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7053B1 - 단열복합판넬구조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단열복합판넬구조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7053B1
KR100947053B1 KR1020090101848A KR20090101848A KR100947053B1 KR 100947053 B1 KR100947053 B1 KR 100947053B1 KR 1020090101848 A KR1020090101848 A KR 1020090101848A KR 20090101848 A KR20090101848 A KR 20090101848A KR 100947053 B1 KR100947053 B1 KR 100947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insulation composite
panel
composite pane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1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재
김철기
Original Assignee
미래피앤씨(주)
김철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피앤씨(주), 김철기 filed Critical 미래피앤씨(주)
Priority to KR1020090101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0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8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the wall;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복합판넬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측이 벽체에 고정되고 타측 부분이 벽면으로부터 벌어지거나 벽면측으로 좁혀지도록 가변되며 타측과 벽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판넬간격조절부재; 판넬간격조절부재의 타측에 결합되며 다수가 서로 조합되어서 벽면의 전방에 설치되는 단위단열복합판넬; 단위단열복합판넬 사이에 결합되어서 인접한 두 단부를 고정시키고 단위단열복합판넬 사이의 열누출을 차단하는 연결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벽체의 벽면이 고르지 못하더라도 판넬간격조절부재에 의해 단위단열복합판넬들을 평평한 상태로 설치할 수 있고, 단위단열복합판넬들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연결대들 및 모서리마감판에 의해 단위단열복합판넬들 사이로 발생되던 열누출이 차단된다.
판넬간격조절부재, 단위단열복합판넬, 스티로폼층, 시멘트층, 연결대

Description

단열복합판넬구조 및 그 시공방법{Insulation panel structure and the form of construction work}
본 발명은 단열복합판넬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벽체의 벽면이 고르지 못하여도 단열복합판넬들을 평평하게 설치할 수 있고, 단위단열복합판넬들 사이의 틈새로 열누출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시키며, 단위단열복합판넬들 사이의 결합력이 증대되는 단열복합판넬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복합판넬은 다수개의 복합판넬이 서로 연결되면서 건물이나 공장의 외벽 등을 구성하게 된다. 즉, 하나의 복합판넬에 다른 복합판넬이 끼워지고, 그 위로 또 다른 복합판넬이 순차적으로 끼워져 조립되며 이와 같이 다수의 복합판넬들이 조립된 후에는 복합판넬들의 연결부위와 그 둘레의 프레임을 체결수단으로 고정시킨다.
이러한 복합판넬들은 철판이나 합성수지 또는 석재로 이루어진 외측판에 스티로폼이나 우레탄 등의 단열재가 부착되어서 구비되기도 하고, 철판이나 합성수지재 또는 석재로 이루어진 내측판 및 외측판 사이에 스티로폼이나 우레탄 등의 단열 재가 내장되어 구비되기도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복합판넬구조는 몇가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다수의 복합판넬들이 부착되는 벽체의 벽면이 고르지 못한 경우, 그러한 벽면에 부착되는 복합판넬들도 고르지 못하게 부착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종래의 복합판넬구조는 다수의 단위복합판넬들이 서로 연결되어서 이루어지므로 벽체에 설치된 복합판넬에는 다수의 이음부위가 발생되며, 다수의 이음부위로 열누출이 발생되어서 단열효과가 크게 저하된다.
