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1725B1 - 온라인 무역거래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무역거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1725B1
KR100941725B1 KR1020090004507A KR20090004507A KR100941725B1 KR 100941725 B1 KR100941725 B1 KR 100941725B1 KR 1020090004507 A KR1020090004507 A KR 1020090004507A KR 20090004507 A KR20090004507 A KR 20090004507A KR 100941725 B1 KR100941725 B1 KR 100941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ent
shopping mall
information
server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4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6011A (ko
Inventor
이성모
Original Assignee
(주)더블류티씨비즈네트워크
주식회사 월드비즈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블류티씨비즈네트워크, 주식회사 월드비즈넷 filed Critical (주)더블류티씨비즈네트워크
Priority to KR1020090004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1725B1/ko
Publication of KR20090016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6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1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1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06Q30/0256User searc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무역거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역거래자들에게 각종 재화나 용역에 관한 통관 절차, 무역거래의 통계 또는 양 국가의 두 당사자 사이에 상담을 대행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온라인 무역거래의 활성화가 제고될 수 있도록 한 온라인 무역거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무역거래시스템은 구매클라이언트 또는 판매클라이언트와 인터넷전화로 연결되는 콜센터클라이언트의 인터넷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콜센터정보 DB; 및 쇼핑몰서버에서 이루어지게 되는 온라인 무역거래를 운영하는 것으로서, 상기 콜센터정보 DB에 저장되어 있는 인터넷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쇼핑몰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상품과 관련하여 통역서비스를 요청하는 구매클라이언트 또는 판매클라이언트를 상기 콜센터클라이언트에 연결하는 무역거래 매니저부를 구비하는 무역거래 운영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온라인, 무역거래, 쇼핑몰, VoIP, 콜센터, 통계, 통관

Description

온라인 무역거래 시스템{system for on-line trade}
본 발명은 온라인 무역거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역거래자들에게 각종 재화나 용역(이하, 총칭하여 '상품'이라 한다)에 관한 통관 절차, 무역거래의 통계 또는 양 국가의 두 당사자 사이에 상담을 대행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온라인 무역거래의 활성화가 제고될 수 있도록 한 온라인 무역거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전자상거래는 인터넷과 같은 정보통신망의 확대와 통신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일반화되어 있는바 이에 따라 구매자가 직접 매장을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졌으며, 보안방법에 있어서도 어느 정도 안정화 단계에 이르게 되어 주요한 상품 구매수단으로 정착되고 있다.
또한, 전자상거래는 국제적인 무역거래에까지 그 범위가 확대되어 가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온라인 무역거래(이하, 간단히 '무역거래'라 한다)는 상품 배송, 결제방법 및 국외 온라인 쇼핑몰로의 상품 등록 등과 관련하여 그 운영이 용이치 않다는 문제점으로 인해, 대기업 및 중견기업군에서 자사의 해외 지점망을 이용하여 온/오프라인을 병행한 소액의 전자상거래가 실시되고 있을 뿐, 순수하게 온 라인을 매개로 한 기업 간 거래(B2B) 또는 기업과 소비자간 거래(B2C)는 활성화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나아가, 무역거래의 활성화를 위한 목적으로 등록특허공보 제10-569843호, 등록특허공보 제10-625332호, 등록특허공보 제10-625518호, 등록특허공보 제10-625520호 및 등록특허공보 제10-665035호에 다수의 발명을 제안한 바 있다.
한편, 무역거래에 있어서 제기되고 있는 또 다른 문제점은 첫째로, 양 국가의 두 무역 당사자 간의 언어 장벽으로 인해 보다 상세한 상품정보의 교환이 어렵다는 것이다.
둘째로, 개인 구매자나 판매자에게는 수입 금지 품목, 관세 대상품 및 국가별 관세율 등과 관련된 통관절차의 이해가 쉽지 않아, 특히 개인 대 개인 간의 무역거래가 용이하지 않다는 것이다.
