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6829B1 - 홈 네트웍에서 특정 미디어 데이터 재생 기기의 구분 및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홈 네트웍에서 특정 미디어 데이터 재생 기기의 구분 및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6829B1
KR100946829B1 KR1020030018581A KR20030018581A KR100946829B1 KR 100946829 B1 KR100946829 B1 KR 100946829B1 KR 1020030018581 A KR1020030018581 A KR 1020030018581A KR 20030018581 A KR20030018581 A KR 20030018581A KR 100946829 B1 KR100946829 B1 KR 100946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network
processing protocol
media data
graphic object
reproduction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8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3889A (ko
Inventor
송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8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6829B1/ko
Publication of KR20040083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3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7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네트웍에서 특정 미디어 데이터 재생 기기의 구분 및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텍스트 또는 아이콘 형태의 재생 표시 폰트 객체와 해당 기기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가 합성된 이미지를 특정 홈 네트웍 기기의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홈 네트웍에 연결된 다른 기기의 그래픽 객체와 구분되게 하여 사용자가 특정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기기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홈, 네트웍, 그래픽, 객체, 구분, 미디어, 데이터

Description

홈 네트웍에서 특정 미디어 데이터 재생 기기의 구분 및 표시 방법{Method for discerning and displaying a media data player in home network}
도 1은 일반적인 홈 네트웍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홈 네트웍 기기간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일반적으로 특정 미디어 데이터 재생 기기를 다른 기기와 구분하지 않고 화면에 표시하는 양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일반적인 UPnP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웍에서 특정 미디어 데이터 재생 기기의 구분 및 표시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테이블을 예로 들어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특정 미디어 데이터 재생 기기를 화면에 구분되게 표시하는 양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텍스트 또는 아이콘 형태의 재생 표시 폰트 객체와 해당 기기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가 합성된 이미지를 특정 홈 네트웍 기기의 화면에 표시함으 로써 홈 네트웍에 연결된 다른 기기의 그래픽 객체와 구분되게 하여 사용자가 특정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기기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홈 네트웍에서 특정 미디어 데이터 재생 기기의 구분 및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기술의 발전으로 PC뿐만 아니라 휴대 전화, 디지털 TV, PDA, 게임기 등 다양한 기기들이 하나의 네트웍에 연결되고 있으며, 이러한 네트웍 환경이 가정 내로 파급되면서 홈 네크웍 기술이 각광을 받고 있다.
전술한 홈 네트웍 기술은 가정내의 기기들을 하나의 망(topology)으로 연결해 이들이 서로의 디지털 데이터를 공유하고 광대역 통신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환경을 말하며, 협의로는 가정내의 홈 네트웍 기기들을 연결하는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 장비 그 자체를 의미하고, 광의로는 그 장비뿐만 아니라 홈 네트웍 기기 상호간의 통합/제어/운영을 위한 미들웨어나, 서비스 등을 포괄한다.
이러한 홈 네트웍은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정내의 피제어 기기들과 제어기기가 하나의 망(topology)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기기들이 경우에 따라 홈 게이트웨이를 통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 : Internet service provider)에 연결되어 여러 가지의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홈 네트웍의 동작 과정, 특히, 제어 기기와 피제어 기기간의 동작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정내의 피제어 기기들과 제어기기가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서버로부터 홈 IP(Internet Protocol)주소를 할당받는다.
그런 다음, 피제어 기기들이 할당받은 자신의 홈 IP 주소를 이용해 UUID(Unique Universal Identifier)데이터 및 자신의 기기 정보 예를 들면, 제품명이나 모델명 또는 시리얼 번호 등의 기기 정보를 그 제어 기기로 멀티캐스팅하면, 제어 기기는 멀티 캐스팅된 정보를 통해 자신에게 연결된 피제어 기기들을 발견하고 인식한 후, 각 피제어 기기들에게 자신들이 제공해 줄 수 있는 서비스, 즉 특정 기능을 나타내는 정보들 예컨대, 기기 자신들의 현재 상태를 알려주는 이벤트 정보나 제어에 필요한 정보들을 요청한다.
