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3199B1 -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3199B1
KR100943199B1 KR1020090110794A KR20090110794A KR100943199B1 KR 100943199 B1 KR100943199 B1 KR 100943199B1 KR 1020090110794 A KR1020090110794 A KR 1020090110794A KR 20090110794 A KR20090110794 A KR 20090110794A KR 100943199 B1 KR100943199 B1 KR 100943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piece
piezoelectric transducer
horn
test
cycle fatig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0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규
조인식
이창순
편영식
Original Assignee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10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3199B1/ko
Priority to PCT/KR2010/000082 priority patent/WO201106232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3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3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2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 G01N3/3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generated by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01Type of application of the stress
    • G01N2203/0005Repeated or cyclic
    • G01N2203/0008High frequencies from 10 000 Hz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3Generation of the force
    • G01N2203/005Electromagnetic means
    • G01N2203/0051Piezoelectr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69Fatigue, creep, strain-stress relations or elastic constants
    • G01N2203/0073Fatigu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는 시험편의 일측 영역에 마련되는 제1 압전 변환기; 제1 압전 변환기와 시험편의 일단부를 연결하고, 제1 압전 변환기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증폭시켜 시험편에 전달하는 제1 증폭 호른; 시험편의 타측 영역에 제2 압전 변환기; 및 제2 압전 변환기와 시험편의 타단부를 연결하고, 제2 압전 변환기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증폭시켜 시험편에 전달하는 제2 증폭 호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험편에 규칙적인 피로 응력을 가하여 피로 시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피로 시험, 진동, 압전 변환기, 증폭 호른

Description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ULTRA-HIGH CYCLE FATIGUE TE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전 변환기를 이용한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 혹은 초음파 피로시험장치는 압전 변환기(Piezoelectric Transducer)를 이용하여 초음파 범위의 주파수를 갖는 진동을 발생시키고 이를 시험편에 인가하여 피로 시험을 수행하는 장치로, 열차의 차륜, 터빈 블레이드 등의 피로 응력에 대한 저항이 중요시되는 부품에 대한 피로 시험에 활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압전 변환기를 이용한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인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에서 시험편의 길이 방향으로 발생하는 변위 및 변형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10)는, 시험편의 상측 영역에 마련되는 압전 변환기(12), 압전 변환기(12)와 시험편(S)의 상단부를 연결하여 압전 변환기(12)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증폭시켜 시험편(S)에 전달하는 증폭 호른(13) 및 압전 변환기(12)에 소정의 전력을 인가하는 전력 발생기(11)를 포함한다. 여기서, 압전 변환기(12)는 압전효과를 가진 재료를 사용해서 전기적 에 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환하고, 또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적인 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으로, 전력 발생기(11)에 의해 전력이 인가되면 길이 방향(상하 방향)으로 기계적인 진동을 발생시킨다.
그런데,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기술에 따른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10)는 하나의 압전 변환기(12) 및 증폭 호른(13)에 의해 시험편(S)의 일단부에만 진동을 전달하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편(S)의 길이 방향으로 발생하는 변위 및 변형률이 시험편(S)의 중심에 대해 대칭적인 파형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10)는 시험편(S)의 중심에 불규칙적인 피로 응력이 가해져 피로 시험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10)는 장착된 시험편(S)이 그 일단은 고정단으로 그 타단은 자유단으로 마련되는 외팔보(Cantilever) 형태이기 때문에, 시험편(S)에 소정의 인장력 또는 압축력을 인가하기 어려워 피로 시험의 다양성 측면에서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험편에 규칙적인 피로 응력을 가하여 피로 시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시험편의 일측 영역에 마련되는 제1 압전 변환기; 상기 제1 압전 변환기와 상기 시험편의 일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 압전 변환기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증폭시켜 상기 시험편에 전달하는 제1 증폭 호른; 상기 시험편의 타측 영역에 제2 압전 변환기; 및 상기 제2 압전 변환기와 상기 시험편의 타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압전 변환기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증폭시켜 상기 시험편에 전달하는 제2 증폭 호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압전 변환기와 상기 제2 압전 변환기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주파수의 진동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1 증폭 호른과 상기 제2 증폭 호른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고유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증폭 호른과 상기 제2 증폭 호른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재질,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는, 상기 시험편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진폭 및 주파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검출하기 위한 진동검출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검출모듈은, 상기 제1 증폭 호른과 상기 제2 증폭 호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증폭 호른 및 상기 제2 증폭 호른 중 적어도 하나에 조사된 빛을 감지하는 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검출모듈에 의해 검출되는 주파수가 미리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시험편에 크랙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압전 변환기 및 상기 제2 압전 변환기에 인가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는, 상기 제1 증폭 호른 및 상기 제2 증폭 호른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제1 증폭 호른 및 상기 제2 증폭 호른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는, 상기 시험편의 인접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구동 모듈에 의해 상기 시험편에 미리 설정된 인장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상기 시험편의 크랙 전파 과정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진동검출모듈에 의해 검출되는 주파수가 미리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면, 촬영을 시작할 수 있다.
