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6779B1 - 장력조절기구를 구비한 필름테이프기판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장력조절기구를 구비한 필름테이프기판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6779B1
KR100946779B1 KR1020070105323A KR20070105323A KR100946779B1 KR 100946779 B1 KR100946779 B1 KR 100946779B1 KR 1020070105323 A KR1020070105323 A KR 1020070105323A KR 20070105323 A KR20070105323 A KR 20070105323A KR 100946779 B1 KR100946779 B1 KR 100946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tape
tape substrate
reel
film
un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5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9868A (ko
Inventor
김종완
전성진
이한웅
Original Assignee
(주)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에스 filed Critical (주)엔에스
Priority to KR1020070105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6779B1/ko
Publication of KR20090039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9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14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xamin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01Optical details; Scanning 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16Inspection; Monitoring; Aligning

Landscapes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re 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력조절기구를 구비한 필름테이프기판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주요 구성은 외부 몸체를 이루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는 풀림릴;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기 풀림릴 반대쪽 일측에 장착되는 감김릴; 상기 풀림릴과 상기 감김릴 사이에 설치되는 검사기; 상기 풀림릴 및 상기 감김릴과 상기 검사기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스프로킷휠; 및 상기 두 릴과 상기 스프로킷휠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장력조절기구;로 이루어진 필름테이프기판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기구는, 상기 필름테이프기판에 맞닿음된 상태로 경사 이동하면서 상기 필름테이프기판을 느슨하게 또는 팽팽하게 하는 방향으로 승강하는 이동체; 및 경사 이동로에 의해 상기 이동체를 경사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로 이루어지며, 위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필름테이프기판의 장력을 조절하는 이동체가 지지되는 경사 이동로의 경사각도를 완만하게 함으로써, 풀림릴이나 감김릴의 동작이 회전에서 정지로 또는 정지에서 회전으로 바뀔 때 이동체로부터 필름테이프기판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여, 이로 인한 필름테이프기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CP, COF, 필름, 검사, 장력, 조절, 이동체, 경사 이동로

Description

장력조절기구를 구비한 필름테이프기판 검사장치{Film tape board inspection system provided with a tension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필름테이프기판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TCP(Tape Carrier Package) 또는 COF(Chip On Flexible Printed Circuit)와 같이 일종의 회로기판으로서 얇고 잘 휘어지면서 반도체 칩을 직접 부착하도록 되어 있는 필름테이프기판의 이상 유무를 검사할 때, 스프로킷휠에 의해 풀림릴에서 감김릴로 이동하는 필름테이프기판의 장력을 안정적으로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장력조절기구를 구비한 필름테이프기판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LCD와 같은 첨단 정보통신기기의 소형화 및 박형화는 일반적인 추세이며, 이러한 소형화 및 박형화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 하나로 패키징 기술을 들 수 있는데, 이 패키징 기술은 소재나 공정 기술이 혁신됨에 따라 날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그 한 예로 액정기판이나 휴대폰 또는 노트북 등의 접을 수 있는 전자제품에 주로 적용되는 필름테이프기판을 들 수 있다. 이 필름테이프기판은 일종의 기판으로서, 전자제품이 소형, 경량화됨에 따라 TAB(Tape Automated Bonding), TBGA(Tape Ball Grid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TCP(Tape Carrier Package), COF(Chip on Film) 등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이들 필름테이프기판은 일반 필름이나 영화용 필름과 같이 얇고 휘기 쉬운데다가, 연이어 길게 붙어 있기 때문에, 영화용 필름을 보관하듯 도 1에 101로 도시된 바와 같이 릴(102) 위에 감아 보관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성 베이스 필름(103), 이 베이스 필름(103) 위에 사진 식각에 의해 형성된 다양한 형태의 배선패턴(104), 및 이 배선패턴(104)에 연결되도록 베이스 필름(103)의 중앙에 본딩되어 있는 반도체 칩(105)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베이스 필름(103)은 외면에 배선패턴(104)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막(106)이 도포되어 있고, 좌우 양단에는 필름테이프기판(101)을 견인하기 위한 스프로킷 구멍(107)이 일렬로 천공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필름테이프기판(101)은 얇은 베이스 필름(103)을 기부로 하고, 이 베이스 필름(103) 외면에 도포되는 보호막(106)에 의해서만 보호되는데다가, 베이스 필름(103) 위에 본딩되는 반도체 칩(105)이 베이스 필름(103) 위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릴(102) 위에 여러 겹으로 감길 경우, 견인 장력이나 자중으로 인해 발생하는 면압에 의해 손상되기 쉬웠다.