셋째로, 기존의 무역거래 시스템에 따르면, 해당 상품의 가격동향과 구매자의 정보와 구매성향, 구매다발국가 등과 관련된 무역 통계정보가 무역에 종사하는 도소매업자나 수입업자에게 제공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순수하게 온라인만을 매개로 한 무역거래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인터넷전화를 이용하여 구매자 혹은 판매자를 통역이 가능한 콜센터 직원에게 연결해 주는 온라인매니저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구매자가 관심 상품에 대한 문의사항이 있을 때 판매자를 대신하여 상품의 상세 정보를 설명해 줄 수 있도록 한 온라인 무역거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품별로 상기한 통관절차를 시뮬레이션해 줌으로써, 구매자가 상품을 구매하기 전 또는 판매자가 상품을 온라인쇼핑몰에 등록하기 전에 통관절차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 온라인 무역거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쇼핑몰에서 거래되는 상품의 가격동향 혹은, 상품별로 구매자의 구매성향이나 국가별 구매정도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이를 판매자에게 제공하여 줌으로써, 상품 가격을 책정하거나 국가별 상품 등록 여부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용이하도록 한 온라인 무역거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무역거래시스템은 구매클라이언트 또는 판매클라이언트와 인터넷전화로 연결되는 콜센터클라이언트의 인터넷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콜센터정보 DB; 및 쇼핑몰서버에서 이 루어지게 되는 온라인 무역거래를 운영하는 것으로서, 상기 콜센터정보 DB에 저장되어 있는 인터넷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쇼핑몰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상품과 관련하여 통역서비스를 요청하는 구매클라이언트 또는 판매클라이언트를 상기 콜센터클라이언트에 연결하는 무역거래 매니저부를 구비하는 무역거래 운영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무역거래시스템의 구성에서, 상기 무역거래 운영서버는 일반전화교환망과 인터넷망을 연결하는 인터넷전화 게이트웨이에 접속되되, 상기 콜센터정보 DB에는 상기 일반전화교환망에 연결되어 있는 콜센터전화기의 일반전화번호가 저장되고, 상기 무역거래 매니저부는 상기 콜센터정보 DB에 저장되어 있는 일반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쇼핑몰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상품과 관련하여 통역서비스를 요청하는 구매클라이언트 또는 판매클라이언트를 상기 콜센터전화기에 연결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터넷전화번호와 상기 일반전화번호는 상기 쇼핑몰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상품별로 지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역거래 운영서버는 상기 쇼핑몰서버로 등록되는 상품에 대하여 국가별 통관절차를 구매클라이언트나 판매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상품통관 시뮬레이션부; 상기 쇼핑몰서버에서 거래되는 상품의 무역거래 통계정보를 구매클라이언트나 판매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무역거래 통계제공부; 상기 쇼핑몰서버에 개시되어 있는 상품정보의 언어를 변환하는 상품정보 언어 변환부; 상기 쇼핑몰서버로 접속하는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는 상품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상품표시 제어부; 상 기 쇼핑몰서버로 접속하는 클라이언트가 전달하는 검색키워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품 중에서 상기 검색키워드에 상응하는 상품을 검색하는 상품검색부; 상기 무역거래 운영서버가 상기 쇼핑몰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상품과 관련된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에 연결되어 있되, 상기 카메라에서 실시간 촬영되는 동영상을 구매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상품실제정보 중계부; 및 상기 쇼핑몰서버가 국내 쇼핑몰서버와 국외 쇼핑몰서버로 구분되어 있되, 구매클라이언트가 상기 국내 쇼핑몰서버를 통해 대금결제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구매클라이언트를 국내 인증/결제서버에 연결하고, 구매클라이언트가 상기 국외 쇼핑몰서버를 통해 대금결제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구매클라이언트를 국외 인증/결제서버에 연결하는 인증/결제 중개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필요에 따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무역거래시스템은 쇼핑몰서버에서 이루어지게 되는 온라인 무역거래를 운영하는 것으로서, 상기 쇼핑몰서버로 등록되는 상품에 대하여 국가별 통관절차를 구매클라이언트나 판매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상품통관 시뮬레이션부를 구비하는 무역거래 운영서버; 및 상기 상품통관 시뮬레이션부에서 수행되는 상품통관 시뮬레이션이 상기 쇼핑몰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상품별로 저장되어 있는 통관정보 D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무역거래시스템의 구성에서, 상기 무역거래 운영서버는 구매클라이언트 또는 판매클라이언트와 인터넷전화로 연결되는 콜센터클라이언트의 인터넷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콜센터정보 DB를 더 포함하되, 상기 무역거래 운영서버는 상기 콜센터정보 DB에 저장되어 있는 인터넷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쇼핑몰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상품과 관련하여 통역서비스를 요청하는 구매클라이언트 또는 판매클라이언트를 상기 콜센터클라이언트에 연결하는 무역거래 매니저부; 상기 쇼핑몰서버에서 거래되는 상품의 무역거래 통계정보를 구매클라이언트나 판매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무역거래 