셋째, 종래의 복합판넬구조는 외측판 및 단열재가 단순히 접착재로 부착되어서 구비되므로 장기간 사용시 서로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되며, 이들 사이의 틈새에 습기가 스며들면서 곰팡이 등이 번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게 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벽체의 벽면이 고르지 못하여도 단열복합판넬들을 평평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단열복합판넬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위단열복합판넬들 사이의 틈새로 열누출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시키도록 한 단열복합판넬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위단열복합판넬들 사이의 결합력이 증대되도록 한 단열복합판넬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열복합판넬구조는, 일측이 벽체에 고정되고 타측 부분이 벽면으로부터 벌어지거나 벽면측으로 좁혀지도록 가변되며 타측과 벽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판넬간격조절부재; 판넬간격조절부재의 타측에 결합되며 다수가 서로 조합되어서 벽면의 전방에 설치되는 단위단열복합판넬; 단위단열복합판넬 사이에 결합되어서 인접한 두 단부를 고정시키고 단위단열복합판넬 사이의 열누출을 차단하는 연결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단열복합판넬구조의 다른 특징은, 판넬간격조절부재는, 벽체의 벽면에 밀착되어서 고정되는 고정부와 이 고정부로부터 연장되어서 벽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진 고정브라켓과, 고정브라켓의 고정부 및 벽체에 체결되어서 고정부를 벽체에 고정하는 고정앵커와, 상부 일측에 단위단열복합판넬의 하부 일측에 지지되도록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 타측에 단위단열복합판넬의 하부 타측이 고정되도록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부의 하측에는 고정브라켓의 결합부에 고정되도록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설치브라켓과, 설치브라켓의 연결부 및 고정브라켓의 결합부에 체결되어서 설치브라켓을 고정브라켓에 고정시키고 설치브라켓과 고정브라켓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볼트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단열복합판넬구조의 또 다른 특징은, 단위단열복합판넬은, 다수의 결합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는 스티로폼층과, 스티로폼층의 일측에 밀착되고 다수의 결합구멍들에 삽입되도록 내측면에 다수의 결합기둥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둘레에 연결대의 삽입부가 삽입되도록 단열보강홈이 형성되어 있고 단열보강홈의 일측에 판넬간격조절부재의 삽입부가 삽입되도록 조립홈이 형성되어 있는 시멘트층과, 시멘트층의 외측면에 도포되어서 시멘트층을 마감하는 화강무늬층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단열복합판넬구조의 또 다른 특징은, 스티로폼층의 결합구멍은 콘크리트층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단면지름이 점차 증가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고, 시멘트층의 결합기둥은 그 둘레가 스티로폼층의 결합구멍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스티로폼층과 시멘트층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된다.
본 발명의 단열복합판넬구조의 또 다른 특징은, 연결대는, 단위단열복합판넬의 단열보강홈에 끼워지도록 양단에 쐐기가 형성되어 있는 삽입부와, 단위단열복합판넬의 대응 양측에 밀착되도록 복수의 쐐기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단열복합판넬구조의 또 다른 특징은, 4개의 단위단열복합판넬들이 맞닿은 네 모서리 부위의 단열보강홈들에는, 네 모서리 부위를 고정시키고 모서리 부위의 열누출을 차단하도록 모서리마감판이 결합된다.
상술한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열복합판넬구조 시공방법은, 일측이 벽체에 고정되고 타측 부분이 벽면으로부터 벌어지거나 벽면측으로 좁혀지도록 가변되며 타측과 벽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판넬간격조절부재와, 판넬간격조절부재의 타측에 결합되며 다수가 서로 조합되어서 벽면의 전방에 설치되는 단위단열복합판넬과, 단위단열복합판넬 사이에 결합되어서 인접한 두 단부를 고정시키고 단위단열복합판넬 사이의 열누출을 차단하는 연결대와, 4개의 단위단열복합판넬들이 맞닿은 네 모서리 부위의 단열보강홈들에 결합되는 모서리마감판로 이루어진 단열복합판넬구조를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벽체의 벽면에 판넬간격조절부재의 고정브라켓을 고정시키고 이 고정브라켓에 간격조절볼트로 설치브라켓을 결합시키며 설치브라켓과 벽체와의 간격을 간격조절볼트로 조절하여서 단위단열복합판넬이 벽체의 전방에 평평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판넬간격조절부재 결합단계; 단위단열복합판넬의 내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단위단열복합판넬의 조립홈을 설치브라켓의 삽입부에 끼워서, 단위단열복합판넬이 벽체에 부착되고 판넬간격조절부재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단위단열복합판넬 설치단계; 인접한 두 단위단열복합판넬들 사이의 단열보강홈들에 연결대의 삽입부를 삽입시켜서 두 단위단열복합판넬들을 결합시키고 이들 사이의 열누출을 차단시키는 연결대 결합단계; 4개의 단위단열복합판넬들이 맞닿은 네 모서리 부위의 단열보강홈 들에 모서리마감판을 삽입시키켜서 4개의 단위단열복합판넬들을 결합시키고 이들 사이의 열누출을 차단시키는 모서리마감판 결합단계; 인접한 두 단위단열복합판넬들의 틈새에 스티로폼재의 마감띠를 삽입시켜서 이들 사이의 열누출을 차단시키는 마감띠 삽입단계; 마감띠가 삽입된 두 단위단열복합판넬들의 틈새에 실리콘 코킹재를 주입하는 코킹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벽체의 벽면이 고르지 못한 경우, 간격조절볼트를 조절하여서 설치브라켓과 고정브라켓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하여 벽체의 벽면이 고르지 못하여도 설치브라켓에 설치되는 단위단열복합판넬들을 평평한 상태로 설치할 수 있다.
