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1033B1 - 영상표시기기의 다중화면 표시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표시기기의 다중화면 표시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1033B1
KR100941033B1 KR1020030001023A KR20030001023A KR100941033B1 KR 100941033 B1 KR100941033 B1 KR 100941033B1 KR 1020030001023 A KR1020030001023 A KR 1020030001023A KR 20030001023 A KR20030001023 A KR 20030001023A KR 100941033 B1 KR100941033 B1 KR 100941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video
video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1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3551A (ko
Inventor
신수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1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1033B1/ko
Publication of KR20040063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3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1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1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영상표시기기의 다중화면 표시방법은, 어느 한 채널을 통해 수신된 비디오 데이터로부터 프로그램 식별을 위한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채널을 통해 수신된 비디오 데이터로부터 상기 저장된 식별정보가 추출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정보가 추출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채널로부터의 비디오 데이터를 주화면으로 출력하고,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부화면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다중화면, 프로그램 식별

Description

영상표시기기의 다중화면 표시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DISPLAYING MULTI PICTURE FOR DISPLAY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영상표시기기의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화면 표시방법의 흐름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뉴 표시예.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예.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TV : 텔레비전 수상기 100 : 안테나
102 : 제1튜너 104 : 제1IF 모듈
106 : 제1채널 디코더 108 : 제1TS 디코더
110 : 제1오디오 디코더 112 : 제1비디오 디코더
114 : 제2튜너 116 : 제2IF 모듈
118 : 제2채널 디코더 120 : 제2TS 디코더
122 : 제2오디오 디코더 124 : 오디오 처리 및 출력부
126 : 스피커 128 : 제2비디오 디코더
130 : 믹서 132 : 비디오 처리 및 출력부
134 : 표시기 136 : 마이크로 프로세서
138 : 메모리부 140 : 사용자 인터페이스
142 : 키패드 144 : IR 수신부
146 : 리모트 콘트롤러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표시기기의 다중화면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수상기의 사용자는 프로그램이 종료되거나 프로그램의 중간에 광고가 방송되면 다른 채널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채널 검색 등을 행하곤 한다.
이러한 사용자의 습성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프로그램의 방송여부에 대응되게 다른 채널의 방송상태를 안내하는 방법의 개발이 요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텔레비전 수상기와 같은 영상표시기기에서 사용자의 습성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프로그램의 방송여부에 대응되게 다른 채널의 방송 상태를 안내할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의 다중화면 표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영상표시기기의 다중화면 표시방법은, 어느 한 채널을 통해 수신된 비디오 데이터로부터 프로그램 식별을 위한 식별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채널을 통해 수신된 비디오 데이터로부터 상기 저장된 식별정보가 추출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정보가 추출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채널로부터의 비디오 데이터를 주화면으로 출력하고,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부화면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아날로그 텔레비전 수상기에도 적용 가능하나, 이하 편이상 본 발명을 디지털 텔레비전 수상기에 적용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텔레비전 수상기(TV)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 1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튜너(102,114)는 안테나(100)를 통해 수신되는 텔레비전 방송신호를 입력받아 마이크로 프로세서(136)의 제어에 따라 채널을 선국하고, 그 선국에 따른 IF(Intermediate Frequency) 신호를 출력한다. 제1 및 제2IF 모듈(104,116)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튜너(102,114)로부터 IF 신호를 제공받아 베이스밴드(baseband) 신호로 변환한다. 제1 및 제2채널 디코더(106,118)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IF 모듈(104,116)로부터 베이스밴드 신호를 제공받아 채널 복호화하여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을 재생한다. 제1 및 제2TS 디코더(108,120)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채널 디코더(106,118)로부터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제공받아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부가 데이터로 분리한다. 제1 및 제2오디오 디코더(110,122)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TS 디코더(108,120)가 분리해낸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받아 마이크로 프로세서(136)의 제어에 따라 디코딩을 수행한후 오디오 처리 및 출력부(124)에 제공하며, 상기 오디오 처리 및 출력부(124)는 상기 제1 및 제2오디오 디코더(110,122)가 제공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스피커(126)나 미도시된 오디오 출력단자 등을 통해 출력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비디오 디코더(112,128)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TS 디코더(108,120)가 분리해낸 비디오 데이터를 제공받아 마이크로 프로세서(136)의 제어에 따라 디코딩을 수행한다. 상기 믹서(13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36)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비디오 디코더(112,128)의 출력 및 OSD 데이터 등을 믹싱하며, 상기 믹싱 방법에 따라 PIP, POP 등이 이루어진다. 비디오 처리 및 출력부(132)는 상기 믹서(130)의 출력을 처리하여 표시기(134)를 통해 출력한다.