이 요청에 따라 각 피제어 기기들은 자신들이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그 제어 기기로 전송하고, 제어 기기는 이렇게 전송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이용해 피제어 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술한 일련의 동작 과정을 통해 제어 기기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여러 피제어 기기들의 상태 변화를 관찰하면서 그에 따라 각 피제어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받게 되며, 제어 기기, 예컨대 DTV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웍에 연결된 기기들을 해당 그래픽 객체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기기의 미디어 데이터 리스트를 해당 기기의 그래픽 객체 옆에 표시해 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표시된 미디어 데이터 리스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기기들을 화면에 표시해 주는데, 이 때 도 3에서처럼 그 표시하는 부분이 화면 일부를 가려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화면을 시청하는데 불편함을 느끼게 하는 문제점을 초래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텍스트 또는 아이콘 형태의 재생 표시 폰트 객체와 해당 기기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가 합성된 이미지를 특정 홈 네트웍 기기의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홈 네트웍에 연결된 다른 기기의 그래픽 객체와 구분되게 하여 사용자가 특정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기기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홈 네트웍에서 특정 미디어 데이터 재생 기기의 구분 및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4에 도시된 UPnP의 기본 구조를 설명하는데, 이러한 구조의 UPnP는 본 발명의 홈 네트웍에 가장 바람직하게 적용되는 미들웨어 중 하나이다.
상기 도 4에서, 콘트롤 포인트(control point)(이하, "CP"로 약칭함)는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고, 미디어 서버(Media server)는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기기를 나타내며, 미디어 렌들러(Media renderer)는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기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와 같은 UPnP뿐만 아니라 HAVi(Home Audio/Video interoperability), JiNi(Java Intelligent Network Infra-structure), LnCP(Living network Control Protocol) 등 다양한 홈 네트워크 미들웨어 표준 규격도 본 발명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홈 네트웍 동작을 하기 위해 필요한 몇 가지 기본 사양을 갖추어야 하는데,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홈 네트웍 기기, 즉 CP, 미디어 서버, 미디어 렌들러와 같은 기기들의 운용체제인 리얼 타임 OS(RTOS)의 TCP/IP계층위에 "응용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는 상태를 전제로 하여 본 발명은 성립되는데, 이는 종래 기술에 속하는 것으로 여기서는 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상기 "응용 애플리케이션"은,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처리모듈, 기기 검색 처리 모듈, 서비스 인식 처리 모듈, 이벤트 처리 모듈을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다.
상기 DHCP처리 모듈은 DHCP서버로부터 할당받은 자신의 사설 어드레스인 로컬 IP주소(이하 "로컬 IP"로 약칭함)를 관리하기 위한 모듈로서, 본 발명의 CP, 미디어 서버, 미디어 렌들러는 각기 이러한 TCP/IP를 기반으로 자신의 로컬 IP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기기 검색 처리 모듈은 피제어 기기가 제어 기기에게 자신의 존재에 대해 광고하여 그 제어 기기로 하여금 피제어 기기를 인식할 수 있게 하는 모듈로서, 이 모듈을 통해 피제어 기기는 제어 기기에게 네트웍 케이블 연결시 자신의 존재를 알릴 수 있게 되고, 제어 기기는 이 정보를 통해 피제어 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 CP는 하나의 제어 기기이고, 미디어 서버 또는 미디어 렌들러는 하나의 피제어 기기이다.
또한, 상기 서비스 인식 처리 모듈은 기기 검색 처리 모듈에 의해 인식된 기기가 제공하는 서비스 파일을 이용해 그 기기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인식할 수 있게 하는 모듈이다.
상기 서비스 파일은 크게 각 기기 모델의 상세 정보를 알려 주는 서비스 파일과, 기기의 서비스 기능 등을 알려주는 서비스 기능 파일로 구분되며, 이러한 모듈을 통해 제어 기기가 피제어 기기의 서비스에 대해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이벤트 처리모듈은 각 기기의 현재 상태(State)를 알려주는 모듈이며, 프리젠테이션 처리 모듈은 각 기기가 제공하는 여러 가지 서비스 기능 등을 사용자에게 프리젠테이션해 주는 모듈로서 이는 홈 네트웍의 기본 스펙에서 하나의 옵션으로 제공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사용되는 CP, 미디어 서버, 미디어 렌들러와 같은 각 기기는 하나의 노드로서 동작하기 위해, 자신의 기본 TCP/IP 계층위에 전술한 애플리케이션이 기본적으로 탑재되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상태를 전제로 하여 성립한다.
이하,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전술한 시스템에 적용되는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웍에서 미디어 데이터 재생 기기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먼저, 기기들이 홈 네트웍에 연결되면 CP가 홈 네트웍에 연결된 기기들의 기설정된 해당 그래픽 객체를 자신의 화 면에 표시한다(S500).
