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4498B1 - A Winder Having a Wire Mobile Unit of Two Direction - Google Patents

A Winder Having a Wire Mobile Unit of Two Dir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4498B1
KR100944498B1 KR1020080013575A KR20080013575A KR100944498B1 KR 100944498 B1 KR100944498 B1 KR 100944498B1 KR 1020080013575 A KR1020080013575 A KR 1020080013575A KR 20080013575 A KR20080013575 A KR 20080013575A KR 100944498 B1 KR100944498 B1 KR 100944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pulley
input
case
outpu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35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88182A (en
Inventor
이강진
박종열
염성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성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성산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성산전
Priority to KR1020080013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4498B1/en
Publication of KR20090088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81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4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8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 B66F3/18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actuated through worm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2Driving gear incorporatin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8Control devices automatic
    • B66D1/50Control devices automatic for maintaining predetermined rope, cable, or chain tension, e.g. in ropes or cables for towing craft, in chains for anchors; Warping or mooring winch-cable tens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25Motor operated wi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83Details, e.g. winch drums, cooling, bearings, mounting, base structures, cable guiding or attachment of the cable to the dr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권양기에 있어서, 특히 권양기의 양방향에서 와이어를 노출시키고, 아울러 상기 와이어에 모두 부하가 걸릴 수 있도록 내부 장치가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및 하강에 따른 양방향 와이어 유동장치를 갖는 권양기에 관한 것으로, 모터 및 풀리를 갖는 권양기에 있어서, 풀리의 오른쪽 외주연에 설치되는 호형태의 체인으로서 풀리에 감기는 와이어를 압박하여 와이어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로울러 체인과; 풀리의 왼쪽 외주연에 설치되는 호형태의 체인으로서 풀리에 감기는 와이어를 압박하여 와이어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제 2 로울러 체인과; 케이스의 내측 하부 일단에 설치되어 와이어가 풀리에 감기도록 가이드하며, 케이스의 힌지핀에 장공으로 결합되어 와이어에 부하가 걸릴 경우 장공방향으로 위치를 이동하는 제 1 와이어 입출력 가이드부와; 케이스의 내측 하부 타단에 설치되고, 제 1 와이어 입출력 가이드부에 엑스자형으로 배치되며, 와이어가 풀리에 감기도록 가이드하고, 케이스의 힌지핀에 장공으로 결합되어 와이어에 부하가 걸릴 경우 장공방향으로 위치를 이동하는 제 2 와이어 입출력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ist having a bidirectional wire flow device according to a lifting and lowering, in particular an internal device designed to expose a wire in both directions of a winch, and to load the wire. A hoisting machine having a motor and a pulley, comprising: a first roller chain which is an arc-shaped chain installed at the right outer periphery of the pulley and presses a wire wound on the pulley to prevent the wire from slipping; A second roller chain installed on the left outer periphery of the pulley to press the wire wound on the pulley to prevent the wire from slipping; A first wire input / output guide unit installed at an inner lower end of the case to guide the wire to be wound around the pulley, and coupled to the hinge pin of the case in a long hole to move a position in the long direction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wire; It is installed at the other inner lower end of the case, is arranged in X-shape on the first wire input / output guide part, guides the wire to be wound on the pulley, and is coupled to the hinge pin of the case in the long hole, so that the load is placed in the long direction when the wire is under load.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second wire input and output guide to move the.

승강, 하강, 양방향, 와이어, 유동장치, 권양기, 와인더, 양방향 와인더 Lifting, lowering, bidirectional, wire, flow device, winch, winder, bidirectional winder

Description

승강 및 하강에 따른 양방향 와이어 유동장치를 갖는 권양기{A Winder Having a Wire Mobile Unit of Two Direction}A winder having a two-way wire flow device according to lifting and lowering {A Winder Having a Wire Mobile Unit of Two Direction}

본 발명은 승강 및 하강에 따른 양방향 와이어 유동장치를 갖는 권양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권양기의 양방향에서 와이어를 노출시키고, 아울러 상기 와이어에 모두 부하가 걸릴 수 있도록 내부 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및 하강에 따른 양방향 와이어 유동장치를 갖는 권양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ch having a bidirectional wire flow device according to the lifting and lowering, in particular the lifting and lowe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device is installed so as to expose the wire in both directions of the winch, and to take a load on all of the wire It relates to a winch having a bidirectional wire flow device according to.

일반적으로, 무한 권양기(Endless Winder)는 중량체의 물건을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데 사용하는 장치로, 종래에 다수의 권양기가 출원된바 있고,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the endless winder (Endless Winder) is a device used to lift or lower the weight of the object, a number of conventional winding machine has been applied and used.