통계제공부; 상기 쇼핑몰서버에 개시되어 있는 상품정보의 언어를 변환하는 상품정보 언어 변환부; 상기 쇼핑몰서버로 접속하는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는 상품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상품표시 제어부; 상기 쇼핑몰서버로 접속하는 클라이언트가 전달하는 검색키워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품 중에서 상기 검색키워드에 상응하는 상품을 검색하는 상품검색부; 상기 무역거래 운영서버가 상기 쇼핑몰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상품과 관련된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에 연결되되되, 상기 카메라에서 실시간 촬영되는 동영상을 구매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상품실제정보 중계부; 및 상기 쇼핑몰서버가 국내 쇼핑몰서버와 국외 쇼핑몰서버로 구분되되, 구매클라이언트가 상기 국내 쇼핑몰서버를 통해 대금결제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구매클라이언트를 국내 인증/결제서버에 연결하고, 구매클라이언트가 상기 국외 쇼핑몰서버를 통해 대금결제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구매클라이언트를 국외 인증/결제서버에 연결하는 인증/결제 중개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필요에 따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무역거래시스템은 쇼핑몰서버에서 이루어지게 되는 온라인 무역거래를 운영하는 것으로서, 상기 쇼핑몰서버에서 거래되는 상품의 무역거래 통계정보를 구매클라이언트나 판매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무역거래 통계제공부를 구비하는 무역거래 운영서버; 및 상기 무역거래 통계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통계정보 DB를 더 포함하여 이루지고, 상기 무역거래 통계정보는 상기 쇼핑몰서버에서 무역거래되는 상품에 대한 가격정보, 구매자정보, 판매국정보 및 구매국정보의 분석을 통해 얻어지는 것이고, 미리 정해진 기간마다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무역거래시스템의 구성에서, 상기 무역거래 운영서버는 구매클라이언트 또는 판매클라이언트와 인터넷전화로 연결되는 콜센터클라이언트의 인터넷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콜센터정보 DB를 더 포함하되, 상기 콜센터정보 DB에 저장되어 있는 인터넷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쇼핑몰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상품과 관련하여 통역서비스를 요청하는 구매클라이언트 또는 판매클라이언트를 상기 콜센터클라이언트에 연결하는 무역거래 매니저부; 상기 쇼핑몰서버로 등록되는 상품에 대하여 국가별 통관절차를 구매클라이언트나 판매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상품통관 시뮬레이션부; 2상기 쇼핑몰서버에 개시되어 있는 상품정보의 언어를 변환하는 상품정보 언어 변환부; 상기 쇼핑몰서버로 접속하는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는 상품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상품표시 제어부; 상기 쇼핑몰서버로 접속하는 클라이언트가 전달하는 검색키워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품 중에서 상기 검색키워드에 상응하는 상품을 검색하는 상품검색부; 상기 무역거래 운영서버가 상기 쇼핑몰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상품과 관련된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에 연결되되, 상기 카메라에서 실시간 촬영되는 동영상을 구매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상품실제정보 중계부; 및 상기 쇼핑몰서버 는 국내 쇼핑몰서버와 국외 쇼핑몰서버로 구분되되, 상기 무역거래 운영서버는 구매클라이언트가 상기 국내 쇼핑몰서버를 통해 대금결제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구매클라이언트를 국내 인증/결제서버에 연결하고, 구매클라이언트가 상기 국외 쇼핑몰서버를 통해 대금결제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구매클라이언트를 국외 인증/결제서버에 연결하는 인증/결제 중개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필요에 따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무역거래방법은 쇼핑몰서버에서 이루어지게 되는 온라인 무역거래를 운영하는 무역거래 운영서버에서 수행되고, 상기 쇼핑몰서버에 접속한 구매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쇼핑몰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상품과 관련하여 통역서비스를 요청받는 (a) 단계; 상기 (a) 단계에서 통역서비스를 요청한 구매클라이언트가 선택한 상품에 지정되어 있는 인터넷전화번호를 확인하는 (b) 단계 및 상기 (a) 단계에서 통역서비스를 요청한 구매클라이언트를 상기 (b) 단계에서 확인된 인터넷전화번호에 해당되는 콜센터클라이언트에 연결하는 (c)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온라인 무역거래방법은 상기 (c) 단계 수행 후에, 상기 (a) 단계에서 통역서비스를 요청한 구매클라이언트가 선택한 상품을 등록한 판매클라이언트의 인터넷전화번호를 확인하는 (d)단계; 및 상기 콜센터클라이언트를 상기 (d) 단계에서 확인된 인터넷전화번호를 갖는 판매클라이언트에 연결하는 (e)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역거래 운영서버가 일반전화교환망과 인터넷망을 연결하는 인 터넷전화 게이트웨이에 접속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무역거래방법은 상기 (b) 단계의 수행 과정에서, 상기 (a) 단계에서 통역서비스를 요청한 구매클라이언트가 선택한 상품에 상기 인터넷전화번호가 지정되어 있지 않고 일반전화번호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a) 단계에서 통역서비스를 요청한 구매클라이언트를 상기 일반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콜센터전화기에 연결하는 (f)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온라인 