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9051B1 - Electronic lecture table - Google Patents

Electronic lecture t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9051B1
KR100939051B1 KR1020090025249A KR20090025249A KR100939051B1 KR 100939051 B1 KR100939051 B1 KR 100939051B1 KR 1020090025249 A KR1020090025249 A KR 1020090025249A KR 20090025249 A KR20090025249 A KR 20090025249A KR 100939051 B1 KR100939051 B1 KR 100939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upper plate
cover
electronic lectur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52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비젼프로젝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비젼프로젝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비젼프로젝트
Priority to KR1020090025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905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9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90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9/0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 A47B19/02Church pulpits ; Stands for lectur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9/0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 A47B19/06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with adjustable top lea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2097/005Monitor mounted supports or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07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under-desk displays, e.g. displays being viewable through a transparent working surface of the table or desk
    • A47B21/007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under-desk displays, e.g. displays being viewable through a transparent working surface of the table or desk liftable above the desk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66Workstations
    • A47B2200/0078Control conso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Tables or desks having means for applying 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6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toothed rack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PURPOSE: An electronic lecture table is provided, which can maximize convenience of a user and intensify robbery prevention function. CONSTITUTION: An electronic lecture table comprises a box type table body; an upper plate(34) connected to the table upper body surface; an upper plate cover(50)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plate cover groove to be slid; a screw thread(303) which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cover; a motor cogwheel groove formed in the upper plate depression; a motor cogwheel(305)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late depression; an upper plate motor connected to the motor cogwheel; an electric cylinder elevating a monitor; an upper plate cover position detecting sensor(54) sensing the location of the upper plate cover; and a controller.

Description

전자 강의용 탁자{Electronic lecture table}Electronic lecture table {Electronic lecture table}

본 발명은 교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 강의용 탁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aching tab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nic lecture table.

현재와 같은 인터넷 환경 속에는 강의방식도 달리하고 있는 것으로서, 인터넷 접속화면을 프로젝터에 의해 대형화면으로 보여주면서 강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에 있고, 또한 강사가 전자펜으로 대형화면에 판서를 하게 되면 그 판서된 내용이 그대로 수강자의 컴퓨터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한 장치들이 출시되었다.In the current Internet environment, the teaching methods are also different, and the lectures are being held while showing the Internet connection screen on the large screen by the projector. Also, when the instructor writes on the large screen with the electronic pen, the writing is written. Devices were released so that the content was printed on the computer screen of the student.

또한, 회의실이나 강의실 등에서 비디오, DVD 등의 각종 멀티미디어 장치가 탁자에 내장되는 전자강의용 탁자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 강의용 탁자는 사용하는 도중 여러 불편한 점들이 발견되었다. 또한 전자 강의용 탁자에 내장되는 고가의 각종 멀티미디어 장치의 도난과 파손의 위험이 높다. In addition, an electronic lecture table has been developed in which various multimedia devices such as video and DVD are embedded in a table in a conference room or a lecture room. However, several inconveniences have been found in the conventional electronic lecture table during use. In addition, there is a high risk of theft and damage of various expensive multimedia devices embedded in the electronic lecture tabl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키는 동시에 도난 방지 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전자 강의용 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and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lecture table capable of maximizing user convenience and enhancing an anti-theft func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강의용 탁자는, 함체의 탁자몸체; 상기 탁자 몸체 상면에 결합되며, 상면의 중심부로부터 일 측면까지 형성된 상판함몰부, 상기 함몰부의 상하 내측에 형성된 상판커버홈, 및 상기 상면의 중심부의 상기 함몰부에 형성된 모니터를 수용하는 모니터 안착홈을 포함하는 상판; 상기 상판 커버홈에 슬라이딩되게 결합되어지며 상기 모니터 안착홈을 개폐하는 상판 커버; 상기 상판 커버의 하부면에서 상기 상판커버홈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 상판 커버 기어 나사산들; 상기 상판 함몰부에서 상기 상판 커버 기어 나사산과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된 모터톱니바퀴 홈(groove); 상기 상판 함몰부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모터톱니바퀴 홈을 통해 상기 상판 커버 기어 나사산와 맞물리는 나사산을 가지는 모터톱니바퀴;상기 모터톱니바퀴에 연결된 상판모터; 상기 모니터 안착홈에 안착되며, 상기 상판의 상기 모니터 안착홈의 내측면의 소정부분에서 회동 기준점을 부여하는 힌지에 의해 결합된 모니터; 상기 모니터의 하면 상단에 고정되는 브라켓에 회동핀으로 결합되어져 있으며, 상기 모니터를 승하강시키는 전동실린더; 상기 상판의 소정부에 위치하며 상기 상판커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상판커버 위치감지센서; 및 상기 상판 커버의 개방 여부를 판단하고, 상판 커버 개방시 상기 모니터를 기설정각도만큼 상방으로 자동 상승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Electronic lectur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table body of the housing; A monitor seating groove coupled to the table body upper surface and accommodating a top plate recess formed from a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to a side surface, an upper plate cover groove formed on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recessed portion, and a monitor formed on the recessed portion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Including a top plate; An upper plate cover coupled to the upper plate cover groove to open and close the monitor seating groove; Upper cover gear threads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upper cover cover groove on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A motor gear groove formed at a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top cover gear screw thread at the top recess; A top gear motor positioned below the top recess and having a screw thread engaged with the top cover gear screw thread through the motor gear groove; a top motor connected to the motor gear wheel; A monitor seated in the monitor seating groove, the monitor being coupled by a hinge that provides a pivot reference point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an inner surface of the monitor seating groove of the upper plate; An electric cylinder coupled to a bracket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onitor and lifting and lowering the monitor; A top cover position detection sensor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top plate and sensing a position of the top cover;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top cover is opened an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automatically raising the monitor up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top cover is opened.

상기 전자 강의용 탁자는, 상기 모니터 안착홈의 내측면의 소정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모니터의 위치를 감지하는 모니터 위치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 위치 감지 센서는 마이크로 스위치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모니터가 상기 모니터 안착홈에 안착하면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를 온(ON) 시킨다. The electronic lecture table may further include a monitor position detecting sensor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region of an inner surface of the monitor seating groove and detecting a position of the monitor. The monitor position sensing sensor may be a micro switch, in which case the monitor is turned on the monitor seating groove to turn on the micro switch.

상기 전자 강의용 탁자는, 상기 상판 커버 위치감지 센서와 대응하는 상기 상판 커버의 하면 소정부에 위치하는 금속판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상판 커버 위치감지 센서는 상기 금속판에 의해 전압값이 변동되는 센서일 수 있다. The electronic lecture table may further include a metal plate positioned on a lower surface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upper plate cover corresponding to the upper plate cover position sensor, and in this case, the upper plate cover position sensor may have a voltage value by the metal plate. The sensor may be variable.

상기 상판은 소정부에 사용자의 키에 맞추어 상기 모니터를 추가 상승시키기 위한 상승조작버튼, 상기 모니터를 하강시키는 하강조작버튼, 상기 모니터의 움직임을 정지시키는 정지버튼, 상기 전동실린더, 및 상기 상판 모터로의 전원 투입을 스위칭하기 위한 전원버튼이 구비된 키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plate includes a rising operation button for further raising the monitor in accordance with a user's key, a lowering operation button for lowering the monitor, a stop button for stopping the movement of the monitor, the electric cylinder, and the upper plate motor. It may further include a key panel having a power button for switching the power supply of the.

상기 전자 강의용 탁자는, 상기 탁자 몸체 내부에서 양측에 위치하며 전자장비를 수납 및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두개의 고정프레임들; 및 상기 고정프레임들 사이에서, 상기 고정프레임에 결합나사에 의해 고정되며, 전원 투입을 스위칭 제어하기 위한 조작신호를 발생시키는 메인 전원스위치를 포함하는 메인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자 강의용 탁자는, 상기 모니터 안착홈의 상면 소정부에 위치하며, 상기 메인 전원스위치의 턴 오프(Turn off)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상기 상판 커버의 도어락을 시정(施錠)시키는 상시(常時) 폐쇄형 락킹 솔레노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lecture table may include at least two fixing frames positioned at both sides of the table body to accommodate and fix the electronic equipment; And a main driving part fixed between the fixed frames by a coupling screw to the fixed frame and including a main power switch for generating an operation signal for switching power control. In this case, the electronic lecture table is locat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onitor seating groove, and detects the turn-off of the main power switch and always corrects the door lock of the top plate cover.常 時) may further include a closed locking solenoid.