즉, 권양기는 원통형의 드럼을 회전시키면 드럼에 감긴 와이어로프 또는 체인이 중량물을 끌어당겨 움직이게 하거나 도르래를 이용해서 물건을 달아올릴 수 있게 한 기계로서, 소형은 수동윈치라 하여 기어를 이용해서 크랭크핸들을 손으로 돌려 드럼을 구동하는데, 크랭크에서 손을 떼어도 중량물이 떨어지지 않도록 브레이크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대형윈치는 내연기관이나 전동기로 구동하는데, 기어와 드럼 사이에 클러치가 구성되어 있어 원동기로부터 드럼에 전달되는 동력을 전달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중량물을 원하는 위치에 머물게 하려면 클러치를 떼고 브레이크를 걸면 되고, 중량물을 내릴 때는 브레이크를 풀면 된다. 드럼의 수에 따라 단동, 복동, 다동으로 분류하며 공장에서 중량물을 운반할 때나 토목, 광산, 선박용으로 널리 이용하고 있다.In other words, the hoisting machine is a machine that allows the wire rope or chain wound on the drum to pull the heavy object or lift the object using a pulley when the cylindrical drum is rotated. The drum is rotated by hand, and the brake is mounted so that the weight does not fall even when the crank is released. In addition, the large winch is driven by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r an electric motor, and a clutch is formed between the gear and the drum to transmit or block power transmitted from the prime mover to the drum. To keep the weight in the desired position, release the clutch and apply the brake, and when unloading, release the brake. According to the number of drums, it is classified into single acting, double acting and multi acting, and it is widely used for transporting heavy goods in the factory, civil engineering, mining, and ship.

한편, 종래의 권양기는 케이스 내부에 풀리와 한쌍으로 구비되는 로울러가 하나밖에 없어 곡률반경이 작을 경우 와이어의 피로도가 증가되어 쉽게 노후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할 수 없음은 물론 와이어가 쉽게 꼬이는 문제도 발생하고, 더 나아가 와이어에 전달되는 마찰력이 약하여 안전상에 큰 문제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hoisting machine has only one roller provided with a pair of pulleys in the case, so when the radius of curvature is small, the fatigue of the wire increases,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easily ages, and also the wire tension cannot be adjusted.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wists easily, and furthermore, there is a big problem in safety because the friction force transmitted to the wire is weak.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권양기의 와이어 장력조절과 꼬임방지장치(특허공개 제 2003-0085673호)를 제안한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applicant has proposed a wire tension control and twist prevention device (patent publication No. 2003-0085673) of a winch.

그런데, 상기 발명은 일측에만 하중이 걸리고 다른 일측은 하중이 걸리지 않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oblem that the work efficiency is low because the load is applied only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s not loaded.

즉, 부하가 걸리는 라인이 1개밖에 없기 때문에 상부의 물건을 하부로 옮긴다면 상부에 존재하는 일개의 물건을 하부로 옮기고 하부로 내려간 와이어를 다시 상부로 올려서 상부에 있는 물건을 하부로 옮겨야 하므로 작업효율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if there is only one line under load, if you move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you need to move one object existing in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and move the lowered wire back to the upper part to move the upper part object to the lower par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is very poor.

결국, 종래의 권양기 장치에서는 물건을 옮기는 작업시에 한쪽의 와이어만을 사용하므로 장비의 사용효율이 떨어지고 그만큼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As a result, in the conventional hoisting device, only one wire is used at the time of moving an object, so that the use efficiency of the equipment is reduced and the working time is much long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권양기의 양방향 와이어에서 동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vice for the simultaneous operation in the bi-directional wire of the winch.

