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3094B1 - 발코니 확장용 창호 하부지지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발코니확장용 창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발코니 확장용 창호 하부지지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발코니확장용 창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3094B1
KR100943094B1 KR1020080023280A KR20080023280A KR100943094B1 KR 100943094 B1 KR100943094 B1 KR 100943094B1 KR 1020080023280 A KR1020080023280 A KR 1020080023280A KR 20080023280 A KR20080023280 A KR 20080023280A KR 100943094 B1 KR100943094 B1 KR 100943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balcony
support member
expansion
balcony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3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8096A (ko
Inventor
노승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080023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3094B1/ko
Publication of KR20090098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3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3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 E06B1/6015Anchor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2Base frames, i.e. template frames for openings in walls or the like, provided with means for securing a further rigidly-mounted frame; Special adaptations of frames to be fixed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코니 확장용 창호 하부지지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발코니 확장용 창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발코니 확장용 창호 시공방법은 발코니 확장용 창호(1)를 하부 콘크리트 옹벽(3)에 거치시키는 단계(S10); 거치된 발코니 확장용 창호(1)를 브라켓(4)으로 고정시키는 단계(S20); 단열재(6)를 충전시키는 단계(S30); 충전된 단열재(6)의 외측에 상기 발코니 확장용 창호(1)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하부 지지부재(8)를 설치하는 단계(S40); 상기 하부 지지부재(8)의 외측을 마감재(9)로 처리하는 단계(S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발코니 확장부위에 적용되는 창짝 및 유리 무게 하중에 따른 처짐을 방지함으로써 창호 확장부위를 보다 안전하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창호틀과 바닥면과의 다양한 높이로 시공이 진행되는 경우에도 그 상황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여 적용시킬 수 있어 기존 하부 지지부재로 사용되었던 제품들에 비해 다양한 폭으로 적용이 가능하여 각각의 상황에 따라 적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발코니, 확장용, 창호, 시공방법, 하부 지지부재, 처짐방지

Description

발코니 확장용 창호 하부지지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발코니 확장용 창호 시공방법{Low Support Memb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Window Structure for Expansion of Balcony}
본 발명은 발코니 확장용 창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발코니 확장 부위 창호틀 하단에 하부 지지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창호틀의 하부 처짐을 방지하도록 하는 발코니 확장용 창호 하부지지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발코니 확장용 창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발코니 창호 시공시 창호틀을 설치한 다음 그 하부에 브라켓(앵글)을 적용하고 벽돌을 쌓고, 단열재 시공 후 석고보드 마감을 하는 시공 순서로 이루어진다.
경우에 따라선 벽돌을 쌓지 않고 브라켓과 단열재 시공을 하고 석고보드 마감을 하는 시공 순서로 이루어진다.