위와 같이 필름테이프기판(101) 끼리 직접적으로 접촉함으로써 발생하는 손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01)과 기판(101) 사이에 간지(108)를 개재하게 되었다. 이 간지(108)는 셀로판지와 같은 가볍고, 비교적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로 필름테이프기판(101)과 같이 길고 가늘게 제작되며,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필름테이프기판(101) 위쪽에 덮여 릴(102)과 함께 감김으로써, 롤 형태로 보관되는 필름테이프기판(101)의 배선패턴(104)이나 반도체 칩(105)이 단락 또는 단선되거나 파손되는 등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간지(108)는 예컨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변을 따라 길게 요철 형태의 엠보싱(109)을 형성함으로써, 필름테이프기판(101)의 위아래로 여유공간을 확보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와 같이 릴(102)에 감겨 보관되는 TCP 또는 COF와 같은 필름테이프기판(101)은 LCD나 휴대폰 등 각종 박형 IT제품의 생산라인에 투입되기 전에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검사장치(110)에 의해 스크래치나 크랙, 패턴(104)의 단선이나 단락, 반도체 칩(105)의 파손, 또는 이물질 부착 등 있을 수 있는 각종 이상 유무를 검사 받는데, 이를 위해 검사장치(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할 필름테이프기판(101)이 감겨 있는 풀림릴(102), 풀림릴(102)에서 풀려 검사를 마친 필름테이프기판(101)을 다시 감아 보관하는 감김릴(102'), 풀림릴(102)과 감김릴(102') 사이에 장착되어 필름테이프기판(101)을 실질적으로 검사하는 화상검사기(130), 풀림릴(102)과 화상검사기(130) 그리고 화상검사기(130)와 감김릴(102') 사이에 장착되어 풀림릴(102)에서 감김릴(102')로 필름테이프기판(101)을 견인하는 좌우 한 쌍의 스프로킷휠(140,140'), 및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들 부품들이 고정되어 지지되는 지지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이 검사장치(110)에 의하면, 검사할 필름테이프기판(101)이 풀림릴(102)에서 풀린 후, 풀림측 스프로킷휠(140)에 의해 견인되어 화상검사기(130)를 지나면서 다양한 형태의 이상유무가 검사, 확인된다. 이렇게 해서 검사가 끝난 필 름테이프기판(101)은 계속해서 감김측 스프로킷휠(140')에 의해 견인된 감김릴(102')에 감겨 들어간다. 이때, 감김릴(102)에서 풀린 간지(108)는 장력조절기구(150)를 거친 후 직접 감김릴(102')로 접근하여 필름테이프기판(101) 위에 겹쳐지면서 함께 감긴다.
그런데, 이와 같이 검사장치(110)에 의해 필름테이프기판(101)을 검사함에 있어 화상검사기(130)로 투입되는 필름테이프기판(101)의 이동속도가 반드시 일정해야 하는 바, 스프로킷휠(140)에 의해 필름테이프기판(101)의 투입속도를 등속으로 유지한다.
이에 반해, 풀림릴(102)에서 풀리는 필름테이프기판(101)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풀림릴(102)에 감겨 있는 권취경이 점차 작아지기 때문에, 관성 모먼트(I)가 작아져 각속도(ω)가 변화되므로, 풀리는 속도 즉, 선속도(v)가 변화되는 등 시간 경과에 따라 이동속도에 변동이 생긴다. 따라서, 풀림릴(102)의 회전속도 제어를 통해 풀림측 스프로킷휠(140)로 투입되는 필름테이프기판(101)의 이동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가 거의 곤란하다.
