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0200B1 - 종순심기장치 - Google Patents

종순심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0200B1
KR100940200B1 KR1020080017703A KR20080017703A KR100940200B1 KR 100940200 B1 KR100940200 B1 KR 100940200B1 KR 1020080017703 A KR1020080017703 A KR 1020080017703A KR 20080017703 A KR20080017703 A KR 20080017703A KR 100940200 B1 KR100940200 B1 KR 100940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lamp
rotating
cam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7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2454A (ko
Inventor
라병렬
Original Assignee
라병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병렬 filed Critical 라병렬
Priority to KR1020080017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0200B1/ko
Publication of KR20090092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2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6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drills or furrows for sowing or 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4Transplanting machines for deeper setting or shifting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2Seeders with feeding whe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터 및 경운기, 관리기 등의 농기계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종순심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자면, 회전하는 회전판에 클램핑된 종순이 논, 밭 이랑의 두둑 지면을 파고들어가 그 줄기의 밑부분을 안전하게 심어주되, 그 작업이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종순심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종순심는장치에 따라 종순을 심는 작업이 반자동화되어 종순심기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판의 일 회전 만으로 4개의 종순을 연속해서 심을 수 있기에 그 작업의 효과가 크고, 심어지는 종순의 밑부분이 깊고 정확하여 자리 잡기가 용이하다.
회전판, 밀개작동수단, 밀개, 클램프작동수단, 클램프

Description

종순심기장치{The Device to plant crops}
본 발명은 트랙터 및 경운기, 관리기 등의 농기계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종순심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자면, 회전하는 회전판에 클램핑된 종순이 논이나 밭의 지면을 파고들어가 그 줄기의 밑부분이 안전하게 심어주되, 그 작업이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종순심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트랙터 및 경운기, 관리기 등의 농기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순을 신속히 심을 수 있는 트랙터 및 경운기, 관리기에 설치되는 종순심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구마 순 등과 같은 종순은 뻣뻣한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뻣뻣한 성질의 종순을 심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종순을 손가락으로 집은 상태로 두둑에 밑 부분을 심고 수작업으로 흙을 덮어서 심어주는 등 수작업으로 종순을 심게 된다.
이러한 종순을 심기 위해서는 먼저 농업용 트랙터를 구동시켜서 로타리로 땅 을 분쇄하고, 두덕 성형배토기로 분쇄된 흙을 두둑으로 성형시킨다. 이후에 작업자가 호미 등을 이용하여 두둑에 고랑을 내고, 그 고랑에 종순을 손으로 파지하여 종순의 밑부분을 심어서 흙을 종순의 위로 덮어서 땅을 다져주는 작업으로 종순을 심어야 했다. 이에 따라, 종순을 심는 작업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해야하므로 종순심기 작업이 매우 번거로웠으며, 종순을 심기 위해 많은 작업자를 필요로 하여 인력이 낭비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었다.