단위단열복합판넬들의 연결부위에는 연결대들이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단위단열복합판넬들 사이로 발생되던 열누출이 연결대들에 의해 차단되며 이에 따라 단열효과가 그만큼 향상된다.
연결대의 삽입부에는 쐐기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삽입부의 쐐기는 단위단열복합판넬의 단열보강홈 내측으로 용이하게 삽입되지만 쉽게 빠지지 않는 구조이다. 따라서 연결대의 삽입부가 단위단열복합판넬에 용이하게 결합되므로 조립작업이 간편하며, 한번 결합시킨 연결대는 단위단열복합판넬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으므로 단위단열복합판넬 사이의 결합력이 증대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판넬간격조절부재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및 그 측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위단열복합판넬을 보인 사시도들 및 단면도이며, 도 6은 스티로폼층에 시멘트층을 형성시키는 과정을 보인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7은 단위단열복합판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대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및 그 측면도이며,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마감판을 보인 개략적 사시도 및 그 측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판넬간격조절부재, 단위단열복합판넬, 연결대, 모서리판이 결합되는 과정을 보인 개략적 부분 발췌 사시도들이고, 도 15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단열복합판넬구조의 설치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개략적 측단면도들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단열복합판넬구조는, 판넬간격조절부재(10), 단위단열복합판넬(20), 연결대(30), 모서리마감판(40), 마감띠(50), 코킹재(60)로 이루어진다.
판넬간격조절부재(10)는, 일측이 벽체(1)에 고정되고 타측 부분이 벽면으로부터 벌어지거나 벽면측으로 좁혀지도록 가변되며 타측과 벽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이러한 판넬간격조절부재(10)는, 고정브라켓(11), 고정앵커(12), 설치브라켓(13), 간격조절볼트(14)로 이루어진다.
고정브라켓(11)은, 벽체(1)의 벽면에 밀착되어서 고정되는 고정부(11a)와, 이 고정부(11a)로부터 연장되어서 벽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결합부(11b)로 이루어진 다.
고정앵커(12)는, 고정브라켓(11)의 고정부(11a) 및 벽체(1)에 체결되어서 고정부(11a)를 벽체(1)에 고정한다. 이 고정앵커(12)는 고정브라켓(11)의 고정부(11a)에 각각 한개씩 고정될 수도 있지만 두개 이상 고정될 수도 있다.
설치브라켓(13)은, 상부 일측에 단위단열복합판넬(20)의 하부 일측에 지지되도록 지지부(13b)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 타측에 단위단열복합판넬(20)의 조립홈(22b)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삽입부(13c)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부(13b)의 하측에는 고정브라켓(11)의 결합부(11b)에 고정되도록 연결부(13a)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13b)와 삽입부(13c)의 사이에는 단위단열복합판넬(20)의 모서리 부위가 안착되도록 안착홈(13d)이 형성된다.
간격조절볼트(14)는, 설치브라켓(13)의 연결부(13a) 및 고정브라켓(11)의 결합부(11b)에 체결되어서 설치브라켓(13)을 고정브라켓(11)에 고정시키고 설치브라켓(13)과 고정브라켓(1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고정브라켓(11)의 결합부(11b) 내측에는 간격조절너트(15)가 고정되어 있으며, 간격조절볼트(14)의 수나사부가 이에 체결된다.
단위단열복합판넬(20)은, 판넬간격조절부재(10)의 설치브라켓(13)에 결합되며 다수가 서로 조합되어서 벽체(1)의 전방에 설치된다. 이러한 단위단열복합판넬(20)은, 스티로폼층(21), 시멘트층(22), 화강무늬층(23)으로 이루어진다.