상기 전자 강의용 탁자는, 상기 메인 전원스위치의 턴온(Turn on) 여부 및 상기 상판 커버의 개방 여부에 따라 상기 전동실린더를 작동시키며, 상기 상판 커버의 닫힘여부 및 상기 메인 전원스위치의 턴 오프(Turn off) 여부에 따라 상기 전동실린더의 작동과 상기 락킹 솔레노이드의 작동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lecture table operates the electric cylinder according to whether the main power switch is turned on and whether the top cover is opened, and whether the top cover is closed and the turn off of the main power switch. The memory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storing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cylinder and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solenoid.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전원스위치의 턴온(Turn on)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상판 모터를 작동시켜 상기 상판을 개방하고, 상기 상판을 개방한 후에, 상기 전동실린더를 작동시켜 모니터가 상승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키패널의 수동 키조작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전동실린더의 추가구동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메인 전원스위치의 턴오프 여부에 따라 상기 전동실린더를 작동시켜 상기 모니터가 하강하도록 하고, 상기 모니터 위치감지센서로 상기 모니터의 하강을 확인하고, 상기 상판 모터를 작동시켜 상기 상판을 닫고, 상기 전동실린더의 작동과 상기 락킹솔레노이드의 작동을 해제시켜 상기 락킹 솔레노이드에 의해 상기 상판 커버가 시정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controls the monitor to rise by operating the electric cylinder after opening the top plate by automatically operating the top plate motor according to whether the main power switch is turned on. A manual key operation signal of the key panel is applied to perform additional drive control of the electric cylinder, and the monitor is lowered by operating the electric cylinder according to whether the main power switch is turned off. Check the lowering of the monitor, operate the top plate motor to close the top plate, release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cylinder and the locking solenoid, and control the top plate cover to be corrected by the locking solenoid. have.

상기 전자 강의용 탁자는 상기 탁자몸체는 상기 탁자 몸체의 벽면 및 바닥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열방출구멍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lecture table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heat dissipation hole formed in at least one of a wall surface and a bottom of the table body.

상기 전자 강의용 탁자는, 사각형 액자틀 형태를 가져, 상기 고정프레임과 겹쳐져 상기 고정프레임에 결합된 결합나사를 가리되 상기 메인구동부의 전면부를 개방시키며, 상기 탁자몸체에 잠금장치에 의해 고정되는 도난방지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각형 액자틀 형태를 가지는 상기 도난방지프레임은 상기 도난방지프레임의 상면, 하면, 왼쪽면 및 오른쪽면 중, 한 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와, 상기 한 면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는 내재된 코일스프링에 의해 상하 이동가능한 잠금로드를 구비하며, 상기 잠금로드가 상기 도난방지프레임의 개구부 안에 삽입되도록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탁자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탁자몸체의 소정부에 형성된 구멍 안에 삽입됨으로써 되어 상기 도난방지프레임이 고정될 수 있다. The electronic lecture table has a rectangular frame shape, overlaps the fixed frame and covers the coupling screw coupled to the fixed frame, but opens the front part of the main drive unit, and is an anti-theft frame fixed to the table body by a locking device. It may further include. The anti-theft frame having a rectangular frame shape has at least one opening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urfaces of the anti-theft frame, and at least one protrusion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one surface. It may further include. The locking device has a locking rod movable up and down by an internal coil spring, and the locking device is coupled to the table body such that the locking rod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anti-theft frame, and the protrusion is connected to the table body. The anti-theft frame may be fixed by being inserted into a hole form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탁자 몸체는, 일 상단과, 상기 일 상단과 마주보는 다른 상단을 가지며, 상기 일 상단은 '┛' 또는 '┃'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다른 상단은 상기 상판과 접하는 면을 가지도록 안쪽으로 휘어진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일 상단에 인접한 상기 상판 커버의 단부는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 강의용 탁자는: 상기 다른 상단에 인접한 상기 상판의 소정부분에 결합되어 있으며, '┓' 형태의 상기 다른 상단의 끝부분을 고정하는 잠금로드를 가지는 잠금장치와; 상기 상판의 소정부분과 결합되는 상판연결대; 및 상기 일상단과 상기 상판연결대를 결합시키되 나사머리가 상기 상판 커버의 단부에 의해 가려지는 상판-탁자몸체 결합나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ble body has a top, one top and the other facing the top, the top has a '┛' or '┃' shaped cross section, the other top is It has a cross section of the '┓' shape bent inwardly to have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top plate, the end of the top cover adjacent to the top may have a '┏' shaped cross section. At this time, the electronic lecture table is coupled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upper plate adjacent to the other top, the locking device having a lock rod for fixing the end of the other top of the '┓' shape; An upper plate connecting rod coupled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upper plate; And a top plate-table body coupling screw coupling the daily end to the top plate connecting rod, wherein the screw head is covered by the end of the top plate cover.

상기 전자 강의용 탁자는, 상기 탁자몸체의 전면 상단부에 위치하며 키보드가 수용되는 키보드 수용서랍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lecture table may further include a keyboard accommodating drawer that is located at the upper front portion of the table body and accommodates the keyboard.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강의용 탁자는 메인 전원 스위치를 온(ON) 시키면, 상판 커버가 자동으로 개방하게 되고, 상판 커버의 개방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모니터가 상승하게 되므로 편의성이 매우 높고, 사용자의 키에 맞추어 추가 수동 승강이 가능하므로 편의성이 더욱 높다. 또한 전원 차단시 모니터가 원상태로 자동하강되며, 모니터가 원상태로 자동 하강 되었는지를 안전하게 확인되어, 상판 커버가 자동으로 닫히고. 상판 커버에 도어락이 설정되므로 모니터 및 각종 장치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lectur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in power switch is turned on, the top cover is automatically opened, and when the opening of the top cover is completed, the monitor is automatically raised so that the user's key is very high. Additional manual lifting and lowering is possible for the convenience. In addition, when the power is cut off, the monitor automatically lowers to its original state, and it is safely checked whether the monitor automatically lowers to its original state, and the top cover closes automatically. Since the door lock is set on the top cov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ss of the monitor and various devices.

또한, 전원을 차단하면, 상판에 결합된 잠금장치와, 상기 상판 커버의 단부에 의해 나사머리가 가려지는 상판-탁자몸체 결합나사에 의해 상기 상판을 상기 탁자 몸체로부터 분리할 수가 없어 모니터등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비를 고정하는 고정프레임의 결합나사들을 가리는 사각형 액자틀의 형태를 가지는 도난 방지프레임에 의해 전자장비등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ower is cut off, the top plate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table body by the locking device coupled to the top plate and the top plate-table body coupling screw whose screw head is covered by the end of the top cover.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ft of electronic equipment, etc. by the anti-theft frame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icture frame covering the coupling screws of the fixed frame for fixing the electronic equipmen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들의 두께나 크기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is thorough and complete, an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fully convey.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and sizes of components are exaggerated for clarity.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강의용 탁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자강의용 탁자에서 상판 커버와 도어가 개방되고, 도난방지프레임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강의용 탁자의 상판 커버와 상판커버 위치감지센서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onic lecture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unting state of the anti-theft frame when the top cover and the door are opened in the electromagnetic steel table of FIG. 1.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the mounting state of the top plate cover and the top plate position detection sensor of the electronic lecture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강의용 탁자(30)는 함체의 탁자몸체(32)와 상기 탁자 몸체(32)의 상면에 결합되는 상판(34)를 포함한다. 상기 상판(34)의 상면의 중심부로부터 일 측면까지 상판 함몰부(33)가 형성된다. 상기 상판 함몰부(33)의 상하 내측면에는 상판커버홈(35)이 형성된다. 상기 상면의 중심부의 상기 상판 함몰부(33)에는 모니터를 수용하는 모니터 안착홈(38)이 형성된다. 상판커버(50)는 상판커버홈(35)에 슬라이딩되게 결합되어져 있으며, 상기 모니터안착홈(36)을 개폐한다. 상기 상판 커버(5)의 측면에는 가이드레일(52)이 형성된다. 상기 상판커버(50)는 자동으로 개폐된다. 이를 도 3, 4a 및 4b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1 to 3, the electronic steel tabl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ble body 32 of a housing and an upper plate 34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table body 32. . An upper plate depression 33 is formed from a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34 to one side thereof. Upper and lower cover grooves 35 are formed on upper and lower inner surfaces of the upper plate recess 33. A monitor seating groove 38 for receiving a monitor is formed in the upper plate recess 33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The top plate cover 50 is slidably coupled to the top plate cover groove 35 and opens and closes the monitor seating groove 36. Guide rails 52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upper cover 5. The top cover 50 is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This i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3, 4A and 4B.

도 4a는 도 2를 A-A 선으로 자른 부분 단면도로써 상판의 구동 원리를 나타낸다. 도 4b는 도 2를 B-B 선으로 자른 부분 단면도로써 상판의 구동 원리를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에서 A-A선과 B-B선의 교차점은 모터톱니바퀴(305)와 수직적으로 중첩된다. 4A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2 to show the driving principle of the upper plate. 4B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2 to illustrate the driving principle of the upper plate. 4A and 4B, the intersection of the A-A line and the B-B line overlaps the motor gear 305 vertically.