그리고 종순을 심는 시간이 오래 걸렸으며, 많은 인력이 오랜 시간 종순심기 작업을 하여도 종순을 심는 양은 매우 적었으며 작업 능률도 오르지 않았다. 따라서, 농사의 수익성이 보장될 수 없었고, 시간에 따른 부대비용, 인건비 등의 비용이 증가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번호 제2006-0027252호로 출원한 발명으로, 회전하는 종순심기 작동부(80)의 작용으로 종순(1)을 하나씩 물고 이랑의 두둑 상면에 미리 파 놓은 고랑 속으로 들어가 종순(1)을 심고 다시 나오는 종순심기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이 기계의 경우, 그 작업의 정확성이 떨어지고 대량 작업의 문제점이 있으며, 이 기계를 조립하기 위한 구성요소의 수가 너무 많아 제작하는 비용이 많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트랙터 및 경운기, 관리기 등의 농기계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종순심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회전하는 회전판에 클램핑된 종순이 논, 밭 이랑 두둑의 지면을 파고들어가 그 줄기의 밑부분을 정확하게 심어주고, 좋은 품질의 고구마를 생산하고, 그 작업이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종순심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종순을 심는 장치에 있어서, 지지판(11)에 삽입되는 회전축(10)과; 상기 회전축(10)에 고정되는 회전판(20)과; 상기 회전판(20)에 결합되어 종순(1)을 종순(1)을 잡아주는 클램핑수단(30)과; 상기 클램핑수단(30)에 끼워진 종순(1)을 밀어 지면에 심어주는 밀개수단(40)과; 상기 클램핑수단(30)을 작동시켜 종순(1)을 잡는 클램프작동수단(50)과; 상기 종순(1)을 지면에 심을시 종순(1)을 밀어주는 밀개작동수단(60)이; 결합하되, 상기 회전하는 회전판(20)의 외주면을 둘레로 다수의 클램핑수단(30)과 밀개수단(40)을 형성하여 1회전 시에 다수의 종순(1)을 심을 수 있도록 한 종순심기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클램핑수단(30)은, 밀개블럭(31)의 외측에 탄성스프링(32)이 끼워진 힌지(33)로 회전판(20)에 다수 개로 결합되며, 종순(1)의 줄기를 외부에 덮는 덮개판(34)과 힌지(33)가 삽입되는 힌지판(35)이 형성된 클램프(36)로 이루어지고; 상기 밀개수단(40)은, 상기 회전판(20)에 결합된 클램프(36)와 동일 힌지(33)로 별도의 탄성스프링(미도시)이 끼워진 상태로 결합하되, 상기 회전판(20)의 외주면에 끼워질 수 있도록 단면이 'ㄷ'자 형태로 측판(42)과 밀개판(43)으로 형성된 밀개(44)로 이루어지며; 상기 밀개(44)의 밀개판(43)에는, 그 양쪽 단부에 요철부(45)를 형성하여 종순(1)이 밀개판(43)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지면을 파고 들어가기 용이하게 형성된 종순심기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종순(1)을 잡는 클램프작동수단(50)은, 회전판(20)의 일측면에서 지지판(11)에 결합되고, 90도 각도를 두고 돌출된 캠부(51)를 형성한 고정판(52)과; 상기 고정판(52)의 캠부(51)에 대응되게 상기 클램프(36)의 힌지판(35)의 일측에서 외부로 돌출시킨 캠바(54);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판(20)이 돌며 고정된 고정판(52)의 캠부(51)가 클램프(36)의 캠바(54)에 걸려 클램프(36)를 개방시키고; 상기 종순(1)을 밀어주는 밀개작동수단(60)은, 상기 회전판(20)에서 상기 고정판(52) 타측에서 지지판(11)에 결합되고, 지면방향을 향해 돌출된 캠(61)을 형성한 고정2판(62)과; 상기 고정2판(62)의 캠(61)에 대응되게 상기 밀개(44)의 일측 측판(42)에서 돌출된 제2캠바(64)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판(20)이 돌며 고정된 고정2판(62)의 캠(61)이 상기 밀개(44)의 제2캠바(64)를 밀며 밀개판(43)의 외주면에 위치한 종순(1)을 지면으로 밀어 삽입시키며; 상기 종순(1)을 잡는 클램프작동수단(50)은, 회전판(20)의 일측면에서 지지판(11)에 결합되고, 90도 각도를 두고 돌 출된 캠부(51)를 형성한 고정판(52)과; 상기 고정판(52)의 캠부(51)에 대응되게 링크(57) 결합시키되, 일측에 회전하는 힌지축(92)을 형성하고 그 끝단은 상기 클램프(36)의 힌지판(35)에 힌지(91) 결합시킨 링크(57);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판(20)이 돌며 고정된 고정판(52)의 캠부(51)가 링크(57)의 끝단에 걸려 링크(57) 연결된 클램프(36)를 개방시키는 종순심기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종순(1)을 밀어주는 밀개작동수단(60)은, 상기 회전판(20)에서 상기 고정판(52) 타측면에서 지지판(11)에 결합되고, 지면방향을 향해 돌출된 캠(61)을 형성한 고정2판(62)과; 상기 고정2판(62)의 캠(61)에 대응되게 링크(미도시) 결합시키되, 일측에 회전하는 힌지축(미도시)을 형성하고 그 끝단은 상기 밀개(44)의 측판(42)과 힌지(미도시) 결합시킨 링크(미도시);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판(20)이 돌며 고정된 고정2판(62)의 캠(61)이 상기 링크의 첫단을 밀며 밀개판(43)의 외주면에 위치한 종순(1)을 지면으로 밀어 삽입시키는 종순심기장치이다.