스티로폼층(21)은, 내측면에 접착제(2)가 도포되어서 벽체(1)에 부착되며 다수의 결합구멍(21a)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구멍(21a)들에는 후술할 시멘트층(22)의 결합기둥(22a)들이 결합되어 있다.
시멘트층(22)은, 스티로폼층(21)의 일측에 밀착되고 다수의 결합구멍(21a)들에 삽입되도록 내측면에 다수의 결합기둥(22a)들이 형성되어 있다. 시멘트층(22)의 둘레에는 후술할 연결대(30)의 삽입부(31)가 삽입되도록 단열보강홈(22c)이 형성되어 있고, 단열보강홈(22c)의 일측에는 판넬간격조절부재(10)의 삽입부(13c)가 삽입되도록 조립홈(22b)이 형성되어 있다.
화강무늬층(23)은 시멘트층(22)의 외측면에 도포되어서 시멘트층(22)을 마감한다. 시멘트층(22)의 외측면에 화강무늬층(23)을 도포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시멘트층(22)의 외측면에 프라이머를 도장한다. 그리고 그 위에 화강무늬도료를 도장한다. 마지막으로 화강무늬도료 위에 불소수지 투명도료를 도장한다. 이러한 화강무늬층(23)은 단위단열복합판넬(20)이 화강암의 미감을 갖도록 한다.
도 6은 스티로폼층(21)에 시멘트층(22)을 형성시키는 과정은 보인 개략적 단면도로써, 형틀(3)에 결합구멍(21a)이 형성된 스티로폼층(21)을 안착시킨다. 그리고 스티로폼층(21)의 결합구멍(21a)들 또는 형틀(3)의 주입구(미도시)에 시멘트를 붓는다. 시멘트가 형틀(3)의 내부에 충전된 후 스티로폼층(21)의 결합구멍(21a)에 충전될 때까지 붓는다. 시멘트가 형틀(3) 및 결합구멍(21a)들에 모두 충전되면 응고시킨다.
이와 같이 제조된 단위단열복합판넬(20)은 스티로폼층(21)의 일측면에 시멘트층(22)의 대응면이 부착되고, 스티로폼층(21)의 결합구멍(21a)들에 시멘트층(22)의 결합기둥(22a)들이 끼워져 고정된 형태를 유지하므로 스티로폼층(21)과 시멘트층(22)이 쉽게 떨어지지 않는다.
도 7은 단위단열복합판넬(20)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로써, 이는 스티로폼층(21)과 시멘트층(22)이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된 점에 특징이 있다. 즉, 스티로폼층(21)의 결합구멍(21a')은, 시멘트층(2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단면지름이 점차 증가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시멘트층(22)의 결합기둥(22a')은, 그 둘레가 스티로폼층(21)의 결합구멍(21a')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티로폼층(21)의 결합구멍(21a')과 시멘트층(22)의 결합기둥(22a')이 서로 빠지지 않도록 그 테이퍼면들이 서로 맞물려 있으므로 이들이 파손되지 않는 한 스티로폼층(21)과 시멘트층(22)이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
연결대(30)는, 단위단열복합판넬(20) 사이에 결합되어서 인접한 두 단부를 고정시키고 단위단열복합판넬(20) 사이의 열누출을 차단한다.
이러한 연결대(30)는, 단위단열복합판넬(20)의 단열보강홈(22c)에 끼워지도록 양단에 쐐기(31a)가 형성되어 있는 삽입부(31)와, 단위단열복합판넬(20)의 대응 단부에 유동없이 지지되도록 복수의 쐐기(32a)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32)로 이루 어진다.
이 연결대(30)는 상하로 인접한 두 단위단열복합판넬(20)들 사이에 수평으로 결합되지만 좌우로 인접한 두 단위단열복합판넬(20)들 사이에 수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단위단열복합판넬(20)의 폭과 높이에 맞게 적절하게 절단하여 사용된다.
모서리마감판(40)은, 4개의 단위단열복합판넬(20)들이 맞닿은 네 모서리 부위의 단열보강홈(22c)들에 결합되어서, 네 모서리 부위를 고정시키고 모서리 부위의 열누출을 차단하도록 한다.
마감띠(50)는, 스티로폼재로 이루어지고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단위단열복합판넬(20)들 사이의 틈새에 끼워져서 틈새로 누출되는 열을 차단한다.