무역거래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무역거래자들에게 상품에 관한 통관 절차, 무역거래의 통계 또는 양 국가의 두 당사자 사이에 상담을 대행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온라인을 통한 무역거래가 활발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무역거래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무역거래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서 보인 무역거래 운영서버 및 이에 의해 운영되는 쇼핑몰서버에게 상품정보를 포함하여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의 상세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온라인 무역거래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은 구매클라이언트(510), 판매클라이언트(530), 무역거래와 관련하여 이들 클라 이언트(510, 530) 간의 온라인 매니저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콜센터클라이언트(520), 온라인쇼핑몰에 관한 하이퍼 텍스트, 컴퓨터 그래픽스 등과 같은 제반 솔루션(solution)과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접속된 퍼스털컴퓨터나 이동통신단말기 등에 제공하는 국내 쇼핑몰서버(210)와 국외 쇼핑몰서버(220), 이들 쇼핑몰서버(210, 220)에서 이루어지게 되는 무역거래와 관련된 제반사항을 운영하는 무역거래 운영서버(100), 국내 쇼핑몰서버(210)를 이용하는 구매자의 신용정보를 토대로, 상품의 대금결제를 요청하는 구매자를 인증하는 국내 인증서버(411), 이와 마찬가지로 국외 쇼핑몰서버(220)를 이용하는 구매자의 대금결제 요청을 인증하는 국외 인증서버(413), 상기한 국내 인증서버(411)의 인증처리 결과에 의거하여 국내 쇼핑몰서버(210)에서 구매된 상품의 대금을 결제하는 국내 결제서버(421),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한 국외 인증서버(411)의 결과에 따라, 국외 쇼핑몰서버(22)에서 구매된 상품의 대금을 결제하는 국외 결제서버(423), 및 상기한 서버들과 클라이언트들을 연결하는 인터넷망(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무역거래시스템에는 일반전화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800), 이것과 인터넷망(600) 간의 게이트웨이로써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이용자와 공중전화망 가입자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전화 게이트웨이(700), 및 상기한 콜센터클라이언트(520)와 마찬가지로,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온라인 매니저 역할을 수행하는 콜센터에 설치되는 콜센터전화기(900)를 필요에 따라 더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인터넷망(600)은 전 세계에 산재해 있는 컴퓨터망을 유/무 선을 통해 연결하는 네트워크들의 네트워크로써, 일반적으로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Internet Protocol)라는 통신규약에 따르고 있으며, 이러한 TCP/IP 체계에 따라 인터넷망(400)에 연결되는 모든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세계 유일(globally unique)의 IP주소를 IP주소관리대행자 즉, 인터넷서비스제공사업자(internet service provider; ISP)로부터 할당받게 된다. 여기서, IP주소는 클라이언트나 서버가 위치한 지역에 근간을 두고 있는 것이다. 한편, 무선으로 인터넷(900)에 접근하는 방식에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이나 WIPI 등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이동통신망을 통해 접근하거나 공중 무선 LAN과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를 통해 접근하는 무선인터넷과, ADSL 수준의 품질과 비용으로 정지 또는 저속 이동 중에도 고속 인터넷 접속할 수 있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인 '휴대인터넷'(WiBro 또는 WiMax)이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클라이언트(510,, 520, 530)는 인터넷망(400)에 연결된 각종 서버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하여 왑(WAP)이나 웹(WAB) 브라우저를 갖추는 것으로서 이를 테면, 퍼스널컴퓨터나 이동통신단말기가 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이언트(510, 520, 530)가 퍼스널컴퓨터인 경우에는 VoIP 솔루션이 탑재되고, 음성통화를 위한 헤드셋(headset)과 같은 음성통화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라 함은 일반적으로 휴대폰이나 핸드폰을 지칭하는 것인바,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그리고 스마트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기반의 무선통신장치이다. 또한, 판매클라이언트(530)가 퍼스널컴퓨터인 경우에는 카메라(531)와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때 카메라(531)는 온라인쇼핑몰의 판매상품에 대하여 구매자에게 신뢰를 주기 위한 목적으로 구비된 것으로서, 웹캠(Webcam)이나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를 테면, 판매상품이 사과인 경우에 카메라(531)는 사과재배농장이나 그 주변의 친환경적인 자연을 촬영하는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클라이언트(510, 520, 530)로는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가 될 수도 있는바, 여기서 IPTV라 함은 셋톱박스(set-top box)를 통해 초고속 인터넷망에 연결되는 텔레비전 또는 이러한 텔레비전을 통해 다양한 인터넷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지칭하는 말로써, 시청자가 자신이 편리한 시간에 자신이 보고 싶은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렇게 방송과 통신이 융합이 된 특징으로 인해 IPTV를 일명, 주문형 인터넷 콘텐츠(Internet contents on demand; ICOD)라고 부르기도 한다.