그리고 마이크로 프로세서(136)는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수상기를 전반적으로 제어함은 물론이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화면 표시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키패드(142) 및 IR 수신부(144)와 마이크로 프로세서(136)간을 연결하여, 키패드(142) 및 리모트 콘트롤러(146)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각종 명령을 마이크로 프로세서(136)에 제공한다. 메모리부(138)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36)의 처리 프로그램 및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특히 상기 메모리부(138)는 제1 및 제2비디오 디코더(112,128)의 비디오 디코딩시 필요한 비디오 데이터 저장영역을 제공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화면 표시를 위한 설정정보와 프로그램 식별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도 1에 B로 기입된 선은 디지털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 부를 연결하는 버스를 나타낸다.
상기한 텔레비전 수상기에 적용가능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36)는 사용자가 리모트 콘트롤러(146) 또는 키패드(142)를 이용하여 다중화면 표시의 설정을 요청하면(200단계), 설정정보의 입력을 안내한다. 상기 안내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36)는 입력된 설정정보를 메모리부(138)에 저장한다(204단계).
여기서 상기 설정정보의 입력 안내 및 설정메뉴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36)는 사용자가 메뉴 표시를 요청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채널, 영상, 음성, 자동채널 표시(DISPLAY), 일반에 대한 메뉴 항목을 표시한다. 이러한 메뉴 항목중 사용자가 자동채널 표시 항목을 선택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36)는 전채널, 선호채널, 예약채널, 자동채널 표시의 종료(OFF)에 대한 메뉴 항목을 선택한다. 사용자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화면 표시를 원할 경우, 상기 사용자는 전채널, 선호채널, 예약채널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선호채널 또는 예약채널을 선택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36)는 채널선택을 안내한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예약채널을 선택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36)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중 표시할 다수의 채널 입력을 안내하고, 그 안내에 따라 사용자는 다중 표시할 다수의 채널을 입력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36)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다중화면 표시를 위한 설정정보를 메모리부(138)에 저장한다.
상기한 과정을 거쳐 다중화면 표시를 위한 설정정보의 저장이 완료되면, 상 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36)는 사용자에게 프로그램 식별정보의 입력을 안내하고, 그 안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하는 프로그램 식별정보를 저장한다(206,208단계).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 식별정보의 입력 및 저장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36)는 사용자가 리모트 콘트롤러(146) 또는 키패드(142)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식별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면(300단계), 사용자는 방송 프로그램 인식을 위한 참조영역을 선택하며, 상기 참조영역은 방송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문자나 이미지일 수 있다. 예를들어 도 6에 도시한 화면(P)에서 좌측상단에 위치한 이미지(A)나 우측상단에 위치한 문자(B)는 방송 프로그램을 나타내므로, 사용자는 상기 이미지(A)나 문자(B)가 존재하는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방송 프로그램 인식을 위한 참조영역을 선택하면(306단계),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36)는 선택된 참조영역의 위치 및 채널을 저장하고(308단계), 그 참조영역으로부터 이미지 또는 문자를 추출한다(310단계).
상기 참조영역으로부터 이미지 또는 문자를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비디오 디코딩을 위해 비디오 데이터는 메모리부(138)에 임시 저장되므로, 마이크로 프로세서(136)는 상기 임시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중 사용자가 선택한 참조영역에 해당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메모리부(138)로부터 리드해낸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36)는 상기 참조영역에 해당되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해 에지를 검출하고, 잡음을 제거한후 객체영역을 추출한다. 여기서, 상기 객체 영역 추출은 잡음이 제거된 에지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에지 성분이 검색되지 않은 영역을 제거함으 로써 에지로 이루어진 영역을 추출하는 작업을 일컫는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객체영역이 추출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36)는 추출된 객체영역에 대해 문자인식을 수행한다. 상기 문자인식방법으로는 매트릭스 매칭방법, 원형 정합방법, 비선형 형태 정규화방법, 통계적 방법, 신경망 이용방법, 구조적 방법, 레이아웃 프로세싱, 폼 프로세싱 등이 있다.
