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6299B1 - 스팀청소기용 물통탈착장치 - Google Patents

스팀청소기용 물통탈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6299B1
KR100946299B1 KR1020080027645A KR20080027645A KR100946299B1 KR 100946299 B1 KR100946299 B1 KR 100946299B1 KR 1020080027645 A KR1020080027645 A KR 1020080027645A KR 20080027645 A KR20080027645 A KR 20080027645A KR 100946299 B1 KR100946299 B1 KR 100946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team
locking
buck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7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2296A (ko
Inventor
한경희
Original Assignee
한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희 filed Critical 한경희
Priority to KR1020080027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6299B1/ko
Priority to CN2008101871659A priority patent/CN101543820B/zh
Publication of KR20090102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3Liquid supply reservoirs; Preparation of the agents, e.g. mixing devices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캠부를 이용하여 물통을 탈착하는 스팀청소기용 물통탈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팀청소기용 물통탈착장치{apparatus of remving water pail for steam cleaner}
본 발명은 캠부를 이용하여 물통을 탈착하는 스팀청소기용 물통탈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팀청소기용 물통탈착장치로서, 예컨대 등록특허 제10-0813537호의 공보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 종래의 물통탈착장치는 물통에 장착되는 결합돌기와, 밀대 어셈블리에 장착되어 상기 결합돌기를 밀어내는 밀기부로 구성되되, 상기 밀기부는 상기 밀대 어셈블리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의 외측과 내측을 감싸는 돔형상의 버튼과, 상기 버튼과 상기 밀기편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과, 상기 이탈방지편과 상기 밀기편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 구성은 밀기부로 결합돌기를 밀어내어야 하는 이중 구조이고, 버튼과 밀기편이 작은 작용선 상에 있어 스프링의 탄성력보다 큰 힘으로 눌러야 한 다.
또한 위 공보의 하우징은 프론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이 결합되고, 리어 하우징의 상단에는 손잡이봉이 삽입 설치되는 파이프가 설치되어 있다. 파이프가 리어 하우징의 상단에 설치되기 때문에 프론트 하우징의 두께만큼 더 두껍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대형인 느낌을 준다.
또한 이 공보의 스팀청소기용 하우징은 프론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리어 하우징에는 파워코드와 물통탈착장치가 장착되는 장착실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리어 하우징과 프론트 하우징의 체결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폭방향이 넓은 하우징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슬림화하지 못하다는 느낌을 줄 수 있다.
한편 종래 스팀청소기에는 손잡이와 하우징에 코드걸이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하우징에 설치된 코드걸이부재는 측면이나 배면에 설치되는데, 측면에 설치된 경우 외관상 보기가 안 좋고, 배면에 설치된 경우 쓰러진 경우 하우징이 먼저 바닥에 닿기 때문에 하부 코드걸이부재가 먼저 부딪쳐 파손될 우려가 크다.
한편, 종래 스팀 청소기의 조인트 구조로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92095호의 공보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종래 스팀 청소기는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대의 기능과 함께 급수가 되게 하는 물통(10)과, 본체를 이루게 되는 가열수조(40), 덮개(미도시) 및 밑판(60)으로 구성된다. 상기 물통(10)의 상부에는 손잡이지지부재(미도시)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끼움원통(14)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지지부재(12)에는 손잡이부재가 끼움되어 이 손잡이부재와 물통(10)이 함께 밀대 의 기능을 하게 된다. 원통체(20)는 양쪽에 동일중심을 이루게 되는 힌지축(미도시)이 일체로 형성되고, 가운데에 직교하게 되는 끼움홈(미도시)이 관통되며, 원통체가이드(3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끼움홈(미도시)에는 출수구가이드원통(26)이 결합되는데, 이 출수구가이드원통(26)의 위쪽에는 상기 물통(10)의 끼움원통(14)이 긴밀하게 끼움되며,그 반대편에는 출수구(28)가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그런데, 출수구가이드원통(26)에 끼움원통(14)이 끼워지기 때문에 청소를 할 때 물통(10)과 출수구가이드원통(26) 사이의 경계부분에 특히 전단력과 회전모멘트를 집중적으로 받아 파손될 우려가 크다.
이러한 현상은 밀대 역할을 하는 쪽에 스팀발생유닛이 장착되는 경우와 하우징이 분리 결합되는 경우엔 그 무게를 상기 경계부분에 집중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죠인트 구조에서는 끼움원통(14)이 부러질 우려가 크다.
다른 한편 종래 순간 가열식 스팀청소기는 전자(電磁)펌프와 순간 가열식 스팀보일러를 단일 장착실을 갖는 하우징에 장착하기 때문에, 스팀보일러의 발열이 전자펌프에 영향을 주어 열적 변형에 따라 펌프의 규칙적 운동을 저해한다. 따라서, 전자펌프로의 물 토출량이 불규칙적이기 때문에 전자펌프의 내구성과 스팀분사효율이 나쁘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 스팀보일러로서 일본특허공개 평9-192147호의 공보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즉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팀보일러(5)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6)를 제어회로(8)(마이컴)를 통해 전자펌프(9)의 간헐적 작동으로 물의 급수량을 조절함과 동시에 U자형 전기히터(5b)의 전류를 조정하여 그 발열을 조절하고 있다.
그러나 온도센서(6)와 제어회로(8) 등의 부가 요소를 갖추어야 하기 때문에, 전자펌프를 시동하는 바이메탈과 히터의 특정온도범위를 유지하는 바이메탈만을 갖춘 기계식 전기스팀보일러에 비해 단가가 매우 높아져 경쟁력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특히 제어회로의 단가가 상대적으로 매우 높다).