또한, 장력조절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정적인 권양기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tension control is made at the same time it is another object to enable a stable hoist work.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은 원통형 또는 다각통형 형태로서 하부에는 운반용 손잡이가 설치되며, 와이어의 입출을 위한 입출력홀이 2개 형성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전기를 공급받아 전기적인 힘을 기계적인 힘으로 변환하여 회동되는 구동모터(20)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며 구동모터의 축에 설치되어 구동모터의 회동에 연동하여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되는 풀리(30)와;
상기 케이스의 입출력홀을 통과하여 풀리의 외주연에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며, 풀리의 회전에 상응하여 감기거나 풀리면서 케이스 외부에 묶이는 중량체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와이어(41, 42)와;
상기 풀리의 왼쪽 외주연에 설치되는 호형태의 체인으로서 풀리에 감기는 와이어를 압박하여 와이어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로울러 체인(50)과;
상기 풀리의 오른쪽 외주연에 설치되는 호형태의 체인으로서 풀리에 감기는 와이어를 압박하여 와이어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제 2 로울러 체인(60)과;
상기 케이스의 내측 하부 일단에 설치되어 와이어가 풀리에 감기도록 가이드하며, 케이스의 힌지핀에 장공으로 결합되어 와이어에 부하가 걸릴 경우 장공방향으로 위치를 이동하는 제 1 와이어 입출력 가이드부(70)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 하부 타단에 설치되고, 제 1 와이어 입출력 가이드부에 엑스자형으로 배치되며, 와이어가 풀리에 감기도록 가이드하고, 케이스의 힌지핀에 장공으로 결합되어 와이어에 부하가 걸릴 경우 장공방향으로 위치를 이동하는 제 2 와이어 입출력 가이드부(80)와;
상기 제 1 와이어 입출력 가이드부의 일측과 제 2 로울러 체인을 결합하여, 제 1 와이어 입출력 가이드부에 부하가 걸려서 유동할때 동일방향으로 움직이며, 와이어를 풀리에 강하게 압박하여 와이어가 풀리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체인 연결축(90)과;
상기 제 2 와이어 입출력 가이드부의 일측과 제 1 로울러 체인을 결합하여, 제 2 와이어 입출력 가이드부에 부하가 걸려서 유동할때 동일방향으로 움직이며, 와이어를 풀리에 강하게 압박하여 와이어가 풀리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제 2 체인 연결축(100)와;
상기 제 1 와이어 입출력 가이드부(70)에 설치되어 와이어에 부하가 걸려 팽팽해질때, 와이어가 팽팽해지면서 이동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해서 와이어가 원할하게 입출력되도록 하는 3개의 제 1 텐션롤러(110)와;
상기 제 2 와이어 입출력 가이드부(80)에 설치되어 와이어에 부하가 걸려 팽팽해질때, 와이어가 팽팽해지면서 이동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해서 와이어가 원할하게 입출력되도록 하는 3개의 제 2 텐션롤러(1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cylindrical or polygonal shape in the low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carrying handle, the case 10 is formed with two input and output holes for entry and exit of the wire;
A drive motor 2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se and rotated by receiving electricity from the outside and converting the electric force into a mechanical force;
A pulley 30 installed inside the case and installed on a shaft of the driving motor to rotat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in association with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A wire (41, 42) installed in the form of wrapping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pulley by passing through the input / output hole of the case and lifting or lowering the weight body ti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while being wound or unwind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pulley;
A first roller chain (50) installed on the left outer periphery of the pulley to press a wire wound on the pulley to prevent the wire from slipping;
A second roller chain (60) installed in the right outer circumference of the pulley to press a wire wound on the pulley to prevent the wire from slipping;
A first wire input / output guide 70 which is installed at one inner lower end of the case and guides the wire to be wound around the pulley, and is coupled to the hinge pin of the case by a long hole to move the position in the long direction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wire; ;
It is installed at the other inner lower end of the case, is disposed in the X-shaped portion of the first wire input and output guide, guides the wire to be wound around the pulley, coupled to the hinge pin of the case in the long hole direction when the load is applied to the wire in the long hole direction A second wire input / output guide unit 80 moving a position;
Combining one side of the first wire input and output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roller chain, it moves in the same direction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first wire input and output guide portion, and the wire is strongly pressed against the pulley to slide the wire from the pulley. A first chain linking shaft (90) for preventing;
Combining one side of the second wire input and output guide portion and the first roller chain, the second wire input and output guide portion is moved in the same direction when the load is applied to flow, and the wire is strongly pressed against the pulley to prevent the wire from slipping off the pulley. A second chain connecting shaft 100 for preventing;
Three first tension rollers 110 installed in the first wire input / output guide part 70 to apply a force in a moving direction while the wire is tightened when the load is applied to the wire to make the wire smoothly input and output. Wow;
Three second tension rollers 120 installed in the second wire input / output guide part 80 to apply a force in a moving direction while the wire is tightened when the load is applied to the wire to make the wire smoothly input and output. It is characterized by that further comprises a.

삭제delete

본 발명은 외부로 노출되는 2가닥의 와이어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가닥의 와이어를 모두 사용하여 작업할 수도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는 종래의 권양기가 단지 한방향의 와이어만을 이용하여 작업하는 것과 차별화시킨 것으로, 양방향의 와이어에 모두 중량체를 설치하여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효율을 2배로 증가시킬 수 있고, 그만큼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effect of selectively using two wires exposed to the outside and working with both wires. This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ventional hoist using only one direction of wire. By installing a weight on both directions of wire, the weight can be raised and lowered, thereby doubling the work efficiency, and thus the working time. It can be shortened.

또한, 모터의 경우 단상전원을 사용하므로써 3상전원이 설치되지 않는 곳(예, 가정)에서도 쉽게 활용 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by using a single-phase power source for the motor, it can be easily used even in places where a three-phase power source is not installed (eg, home).

아울러, 콘트롤 판넬을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도록 모터와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관리가 쉽고,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anagement panel is integrated with the motor so that the control panel does not need to b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is easy to manage and can be used regardless of the place.

아울러, 와이어가 풀리로부터 미끄러지지 않토록 설계하여 작업자에게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wire is designed so that it does not slip from the pulley,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blocking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to the operator.

비록 본 발명이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지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s mentioned, other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appended claims cover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s fall within the true scope of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손잡이를 표현한 전체 구성도.Figure 2 is an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모터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의 내부 단면도.Figure 3 is an inter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mo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체인 연결축을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요부 확대도.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ortion of Figure 3 for explaining the chain connecting shaf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케이스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side of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권양기는 크게 케이스(10)와, 구동모터(20)와, 풀리(30)와, 와이어(41, 41a, 42, 42a)와, 제 1 로울러 체인(50)과, 제 2 로울러 체인(60)과, 제 1 와이어 입출력 가이드부(70)와, 제 2 와이어 입출력 가이드부(80)와, 제 1 체인 연결축(90)과, 제 2 체인 연결축(100)과, 제 1 텐션롤러(110)와, 제 2 텐션롤러(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미설명부호 130은 제 1 와이어 입출력 가이드부(70)와 제 2 와이어 입출력 가이드부(80) 사이에 설치되어 와이어를 통과시키고, 아울러 가이드부(70, 80)를 지지하는 와이어 지지수단이다.The hoist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a case 10, a drive motor 20, a pulley 30, wires 41, 41a, 42, 42a, a first roller chain 50, and a second roller chain. 60, the first wire input and output guide unit 70, the second wire input and output guide unit 80, the first chain linking shaft 90, the second chain linking shaft 100, the first tension It comprises a roller 110, the second tension roller 120. Reference numeral 130 is a wire support mean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wire input and output guide unit 70 and the second wire input and output guide unit 80 to pass the wire, and also to support the guides (70, 80).

