivo de seguridad, para un proyectil disparado desde un tubo con un momento angular.
NO860144L (no) Loepssikring for oevelsesammunisjon.
RU2355998C2 (ru) Запал для учебной ручной гранаты
JPS62501440A (ja) 破裂弾を有する散弾銃弾薬筒
JP6580014B2 (ja) 信号弾発射装置
KR101615366B1 (ko) 공이 작동 여부의 확인이 가능한 수류탄
US479738A (en) Patrick cunningham
CN216385324U (zh) 一种拉火延期装置
KR102474870B1 (ko) 연습용 수류탄
US1463747A (en) Detonating fuse
US8250984B2 (en) Mine-defeating submun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