다음으로, 무역거래 운영서버(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국내외 쇼핑몰서버(210, 220)와 국내외 인증서버(411, 413) 및 국내외 결제서버(421, 423)에 접속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110), 후술하게 될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되는 상품정보를 쇼핑몰서버에 등록할 때에, 해당 쇼핑몰서버의 언어로 변환하여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상품정보 언어변환부(120), 상기한 국내 외 쇼핑몰서버(210, 220)로부터 해당 쇼핑몰로 접속하는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는 상품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상품표시 제어부(130), 클라이언트가 전달하는 검색키워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되어 있는 상품정보들 중에서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상품을 검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상품검색부(140), 클라이언트가 선택한 상품에 대한 국가별 통관절차를 해당 쇼핑몰서버를 통해 클라이언트에게 시뮬레이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상품통관 시뮬레이션부(150), 상기한 국내외 쇼핑몰서버(210, 220)에서 무역거래되는 각종 상품에 대한 가격정보, 구매자정보, 판매국정보 및 구매국정보의 분석을 통해 얻게 된 무역거래통계정보를 쇼핑몰서버로 접속하는 판매클라이언트(53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무역거래 통계제공부(160), 구매클라이언트(510) 또는 판매클라이언트(530)로 콜센터클라이언트(520) 혹은 콜센터전화기(900)를 연결시키는 무역거래 매니저부(170), 카메라(531)에서 실시간 촬영되어 판매클라이언트(530)로부터 쇼핑몰서버로 전송되는 동영상을 구매클라이언트(510)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상품실제정보 중계부(180) 및 구매클라이언트(510)의 상품 구매 요청에 의거하여, 구매클라이언트(510)를 인증서버와 결제서버에 중개하는 인증/결제 중개부(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베이스(3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매클라이언트(310)가 국내 혹은 국외 쇼핑몰서버(210, 220)에 등록하게 되는 상품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DB로서, 특히 각 국가별 그 나라에서의 상품가격, 판매자, 상품이미지 및 각 국가별 그 나라의 언어에 해당되는 상품 설명 등이 저장되어 있는 상품정보 DB(310), 국내 혹은 국외 쇼핑몰서버(210, 220)의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는 구매자의 신용정보 이를 테면, 개인인 경우에 휴대폰번호, 주소, 성명, 법인인 경우에 회사전화번호, 주소, 회사명, 법인번호와, 구매자의 인터넷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구매자정보 DB(320), 구매클라이언트(510) 또는 판매클라이언트(530)와 인터넷전화로 연결되는 콜센터클라이언트(520)의 인터넷전화번호와, 상기한 콜센터전화기(900)의 일반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콜센터정보 DB(330), 국내 혹은 국외 쇼핑몰서버(210, 220)의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는 상품판매자의 신용정보 이를테면, 판매자 주소, 상기한 카메라(900)의 구비 여부, 주거래품목 등과, 판매자의 인터넷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판매자정보 DB(340), 상기한 상품통관 시뮬레이션부(150)에 수행되는 상품통관 시뮬레이션이 각 상품별로 저장되어 있는 통관정보 DB(350) 및 상기한 국내 혹은 국외 쇼핑몰서버(210, 220)에서의 무역거래통계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통계정보 DB(3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한 무역거래 운영서버(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상품정보 언어변환부(120)는 상품정보 DB(310)를 참조하여 국내 쇼핑몰서버(210)에 개시되는 상품정보의 언어를 국외 쇼핑몰서버(220)에 해당하는 언어로 변환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쇼핑몰서버(210)에 등록된 상품정보를 국외 쇼핑몰서버(220)에도 동일하게 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품표시 제어부(130)는 상기한 국내외 쇼핑몰서버(210, 220)로부터 해당 쇼핑몰로 접속하는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는 상품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품정보가 카탈로그 형태로 제공되도록 쇼핑몰서버를 제어 하는 것이다. 이때, 카탈로그에는 상품을 기획하고 설계하며 디자인한 과정 및 이러한 과정을 진행한 회사와, 상품의 부품/소재 및 이를 제조한 회사와, 주변기기와, 국내외 유통경로와, 바이어에 관한 다시 말해, 해당 상품에 관련된 모든 정보가 수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구매자는 본 발명의 국내외 쇼핑몰서버(210, 220)를 통해 원하는 상품에 대하여 총망라된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품검색부(140)는 클라이언트가 전달하는 검색키워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되어 있는 상품정보들 중에서 상기한 검색키워드에 상응하는 상품을 검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미리 정해진 검색키워드를 구매자가 선택하게 하는 검색옵션창을 구매클라이언트(510)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테면, 도 3은 상기한 검색옵션창을 토대로 한 상품 검색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인바, 도면부호 10이 상기한 검색옵션창이 되는 것이고, 도면부호 20이 검색옵션창(10)에서의 검색키워드를 만족한 상품정보가 표시되는 상품표시창이 된다. 이때, 검색옵션창(10)의 검색키워드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래유형, 판매유형, 공장 보유 여부, 판매자의 외국어 예를 들어, 영어 가능 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품통관 시뮬레이션부(150)는 클라이언트가 선택한 상품에 대한 국가별 통관절차를 해당 쇼핑몰서버를 통해 클라이언트에게 시뮬레이션하는 것인바, 이때 시뮬레이션에는 관세, 유통마진 또는 상품 수령일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역거래 통계제공부(160)는 국내외 쇼핑몰서버(210, 220)에서 거래되는 각종 상품의 가격동향과 구매경향 등의 분석을 통해 얻게 된 무역거래통계정보 를 쇼핑몰서버로 접속하는 판매클라이언트(530)에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때 무역거래통계정보는 월별(또는, 분기별, 반기별, 연도별)마다 그래프나 표, 이미지 또는 문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역거래 매니저부(170)는 통역서비스를 요청하는 구매클라이언트(510) 또는 판매클라이언트(530)로, 쇼핑몰서버에 등록된 상품별로 지정되어 있는 콜센터클라이언트(520) 혹은 콜센터전화기(900)를 연결시키는 것이다. 이를 테면, 도 4는 상기한 무역거래 매니저부(170)의 통역 중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인바, 이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구매자는 자신의 구매클라이언트(510)를 통해 표시되는 'VoIP Phone(30)'를 마우스로 클릭하여 콜센터 직원과의 연결을 요청하게 된다. 이러한 요청을 접수한 무역거래 매니저부(170)는 콜센터정보 DB(330)를 검색하여 해당 상품에 지정되어 있는 전화번호 혹은 IP주소를 확인한 다음, 해당 구매클라이언트(510)를 그에 상응하는 콜센터클라이언트(520) 혹은 콜센터전화기(900)로 연결시키게 된다.