케이스(10)는 원통형 또는 다각통형 형태로서 내부에 회동수단이 설치되고, 하부에는 운반용 손잡이(11)가 설치되며, 와이어(41, 42)의 입출을 위한 입출력홀(12, 13)이 2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물론 케이스(10)를 운반할 때에는 손잡이(11)가 위로 향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운반하고 설치시에는 손잡이(11)가 아래로 향하도록 한다.The case 10 has a cylindrical or polygonal shape, and a rotation means is installed therein, a carrying handle 11 is installed at the bottom thereof, and two input / output holes 12 and 13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wires 41 and 42 are provided. Formed. Of course, when carrying the case 10 is carried in a state in which the handle 11 is positioned to face upward, and when installed, the handle 11 to face downward.

구동모터(20)는 케이스(10)의 일측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전기를 공급받아 전 기적인 힘을 기계적인 힘으로 변환하여 회동된다.The drive motor 2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se 10 and is rotated by receiving electricity from the outside and converting electric force into mechanical force.

풀리(30)는 케이스(10)의 내측에 설치되며 구동모터(20)의 축에 설치되어 구동모터(20)의 회동에 연동하여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된다.The pulley 30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10 and is installed on the shaft of the drive motor 20 to be rotated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20.

와이어(41, 42)는 케이스(10)의 입출력홀(12, 13)을 통과하여 풀리(30)의 외주연에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며, 풀리(30)의 회전에 상응하여 감기거나 풀리면서 케이스(10) 외부에 묶이는 중량체를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역할을 한다.The wires 41 and 42 pass through the input / output holes 12 and 13 of the case 10 to be wrapp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pulley 30, and are wound or unwound in correspondence with the rotation of the pulley 30. (10) It serves to lift or lower the weight tied to the outside.

제 1 로울러 체인(50)은 풀리(30)의 왼쪽 외주연에 설치되는 호형태의 체인으로서 풀리에 감기는 와이어(41a)를 압박하여 와이어(42)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The first roller chain 50 is an arc-shaped chain installed on the left outer periphery of the pulley 30 to press the wire 41a wound on the pulley to prevent the wire 42 from slipping.

제 2 로울러 체인(60)은 풀리(30)의 오른쪽 외주연에 설치되는 호형태의 체인으로서 풀리(30)에 감기는 와이어(42a)를 압박하여 와이어(41)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The second roller chain 60 is an arc-shaped chain installed on the right outer periphery of the pulley 30 to press the wire 42a wound on the pulley 30 to prevent the wire 41 from slipping.

제 1 와이어 입출력 가이드부(70)는 케이스(10)의 내측 하부 일단에 설치되어 와이어(41)가 풀리에 감기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며, 케이스(10)의 힌지핀(14)에 장공(71)으로 결합되어 와이어(41)에 부하가 걸릴 경우 장공이 형성된 길이 방향으로 후퇴하여 위치를 이동한다.The first wire input / output guide unit 70 is installed at one inner lower end of the case 10 to serve as a guide for the wire 41 to be wound around the pulley, and the long hole 71 to the hinge pin 14 of the case 10. When the load is applied to the wire 41 is coupled to the retrea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which the long hole is formed to move the position.

제 2 와이어 입출력 가이드부(80)는 케이스(10)의 내측 하부 타단에 설치되고, 제 1 와이어 입출력 가이드부(70)에 엑스자형으로 배치되며, 와이어(42)가 풀리(30)에 감기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고, 케이스(10)의 힌지핀(14)에 장공(81)으로 결합되어 와이어(42)에 부하가 걸릴 경우 장공이 형성된 길이 방향으로 후퇴하여 위치를 이동한다.The second wire input / output guide part 80 is installed at the other inner lower end of the case 10, is disposed in an X-shape at the first wire input / output guide part 70, and the wire 42 is wound around the pulley 30. It acts as a guide, and is coupled to the hinge pin 14 of the case 10 by the long hole 81, when the load is applied to the wire 42 retrea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which the long hole is formed to move the position.

제 1 체인 연결축(90)은 제 1 와이어 입출력 가이드부(70)의 일측과 제 2 로울러 체인(60)을 결합하여, 제 1 와이어 입출력 가이드부(70)에 부하가 걸려서 유동할때 동일방향으로 움직이며, 와이어(42a)를 풀리에 강하게 압박하여 와이어(41)가 풀리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The first chain connecting shaft 90 combines one side of the first wire input / output guide unit 70 and the second roller chain 60 so that a load is applied to the first wire input / output guide unit 70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oad. , The wire 42a is strongly pressed against the pulley to prevent the wire 41 from slipping from the pulley.