도 2, 3, 4a 및 4b를 참조하면, 상기 상판 커버(50)의 상측 쪽의 하부면을 따라 상판 커버 기어 나사산들(303)이 형성된다. 상기 상판 커버 기어 나사산 (303)은 상기 상판 커버(50)의 하측 쪽의 하부면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상판 함몰부(33)에서 상기 상판 커버 기어 나사산(303)과 중첩되는 위치에 모터톱니바퀴홈(306)이 형성된다. 상기 상판 함몰부(33) 하부에는 모터톱니바퀴(305)가 위치한다. 상기 모터톱니바퀴(305)의 나사산은 상기 모터톱니바퀴홈(306)을 통해 일부가 상부 밖으로 노출되어 상기 상판 커버 기어 나사산(303)과 맞물린다. 상기 모터톱니바퀴(305)는 중심의 회전축 (307)과 결합되는 상판 모터(309)와 연결된다. 상기 상판 모터(309)는 예를 들면 직류 감속 모터일 수 있다. 상기 상판 모터에 의해 상기 모터톱니바퀴(305)는 상기 회전축(307)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모터톱니바퀴(305)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상판 커버 기어 나사산(303)이 맞물려 상기 상판 커버(50)는 좌우로 움직여 개폐된다. 상기 상판 커버 기어 나사산들(303)이 상기 상판 커버(50)의 하측 쪽의 하부면을 따라 형성될 경우, 상기 모터톱니바퀴홈(306), 상기 모터톱니바퀴(305) 및 상기 상판 모터(309)들도 상기 상판 커버(50)의 하측 쪽의 하부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판 모터(309)를 구동하는 전기 신호는 후술할 제어부에 의해 주어진다 상기 상판 커버(50)는 자동으로 개폐되지만, 상기 상판 모터(309)의 고장시, 수동으로도 열릴 수 있다. 2, 3, 4A and 4B, the top cover gear threads 303 are formed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side of the top cover 50. The upper cover gear thread 303 may be formed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side of the upper cover 50. The motor gear groove 306 is formed at a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upper cover gear screw thread 303 in the upper plate depression 33. A motor cog wheel 305 is positioned below the upper plate depression 33. The thread of the motor gearwheel 305 is engaged with the upper cover gear thread 303 by exposing a portion of the motor gearwheel groove 306 to the outside of the upper part. The motor gearwheel 305 is connected to the upper plate motor 309 coupled to the central rotation shaft 307. The upper plate motor 309 may be, for example, a direct current deceleration motor. The motor gearwheel 305 may rotate about the rotation shaft 307 by the upper plate motor, and the upper plate cover gear screw thread 303 is engaged with the upper plate cover as the motor gear 305 rotates. 50 moves left and right to open and close. When the upper cover gear threads 303 are formed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side of the upper cover 50, the motor gear groove 306, the motor gear 305, and the upper motor 309. ) May also be disposed to be adjacen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side of the top cover 50. The electrical signal for driving the upper plate motor 309 is given by a controller to be described later. The upper plate cover 50 is opened and closed automatically, but may be opened manually in case of failure of the upper plate motor 309.

한편, 위와 같은 원리로 상기 상판커버(50)가 자동으로 열리면, 상판커버 위치감지센서(54)가 이를 감지하고 확인한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상판 함몰부(33)의 상면 소정부에는 금속판(56)이 부착되며, 상기 상판 커버(50)의 하면 소정부에 상기 금속판(56)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파커버 위치감지센서(54)가 부착된다. 상기 상판커버 위치감지센서(54)는 상기 상판커버(50)의 개방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로서, 예를 들면, 자화에 의해 변화하는 전압값으로 상판 커버(50)의 개방상태를 판단하는 센서이다. 상기 상판커버 위치감지센서(54)는 상부에 상기 금속판(56)의 밀착에 의해 출력 전압값이 변화되는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상판 커버 위치감지센서(54)는 상기 금속판(56)의 위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 외에도 접촉센서 및 적외선 센서 등 다양한 종류의 센서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top cover 50 is automatically opened on the same principle as above, the top cover position detection sensor 54 detects and confirms this.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3, a metal plate 56 is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upper plate depression 33, and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etal plate 56 is defined at a lower surface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upper plate cover 50. An upper wave cover position detection sensor 54 is attached. The top cover position detecting sensor 54 is a senso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top cover 50 is open, for example, a sensor for determining an open state of the top cover 50 with a voltage value changed by magnetization. to be. The upper cover position detecting sensor 54 may be a sensor in which an output voltage value is changed by the adhesion of the metal plate 56 to an upper portion thereof. The top cover position detecting sensor 54 may be various types of sensors such as a contact sensor and an infrared sensor, in addition to a sensor for detecting a position state of the metal plate 56.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상판(34)의 우측 소정부에는 마우스를 안착시키기 위한 마우스 안착홈(46)이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 마우스 안착홈(46)의 상부의 상기 상판(34)에는 전원 온/오프 조작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원버튼(42a) 및 모니터 승하강을 위한 수동 키입력을 행하는 상승조작버튼(42b), 하강조작버튼(42c), 정지버튼(42d)로 이루어진 키패널(42)이 구비되어져 있다. 또, 상기 상판(34)의 상면 소정부에는 마이크(40)가 꽂혀진다. 상기 상판(34)의 하단의 소정부에는 분필, 필기도구, 레이저포인터, 지시봉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홈(53)이 형성되며, 상기 상판커버(50)의 하단의 소정부에는 책등이 밑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받칠 수 있는 돌출걸이부(51)가 형성된다. Referring again to FIGS. 1 and 2, a mouse seating groove 46 for seating the mouse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upper plate 34. The upper plate 34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ouse seating groove 46 has a power button 42a for generating a power on / off operation signal and a rising operation button 42b for performing manual key input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monitor, and descending. A key panel 42 composed of an operation button 42c and a stop button 42d is provided. In addition, the microphone 40 is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upper plate 34. A predetermined groove at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34 is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53 for accommodating chalk, writing implements, a laser pointer, an indicator rod, and the like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cover 50. Protruding hook portion 51 that can be supported so as not to slide is formed.

계속해서, 상기 상판(34) 아래에서 상기 탁자몸체(32)의 상단 전면부에는 키보드(200)를 수용하기 위한 키보드 수용서랍(58)과, 기타 물품들을 수용하기 위한 서랍(60)이 구비된다. 상기 서랍(60)에는 서랍열쇠구멍(61)이 설치된다. 상기 탁자몸체(32)의 측면 및/또는 하면에는 상기 탁자몸체(32) 내부에 수납되는 다양한 전자 장치들에서 방출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열방출구멍(45)이 하나 이상의 갯수로 형성된다. Subsequently, the upper front portion of the table body 32 below the upper plate 34 is provided with a keyboard accommodating drawer 58 for accommodating the keyboard 200 and a drawer 60 for accommodating other items. . The drawer key hole 61 is installed in the drawer 60. One or more heat dissipation holes 45 are formed on the side and / or bottom surface of the table body 32 for dissipating heat emitted from various electronic devices stored in the table body 32.

계속해서, 상기 서랍(60) 밑에서 상기 탁자몸체(32)에는 도어(63)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63)를 열면, 상기 탁자 몸체(32) 내부에는 메인구동부(150)와 음향기기, 영상기기, 컴퓨터등 강의에 필요한 다양한 전자장비(160)들을 수용하기 위해 이 장비(150, 160)들을 결합나사에 의해 결합 및 고정하기 위한 고정프레임(140)이 적어도 양측으로, 바람직하게는 전후와 양측으로 4 곳 이상의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메인구동부(150)에는 각종 전자장비에 대한 키조작 및 전원구동에 대한 메인전원스위치(64)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 전원스위치(64)는 사용자가 키를 키홈에 넣고 돌리면 작동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외에, 상기 메인 구동부(150)에는 랜(LAN)선 연결단자나, 외부전원입력단자, 음향전선입력단자등 다양한 단자들이 설 치될 수 있다. Subsequently, a door 63 is installed in the table body 32 under the drawer 60. When the door 63 is opened, the equipment body 150 and 160 is accommodated in the table body 32 to accommodate various electronic devices 160 necessary for lectures such as the main driving unit 150, an audio device, an imaging device, and a computer. Fixing frame 140 for engaging and fixing them by a coupling screw is installed in at least four positions at least on both sides, preferably in the front and rear and both sides. The main drive unit 150 is provided with a main power switch 64 for key operation and power drive for various electronic equipment. The main power switch 64 may have a form that is operated when the user inserts the key into the key groove and turns it. In addition, various terminals such as a LAN line connecting terminal, an external power input terminal, an acoustic wire input terminal, and the like may be installed in the main driver 150.