또한, 상품실제정보 중계부(180)는 카메라(531)에서 실시간 촬영되는 동영상을 구매클라이언트(510)에게 제공함으로써 구매자에게 판매상품에 대해 신뢰를 주기 위한 것인바, 이를 통해 구매자는 원하는 상품과 관련되어 있는 상품실제정보 이를 테면, 상품의 제조과정이나 유통경로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5는 상기한 상품실제정보 중계부(180)의 상품실제정보 중계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인바, 이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구매자는 자신의 구매클라이언트(510)를 통해 표시되는 '상점 둘러보기(40)'를 마우스로 클릭하여 상품실제정보를 요청하게 된다. 이러한 요청을 접수한 상품실제정보 중계부(180)는 해당 판매클라이언트(520)로부터 수신되는 동영상(50)을 구매클라이언트(510)에 중계하게 된다.
또한, 인증/결제 중개부(190)는 상품 구매를 요청하는 구매클라이언트(510)를 인증서버와 결제서버에 중개하는 것으로서, 특히 국내쇼핑몰서버(210)로 접속하게 되는 구매클라이언트(510)는 국내 인증서버(411)와 국내 결제서버(421)로 연결시키고 반면, 국외쇼핑몰서버(220)로 접속하는 구매클라이언트(510)는 국외 인증서버(413)와 국외 결제서버(423)로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구매자는 국외에서 구매하는 상품에 대해서도 자신의 나라에 해당하는 화폐로 결제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편리하게 무역거래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무역거래시스템을 살펴보았는바, 무역거래 서버(100)와 국내 쇼핑몰서버(210)는 동일한 주체에 의해 운영되는 서버가 될 수 있다. 또는, 무역거래 서버(100), 국내 쇼핑몰서버(210) 및 국외 쇼핑몰서버(220) 모두, 동일한 주체에 의해 운영되는 서버가 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카메라(531)가 판매클라이언트(530)를 통해 인터넷망(600)에 연결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카메라(531)의 기능을 구현하는 CCTV 시스템이 판매클라이언트(530)에 종속되지 않고 인터넷망(60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무역거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인바, 구체적으로 상기한 무역거래 매니저부(170)의 기능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 S11에서 구매클라이언트(510)는 쇼핑몰서버에 접속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단계 S13에서 쇼핑몰서버는 다양한 상품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쇼핑몰서버는 전술한 국내 쇼핑몰서버(210) 또는 국외 쇼핑몰서버(220)가 될 수 있다. 또한, 단계 S13에서 제공되는 상품정보는 상기한 상품표시 제어부(130)에 의한 카탈로그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단계 S15에서 구매클라이언트(510)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검색하게 되고 원하는 상품을 선택하게 되면, 단계 S17에서 쇼핑몰서버는 선택된 상품의 상세정보와 판매자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쇼핑몰서버에서 구매클라이언트(510)에게 제공되는 검색옵션은 상기한 상품검색부(140)에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계 S17의 과정에서 구매자는 상기한 상품실제정보 중계부(180)에서 제공되는 동영상 옵션을 선택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9에서 구매클라이언트(510)는 이를 테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VoIP Phone(30)을 선택된 상품을 등록한 판매자의 해당 언어를 구사하는 콜센터직원과의 통화를 요청하게 된다. 이에, 단계 S21에서 무역거래운영서버(100)는 콜센터정보 DB(330)를 검색하여 적합한 콜센터클라이언트(520) 또는 콜센터전화기(900)를 확인하고, 단계 S23에서는 확인된 바에 상응하는 전화번호를 구매클라이언트(510)에 전달하게 된다. 이에, 단계 S25 및 단계 S27에서 구매클라이언트(510)는 전달받은 전화번호로 호를 발생하여, 구매자를 콜센터직원에게 연결시키게 된다. 즉, 단계 S19 내지 단계 S27의 과정을 통해 구매자는 콜센터직원에게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해 추가적인 사항을 문의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 S29에서 콜센터클라이언트(520)는 구매자의 문의사항을 해당 판매자에게 전달해 주기 위해서, 무역거래운영서버(100)에 판매자와의 통화를 요청하게 된다. 이에, 단계 S31 및 S33에서 무역거래운영서버(100)는 판매자정보 DB(340)를 검색하여 해당 판매클라이언트(530)의 전화번호를 확인하여 이를 콜센터클라이언트(520)에 회신하여 주게 된다. 이에, 단계 S35 및 단계 S37에서 콜센터클라이언트(520)는 전달받은 전화번호로 호를 발생하여, 콜센터직원을 판매자에게 연결시키게 된다. 즉, 단계 S29 내지 단계 S37의 과정을 통해 콜센터직원은 구매자의 문의사항을 해당 판매자에게 전달하게 되고, 이에 대한 답신을 판매자로부터 전달받게 된다.