창틀의 설치가 완료된 후 창짝 및 유리의 시공이 진행되며, 그에 따른 무게 하중이 창틀 하부에 전달된다. 발코니 확장용 창호의 경우 하부 옹벽에 창호가 걸 리는 부위가 50 mm ~ 100 mm 정도에 불과하여 그외 150 mm ~ 200 mm 정도의 부위가 떠있게 된다. 이에 따른 하부에 보강 시공이 진행되지 않을 경우, 창짝 및 유리의 무게 하중이 그대로 전달되어 창호의 처짐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기존 발코니 확장형 창호 제품의 하부 처짐 방지를 위한 지지부재로 각파이프, 목재각목, 철물부재 등이 사용되어 왔으나, 현장 및 확장 조건에 따라 사이즈를 맞춰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브라켓(앵글) 제품 적용에 따라 벽돌 및 단열 시공시 제품간의 간섭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코니 확장부위에 적용되는 창호의 무게 하중에 따른 처짐을 방지함으로써 창호 확장부위를 보다 안전하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발코니 확장용 창호 하부지지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발코니 확장용 창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창호틀과 바닥면과의 다양한 높이로 시공이 진행되는 경우에도 그 상황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여 손쉽게 적용시킬 수 있는 발코니 확장용 창호 하부지지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발코니 확장용 창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발코니 확장용 창호 시공방법은 발코니 확장용 창호(1)를 하부 콘크리트 옹벽(3) 상부 및 내측 상부로 거치시키는 단계(S10); 거치된 발코니 확장용 창호(1)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이루어 배치되며 일측이 발코니 확장용 창호(1)의 내측 하부틀(2)에 각각 고정된 다수개의 "ㄱ"자형 브라켓(4)의 타측을 스터드 앵커(5)로 하부 콘크리트 옹벽(3) 내측부에 각각 고정시키는 단계(S20); 고정된 브라켓(4)의 내측 및 하부에 단열재(6)를 충전시키는 단계(S30); 충전된 단열재(6)의 외측에 발코니 확장용 창호(1)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이루어 다수개 설치되고 상기 발코니 확장용 창호(1)의 하부를 지지하 며 높이조절이 가능한 하부 지지부재(8)를 설치하는 단계(S40); 상기 하부 지지부재(8)의 외측을 마감재(9)로 처리하는 단계(S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4)의 내측과 상기 단열재(6)의 사이에 벽돌(7)로 충전되는 것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하부 지지부재(8)는, 상기 발코니 확장용 창호(1)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부지지판(8a)과, 상기 상부지지판(8a)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대(8b)와, 상기 상부지지대(8b)의 내부에 삽입되며 나사부가 형성된 하부지지대(8c)와, 상기 하부지지대(8c)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지지판(8d)과, 상부지지대(8b)와 하부지지대(8c)의 사이에 하중에 의한 나사의 풀림을 방지하고 수평을 유지시켜주는 고정 너트(8e)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발코니 확장용 창호 하부지지부재는 하부 콘크리트 옹벽(3) 상부 및 내측 상부로 거치되어 시공되는 발코니 확장용 창호(1)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부지지판(8a)과, 상기 상부지지판(8a)의 하부를 지지하며 하부에 나사결합부(8b')가 형성된 상부지지대(8b)와, 상기 상부지지대(8b)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나사결합부(8b')에 결합되는 나사부(8c')가 형성되어 체결에 의해 지지높이 조절 가능한 하부지지대(8c)와, 상기 하부지지대(8c)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지지판(8d)과, 상기 하부지지대(8c)의 나사부(8c')에 결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지지대(8b)의 하단과 접하여 상기 상부지지대(8b)의 하단을 지지하며 하중에 의한 상기 상부 지지대(8b)의 풀림을 방지하는 고정너트(8e)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본 발명의 발코니 확장용 창호 하부지지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발코니 확장용 창호 시공방법은 발코니 확장부위에 적용되는 창짝 및 유리 무게 하중에 따른 처짐을 방지함으로서 창호 확장부위를 보다 안전하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창호틀과 바닥면과의 다양한 높이로 시공이 진행되는 경우에도 그 상황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여 적용시킬 수 있어 기존 하부 지지부재로 사용되었던 제품들에 비해 다양한 폭으로 적용이 가능하여 각각의 상황에 따라 적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발코니 확장용 창호 하부지지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발코니 확장용 창호 시공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발코니 확장용 창호 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발코니 확장용 창호 시공방법을 나타낸 측단면도 및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하부지지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발코니 확장용 창호 시공방법은 발코니 확장용 창호(1)를 하부 콘크리트 옹벽(3)에 거치시키는 단계(S10); 거치된 발코니 확장용 창호(1)를 브라켓(4)으로 고정시키는 단계(S20); 단열재(6)를 충전시키는 단계(S30); 충전된 단열재(6)의 외측에 상기 발코니 확장용 창호(1)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하부 지지부재(8)를 설치하는 단계(S40); 상기 하부 지지부재(8)의 외측을 마감재(9)로 처리하는 단계(S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각 단계별 발코니 확장용 창호 시공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발코니 확장용 창호(1)를 하부 콘크리트 옹벽(3) 상부 및 내측 상부로 거치시킨다(도 2 참조).