본 발명의 종순심는장치에 따라 종순을 심는 작업이 반자동화되어 종순심기를 실시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판의 일회전 만으로 4개의 종순을 연속해서 심을 수 있기에 그 작업의 효과가 크고, 심어지는 종순의 밑부분이 깊고 정확하게 지반에 안착되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판 후미에서 띄어 심기의 간격 조절이 쉽고, 작업속도 조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종순(고구마 종순, 묘목)을 심어주는 장치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과 그 작동을 도시된 도 4 내지 도 10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종순을 심는 장치에 있어서, 지지판(11)에 삽입되는 회전축(10)이 있고, 상기 회전축(10)에 고정되는 회전판(20)이 있으며, 상기 회전판(20)에 결합되어 종순(1)을 잡아주는 클램핑수단(30)이 있다. 또한 상기 클램핑수단(30)에 끼워진 종순(1)을 밀어 지면에 심어주는 밀개수단(40)이 있고, 상기 클램핑수단(30)을 작동시켜 종순(1)을 잡는 클램프작동수단(50)이 있으며, 상기 종순(1)을 지면에 심을시 종순(1)을 밀어주는 밀개작동수단(60)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상기 회전하는 회전판(20)의 외주면을 둘레로 다수의 클램핑수단(30)과 밀개수단(40)을 형성하여 1회전 시에 다수의 종순(1)을 심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작동의 형태를 크게 살펴보면, 일차적으로 도시된 도 4에서 보이는, 롤판(A)이 지나가면서 두둑을 다져주고, 그 배후로 따르는 고랑성형배토기(B)가 회전하면서 지반을 가르며, 고랑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일단 고랑이 형성되고 나면, 그 후방에 본 발명의 종순심는장치가 뒤따르면서 종순(1)을 일렬로 심어주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종순심는장치의 작동의 형태는, 지지판(11)에 회전축(10)으로 결합된 회전판(20)이 회전을 하면서 종순(1)을 심어주는 것인데, 상기 지지판(11)에는 도시된 회전축(10)이 회전되도록 결합하되, 그 회전축(10)에는 도시된 회전판(20)이 견고히 체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10)의 일측에는 모터의 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모터가 회전을 하면, 그 회전력을 통해 회전축(10)이 회전을 한다. 그리고 그 회전축(10)에는 회전판(20)이 체결된 상태이기에 동일 횟수의 회전을 시작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회전판(20)의 회전은 도시된 상기 고랑에 일정한 깊이 잠긴 상태로 회전을 시작하는데, 상기 회전판(2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클램핑수단(30)이 갖추어져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클램핑수단(30)에 종순(1)을 하나씩 넣어주게 되면, 회전하여 지면에서 가장 밀착된 위치의 클랭핑수단(30)이 그 클램핑작동수단(50)에 의해 종순(1)을 놔주게 되고, 그 작용에 따라 상기 종순(1)은 고랑의 내부에 심어지는 것이다. 물론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종순(1)이 정확하게 고랑의 내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밀개작동수단(60)이 상기 밀개(44)를 밀어주어 그 안착의 정확도와 신속도를 향상시킨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20)은 계속적인 회전을 진행하면서, 상기 종순(1)을 클램핑하고 심어주는 작동을 반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도시된 도면에는 이러한 클램핑수단(30)이 회전판(20)의 외주면에 4개가 부착된 형태만을 도시하고 있기에 상기 본 발명의 종순심기장치에는 회전판(20) 1회전에 4개의 종순(1)을 심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사실상 본 발명은 이러한 것을 한정하지 않는다. 만일 회전판(20)의 외주면에 5개 내지는 8개의 클램핑수단(30)을 결합시킨 실시예를 활 용한다면, 종순(1)의 심는 작업은 그에 따라 배가 될 것이다.