또한, 스팀보일러(5)는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5c)과, 블록(5c) 내부에 세정수(3)가 급수되는 스파이럴 형상의 유로(5a)와, 이 스파이럴 형상의 유로(5a)의 내부에 근접하여 위치한 U자형 전기히터(5b)로 구성하여 있다. 급수관(4) 및 증기관(7)은 유로(5a)의 물주입구 및 스팀배출구에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유로(5a)가 전기히터(5b)의 외부를 감는 스파이럴 형상이기 때문에, 스파이럴 외경만큼 블록(5c)의 부피가 커져 증기발생유닛의 슬림 모듈화에 저해요소가 되어 결국 장치의 콤팩트화에도 기여하지 못한다.
한편,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판(15)의 표면에는 위쪽으로 돌출한 스팀분사구(15)가 형성되고, 이 스팀분사구(15)에 스팀공급튜브(16)가 연결된다.
그런데, 스팀분사구(15)가 위쪽으로 돌출해 있기 때문에, 스팀공급튜브(16)가 꺾어지지 않고(스팀이 잘 분사하게) 구부리기 하기 위해서는 도 20과 같이 스팀공급튜브의 최고점인 변곡점(A)이 스팀분사구(15)의 상단보다 상당히 높은 위치에 있게 된다. 따라서, 바닥판(15)의 표면과 튜브(16)의 최고변곡점(A)까지의 높이(H)는 매우 높다.
이 높이(H)로 인해 본체(110)의 전체 높이도 상당히 커져, 재료의 손실이 크 고, 좁은 틈새에 본체의 삽입 등이 어려워 스팀청소의 장소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물통의 탈착 조작이 쉽고 편리한 스팀청소기용 물통탈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1에 기재된 스팀청소기용 물통탈착장치는,
하우징에 장착되는 스팀청소기용 물통탈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누름부; 상기 물통에 형성된 록킹홈에 작용하는 록킹부; 상기 록킹부가 상기 록킹홈 쪽으로 향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 상기 누름부의 누름에 의해 상기 록킹부를 상기 록킹홈에서 멀어지도록 힘을 가하는 캠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적은 힘으로도 물통의 록킹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2에 기재된 스팀청소기용 물통탈착장치는,
상기 캠부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힌지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축과, 일단은 상기 누름부의 누름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힌지축에 고정되는 레버와, 상기 힌지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록킹부를 작동하는 작동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3에 기재된 스팀청소기용 물통탈착장치는,
상기 록킹부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가이드홈이 양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되어 상기 작동축이 배치되는 장공과, 상기 슬라이더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4에 기재된 스팀청소기용 물통탈착장치는,
상기 물통탈착장치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파워코드하우징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스팀청소기용 물통탈착장치에 의하면, 캠부를 통해 누름력을 선회력으로 전환시키기 때문에 작은 누름력으로도 큰 선회력을 얻어 조작이 쉽고 편리하다.
특히 록킹부가 슬라이딩을 통해 물통을 탈착하기 때문에 물통의 록킹 구조도 홈으로만 구현하여도 충분하여 부품의 간소화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청소기를 도시한 전면 및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의 본체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바닥판의 바닥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예의 스 팀분사구를 상면 및 배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팀청소기는 크게 외형을 이루는 베이스 어셈블리(100)와, 베이스 어셈블리(100)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메인 어셈블리(300)로 구성하여 있다. 또한, 메인 어셈블리(300)에는 손잡이봉(510)과 손잡이(530)로 구성된 밀대 어셈블리(50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 어셈블리(100)는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형을 이루는 스팀분사공(131)이 형성된 본체(110)로 구성하여 있다.
본체(110)는 상부커버(120)와 바닥판(130)으로 구성되어 있다. 바닥판(130)에는 스팀분사공(131)이 형성되고, 스팀분사공(131)에는 스팀분사노즐(15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팀분사노즐(150)은 유체의 방향을 갑자기 바꾸는 장소에 사용되는 엘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엘보 형상의 스팀분사노즐(150)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별도의 부품으로 만들어 바닥판(130)에 체결하여도 좋고, 엘보 자체를 스팀분사공(131)에 설치하거나 종래의 스팀분사구(15)에 설치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스팀분사노즐(150)이 엘보 형상이기 때문에, 스팀분사구(151)가 바닥판(130)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평행하게 배치된 스팀분사구(151)는 도 3과 같이 튜브(160)를 연결하여도 같은 수평방향이기 때문에 튜브(160)의 높이가 상승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체(110)의 전체 높이도 슬림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팀분사노즐(150)을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한 후 바닥판(130)에 체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팀분사노즐(150)은 스팀분사구(151)와 스팀분배로(153)로 구성하여 있다.
스팀분배로(153)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막대기 형태로서, 그 이면에는 홈(153a)이 형성되어 있다. 분배홈(153a)의 주위에는 패킹(미도시)이 설치되는 실링홈(153b)이 폐회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스팀분배로(153)의 양단에는 바닥판(130)과 체결되는 체결편(15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팀분배로(153)의 길이방향 가장자리에도 체결편(157)이 더 형성되어 실링을 확실하게 행하고 있다.
스팀분사구(151)는 스팀공급튜브(160)의 일단에 접속되는 스팀분사인렛(151a)과, 분배홈(153a)에 배치되는 스팀분사아웃렛(151b)으로 구성된다. 스팀분사인렛(151a)이 수평방향이면, 스팀분사아웃렛(151b)은 수직방향으로 스팀분사구(151) 하나로 엘보 형상을 만들 수 있다. 스팀분사아웃렛(151b)과 분배홈(153a)이 교차하는 부분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R처리하여 분배홈(153a)의 양쪽으로 잘 안내하도록 한다. 스팀공급튜브(160)의 타단은 스팀발생유닛(340) 특히 스팀보일러(350)의 스팀배출관(357c)에 연결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팀분사구(151)와 스팀분배로(153)의 상하단 높이(h)는 종래의 높이(H)보다 현저히 낮다(h《 H).