제 2 체인 연결축(100)은 제 2 와이어 입출력 가이드부(80)의 일측과 제 1 로울러 체인(50)을 결합하여, 제 2 와이어 입출력 가이드부(80)에 부하가 걸려서 유동할때 동일방향으로 움직이며, 와이어(41a)를 풀리에 강하게 압박하여 와이어(42)가 풀리(30)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The second chain connecting shaft 100 combines one side of the second wire input / output guide unit 80 and the first roller chain 50 so that a load is applied to the second wire input / output guide unit 80 in the same direction. , The wire 41a is strongly pressed against the pulley to prevent the wire 42 from sliding off the pulley 30.

제 1 텐션롤러(110)는 제 1 와이어 입출력 가이드부(70)에 설치되어 와이어(41)에 부하가 걸려 팽팽해질때, 와이어(41)가 팽팽해지면서 이동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해서 와이어(42a)가 풀리(30)에 강하게 압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When the first tension roller 110 is installed in the first wire input / output guide unit 70 and is loaded and tensioned, the wire 41 is applied with a force in the moving direction as it is tightened to move the wire 42a. ) Serves to strongly press the pulley (30).

제 2 텐션롤러(120)는 제 2 와이어 입출력 가이드부(80)에 설치되어 와이어(42)에 부하가 걸려 팽팽해질때, 와이어(42)가 팽팽해지면서 이동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해서 와이어(41a)가 풀리(30)에 강하게 압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When the second tension roller 120 is installed in the second wire input / output guide 80 and is loaded and tensioned, the wire 42 is tightened to apply a force in the moving direction to move the wire 41a. ) Serves to strongly press the pulley (30).

이하에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w.

케이스(10)에는 풀리(30)가 설치되고, 아울러 풀리(30)에는 제 1 로울러 체인(50)과, 제 2 로울러 체인(60)이 설치된다. 그리고, 케이스(10) 내측 하부에는 각각 제 1 와이어 입출력 가이드부(70)와 제 2 와이어 입출력 가이드부(80)가 엑스자 형태로 설치되고, 제 1 와이어 입출력 가이드부(70)의 일측 끝단부는 장공(71) 을 통해 힌지핀(14)에 결합되고 제 1 와이어 입출력 가이드부(70)의 타측 끝단부는 제 1 체인 연결축(90)을 통해 제 2 로울러 체인(60)과 연결된다. 그리고, 제 2 와이어 입출력 가이드부(80)의 일측 끝단부는 장공(81)을 통해 힌지핀(14)에 결합되고 제 2 와이어 입출력 가이드부(80)의 타측 끝단부는 제 2 체인 연결축(100)을 통해 제 1 로울러 체인(50)과 연결된다. 그리고, 케이스(10)의 일단에는 모터(20)가 설치되고, 모터(20)의 축과 풀리(30)가 결합되어 모터의 시계방향 회전 또는 시계반대방향 회전에 상응하여 풀리(30)가 정회전 및 역회전 한다.The case 10 is provided with a pulley 30, and the pulley 30 is provided with a first roller chain 50 and a second roller chain 60. In addition, the first wire input / output guide part 70 and the second wire input / output guide part 80 are installed in an X-shape, respectively, in the lower part of the case 10, and one end of the first wire input / output guide part 70 is provided. It is coupled to the hinge pin 14 through the long hole 71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wire input and output guide unit 70 is connected to the second roller chain 60 through the first chain connecting shaft 90. One end of the second wire input / output guide unit 80 is coupled to the hinge pin 14 through the long hole 81,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wire input / output guide unit 80 is connected to the second chain connecting shaft 100. It is connected with the first roller chain 50 through. Then, one end of the case 10, the motor 20 is installed, the shaft and the pulley 30 of the motor 20 is coupled to the pulley 30 is fixed in accordance with the clockwise rotation or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motor Rotate and reverse.

본 발명은 케이스(10) 하부에 와이어 입출력홀(12, 13)이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와이어 입출력 홀(12, 13) 중에서 일개의 와이어 입출력 홀(12)을 통해 한쪽끝의 와이어를 삽입하고, 풀리(30)에 한바퀴 감은후 다른 일개의 와이어 입출력 홀(13)을 통해 와이어를 외부로 노출 시킨다. 그러면 총 2가닥의 와이어(12, 13)가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input / output holes 12 and 13 are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case 10, and the wire at one end is inserted through the one wire input / output hole 12 among the wire input / output holes 12 and 13. After winding one round on the pulley 30, the wire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ther wire input / output hole 13. Then, a total of two wires 12 and 13 are exposed to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와이어(41, 42)에는 각각 중량체를 결합시키는바, 한쪽의 와이어(41)는 중량체를 들어올리는 역할을 하고, 다른 한쪽의 와이어(42)는 중량체를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wires 41 and 42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weight bar, one wire 41 serves to lift the weight body, the other wire 42 serves to lower the weight body. .