그런 다음,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 키 신호에 따라 특정 그래픽 객체가 선택되면(S501), 선택된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기기의 미디어 데이터 리스트를 검출하는데(S502), 이 때, 해당 기기의 그래픽 객체는 CP에 미리 셋팅된 것이며, 상기 미디어 데이터 리스트는 홈 네트웍 연결시 해당 기기로부터 수신한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수신한 미디어 데이터 리스트를 해당 기기별로 매칭시켜 기셋팅된 소정의 테이블에 저장하게 되는데, 상기 테이블은 룩업테이블(look-up table)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CP의 화면에 표시된 그래픽 객체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기기의 미디어 데이터 리스트를 상기 기셋팅된 테이블에서 탐색하여 검출한다.
그리고 나서, 검출한 미디어 데이터 리스트를 설정 표시 알고리즘에 따라 CP의 화면에 표시하는데(S504), 본 발명에서는 미디어 데이터 리스트가 해당 기기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의 옆에 나란히 표시되도록 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미디어 데이터 리스트가 CP의 화면에 표시되면,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 키 신호에 따라 표시된 미디어 데이터 리스트 중에서 특정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한다(S505).
그런 다음, 선택된 특정 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해당 기기의 재생 처리 프로토콜을 기셋팅된 테이블에서 검출하고(S506), 검출한 재생 처리 프로토콜과 동일한 프로토콜이 있는 가를 판별한다(S507).
즉, 선택된 특정 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해당 기기의 재생 처리 프로토콜을 기셋팅된 테이블에서 검출하는데, 상기 재생 처리 프로토콜은 홈 네트웍 연결시 해당 기기로부터 전송받아 해당 기기별로 매칭시켜 상기 테이블에 저장한 것이다.
그리고, 선택된 특정 미디어 데이터의 해당 재생 처리 프로토콜을 검출하고 나면, 검출한 재생 처리 프로토콜과 동일한 재생 처리 프로토콜이 있는 가를 상기 테이블 또는 별도의 기셋팅된 테이블에서 탐색하여 판별하게 된다.
상기 판별 동작은 홈 네트웍에 연결된 기기마다 재생 처리 프로토콜이 상이하며, 동일한 재생 처리 프로토콜을 가진 기기간에만 해당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기 때문에, 요구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재생 처리 프로토콜의 동일 유무에 대한 판별 결과, 상기 검출한 재생처리 프로토콜과 동일한 재생 프로토콜이 있을 경우엔, 그 동일한 재생 처리 프로토콜을 독출하고, 독출한 재생 처리 프로토콜에 대응되는 해당 기기의 그래픽 객체를 홈 네트웍에 연결된 다른 기기의 그래픽 객체와 구분되게 CP의 화면에 표시하여 본 발명을 종료하는데, 구분되게 표시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재생 처리 프로토콜의 동일 유무에 대한 판별 결과, 상기 검출한 재생 처리 프로토콜과 동일한 재생 처리 프로토콜이 있을 경우엔, 먼저 상기 동일한 재생 처리 프로토콜을 가진 해당 기기의 그래픽 객체를 독출한다.
그리고, 상기 그래픽 객체의 독출과 동시에 또는 각기, CP내에 미리 셋팅되어 있는 그래픽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재생 표시 폰트 객체를 탐색하여 검출한다.
이 때, 재생 표시 폰트 객체의 저장 위치를 포인터로 지시하도록 하며, 이러한 포인터 정보는 해당 객체와 링크트 리스트로 연결되도록 하여 그 정보를 인덱스 어레이로 저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검출한 재생 처리 프로토콜과 동일한 재생 처리 프로토콜이 있다고 판별된 데이터에 따라 재생 표시 폰트 객체가 저장된 위치를 지시하는 포인터(pointer)를 독출하여 그 폰트 객체에 링크트 리스트(linked list)로 연결되어 미리 저장된 인덱스 어레이(index array)를 참조하여 해당 재생 표시 폰트 객체를 검출한다.
한편, 재생 표시 폰트 객체가 검출되면, 검출된 재생 표시 폰트 객체를 상기 선택된 미디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해당 기기의 그래픽 객체와 합성(mixing)하여(S508) CP의 화면에 표시한다(S509).
그 결과, 상기 재생 표시 폰트 객체와 그래픽 객체를 합성한 이미지를 CP의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홈 네트웍에 연결된 다른 기기의 그래픽 객체와 구분되어 사용자는 선택된 특정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기기를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선택된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기기가 없을 경우에는 그 사실을 알려주는 기설정된 소정의 그래픽 또는 텍스트 객체를 검출하여(S510) 화면의 설정 표시 위치에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511).