스팀분사공(131)의 주변 바닥판(130)에는 패드가 부착될 패드부착부(일명 벨크로)(135)가 형성되어 있다. 스팀분사공(131)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양 쪽에 떨어진 채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팀분사공(131)의 아래에는 부채꼴 형상의 스플릿판(13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팀분사공(131)에서 스팀이 아래로 분사되면, 스플릿판(133)에 부딪친 후 옆으로 퍼지게 된다. 따라서, 패드에 골고루 스팀이 스며들어 청소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부커버(120)에는 힌지부재(1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힌지부재(140)의 설치 구조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등록특허 제10-0793414호의 공보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힌지부재(140)는 도 3,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관(141)과, 이 접속관(141)의 양측에 형성되는 힌지축(142)과, 상기 접속관(141)의 외주면에 형성된 끼움홈부(143)로 구성하여 있다.
접속관(141)은 후술된 끼움돌출관(311)에 삽입되고, 끼움홈부(143)는 끼움돌출관(311)의 자유단측에 끼워져 결합된다.
따라서, 리어 및 프론트 끼움돌출관(311a)(311b)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접속관(141)이 끼움돌출관(311)의 삽입에 따른 코어의 기능을 하여 끼움돌출관(311)에 가해지는 힘에 대해 큰 반력으로 작용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관(141)의 삽입 길이(b)는 끼움돌출관(311)의 길이(a)보다 더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길이를 더 길게 하면(a<b), 하우징(310)과 끼움돌출관(311)의 경 계부분을 접속관(141)이 충분히 받쳐주기 때문에, 끼움돌출관(311)의 파손 우려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끼움돌출관(311)의 선단측에는 끼움홈부(143)의 자유단(143a)에 걸리는 단차부(31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끼움돌출관(311)과 끼움홈부(143)의 외주면이 일자 형태로 만나 외관상 미려하고, 단차부(313)가 스토퍼 기능을 하여 억지로 깊이 끼우다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어 및 프론트 하우징(330)(320)에는 접속관(141)의 자유단(141a)이 걸리는 스토퍼(315a)(315b)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토퍼(315a)(315b)에는 스팀보일러(350)에서 스팀분사구(151)로 연결되는 튜브(미도시)가 통과하는 통과홀(315c)이 배치되도록 각각 반원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속관(141)의 외주면에는 결합돌기(145)가 형성되고, 프론트측 끼움돌출관(311b)의 내주면에는 결합돌기(145)가 결합되는 결합홈(31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결합돌기(145)와 결합홈(312)은 접속관(141)과 끼움돌출관(311)이 서로에 대해 헛도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리어측 끼움돌출관(311a)의 체결공(314)과 접속관(141)의 체결공(146)의 위치를 바로 맞추어주기 때문에 조립이 신속하다.
또한, 접속관(141)의 내주면에는 관(141)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체결두께부(144)가 형성되고, 이 체결두께부(144)에 체결공(14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스크루(147)의 체결 피치수를 많이 하여 체결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끼움돌출관(311)과 접속관(141)은 체결공(314)(146)을 통해 스크 루(147)에 의해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스크루(147)의 체결은 접속관(141)과 끼움돌출관(311)이 서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헛도는 것을 확실히 방지한다.
메인 어셈블리(300)는 도 1, 도 2,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310)과, 이 하우징(310)에 장착되는 스팀발생유닛(340)으로 구성하여 있다.
하우징(310)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런트 하우징(320)과 리어 하우징(330)으로 구성하여 있다.
하우징(310)의 하단에는 전술한 끼움돌출관(311)이 일체로 형성되고, 하우징(310)의 상단에는 후술된 손잡이봉장착돌출관(316')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프런트 하우징(320)은 리어 하우징(330)의 커버로서 기능을 한다. 프런트 하우징(320)에는 전원버튼커버(381)가 설치되어, 전원버튼커버(381)의 작동에 따라 PCB(385)의 전원버튼(382)이 함께 작동한다.
리어 하우징(330)에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팀발생유닛(340)이 장착된다.
스팀발생유닛(340)은 물통(380), 스팀보일러(350), 물통(380)의 물을 스팀보일러(350)에 공급하는 전자(電磁)펌프(360)로 구성하여 있다.
물통(38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어 하우징(330)의 바깥쪽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물통(380)을 탈착하는 물통탈착장치(200)는 리어 하우징(330)에 분리 가 능한 파워코드하우징(600)의 장착실(605)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통탈착장치(200)는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부(210)와, 록킹부(230)와, 록킹부(230)가 록킹하는 쪽으로 향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250)와, 누름부(210)의 작용을 받아 록킹부(230)를 동작하는 캠부(270)로 구성하여 있다.
누름부(210)는 누름버튼(211)과 이 누름버튼(211)의 하단에 형성한 한 쌍의 다리편(213)과, 이 다리편(213)의 양측에 형성된 힌지돌기(215)로 구성되어 있다.
누름버튼(211)은 파워코드하우징(600)의 상부에 형성된 장착공(610)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록킹부(230)는 슬라이더(231)와, 슬라이더(231)에 형성된 장공(233)과, 슬라이더(231)의 측면과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홈(235)과 지지돌기(237)로 구성하여 있다.
가이드홈(235)은 장착실(605)의 가이드레일(614)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하도록 끼워져 있다.