코킹재(60)는, 마감띠(50)가 삽입된 단위단열복합판넬(20)들의 틈새에 주입되어서 틈새를 마감한다.
도 12 내지 도 14는 판넬간격조절부재, 단위단열복합판넬, 연결대, 모서리판이 결합되는 과정을 보인 개략적 부분 발췌 사시도들이고, 도 15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단열복합판넬구조의 설치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개략적 측단면도들이며, 도 20은 그 순서도로써,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단열복합판넬구조 시공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시공방법은 먼저, 판넬간격조절부재 결합단계(S10)를 갖는다.
이 단계(S10)에서, 벽체(1)의 벽면에 판넬간격조절부재(10)의 고정브라켓(11)을 고정시키고 이 고정브라켓(11)에 간격조절볼트(14)로 설치브라켓(13)을 결합시키며 설치브라켓(13)과 벽체(1)와의 간격을 간격조절볼트(14)로 조절하여서 단위단열복합판넬(20)이 벽체(1)의 전방에 평평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판넬간격조절부재(10)가 벽체(1)의 하부에 등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면 단위단열복합판넬 설치단계(S20)를 갖는다. 이 단계(S20)에서, 단위단열복합판넬(20)의 내측면에 접착제(2)를 도포하고 단위단열복합판넬(20)의 조립홈(22b)을 설치브라켓(13)의 삽입부(13c)에 끼운다. 이와 같이 하여 단위단열복합판넬(20)의 배면이 벽체(1)에 부착되도록 하고 단위단열복합판넬(20)의 하부가 판넬간격조절부재(1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판넬간격조절부재 결합단계(S10) 및 단위단열복합판넬 설치단계(S20)는 벽체(1)의 넓이 및 이에 설치되는 단위단열복합판넬(20)들의 수에 맞게 반복한다. 즉, 도 15와 같이 벽체(1)에 판넬간격조절부재(10)를 설치하고 판넬간격조절부재(10)에 단위단열복합판넬(20)을 설치한 후, 다수의 단위단열복합판넬(20)들을 더 설치할 경우, 도 16과 같이 단위단열복합판넬(20)의 상부에 판넬간격조절부재(10)를 더 설치하고 그 설치브라켓(13)에 단위단열복합판넬(20)의 상부가 지지되도록 한다.
단위단열복합판넬(20)의 상부에 판넬간격조절부재(10)가 더 설치되면 단위단열복합판넬(20)의 상부 단열보강홈(22c)에 연결대(30)를 결합시키는 연결대 결합단계(S30)를 갖는다.
연결대(30)의 삽입부(31) 단부에는 쐐기(31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삽입부(31)의 쐐기(31a)는 시멘트층(22)의 단열보강홈(22c) 측으로 원활히 삽입되지만 그 반대측으로 빠지지 않는 구조이다. 따라서 연결대(30)를 단열보강홈(22c)에 밀어 끼우면 쉽게 빠지지 않는다.
도 17과 같이 단위단열복합판넬(20)의 상부에 판넬간격조절부재(10)와 연결대(30)가 결합되면 도 18과 같이 별도의 단위단열복합판넬(20)을 준비한 후 상부측 판넬간격조절부재(10)에 결합시켜서 다수의 단위단열복합판넬(20)들을 조립해 나간다.
단위단열복합판넬(20)들을 조립해 나갈 때에 4개의 단위단열복합판넬(20)들이 맞닿은 네 모서리 부위의 단열보강홈(22c)들에는 모서리마감판(40)을 결합시키는 모서리마감판(40)을 결합단계(S40)를 갖는다. 이 단계(S40)에서, 모서리마감판(40)에 의해 4개의 단위단열복합판넬(20)들을 결합시키고 이들 사이의 열누출을 차단시킨다.
다수의 단위단열복합판넬(20)들이 조립되면 인접한 두 단위단열복합판넬(20)들의 틈새에 스티로폼재의 마감띠(50)를 삽입시켜서 이들 사이의 열누출을 차단시키는 마감띠 삽입단계(S50)를 갖는다.