상기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는, 상기 시험편을 에워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시험편을 냉각시키기 위한 기체를 분출하는 냉각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냉각 모듈은, 상기 시험편과 마주하는 측면에 다수의 기체분출공이 형성되고, 링 형상을 갖는 냉각 블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는, 상기 시험편을 에워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시험편을 냉각시키기 위한 기체를 분출하는 냉각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냉각 모듈은, 상기 시험편과 마주하는 측면에 다수의 기체분출공이 형성되고, 'ㄷ'자 형상을 갖는 냉각 블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는, 상기 시험편을 포함한 소정의 영역을 밀폐하도록 마련되고,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히터 및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 펌프가 구비되는 온도압력 조절챔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는, 내부에 상기 시험편을 부식시키기 위한 부식 용액이 수용되고, 상기 부식 용액에 잠긴 상기 시험편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전극 포트가 형성되는 부식 챔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시험편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압전 변환기 및 증폭 호른을 통해 시험편에 진동을 전달함으로써, 시험편의 길이 방향으로 발생하는 변위 및 변형률이 시험편의 중심에 대해 대칭적인 파형으로 형성되어 시험편에 규칙적인 피로 응력이 가해지므로 피로 시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100)는 시험편(S)의 상측 영역에 마련되는 제1 압전 변환기(111), 제1 압전 변환기(111)와 시험편(S)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제1 증폭 호른(113), 제1 압전 변환기(111)에 소정의 전력을 인가하는 제1 전력 발생기(141), 시험편(S)의 하측 영역에 마련되는 제2 압전 변환기(112), 제2 압전 변환기(112)와 시험편(S)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제2 증폭 호른(114), 및 제2 압전 변환기(112)에 소정의 전력을 인가하는 제2 전력 발생기(142)를 포함한다. 이때, 제1 압전 변환기(111), 제1 증폭 호른(113), 제2 압전 변환기(112) 및 제2 증폭 호른(114)은 동축선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압전 변환기(111), 제1 증폭 호른(113), 제2 압전 변환기(112) 및 제2 증폭 호른(114)이 수직으로 배치되지만, 이와 다르게 제1 압전 변환기(111), 제1 증폭 호른(113), 제2 압전 변환기(112) 및 제2 증폭 호른(114)은 수평으로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압전 변환기(Piezoelectric Transducer)는 압전효과를 가진 재료를 사용해서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환하고, 또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적인 에너지로 변환하는 기구이다. 압전 변환기는 주로 티탄산바륨이나 지르콘산과 같은 재료로 만들어진다.
제1 압전 변환기(111)는 시험편(S)의 상측 영역에 마련되고, 제1 전력 발생기(141)에 의해 전력이 인가되면 길이 방향(상하 방향)으로 기계적인 진동을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압전 변환기(111)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은 대략 20kHz의 주파수를 가지며, 제2 전력 발생기(141)는 이에 적절한 전력을 제1 압전 변환기(111)에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다만, 제1 압전 변환기(111)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의 주파수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증폭 호른(113)은 제1 압전 변환기(111)와 시험편(S)을 연결하여 제1 압전 변환기(111)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의 진폭을 증폭시켜 시험편(S)에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제1 증폭 호른(113)의 상단부는 제1 압전 변환기(111)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제1 증폭 호른(113)의 하단부는 시험편(S)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제1 압전 변환기(111)가 결합된 제1 증폭 호른(11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 테이블(121)에 장착된다. 제1 압전 변환기(111) 자체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그 진폭이 작기 때문에 제1 압전 변환기(111)를 시험편(S)에 직접 연결할 경우에 시험 편(S)에서 피로 시험을 위해 요구되는 크기의 변위를 발생시키기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제1 압전 변환기(111)와 시험편(S)을 제1 증폭 호른(113)으로 연결하고 제1 압전 변환기(111)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의 진폭을 제1 증폭 호른(113)을 통해 증폭시켜 시험편(S)에 전달하는 것이다.