탄성부(250)의 일단은 장착실(605)의 천정(607)에 지지되고 타단은 지지돌기(237)에 끼워진 채 슬라이더(231)의 상면에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지된 탄성부(250)는 록킹부(230)을 물통(380)의 록킹홈(382)쪽을 향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캠부(270)는 힌지축(271)과, 일단은 힌지돌기(215)에 결합되고 타단은 힌지축(271)에 고정되는 레버(273)와, 힌지축(271)이 회전에 의해 록킹부(230)을 작동 하는 작동축(275)으로 구성하여 있다. 레버(273)와 작동축(275)는 힌지축(271)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힌지축(271)은 힌지브라켓(6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물통탈착장치(200)가 장착실(605)에 설치된 후 장착실(605)의 하면을 커버하는 커버판(290)이 체결된다.
이 커버판(290)에는 슬라이더(231)의 하단에 형성된 록킹편(231a)이 출납하는 출납공(29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판(290)에는 힌지브라켓(612)과 상호 작용하여 힌지축(271)의 아래를 지지하는 힌지지지돌출판(29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물통착탈장치(200)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통(380)의 록킹홈(382)이 록킹편(231a)에 록킹된 상태에서 누름버튼(211)을 누르면 레버(273)가 아래로 내려가면서 힌지축(271)을 회전시킨다.
이 회전력은 작동축(275)을 위로 들어올리고 이로 인해 슬라이더(231)가 탄성부(250)의 탄성력에 반대방향 즉 위로 올라가면 록킹편(231a)이 록킹홈(382)에서 빠지기 때문에 물통(380)의 제거가 가능하다.
물통(380)을 제거한 후 누름버튼(211)을 놓으면 탄성력에 의해 록킹편(231a)이 출납공(291) 밖으로 나오게 된다. 물통(380)을 장착할 땐 그냥 밀어넣으면 록킹편(231a)의 경사면을 밀면서 올리기 때문에 록킹홈(382)의 위치에서 다시 록킹편(231a)이 삽입 록킹된다.
이와 같이 캠부(270)의 구성에 의하여, 적은 힘으로 눌러도 작동이 확실히 행해지기 때문에 조작이 쉽고 편리하다.
또한 물통(380)의 록킹홈(382)의 구조만 있어도 되기 때문에 구조의 간소화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파워코드하우징(600)은 리어 하우징(33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워코드하우징(600)이 리어 하우징(330)에 일체로 형성되어도 좋지만, 리어 하우징(330)과 프론트 하우징(320)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601)이 도 13의 위치보다 양쪽 바깥쪽으로 더 옮겨야 하고, 이로 인해 폭이 더 넓어져 하우징(310) 전체의 부피가 커져 슬림화에 저해되는 요인을 제공할 수 있다.
파워코드하우징(600)에는 파워코드지지공(630)과 파워코드수용홈(632)이 형성되어 있다.
파워코드지지공(630)에는 전선을 위에서 아래로 넣고 땡기면 하드 전원케이블(400)이 끼워지는 지지공이며, 아래로 나온 전선은 파워코드수용홈(632)을 지나 인출공(410) 내로 들어가 PCB(385)에 접속된다.
특히 리어 하우징(320)에는 요홈(650)이 형성되고, 이 요홈(650) 상에 인출공(41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요홈(650)은 파워코드수용홈(632)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파워코드수용홈(632)의 깊이를 깊게 하지 않고 전선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전선이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이지 않도록 요홈(650)과 파워코드수용홈(632)에는 누름편(654)(63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하드 파원전선(400)이 위로 빠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파워코드하우징(600)에는 걸림공(636)이 형성되고, 리어 하우징(330)에는 걸림훅(656)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훅(656)은 'ㄴ'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걸림훅(656)에 걸림공(636)을 밀어 놓고 위에서 아래로 당기면 걸려 붙어있게 된다.
이러한 파워코드수용홈(632)은 체결부(638)(658)를 통해 리어 하우징(330)에 확실히 고정된다.
스팀보일러(350) 및 전자펌프(360)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어 하우징(330)의 스팀보일러장착실(350A) 및 전자펌프장착실(360A)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리어 하우징(330)에는 스팀보일러장착실(350A)과 전자펌프장착실(360A)를 분리하는 격벽(390A)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격벽(390A)을 기준으로 스팀보일러장착실(350A)이 아래쪽, 전자펌프장착실(360A)이 위쪽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격벽(390A)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펌프(360)의 흡입튜브(미도시) 및 토출튜브(미도시)가 통과하는 통과홈(391 및 39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프런트 하우징(320)에는 리어 하우징(330)에 대응하여 커버링하도록 스팀보일러장착커버실(350B)와 전자펌프장착커버실(360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격벽(390A)이 돌출되지 않는 경우 프런트 하우징(320)에는 격벽(390A)에 대응하는 격벽(390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격벽(390A) 또는 격벽(390A, 390B)의 구성에 의하여, 스팀보일러(350)의 발열이 차단되어 전자펌프(360)에 영향을 주지 않아 안정적으로 펌핑을 행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별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스팀보일러장착실(350A), 전자펌프장착실(360A), 격벽(390A)이 있는 리어 하우징(330)에 스팀보일러(350) 및 전자펌프(360)가 장착되기 때문에 메인 하우징의 기능을 하고, 프런트 하우징(320)은 리어 하우징(330)의 커버로서 보조 하우징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보아도 좋다. 만약 전원버튼(382)이 리어 하우징(330)의 뒤쪽에 있다면, 반대로 프런트 하우징(320)이 메인 하우징의 기능을 한다.
또한, 스팀보일러장착실(350A)이 있는 리어 하우징(330)에는 도 2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방산홀(33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열방산홀(331)은 스팀보일러(350)의 발열을 외부로 방출시키기 때문에 전자펌프(360)로의 열전달을 더욱 차단할 수 있다.
이처럼 전자펌프(360)의 열변형에 따른 결함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저렴한 기계식 스팀보일러(350)가 채택할 수 있다.