마감띠 삽입단계(S50) 후, 마감띠(50)가 삽입된 두 단위단열복합판넬(20)들의 틈새에 실리콘 코킹재(60)를 주입하는 코킹단계(S60)를 갖는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단열복합판넬구조 및 그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본 발명은 벽체(1)의 벽면이 고르지 못한 경우, 판넬간격조절부재(10)의 간격조절볼트(14)를 조절하여서 설치브라켓(13)과 고정브라켓(1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하여 벽체(1)의 벽면이 고르지 못하여도 설치브라켓(13)에 설치되는 단위단열복합판넬(20)들을 평평한 상태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단위단열복합판넬(20)들의 연결부위에는 연결대(30)들 및 모서리마감판(40)이 삽입된다. 따라서 단위단열복합판넬(20)들 사이로 발생되던 열누출이 연결대(30)들 및 모서리마감판(40)에 의해 차단되며 이에 따라 단열효과가 그만큼 향상된다.
그리고, 연결대(30)의 삽입부(31)에는 쐐기(31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삽입부(31)의 쐐기(31a)는 단위단열복합판넬(20)의 단열보강홈(22c) 내측으로 용이하게 삽입되지만 쉽게 빠지지 않는 구조이다. 따라서 연결대(30)의 삽입부(31)가 단위단열복합판넬(20)에 용이하게 결합되므로 조립작업이 간편하며, 한번 결합시킨 연결대(30)는 단위단열복합판넬(2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으므로 단위단열복합판넬(20)들 사이의 결합력이 증대된다.
본 발명의 단위단열복합판넬(20)은 스티로폼층(21)과 시멘트층(22)이 결합구멍(21a) 및 결합기둥(22a)에 의해 서로 견고히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장기간 경과하여도 스티로폼층(21)과 시멘트층(22)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틈새에 습기가 스며들면서 곰팡이 등이 번식하였던 종래의 문제점이 해결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판넬간격조절부재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및 그 측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위단열복합판넬을 보인 사시도들 및 단면도
도 6은 스티로폼층에 시멘트층을 형성시키는 과정을 보인 개략적 단면도
도 7은 단위단열복합판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대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및 그 측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마감판을 보인 개략적 사시도 및 그 측면도
도 12 내지 도 14는 판넬간격조절부재, 단위단열복합판넬, 연결대, 모서리판이 결합되는 과정을 보인 개략적 부분 발췌 사시도들
도 15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단열복합판넬구조의 설치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개략적 측단면도들
도 20은 본 발명의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벽체 2 : 접착제
2 형틀 10 : 판넬간격조절부재
11 : 고정브라켓 11a : 고정부
11b : 결합부 12 : 고정앵커
13 : 설치브라켓 13a : 연결부
13b,32 : 지지부 13c : 삽입부
13d : 안착홈 14 : 간격조절볼트
15 : 간격조절너트 20 : 단위단열복합판넬
21 : 스티로폼층 21a : 결합구멍
22 : 시멘트층 22a : 결합기둥
22b : 조립홈 22c : 단열보강홈
30 : 연결대 31 : 삽입부
31a,32a : 쐐기 40 : 모서리마감판
50 : 마감띠 60 : 코킹재

Claims (7)

  1. 일측이 벽체(1)에 고정되고 타측 부분이 벽면으로부터 벌어지거나 벽면측으로 좁혀지도록 가변되며 타측과 벽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판넬간격조절부재(10); 판넬간격조절부재(10)의 타측에 결합되며 다수가 서로 조합되어서 벽면의 전방에 설치되는 단위단열복합판넬(20); 단위단열복합판넬(20) 사이에 결합되어서 인접한 두 단부를 고정시키고 단위단열복합판넬(20) 사이의 열누출을 차단하는 연결대(30); 로 이루어진 단열복합판넬구조에 있어서, 판넬간격조절부재(10)는,