한편, 제1 증폭 호른(113)은 공진 현상을 이용하여 제1 압전 변환기(111)에 발생하는 진동을 증폭시키는 것이므로, 제1 압전 변환기(111)의 진동에 의해 공진할 수 있는 고유주파수(고유진동수)를 갖도록, 제1 증폭 호른(113)의 재질, 크기 및 형상을 설계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증폭 호른(113)은 그 재질,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제1 압전 변환기(111)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진폭을 증폭하는 정도가 달라지는데, 시험편(S)에서 최대 50㎛의 변위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그 재질, 크기 및 형상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압전 변환기(112)는 시험편(S)의 하측 영역에 마련되고, 제2 전력 발생기(142)에 의해 전력이 인가되면 길이 방향(상하 방향)으로 기계적인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때, 제2 압전 변환기(112)는 전술한 제1 압전 변환기(11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1 압전 변환기(111)가 20kHz의 주파수를 갖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선택된다면, 제2 압전 변화기(112) 또한 20kHz의 주파수를 갖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 증폭 호른(113), 시험편(S) 및 제2 증폭 호른(114)을 포함한 진동계의 공진을 보다 용이하게 맞추기 위한 것인데,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2 증폭 호른(114)은 제2 압전 변환기(112)와 시험편(S)을 연결하여 제2 압 전 변환기(112)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의 진폭을 증폭시켜 시험편(S)에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제2 증폭 호른(114)의 상단부는 시험편(S)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제2 증폭 호른(114)의 하단부는 제2 압전 변환기(112)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제2 압전 변환기(112)가 결합된 제2 증폭 호른(11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 테이블(123)에 장착된다. 전술한 제1 압전 변환기(111)와 마찬가지로, 제2 압전 변환기(112) 자체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그 진폭이 작기 때문에 제2 압전 변환기(112)를 시험편(S)에 직접 연결할 경우에 시험편(S)에서 피로 시험을 위해 요구되는 크기의 변위를 발생시키기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제2 압전 변환기(112)와 시험편(S)을 제2 증폭 호른(114)으로 연결하고 제2 압전 변환기(112)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의 진폭을 제2 증폭 호른(114)을 통해 증폭시켜 시험편(S)에 전달하는 것이다.
한편, 제2 증폭 호른(114)은 전술한 제1 증폭 호른(113)과 마찬가지로, 공진 현상을 이용하여 제2 압전 변환기(112)에 발생하는 진동을 증폭시키는 것이므로, 제2 압전 변환기(112)의 진동에 의해 공진할 수 있는 고유주파수(고유진동수)를 갖도록, 제1 증폭 호른(113)의 재질, 크기 및 형상을 설계하여야 한다.