케이스(10) 내부에서 발생되는 동작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An operation occurring inside the case 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41a는 제 1 와이어(41)의 연장 와이어로서 제 1 와이어로부터 연장되어 풀리에 감싸는 부분을 나타내며, 42a는 제 2 와이어(42)의 연장 와이어로서 제 2 와이어로부터 연장되어 풀리에 감싸는 부분을 나타낸다.First, 41a represents an extension wire of the first wire 41 extending from the first wire to wrap around the pulley, and 42a represents an extension wire of the second wire 42 extending from the second wire to wrap around the pulley. Indicates.

제 1 와이어(41)를 하강시키고 제 2 와이어(42)를 상승시키는 동작을 살펴보 면, 제 1 와이어(41)가 중량체에 의해서 중력부하가 걸리면서 와이어(41)가 팽팽해지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그러면 장공(71)이 힌지핀(14)의 뒤로 밀리면서 제 1 와이어 입출력 가이드부(70) 전체가 뒤로 밀리게 되고, 동시에 제 1 와이어 입출력 가이드부(70)에 연결된 제 1 체인 연결축(90)이 뒤로 밀리면서 풀리(30)를 감싸고 있는 와이어(42a)가 강하게 풀리에 압착된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lowering the first wire 41 and raising the second wire 42, the first wire 41 is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re 41 is tightened while being subjected to the gravity load by the weight body. Then, as the long hole 71 is pushed behind the hinge pin 14, the entire first wire input / output guide unit 70 is pushed backward,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chain connecting shaft 90 connected to the first wire input / output guide unit 70. ) Is pushed backward and the wire 42a surrounding the pulley 30 is strongly pressed onto the pulley.

즉, 제 1 와이어(41)가 하강하게 되면 제 1 체인 연결축(90)에 걸쳐진 제 2 와이어(42)의 연장 와이어(42a)가 풀리에 강하게 밀착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first wire 41 is lowered, the extension wire 42a of the second wire 42 spanning the first chain connecting shaft 9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ulley.

이때, 모터(20)를 작동시켜 풀리(30)를 회전시키면 제 1 텐션롤러(110)에 의해서 와이어(41)가 움직이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힘을 작동시켜 결국 와이어(41)가 제 1 텐션롤러(110)를 타고 쉽게 하강할 수 있게 되며, 제 1 체인 연결축(90)이 와이어(42a)를 풀리(30)의 외주연에 강하게 압박하는 상태이므로 풀리(30)로부터 와이어가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pulley 30 is rotated by operating the motor 20, the force is operated by the first tension roller 11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re 41 moves, so that the wire 41 is the first tension roller. It is possible to easily descend by riding the 110, since the first chain connecting shaft 90 is a state in which the wire 42a is strongly pressed against the outer periphery of the pulley 30, the wire slips from the pulley 30. Will be prevented.

만약에 와이어(41a, 42a)를 강하게 풀리(30)에 밀착시키지 않게 되면 중량체의 중력부하에 의해서 와이어가 풀리의 외주연에 미끄러지면서 헛돌수 있으며, 중량체가 빠른 속도로 낙하하면서 작업자에게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If the wires 41a and 42a are not strongly adhered to the pulley 30, the wires may slip due to the gravity load of the weight body, causing the wires to slip. May occur.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중량체의 의해서 와이어(41)에 부하가 걸리게 되면 자동으로 제 1 체인 연결축(90)이 이동되면서 와이어(42a)를 강하게 압박시킴으로서 와이어(41, 42)가 헛도는 것을 미연에 방지토록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ce the wire (41a) 42 by pressing the wire (42a) while the first chain connecting shaft 90 is automatically moved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wire (41) by a weight body To prevent it from vanishing.

한편, 제 1 와이어(41)에 중량체를 실어 하강하는 작업중에 동시에 제 2 와 이어(42)에 중량체를 실어 상승시키는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바, 이때 제 2 와이어(42) 역시 중량체로 인하여 부하가 발생되며, 제 2 와이어(42)에 부하가 발생되면 제 2 와이어 입출력 가이드부(80)를 뒤로 후퇴시키고 이에 연동하여 제 2 체인 연결축(100)이 뒤로 후퇴하면서 제 1 로울러 체인(50)을 강하게 압박하여 와이어(41a)가 풀리(30)에 밀착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during the operation of loading the heavy body on the first wire 41 and lowering at the same time can carry out the operation by lifting the weight on the second wire 42, the second wire 42 also due to the weight When a load is generated and a load is generated on the second wire 42, the second wire input / output guide unit 80 is retracted backward and the second chain connecting shaft 100 retreats backward in association with the first roller chain 50. ), The wire 41a is tightly pressed against the pulley 30.

이에 따라 와이어(41a)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제 2 텐션롤러(120)가 와이어(42)에 탄발력을 제공하여 지지토록 함으로서 와이어(42)의 상승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Accordingly, the wire 41a is prevented from slipping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tension roller 120 provides the elastic force to the wire 42 so that the wire 42 can be easily lifted.