    벽체(1)의 벽면에 밀착되어서 고정되는 고정부(11a)와 이 고정부(11a)로부터 연장되어서 벽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결합부(11b)로 이루어진 고정브라켓(11)과, 고정브라켓(11)의 고정부(11a) 및 벽체(1)에 체결되어서 고정부(11a)를 벽체(1)에 고정하는 고정앵커(12)와, 상부 일측에 단위단열복합판넬(20)의 하부 일측에 지지되도록 지지부(13b)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 타측에 단위단열복합판넬(20)의 하부 타측이 고정되도록 삽입부(13c)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부(13b)의 하측에는 고정브라켓(11)의 결합부(11b)에 고정되도록 연결부(13a)가 형성되어 있는 설치브라켓(13)과, 설치브라켓(13)의 연결부(13a) 및 고정브라켓(11)의 결합부(11b)에 체결되어서 설치브라켓(13)을 고정브라켓(11)에 고정시키고 설치브라켓(13)과 고정브라켓(1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볼트(1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복합판넬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단위단열복합판넬(20)은,
    다수의 결합구멍(21a)들이 형성되어 있는 스티로폼층(21)과, 스티로폼층(21)의 일측에 밀착되고 다수의 결합구멍(21a)들에 삽입되도록 내측면에 다수의 결합기둥(22a)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둘레에 연결대(30)의 삽입부(31)가 삽입되도록 단열보강홈(22c)이 형성되어 있고 단열보강홈(22c)의 일측에 판넬간격조절부재(10)의 삽입부(13c)가 삽입되도록 조립홈(22b)이 형성되어 있는 시멘트층(22)과, 시멘트층(22)의 외측면에 도포되어서 시멘트층(22)을 마감하는 화강무늬층(2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복합판넬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스티로폼층(21)의 결합구멍(21a')은 시멘트층(2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단면지름이 점차 증가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고, 시멘트층(22)의 결합기둥(22a')은 그 둘레가 스티로폼층(21)의 결합구멍(21a')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스티로폼층(21)과 시멘트층(22)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복합판넬구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4개의 단위단열복합판넬(20)들이 맞닿은 네 모서리 부위의 단열보강홈(22c)들에는,
    네 모서리 부위를 고정시키고 모서리 부위의 열누출을 차단하도록 모서리마감판(4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복합판넬구조.
  7. 일측이 벽체에 고정되고 타측 부분이 벽면으로부터 벌어지거나 벽면측으로 좁혀지도록 가변되며 타측과 벽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판넬간격조절부재와, 판넬간격조절부재의 타측에 결합되며 다수가 서로 조합되어서 벽면의 전방에 설치되는 단위단열복합판넬과, 단위단열복합판넬 사이에 결합되어서 인접한 두 단부를 고정시키고 단위단열복합판넬 사이의 열누출을 차단하는 연결대와, 4개의 단위단열복합판넬들이 맞닿은 네 모서리 부위의 단열보강홈들에 결합되는 모서리마감판로 이루어진 단열복합판넬구조를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벽체(1)의 벽면에 판넬간격조절부재(10)의 고정브라켓(11)을 고정시키고 이 고정브라켓(11)에 간격조절볼트(14)로 설치브라켓(13)을 결합시키며 설치브라 켓(13)과 벽체(1)와의 간격을 간격조절볼트(14)로 조절하여서 단위단열복합판넬(20)이 벽체(1)의 전방에 평평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판넬간격조절부재 결합단계(S10);
    단위단열복합판넬(20)의 내측면에 접착제(2)를 도포하고 단위단열복합판넬(20)의 조립홈(22b)을 설치브라켓(13)의 삽입부(13c)에 끼워서, 단위단열복합판넬(20)이 벽체(1)에 부착되고 판넬간격조절부재(1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단위단열복합판넬 설치단계(S20);
    인접한 두 단위단열복합판넬(20)들 사이의 단열보강홈(22c)들에 연결대(30)의 삽입부(31)를 삽입시켜서 두 단위단열복합판넬(20)들을 결합시키고 이들 사이의 열누출을 차단시키는 연결대 결합단계(S30);
    4개의 단위단열복합판넬(20)들이 맞닿은 네 모서리 부위의 단열보강홈(22c)들에 모서리마감판(40)을 삽입시키켜서 4개의 단위단열복합판넬(20)들을 결합시키고 이들 사이의 열누출을 차단시키는 모서리마감판 결합단계(S40);
    인접한 두 단위단열복합판넬(20)들의 틈새에 스티로폼재의 마감띠(50)를 삽입시켜서 이들 사이의 열누출을 차단시키는 마감띠 삽입단계(S50);
    마감띠(50)가 삽입된 두 단위단열복합판넬(20)들의 틈새에 실리콘 코킹재(60)를 주입하는 코킹단계(S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복합판넬구조 시공방법.