여기서, 제2 증폭 호른(114)은 전술한 제1 증폭 호른(113)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고유주파수(고유진동수)를 갖는다. 예컨대, 제2 증폭 호른(114)은 제1 증폭 호른(113)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고유주파수를 갖도록, 제1 증폭 호른(113)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재질, 크기 및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실질적으로 동일한 고유주파수를 갖도록 제1 증폭 호른(113) 및 제2 증폭 호른(114)을 구성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주파수의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1 압전 변환기(111) 및 제2 압전 변환기(112)를 구성함으로써, 시 험편(S)을 중심으로 상측 영역에 배치된 제1 압전 변환기(111) 및 제1 증폭 호른(113)과 하측 영역에 배치된 제2 압전 변환기(112) 및 제2 증폭 호른(114)이 상호 동일한 진동 특성을 갖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증폭 호른(113), 시험편(S) 및 제2 증폭 호른(114)을 포함한 진동계의 공진을 보다 용이하게 맞출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증폭 호른(113)에 의해 시험편(S)에 전달되는 진동의 파형과 제2 증폭 호른(114)에 의해 시험편(S)에 전달되는 진동의 파형은 상호 일치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100)는 제1 증폭 호른(113)의 하단부와 제2 증폭 호른(114)의 상단부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해 제1 압전 변환기(111)와 함께 제1 증폭 호른(113)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 모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유압 실린더(131,133)로 마련된다. 한 쌍의 유압 실린더(131,133)는 제2 증폭 호른(114)이 장착된 제2 지지 테이블(123)에 고정 설치되고, 신축 가능한 실린더 로드(131a,133a)가 제1 증폭 호른(113)이 장착된 제1 지지 테이블(121)에 결합된다. 한 쌍의 유압 실린더(131,133)의 실린더 로드(131a,133a)의 신축 동작에 의해 제1 증폭 호른(113)은 그 상단부에 결합된 제1 압전 변환기(111)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증폭 호른(113)의 하단부와 제2 증폭 호른(114)의 상단부 사이의 간격은 한 쌍의 유압 실린더(131,133)의 구동에 의해 일정 범위 내에서 조정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100)는 한 쌍의 유압 실린 더(131,133)로 마련되는 구동 모듈을 이용하여 제1 증폭 호른(113)과 제2 증폭 호른(114) 사이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장착된 시험편(S)에 소정의 인장력 또는 압축력을 인가할 수 있으므로, 시험편(S)에 초기 인장력 또는 압축력을 인가한 상태에서 피로 시험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여 피로 시험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라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100)는 제1 증폭 호른(113)과 제2 증폭 호른(114) 사이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제1 증폭 호른(113)과 제2 증폭 호른(114) 사이에 시험편(S)의 장착하거나 장착된 시험편(S)을 분리하기가 쉽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 증폭 호른(113)과 제2 증폭 호른(114)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구동 모듈은 제1 증폭 호른(113) 및 제2 증폭 호른(114) 중 제1 증폭 호른(113)만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구동 모듈은 제1 증폭 호른(113)과 제2 증폭 호른(114)을 모두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구동 모듈은 본 실시예에서 개시한 유압 실린더 방식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볼 스크루(Ball Screw)와 LM 가이드(Linear Motion Guide)를 이용한 구동 방식 또는 리니어 모터(Linear Motor)와 LM 가이드를 이용한 구동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도 3의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에서 시험편의 길이 방향으로 발생하는 변위 및 변형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100)에서 시험편(S)의 길이 방향으로 발생하는 변위(Displacement) 및 변형률(Strain)은 시험 편(S)의 중심에 대해 대칭적인 파형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실시예에 따른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100)가 시험편(S)을 중심으로 상하 대칭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압전 변환기(111,112) 및 증폭 호른(113,114)에 의해 시험편(S)의 양단부에 각각 동일한 파형의 진동이 전달되기 때문에 얻을 수 있는 결과이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100)는, 하나의 압전 변환기 및 증폭 호른에 의해 시험편(S)의 일단부에만 진동을 전달하는 종래의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에서 시험편(S)의 길이 방향으로 발생하는 변위 및 변형률이 시험편(S)의 중심에 대해 대칭적인 파형을 이루지 못함으로 인해 시험편(S)의 중심에 불규칙적인 피로 응력이 가해져 피로 시험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100)는 시험편(S)에 규칙적인 피로 응력을 가하여 피로 시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의 시험편에서 발생하는 진동 특성을 검출하기 위한 진동검출모듈 및 시험편의 크랙 전파 과정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100)는 시험편(S)에서 발생하는 진동 특성을 검출하기 위한 진동검출모듈(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진동검출모듈(150)은 피로 시험 중 시험편(S)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특성, 즉 진동의 진폭 및/또는 주파수를 검출한다. 