이에 따라, 검사장치(110)는 풀림릴(102)과 풀림측 스프로킷휠(140) 사이에, 마찬가지로 감김릴(102')과 감김측 스프로킷휠(140') 사이에 필름장력 조절기구(160,160')를 각각 설치함으로써, 풀림릴(102) 또는 감김릴(102')에 의해 풀리거나 감기는 필름테이프기판(101)의 이동속도 변동을 흡수하도록 되어 있는 바, 이 필름장력 조절기구(160,160')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입출력측 안내롤(163,164)과 이 두 안내롤(163,164) 중간 아래쪽에서 필름테이프기판(101) 위에 감겨 지지되 는 중량롤(165)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필름장력 조절기구(160,160')에 의하면, 풀림릴(102)의 풀림속도가 풀림측 스프로킷휠(140)의 회전속도보다 빠를 때는 필름테이프기판(101)이 늘어지기 때문에 중량롤(165)이 아래로 낙하하면서 필름테이프기판(101)의 투입여유를 흡수하고, 반대로 풀림릴(102)의 풀림속도가 풀림측 스프로킷휠(140)의 회전속도보다 느릴 때는 필름테이프기판(101)이 팽팽해지기 때문에 중량롤(165)이 상승하면서 필름테이프기판(101)의 투입부족을 흡수함으로써 필름테이프기판(101)의 장력을 조절하여 스프로킷휠(140)에 의한 화상검사기(130)로의 필름테이프기판(101)의 등속 투입이 무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검사장치(110)에 채용된 위와 같은 필름장력 조절기구(160,160')는 자유 낙하하도록 되어 있는 중량롤(165)에 의해 필름테이프기판(101)의 장력을 조절하므로, 특히, 풀림릴(102)의 회전이 막 개시된 때 또는 막 정지한 때 중력가속도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아 필름테이프기판(101)에 걸리는 장력이 급격하게 변동되기 때문에, 감김릴(102')에 감기는 필름테이프기판(101)의 권취 강도가 불규칙하게 되거나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풀림릴(102)에 감겨 있는 필름테이프기판(101)에 엇감김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이러한 엇감김으로 인해 필름테이프기판(101)과 그 안 쪽 간지(108)가 서로 어긋나게 됨으로써 안 쪽 간지(108) 특히, 이 간지(108)의 엠보싱(109)에 의해 필름테이프기판(101)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필름테이프기판 검사장치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풀림릴 또는 감김릴이 필름테이프기판을 풀거나 감기 위해 회전하는 속도와 스프로킷휠이 화상검사기로 또는 화상검사기에서 필름테이프기판을 견인하기 위해 회전하는 속도의 차이로 인한 필름테이프기판의 이동속도 변동을 좌우로 구름 이동하도록 설치된 구름롤의 좌우 이동에 의해 흡수함으로써, 필름테이프기판에 걸리는 장력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것을 막고, 따라서 풀림릴이나 감김릴에 감긴 필름테이프기판에 엇감김 등 오정렬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결과적으로 간지 위에 엇감김되는 등 오정렬된 필름테이프기판이 간지 특히, 간지의 엠보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외부 몸체를 이루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어 검사할 필름테이프기판과 상기 필름테이프기판 위의 간지를 함께 풀어내는 풀림릴;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기 풀림릴 반대쪽 일측에 장착되어 검사한 상기 필름테이프기판을 상기 간지가 위에 덮이도록 하여 함께 감아들이는 감김릴; 상기 풀림릴과 상기 감김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풀림릴에서 풀려 상기 감김릴에 감기기 전에 상기 필름테이프기판의 이상 유무를 검사하는 검사기; 상기 풀림릴 및 상기 감김릴과 상기 검사기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풀림릴에서 상기 검사기로, 상기 검사기에서 상기 감김릴로 상기 필름테이프기판을 견인하는 한 쌍의 스프로킷휠; 및 상기 풀림릴 및 상기 감김릴과 상기 스프로킷휠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스프로킷휠에 의해 견인되는 상기 필름테이프기판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기구;로 이루어진 필름테이프기판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기구는, 상기 필름테이프기판의 주석 코팅부에 맞닿음된 상태로 경사 이동하면서 상기 필름테이프기판에 걸리는 장력이 커질 때는 상기 필름테이프기판에 의해 밀어올려져 상기 필름테이프기판을 느슨하게 하는 방향으로 상승하고, 상기 필름테이프기판에 걸리는 장력이 작아질 때는 상기 필름테이프기판을 밀어내려 상기 필름테이프기판을 팽팽하게 하는 방향으로 하강하도록 되어 있는 이동체;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부착되며, 상기 필름테이프기판이 통과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체와 상기 필름테이프기판이 접촉하고 있는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개방부를 따라 