상기 메인구동부(150)와 상기 전자장비(160)는 상기 고정프레임(140)에 결합나사에 의해 고정되므로, 상기 결합나사만 풀면 상기 메인구동부(150)과 상기 전자장비(160)은 쉽게 도난당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강의용 교탁(30)은 도난 방지프레임(1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도난 방지프레임(100)은 사각형 액자틀 형태를 가지며, 상기 고정프레임(140)에 결합된 결합나사와 겹쳐져 가리되 상기 메인구동부(150)와 상기 전자장비(160)의 전면부는 개방시킨다. 상기 도난방지프레임(100)의 상부면에는 개구부(102)가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돌출부(104)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04)는 상기 탁자몸체(32)의 하부에 형성된 하판구멍(120)에 끼워진다. 상기 서랍(60) 아래에서 상기 탁자몸체(32)에 결합된 제 1 잠금장치(130)의 잠금로드는 상기 개구부(102) 안에 삽입된다. 이로써, 상기 도난방지프레임(100)는 상기 탁자몸체(32)에 고정된다. 상기 도난방지프레임(100)은 상기 서랍(60)을 열은 후에 상기 제 1 잠금장치(130)를 해제한 후에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60)의 열쇠 없이는 상기 도난방지프레임(100)을 분리할 수 없어, 상기 전자장비(160)등이 도난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Since the main driving unit 150 and the electronic device 160 are fixed to the fixing frame 140 by a coupling screw, the main driving unit 150 and the electronic device 160 may be easily stolen by loosening only the coupling screw. Can be.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electronic lecture tabl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anti-theft frame 100. The anti-theft frame 100 has a rectangular frame shape, overlapped with the coupling screw coupled to the fixed frame 140, but opens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drive unit 150 and the electronic device 160. An opening 102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anti-theft frame 100, and a protrusion 104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anti-theft frame 100. The protrusion 104 is fitted into the lower plate hole 120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able body 32. The locking rod of the first locking device 130 coupled to the table body 32 under the drawer 60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102. Thus, the anti-theft frame 100 is fixed to the table body (32). The anti-theft frame 100 may be separated after releasing the first locking device 130 after opening the drawer 60. Therefore, the anti-theft frame 100 cannot be removed without the key of the drawer 60, thereby preventing the electronic device 160 or the like from being stolen.

한편, 상기 상판커버(50)가 열리면, 상판커버 위치감지센서(54)가 이를 감지하고, 상기 모니터(38)는 자동으로 기설정된 각도만큼 전동실린더(70)에 의해 상승하게 된다. 이를 도 5 및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5는 도 1을 I-I선으로 자른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강의용 탁자에 포함된 전동실린더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op cover 50 is opened, the top cover position detection sensor 54 detects this, the monitor 38 is automatically raised by the electric cylinder 70 by a predetermined angle.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1.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ctric cylinder included in the electronic lecture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6을 참조하면, 상기 모니터(38)의 양측 하단부는 상기 모니터 안착홈(36)과 힌지축(66)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모니터(38)의 하단에는 브라켓(68)은 상기 전동실린더(70)의 상단에 구비된 결합링(86)과 회동핀(72)을 통해 결합된다. 상기 전동실린더(70)은 상기 모니터(38)의 승강수단으로써, 그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원봉 형태의 몸체(76)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76) 내부 상하단에는 각각 몸체(76) 내부로부터 외부로 유출/유입되고 내주연에 나사탭(미도시)이 형성된 로드너트(84)의 위치를 감지하는 리밋 스위치(78)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로드너트(84)의 외주연 소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리밋 스위치(78)과 접촉되는 구동 스트로크 조절용 부싱(80)이 제공되고, 상기 정역모터(74)에 축결합되며, 상기 로드너트(84)의 내주연 나사탭(미도시)과 체결되는 나사탭이 외주연에 각설된 스크류볼트(82)가 구비되어져 있고, 상기 로드너트(84)의 상부 종단에는 결합링(86)이 구비되어져 있다. 5 and 6, both lower ends of the monitor 38 are coupled by the monitor seating groove 36 and the hinge shaft 66. The bracket 68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monitor 38 through a coupling ring 86 and a rotation pin 72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electric cylinder 70. The electric cylinder 70 is a lifting means of the monitor 38, and includes a cylindrical body 76 having a hollow portion formed therein.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ody 76 are provided with limit switches 78 respectively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rod nut 84 which is leaked / inflowed from the inside of the body 76 to the outside and has a screw tab (not shown)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ce thereof. And a bushing 80 for driving stroke adjustment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rod nut 84 to be in contact with the limit switch 78 and axially coupled to the stationary motor 74. Screw bolts 82 fasten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thread tap (not shown) of the 84 is provided with a screw bolt 82 is arrang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the upper end of the rod nut 84 is provided with a coupling ring 86 It is done.

이때, 상기 구동 스트로크 조절용 부싱(80)과 상기 리밋 스위치(78)는 상기 로드너트(84)의 인출정도를 결정짓는 인자인 바, 상기 구동 스트로크 조절용 부싱(80)의 간격만큼 상기 로드너트(84)가 상기 몸체(76)으로부터 인출되게 된다. In this case, the driving stroke adjusting bushing 80 and the limit switch 78 are factors that determine the degree of withdrawal of the rod nut 84, and the rod nut 84 is spaced apart by the interval between the driving stroke adjusting bushing 80. ) Is withdrawn from the body 76.

상기 전동실린더(70) 대신 본 발명에서는 유압실린더 및 랙/피니언을 사용할 수도 있겠지만, 유압실린더 및 랙/피니언 등은 장치를 구성하는 부피가 커지게 되므로 전체 장치가 커지게 되어 본 발명의 탁자 모니터 승강용으로는 바람직하지는 않다. The hydraulic cylinder and rack / pinion may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the electric cylinder 70, but the hydraulic cylinder and the rack / pinion, etc. increase the volume of the device, so that the entire device becomes large, thus increasing the table moni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preferable for use.

이로써,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전동실린더(70)의 상기 정역모터(74)가 일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 회전력을 상기 스크류볼트(82)가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고, 상기 스크류볼트(82)와 체결된 상기 로드너트(84)가 상기 몸체(76)으로부터 인출/입되면서 상기 모니터(38)를 승강시킨다. 상기 모니터(38)의 하단은 상기 힌지축(66)에 의해 상기 상판(34)에 결합되어져 있으므로, 상기 모니터(38)는 그 상단만 승강되게 된다. Thus, when a control signal is applied, the stationary motor 74 of the electric cylinder 70 is rot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 screw bolt 82 is transmitted to rotate the rotational force, the screw bolt 82 ) And the rod nut 84 coupled to and lifted from the body 76 to lift and lower the monitor 38. Since the lower end of the monitor 38 is coupled to the upper plate 34 by the hinge shaft 66, only the upper end of the monitor 38 is lifted.

상기 모니터(38)의 위치는 모니터 위치 감지 센서(320)에 의해 감지된다. 이를 도 5, 7a 및 7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a 및 도 7b는 도 5의 모니터 위치감지센서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는 단면도들이다. The position of the monitor 38 is detected by the monitor position sensor 320.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7A and 7B. 7A and 7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ng principle of the monitor position sensor of FIG. 5.

도 5 및 7a를 참조하면, 상기 모니터 위치 감지 센서(320)는 상기 상판 함몰부(33) 내에 형성된 상기 모니터 안착홈(36)의 내측면의 소정 부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니터 위치감지 센서(320)는 상기 모니터 안착홈(36)의 내부 상측면이나 내부 좌우 측면의 소정부에 위치한다. 상기 모니터 위치감지 센서(320)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스위치로서, 몸체(321), 고정접점(323) 및 가동접점(325)을 포함한다. 상기 모니터(38)의 상단이 상승되면 상기 가동접점(325)은 상기 고정접점(323)으로부터 탈착되어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는 오프(off) 된다. 5 and 7A, the monitor position sensor 32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monitor seating groove 36 formed in the upper plate depression 33. Preferably, the monitor position detection sensor 320 is locat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inner upper side or the inn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nitor seating groove 36. The monitor position sensor 320 is a micro switch, for example, and includes a body 321, a fixed contact 323, and a movable contact 325. When the upper end of the monitor 38 is raised, the movable contact 325 is detached from the fixed contact 323 and the micro switch is turned off.