거치된 발코니 확장용 창호(1)의 하부를 다수의 브라켓(4)으로 스터드 앵커(5)에 의해 하부 콘크리트 옹벽(3) 내측에 고정시킨다(도 3 참조). 이때, 상기 브라켓(4)은 발코니 확장용 창호(1)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이루어 배치되며 일측이 발코니 확장용 창호(1)의 내측 하부틀(2)에 각각 고정되고, 타측은 스터드 앵커(5)로 하부 콘크리트 옹벽(3) 내측부에 각각 고정되며, "ㄱ"자형으로 된다.
고정된 브라켓(4)의 내측 및 하부에 단열재(6)를 충전시킨다(도 5 참조).
이 경우 단열재(6) 충전 전에 상기 브라켓(4)의 내측과 상기 단열재(6)의 사이에 벽돌(7)로 충전되도록 하거나(도 4 참조), 단열재(6) 충전 후에 상기 단열재(6)의 내측에 벽돌(7)로 충전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단열재(6)와 벽돌(7)의 시공의 시공 순서 및 사용 유무는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충전된 단열재(6)의 외측에 발코니 확장용 창호(1)의 하부를 지지하며 높이조절이 가능한 하부 지지부재(8)를 발코니 확장용 창호(1)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 을 이루어 다수개 설치한다(도 6 참조).
상기 하부 지지부재(8)는 하부 콘크리트 옹벽(3) 상부 및 내측 상부로 거치되어 시공되는 발코니 확장용 창호(1)의 하부를 지지하며 높이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하부 지지부재(8)는, 도 8에서와 같이, 상부로부터 상부지지판(8a), 상부지지대(8b), 고정너트(8e), 하부지지대(8c), 하부지지판(8d)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지지판(8a)은 상기 발코니 확장용 창호(1)의 하부를 지지한다.
상기 상부지지대(8b)는 상기 상부지지판(8a)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에 의해 구비되며 상부지지판(8a)의 하부를 지지하며 하부에 나사결합부(8b')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지지대(8c)는 상기 상부지지대(8b)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나사결합부(8b')에 결합되는 나사부(8c')가 형성되어 체결에 의해 지지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하부지지대(8c)에 고정너트(8e)가 체결되며 상기 고정너트(8e)는 상기 상부지지대(8b)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하부지지판(8d)은 상기 하부지지대(8c)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고정너트(8e)는 상기 상부지지대(8b)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하부지지대(8c)의 나사부(8c')에 결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지지대(8b)의 하단과 접하여 상기 상부지지대(8b)의 하단을 지지하며 하중에 의한 상기 상부 지지대(8b)의 풀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고정너트(8e)는 상부지지대(8b)와 하부지지대(8c) 사이를 고정하며 하부지지부재(8)의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발코니 창호의 확장부위를 보다 안전하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하부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창짝 및 유리 무게 하중에 대한 창호 제품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존 하부 지지부재로 사용되었던 제품들에 비해 다양한 폭으로 적용이 가능하여 각각의 상황에 따라 적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설치된 상기 하부 지지부재(8)의 외측은 마감재(9)로 처리한다(도 7참조).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발코니 확장용 창호 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발코니 확장용 창호 시공방법을 나타낸 측단면도 및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하부지지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발코니 확장용 창호 2: 내측 하부틀
3: 하부 콘크리트 옹벽 4: 브라켓
5: 스터드 앵커 6: 단열재
7: 벽돌 8: 하부 지지부재
8a: 상부지지판 8b: 상부지지대
8c: 하부지지대 8d: 하부지지판
8e: 고정너트 9: 마감재

Claims (3)

  1. 발코니 확장용 창호(1)를 하부 콘크리트 옹벽(3) 상부 및 내측 상부로 거치시키는 단계(S10);
    거치된 발코니 확장용 창호(1)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이루어 배치되며 일측이 발코니 확장용 창호(1)의 내측 하부틀(2)에 각각 고정된 다수개의 "ㄱ"자형 브라켓(4)의 타측을 스터드 앵커(5)로 하부 콘크리트 옹벽(3) 내측부에 각각 고정시키는 단계(S20);
    고정된 브라켓(4)의 내측 및 하부에 단열재(6)를 충전시키는 단계(S30);
    충전된 단열재(6)의 외측에 발코니 확장용 창호(1)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이루어 다수개 설치되고 상기 발코니 확장용 창호(1)의 하부를 지지하며 높이조절이 가능한 하부 지지부재(8)를 설치하는 단계(S40);
    상기 하부 지지부재(8)의 외측을 마감재(9)로 처리하는 단계(S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 확장용 창호 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부재(8)는,