물론, 제 1 와이어(41) 또는 제 2 와이어(42) 중에서 어느 한 개만을 이용하여 중량체를 이송시키는 작업을 할 수도 있고, 그러면 부하가 걸리지 않는 와이어는 단지 와이어가 이동되도록 하는 보조 역할만을 하게 되고, 부하가 걸리는 와이어는 팽팽해지면서 텐션롤러와 체인 연결축의 작용으로 와이어가 풀리로부터 미끄러지지 않으면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게 된다.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transfer the weight using only one of the first wire 41 or the second wire 42, and then the unloaded wire only serves as an auxiliary to move the wire. In addition, the wire under load becomes taut and the wire can be raised or lowered without the sliding of the pulley by the action of the tension roller and the chain connecting shaft.

결국,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2개의 와이어(41, 42)를 이용하여 중량체의 승강 및 하강 작업을 일정하중내에서 동시에 진행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1개의 와이어만을 이용하여 중량체의 승강 또는 하강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As a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weight body may be simultaneously performed within a predetermined load by using the two wires 41 and 42, and the lifting or lowering of the weight body using only one wire as necessary. It provides the advantage to proceed with the descent work.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손잡이를 표현한 전체 구성도.Figure 2 is an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모터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의 내부 단면도.Figure 3 is an inter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mo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체인 연결축을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요부 확대도.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ortion of Figure 3 for explaining the chain connecting shaf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케이스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side of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ure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케이스10: case

11: 손잡이11: handle

12, 13: 와이어 입출력 홀12, 13: wire input / output hole

20: 구동모터20: drive motor

30: 풀리30: pulley

41, 41a, 42, 42a: 와이어41, 41a, 42, 42a: wire

50: 제 1 로울러 체인50: first roller chain

60: 제 2 로울러 체인60: second roller chain

70: 제 1 와이어 입출력 가이드부70: first wire input and output guide portion

80: 제 2 와이어 입출력 가이드부80: second wire input and output guide portion

90: 제 1 체인 연결축90: first chain connecting shaft

100: 제 2 체인 연결축100: second chain linkage shaft

110: 제 1 텐션롤러110: first tension roller

120: 제 2 텐션롤러120: second tension roller

Claims (2)

원통형 또는 다각통형 형태로서 하부에는 운반용 손잡이가 설치되며, 와이어의 입출을 위한 입출력홀이 2개 형성되는 케이스(10)와;A case 10 having a cylindrical or polygonal shape and having a carrying handle installed at the bottom thereof, and having two input / output holes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wire;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전기를 공급받아 전기적인 힘을 기계적인 힘으로 변환하여 회동되는 구동모터(20)와;A drive motor 2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se and rotated by receiving electricity from the outside and converting the electric force into a mechanical force;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며 구동모터의 축에 설치되어 구동모터의 회동에 연동하여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되는 풀리(30)와;A pulley 30 installed inside the case and installed on a shaft of the driving motor to rotat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in association with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상기 케이스의 입출력홀을 통과하여 풀리의 외주연에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며, 풀리의 회전에 상응하여 감기거나 풀리면서 케이스 외부에 묶이는 중량체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와이어(41, 42)와;A wire (41, 42) installed in the form of wrapping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pulley by passing through the input / output hole of the case and lifting or lowering the weight body ti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while being wound or unwind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pulley; 상기 풀리의 왼쪽 외주연에 설치되는 호형태의 체인으로서 풀리에 감기는 와이어를 압박하여 와이어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로울러 체인(50)과;A first roller chain (50) installed on the left outer periphery of the pulley to press a wire wound on the pulley to prevent the wire from slipping; 상기 풀리의 오른쪽 외주연에 설치되는 호형태의 체인으로서 풀리에 감기는 와이어를 압박하여 와이어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제 2 로울러 체인(60)과;A second roller chain (60) installed in the right outer circumference of the pulley to press a wire wound on the pulley to prevent the wire from slipping; 상기 케이스의 내측 하부 일단에 설치되어 와이어가 풀리에 감기도록 가이드하며, 케이스의 힌지핀에 장공으로 결합되어 와이어에 부하가 걸릴 경우 장공방향으로 위치를 이동하는 제 1 와이어 입출력 가이드부(70)와;A first wire input / output guide 70 which is installed at one inner lower end of the case and guides the wire to be wound around the pulley, and is coupled to the hinge pin of the case by a long hole to move the position in the long direction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wire; ; 상기 케이스의 내측 하부 타단에 설치되고, 제 1 와이어 입출력 가이드부에 엑스자형으로 배치되며, 와이어가 풀리에 감기도록 가이드하고, 케이스의 힌지핀에 장공으로 결합되어 와이어에 부하가 걸릴 경우 장공방향으로 위치를 이동하는 제 2 와이어 입출력 가이드부(80)와;It is installed at the other inner lower end of the case, is disposed in the X-shaped portion of the first wire input and output guide, guides the wire to be wound around the pulley, coupled to the hinge pin of the case in the long hole direction when the load is applied to the wire in the long hole direction A second wire input / output guide unit 80 moving a position; 상기 제 1 와이어 입출력 가이드부의 일측과 제 2 로울러 체인을 결합하여, 제 1 와이어 입출력 가이드부에 부하가 걸려서 유동할때 동일방향으로 움직이며, 와이어를 풀리에 강하게 압박하여 와이어가 풀리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체인 연결축(90)과;Combining one side of the first wire input and output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roller chain, it moves in the same direction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first wire input and output guide portion, and the wire is strongly pressed against the pulley to slide the wire from the pulley. A first chain linking shaft (90) for preventing; 상기 제 2 와이어 입출력 가이드부의 일측과 제 1 로울러 체인을 결합하여, 제 2 와이어 입출력 가이드부에 부하가 걸려서 유동할때 동일방향으로 움직이며, 와이어를 풀리에 강하게 압박하여 와이어가 풀리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제 2 체인 연결축(100)와;Combining one side of the second wire input and output guide portion and the first roller chain, the second wire input and output guide portion is moved in the same direction when the load is applied to flow, and the wire is strongly pressed against the pulley to prevent the wire from slipping off the pulley. A second chain connecting shaft 100 for preventing; 상기 제 1 와이어 입출력 가이드부(70)에 설치되어 와이어에 부하가 걸려 팽팽해질때, 와이어가 팽팽해지면서 이동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해서 와이어가 원할하게 입출력되도록 하는 3개의 제 1 텐션롤러(110)와;Three first tension rollers 110 installed in the first wire input / output guide part 70 to apply a force in a moving direction while the wire is tightened when the load is applied to the wire to make the wire smoothly input and output. Wow; 상기 제 2 와이어 입출력 가이드부(80)에 설치되어 와이어에 부하가 걸려 팽팽해질때, 와이어가 팽팽해지면서 이동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해서 와이어가 원할하게 입출력되도록 하는 3개의 제 2 텐션롤러(1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및 하강에 따른 양방향 와이어 유동장치를 갖는 권양기.Three second tension rollers 120 installed in the second wire input / output guide part 80 to apply a force in a moving direction while the wire is tightened when the load is applied to the wire to make the wire smoothly input and output. Hoist having a two-way wire flow device according to the lifting and lowering,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삭제delete
KR1020080013575A 2008-02-14 2008-02-14 A Winder Having a Wire Mobile Unit of Two Direction KR1009444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3575A KR100944498B1 (en) 2008-02-14 2008-02-14 A Winder Having a Wire Mobile Unit of Two Dir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3575A KR100944498B1 (en) 2008-02-14 2008-02-14 A Winder Having a Wire Mobile Unit of Two Dir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8182A KR20090088182A (en) 2009-08-19
KR100944498B1 true KR100944498B1 (en) 2010-03-03