형성된 경사 이동로에 의해 상기 이동체를 경사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로 이루어지는 장력조절기구를 구비한 필름테이프기판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력조절기구를 구비한 필름테이프기판 검사장치에 의하면, 풀림릴 또는 감김릴과 풀림측 또는 감김측 스프로킷휠 사이의 회전속도차로 인해 발생하는 필름테이프기판의 장력 변화를 지지체의 경사 이동로 위를 이동하는 이동체의 이동에 의해 흡수함으로써, 풀림측 스프로킷휠에 의해 검사기로 유입되는 또는 검사기에서 감김측 스프로킷휠로 유출되는 필름테이프기판의 이동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필름테이프기판 검사를 보다 안정적이면서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동체의 경사 이동로 상에서의 이동 즉, 구름이 경사 이동로의 완만한 경사각도 때문에 동작 상태에 변화가 생긴 때 즉, 정지상태에서 회전을 개시할 때 또는 회전상태에서 정지할 때 필름테이프기판에 급격한 마찰력이 걸리지 않게 될 뿐 아니라, 급격한 장력변화로 인해 풀림릴이나 감김릴에 감기는 필름테이프기판에 엇감김 등의 오정렬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오정렬 시 간지와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필름테이프기판의 손상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필름테이프기판의 검사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필름테이프기판의 검사 안전성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기구를 구비한 필름테이프기판 검사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장력조절기구를 구비한 필름테이프기판 검사장치는 도 7에 도면부호 1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필름테이프기판 검사장치와 마찬가지로, 크게 지지프레임(20), 풀림릴(2), 감김릴(2'), 화상검사기(30), 그리고 좌우 한 쌍의 스프로킷휠(40,40')로 구성되는 바, 지지프레임(20)은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검사장치(10)의 외부 몸체를 이루는 금속제의 지지구조체로서, 풀림 및 감김릴(2,2'), 화상검사기(30), 스프로킷휠(40,40') 뿐 아니라, 디스플레이(70), 구동제어부 등을 장착하도록 되어 있다.
이 지지프레임(20)의 일측 즉,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좌우측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풀림릴(2)과 감김릴(2')은 영화필름 보관용 릴과 같이 필 름테이프기판(101)과 간지(108)를 감아 보관하도록 되어 있는 바, 구동모터(미도시)에 연결된 회전축(13,13')에 끼워져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특히 풀림릴(2)의 경우에는 필름테이프기판(101)을 검사하기 위해 풀어내는 역할을, 감김릴(2')은 검사가 끝난 필름테이프기판(101)을 간지(108)를 위로 하여 함께 감아들이는 역할을 각각 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풀림릴(2)에서 풀려 나온 필름테이프기판(101)의 이상 유무를 검사하는 검사기(30)는 정밀한 검사를 위해 주로 화상검사기가 사용되며,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풀림릴(2)과 상기 감김릴(2') 사이에 설치되나, 육안으로 검사를 대신할 수도 있다.
한편, 풀림릴(2)과 화상검사기(30) 사이에 설치된 풀림측 스프로킷휠(40)은 화상검사기(30)가 필름테이프기판(101)을 검사할 수 있도록 풀림릴(2)에서 풀려 나온 필름테이프기판(101)을 검사기(30) 쪽으로 견인하며, 반대로 감김릴(2')과 화상검사기(30) 사이에 설치된 감김측 스프로킷휠(40')은 검사기(30)에서 검사가 끝난 필름테이프기판(101)을 견인하여 감김릴(2')에 감겨 들어가도록 해준다. 이때 스프로킷휠(40,40')은 필름테이프기판(101)을 견인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복수의 견인돌기(41)가 돌출되어 있으며, 필름테이프기판(101)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견인돌기(41)가 끼워지는 스프로킷 구멍(107)이 양변에 천공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필름테이프기판 검사장치(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림릴(2)과 스프로킷휠(40) 사이 그리고 감김릴(2')과 스프로킷휠(40') 사이에 필름장력 조절기구(60,60')가 설치되는 바, 이 필름장력 조절기구는 도 7에 도 면부호 60과 60'로 도시된 바와 같이, 풀림릴(2)과 풀림측 스프로킷휠(40) 그리고 감김릴(2')과 감김측 스프로킷휠(40') 사이에 장착되어 풀림릴(2)에서 풀려 나오거나 감김릴(2')에 감겨 들어가는 필름테이프기판(101)의 장력을 조절한다. 다만, 풀림측 조절기구(60)와 감김측 조절기구(60')는 방향만 서로 반대로 되어 있을 뿐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하 풀림측 조절기구(60)를 위주로 설명한다.