KR1020090101848A 2009-10-26 2009-10-26 단열복합판넬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947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848A KR100947053B1 (ko) 2009-10-26 2009-10-26 단열복합판넬구조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848A KR100947053B1 (ko) 2009-10-26 2009-10-26 단열복합판넬구조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7053B1 true KR100947053B1 (ko) 2010-03-10

Family

ID=42183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1848A KR100947053B1 (ko) 2009-10-26 2009-10-26 단열복합판넬구조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05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383B1 (ko) 2012-08-07 2013-04-05 대보페인트 주식회사 외단열 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단열 시공방법
KR200467261Y1 (ko) * 2012-10-24 2013-06-07 천흥륭석재(주) 외장단열패널
WO2015010150A1 (de) * 2013-07-24 2015-01-29 Wolfgang Winter Befestigungssystem für dämmelemente
KR102109533B1 (ko) 2020-01-13 2020-05-13 주식회사 건정종합건축사사무소 방음효과가 우수한 친환경 건축 내장패널
CN115198959A (zh) * 2022-07-26 2022-10-18 昆明华城兴建材有限公司 一种隐藏锚固式纤维水泥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766B1 (ko) * 2007-10-17 2009-03-04 이영구 건축용 판넬과 이의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766B1 (ko) * 2007-10-17 2009-03-04 이영구 건축용 판넬과 이의 설치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383B1 (ko) 2012-08-07 2013-04-05 대보페인트 주식회사 외단열 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단열 시공방법
WO2014025165A1 (ko) * 2012-08-07 2014-02-13 대보페인트 주식회사 외단열 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단열 시공방법
KR200467261Y1 (ko) * 2012-10-24 2013-06-07 천흥륭석재(주) 외장단열패널
WO2015010150A1 (de) * 2013-07-24 2015-01-29 Wolfgang Winter Befestigungssystem für dämmelemente
CN105612298A (zh) * 2013-07-24 2016-05-25 温特法斯有限公司 用于隔热元件的固定系统
KR102109533B1 (ko) 2020-01-13 2020-05-13 주식회사 건정종합건축사사무소 방음효과가 우수한 친환경 건축 내장패널
CN115198959A (zh) * 2022-07-26 2022-10-18 昆明华城兴建材有限公司 一种隐藏锚固式纤维水泥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7053B1 (ko) 단열복합판넬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649969B1 (ko) 건식 마감이 용이한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외벽 건식 단열 시공 방법
KR101781378B1 (ko) 슬라브 옥상 스틸방수 시스템
KR101939180B1 (ko) 건물 벽체용 내외부 단열재 및 외장패널의 일체화 시공방법 및 그 일체화 된 벽체구조
JP6204009B2 (ja) パネルユニット接合構造及びパネルユニット
US20120073230A1 (en) Pre-engineered brick panel and methods of making and installing same
KR100411948B1 (ko) 커튼월용 조립유리패널
KR101061030B1 (ko) 건물의 벽체 구조물
KR101508960B1 (ko) 외단열 벽체의 창틀 시공방법
KR20110133182A (ko) 건축물 내·외벽 및 바닥의 석재패널 시공방법
KR101522821B1 (ko) 건축물 개구부의 내진 보강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 시공 방법
KR101842150B1 (ko) 시공성이 향상된 패널 고정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709229B1 (ko) 타일 설치용 브라켓
JP2010064373A (ja) 断熱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パネルの製造方法
KR101730589B1 (ko) 건축구조물의 방수보호용 조립식 패널
KR101679321B1 (ko) 타이 수평 직조립형 단열재폼 패널
KR101618805B1 (ko) 기존 건축물에의 부착력 향상을 통하여 단열성능 및 구조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리모델링 방법
KR20180072267A (ko) 건축물용 조립식 거푸집 패널
KR101086058B1 (ko) 건축용 바닥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바닥시공방법
KR101231779B1 (ko) 돌출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그 시공방법
JP2007217871A (ja) 乾式基礎及びその構築方法
KR200480623Y1 (ko) 건축물의 외부단열 시공구조
KR101473099B1 (ko)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
KR102159321B1 (ko) 단열 갱폼 및 건물벽체 시공 방법
CN110284618B (zh) 一种保温墙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