기계식 스팀보일러(350)란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도센서와 제어회로를 사용하지 않고 전자펌프(360)의 시동 바이메탈(352')과 스팀보일러(350)의 특정온도유지 바이메탈(352)로 작동하는 순간 가열식 전기보일러(350)이다.
한편, 전자펌프(360) 자체에서 나는 열을 신속히 방출하기 위하여, 히트싱크(370)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트싱크(370)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펌프(360)의 케이싱(361)이 안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바닥베이스(371)와 측벽베이스(373), 측벽베이스(373)의 외벽에 형성되는 방열핀(375)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자펌프(360)가 안착된 히트싱크(370)는 전자펌프장착실(360A)에 장착된다. 즉 전자펌프(360)의 토출구(365)는 리어 하우징(330)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333)의 지지공(334)에 지지되고, 전자펌프(360)의 흡입구(363)는 리어 하우징(330)에 체결되는 체결브라켓(335)에 지지됨으로써, 전자펌프(360)가 히트싱크(370)를 아래로 누르는 형태로 고정하게 된다.
체결브라켓(335)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구(363)를 지지하는 흡입구지지편(337)과 리어 하우징(330)에 형성된 체결구(339)에 체결되는 체결편(338)으로 구성되며, 'ㄴ'자 형상이다.
한편, 히트싱크(370)에는 돌출한 고정브라켓(333)이 배치되는 배치홈(377)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자펌프장착실(360A)에는 히트싱크(370)의 전면이 걸리는 걸림턱(33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치홈(377)과 걸림턱(335)은 히트싱크(370)를 안착할 때 위치를 결정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조립 효율이 좋다.
또한, 하우징(310)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봉(510)이 장착되는 손잡이봉장착부(31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봉장착부(316)는 하우징(3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손잡이장착관(316a)(316b)과, 손잡이장착관(316a)(316b)의 상단에서 위로 돌출 형성된 손잡 이장착돌출관(316a')(316b')으로 구성하여 있다.
특히 손잡이장착돌출관(316a')(316b')은 리어 하우징(330)과 프론트 하우징(320)에서 반원 형태로 일체로 돌출 형성하기 때문에, 하우징(310)의 전체 두께를 슬림화할 수 있다.
손잡이봉장착관(316a)(316b) 각각에는 손잡이봉(510)의 하단이 걸리는 오목한 원호형상의 걸림턱(51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한 원호형상의 걸림턱(511)에 의해 전자펌프장착실(360A)에 있는 열이 위쪽으로 쉽게 빠져나오는 통로 역할을 한다.
또한, 손잡이봉장착관(316a)(316b) 각각의 내주면에는 돌출 리브(513)가 형성되어 손잡이봉장착부(316)를 타고 외부로 열을 방출하는 기능을 하도록 한다.
손잡이장착돌출관(316a')(316b')에는 손잡이봉(510)의 푸시버튼(미도시)이 체결되는 체결공(318a)(318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장착돌출관(316a')(316b')에는 벌어짐방지부재(319)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벌어짐방지부재(319)는 밴드 타입의 링을 끼워 압입함으로써, 체결되지 않고 맞대어 놓은 손잡이장착돌출관(316a')(316b')이 서로 벌어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벌어짐방지부재(319)는 손잡이장착돌출관(316a')(316b')의 자유단에 형성된 단차부(317a)(317b)에 압입되는 것이 외관상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리어 하우징(330)과 프론트 하우징(320)에서 반원 형태로 돌출한 손잡이봉장착돌출관(316a')(316b')이 형성되고, 벌어짐방지부재(319)로 끼움으로써 하우징(310)의 두께를 줄여 전체적으로 슬림화를 구현하면서 리어 하우징(330)과 프론트 하우징(320) 간의 체결력을 강화하여 손잡이봉(510)의 흔들림에도 하우징(310)의 벌어짐을 확고히 방지한다.
또한 손잡이봉(510)은 열전도가 우수한 알루미늄 재질을 사용하는 경우 히트싱크(370)에서 방출한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하는 열전도체 기능을 한다.
밀대 어셈블리(500)는 손잡이봉(510)과 손잡이(53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밀대 어셈블리(500)에는 상부 및 하부 코드걸이부재(540)(550)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상부 코드걸이부재(540)는 손잡이(530)에 설치되고, 하부 코드걸이부재(550)는 손잡이봉(510)에 설치되어 있다.
하부 코드걸이부재(550)가 손잡이봉(510)에 설치되어 있어서, 하우징(310)의 측면이나 배면에 부착하는 것에 비해 깔끔하고, 상부 코드걸이부재(540)와 하부 코드걸이부재(550)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코드 감을 때 타원형으로 잘 감기고, 특히 배면에 하부 코드걸이부재(550)가 설치된 경우 하우징(310)이 바닥과 충돌할 때 하부 코드걸이부재(550)가 바닥에 부딪혀 파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부 코드걸이부재(540)가 손잡이봉(510)에 설치되는 것도 무방하다.
도 26 및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코드걸이부재(550)는 코드걸이부(560)와, 코드걸이부(560)를 지지하는 코드걸이지지부(570)와, 코드걸이지지부(570)에 대해 코드걸이부(560)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부재(580)로 구성하여 있다.
코드걸이부(560)는 관통공(561)이 형성된 코드걸이관(563)과 이 코드걸이관(563)의 외측에 형성된 레버 타입의 코드이탈방지편(565)으로 구성되어 있다.
코드걸이관(563)에는 케이블이 감기고, 이 감긴 케이블이 중첩시키면서 외측으로 빠지는 것은 코드이탈방지편(565)이 기능을 한다.
코드걸이지지부(570)는 손잡이봉(510)의 체결공(512)이 있는 외주면에 끼워지는 끼움관(571)과, 끼움관(571)에서 돌출하여 관통공(561)에 삽입되는 삽입구(573)로 구성되어 있다.