상기 객체영역에 대해 문자인식을 수행하여 문자가 인식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36)는 그 인식된 문자를 해당 방송 프로그램을 식별하기 위한 문자로 판단하고, 상기 객체영역에 대해 문자가 인식되지 않으면 그 객체영역을 방송 프로그램을 식별하기 위한 이미지로 판단한다.
상기한 과정을 거쳐 사용자가 선택한 참조영역으로부터 이미지 또는 문자가 추출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36)는 상기 추출된 이미지 또는 문자를 메모리부(138)에 저장한다(312~318단계). 여기서, 상기 추출된 이미지 또는 문자와 상기 참조영역의 위치와 채널이 프로그램 식별정보가 된다.
상기한 과정을 거쳐 프로그램 식별정보의 저장이 완료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36)는 제1튜너(102)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의 비디오 데이터로부터 상기 저장된 프로그램 식별정보가 검출되는지를 체크한다(210단계).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36)는 상기 제1튜너(102)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의 비디오 데이터 중 상기 참조영역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으로부터 문자 또는 이미지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문자 또는 이미지가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 식별정보의 문자 또는 이미지와 동일한지를 체크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36)는 상기 제1튜너(102)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의 비디오 데이터로부터 상기 프로그램 식별정보에 포함된 문자 또는 이미지가 추출되면, 상기 프로그램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프로그램이 방송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제1튜너(102)로부터의 방송신호에 따른 비디오 신호를 전체 화면으로 출력한다(216단계).
이와달리 상기 제1튜너(102)를 통해 수신된 비디오 데이터로부터 상기 프로그램 식별정보에 포함된 문자 또는 이미지가 추출되지 않으면 프로그램이 종료되었거나 프로그램 중간에 광고가 방송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튜너(102)로부터의 방송신호에 따른 비디오 신호를 주화면으로 출력함과 아울러 다중화면 표시를 위한 설정정보에 따른 채널을 제2튜너(114)를 통해 튜닝하고, 상기 제2튜너(114)로부터의 방송신호에 따른 비디오 신호를 부화면으로 출력한다(212단계). 여기서 상기 제2튜너(114)의 튜닝채널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체 채널이 소정시간마다 번갈아 가면서 정해지거나, 선호 채널들이 번갈아 가면서 정해지거나, 예약 채널들이 번갈아 가면서 정해질 수 있다.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TV)에 튜너가 다수 내장되거나, 다른 신호원으로부터의 신호처리가 가능한 경우에는 다수 채널로부터의 비디오 신호들을 화면에 일괄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다중화면을 표시하는 중에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36)는 제1튜너(102)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의 비디오 데이터로부터 상기 저장된 프로그램 식별정보가 검출되는지를 체크한다(214단계).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36)는 상기 제1튜너(102)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의 비디오 데이터로부터 상기 저장된 프로그램 식별정보가 검출되면, 제1튜너(102)로부터의 방송신호를 전체화면으로 출력한다(216단계).
이러한 다중화면 표시는 사용자에 의한 다중화면의 표시종료시까지 계속하여 수행된다(218단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다중 화면을 표시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주화면(P)에는 이전부터 시청중인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가 출력되고, 부화면들(P1~P3)에는 다른 채널로부터의 비디오 데이터가 출력된다. 상기 도 7에서는 4개의 화면을 다중으로 표시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상기 화면의 수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신호처리능력에 따라 가변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텔레비전 수상기와 같은 영상표시기기에서 프로그램이 종료되거나 프로그램 중간에 광고 등이 방송되면, 다른 채널의 방송신호를 다중 화면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채널을 전환하지 않아도 다른 채널의 방송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다중화면을 표시하다가도 해당 프로그램이 다시 시작하면 다중화면을 해제하고 원래의 프로그램을 전체화면으로 표시하여 프로그램 시청에 방해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방송 프로그램 채널의 다수화에 부응하여 전체 채널뿐만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들의 방송신호를 다중 화면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Claims (6)

  1. 영상표시기기의 다중화면 표시방법에 있어서,
    어느 한 채널을 통해 수신된 비디오 데이터로부터 프로그램 식별을 위한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채널을 통해 수신된 비디오 데이터로부터 상기 저장된 식별정보가 추출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정보가 추출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채널로부터의 비디오 데이터를 주화면으로 출력하고,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부화면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다중화면 표시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채널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체 채널, 선호 채널, 예약 채널로 정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다중화면 표시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면으로 표시되는 채널은 일정시간마다 가변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다중화면 표시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가 추출되면, 상기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전체화면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다중화면 표시방법.