진동검출모듈(1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증폭 호른(113)과 제2 증폭 호른(114)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증폭 호른(113)의 하단면 또는 제2 증폭 호른(114)의 상단면에 조사된 빛을 감지하는 광 센서(Photo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진동검출모듈(150)을 본 실시예의 광 센서 이외의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진동검출모듈(150)은 시험편(S)의 진동 특성을 직접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본 실시예에 따른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100)에서 시험편(S)의 양단부는 각각 제1 증폭 호른(113) 및 제2 증폭 호른(114)에 결합되므로, 광 센서 등을 이용하여 시험편(S)에 조사된 빛을 감지하여 시험편(S)의 진동 특성을 검출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100)에서 진동검출모듈(150)은 제1 증폭 호른(113), 시험편(S) 및 제2 증폭 호른(114)이 하나의 공진 진동계를 이루는 점, 즉 시험편(S)의 진동 특성이 제1 증폭 호른(113) 혹은 제2 증폭 호른(114)의 진동 특성과 거의 일치하는 점을 감안하여, 시험편(S)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진폭 및/또는 주파수를 검출하기 위해, 제1 증폭 호른(113) 또는 제2 증폭 호른(114)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진폭 및/또는 주파수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진동검출모듈(150)에 의해 검출된 시험편(S)의 진동 특성은 시험편(S)의 중심에 크랙(Crack)이 발생한 시점을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로 사용된다. 다시 말해서, 시험편(S)에 크랙이 발생하게 되면 시험편(S)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진폭 및 주파수는 크랙 발생 이전과 대비하여 달라지므로, 진동검출모듈(150)에 의해 검출되는 시험편(S)의 진동의 진폭 및 주파수가 미리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면 시험편(S)에 크랙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시험편(S)에 크랙 발생 시 진동의 진폭보다는 진동의 주파수가 현저하게 달라지므로, 진동의 진폭보다는 진동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시험편(S)에 크랙이 발생한 시점을 판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진동검출모듈(150)에 의해 검출되는 시험편(S)의 진동 주파수가 20kHz±500Hz 범위를 벗어나면, 시험편(S)에 크랙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1 압전 변환기(111) 및 제2 압전 변환기(112)에 인가되는 전력을 차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100)는 시험편(S)의 크랙 전파 과정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60)은 시험편(S)의 인접 영역에 마련되어 크랙이 발생할 시험편(S)의 중심 부분을 촬영한다. 이때, 시험편(S)의 중심 부분에 발생하는 크랙이 전파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구동 모듈(131,133)에 의해 시험편(S)에 인장력이 가해져야 한다. 즉, 카메라 모듈(160)은 구동 모듈(131,133)에 의해 시험편(S)에 미리 설정된 인장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시험편(S)에 발생하는 크랙의 전파 과정을 촬영한다. 한편, 카메라 모듈(160)은 시험편(S)의 크랙 전파 과정을 촬영하기 위한 것이므로, 피로 시험의 시작부터 시험편(S)을 촬영하는 것보다는, 진동검출모듈(150)에 의해 검출되는 주파수가 미리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면, 즉 시험편(S)에 크랙이 발생한 이후부터 시험편(S)에 대한 촬영을 시작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160)은 적외선 카메라(Infrared Camera) 또는 비디오 스코프(Video Scop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에서 시험편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모듈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3의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에서 시험편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모듈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시험편(S)에 지속적인 피로 응력을 인가하면, 시험편(S)에 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열은 피로 시험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100)는 시험편(S)을 에워싸도록 마련되어 피로 시험 중 시험편(S)을 냉각시키기 위한 기체를 분출하는 냉각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냉각 모듈은 시험편(S)과 마주하는 측면에 다수의 기체분출공(171)이 형성되고 시험편(S)을 에워싸는 링 형상을 갖는 냉각 블럭(170)을 포함한다. 냉각 블럭(170)의 일측에는 에어 쿨러(미도시) 등에 의해 냉각된 기체를 냉각 블럭에 주입하기 위한 기체주입튜브(173)가 연결된다. 이때, 기체로는 냉각된 공기 또는 냉각된 질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처럼, 도 6에 도시된 냉각 블럭(170)은 시험편(S)을 에워싸는 링 형상을 갖기 때문에, 시험편(S)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냉각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피로 시험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냉각 모듈은 시험편(S)과 마주하는 측면에 다수의 기체분출공(181)이 형성되고 시험편(S)을 에워싸는 'ㄷ'자 형상을 갖는 냉각 블럭(180)을 포함한다. 냉각 블럭(180)의 일측에는 에어 쿨러(미도시) 등에 의해 냉각된 기체를 냉각 블럭에 주입하기 위한 기체주입튜브(183)가 연결된다. 이처럼, 도 7에 도시된 냉각 블럭(180)은 시험편(S)을 에워싸도록 마련되어 시험편(S)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냉각시킬 수 있으면서도, 일측이 개방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제1 증폭 호른(113)과 제2 증폭 호른(114) 사이에 시험편(S)의 장착하거나 장착된 시험편(S)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시험편(S)과 간섭하지 않아 시험편(S)의 교체 작업이 수월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8은 다양한 피로 시험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도 1의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에 더 구비되는 온도압력 조절챔버 및 부식 챔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온도압력 조절챔버(190)는 시험편(S)을 포함한 소정의 영역을 밀폐하도록 마련된다. 