끼움관(571)에는 체결공(512)과 서로 통하는 체결공(572)이 형성되고, 삽입구(573)에도 체결용 암나사(574)가 형성되어 있다.
피스(575)는 암나사(574)에 체결되어 코드걸이지지부(570)를 손잡이봉(510)에 지지시킨다.
위치결정부재(580)는 끼움관(571)에 형성된 위치결정홈(581a)(583a)과, 코드걸이관(563)에 형성되는 위치결정돌기(581b)(583b)와, 일단이 코드걸이관(563)의 안착턱(562)에 지지된 채 삽입구(573)에 끼워지는 스프링(585)과, 삽입구(573)에 체결되어 스프링(585)의 타단을 지지하는 와셔붙이 체결편(587)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프링(585)는 코드걸이부(560)를 손잡이봉(510) 쪽으로 탄성력을 가하기 때문에 위치결정부재(580) 간의 결합이 확실히 행해진다.
위치결정홈(581a)과 위치결정돌기(581b)가 서로 맞물리는 경우에는 도 27과 같이 코드를 감아 걸 수 있는 위치이고, 위치결정홈(581a)과 위치결정돌기(583b)가 서로 맞물리는 경우에는 코드이탈방지편(565)이 위쪽으로 향하고 있어 감긴 코드를 풀 수 있다.
이러한 위치 변경은 코드걸이부(560)를 탄성력의 방향과 반대로 당겨서 돌리면 위치결정부재(580) 간의 맞물림이 180도 간격으로 바뀌게 된다.
이와 같이 코드걸이부재(550)가 손잡이봉(510)에 설치되기 때문에, 바닥에 쓰러지더라도 부피가 큰 하우징이 먼저 닿아 코드걸이부재(550)의 파손을 방지할 뿐 아니라 측면에 설치되지 않고 같은 손잡이(530)와 손잡이봉(510)과 같이 밀대 어셈블리(500)의 라인 상에 코드걸이부재(550)가 설치되어 있어 디자인이 우수하다.
전자펌프(360)는 전자력에 의해 플런저를 왕복운동시켜 펌핑하는 펌프로서 그 작동원리와 구성은 한국공개특허 제2000-73549호 및 한국등록특허 제10-747431호의 공보를 참조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자펌프(360)의 물흡입구(363)는 물통(380)에 튜브(미도시)에 의해 연결되고, 전자펌프(360)의 물토출구(365)는 스팀보일러(350)의 물주입구(355a)에 튜브(미도시)에 의해 연결된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순간 가열식 스팀보일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1 및 도 22는 도 20의 순간 가열식 스팀보일러의 주요 부분을 분리 및 결합한 사시도이다.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간 가열식 스팀보일러(350)는 U자형 전기히터(353)와, 전기히터(353)의 하면 및 상면에 배치되는 제1유로관(355) 및 제2유로관(357)과, 이들을 매입한 블록(351)으로 구성하여 있다.
제1유로관(355)은 제1물주입관(355a), 제1스팀배출관(355c), 제1물주입관(355a)과 제1스팀배출관(355c)을 연결하는 제1연결관(355b)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2유로관(357)도 제1유로관(355)과 마찬가지로 연결튜브(356)에 의해 제1스팀배출관(355c)에 접속되는 제2스팀주입관(357a), 제2스팀배출관(357c), 제2스팀주입관(357a)과 제2스팀배출관(357c)을 연결하는 제2연결관(357b)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유로관(355) 및 제2유로관(357)은 전기히터(353)의 평면(X-Y평면)과 같은 평면상에 배치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3차원 형상인 나선상의 유로관에 비해 2차원 형상인 유로관(355)(357)은 블록(351)의 표면적에 비해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스팀보일러(350)의 슬림화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제1연결관(355b) 및 제2연결관(357b)은 파형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부피를 작게 하면서 전기히터(353)의 접촉시간을 길게 하여 완전 스팀화(액체가 거의 없는 상태 또는 완전히 없는 상태)를 구현을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일체로 형성한 유로관을 구부려 제1유로관(355)과 제2유로관(357)으로 나누어 배치할 수 있지만, 제1유로관(355)과 제2유로관(357)를 두 개로 분할하여 블록(351)에 매입한 후, 연결튜브(356)로 접속하면, 연결튜브(356)와 관(355c)(357a)의 접속 부분에서 스팀에 차있는 에어가 매우 미세하게 빠지는 현상으로 스팀 분사시 소음이 매우 적고 분사량도 규칙적이면서 완전 스팀화에도 상당히 기여한다.
다른 한편, 상하 두 개의 유로관을 사용하는 대신에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한 단일 유로관을 다양한 형태로 사용하여도 좋다.
도 23의 유로관(355A 또는 357A)은 그 관 속에 코일 형상의 가열체(356A)를 삽입하여 절곡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 가열체(356A)는 유로관(355A 또는 357A)의 열을 전달받는 열전도체의 기능을 하기 때문에, 유로관(355A 또는 357A)에서 유동하는 물과 접촉하는 표면적을 넓혀 물의 기화 또는 스팀화에 큰 역할을 한다.
이 가열체(356A)는 코일 형상 이외에도 물과 접촉하는 표면적을 넓게 하는 것이라면 어느 형상이라도 좋다.
도 24의 유로관(355B 또는 357B)은 연결관에 눌린 자국(356B)을 형성하여도 좋다. 눌린 자국(356B)은 눌린 양만큼 유로관(355B 또는 357B)의 내부로 돌출하기 때문에, 이 돌출은 물의 유동을 방해하여 정체시간을 길게 하여 기화 또는 스팀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도 25의 유로관(355C 또는 357C)은 물주입관의 내경(φ1)이 스팀배출관의 내경(φ2)보다 더 크게 구현하는 것이 좋다.