그럼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고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앞에서 설명된 것처럼, 본 발명의 상기 클램핑수단(30)은, 밀개블럭(31)의 외측에 탄성스프링(32)이 끼워진 힌지(33)로 회전판(20)에 다수 개로 결합되며, 종순(1)의 줄기를 밀개판(43)외부에 덮는 덮개판(34)과 힌지(33)가 삽입되는 힌지판(35)이 형성된 클램프(36)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클램핑수단(30)은 회전판(20)에 다수 개로 결합하되, 도시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별도의 클램프(36)를 가지고 있다. 이 클램프(36)는 도시된 탄성스프링(32)에 의해 항상 상기 클램프(36)의 덮개판(34)이 회전판(2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힘을 부여받고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클램프(36)의 덮개판(34) 내측으로 상기 종순(1)을 삽입하게 되면 의도적으로 밀어 젖히지 않는다면 쉽게 빠지지 않게 눌리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상기 클램프(36)는 상기 밀개블럭(31) 즉, 밀개(44)의 몸체가 되는 밀개블럭(44)의 힌지(33)와 동일한 힌지(33)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밀개블럭(44)의 내부에도 별도의 탄성스프링(미도시)을 비치하고 있어서 그 탄성력이 작용되는 것은 별개로 본다. 즉, 상기 클램프(36)는 가압력에 의해 밀어 젖혀지게 되면, 그 탄성스프링(32)의 탄성력을 이기고 개방되는 상태를 유지하지만, 밀개(44)의 개방과는 무관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도시된 도면에서는 미도시된 상태이지만, 밀개(44)의 내부에도 별도의 탄성스프링(미도시)이 내재된 상태이기에 밀개(44)를 가압하는 힘이 작용을 하면 미도시된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젖혀지는 결 과를 가져올 것이다. 물론 상기 클램프(36)가 밀개(44)의 외주면에 동일한 힌지(33)를 통해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에 밀개(44)가 열리게 되면 클램프(36)도 그에 따라 동일한 동작을 취하기는 하지만, 그 개방의 형태는 서로 별개라는 것이 본 발명에서는 주요한 작동의 모습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밀개수단(4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회전판(20)에 결합된 클램프(36)와 동일 힌지(33)로 별도의 탄성스프링(미도시)이 끼워진 상태로 결합하되, 상기 회전판(20)의 외주면에 끼워질 수 있도록 단면이 'ㄷ'자 형태로 밀개블럭(31)이 측판(42)과 밀개판(43)으로 형성된 밀개(44)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밀개수단(40)으로 사용되는 실시예로 도 5에 상세히 도시하고 있는데, 이 밀개(44)의 경우 그 단면이 "ㄷ"자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측판(42)과 밀개판(43)으로 이루어지되, 일측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는 것이다. 이 개방된 개구부가 상기 회전판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포개어진 상태로 도시된 힌지로 상기 회전판(20)과 결합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힌지(33)는 밀개(44)의 일측단에 구비되기에 이 힌지(33)가 결합되지 않은 밀개(44)의 타측 방향은 어느 정도의 힘이 작용하게 되면, 힌지(33)를 축으로 개방되는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게 형성한 것이다. 물론 이러한 힘이 작용되지 않는다면, 앞에서 이미 설명된 것처럼, 탄성스프링(미도시)의 탄성력이 포개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부여하고 있기에 항상 회전판(2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밀개(44)의 밀개판(43)에는, 그 양쪽 단부에 요철부(45)를 형성하여 종순(1)이 밀개판(43)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지면을 파고 들어가기 용이하게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그렇다면 본 발명에서 이러한 상기 밀개(44)와 클램프(36)를 작동시키는 작동수단의 구성을 살펴본다.
[ 제1실시예의 클램프 작동수단]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상기 종순(1)을 잡는 클램프작동수단(50)은, 회전판(20)의 일측면에서 지지판(11)에 결합되고, 90도 각도를 두고 돌출된 캠부(51)를 형성한 고정판(52)이 있고, 상기 고정판(52)의 캠부(51)에 대응되게 상기 클램프(36)의 힌지판(35)의 일측에서 외부로 돌출시킨 캠바(54)가 있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상기 회전판(20)이 돌며 고정된 고정판(52)의 캠부(51)가 클램프(36)의 캠바(54)에 걸려 클램프(36)를 개방시키는 것이다.