다음으로, 단계 S39에서 콜센터클라이언트(520)는 통화가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 통화가 종료된 경우에 단계 S41 및 단계 S43으로 진행하여 구매클라이언트(510)로 호를 발생하여, 콜센터직원을 구매자에게 연결시키게 된다. 즉 위 과정을 통해 콜센터직원은 판매자의 답신을 구매자에게 전달하게 되는바, 이에 따라 구매자는 판매자의 해당 언어를 구사하지 못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무역거래 매니저 기능을 이용하게 됨으로써 쇼핑몰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상품정보를 콜센터직원을 통해 얻을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구매자는 이러한 답신에 의거하여 상품 구매를 결정하게 되는데,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 S45에서 구매클라이언트(510)는 쇼핑몰서버로 상품 결제를 요청하게 된다. 이에, 단계 S47에서 구매클라이언트(510)와 쇼핑몰서버 간에는 주문고객정보 및 배송지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주문서의 작성이 수행된다. 이 러한 상품 주문서의 작성이 완료된 후, 단계 S49에서 쇼핑몰서버는 결제 수단 목록을 구매클라이언트(510)에 제공하게 되는바, 이에 따라 단계 S51에서 구매클라이언트(510)는 결제수단 이를 테면, 신용카드 결제를 선택하게 된다.
다음으로, 단계 S53에서 무역거래 운영서버(100)는 구매자의 결제수단 선택에 의거하여, 쇼핑몰서버와 연계되어 있는 인증서버 및 결제서버로 구매자의 인증 및 해당 상품의 결제 승인을 요청하게 된다. 이때, 무역거래 운영서버(100)는 구매클라이언트(510)가 국내 쇼핑몰서버(210)에 접속한 경우에는 국내 인증서버(411) 및 국내 결제서버(421)에 상기한 사항을 요청하게 되고 반면에, 구매클라이언트(510)가 국외 쇼핑몰서버(220)에 접속한 경우에는 국외 인증서버(413) 및 국외 결제서버(423)에 상기한 사항을 요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단계 S55에서 인증/결제서버는 이러한 쇼핑몰서버의 결제 승인 요청에 의거하여, 해당 구매클라이언트(510)에 구매자의 신용정보를 요청하게 된다. 이러한 인증/결제서버의 요구에 부응하여, 사용자는 이를테면, 소지하고 있는 신용카드와 그 비밀번호 및 주민등록번호 뒤 7자리 따위를 입력하게 된다. 그러면, 단계 S57에서 이러한 정보가 인증/결제서버로 전달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단계 S59에서 인증/결제서버는 구매자로부터 전달받은 신용정보를 토대로 대금결제를 의뢰한 구매자를 인증하고, 구매자가 신청한 대금을 결제처리하게 된다. 이후, 단계 S61에서 인증/결제서버는 대금결제가 승인되었음을 구매클라이언트(510) 및 해당 쇼핑몰서버에 통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온라인 무역거래 시스템 및 방법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 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무역거래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 보인 무역거래 운영서버 및 이에 의해 운영되는 쇼핑몰서버에게 상품정보를 포함하여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의 상세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무역거래 시스템에서의 상품 검색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무역거래 시스템에서의 통역 중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무역거래 시스템에서의 상품실제정보 중계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무역거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무역거래 운영서버 110: 인터페이스부
120: 상품정보 언어변환부 130: 상품표시 제어부
140: 상품검색부 150: 상품통관 시뮬레이션부
160: 무역거래 통계제공부 170: 무역거래 매니저부
180: 상품실제정보 중계부 190: 인증/결제 중개부
210: 국내 쇼핑몰서버 220: 국외 쇼핑몰서버
300: 데이터베이스 310: 상품정보 DB
320: 구매자정보 DB 330: 콜센터정보 DB
340: 판매자정보 DB 350: 통관정보 DB
360: 통계정보 DB
411: 국내 인증서버 413: 국외 인증서버
421: 국내 결제서버 423: 국외 결제서버
510: 구매클라이언트 520: 콜센터클라이언트
530: 판매클라이언트 531: 카메라
600: 인터넷망 700: 인터넷전화 게이트웨이
800: 일반전화교환망 900: 콜센터전화기

Claims (8)

  1. 쇼핑몰서버에서 이루어지게 되는 온라인 무역거래를 운영하는 것으로서, 상기 쇼핑몰서버에서 거래되는 상품의 무역거래 통계정보를 구매클라이언트나 판매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무역거래 통계제공부를 구비하는 무역거래 운영서버 및
    상기 무역거래 통계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통계정보 DB를 더 포함하여 이루지고,
    상기 무역거래 통계정보는 상기 쇼핑몰서버에서 무역거래되는 상품에 대한 가격정보, 구매자정보, 판매국정보 및 구매국정보의 분석을 통해 얻어지는 것이고, 미리 정해진 기간마다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무역거래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구매클라이언트 또는 판매클라이언트와 인터넷전화로 연결되는 콜센터클라이언트의 인터넷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콜센터정보 DB를 더 포함하되,
    상기 무역거래 운영서버는 상기 콜센터정보 DB에 저장되어 있는 인터넷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쇼핑몰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상품과 관련하여 통역서비스를 요청하는 구매클라이언트 또는 판매클라이언트를 상기 콜센터클라이언트에 연결하는 무역거래 매니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무역거래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역거래 운영서버는 상기 쇼핑몰서버로 등록되는 상품에 대하여 국가별 통관절차를 구매클라이언트나 판매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상품통관 시뮬레이션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무역거래시스템.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무역거래 운영서버는 상기 쇼핑몰서버에 개시되어 있는 상품정보의 언어를 변환하는 상품정보 언어 변환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무역거래시스템.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무역거래 운영서버는 상기 쇼핑몰서버로 접속하는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는 상품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상품표시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무역거래시스템.