이것은, 도 25의 일부 단면에서 보이듯이, 내경이 변하는 단차 부분(S)에서 와류현상이 생겨 바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정체시키기 때문에 시간을 길게 하여 기 화 또는 스팀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내경의 차이는 확관 또는 축관 작업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스팀보일러(350), 전자펌프(360) 및 전원케이블(400)의 전기회로에 대해 설명한다.
스팀보일러(350)의 특정온도유지 바이메탈(352)의 단자(P1)는 전선(미도시)에 의해 전기히터(353)의 단자(P1)에 접속되고, 스팀보일러(350)의 특정온도유지 바이메탈(352)의 단자(P2)는 전선(미도시)에 의해 PCB(385)에 접속된다.
전자펌프(360)의 단자(P1)는 전선(미도시)에 의해 PCB(385)에 접속되고, 전자펌프(360)의 단자(P2)는 전선(미도시)에 의해 바이메탈(352')의 단자(P2)에 접속된다.
또한 전원케이블(400)은 PCB(385)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전기회로를 구성하는 본 실시예의 스팀청소기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케이블(400)의 코드를 콘센트에 접속한 후 전원버튼(381)을 누르면, PCB(385)의 회로를 통해 바이메탈(352) 및 바이메탈(352')에 전원을 인가한다.
전원이 인가된 바이메탈(352')은 전자펌프(360)를 시동하는 스위치의 역할만을 하며, 시동한 전자펌프(360)는 물통(380)의 물을 흡입하여 스팀보일러(350)에 계속 공급한다.
공급된 물은 제1유로관(355)을 유동하면서 제1스팀(스팀')이 나오고, 제1스팀(스팀')은 연결튜브(356)를 통해 제2유로관(357)을 유동하면서 제2스팀(스팀)이 스팀분사노즐(150)을 통해 스팀분사공(131)에서 분사된다.
한편 전원이 인가된 바이메탈(352')은 전기히터(353)의 온도를 감지하면서 특정온도영역 내에 있도록 스위치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팀청소기용 물통탈착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팀발생용 물통을 설치하는 물품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청소기를 도시한 전면 및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의 본체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바닥판의 바닥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예의 스팀분사구를 상면 및 배면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끼움돌출관과 힌지부재의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결합 단면도.
도 9는 힌지부재가 프론트 하우징의 끼움돌출관에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프런트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스팀발생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PCB를 제거한 상태의 스팀발생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런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주요 부분을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서 물통탈착장치를 위에서 본 분해한 사시도.
도 15는 도 13에서 물통탈착장치를 아래에서 본 분해한 사시도.
도 16은 물통탈착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17은 물통탈착장치의 동작 단면도.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펌프와 히트싱크를 분리 및 결합 도시 한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순간 가열식 스팀보일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1 및 도 22는 도 20의 순간 가열식 스팀보일러의 주요 부분을 분리 및 결합한 사시도.
도 23 내지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로관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6 및 도 27은 코드걸이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및 결합단면도.
도 28은 종래 스팀청소기의 죠인트 부분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29는 종래 스팀보일러를 이용한 치과 기공용 세정장치의 각 요소의 배치 및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
도 30은 종래 스팀청소기용 본체의 바닥판에 설치된 스팀분사구의 상태를 도시한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베이스 어셈블리 110 : 본체
120 : 상부커버 130 : 바닥판
131 : 스팀분사공? 133 : 스플릿판
140 : 힌지부재 141 : 접속관
142 : 힌지축 143 : 끼움홈부
144 : 체결두께부 145 : 결합돌기
150 : 스팀분사노즐 151 : 스팀분사구
153 : 스팀분배로 155,157 : 체결편
200 : 물통탈착장치 210 : 누름부
230 : 록킹부 250 : 탄성부
270 : 캠부 290 : 커버판
300 : 메인 어셈블리 310 : 하우징
311 : 돌출끼움관 312 : 결합홈
313 : 단차부 315 : 걸림턱
316 : 손잡이봉장착부 316a,316b : 손잡이봉장착관
316a',316b' : 손잡이봉장착돌출관 317a,317b : 단차부
318a,318b : 푸시버튼체결공 319 : 벌어짐방지부재
320 : 프런트 하우징 330 : 리어 하우징
331 : 열방산홀 333 : 고정브라켓
335 : 체결브라켓 340 : 스팀발생유닛
350 : 스팀보일러 351 : 블록
352,352' : 바이메탈 353 : 전기히터
355,357 : 유로관 355a,357a : 물주입관
355b,357b : 스팀배출관 355c,357c : 연결관
356A : 가열체 356B : 눌린 자국
350A : 스팀보일러장착실 360 : 전자(電磁)펌프
360A : 전자펌프장착실 370 : 히트싱크
380 : 물통 385 : PCB
390A : 격벽 391,393 : 통과홈
400 : (하드)전원케이블 410 : (전원케이블)인출공
500 : 밀대 어셈블리 510 : 손잡이봉
530 : 손잡이 540,550 : 코드걸이부재
560 : 코드걸이부 570 : 코드걸이지지부
580 : 위치결정부재 600 : 파워코드하우징
605 : 장착실 610 : 누름버튼장착공
612 : 힌지브라켓 614 : 가이드레일
630 : 파워코드지지공 632 : 파워코드수용홈
636 : 걸림공 634,654 : 누름편
650 : 요홈 656 : 걸림훅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하우징에 장착되는 스팀청소기용 물통탈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누름부; 상기 물통에 형성된 록킹홈에 작용하는 록킹부; 상기 록킹부가 상기 록킹홈 쪽으로 향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 상기 누름부의 누름에 의해 상기 록킹부를 상기 록킹홈에서 멀어지도록 힘을 가하는 캠부로 구성되되,
    상기 캠부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힌지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축과, 일단은 상기 누름부의 누름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힌지축에 고정되는 레버와, 상기 힌지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록킹부를 작동하는 작동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록킹부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가이드홈이 양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되어 상기 작동축이 배치되는 장공과, 상기 슬라이더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용 물통탈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탈착장치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파워코드하우징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통탈착장치.