[ 제2실시예의 밀개작동수단 ]
또한 상기 종순(1)을 밀어주는 밀개작동수단(60)은, 상기 회전판(20)에서 상기 고정판(52) 타측에서 지지판(11)에 결합되고, 지면방향을 향해 돌출된 캠(61)을 형성한 고정2판(62)이 있고, 상기 고정2판(62)의 캠(61)에 대응되게 상기 밀개(44)의 일측 측판(42)에서 돌출된 제2캠바(64)이 있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상기 회전판(20)이 돌며 고정된 고정2판(62)의 캠(61)이 상기 밀개(44)의 제2캠바(64)를 밀며 밀개판(43)의 외주면에 위치한 종순(1)을 지면으로 밀어 삽입시키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회전판(20)이 회전을 하면서, 상기 클램프작동수단(50)에 의해 클램프(36)가 개방되고 폐쇄되면서 종순(1)을 심어주고, 밀개작동수단(60)이 밀개(44)를 작동시켜 종순(1)이 보다 용이하게 고랑의 내부에 안정된 자세로 안착될 수 있도록 밀어주는 작용을 동시에 실시하는 것이다. 그럼 본 발명의 작동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도시된 도 9에서처럼, 본 발명의 회전판(20)은 이미 파진 고랑의 내부 일정한 깊이로 삽입된 상태로 회전을 시작한다. 그리고 이때 상기 회전판(20)의 후방 즉, 도 9의 종순(1)을 회전판(20)의 3시 방향에 위치한 클램프(36)에 작업자나 별도의 자동 공급장치를 통해 하나씩 끼워주게 된다. 이때 상기 클램프(36)는 3시 방향에 오게 되면 자동적으로 그 덮개판(34)을 개방하여 작업자가 종순(1)을 클램프(36)에 끼우고 용이한 상태로 작동을 한다. 바로 이러한 동작을 작동시키는 것이 클램프작동수단(50)이다. 이 클램프작동수단(50)이란 도시된 고정판(52)과 캠바(54)로 이루어진다. 고정판(52)은 회전축(10)을 지지하는 지지판(11)에 일체로 결합된 상태이다. 따라서 회전축(10)의 회전 운동에는 무관한 작동을 한다. 즉, 지지판(11)에 견고히 결합된 상태로 별도의 베어링(C)과 같은 수단에 의해 회전축(10)에 삽입된 상태이기에 회전축(10)의 회전과는 무관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고정판(52)의 형태는 도시된 것처럼, 그 외주면의 끝단에서 2개의 돌출된 캠부(51)를 가지고 있는데, 고정판(52)을 기준으로 약 3시 방향과 6시 방향에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클램프(36)는 그 힌지판(35)에 힌지(33)를 이용하여 밀개(44)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상기 힌지판(35)의 일 측에서 돌출된 캠바(54)가 형성되어 있다. 즉, 고정판(52)의 캠부(51)와 클램프(36)의 힌지판(35) 캠바(54)는 서로 대응되는 구조라는 것이다.
상기 회전판(20)의 외주면에 4개의 클램프(36)가 힌지(33) 결합되어 있고, 상기 회전판(20)은 회전을 한다. 그런데 상기 회전판(20)의 일측면에 끼워져 그 회전이 고정된 고정판(52)의 외주면에는 2개의 캠부(51)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그 돌출된 위치는 약 3시와 6시 방향이다. 따라서 회전하는 회전판(20)과 같이 회전하던 클램프(36)는 3시 방향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36)의 힌지판(35)에서 돌출된 캠바(54)의 끝단이 고정판(52)의 캠부(51)와 부딪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클램프(36)의 힌지(33)에는 도 5에 도시된 탄성스프링(32)이 있기에 그 탄성력을 이기고 클램프(36)를 개방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클램프(36)의 덮개판(34)이 개방되어 회전판(20)의 외측으로 벌어지는 상태, 즉, 밀개(44)의 외측으로 보다 큰 거리만큼 벗어나는 방향으로 회전을 한다. 바로 이때 작업자는 벌어진 클램프(36)의 덮개판(34) 내부로 상기 종순(1)을 끼워 넣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작업이 이루어지면서 본 발명의 회전판(20)은 연속적인 회전운동을 계속하고 있기에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하향하게 된다. 종순(1)을 클램프(36)의 덮개판(34) 내부에 삽입하고 더 회전을 하면, 상기 클램프(36)의 캠바(54)가 고정판(52)의 캠부(51)를 벗어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클램프(36)의 캠바(54)를 가압하는 힘이 사라지기에 상기 클램프(36)의 힌지(33)에 결합된 탄성스프링(32)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상기 클램프(36)를 회전판(20)의 외주면에 밀착시키 게 된다. 클램프(36)의 덮개판(34)이 상기 끼워진 종순(1)을 덮어 쉽게 빠지지 않도록 작용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계속된 회전을 하면서 상기 회전판(20)의 클램프(36)가 도 6과 9의 6시 방향에 위치하게 되면, 다시 고정판(52)의 또 다른 캠부(51)와 클램프(36) 힌지판(35)의 캠바(54)와 마주하게 되어 전술된 작동과 동일하게 그 덮개판(34)을 개방하는 것이다. 