반대로 도 7b와 같이, 상기 모니터(38)가 상기 모니터 안착홈(36)에 들어오면 상기 모니터(38)의 측벽이 상기 가동접점(325)을 밀어 상기 가동접점(325)이 상기 고정접점(323)에 접촉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는 온(on)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는 상기 모니터(38)의 위치에 따라 오프/온되고, 스위치의 온/오프 신호는 후술할 제어부로 들어간다. On the contrary, as shown in FIG. 7B, when the monitor 38 enters the monitor seating groove 36, the side wall of the monitor 38 pushes the movable contact 325, and the movable contact 325 is fixed to the fixed contact 323. ). This turns the micro switch on. In this way, the micro switch is turned on / off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nitor 38, and the on / off signal of the switch enters the controller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자 강의용 탁자(30)는 상기 상판 커버(50)가 닫힌 이후, 상기 메인 전원스위치(64)의 턴오프(Turn off)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상기 상판커버(50)의 도어락을 시정시키는 도어락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도어락 수단은 상시 인출형 락킹 솔레노이드(전원차단시 솔레노이드 로드가 인출된 상태인 솔레노이드: 88)와, 상기 락킹 솔레노이드(88)의 로드가 인출입되는 결합공(90a, 90b)으로 구성된다. 상기 락킹 솔레노이드(88)는 상기 모니터 안착홈(36)의 일단 소정부에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결합공(90a, 90b)은 상기 락킹 솔레노이드(88)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상판 커버(50)의 소정부에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90a, 90b)은 상기 상판커버(50)가 완전히 열렸을 때 상기 락킹 솔레노이드(88)가 삽입되는 제 1 결합공(90a)과 상기 상판커버(50)가 완전히 닫혔을때 상기 락킹 솔레노이드(88)가 삽입되는 제 2 결합공(90b)을 포함한다. Meanwhile, referring again to FIG. 3, the electronic lecture tabl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detects a turn off of the main power switch 64 after the top cover 50 is closed. It is provided with a door lock means for correcting the door lock of the top plate cover (50). The door lock means is composed of a constant drawing-type locking solenoid (solenoid 88 in which the solenoid rod is drawn out when the power is cut off), and coupling holes 90a and 90b through which the rod of the locking solenoid 88 is withdrawn. The locking solenoid 88 is formed at one end of the monitor seating groove 36, and the coupling holes 90a and 90b of the upper cover 50 are position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solenoid 88. It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The coupling holes 90a and 90b are the first coupling hole 90a into which the locking solenoid 88 is inserted when the upper plate cover 50 is completely opened and the locking solenoid when the upper plate cover 50 is completely closed. It includes a second engaging hole (90b) is inserted (88).

상기 전자 강의용 탁자(30)는 추가적인 도난 방지 구성을 포함한다. 이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도 1을 II-II선으로 자른 요부 단면도이다. The electronic lecture table 30 includes an additional anti-theft configuration.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principal parts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상판 커버(50)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탁자몸체(32)의 일 상단의 단면은 '┛' 또는 '┃' 형태를 가진다. 상기 일 상단과 마주보는 반대편의 상단의 상기 상판과 접하는 면을 가지도록 안쪽으로 휘어진 '┓'형태의 단면을 가진다. 상기 일 상단에 인접한 상기 상판 커버(50)의 단부는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진다. 상기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반대편의 상단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상판(34) 하부에 제 2 잠금장치(132)가 설치된다. 상기 제 2 잠금장치(132)의 잠금로드에 의해 상기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반대편의 상단의 끝부분이 고정 된다. 또한, 상기 '┛' 또는 '┃'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상기 일 상단을 관통하여 상기 상판(34)의 소정부분과 결합되는 상판연결대(162)와 결합되는 상판-탁자몸체 결합나사(152)에 의해 상기 상판(34)은 고정된다. 상기 상판-탁자몸체 결합나사(152)의 나사머리는 상기 '┏'자 형태의 상기 상판 커버(50)의 단부에 의해 가려진다. Referring to FIG. 8, a cross section of one upper end of the table body 32 positioned below the upper cover 50 may have a '┛' or '┃' shape. It has a cross-section of the '┓' shape bent inward to have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upper plate of the upper end of the opposite side facing the one end. An end portion of the upper cover 50 adjacent to the upper end has a cross section in the shape of a '┏'. The second locking device 132 is installed below the upper plate 34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upper end of the opposite side having a cross-section of the '┓'. The end of the upper end of the opposite side having the '┓' shape by the lock rod of the second locking device 132 is fixed. In addition, the upper plate-table body coupling screw 152 coupled to the upper plate connecting rod 162 coupled to the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upper plate 34 through the upper end having a '┛' or '┃' shape cross section The top plate 34 is fixed by this. The screw head of the upper plate-table body coupling screw 152 is covered by an end of the upper plate cover 50 having a '┏' shape.

상기 메인전원스위치(64)를 턴온(Turn on)하여 상기 전자 강의용 교탁(30)에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락킹 솔레노이드(88)가 해제되고 상기 상판커버(50)가 열린다. 상기 상판(34)은, 상기 상판 커버(50)를 연 후에, 상기 상판-탁자몸체 결합나사(152)를 풀고 상기 제 2 잠금장치(132)를 해제한 후에 상기 탁자몸체(3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전원스위치(64)를 턴온시킬 수 있는 열쇠 없이는, 상기 상판(34)을 분리할 수가 없다. 이로써, 상기 상판(34)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모니터(38)등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main power switch 64 is turned on to apply power to the electronic lecture table 30, the locking solenoid 88 is released and the top cover 50 is opened. The top plate 34 may be separated from the table body 32 after the top plate cover 50 is opened, after the top plate-table body coupling screw 152 is released and the second locking device 132 is released. Can be. Therefore, the top plate 34 cannot be removed without the key for turning on the main power switch 64. As a result, theft of the monitor 38 or the like located below the upper plate 34 can be prevented.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 5 및 8에 개시된 상기 잠금장치(130, 132)는 잠금장치프레임(110)를 포함한다. 상기 잠금장치 프레임(110) 안에는 잠금홈(112a)이 형성된 잠금로드(112)가 삽입되나, 상기 잠금로드(112)의 길이가 상기 잠금장치프레임(110)의 길이보다 길어 상기 잠금로드(112)의 양 끝단은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잠금로드(112)의 일측단은 잠금이 이루어진 잠금로드(12)의 원위치 리턴이 가능하도록 탄성작용을 하는 제 1 코일스프링(15)에 삽입되어져 있다. 상기 잠금장치프레임(110)의 외부 상면에는 상기 잠금로드(112)의 잠금동작시 그 잠금을 해제하는 누름부(114)가 있으며, 상기 누름부(114) 밑에는 상기 잠금홈(112a)에 걸림공간을 제공하는 록킹부(113)가 있다. 또한 상기 록킹부(113)의 상하 유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탄성작용을 하는 제 2 코일스프링(16)이 체결된다.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devices 130 and 132 disclosed in FIGS. 2, 5 and 8 include a locking device frame 110. The lock rod 112 having the locking groove 112a is inserted into the lock frame 110, but the lock rod 112 is longer than the lock frame 110 so that the lock rod 112 is formed. Both ends of are exposed to the outside. One end of the lock rod 112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il spring 15 which is elastically actuated so that the lock rod 12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n outer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device frame 110 has a pressing part 114 for releasing the lock when the locking rod 112 is locked, and is caught by the locking groove 112a under the pressing part 114. There is a locking portion 113 which provides a space. In addition, the second coil spring 16 is fastened so that the vertical flow of the locking part 113 is freely performed.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강의용 탁자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lecture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강의용 탁자(30)의 전체 회로구성을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강의용 탁자(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원 온/오프 조작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원버튼(42a) 및 모니터 승하강을 위한 수동 키입력을 행하는 상승조작버튼(42b), 하강조작버튼(42c), 정지버튼(42d)로 이루어진 키패널(42)이 구비되어져 있는 바, 상기 전원버튼(42a)은 상기 전동실린더(70)의 정 역모터(74)에 대한 전원 투입을 스위칭하기 위한 버튼이며, 상기 상승조작버튼(42b), 하강조작버튼(42c), 정지 버튼(42d)은 모니터의 승강 및 전동실린더(70)의 구동 정지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버튼이다.10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electronic lecture tabl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electronic lecture tabl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key panel comprising a power button 42a for generating a power on / off operation signal and a rising operation button 42b for performing manual key input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monitor, a lowering operation button 42c, and a stop button 42d ( 42 is provided, the power button 42a is a button for switching the power supply to the reverse motor 74 of the electric cylinder 70, the rising operation button 42b, the lower operation button 42c and 42d are buttons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monitor and generating a drive stop signal for the electric cylinder 7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강의용 탁자(30)는 상기 상판커버(50)가 개방되면 자동으로 기설정된 길이만큼 상기 모니터(38)가 상승하게 되지만, 사용자의 키에 맞춰 상기 상승조작버튼(42b), 하강조작버튼(42c), 정지버튼(42d)을 통해 수동으로 상기 모니터(38)를 추가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In the electronic lecture tabl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op cover 50 is opened, the monitor 38 is automatically raised by a predetermined length, but the rising operation button ( 42b), the lower operation button 42c, the stop button 42d can be manually raised and lowered by the monitor 38 additionally.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강의용 탁자(30)에는 상기 전동실린더(70)에 구비된 정역모터(74)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구동부(92)와, 상판모터(309)를 구동시키기 위한 상판모터구동부(93)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락킹 솔레노이드(88)를 구동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 구동부(94)가 구비되어져 있다. 상기 메인 전원스위치(64)의 턴 온(Turn On)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상판모터(309)를 작동시키어 상기 상판 커버(50)를 개방시키고, 상기 상판커버(50)의 개방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전동실린더(70)를 작동시키며, 상기 상판커버(50)의 닫힘여부 및 상기 메인 전원스위치(64)의 턴 오프(Turn Off) 여부에 따라 상기 전동실린더(70)의 작동과 락킹 솔레노이드(88)의 작동에 대해 미리 제어 루틴이 저장된 메모리(96)가 구비되어져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lecture tabl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rive the motor driving unit 92 and the upper plate motor 309 for driving the stationary motor 74 provided in the electric cylinder (70). An upper plate motor driving unit 93 is provided, and a solenoid driving unit 94 for driving the locking solenoid 88 is provided. The top plate motor 309 is automatically opened according to whether the main power switch 64 is turned on, and the top plate cover 50 is opened, and the top plate cover 50 is automatically opened. The electric cylinder 70 is operated, and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cylinder 70 and the locking solenoid 88 depend on whether the top plate cover 50 is closed and whether the main power switch 64 is turned off. There is provided a memory 96 in which control routines are stored in advance for the operation of the "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강의용 탁자(30)에는 상기 메인 전원스위치(64)의 턴 온(Turn On) 여부 및 상기 상판커버(50)의 개방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전동실린더(70)를 작동시켜 모니터(38)가 상승되게 제어하며, 상기 키패널(42)의 수동 키조작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전동실린더(70)의 추가 구동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상판커버(50)의 닫힘여부 및 상기 메인 전원스위치(64)의 턴 오프(Turn Off) 여부에 따라 상기 전동실린더(70)의 작동과 락킹 솔레노이드(88)의 작동을 해제시켜 상기 락킹 솔레노이드(88)에 의해 상판커버(50)가 시정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98)가 구비되어져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onic lecture tabl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according to whether the main power switch 64 is turned on (Turn On) and whether the top plate cover 50 is opened the electric cylinder ( 70 is operated to control the monitor 38 to be raised, receives the manual key operation signal of the key panel 42 to perform additional driving control of the electric cylinder 70, and the upper plate cover 50 The top cover is opened by the locking solenoid 88 by releas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cylinder 70 and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solenoid 88 depending on whether the main power switch 64 is turned off or not. A control unit 98 is provided to control 50 to be corrected.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강의용 탁자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unction and operation of the electronic lecture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강의용 탁자의 신호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ignal flow of an electronic lecture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강의용 탁자(30)는 그 내부에 구비된 제어부(98)가 상기 메인 전원스위치(64)로부터 전원 투입을 위한 조작신호가 인가되는 지를 판단한다(ST-1).Referring to FIG. 11, first, an electronic lecture tabl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signal for power input from the main power switch 64 by a control unit 98 provided therein. (ST-1).