다음, 그래픽 객체를 구분되게 표시하는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재생 처리 프로토콜의 동일 유무에 대한 판별 결과, 상기 검출한 재생 처리 프로토콜과 동일한 재생 처리 프로토콜이 있을 경우엔, 먼저 상기 동일한 재생 처리 프로토콜을 가진 해당 기기의 그래픽 객체를 독출한다.
그런 다음, 상기 검출한 재생 처리 프로토콜과 동일한 재생 처리 프로토콜이 있을 경우에, 상기 동일한 재생 처리 프로토콜을 가진 해당 기기의 그래픽 객체를 독출한다.
그리고, 상기 그래픽 객체의 독출 단계와 동시에 또는 각기, 미리 셋팅된 텍스트 라이브러리에 기설정된 재생 표시 텍스트 객체를 검출하는데, 상기 재생 표시 텍스트 객체는 숫자나 특수 문자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재생 표시 텍스트 객체를 검출하고 나면, 이렇게 검출한 재생 표시 텍스트 객체를 상기 동일한 재생 처리 프로토콜을 가진 해당 기기의 그래픽 객체와 합성(mixing)한다.
그리고 나서, 마지막으로, 상기 재생 표시 텍스트 객체와 그래픽 객체를 합성한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여 홈 네트웍에 연결된 다른 기기의 그래픽 객체와 구분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는 선택된 특정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기기를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는, 도 6a와 도 6b를 설명하는데, 상기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셋팅 테이블을 예로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6a는 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미디어 서버별로 해당 재생 처리 프로토콜과 그 미디어 데이터를 매칭시킨 양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여기서 재생 처리 프로토콜은 "HTTP-Get", "RTP -RTSP", "1394"등이 있는데 각 미디어 서버 별로 자신의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그 재생 처리 프로토콜이 다름을 알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렇게 미디어 서버별로 재생 처리 프로토콜이 다르다는 것을 이용해 동일한 재생 처리 프로토콜을 가진 미디어 렌들러의 해당 그래픽 객체만을 구분되게 화면에 표시하도록 하여 종래보다 화면을 많이 가리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이를 쉽게 인식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도 6b는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미디어 렌들러별로 해당 재생 처리 프로토콜을 매칭시킨 양태에 대해 도시한 도면으로서, 예를 들면, MR1은 RTP -RTSP프로토콜을 가진 미디어 서버의 해당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도면상의 1 ~ N은 프로토콜의 해당 bit code를 나타낸다.
다음으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특정 미디어 데이터 재생 기기를 화면에 구분되게 표시하는 양태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미디어 데이터, 즉, MP3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기기는 "Audio"와 "PC"인데, 그 화면에서와 같이, 해당 그래픽 객체가 홈 네트웍에 연결되어 표시된 다른 기기의 해당 그래픽 객체와는 달리 구분되게 표시되는데, 여기서는 MP3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기기의 그래픽 개체의 바탕색이 반전되어 있으며, 그 객체의 특정 위치에 숫자의 텍스트 객체가 표시되어 다른 그래픽 객체와 구분되어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홈 네트웍에서 특정 미디어 데이터 재생 기기의 구분 및 표시 방법은 텍스트 또는 아이콘 형태의 재생 표시 폰트 객체와 해당 기기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가 합성된 이미지를 특정 홈 네트웍 기기의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홈 네트웍에 연결된 다른 기기의 그래픽 객체와 구분되게 하여 사용자가 특정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기기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5)

  1. 콘트롤 포인트(CP)가 특정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기기의 해당 미디어 데이터 리스트를 기설정된 표시 알고리즘에 따라 자신의 화면에 표시하는 제 1 단계;
    사용자 조작 키 신호에 따라 선택된 특정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처리 프로토콜을 검출하는 제 2 단계;
    홈 네트웍에 연결된 기기들 중에서 상기 검출한 재생 처리 프로토콜과 동일한 재생 처리 프로토콜을 가진 기기가 있는가를 판별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판별 결과, 상기 검출한 재생 처리 프로토콜과 동일한 재생 처리 프로토콜을 가진 기기가 있을 경우에, 상기 동일한 재생 처리 프로토콜을 가진 해당 기기의 그래픽 객체를 홈 네트웍에 연결된 다른 기기의 그래픽 객체와 구분되게 표시하는 제 4 단계로 이루어지는, 홈 네트웍에서 특정 미디어 데이터 재생 기기의 구분 및 표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 전에;
    콘트롤 포인트가 홈 네트웍에 연결된 기기의 재생 처리 프로토콜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기기별로 미리 셋팅된 특정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웍에서 특정 미디어 데이터 재생 기기의 구분 및 표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룩업테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웍에서 특정 미디어 데이터 재생 기기의 구분 및 표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제 3 단계의 판별 결과, 상기 검출한 재생 처리 프로토콜과 동일한 재생 처리 프로토콜이 있을 경우에, 상기 동일한 재생 처리 프로토콜을 가진 해당 기기의 그래픽 객체를 독출하는 단계;