온도압력 조절챔버(190)는 그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히터(193)와, 그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 펌프(191)를 포함한다. 히터(193)는 코일 형태의 니크롬선 등의 발열 저항체나 페이스트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발열 저항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펌프(191)는 연결 관로(191a)를 통해 온도압력 조절챔버(19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뽑아내어 진공을 포함한 저압 상태를 조성하거나, 연결 관로(191a)를 통해 온도압력 조절챔버(190) 내부에 압축공기를 집어넣어 고압 상태를 조성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압력 조절챔버(190)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100)는 예컨대 고온고압 상태 등의 다양한 온도압력 환경에서 피로 시험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온도압력 조절챔버(190)의 일측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로 시험 과정을 실험자가 육안으 로 관찰할 수 있도록 시창(192)이 마련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부식 챔버(195)는 그 내부에 시험편(S)을 부식시키기 위한 부식 용액이 수용된다. 이때, 부식 용액은 질산, 황산 등의 산성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부식 챔버(195)는 시험편(S)이 부식 용액에 잠길 수 있도록 시험편(S)이 장착된 위치에서 시험편(S)을 에워싸도록 마련된다. 부식 챔버(195)는 온도압력 조절챔버(190)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부식 챔버(195)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100)는 다양한 부식 환경에서 피로 시험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부식 챔버(195)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식 용액에 잠긴 시험편(S) 및 기준편(미도시)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전극 포트(195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기준편은 부식 챔버(195) 내에 마련되며 백금, 흑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식 챔버(195)의 전극 포트(195a)에 전극(미도시)을 접속하여 예컨대 시험편(S)에는 (+) 전극을 접속하고 기준편에는 (-) 전극을 접속하여 부식 챔버(195)에 수용된 부식 용액을 활성화함으로써, 시험편(S)의 부식 속도를 증가시켜 피로 시험의 소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100)는 온도압력 조절챔버(190) 및 부식 챔버(195)를 더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피로 시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 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압전 변환기를 이용한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인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에서 시험편의 길이 방향으로 발생하는 변위 및 변형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에서 시험편의 길이 방향으로 발생하는 변위 및 변형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3의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의 시험편에서 발생하는 진동 특성을 검출하기 위한 진동검출모듈 및 시험편의 크랙 전파 과정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에서 시험편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모듈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에서 시험편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모듈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다양한 피로 시험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도 1의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에 더 구비되는 온도압력 조절챔버 및 부식 챔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 111 : 제1 압전 변환기
112 : 제2 압전 변환기 113 : 제1 증폭 호른
114 : 제2 증폭 호른 131,133 : 구동 모듈(유압 실린더)
141 : 제1 전력 발생기 142 : 제2 전력 발생기
150 : 진동검출모듈 160 : 카메라 모듈
170,180 : 냉각 블럭

Claims (13)

  1. 시험편의 일측 영역에 마련되는 제1 압전 변환기;
    상기 제1 압전 변환기와 상기 시험편의 일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 압전 변환기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증폭시켜 상기 시험편에 전달하는 제1 증폭 호른;
    상기 시험편의 타측 영역에 제2 압전 변환기; 및
    상기 제2 압전 변환기와 상기 시험편의 타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압전 변환기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증폭시켜 상기 시험편에 전달하는 제2 증폭 호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전 변환기와 상기 제2 압전 변환기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주파수의 진동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1 증폭 호른과 상기 제2 증폭 호른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고유주파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폭 호른과 상기 제2 증폭 호른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재질, 크기 및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편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진폭 및 주파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검출하기 위한 진동검출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검출모듈은,