사실상 6시 방향에 위치한 클램프(36)는 고랑의 내부 깊숙히 위치한 상태이기에 흙 속에서 개방을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클램프(36)의 덮개판(34) 내측에는 3시 방향의 위치에서 끼워진 종순(1)이 삽입된 상태이기에 개방된 덮개판(34)의 외부로 종순(1)을 떨어트리게 된다. 즉, 지면에 종순(1)을 심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작업이 더욱 확실히 유지되기 위해서, 상기 밀개작동수단(60)을 통해 밀개(44)로 상기 종순(1)을 밀어주는 역할도 부가하여 이루어지는데, 그 작동의 모습을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의 도 7에서처럼, 상기 회전판(20)의 타측, 고정판(52)이 부착된 면의 타측에는 또 다른 고정2판(62)이 지지판(11)에 결합된 상태이기에 회전축(20)의 회전과는 무관하다. 그리고 그 고정2판(62)의 외주면에서 일측으로 돌출된 캠(6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캠(61)의 경우 도시된 것처럼 약 6시 방향을 다소 지나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이 캠(61)과 대응되는 구성으로 밀개(44)의 밀개블럭(31) 중 측판(42)의 일측으로 돌출된 제2캠바(64)가 있다. 따라서 상기 이 밀개(44)가 6시 방향으로 회전하여 위치했을 때, 상기 제2캠바(64)가 상기 고정2판(62)의 캠(61)에 마주치고, 그 내부에 삽입된 탄 성스프링(미도시)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벌어지는 것이다. 즉, 밀개(44)가 힌지(33)로 고정된 회전판(20)의 외주면에서 일측이 떨어져 벌어지면서 그 밀개판(43)에 밀착된 종순(1)도 밀어주어 안전하게 고랑에 종순(1)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작용에 따라 본 발명의 종순(1)은 안전하게 고랑에 안착하여 종순의 밑부분을 안착하게 된다. 그럼 전체적인 작동의 형태를 살펴본다.
4개의 밀개(44)와 클램프(36)가 외주면에 고정된 회전판(20)이 회전을 하면서, 3시 방향에 위치할 때마다, 작업자는 종순(1)을 상기 클램프(36)의 덮개판(34) 내부에 끼워주게 되는데, 이때 상기 클램프(36)의 덮개판(34)은 클램프작동수단(50)인 캠부(51)와 캠바(54)의 작동에 의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기에 작업자가 용이하게 종순(1)을 끼울 수 있도록 돕는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20)이 회전을 하여 밀개(44)와 클램프(36)가 6시 방향에 위치했을 때, 회전판(20)의 일측면에 끼워지되, 지지판(11)에 결합된 고정판(52)의 또 다른 캠부(51)와 클램프(36)의 캠바(54)가 마주치게 되고 그 작동에 따라 클램프(36)의 덮개판(34)은 개방을 하는 것이다. 바로 이때 상기 회전판(20)의 타측면에는 또 다른 고정2판(62)이 지지판(11)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그 고정2판(62)의 6시 방향으로 돌출된 캠(61)이 밀개(44)의 측판(42) 일측으로 돌출된 제2캠바(64)와 마주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밀개(44)도 그 힌지(33)를 축으로 일측으로 연동을 하면서 회전판(20)의 외부로 거리를 벌려 밀려나게 되는 것이다. 바로 이때 상기 클램프(36)는 캠부(51)와 캠바(54)의 작동으로 이미 벌어진 상태이고, 클램프(36)의 덮개판(34)과 밀개(44)의 밀개판(43) 사이에 위치한 종순(1)의 밑부분은 밀개판(43)의 외부로 벗어나게 되면서 밀개(44)의 밀어주는 작용에 의해 더욱 깊숙히 고랑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모형도 유지되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이러한 동작은 아주 연속적이며, 유기적인 작업을 하기에 작업자는 도시되지 않은 의자에 앉아, 단지 종순(1)을 끼워주는 작업만으로 종순(1)을 이랑 두둑 지면에 심어주게 되는 것이다. 이때 이 종순(1)은 그 밑부분이 깊게 고랑에 박히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때 이미 설명된 본 발명의 밀개판(43) 요철부(45)는 회전하면서 종순(1)이고랑 속으로 보다 확실히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안전하게 빠져나오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도 10에 전술된 클램프작동수단(50)과 밀개작동수단(6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제2실시예는 전술된 수단과 모두 그 작동의 방식도 동일하고 기술적인 목적과 효과도 동일하다. 단지 상기 캠바(54)와 제2캠바(64)의 구성을 없애고 링크구조로 상기 클램프(36)의 힌지판(35)에 연결시킨 방식을 취하고, 밀개블럭(31)의 측판(42)에 링크구조로 힌지 연결시키는 방식을 취하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 따라서 그 구성과 그 작동의 방식을 간략하게 서술한다.