만약, 상기 메인 전원스위치(64)로부터 전원 투입을 위한 조작신호가 인가된 경우라면 상기 제어부(98)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강의용 탁자(30)로 전원을 투입하며(ST-2), 상기 락킹 솔레노이드(88)를 구동시켜 솔레노이드 로드가 상기 상판커버(50)의 제 2 결합공(90b)으로부터 결합이 해제되도록 제어한다(ST-3).If the operation signal for power supply is applied from the main power switch 64, the controller 98 supplies power to the electronic lecture tabl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2). By driving the locking solenoid 88, the solenoid rod is controlled to release the coupling from the second coupling hole 90b of the upper cover 50 (ST-3).

그리고 상기 상판모터(309)를 구동시키는 제어 신호가 전송되어 상기 상판모터(309)가 정회전 구동되고(ST-4), 상판커버(50)가 자동으로 개방된다(ST-5). 상기 상판 커버(50)가 완전히 열리면 상판커버 위치감지센서(54)가 상판 커버(50)의 개방을 감지하여(ST-6) 상기 제어부(98)로 개방신호를 전송한다.Then,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upper plate motor 309 is transmitted so that the upper plate motor 309 is driven forward rotation (ST-4), and the upper plate cover 50 is automatically opened (ST-5). When the top cover 50 is completely opened, the top cover position sensor 54 detects the opening of the top cover 50 (ST-6) and transmits an open signal to the controller 98.

그러면, 상기 제어부(98)는 상기 락킹 솔레노이드(88)를 구동시켜 솔레노이드 로드가 상기 상판커버(50)의 제 1 결합공(90a) 속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제어한다. 그 후에, 상기 제어부(98)는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상기 모니터(38)가 상승될 수 있도록 상기 전동실린더(70)의 정역모터(74)를 정회전 구동시키며(ST-7) 상기 모니터(38)를 상승시킨다.Then, the control unit 98 drives the locking solenoid 88 to control the solenoid rod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hole 90a of the top cover 50 to be coupled. Thereafter, the controller 98 drives the forward / reverse motor 74 of the electric cylinder 70 by forward rotation so that the monitor 38 can be raised by a predetermined angle (ST-7). To increase.

그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98)는 키패널(42)로부터 추가 위치조작신호가 인가되는 지를 판단하여(ST-8), 추가 위치조작신호가 인가되면 그 조작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전동실린더(70)를 구동시킨다(ST-9).In this state, the control unit 98 determines whether the additional position operation signal is applied from the key panel 42 (ST-8), and when the additional position operation signal is applied, the electric cylinder 70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signal. ) Is driven (ST-9).

그리고, 강의 진행 후, 강의를 마친 다음 상기 키패널(42)에 구비된 전원버튼(42a)를 오프시키면 (ST-10), 상기 제어부(98)는 그 전원 오프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모니터(38)가 하강되게 상기 전동실린더(70)를 구동시킨다(ST-11). 이때, 상기 전동실린더(70)는 승하강의 한계점을 갖고 있는 바, 상기 전동실린더(70) 내부에 구비된 구동 스트로크 조절용 부싱(80)의 위치를 리밋 스위치(78)가 감지하여 승하강 한계치를 부여한다. 따라서, 상기 전동실린더(70)의 내부에 구비된 정역모터(74)가 역회전하더라도 상기 모니터(38)가 모니터 안착홈(36)에 완전히 수평하게 안착될 정도까지만 상기 정역모터(74)가 구동되게 된다.After the lecture is completed, the lecture panel 98 receives the power off signal when the power button 42a provided in the key panel 42 is turned off after finishing the lecture (ST-10). ) Drives the electric cylinder 70 to be lowered (ST-11). At this time, the electric cylinder 70 has a limit of elevating, the limit switch 78 senses the position of the drive stroke adjusting bushing 80 provided in the electric cylinder 70 to give the elevating limit do. Thus, even if the forward and reverse motor 74 provided in the electric cylinder 70 rotates in reverse, the forward and reverse motor 74 is driven until the monitor 38 is completely horizontally seated in the monitor seating groove 36. Will be.

상기 모니터(38)가 상기 모니터 안착홈(36)에 안착하게 되면, 모니터 위치감지센서(320)가 이를 감지하여(ST-12) 상기 제어부(98)로 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98)에서는 락킹 솔레노이드(88)를 구동시켜 솔레노이드 로드가 상기 상판 커버(50)의 제 1 결합공(90a) 밖으로 인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상판 모터(309)를 구동시켜 상기 상판커버(50)를 닫는다(ST-13). 그 상태에서, 상기 메인 전원스위치(64)를 동작시키게 되면(ST-14), 상기 전자 강의용 탁자(30)로 투입된 모든 전원이 차단되면서 상기 락킹 솔레노이드(88)의 로드가 상기 상판커버(50)에 형성된 제 2 결합공(90b)에 자동으로 결합되어 상판커버(50)가 도어락 시정되게 된다(ST-15). 이로써 상기 상판커버(50)를 폐쇄시키게 된다.When the monitor 38 is seated in the monitor seating groove 36, the monitor position detection sensor 320 detects this (ST-12)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98. Then, the control unit 98 drives the locking solenoid 88 to control the solenoid rod to be drawn out of the first coupling hole 90a of the upper plate cover 50, and drives the upper plate motor 309 to cover the upper plate cover. (50) is closed (ST-13). In this state, when the main power switch 64 is operated (ST-14), all the power supplied to the electromagnetic lecture table 30 is cut off while the rod of the locking solenoid 88 is the top plate cover 50. It is automatically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hole (90b) formed in the top plate cover 50 is to lock the door lock (ST-15). As a result, the top plate cover 50 is clo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강의용 탁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onic lecture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전자강의용 탁자에서 상판 커버와 도어가 개방되고, 도난방지프레임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unting state of the anti-theft frame when the top cover and the door are opened in the electromagnetic steel table of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강의용 탁자의 상판 커버와 상판커버 위치감지센서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the mounting state of the top plate cover and the top plate position detection sensor of the electronic lecture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상판의 구동 원리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4A and 4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driving principle of the upper plate of FIG. 3.