    상기 제1 증폭 호른과 상기 제2 증폭 호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증폭 호른 및 상기 제2 증폭 호른 중 적어도 하나에 조사된 빛을 감지하는 광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검출모듈에 의해 검출되는 주파수가 미리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시험편에 크랙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압전 변환기 및 상기 제2 압전 변환기에 인가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폭 호른 및 상기 제2 증폭 호른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제1 증폭 호른 및 상기 제2 증폭 호른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편의 인접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구동 모듈에 의해 상기 시험편에 미리 설정된 인장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상기 시험편의 크랙 전파 과정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진동검출모듈에 의해 검출되는 주파수가 미리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면, 촬영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
  10.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편을 에워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시험편을 냉각시키기 위한 기체를 분출하는 냉각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냉각 모듈은,
    상기 시험편과 마주하는 측면에 다수의 기체분출공이 형성되고, 링 형상을 갖는 냉각 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
  11.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편을 에워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시험편을 냉각시키기 위한 기체를 분출하는 냉각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냉각 모듈은,
    상기 시험편과 마주하는 측면에 다수의 기체분출공이 형성되고, 'ㄷ'자 형상을 갖는 냉각 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
  12. 제1항, 제4항,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편을 포함한 소정의 영역을 밀폐하도록 마련되고,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히터 및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 펌프가 구비되는 온도압력 조절챔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시험편을 부식시키기 위한 부식 용액이 수용되고, 상기 부식 용액에 잠긴 상기 시험편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전극 포트가 형성되는 부식 챔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
KR1020090110794A 2009-11-17 2009-11-17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 KR100943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794A KR100943199B1 (ko) 2009-11-17 2009-11-17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
PCT/KR2010/000082 WO2011062322A1 (ko) 2009-11-17 2010-01-06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794A KR100943199B1 (ko) 2009-11-17 2009-11-17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3199B1 true KR100943199B1 (ko) 2010-02-19

Family

ID=42083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0794A KR100943199B1 (ko) 2009-11-17 2009-11-17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43199B1 (ko)
WO (1) WO2011062322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899B1 (ko) * 2010-12-13 2011-06-15 메디소스플러스(주)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
KR101403030B1 (ko) * 2012-10-18 2014-06-03 주식회사 엠브로지아 초음파 피로시험장치
KR101408099B1 (ko) 2012-02-21 2014-06-17 주식회사 엔디디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
KR20150118606A (ko) 2014-04-14 2015-10-23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음파 진동을 이용한 시험편의 캐비테이션/피로/침식 실험 장치
KR20160077326A (ko) * 2014-12-22 2016-07-04 주식회사 포스코 곡면시편의 인장시험장치 및 인장시험방법
KR102148977B1 (ko) * 2020-05-07 2020-08-27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초고주기 피로 시험 장치
KR20230034710A (ko) * 2021-09-03 2023-03-10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음파 피로 시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56296B2 (ja) * 2011-07-22 2016-02-09 スネクマ 制御された雰囲気において制御されたひずみ比で高サイクル型の材料疲労試験を実行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DE102012014893B4 (de) * 2012-07-27 2014-09-25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Prüfsystem zur dynamischen und/oder zyklischen Belastungsprüfung einer Probe