    미리 셋팅된 그래픽 라이브러리에 기설정된 재생 표시 폰트 객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한 재생 표시 폰트 객체를 상기 그래픽 객체와 합성(mixing)하는 단계; 및
    상기 재생 표시 폰트 객체와 그래픽 객체를 합성한 이미지를 콘트롤 포인트의 화면에 표시하여 홈 네트웍에 연결된 다른 기기의 그래픽 객체와 구분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웍에서 특정 미디어 데이터 재생 기기의 구분 및 표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제 3 단계의 판별 결과, 상기 검출한 재생 처리 프로토콜과 동일한 재생 처리 프로토콜이 있을 경우에, 상기 동일한 재생 처리 프로토콜을 가진 해당 기기의 그래픽 객체를 독출하는 단계;
    미리 셋팅된 텍스트 라이브러리에 기설정된 재생 표시 텍스트 객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한 재생 표시 텍스트 객체를 상기 그래픽 객체와 합성(mixing)하는 단계; 및
    상기 재생 표시 텍스트 객체와 그래픽 객체를 합성한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여 홈 네트웍에 연결된 다른 기기의 그래픽 객체와 구분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웍에서 특정 미디어 데이터 재생 기기의 구분 및 표시 방법.
KR1020030018581A 2003-03-25 2003-03-25 홈 네트웍에서 특정 미디어 데이터 재생 기기의 구분 및표시 방법 KR100946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581A KR100946829B1 (ko) 2003-03-25 2003-03-25 홈 네트웍에서 특정 미디어 데이터 재생 기기의 구분 및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581A KR100946829B1 (ko) 2003-03-25 2003-03-25 홈 네트웍에서 특정 미디어 데이터 재생 기기의 구분 및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889A KR20040083889A (ko) 2004-10-06
KR100946829B1 true KR100946829B1 (ko) 2010-03-09

Family

ID=37367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8581A KR100946829B1 (ko) 2003-03-25 2003-03-25 홈 네트웍에서 특정 미디어 데이터 재생 기기의 구분 및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682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1163A (ja) 2001-07-31 2003-02-28 Hewlett Packard Co <Hp> 同一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が利用可能な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1163A (ja) 2001-07-31 2003-02-28 Hewlett Packard Co <Hp> 同一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が利用可能な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889A (ko) 2004-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3830B2 (en) Information-provision control method, information reproduction system, information-provision apparatus, information reproduc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presentation control program
KR100932813B1 (ko) 동일 유형의 홈 네트웍 기기를 위치별로 구분 및 표시하는장치
KR100643282B1 (ko) UPnP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기기를 식별하는 방법,식별된 특정 기기를 통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 및장치
JP5056373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EP2196914B1 (en) Network system, control device, terminal device and connection state discrimination method
US7568042B2 (en) Networked local media cache engine
US20070258718A1 (en) Method and system for extending internet protocol remote control to non-internet protocol devices
KR100782836B1 (ko) 컨텐츠 관리 방법, 장치 및 저장매체와 이를 이용한 적응적컨텐츠 재생 방법
US89285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device based on intuitive selection
CN102263782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信息处理系统
JP5314840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及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WO2006062375A1 (en) Structure of objects stored in a media server and improving accessibility to the structure
CN102594795A (zh) 网络系统、内容再现接管方法和程序
JP2009077109A (ja) 名称変更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0946829B1 (ko) 홈 네트웍에서 특정 미디어 데이터 재생 기기의 구분 및표시 방법
KR101329668B1 (ko) 푸쉬 서버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시스템 및 방법
JP4529478B2 (ja) 情報再生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情報再生方法および情報管理プログラム
KR20040075218A (ko) 홈 네트웍에서의 미디어 데이터 자동 처리 방법
KR20100087483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컨트롤 포인트 및 이를 위한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