[ 제1실시예의 또 다른 클램프작동수단]
본 발명에서 상기 종순(1)을 잡는 클램프작동수단(50)은, 회전판(20)의 일측면에서 지지판(11)에 결합되고, 90도 각도를 두고 돌출된 캠부(51)를 형성한 고정판(52)이 있고, 상기 고정판(52)의 캠부(51)에 대응되게 링크(57) 결합시키되, 일측에 회전하는 힌지축(92)을 형성하고 그 끝단은 상기 클램프(36)의 힌지판(35)에 힌지(91) 결합시킨 링크(57)가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20)이 돌며 고정된 고정판(52)의 캠부(51)가 링크(57)의 끝단에 걸려 링크(57) 연결된 클램프(36)를 개방시키는 것이다. 즉, 클램프(36)를 작동시킴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20)이 회전을 하며, 고정판(52)의 캠부(51)가 위치한 곳인 약 3시 방향과 6시 방향에 형성된 클램프(36)가 위치하게 되면 링크(57)의 첫 단(터치부)이 걸려 그 힌지축(9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링크(57) 결합된 타측의 링크(57) 힌지(91)는 상기 클램프(36)를 밀어 그 덮개판(34)을 개방하는 것이다. 물론 이때 3시 방향의 클램프(36)로는 작업자가 종순(1)을 삽입시키면 되고, 6시 방향의 클램프(36)는 그 덮개판(34)을 개방하여 종순(1)을 고랑으로 떨어트리는 작업을 수행할 것이다.
[ 제2실시예의 또 다른 밀개작동수단 ]
다음으로 본 발명은 상기 종순(1)을 밀어주는 밀개작동수단(60)은, 상기 회전판(20)에서 상기 고정판(52) 타측면에서 지지판(11)에 결합되고, 지면방향을 향해 돌출된 캠(61)을 형성한 고정2판(62)이 있고, 상기 고정2판(62)의 캠(61)에 대응되게 링크(미도시) 결합시키되, 일측에 회전하는 힌지축(미도시)을 형성하고 그 끝단은 상기 밀개(44)의 측판(42)에 미도시된 힌지 결합시킨 링크(미도시)가 있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상기 회전판(20)이 돌며 고정된 고정2판(62)의 캠(61)이 상기 링크의 첫단(터치부)을 밀며 밀개판(43)의 외주면에 위치한 종순(1)을 지면으로 밀어 삽입시키는 것이다. 즉, 이 밀개작동의 수단도 전술된 제1실시예 밀개작동수단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기술적 목적과 효과를 낳는 구조로서 단지 링크구조로 밀개(44)를 밀어 젖히는 것만 다르다.
이는 이미 설명된 제2실시예의 클램프작동수단(50)의 링크구조와 완전히 동일하게 설치하되, 단지 클램프(36)의 힌지판(35)이 아닌 밀개블럭(31)의 측판(42)에 링크가 연결된다는 점에서만 다르기에 별도의 도면을 첨부하지 않았으며, 그 도면의 부호를 생략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밀개작동수단(60)은 상기 고정2판(62)의 캠에 상기 밀개(44)가 회전하여 회전판(20)을 기준으로 6시 방향에 위치할 즈음에서 상기 링크의 첫 단(터치부)이 캠과 마주치면서 링크 구조의 작용으로 밀개(44)를 밀어 준다는 점이 특징이다.