도 5는 도 1을 I-I선으로 자른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1.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강의용 탁자에 포함된 전동실린더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ctric cylinder included in the electronic lecture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및 도 7b는 도 5의 모니터 위치감지센서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는 단면도들이다. 7A and 7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ng principle of the monitor position sensor of FIG. 5.

도 8은 도 1을 II-II선으로 자른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이다. 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1.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단면도이다.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강의용 탁자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lecture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강의용 탁자의 신호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ignal flow of an electronic lecture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Parts of Drawings *

30: 전자강의용탁자 32: 탁자몸체30: Electronic lecture table 32: Table body

34:상판 36:모니터안착홈34: Top 36: Monitor mounting groove

38: 모니터 40: 마이크38: monitor 40: microphone

42: 키패널 45: 열방출구멍42: key panel 45: heat dissipation hole

46: 마우스안착홈 50: 상판커버46: mouse seating groove 50: top cover

51: 돌출걸이부 52: 가이드레일51: protrusion hanger 52: guide rail

53: 수납홈 54: 위치감지센서53: receiving groove 54: position detection sensor

56: 금속판 58: 키보드수용서랍56: metal plate 58: keyboard drawer

60: 서랍 61: 서랍열쇠구멍60: drawer 61: drawer keyhole

63: 도어 64: 전원스위치63: door 64: power switch

66:흰지축 68:브라켓66: white axis 68: bracket

70: 전동실린더 72: 회동핀70: electric cylinder 72: rotating pin

74: 정역모터 76: 전동실린더몸체74: stationary motor 76: electric cylinder body

78:리밋스위치 80: 구동스트로크 조절용 부싱78: limit switch 80: bushing for adjusting drive stroke

82: 스크류 볼트 84: 로드너트82: screw bolt 84: rod nut

86: 결합링 88:락킹솔레노이드86: coupling ring 88: locking solenoid

90: 결합공 100: 도난방지프레임90: coupling hole 100: anti-theft frame

102: 개구부 104: 결합돌출부102: opening 104: engaging projection

110: 잠금장치프레임 112: 잠금로드110: lock frame 112: lock rod

112a: 잠금홈 113: 록킹부112a: locking groove 113: locking part

114: 누름부 115, 116: 코일스프링114: press portion 115, 116: coil spring

120: 하판구멍 130, 132: 잠금장치120: lower hole 130, 132: locking device

140: 고정프레임 150: 메인구동부140: fixed frame 150: main drive unit

152: 상판-탁자몸체 결합나사 160: 전자장비152: top plate-table body coupling screw 160: electronic equipment

162: 상판연결대 200: 키보드162: top connector 200: keyboard

Claims (14)

함체의 탁자몸체;Table body of the enclosure; 상기 탁자 몸체 상면에 결합되며, 상면의 중심부로부터 일 측면까지 형성된 상판함몰부, 상기 상판함몰부의 상하 내측에 형성된 상판커버홈, 및 상기 상면의 중심부의 상기 함몰부에 형성된 모니터를 수용하는 모니터 안착홈을 포함하는 상판;A monitor seating groove coupled to the table body upper surface and accommodating a monitor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upper plate recess, upper and lower cover groove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plate recess, and a monitor formed on the recessed portion of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Top plate comprising a; 상기 상판 커버홈에 슬라이딩되게 결합되며 상기 모니터 안착홈을 개폐하는 상판 커버;A top cover slidingly coupled to the top cover groove and opening and closing the monitor seating groove; 상기 상판 커버의 하부면에서 상기 상판커버홈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 상판 커버 기어 나사산들;Upper cover gear threads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upper cover cover groove on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상기 상판 함몰부에서 상기 상판 커버 기어 나사산과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된 모터톱니바퀴 홈(groove);A motor gear groove formed at a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top cover gear screw thread at the top recess; 상기 상판 함몰부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모터톱니바퀴 홈을 통해 상기 상판 커버 기어 나사산와 맞물리는 나사산을 가지는 모터톱니바퀴;A motor cog wheel positioned below the top plate recess and having a thread engaged with the top cover gear thread through the motor cog groove; 상기 모터톱니바퀴에 연결된 상판모터; An upper plate motor connected to the motor gear wheel; 상기 모니터 안착홈에 안착되며, 상기 상판의 상기 모니터 안착홈의 내측면의 소정부분에서 회동 기준점을 부여하는 힌지에 의해 결합된 모니터;A monitor seated in the monitor seating groove, the monitor being coupled by a hinge that provides a pivot reference point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an inner surface of the monitor seating groove of the upper plate; 상기 모니터의 하면 상단에 고정되는 브라켓에 회동핀으로 결합되어져 있으며, 상기 모니터를 승하강시키는 전동실린더;An electric cylinder coupled to a bracket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onitor and lifting and lowering the monitor; 상기 상판의 소정부에 위치하며 상기 상판커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상판커버 위치감지센서; 및A top cover position detection sensor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top plate and sensing a position of the top cover; And 상기 상판 커버의 개방 여부를 판단하고, 상판 커버 개방시 상기 모니터를 기설정각도만큼 상방으로 자동 상승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강의용 탁자.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top cover is open an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automatically raising the monitor up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top cover is open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모니터 안착홈의 내측면의 소정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모니터의 위치를 감지하는 모니터 위치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강의용 탁자. An electronic lecture tab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monitor seating groove, the monitor posi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monitor.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모니터 위치 감지 센서는 마이크로 스위치이며, 상기 모니터가 상기 모니터 안착홈에 안착하면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를 온(ON)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강의용 탁자. The monitor position sensor is a micro switch, the electronic lecture 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nitor is turned on (ON) while seated in the monitor seating groov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판커버 위치감지 센서와 대응하는 상기 상판 커버의 하면 소정부에 위치하는 금속판을 더 구비하며, 상기 상판커버 위치감지 센서는 상기 금속판에 의해 전압값이 변동되는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강의용 탁자.And a metal plate positioned on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cover corresponding to the upper plate cover position detecting sensor, wherein the upper plate cover position detecting sensor is a sensor whose voltage value is changed by the metal plate. .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상판은 소정부에 사용자의 키에 맞추어 상기 모니터를 추가 상승시키기 위한 상승조작버튼, 상기 모니터를 하강시키는 하강조작버튼, 상기 모니터의 움직임을 정지시키는 정지버튼, 상기 전동실린더, 및 상기 상판 모터로의 전원 투입을 스위칭하기 위한 전원버튼이 구비된 키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강의용 탁자. The upper plate includes a rising operation button for further raising the monitor in accordance with a user's key, a lowering operation button for lowering the monitor, a stop button for stopping the movement of the monitor, the electric cylinder, and the upper plate motor. The electronic lecture table further comprises a key panel provided with a power button for switching the power supply of.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탁자 몸체 내부에서 양측에 위치하며 전자장비를 수납 및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두개의 고정프레임들; 및At least two fixing frames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table body for storing and fixing electronic equipment; And 상기 고정프레임들 사이에서, 상기 고정프레임에 결합나사에 의해 고정되며, 전원 투입을 스위칭 제어하기 위한 조작신호를 발생시키는 메인 전원스위치를 포함하는 메인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강의용 탁자.Between the fixed frames, the electronic lecture table further comprises a main drive unit which is fixed by the coupling screw to the fixed frame, and including a main power switch for generating an operation signal for switching the power input.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모니터 안착홈의 상면 소정부에 위치하며, 상기 메인 전원스위치의 턴 오프(Turn off)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상기 상판 커버의 도어락을 시정(施錠)시키는 상시(常時) 폐쇄형 락킹 솔레노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강의용 탁자. Locat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onitor seating groove, and further comprising a normally closed locking solenoid for detecting the turn off of the main power switch to automatically correct the door lock of the top cover. Electronic lecture table characterized in that.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메인 전원스위치의 턴온(Turn on) 여부 및 상기 상판 커버의 개방 여부에 따라 상기 전동실린더를 작동시키며, 상기 상판 커버의 닫힘여부 및 상기 메인 전원스위치의 턴 오프(Turn off) 여부에 따라 상기 전동실린더의 작동과 상기 락킹 솔레노이드의 작동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강의용 탁자. The electric cylinder is operated according to whether the main power switch is turned on and whether the top plate cover is opened, and the electric cylinder depends on whether the top plate cover is closed and the main power switch is turned off. An electronic lecture table further comprising a memory storing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and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solenoid.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전원스위치의 턴온(Turn on)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상판 모터를 작동시켜 상기 상판을 개방하고, 상기 상판을 개방한 후에, 상기 전동실린더를 작동시켜 모니터가 상승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키패널의 수동 키조작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전동실린더의 추가구동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메인 전원스위치의 턴오프 여부에 따라 상기 전동실린더를 작동시켜 상기 모니터가 하강하도록 하고, 상기 모니터 위치감지센서로 상기 모니터의 하강을 확인하고, 상기 상판 모터를 작동시켜 상기 상판을 닫고, 상기 전동실린더의 작동과 상기 락킹솔레노이드의 작동을 해제시켜 상기 락킹 솔레노이드에 의해 상기 상판 커버가 시정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강의용 탁자. The controller controls the monitor to rise by operating the electric cylinder after opening the top plate by automatically operating the top plate motor according to whether the main power switch is turned on. A manual key operation signal of the key panel is applied to perform additional drive control of the electric cylinder, and the monitor is lowered by operating the electric cylinder according to whether the main power switch is turned off. Confirming the lowering of the monitor, operating the upper plate motor to close the upper plate, releas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cylinder and the locking solenoid to control the upper plate cover to be corrected by the locking solenoid. Featured electronic lecture tabl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탁자몸체는 상기 탁자 몸체의 벽면 및 바닥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열방출구멍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강의용 탁자. The table body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heat dissipation hol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wall surface and the bottom of the table body.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사각형 액자틀 형태를 가져, 상기 고정프레임과 겹쳐져 상기 고정프레임에 결합된 결합나사를 가리되 상기 메인구동부의 전면부를 개방시키며, 상기 탁자몸체에 잠금장치에 의해 고정되는 도난방지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강의용 탁자. It has a rectangular frame shape, overlapping the fixed frame and overlaps the coupling screw coupled to the fixed frame, the front opening of the main driv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nti-theft frame fixed to the table body by a locking device Electronic lecture table made with.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사각형 액자틀 형태를 가지는 상기 도난방지프레임은 상기 도난방지프레임의 상면, 하면, 왼쪽면 및 오른쪽면 중, 한 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와, 상기 한 면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강의용 탁자.The anti-theft frame having a rectangular frame shape has at least one opening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urfaces of the anti-theft frame, and at least one protrusion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one surface. Electronic lecture tab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잠금장치는 내재된 코일스프링에 의해 상하 이동가능한 잠금로드를 구비하며, 상기 잠금로드가 상기 도난방지프레임의 개구부 안에 삽입되도록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탁자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탁자몸체의 소정부에 형성된 구멍 안에 삽입됨으로써 되어 상기 도난방지프레임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강의용 탁자.The locking device has a locking rod movable up and down by an internal coil spring, and the locking device is coupled to the table body such that the locking rod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anti-theft frame, and the protrusion is connected to the table body. An electronic lecture 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anti-theft frame is fixed by being inserted into a hole form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탁자 몸체는, 일 상단과, 상기 일 상단과 마주보는 다른 상단을 가지 며, The table body has one top and the other top facing the one top, 상기 일 상단은 '┛' 또는 '┃'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The upper end has a cross section of the '┛' or '┃' shape, 상기 다른 상단은 상기 상판과 접하는 면을 가지도록 안쪽으로 휘어진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The other upper end has a '┓' shaped cross section curved inwardly to have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upper plate, 상기 일 상단에 인접한 상기 상판 커버의 단부는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되, An end portion of the top cover adjacent to the upper end has a '┏' shaped cross section, 상기 전자 강의용 탁자는: The electronic lecture table is: 상기 다른 상단에 인접한 상기 상판의 소정부분에 결합되어 있으며, '┓' 형태의 상기 다른 상단의 끝부분을 고정하는 잠금로드를 가지는 잠금장치와;A locking device coupled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upper plate adjacent to the other upper end and having a locking rod for fixing an end of the other upper end of a '┓' shape; 상기 상판의 소정부분과 결합되는 상판연결대; 및 An upper plate connecting rod coupled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upper plate; And 상기 일상단과 상기 상판연결대를 결합시키되 나사머리가 상기 상판 커버의 단부에 의해 가려지는 상판-탁자몸체 결합나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강의용 탁자. The table for the electronic le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op plate-table body coupling screw coupled to the upper end and the upper plate connecting rod, the screw head is covered by the end of the top cover.
KR1020090025249A 2009-03-25 2009-03-25 Electronic lecture table KR1009390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249A KR100939051B1 (en) 2009-03-25 2009-03-25 Electronic lecture t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249A KR100939051B1 (en) 2009-03-25 2009-03-25 Electronic lecture ta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9051B1 true KR100939051B1 (en) 2010-01-28