DE102012110811B4 (de) * 2012-11-12 2014-12-04 Technische Universität Kaiserslautern Körperschaft des öffentlichen Rechts Prüf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urteilung des Ermüdungsverhaltens eines Prüflings
CN109444029A (zh) * 2018-09-30 2019-03-08 山东省分析测试中心 一种疲劳试验环境模拟装置
CN112327067A (zh) * 2020-10-20 2021-02-05 郑州大学 流致振动俘能模型性能实验测试装置
CN114659740B (zh) * 2022-04-11 2023-05-12 河南理工大学 一种用于薄壁叶片类零件的高频振动疲劳试验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3604A (ja) 2001-02-21 2002-08-28 Shimadzu Corp 超音波疲労試験機
JP2006266964A (ja) 2005-03-25 2006-10-05 Japan Nuclear Cycle Development Inst States Of Projects ひずみ制御型超高サイクル疲労試験方法および疲労試験装置
JP2007017288A (ja) 2005-07-07 2007-01-25 Honda Motor Co Ltd 超音波疲労試験装置及び超音波疲労試験方法
KR20090066853A (ko) * 2007-12-20 2009-06-24 주식회사 포스코 피로 균열 감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3604A (ja) 2001-02-21 2002-08-28 Shimadzu Corp 超音波疲労試験機
JP2006266964A (ja) 2005-03-25 2006-10-05 Japan Nuclear Cycle Development Inst States Of Projects ひずみ制御型超高サイクル疲労試験方法および疲労試験装置
JP2007017288A (ja) 2005-07-07 2007-01-25 Honda Motor Co Ltd 超音波疲労試験装置及び超音波疲労試験方法
KR20090066853A (ko) * 2007-12-20 2009-06-24 주식회사 포스코 피로 균열 감지 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899B1 (ko) * 2010-12-13 2011-06-15 메디소스플러스(주)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
WO2012081873A2 (ko) * 2010-12-13 2012-06-21 메디소스플러스(주)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
WO2012081873A3 (ko) * 2010-12-13 2012-10-04 메디소스플러스(주)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
KR101408099B1 (ko) 2012-02-21 2014-06-17 주식회사 엔디디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
KR101403030B1 (ko) * 2012-10-18 2014-06-03 주식회사 엠브로지아 초음파 피로시험장치
KR20150118606A (ko) 2014-04-14 2015-10-23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음파 진동을 이용한 시험편의 캐비테이션/피로/침식 실험 장치
KR101682688B1 (ko) * 2014-04-14 2016-12-07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음파 진동을 이용한 시험편의 캐비테이션/피로/침식 실험 장치
KR20160077326A (ko) * 2014-12-22 2016-07-04 주식회사 포스코 곡면시편의 인장시험장치 및 인장시험방법
KR101671977B1 (ko) 2014-12-22 2016-11-04 주식회사 포스코 곡면시편의 인장시험장치 및 인장시험방법
KR102148977B1 (ko) * 2020-05-07 2020-08-27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초고주기 피로 시험 장치
KR20230034710A (ko) * 2021-09-03 2023-03-10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음파 피로 시험 장치
KR102557214B1 (ko) 2021-09-03 2023-07-19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음파 피로 시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62322A1 (ko) 201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3199B1 (ko)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
CN101713756B (zh) 非接触超声热激励红外热成像无损检测方法和系统
KR101403030B1 (ko) 초음파 피로시험장치
KR101041899B1 (ko)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
US628636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detecting pressure, force, temperature, density, vibration, viscosity and speed of sound in a fluid
RU2743280C1 (ru) Улучшенные системы термографического контроля на основе направленных волн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JP5923923B2 (ja) 極低温超音波疲労非破壊試験評価装置及び解析・評価方法
WO2013022264A1 (ko)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
US10018600B2 (en) System for non-destructive inspection of structural components
JP2013088262A5 (ko)
JP2013140185A (ja) 極低温超音波疲労非破壊試験評価装置
JP2011247890A (ja) レーザショックピーニング測定システム及び方法
CN101982767A (zh) 利用超声波激励发现混凝土隐裂纹的方法
KR102158332B1 (ko) 피로시험장치
KR101329648B1 (ko) 피로시험장치
CN202285002U (zh) 薄片超声弯曲振动疲劳加速试验装置
Tittmann et al. Ultrasonic sensors for high temperature applications
JP5264820B2 (ja) クラック検知装置及びクラック検知方法
JP5335121B2 (ja) クラック検知装置及びクラック検知方法
RU246910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льтразвуковой обработки свар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в процессе сварки
JP2007315849A (ja) 弾性率測定装置、複合センサー、及び、弾性率測定方法
US6799465B2 (en) Shock wave vibration generator for measuring or testing or imaging purposes
KR20010057930A (ko) 음향방출법을 이용한 열피로 파단수명 예측장치 및 그 방법
Yin et al. Investigation Into Vibration Characteristic in Vibrothermography
CN115656261A (zh) 发动机叶片缺陷检测装置和缺陷信息获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