즉, 필름장력 조절기구(60)는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필름테이프기판장력 조절기구와 마찬가지로, 풀림 및 감김릴(2,2')과 스프로킷휠(40,40') 사이에 설치되어 풀림 및 감김릴(2,2')의 회전속도와 스프로킷휠(40,40')의 회전속도 차이를 흡수함으로써 필름테이프기판(101)의 검사가 정확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로서, 크게 지지체(61)와 이동체(63)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먼저 지지체(61)는 도시된 것처럼, 지지프레임(20)의 바깥쪽에 부착된 판형 프레임으로서, 도시된 것처럼 길이방향으로 개방부(64)가 형성되도록 단면 ㄷ자 형태로 조립되어 있으며, 따라서 풀림릴(2)에서 풀려 나온 필름테이프기판(101)은 이 개방부(64)를 통해 지지체(61)를 통과하여 풀림측 스프로킷휠(40)에 의해 견인된다.
또한, 지지체(61)는 개방부(64)가 형성된 안쪽 벽면에 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바깥쪽 벽면에 좌우 한 쌍의 경사 이동로(65)가 레일과 같이 지지체(61)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경사 이동로(65)는 지지하고 있는 이동체(63)가 필름테이프기판(101)과 접촉하고 있는 쪽 즉, 도면 상 우측에서 좌측으 로 기울어지도록 하향 경사져 있어 이동체(63)가 자중에 의해 좌측으로 굴러내려 올 수 있게 하며, 이때 경사각도는 45°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12 내지 14°의 각도를 가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지지체(61) 위에 길이방향으로 경사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체(63)는 도 8 내지 도 10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61)의 경사 이동로(65)를 따라 구름 이동하는 일종의 롤러로서 크게, 구름봉(71)과 가압드럼(73)으로 구성되는 바, 먼저 원통형의 구름봉(71)은 경사 이동로(65) 위에 외주면의 양단이 놓여져 경사 이동로(65)를 따라 좌우로 구름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구름봉(71)의 양단에는 구름봉(71)의 구름 속도를 좀더 늦추고, 구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름휠(77)이 장착되는 바, 이 구름휠(77)은 착탈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직경이 상이한 다른 구름휠로 교체함으로써 쉽게 구름속도 즉, 회전속도를 바꿀 수 있게 된다.
구름봉(71)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가압드럼(73)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체의 가동부재로서, 지지체(61) 위에 길이방향으로 자유롭게 경사 이동하도록 놓여져 외주면에 접촉된 필름테이프기판(101)에 걸리는 장력이 점차 작아질 때는 자중에 의해 아래쪽 즉, 좌측으로 하강하여 필름테이프기판(101)을 팽팽해지게 가압하거나 반대로, 필름테이프기판(101)에 걸리는 장력이 점차 커질 때는 필름테이프기판(101)에 의해 위쪽 즉, 우측으로 밀려 올라가 필름테이프기판(101)을 느슨하게 함으로써 필름테이프기판(101)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가압드럼(73)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하나의 원통체로 구름 봉(71)과 일체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구름봉(71)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부싱(83) 등을 통해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외주면에 감기는 필름테이프기판(101)을 정확히 안내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안내홈이 절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안내홈과 필름테이프기판(101)의 접촉으로 인해 필름테이프기판(10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안내홈에는 충분한 간격의 이격공간(75)이 확보되어야 한다.
한편, 가압드럼(73)은 폭이 다른 여러 종류의 필름테이프기판(101)을 검사할 때도 사용할 수 있도록 안내홈의 폭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구름봉(71)의 중앙에 한 쌍의 원반(81)을 서로 마주보게 하여 장착한다. 이때, 각각의 원반(81)은 외주면의 안쪽 모서리 부분이 외주면을 따라 반경방향으로 절결되어 안내턱(79)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안내턱(79)이 마주보도록 장착됨으로써 둘 사이에 이격공간(75)을 만들면서 안내턱(79)에 의해 필름테이프기판(101)의 안내홈을 형성한다.