Family

ID=41206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3575A KR100944498B1 (en) 2008-02-14 2008-02-14 A Winder Having a Wire Mobile Unit of Two Dire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449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5200A (en) * 2018-03-01 2019-08-23 宁波畅易行电动车科技有限公司 Light-duty rope goes up and down equipment
KR102433812B1 (en) * 2022-02-03 2022-08-19 권태용 Infinite lift winch hois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3594U (en) * 1986-02-15 1987-08-22
JPH0952694A (en) * 1995-08-16 1997-02-25 Toyo Kooken Kk Winch
KR100427643B1 (en) * 2002-04-30 2004-04-29 주식회사 해성산전 winder wire tension control and twist prevent equip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3594U (en) * 1986-02-15 1987-08-22
JPH0952694A (en) * 1995-08-16 1997-02-25 Toyo Kooken Kk Winch
KR100427643B1 (en) * 2002-04-30 2004-04-29 주식회사 해성산전 winder wire tension control and twist prevent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8182A (en) 200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10541B1 (en) Universal carriage with enforced spooling out of the traction cable and/or of the hoisting cable in 2- and 3-cable operation
US3231240A (en) Rope drawing apparatus
KR101190550B1 (en) Winch for stage
KR100944498B1 (en) A Winder Having a Wire Mobile Unit of Two Direction
SI22800A (en) Hydraulic driving and guiding assembly of a line supporting element, in particularly pulley of a forestry winch
KR100976569B1 (en) Rope pulling and wire winding apparatus
KR20130066220A (en) Tention-relexing type winch
US3677521A (en) Self-tailing portable capstan
WO2018103001A1 (en) Steel wire rope tensioning device, tensioning method, and engineering machinery
RU2743304C2 (en) Hoisting crane and method of its operation
KR101856085B1 (en) Parking system that does not need a balance weight by apparatus for preventing secession of rope
CN201351101Y (en) Double-key pedal hanging basket hoisting machine
KR101404078B1 (en) Apparatus for elevating the stage setting
KR100908678B1 (en) Smart collector
US11987479B2 (en) Cable tensioning capstan assembly with independently rotatable flange
CN220078430U (en) Lifting system of working device and working machine
CN218879282U (en) Synchronous control system for vertical lifting large-section cable of high-rise building
CN220550521U (en) Winding type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double-opening transverse-pulling arc-shaped working gate
CA2622041A1 (en) Rope tensioner
KR200478454Y1 (en) Safety wire winches
CN212559239U (en) Multi-hoisting point self-rope-arranging winch
CN212294597U (en) Dynamic sounding machine
KR100427643B1 (en) winder wire tension control and twist prevent equipment
CN219220391U (en) 15000 meter ultra-deep well logging winch system
CN211971590U (en) Lifting device with elastic tensioning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