    상기 발코니 확장용 창호(1)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부지지판(8a)과,
    상기 상부지지판(8a)의 하부를 지지하며 하부에 나사결합부(8b')가 형성된 상부지지대(8b)와,
    상기 상부지지대(8b)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나사결합부(8b')에 결합되는 나사부(8c')가 형성되어 체결에 의해 지지높이 조절 가능한 하부지지대(8c)와,
    상기 하부지지대(8c)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지지판(8d)과,
    상기 하부지지대(8c)의 나사부(8c')에 결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지지대(8b)의 하단과 접하여 상기 상부지지대(8b)의 하단을 지지하며 하중에 의한 상기 상부 지지대(8b)의 풀림을 방지하는 고정너트(8e)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 확장용 창호 시공방법.
  3. 삭제
KR1020080023280A 2008-03-13 2008-03-13 발코니 확장용 창호 하부지지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발코니확장용 창호 시공방법 KR100943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280A KR100943094B1 (ko) 2008-03-13 2008-03-13 발코니 확장용 창호 하부지지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발코니확장용 창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280A KR100943094B1 (ko) 2008-03-13 2008-03-13 발코니 확장용 창호 하부지지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발코니확장용 창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096A KR20090098096A (ko) 2009-09-17
KR100943094B1 true KR100943094B1 (ko) 2010-02-18

Family

ID=41357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3280A KR100943094B1 (ko) 2008-03-13 2008-03-13 발코니 확장용 창호 하부지지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발코니확장용 창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309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2436A (ja) * 2003-07-23 2005-02-17 Panahome Corp 窓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2436A (ja) * 2003-07-23 2005-02-17 Panahome Corp 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096A (ko) 200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2381Y1 (ko)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
JP5813009B2 (ja) ファサード断熱材
KR101854772B1 (ko) 정밀 시공이 가능한 외부벽돌벽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돌벽 시공방법
KR20130045711A (ko) 실내장식용 커튼월 시공장치
KR20110124476A (ko) 조립식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트렌치 구조
KR100943094B1 (ko) 발코니 확장용 창호 하부지지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발코니확장용 창호 시공방법
KR200423791Y1 (ko)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
CZ2010151A3 (cs) Hliníkové zábradlí tvorené prefabrikovanými dutými profily
KR101721522B1 (ko) 가변 앵커
KR20070070136A (ko) 고정브래킷
KR101072091B1 (ko) 창호 시공 시 가틀의 수평 조절작업을 위한 조절부재
EP2666918B1 (en) Balcony
KR100499552B1 (ko) 치장벽돌의 조적구조 및 조적방법
KR101614302B1 (ko) 벽돌지지 장치
KR101698383B1 (ko) 외부마감재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마감재 시공방법
WO201001206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cladding to structures
KR20070074533A (ko) 수평조절 장치가 부착된 고정용 브래킷
KR101098702B1 (ko) 공동주택의 칸막이벽 구조
KR200492775Y1 (ko) 창호 하부 서포트
KR200389550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1050106B1 (ko) 창호 지지용 브래킷
KR200377453Y1 (ko) 건축용 외장단열패널 고정브라켓
KR20110011434U (ko) 건축물의 패널 고정장치
AU201527199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Building Panels to the Framework Assembly of a Wall Structure
KR200415831Y1 (ko) 칸막이용 경량 패널의 높낮이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