따라서, 한 쌍의 원반(81)으로 이루어진 가압드럼(73)은 안내턱(79)에 의해 필름테이프기판(101)의 주석 코팅부(111)와 접촉할 뿐, 주석 코팅부(111)를 제외한 필름테이프기판(101)의 나머지 어느 부분과도 접촉하지 않게 되며, 어느 한 쪽 원반(81)을 풀러 장착 위치를 바꿈으로써 이격공간(75)의 간격을 필름테이프기판(101) 폭에 따라 조정할 수 있으므로, 폭이 다른 여러 종류의 필름테이프기판(101)을 검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름장력 조절기구(60,60')는 이동체(63)의 오동작으로 인한 필름테이 프기판 검사장치(10) 전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체(61)의 경사 이동로(65) 상하단에 한 쌍의 셧다운 스위치(66,67)가 각각 장착되는 바, 이 셧다운 스위치(66,67)는 이동체(63)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경사 이동로(65)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체(63)가 위 또는 아래로 더 이상 진행해서는 안 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이동체(63)가 감지된 때 검사장치(10) 전체의 운전을 정지시켜 더 이상 이동체(63)가 오동작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경사 이동로(65) 상의 셧다운 스위치(66,67) 바로 안 쪽에 인접하여 장착되는 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68,69)는 마찬가지로 이동체(63) 감지 센서로서, 경사 이동로(65) 상에서 상하 이동하는 이동체(63)의 상사점과 하사점에 각각 설치되어 이동체(63)가 상사점에서 감지된 때 풀림릴(2)을 회전시키고, 반대로 하사점에서 감지된 때 풀림릴(2)을 회전 정지시킴으로써, 풀림릴(2)이 회전과 정지를 반복하면서 간헐 동작을 하도록 해준다.
이제,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름테이프기판 검사장치(1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필름테이프기판 검사장치(10)에 의해 필름테이프기판(101)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필름테이프기판(101)을 검사장치(10)에 걸어 검사 준비를 한다. 이때, 필름테이프기판(101)을 푸는 쪽과 되감는 쪽이, 예컨대 도 7과 같이 좌우로 결정된다.
검사 준비가 완료되면, 풀림측 모터를 동작하여 회전축(13)을 통해 풀림릴(2)을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풀림릴(2) 맨 바깥쪽에 감겨 있는 간지(108)가 먼저 풀리면서 간지 장력조절기구(150)를 거쳐 반대쪽의 감김릴(2')에 감기며, 이와 동시에 간지(108) 안쪽의 필름테이프기판(101)도 풀리면서 아래쪽의 필름장력 조절기구(60)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필름테이프기판(101)의 장력은 점차 작아지므로, 필름테이프기판(101)과 접촉하고 있는 이동체(63)는 자중에 의해 필름테이프기판(101)을 좌하방으로 밀면서 도 9의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동 시 이동체(63)는 구름봉(71)의 구름휠(77)이 지지체(61)의 경사 이동로(65)를 따라 굴러 내려가면서 필름테이프기판(101)을 가압하여 필름장력 조절기구(60)에서 빠져나가는 필름테이프기판(101)의 장력 즉, 이동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때, 가압드럼(73)의 회전으로 인해 가압드럼(73)의 안내턱(79)과 필름테이프기판(101)의 주석 코팅부(111) 사이에 마찰이 생기더라도, 가압드럼(73)이 구름봉(71)에 대해 도 9의 시계방향으로 상대회전하므로 이동체(63)의 구름 이동이 정숙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해서, 동일한 장력으로 풀림측 필름장력 조절기구(60)를 빠져나온 필름테이프기판(101)은 풀림측 스프로킷휠(40)에 의해 도 7 하단의 화살표 방향으로 견인되어 화상검사기(30)에 의해 이상 유무가 검사되며, 다시 감김측 스프로킷휠(40')에 의해 견인되어 감김릴(2')에 간지(108)와 함께 감기는데, 이때에도 마찬가지로 감김측 필름장력 조절기구(60')에 의해 감김측 스프로킷휠(40')에 의해 견인되는 장력 즉, 이동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와 같이 풀림릴(2)이 계속해서 회전하는 동안 풀림릴(2)과 풀림측 필름장 력 조절기구(60) 사이의 필름테이프기판(101)의 장력은 계속해서 작아지고, 그에 따라 이동체(63)는 계속해서 하사점으로 이동한다. 곧이어 이동체(63)가 하사점에 이르렀을 때 하사점 리미트 스위치(69)는 이를 감지하고, 제어부를 통해 풀림릴(2)의 구동모터를 정지시켜 풀림릴(2)의 회전을 멈춘다.