  6.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무역거래 운영서버는 상기 쇼핑몰서버로 접속하는 클라이언트가 전달하는 검색키워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품 중에서 상기 검색키워드에 상응하는 상품을 검색하는 상품검색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무역거래시스템.
  7.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무역거래 운영서버는 상기 쇼핑몰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상품과 관련된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에 연결되고,
    상기 카메라에서 실시간 촬영되는 동영상을 구매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상품실제정보 중계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무역거래시스템.
  8.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몰서버는 국내 쇼핑몰서버와 국외 쇼핑몰서버로 구분되되,
    상기 무역거래 운영서버는 구매클라이언트가 상기 국내 쇼핑몰서버를 통해 대금결제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구매클라이언트를 국내 인증/결제서버에 연결하고, 구매클라이언트가 상기 국외 쇼핑몰서버를 통해 대금결제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구매클라이언트를 국외 인증/결제서버에 연결하는 인증/결제 중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무역거래시스템.
KR1020090004507A 2009-01-20 2009-01-20 온라인 무역거래 시스템 KR100941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507A KR100941725B1 (ko) 2009-01-20 2009-01-20 온라인 무역거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507A KR100941725B1 (ko) 2009-01-20 2009-01-20 온라인 무역거래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9957A Division KR100941724B1 (ko) 2007-08-09 2007-08-09 온라인 무역거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011A KR20090016011A (ko) 2009-02-12
KR100941725B1 true KR100941725B1 (ko) 2010-02-12

Family

ID=40685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4507A KR100941725B1 (ko) 2009-01-20 2009-01-20 온라인 무역거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17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306B1 (ko) * 2009-10-06 2012-02-16 (주)글로벌쉬핑마스터앤투앤 상품정보의 온라인 제공방법과 그 방법을 위한 장치
KR102607409B1 (ko) 2023-06-14 2023-12-01 이민수 무역 거래인증 플랫폼 제공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011A (ko) 2009-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840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n electronic transaction using a transaction proxy with an electronic wallet
AU2001251286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national financial transactions
US20070287413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billing and content delivery
US20230034935A1 (en) Email based e-commerce using embedded forms
US20010037261A1 (en) Agent purchase method, agent purchase system and record medium containing transaction management program
JP2001512863A (ja) 電子商取引トランザクション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AU2001251286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national financial transactions
US11790333B2 (en) Tokenized data having split payment instructions for multiple accounts in a chain transaction
KR20000054577A (ko) 동화상을 이용한 실시간 대화형 전자상거래 방법
KR100941725B1 (ko) 온라인 무역거래 시스템
US10311506B1 (en) System and method for e-commerce accessibility
KR20020000675A (ko) 실시간/양방향 전자 상거래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0569843B1 (ko)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한 무역거래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무역거래 방법
KR100941724B1 (ko) 온라인 무역거래 시스템 및 방법
US20070022014A1 (en) Method of managing online shopping mall having trade transaction function
KR20070029367A (ko)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 구매 대금의 분할 결제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15738A (ko) B2b,b2c 및 c2c 비즈니스 네트워킹을 응용한 전자상거래 방법
KR20230138989A (ko) 국가간 무역거래 대상자의 상담을 대행해주는 무역거래 시스템 및 방법
WO2001086546A1 (en) Method and system for routing and processing financial transaction data
KR20170082997A (ko) 펌 뱅킹시 자금 이체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자금이체 시스템
KR100593050B1 (ko) 유무선 인터넷 통신에 의한 이메일 또는 실시간 메시지전달체제(인스턴트메시지)를 이용한 전자상거래에 의한 상품구매 및 결재방법
KR20210056040A (ko)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한 무역거래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무역거래 방법
US20220335491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lectronic commerce service using partnership service cart realized by api in shopping mall
KR20220143616A (ko) 펌 뱅킹시 자금 이체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자금이체 시스템
KR20170032109A (ko) 펌 뱅킹시 자금 이체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자금이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