도 1은 종래의 종순심기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종순심기장치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3은 종래 종순심기장치의 작업과정을 도시한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의 트렉터 등에 장착되는 종순심기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종순심기장치를 모두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종순심기장치에서 클램프작동수단의 작동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종순심기장치에서 밀개작동수단의 작동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종순심기장치를 정면에서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종순심기장치가 작업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종순심기장치의 제2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종순 10; 회전축
11; 지지판 20; 회전판
30; 클램핑수단 31; 밀개블럭
32; 탄성스프링 33; 힌지
34; 덮개판 35; 힌지판
36; 클램프 40; 밀개수단
42; 측판 43; 밀개판
44; 밀개 45; 요철부
50; 클램프작동수단 51; 캠부
52; 고정판 54; 캠바
60; 밀개작동수단 61; 캠
62; 고정2판 64; 제2캠바

Claims (8)

  1. 종순을 심는 장치에 있어서,
    지지판(11)에 삽입되는 회전축(10)과;
    상기 회전축(10)에 고정되는 회전판(20)과;
    상기 회전판(20)에 결합되어 종순(1)을 종순(1)을 잡아주는 클램핑수단(30)과;
    상기 클램핑수단(30)에 끼워진 종순(1)을 밀어 지면에 심어주는 밀개수단(40)과;
    상기 클램핑수단(30)을 작동시켜 종순(1)을 잡는 클램프작동수단(50)과;
    상기 종순(1)을 지면에 심을시 종순(1)을 밀어주는 밀개작동수단(60)이; 결합하되, 상기 회전하는 회전판(20)의 외주면을 둘레로 클램핑수단(30)과; 밀개수단(40)을 형성하여 1회전 시에 종순(1)을 심을 수 있는 종순심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밀개수단(40)은,
    상기 회전판(20)에 결합된 클램프(36)와 동일 힌지(33)로 끼워진 상태로 결합하되, 상기 회전판(20)의 외주면에 끼워질 수 있도록 단면이 'ㄷ'자 형태로 밀개블럭(31)이 측판(42)과 밀개판(43)으로 형성된 밀개(44)로 이루어지고,
    상기 종순(1)을 밀어주는 밀개작동수단(60)은,
    상기 회전판(20)에서 상기 고정판(52) 타측에서 지지판(11)에 결합되고, 지면방향을 향해 돌출된 캠(61)을 형성한 고정2판(62)과;
    상기 고정2판(62)의 캠(61)에 대응되게 상기 밀개(44)의 일측 측판(42)에서 돌출된 제2캠바(64)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판(20)이 돌며 고정된 고정2판(62)의 캠(61)이 상기 밀개(44)의 제2캠바(64)를 밀며 밀개판(43)의 외주면에 위치한 종순(1)을 지면으로 밀어 삽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순심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80017703A 2008-02-27 2008-02-27 종순심기장치 KR100940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703A KR100940200B1 (ko) 2008-02-27 2008-02-27 종순심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703A KR100940200B1 (ko) 2008-02-27 2008-02-27 종순심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454A KR20090092454A (ko) 2009-09-01
KR100940200B1 true KR100940200B1 (ko) 2010-02-10

Family

ID=41301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7703A KR100940200B1 (ko) 2008-02-27 2008-02-27 종순심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02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767B1 (ko) * 2010-04-02 2012-11-14 라병열 고구마묘순심기장치
KR101267791B1 (ko) 2010-12-31 2013-05-31 라병열 고구마 종순 파지장치
KR101389565B1 (ko) 2012-04-10 2014-04-28 라병열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449B1 (ko) * 2006-03-27 2007-10-04 라병렬 트랙터 설치용 종순심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449B1 (ko) * 2006-03-27 2007-10-04 라병렬 트랙터 설치용 종순심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767B1 (ko) * 2010-04-02 2012-11-14 라병열 고구마묘순심기장치
KR101267791B1 (ko) 2010-12-31 2013-05-31 라병열 고구마 종순 파지장치
KR101389565B1 (ko) 2012-04-10 2014-04-28 라병열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454A (ko) 2009-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0004B2 (ja) 対地作業装置
PL113942B1 (en) Soil tilling implement
JP2009011162A (ja) 畝立施肥装置
KR101082462B1 (ko) 마늘 파종기 및 이를 이용한 파종방법
FR2698518A1 (fr) Semoir direct pour un procédé d&#39;ensemencement direct.
KR100940200B1 (ko) 종순심기장치
KR101651388B1 (ko) 역회전 로터리를 이용한 복토 멀칭장치
CN107466201B (zh) 插秧机
CN112616342B (zh) 一种行间除草条播机
KR101053758B1 (ko) 보습부가 구비된 해로우 배토기
KR101258332B1 (ko) 예초부가 형성된 경운날을 가진 배토기
KR102266126B1 (ko) 이식기
CN2260441Y (zh) 旱田播种机
JPH0122421Y2 (ko)
CA1128558A (fr) Dispositif a creuser des rigoles comportant un disque et un deflecteur
FR2674095A1 (fr) Machine a repiquer les plants, notamment sur film plastique.
JP4553858B2 (ja) 部分耕耘直播装置
KR100707735B1 (ko) 묘목굴취기
KR101688091B1 (ko) 로타리형 일괄 배토기
US1042674A (en) Tooth for cultivators, harrows, and the like.
KR20200046312A (ko) 파종 장치
JP2872489B2 (ja) 播種装置
JP3210460U (ja) 歩行型管理機
CN220674362U (zh) 一种鲜食蚕豆种植用穴播器
JPH043373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