  6. 영상표시기기의 다중화면 표시장치에 있어서,
    방송신호중 선택된 채널을 튜닝하는 다수의 튜너와,
    상기 다수의 튜너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제공받아 비디오 데이터로 복원하는 다수의 비디오 처리부와,
    상기 비디오 처리부로부터 제공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믹스하여 출력하는 비디오 출력부와,
    상기 다수의 튜너중 어느 하나를 통해 수신된 비디오 데이터로부터 프로그램 식별을 위한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고, 상기 튜너를 통해 수신된 비디오 데이터로부터 상기 저장된 식별정보가 추출되는지를 체크하여, 상기 식별정보가 추출되지 않으면 상기 튜너를 통해 수신된 비디오 신호를 주화면으로 출력되고, 상기 주화면을 수신하는 튜너를 제외한 튜너들이 다른 채널을 튜닝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튜너들을 통해 수신된 비디오 신호를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부화면으로 출력되도록 상기 비디오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다중화면 표시방법.
KR1020030001023A 2003-01-08 2003-01-08 영상표시기기의 다중화면 표시방법 및 장치 KR100941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1023A KR100941033B1 (ko) 2003-01-08 2003-01-08 영상표시기기의 다중화면 표시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1023A KR100941033B1 (ko) 2003-01-08 2003-01-08 영상표시기기의 다중화면 표시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3551A KR20040063551A (ko) 2004-07-14
KR100941033B1 true KR100941033B1 (ko) 2010-02-05

Family

ID=37354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1023A KR100941033B1 (ko) 2003-01-08 2003-01-08 영상표시기기의 다중화면 표시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10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411B1 (ko) * 2005-02-01 2007-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채널 정보 표시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7055B1 (ko) 1997-11-27 2000-05-15 전주범 단일 튜너를 갖춘 텔레비전의 광고방송 스킵재생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7055B1 (ko) 1997-11-27 2000-05-15 전주범 단일 튜너를 갖춘 텔레비전의 광고방송 스킵재생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3551A (ko) 2004-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27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hannel information and selecting channel on digital television
EP1909499A1 (en)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program display method
KR20000075686A (ko) 다중 소스 키패드 채널 입력 시스템 및 방법
KR101295301B1 (ko) 수신기 및 이 수신기에서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KR20100029537A (ko)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및 이 수신기에서 멀티 모드 서비스의 방송을 처리하는 방법
KR100941033B1 (ko) 영상표시기기의 다중화면 표시방법 및 장치
JP2007150580A (ja) マルチ画面表示装置
US2005014463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ogram
JPH1023344A (ja) 放送受信装置
US2003007466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nic program guide
JP4551604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及び選局方法
KR100429805B1 (ko)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KR100279119B1 (ko) 디지털텔레비젼수상기의채널선국방법및장치
US8274609B2 (en) Method of tuning according to varying length of key input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710265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방송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1167728B1 (ko) 영상표시기기의 정보 표시장치 및 방법
KR0158273B1 (ko) 티브이의 방송 스케쥴 탐색방법
KR100502242B1 (ko) 자동 채널 절환 방법 및 장치
EP1798971B1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70025590A (ko) 서브 채널 맵 생성을 이용한 채널 탐색 장치 및 방법
KR100449722B1 (ko) 방송 수신기의 방송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060106057A (ko) 영상표시기기 및 채널검색방법
KR100820715B1 (ko) 텔레비전의 채널 편집 방법
KR100684995B1 (ko) 영상처리장치
KR0146989B1 (ko) 텔레비젼에서의 채널 선국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