Family

ID=41810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249A KR100939051B1 (en) 2009-03-25 2009-03-25 Electronic lecture t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9051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826B1 (en) * 2010-12-28 2013-02-21 임성근 Electronic desk
KR101356638B1 (en) 2013-05-24 2014-02-04 구민화 Desk with board
KR101510199B1 (en) 2014-03-17 2015-04-08 주식회사 뉴런일렉 Electronic teaching table by wireless
KR102189975B1 (en) * 2020-09-11 2020-12-11 (주)피케이엘앤에스 Integrated IoT Electronic Lecture Desk for Monitoring Environment
KR102189973B1 (en) * 2020-09-11 2020-12-11 (주)피케이엘앤에스 Integrated IoT Electronic Lecture Desk with Customer Convenien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015Y1 (en) 2004-01-13 2004-04-08 신중식 a Teaching Desk for a Lecture
KR200409166Y1 (en) 2005-11-16 2006-02-20 주식회사 리비젼프로젝트 Up and down apparatus of monitor electron table
KR20070102643A (en) * 2007-10-01 2007-10-19 주식회사 리비젼프로젝트 Electronic lecture tab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015Y1 (en) 2004-01-13 2004-04-08 신중식 a Teaching Desk for a Lecture
KR200409166Y1 (en) 2005-11-16 2006-02-20 주식회사 리비젼프로젝트 Up and down apparatus of monitor electron table
KR20070102643A (en) * 2007-10-01 2007-10-19 주식회사 리비젼프로젝트 Electronic lecture table
KR100887157B1 (en) 2007-10-01 2009-03-04 주식회사 리비젼프로젝트 Electronic lecture tabl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826B1 (en) * 2010-12-28 2013-02-21 임성근 Electronic desk
KR101356638B1 (en) 2013-05-24 2014-02-04 구민화 Desk with board
KR101510199B1 (en) 2014-03-17 2015-04-08 주식회사 뉴런일렉 Electronic teaching table by wireless
KR102189975B1 (en) * 2020-09-11 2020-12-11 (주)피케이엘앤에스 Integrated IoT Electronic Lecture Desk for Monitoring Environment
KR102189973B1 (en) * 2020-09-11 2020-12-11 (주)피케이엘앤에스 Integrated IoT Electronic Lecture Desk with Customer Convenience
WO2022055139A1 (en) * 2020-09-11 2022-03-17 (주)피케이엘앤에스 Integrated iot wireless electronic lecture desk with added customer convenie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9051B1 (en) Electronic lecture table
KR100887157B1 (en) Electronic lecture table
AU2012225189B2 (en) A lock assembly
KR101874331B1 (en) Burglarproof lock
TW201439419A (en) Electric latch retraction device for vertical rod door latches
CN111288706A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659073B2 (en) Handle device
US6970084B2 (en) Alarm generating door lock
CN106584083A (en) Electronic device for detecting screw fixing state
KR102006290B1 (en) Flush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CN105350857A (en) Fingerprint head-telescopic safe box door sheet
US11941973B2 (en) Doorbell mounting and activa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0367501Y1 (en) Digital Doorlock Including 2 Step-Slide Type Cover Apparatus
JP3113541U (en) Door auto lock device
KR200453959Y1 (en) Top cover cover of electronic lecture table
KR100854283B1 (en) Shielding door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room
JP2004332252A (en) Locking device
KR102150082B1 (en) Inner bady of digital locking apparatus for locker
CN209457573U (en) A kind of smart lock with Anti-dismounting structure
JP3784568B2 (en) Molding machine
KR200168972Y1 (en) Control door of electric products
KR200445180Y1 (en) Alarm Apparatus for Locker
CN116884124A (en) Storage room identity recognition system
JP2005180853A (en) Operation device
JP2006006405A (en) Game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11