이에 따라, 풀림릴(2)에서 풀림측 필름장력 조절기구(60)로 더 이상 필름테이프기판(101)이 풀려 나오지 않게 되지만 풀림측 스프로킷휠(40)은 계속해서 회전하므로 필름테이프기판(101)에 걸리는 장력은 점차 커진다. 그러나, 이때에도 마찬가지로 필름테이프기판(101)의 장력이 커진 만큼 필름테이프기판(101)에 의해 이동체(63)가 도 9의 화살표(B) 방향으로 지지체(61)의 경사 이동로(65)를 따라 밀려 올라가므로, 풀림측 필름장력 조절기구(60)와 풀림측 스프로킷휠(40) 사이의 장력 즉, 이동속도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렇게 해서 경사 이동로(65)를 따라 올라가던 이동체(63)가 상사점에 이르러 리미트 스위치(68)에 감지되면, 풀림릴(2)이 회전을 재개하면서 위에서 언급한 풀림 동작을 다시 하게 되며, 이러한 풀림과 정지가 반복되면서 풀림릴(2)에 감겨 있던 필름테이프기판(101)이 모두 검사를 마치고 감김릴(2)에 재차 감기면 일련의 필름테이프기판 검사과정이 종료된다.
도 1은 필름테이프기판과 간지가 포개져 보관용 릴에 감겨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반적인 필름테이프기판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간지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
도 5는 종래의 필름테이프기판 검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필름테이프기판과 간지가 엇감김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릴의 부분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력조절기구를 구비한 필름테이프기판 검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필름장력 조절기구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정면도.
도 10은 도 8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풀림릴 2' : 감김릴
10 : 필름테이프기판 검사장치 13 : 릴회전축
20 : 지지프레임 30 : 화상검사기
40, 40' : 스프로킷휠 41 : 견인돌기
60, 60' : 필름장력 조절기구 61 : 지지체
63 : 이동체 65 : 경사 이동로
66, 67 : 셧다운 스위치 68, 69 : 리미트 스위치
71 : 구름봉 73 : 가압드럼
75 : 이격공간 77 : 구름휠
79 : 안내턱 81 : 원반

Claims (5)

  1. 외부 몸체를 이루는 지지프레임(20);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일측에 장착되어 검사할 필름테이프기판(101)과 상기 필름테이프기판(101) 위의 간지(108)를 함께 풀어내는 풀림릴(2);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상기 풀림릴(2) 반대쪽 일측에 장착되어 검사한 상기 필름테이프기판(101)을 상기 간지(108)가 위에 덮이도록 하여 함께 감아들이는 감김릴(2');
    상기 풀림릴(2)과 상기 감김릴(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풀림릴(2)에서 풀려 상기 감김릴(2')에 감기기 전에 상기 필름테이프기판(101)의 이상 유무를 검사하는 검사기(30);
    상기 풀림릴(2) 및 상기 감김릴(2')과 상기 검사기(30)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풀림릴(2)에서 상기 검사기(30)로, 상기 검사기(30)에서 상기 감김릴(2')로 상기 필름테이프기판(101)을 견인하는 한 쌍의 스프로킷휠(40,40'); 및
    상기 풀림릴(2) 및 상기 감김릴(2')과 상기 스프로킷휠(40,40')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스프로킷휠(40,40')에 의해 견인되는 상기 필름테이프기판(101)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기구(60);로 이루어진 장력조절기구를 구비한 필름테이프기판 검사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기구(60)는,
    상기 필름테이프기판(101)의 주석 코팅부(111)에 맞닿음된 상태로 경사 이동 하면서 상기 필름테이프기판(101)에 걸리는 장력이 커질 때는 상기 필름테이프기판(101)에 의해 밀어 올려져 상기 필름테이프기판(101)을 느슨하게 하는 방향으로 상승하고, 상기 필름테이프기판(101)에 걸리는 장력이 작아질 때는 상기 필름테이프기판(101)을 밀어내려 상기 필름테이프기판(101)을 팽팽하게 하는 방향으로 하강하도록 되어 있는 이동체(63); 및
    상기 지지프레임(20)에 부착되며, 상기 필름테이프기판(101)이 통과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개방부(64)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체(63)와 상기 필름테이프기판(101)이 접촉하고 있는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개방부(64)를 따라 형성된 경사 이동로(65)에 의해 상기 이동체(63)를 경사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6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기구를 구비한 필름테이프기판 검사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63)는,
    상기 지지체(61)의 경사 이동로(65)를 따라 구르는 구름봉(71); 및
    상기 구름봉(71)의 외주면에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필름테이프기판(101)의 주석 코팅부(111)에만 접촉하도록 중간에 이격공간(75)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가압드럼(73);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기구를 구비한 필름테이프기판 검사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봉(71)은 구름휠(77)이 양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구름휠(77)의 직경에 따라 상기 경사 이동로(65) 위를 굴러 이동하는 속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드럼(73)은 상기 구름봉(71) 외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원반(81)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원반(81)은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 부분을 따라 외주면에 안내턱(79)이 형성되어 상기 안내턱(79)에 의해 상기 필름테이프기판(101)의 주석 코팅부(111)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기구를 구비한 필름테이프기판 검사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61)의 상기 경사 이동로(65)의 상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경사 이동로(65)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이동체(63)가 감지된 때 장치 전체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한 쌍의 셧다운 스위치(66,67)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기구를 구비한 필름테이프기판 검사장치.