KR1020080027645A 2008-03-26 2008-03-26 스팀청소기용 물통탈착장치 KR100946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645A KR100946299B1 (ko) 2008-03-26 2008-03-26 스팀청소기용 물통탈착장치
CN2008101871659A CN101543820B (zh) 2008-03-26 2008-12-11 蒸汽清洁器用水箱拆装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645A KR100946299B1 (ko) 2008-03-26 2008-03-26 스팀청소기용 물통탈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296A KR20090102296A (ko) 2009-09-30
KR100946299B1 true KR100946299B1 (ko) 2010-03-08

Family

ID=41191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7645A KR100946299B1 (ko) 2008-03-26 2008-03-26 스팀청소기용 물통탈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46299B1 (ko)
CN (1) CN101543820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97848A (zh) * 2010-09-10 2012-04-04 苏州韩京姬科技有限公司 蒸汽清洁器
US20210030249A1 (en) * 2019-07-31 2021-02-04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US11712146B2 (en) 2019-07-31 2023-08-01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567B1 (ko) * 2013-03-28 2013-12-17 노승환 스팀 청소기
CN103691687B (zh) * 2013-09-17 2015-09-30 苏州欧赛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自检功能的蒸汽清洁器装配工艺流程
CN106353678A (zh) * 2016-08-31 2017-01-25 杭州威衡科技有限公司 电机质量管控数据监测系统
CN106324503A (zh) * 2016-08-31 2017-01-11 杭州威衡科技有限公司 他励直流电动机计量校准系统
CN106452022A (zh) * 2016-12-19 2017-02-22 江西明伟电子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拆卸的新型开关电源盒
CN108435993A (zh) * 2018-03-19 2018-08-24 骆小艳 用于弹簧制造的卷簧设备
KR102286287B1 (ko) 2019-07-31 2021-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청소기
CN112324763A (zh) * 2019-08-04 2021-02-05 彭志军 一种用于板材之间连接的隐藏杠杆抽拉式锁紧连接结构
CN114617483B (zh) * 2021-09-01 2023-06-30 北京石头世纪科技股份有限公司 按键结构、储液箱以及自动清洁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9159A (en) 1996-01-18 1998-11-24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Wet extractor system
KR200408333Y1 (ko) 2005-11-14 2006-02-08 주식회사 우남 물흡입 청소기의 흡입유닛
KR100618646B1 (ko) * 2004-03-12 2006-09-12 박명덕 물을 이용한 청소기 및 물청소용 브러시
KR100813537B1 (ko) * 2007-04-02 2008-03-17 한경희 스팀진공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480403Y (zh) * 2001-06-08 2002-03-06 史华彬 一种家用蒸气清洁器
KR100734569B1 (ko) * 2006-04-26 2007-07-02 한경희 완충부재가 장착된 스팀청소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9159A (en) 1996-01-18 1998-11-24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Wet extractor system
KR100618646B1 (ko) * 2004-03-12 2006-09-12 박명덕 물을 이용한 청소기 및 물청소용 브러시
KR200408333Y1 (ko) 2005-11-14 2006-02-08 주식회사 우남 물흡입 청소기의 흡입유닛
KR100813537B1 (ko) * 2007-04-02 2008-03-17 한경희 스팀진공청소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97848A (zh) * 2010-09-10 2012-04-04 苏州韩京姬科技有限公司 蒸汽清洁器
US20210030249A1 (en) * 2019-07-31 2021-02-04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US11700990B2 (en) * 2019-07-31 2023-07-18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US11712146B2 (en) 2019-07-31 2023-08-01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43820B (zh) 2010-10-20
CN101543820A (zh) 2009-09-30
KR20090102296A (ko) 200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6299B1 (ko) 스팀청소기용 물통탈착장치
KR20090079485A (ko) 스팀발생유닛 및 스팀청소기
US8534301B2 (en) Steam mop
CN201568941U (zh) 蒸汽器具和蒸汽熨斗
KR100928162B1 (ko) 청소기의 노즐
CN101263255B (zh) 具有连接于熨斗和熨平刷的蒸汽发生器的熨烫器具
US20080022480A1 (en) Handheld steam cleaner
KR100946300B1 (ko) 스팀청소기용 하우징
EP2065639A2 (en) Heating apparatus and cleaner having the same
CN103210135A (zh) 蒸汽挂烫机
KR100947016B1 (ko) 스팀청소기
KR100946302B1 (ko) 순간 가열식 스팀보일러
KR100535876B1 (ko) 물걸레 스팀청소기
KR100946303B1 (ko) 스팀청소기용 본체
TWM247069U (en) Steam type cosmetic device
KR100946301B1 (ko) 스팀청소기용 하우징
KR100828100B1 (ko) 진공 겸용 스팀청소기의 온수탱크구조
US20170184302A1 (en) Steamer head
KR101253246B1 (ko) 스팀발생기
KR200423615Y1 (ko) 증기를 이용한 다리 찜질기
KR100728503B1 (ko) 스팀보일러 및 이를 채택한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CN1386590A (zh) 手提式蒸汽清洁枪
CN110241597B (zh) 具有可拆卸水箱的手持挂烫机
CN212611570U (zh) 挂烫机
CN217149656U (zh) 挂烫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