  5. 삭제
KR1020070105323A 2007-10-19 2007-10-19 장력조절기구를 구비한 필름테이프기판 검사장치 KR100946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323A KR100946779B1 (ko) 2007-10-19 2007-10-19 장력조절기구를 구비한 필름테이프기판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323A KR100946779B1 (ko) 2007-10-19 2007-10-19 장력조절기구를 구비한 필름테이프기판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868A KR20090039868A (ko) 2009-04-23
KR100946779B1 true KR100946779B1 (ko) 2010-03-11

Family

ID=40763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5323A KR100946779B1 (ko) 2007-10-19 2007-10-19 장력조절기구를 구비한 필름테이프기판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67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05351B (zh) * 2018-11-20 2023-09-22 南京森林警察学院 一种自主收放式挂幅旋翼无人机
KR102423225B1 (ko) 2021-12-22 2022-07-21 (주)에이치엔에프 애견 간식용 돼지 귀 절단 가공장치
KR102556003B1 (ko) * 2023-02-23 2023-07-14 주식회사 엔비컨스 필름 처짐 측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3850A (ja) * 1996-06-05 1997-12-16 Toshiba Corp キャリアテ−プの搬送装置
JP2001358180A (ja) 2000-06-15 2001-12-26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テープ状物の処理装置およびテープ状物の処理方法
KR100706577B1 (ko) 2005-11-23 2007-04-13 합명회사 서우테크 티씨피/씨오에프 외관검사기의 보호테이프 장력조절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3850A (ja) * 1996-06-05 1997-12-16 Toshiba Corp キャリアテ−プの搬送装置
JP2001358180A (ja) 2000-06-15 2001-12-26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テープ状物の処理装置およびテープ状物の処理方法
KR100706577B1 (ko) 2005-11-23 2007-04-13 합명회사 서우테크 티씨피/씨오에프 외관검사기의 보호테이프 장력조절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868A (ko) 200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85163A (en) Pretensioner for stretchable film web with dancer roller compensation
US3740296A (en) Automatic splicing rollstand
US8851412B2 (en) Recording apparatus and roll medium lifting device
KR100946779B1 (ko) 장력조절기구를 구비한 필름테이프기판 검사장치
WO2016157972A1 (ja) アキューム装置
JP4712880B2 (ja) シート材巻き出し装置及びシート材巻き出し方法
US20200270085A1 (en) Transport device and recording device
JPH09323850A (ja) キャリアテ−プの搬送装置
KR101863093B1 (ko) 라벨 부착 장치
JP3903382B2 (ja) 電子部品実装用フィルムキャリアテープの処理装置におけるスペーサの巻き取り装置
CN1986209B (zh) 张力变动吸收装置
WO2016157973A1 (ja) アキューム装置
JP4445455B2 (ja) ラベリングマシン用テープの引き出し装置およびラベリングマシン
US6942212B2 (en) Mechanical media top level elevator
KR100911902B1 (ko) 미끄럼식 이탈방지기구를 구비한 필름테이프기판 검사장치
CN215159470U (zh) 贴胶模块
WO2017203715A1 (ja) 紙葉類収容装置及び紙葉類収容装置の制御方法
JP2021146523A (ja) 払拭装置、ヘッドメンテナンス装置及び液体吐出装置
JPS6317756A (ja) ロ−ル紙巻取装置
CN103787119A (zh) 传输装置
JPS62113581A (ja) リボン送り装置
KR20240025914A (ko) 시트지 부착용 롤 원단 피딩장치
JP5164200B2 (ja) 巻取装置と、その装置からの巻取製品の取外方法
JPH0384949A (ja) ウエハと粘着テープの貼り合わせ方法
JP2012121674A (ja) ロール紙巻取り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